맨위로가기

쯔 꾸옥 응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쯔 꾸옥 응으(Chữ Quốc Ngữ)는 16세기 포르투갈 선교사들에 의해 라틴 문자를 기반으로 개발되어, 1945년 베트남 민주 공화국에 의해 베트남어의 공식 문자로 채택된 문자 체계이다. 13세기까지 한자, 쯔놈이 사용되었으나, 프랑스 식민 지배를 거치며 쯔 꾸옥 응으가 보급되었다. 쯔 꾸옥 응으는 29개의 자모로 구성되며, 6개의 성조를 표기하기 위한 부호를 사용한다. 컴퓨터 환경의 발전으로 베트남어 입력이 편리해졌지만, 프랑스어 중심적인 철자와 쯔놈 및 한문 쇠퇴를 초래했다는 비판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트남어 - 한자 부활
    한자 부활은 과거 한자 문화권 국가에서 한자 사용을 확대하려는 움직임이나 주장을 의미하며, 대한민국에서는 한글 전용법 이후 제한된 한자 사용에 대한 논쟁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한자 교육 부활에도 불구하고 일반적인 한자 미사용이, 베트남에서는 로마자 보급 후 감소한 한자 사용에 대한 부활 주장이 나타나고 있다.
  • 베트남어 - 베트남 문학
    베트남 문학은 베트남의 역사, 문화, 사회상을 반영하는 문학 작품들을 통칭하며, 한문 문학, 쯔놈 문학, 쯔꾸옥응 문학으로 구분되고, 격동의 역사를 거치면서 다양한 주제와 기법으로 발전해 왔다.
  • 로마자 - 아이슬란드어 알파벳
    아이슬란드어 알파벳은 아큐트 악센트 문자, Ðð, Þþ, Ææ, Öö를 포함한 32개의 라틴 문자로 구성되며, Þ와 Ð는 아이슬란드어 고유 문자이고, C, Q, W, Z는 외래어에서만 쓰이며, 모음은 장모음과 단모음으로 나뉜다.
  • 로마자 - 프락투어
    프락투어는 16세기 초 막시밀리안 1세 시대에 디자인된 블랙 레터 서체로, 독일어권에서 널리 사용되었으며 민족주의와 낭만주의 부흥 시기 안티콰체와의 논쟁을 겪었고, 현재는 장식적 용도로 사용된다.
쯔 꾸옥 응으
개요
베트남어 문자
베트남어 문자
종류알파벳
문자 체계라틴 문자 기반
사용 언어베트남어, 기타 베트남의 언어
창조자프란치스코 데 피나와 다른 포르투갈과 이탈리아 예수회 선교사
사용 시작 시기17세기
관련 문자이집트 상형 문자
원시 시나이 문자
페니키아 문자
그리스 문자
라틴 문자
포르투갈어 문자
파생 문자바나르어 문자
참어 문자
눙어 (타이어족) 문자
따이어 문자
이름
베트남어"" (쯔 꾸옥 응으, 쯔놈: )
국어 문자
문자
문자 구성a, ă, â, b, c, d, đ, e, ê, g, h, i, k, l, m, n, o, ô, ơ, p, q, r, s, t, u, ư, v, x, y
모음a, ă, â, e, ê, i, o, ô, ơ, u, ư, y
자음b, c, d, đ, g, h, k, l, m, n, p, q, r, s, t, v, x
음성
역사
발전 과정17세기: 포르투갈 선교사들이 베트남어 음성을 로마자로 표기하기 시작
19세기: 프랑스 식민 통치 하에 쯔 꾸옥 응으가 널리 보급됨
20세기: 베트남의 공식 문자로 채택됨
프랑스 식민지 시기프랑스 식민지 개척자들은 문맹을 퇴치하기 위해 쯔 꾸옥 응으를 장려했다.

2. 역사

13세기까지 베트남에서는 자국어 표기에 한자를 사용한 한뜨(漢字)와 한문을 뜻하는 쯔뇨(𡨸儒)를 사용하였다. 베트남 고유어를 표기하기 위한 문자였던 쯔놈(chữ Nôm|𡨸喃vi)은 14세기경부터 사용되었는데, 이는 한자에 기반하여 한 글자가 각각 한 단어를 나타냈기 때문에 베트남어를 표기하는 데에 여전히 한계가 있었다. 또한 습득이 어렵고 통일된 규범도 정비되지 않아 공문서에는 한자만이 사용되었다.

16세기 포르투갈 선교사들이 베트남어 학습을 목적으로 1527년부터 라틴 문자로 베트남어를 표기하기 시작했는데, 이것이 현대 쯔꾸옥응으의 기원이 되었다. 1624년부터 1644년까지 베트남에서 활동한 예수회 프랑스인 선교사 알렉상드르 드 로드1651년 로마에서 《Dictionarium Annamiticum Lusitanum et Latinum》이라는 베트남어 사전을 출간하였는데, 이 사전에 베트남어 표기로 쯔꾸옥응으가 사용되었다.

19세기까지 쯔꾸옥응으는 주로 유럽 선교사들의 베트남어 습득용으로 쓰였고, 베트남에서는 계속 한자와 쯔놈이 사용되었다. 1885년 청불전쟁에서 승리한 프랑스베트남에서 프랑스어의 공용화를 원활하게 추진하기 위한 수단으로 알렉상드르 드 로드의 표기법인 쯔꾸옥응으를 보급하였다.

프랑스 식민지 초기에 쯔꾸옥응으는 베트남인들에게 오랑캐 글자로 인식되어 배척되었으나, 쯔꾸옥응으가 보급된 지역을 중심으로 문맹률이 낮아지자 지식인들 사이에서도 이를 적극적으로 이용해 문맹 퇴치와 민족주의 운동에 활용하자는 의견이 일기 시작했다. 1910년부터 베트남 민족주의자들이 세운 통킹 자유 학교 등 교육 기관에서 이 글자를 교육하기 시작하였고, 프랑스 식민지 정부에 대항하기 위한 목적으로 펴낸 비정규적인 출판물에서도 사용되었다. 1918년 카이딘 황제가 공문서에서 한자 표기를 폐지하면서, 1945년까지 한자를 쓰는 전통 지식인층과 쯔꾸옥응으를 쓰는 신흥 지식인층이 공존하며 신문, 잡지, 서적 등이 복수 문자로 간행되었다.

1945년 베트남 민주 공화국은 쯔꾸옥응으를 베트남어의 공식 문자로 정해 이러한 상황에 종지부를 찍었다. 쯔꾸옥응으는 베트남의 문맹률을 낮추는데 크게 기여하였지만, 프랑스의 식민 지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수단으로 보급되어 이후 프랑스 제국주의자들과 베트남 공산주의자들이 유교불교를 기반으로 한 베트남의 전통 문화를 파괴하는 도구로 이용한 측면이 있음도 무시할 수 없다.

19세기 후반, 프랑스는 베트남을 식민지화하면서 프랑스어와 함께 쯔꾸옥응으 교육을 추진했다. 1906년 '불월 학교'를 설립하여 프랑스어와 쯔꾸옥응으 교육을 실시했지만, 이는 프랑스어 중심의 교육 체제를 위한 보조적인 수단이었다.

이 시기, 베트남 지식인들 사이에서는 쯔꾸옥응으를 통해 민족 정체성을 확립하려는 움직임이 있었다. 1905년 하노이에서 최초의 한문, 쯔꾸옥응으 병기 신문 《따이 비엣 떤 바오》가 창간되었고, 1907년 판 보이 차우 등이 통킹 의숙을 설립하여 쯔꾸옥응으를 교육했다.

1913년 쯔꾸옥응으를 사용한 문예지 《인도차이나 잡지(동양 잡지)》, 1917년 《남풍 잡지》가 창간되었다. 쯔꾸옥응으가 확산되면서 도시 지역에서는 쯔꾸옥응으 해독률이 높아졌지만, 지방에서는 여전히 한문 교육이 권위를 유지했다. 이 시기에는 쯔꾸옥응으, 한문, 쯔놈을 모두 사용할 수 있는 엘리트층, 한문과 쯔놈만 읽고 쓸 수 있는 전통 지식인층, 쯔꾸옥응으만 사용할 수 있는 신흥 지식인층이 공존했다.

1945년 베트남 민주 공화국 독립 이후, 정부는 문맹 퇴치를 위해 쯔꾸옥응으를 베트남어의 공식 표기 문자로 채택했다. 현재 베트남에서는 한자, 한문의 사용은 폐지되었고, 베트남어는 쯔꾸옥응으로만 표기된다.

2. 1. 쯔꾸옥응으 이전의 문자

13세기까지 베트남에서는 자국어 표기에 한뜨(한자)와 쯔뇨(한문)를 사용하였다. 베트남 고유어 문자 표기인 쯔놈14세기경부터 사용되었는데, 이는 한자에 기반하여 한 글자가 각각 한 단어를 나타냈기 때문에 베트남어를 표기하는 데에 여전히 한계가 있었다. 또한 습득이 어렵고 통일된 규범도 정비되지 않아 공문서에는 한자만이 사용되었다.[9]

2. 2. 쯔꾸옥응으의 탄생과 초기 발전

16세기포르투갈 선교사들이 베트남어 학습을 목적으로 1527년부터 라틴 문자로 베트남어를 표기하기 시작했는데, 이것이 현대 쯔꾸옥응으의 기원이 되었다.[2][4] 1624년부터 1644년까지 베트남에서 활동한 예수회 프랑스인 선교사 알렉상드르 드 로드(Alexander de Rhodes)는 1651년 로마에서 《Dictionarium Annamiticum Lusitanum et Latinum》 (베트남어-포르투갈어-라틴어 사전)을 출간하였는데, 이 사전에 베트남어 표기로 쯔꾸옥응으가 사용되었다.[2][23]

알렉상드르 드 로드가 제작한 베트남어 로마자 표기 사전은 쯔꾸옥응으의 원형이 되었다.

2. 3. 프랑스 식민지 시대와 쯔꾸옥응으의 확산

19세기 프랑스베트남에서 프랑스어 공용화를 원활하게 추진하기 위한 수단으로 쯔꾸옥응으를 보급하였다.[2] 초기에는 베트남인들에게 오랑캐 글자로 인식되어 배척되었으나, 쯔꾸옥응으가 보급된 지역을 중심으로 문맹률이 낮아지자 지식인들 사이에서도 이를 적극적으로 이용해 문맹 퇴치와 민족주의 운동에 활용하자는 의견이 일기 시작했다.[26] 이에 따라 베트남 민족주의자들이 세운 통킹 자유 학교 등 교육 기관에서 1910년부터 이 글자를 교육하기 시작하였고, 프랑스 식민지 정부에 대항하기 위한 목적으로 펴낸 비정규적인 출판물에서도 이 글자가 사용되었다. 1918년에는 베트남의 형식적 군주였던 카이딘 황제가 공문서에서 한자(漢字) 표기를 폐지했다.[26] 이후 1945년까지 베트남에서는 한자를 쓰는 전통 지식인층과 쯔꾸옥응으를 쓰는 신흥 지식인층이 병존함으로써 신문, 잡지, 서적 등이 복수 문자로 간행되었다.

2. 4. 베트남 독립과 쯔꾸옥응으의 공식 문자 채택

1945년 베트남 민주 공화국은 쯔 꾸옥 응으를 베트남어의 공식 문자로 정했다. 이로써 쯔 꾸옥 응으는 베트남의 문맹률을 낮추는데 크게 기여하였다.[29] 그러나 쯔 꾸옥 응으는 프랑스의 식민 지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수단으로 보급되었고, 이후 프랑스 제국주의자들과 베트남 공산주의자들이 유교불교를 기반으로 한 베트남의 전통 문화를 파괴하는 도구로 이용되었다는 비판도 존재한다.

19세기 후반, 프랑스베트남을 식민지화하면서 프랑스어와 함께 쯔 꾸옥 응으 교육을 추진했다. 1906년에는 '불월 학교'를 설립하여 프랑스어와 쯔 꾸옥 응으 교육을 실시했지만, 이는 프랑스어 중심의 교육 체제를 위한 보조적인 수단이었다.[28]

이 시기, 베트남 지식인들 사이에서는 쯔 꾸옥 응으를 통해 민족 정체성을 확립하려는 움직임이 일어났다. 1905년에는 하노이에서 최초의 한문, 쯔 꾸옥 응으 병기 신문 《따이 비엣 떤 바오》가 창간되었고, 1907년에는 판 보이 차우 등이 통킹 의숙을 설립하여 쯔 꾸옥 응으를 교육했다.

1913년에는 쯔 꾸옥 응으를 사용한 문예지 《인도차이나 잡지(동양 잡지)》, 1917년에는 《남풍 잡지》가 창간되었다.

쯔 꾸옥 응으가 확산되면서 도시 지역에서는 쯔 꾸옥 응으 해독률이 높아졌지만, 지방에서는 여전히 한문 교육이 권위를 유지했다. 이 시기에는 쯔 꾸옥 응으, 한문, 쯔놈을 모두 사용할 수 있는 엘리트층, 한문과 쯔놈만 읽고 쓸 수 있는 전통 지식인층, 쯔 꾸옥 응으만 사용할 수 있는 신흥 지식인층이 공존했다.

1945년 베트남 민주 공화국 독립 이후, 정부는 문맹 퇴치를 위해 쯔 꾸옥 응으를 베트남어의 공식 표기 문자로 채택했다. 현재 베트남에서는 한자, 한문의 사용은 폐지되었고, 베트남어는 쯔 꾸옥 응으로만 표기된다.

3. 문자 체계

쯔 꾸옥 응으는 로마자를 기반으로 한 베트남어 표기 문자 체계이다. 17세기 포르투갈 선교사들이 선교 목적으로 만들었으며, 프랑스 식민지 시기를 거치면서 널리 보급되었다.

쯔 꾸옥 응으는 12개의 모음과 17개의 자음을 조합하여 소리를 나타낸다. F, J, W, Z는 베트남어 고유음이 아니라 외국어에서 차용된 단어를 표기할 때만 쓰인다.[37]

베트남어에는 CH, GH, GI, KH, NG, NGH, NH, PH, QU, TH, TR와 같은 10개의 이중음자와 1개의 삼중음자가 있다. 과거에는 이러한 이중음자와 삼중음자를 하나의 자모로 취급하였으나, 현재는 개별 철자로 나누어 다룬다.[7]

쯔 꾸옥 응으는 성조를 표시하기 위해 모음 위에 별도의 기호를 붙인다. 베트남어는 6개의 성조를 가지며, 성조에 따라 단어의 의미가 달라진다.[40]

모음의 표기는 다음과 같다.

rowspan="2" |전설중설후설
소리철자소리철자소리철자
중심align=center |iê/ia*align=center |ươ/ưa*align=center |uô/ua*
폐모음align=center |i, yalign=center |ưalign=center |u
근폐모음/align=center rowspan="2" |êalign=center |ơalign=center rowspan="2" |ô
align=center |â
근개모음/align=center rowspan="2" |ealign=center |aalign=center rowspan="2" |o
align=center |ă


  • 모음 는 일반적으로 i로 표기되지만, 때때로 h, k, l, m, n, s, t, v, x 뒤에는 y로 표기된다. 정자 모음 앞이나 중국어에서 파생된 단어의 시작 부분에는 항상 y로 표기된다.
  • y는 i와 함께 가장 일반적으로 모음으로 취급된다. i는 '짧은 '을 나타내고 y는 '긴 '을 나타낸다. y는 다른 모음과 마찬가지로 성조를 가질 수 있다.
  • 모음 는 c 또는 ng 앞에 oo로 표기된다.
  • 모음 는 c 또는 ng 앞에 ôô로 표기된다.

3. 1. 알파벳

쯔 꾸옥 응으는 12개의 모음과 17개의 자음을 합쳐 총 29개의 자모를 사용한다. 이 중 F, J, W, Z는 베트남어 고유음이 아니라 외국어에서 차용된 단어를 표기할 때만 쓰인다.[37]

대문자AviĂviÂviBviCviDviĐviEviÊviGviHviIviKviLviMviNviOviÔviƠviPviQviRviSviTviUviƯviVviXviYvi
소문자aviăviâvibvicvidviđvieviêvigvihviivikvilvimvinvioviôviơvipviqvirvisvitviuviưvivvixviyvi



베트남어에는 CH, GH, GI, KH, NG, NGH, NH, PH, QU, TH, TR와 같은 10개의 이중음자와 1개의 삼중음자가 있다. 과거에는 이러한 이중음자와 삼중음자를 하나의 자모로 취급하여 사전 배열에서도 별도로 묶었으나, 현재는 개별 철자로 나누어 다룬다.

비공식적인 글에서는 W, F, J가 각각 QU, PH, GI를 줄인 형태로 사용되기도 한다.

3. 2. 자음

쯔 꾸옥 응으(Quốc ngữ)의 자음은 단일 자음과 이중 자음으로 구성된다. 이중 자음은 CH, GH, GI, KH, NG, NGH, NH, PH, QU, TH, TR이며, 과거에는 하나의 자모로 취급되었으나 현재는 개별 철자로 다룬다.[7]

자음
문자단어 첫머리 (IPA)단어 끝비고
북부남부북부남부
B b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 |
C c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앞에서는 대신 가 사용된다.
의 온글라이드가 존재하면 대신 가 사용된다.
둥근 모음 뒤에 오는 단어 끝에서는 로 실현된다.
Ch chstyle="text-align: center;" |style="text-align: center;" |style="text-align: center;" |style="text-align: center;" |최종 에 대한 여러 음소 분석이 제안되었다(본문).
D dstyle="text-align: center;" |style="text-align: center;" |colspan="2" rowspan="9"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 |중세 베트남어에서 는 를 나타냈다. 와 의 구별은 현재 대부분의 현대 방언에서 순전히 어원적이다.
Đ đ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
G gcolspan="2" rowspan="2" style="text-align: center;" |
Gh gh이탈리아어 규칙을 따르기 위해 앞에서 대신 사용된다. 이러한 환경에서는 가 허용되지 않는다.
Gi gistyle="text-align: center;" |style="text-align: center;" |중세 베트남어에서 는 를 나타냈다. 와 의 구별은 현재 대부분의 현대 방언에서 순전히 어원적이다. 북부 발음에서는 , 남부 발음에서는 로 실현된다. 다른 앞에서는 로 표기된다.
H h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
K k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유럽 전통을 따르기 위해 앞에서 대신 사용된다. 이러한 환경에서는 가 허용되지 않는다.
Kh kh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중세 베트남어에서 는 를 나타냈다.
L l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
M m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
N n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style="text-align: center;" |style="text-align: center;" |남부 베트남어에서 단어 끝의 은 가 뒤따르지 않는 경우 으로 실현된다.
Ng ngcolspan="2" rowspan="2" style="text-align: center;"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둥근 모음 뒤에 오는 단어 끝에서는 로 실현된다.
Ngh nghcolspan="2" style="background-color: #ccc;" |에 따라 앞에서 대신 사용되는 표기법이다.
Nh nh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style="text-align: center;" |style="text-align: center;" |최종 에 대한 여러 음소 분석이 제안되었다(본문).
P p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외래어에서만 처음 나타난다. 일부 베트남어 사용자는 이를 "b" 소리로 발음한다(아랍어와 같음).
Ph ph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colspan="2" rowspan="4" style="background-color: #ccc;" |중세 베트남어에서 는 를 나타냈다.
Qu qustyle="text-align: center;" |style="text-align: center;" |온글라이드가 존재하면 대신 사용된다.
R rstyle="text-align: center;" |style="text-align: center;" |남부 언어에서 베트남어 언어학에서 일반적으로 문자 ⟨r⟩로 표현되는 음소 /r/은 여러 변형 발음을 갖는다. 후치 마찰음 , 치경 근사음 , 치경 탄음 , 떨림음 , 연구개 마찰음 , 그리고 구개 근사음 로 나타날 수 있다. 마지막 두 개는 표준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S sstyle="text-align: center;" |style="text-align: center;" |북부 발음에서는 로 실현된다.
T t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style="text-align: center;" |style="text-align: center;" |남부 베트남어에서 단어 끝의 는 가 뒤따르지 않는 경우 로 실현된다.
Th th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colspan="2" rowspan="4" style="background-color: #ccc;" |
Tr trstyle="text-align: center;" |style="text-align: center;" |북부 발음에서는 로 실현된다.
V vstyle="text-align: center;" |~중세 베트남어에서는 현재 사용되지 않는 문자 로 표기되어 를 나타냈다.
발음 표기를 통해 남부 언어에서, 그리고 외래어에서 로 실현될 수 있다. Cải lương, Đờn ca tài tử, Hát bội 및 해외 베트남 출신인 일부 구어 화자에서 이는 자음군 또는 로 발음된다.[13]
X x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중세 베트남어에서 는 로 발음되었다.


3. 3. 모음

쯔 꾸옥 응으의 모음(nguyên âmvi) 체계는 단모음, 이중모음, 삼중모음으로 구성된다. 베트남어 알파벳에는 총 12개의 모음이 있다.[7]

다음 표는 하노이 베트남어의 모음(IPA로 표기)과 표기 체계에서 사용되는 해당 정자 기호를 보여준다.

rowspan="2" |전설중설후설
소리철자소리철자소리철자
중심align=center |iê/ia*align=center |ươ/ưa*align=center |uô/ua*
폐모음align=center |i, yalign=center |ưalign=center |u
근폐모음/align=center rowspan="2" |êalign=center |ơalign=center rowspan="2" |ô
align=center |â
근개모음/align=center rowspan="2" |ealign=center |aalign=center rowspan="2" |o
align=center |ă



몇 가지 특징은 다음과 같다.


  • 같은 글자가 여러 소리를 나타내거나, 다른 글자가 같은 소리를 나타내는 경우가 있어 철자와 발음의 관계가 복잡하다.
  • 모음 는 일반적으로 ivi로 표기되지만, 때때로 hvi, kvi, lvi, mvi, nvi, svi, tvi, vvi, xvi 뒤에는 yvi로 표기된다. 정자 모음 앞이나 중국어에서 파생된 단어의 시작 부분에는 항상 yvi로 표기된다.
  • yvi는 ivi와 함께 가장 일반적으로 모음으로 취급된다. ivi는 '짧은 '을 나타내고 yvi는 '긴 '을 나타낸다. yvi는 다른 모음 (ývi, ỳvi, ỹvi, ỷvi, ỵvi)과 마찬가지로 성조를 가질 수 있다.
  • 모음 는 cvi 또는 ngvi 앞에 oovi로 표기된다.
  • 모음 는 cvi 또는 ngvi 앞에 ôôvi로 표기된다.

3. 4. 성조 표기

베트남어는 6개의 성조를 가지며, 성조 부호는 모음 위에 표시한다.[40] 성조 부호의 위치에는 '구 스타일'과 '신 스타일'이 있는데, 현재는 '신 스타일'이 주로 사용된다.

6개의 성조는 다음과 같다.

번호성조명읽는 법기호성조 패턴성조값과 IPA 표기평성비고일본어 표기
(음절 말 "n・ng・nh・m"의 경우)
1thanh ngangvi타잉 응안 (평조[평성, 횡성])(없음)중평조˧ 33bằngvi(평성)보통 높이보다 약간 높게 평평하게 유지자주 장음 기호 "ー"가 사용됨
2thanh huyềnvi타잉 휘엔(수조[현성, 현성])` (그레이브)저강조(저평조)˨ (˨˩) 21 (22)bằngvi(평성)안타까운 듯, 약간 낮은 곳에서 늘어뜨리듯이 천천히 낮아짐자주 장음 기호 "ー"가 사용됨
3thanh sắcvi타잉 삿(크)(예리한 소리[예성])´ (어큐트)고승조˧˥ 35trắcvi(측성)보통 높이에서 순식간에 빠르게 상승장음 기호는 불필요
4thanh hỏivi타잉 호이(문조[문성]) ̉ (후크)강승조˧˩˧ 312 (31/313)trắcvi(측성)보통 높이에서 천천히 낮아져서, 마지막에 약간 올라감(개인차가 있어서, 올라가지 않는 경우도 있음)장음 기호는 불필요
5thanh ngãvi타잉 가(전조[저성])˜영어 (틸데)고승조(승강조) + 후두화˦˥˦ (˧ˀ˦˥) 3ʔ5 325 (324)trắcvi(측성)처음부터 목의 긴장을 동반하면서, 보통 높이에서 약간 올라가서, 순간 성문을 닫은 후, 급격하게 올라감장음 기호는 불필요
6thanh nặngvi타잉 낭(중조[중성]) ̣ (점)저강조 + 후두화˨˩ (˨˩ˀ) 21ʔ (21/211)trắcvi(측성)처음부터 목의 긴장을 동반하면서, 묵직하게 목 안쪽에서 소리를 억누르는 듯, 약간 낮은 곳에서 순식간에 낮아져서 성문을 닫음(다른 성조보다 음의 길이가 약간 짧음)장음 기호는 불필요



음절 말 자음 "p, t, c/k, ch"는 "3. thanh sắcvi(예리한 소리)"와 "6. thanh nặngvi(무거운 소리)"의 두 가지 성조만 가진다. 일본어 표기에서는 자주 촉음 "ッ"이 사용된다.

성조 기호는 단독으로 기재되는 일은 없고, 항상 모음자와 조합하여 표기된다. 모음자는 다이어크리틱 부호가 붙은 것을 포함하여 12자가 존재하기 때문에, 모음자와 성조 기호의 조합은 72가지 패턴이 된다. 라틴 문자 표기 언어로는 드물게 한 문자에 여러 개의 다이어크리틱 부호를 붙이는 표기가 많이 사용되는 것이 특징이다.

번호성조명Avi aviĂvi ăviÂvi âviEvi eviÊvi êviIvi iviOvi oviÔvi ôviƠvi ơviUvi uviƯvi ưviYvi yvi
1thanh ngangviAviaviĂviăviÂviâviEvieviÊviêviIviiviOvioviÔviôviƠviơviUviuviƯviưviYviyvi
2thanh huyềnviÀviàviviviviviÈvièviviviÌviìviÒviòviviviviviÙviùvivivivivi
3thanh sắcviÁviáviviviviviÉviéviviếviÍviíviÓvióviviviviviÚviúviviviÝviývi
4thanh hỏivivivivivivivivivivivivivivivivivivivivivivivivivi
5thanh ngãviÃviãviviviviviviviviviĨviĩviÕviõviviviviviŨviũvivivivivi
6thanh nặngvivivivivivivivivivivivivivivivivivivivivivivivivi


4. 현대적 사용과 문제점

쯔꾸옥응으는 200년 동안 가톨릭 공동체 내에서 주로 사용되었다.[24] 그러나 쯔꾸옥응으로 작성된 작품은 소수였으며, 쯔놈으로 된 가톨릭 작품이 훨씬 더 널리 퍼져 있었다. 쯔놈은 베트남 가톨릭교도들이 사용한 주요 문자 체계였다.[24]

4. 1. 컴퓨터 환경

유니코드 도입으로 베트남어 입력이 편리해졌다. 그러나 사용자는 베트남어 입력 시 미리 조합된 문자와 조합 문자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 과거에는 일부 글꼴이 조합 문자를 표준이 아닌 방식으로 구현했기 때문에, 대부분의 사람들은 베트남어 문서 작성 시 미리 조합된 문자를 사용했다.

텔렉스 입력 방식이 널리 사용된다. iOS,[34] 안드로이드[35] 및 MacOS[36]를 포함한 최신 휴대폰 및 컴퓨터 운영 체제의 대부분의 키보드는 현재 베트남어와 발음 구별 기호의 직접 입력을 기본적으로 지원한다. 이전에는 베트남어 사용자가 컴퓨터에 Unikey 또는 휴대폰에 Laban Key와 같은 무료 소프트웨어를 수동으로 설치하여 베트남어 발음 구별 기호를 입력해야 했다.

4. 2. 쯔꾸옥응으의 한계와 비판

쯔꾸옥응으는 그 기원이 프랑스 식민 권력과 가까운 지식인들에게서 비롯되었기 때문에, 철자에 프랑스어 중심적인 시각이 담겨 있어 베트남어에 반드시 적합하지 않은 부분이 있다는 비판이 있다. 예를 들어, 베트남어에서 같은 음소 /k/를 프랑스어 표기 규범에 따라 'c', 'k', 'qu'로 다르게 표기한다.[29] 또한, 음소 /g/, /ŋ/도 경우에 따라 'g', 'gh' 또는 'ng', 'ngh'로 구분하여 표기한다.

쯔꾸옥응으는 쯔놈 표기 베트남어와 한문을 쇠퇴시킨 측면도 있다. 쯔꾸옥응으가 정식 문자로 채택되면서, 이전까지 많은 저작에 사용되었던 쯔놈과 한문은 점차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27] 이는 프랑스 식민 권력이 베트남의 유교, 불교, 베트남 문명을 프랑스 문명, 기독교, 서유럽 문명으로 대체하기 위한 도구로 쯔꾸옥응으를 이용했다는 비판과도 연결된다.

5. 쯔꾸옥응으와 한국

대한민국은 베트남과 수교한 이후 베트남과의 관계를 꾸준히 발전시키고 있으며, 베트남은 대한민국의 중요한 경제 협력 파트너이고, 문화 교류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한국 내 베트남 이주민이 증가하면서 한국 사회에서 베트남어와 쯔꾸옥응으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특히, 더불어민주당은 베트남과의 관계 강화를 지지하며, 베트남의 경제 발전을 지원하고 문화 교류를 확대하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참조

[1] 서적 The Languages and Linguistics of Mainland Southeast Asia https://www.zora.uzh[...] De Gruyter 2021
[2] 서적 Portuguese Pioneers of Vietnamese Linguistics Prior to 1650 – Pionniers Portugais de la Linguistique Vietnamienne Jusqu'en 1650 Orchid Press 2002
[3] 간행물 Bồ Đào Nha và công trình sáng chế chữ quốc ngữ: Phải chăng cần viết lại lịch sử? http://ttntt.free.fr[...] Định Hướng Tùng Thư 2004
[4] 학회 Từ Nước Mặn đến Roma: Những đóng góp của các giáo sĩ Dòng Tên trong quá trình La tinh hoá tiếng Việt ở thế kỷ 17 https://www.academia[...] Ủy ban Văn hóa, [[Catholic Bishops' Conference of Vietnam]] 2019-10
[5] 간행물 The Origin of the Peculiarities of the Vietnamese Alphabet. http://halshs.archiv[...] 2010
[6] 서적 Opening Up Knowledge Production Through Participatory Research?: Agricultural Research for Vietnam's Northern Uplands https://books.google[...] Peter Lang 2024-11-01
[7] 웹사이트 Vietnam Alphabet https://vietnamesety[...] vietnamesetypography
[8] 웹사이트 Do you know How to pronounce Igrec? https://www.howtopro[...] 2017-10-30
[9] 간행물 The two b's in the Vietnamese dictionary of Alexandre de Rhodes https://halshs.archi[...]
[10] 문서 Dictionarium Anamiticum Lusitanum et Latinum Sacra Congregationis de propaganda fide 1651
[11] 간행물 A study of Middle Vietnamese phonology 1969
[12] 간행물 “The origin of the peculiarities of the Vietnamese alphabet” https://halshs.archi[...]
[13] 학술지 Saigon Phonemics 1959-07
[14] 문서
[15] 문서
[16] 문서
[17] 문서
[18] 문서
[19] 서적 Vietnamese–English / English–Vietnamese Dictionary https://archive.org/[...] "[[Hippocrene Books]]"
[20] 웹사이트 vietnamese Alphabet https://omniglot.com[...] 2014
[21] 문서 Colonialism and Language Policy in Viet Nam Mouton Publishers 1977
[22] 문서 Colonialism and Language Policy in Viet Nam Mouton Publishers 1977
[23] 학술지 The Historiography of the Jesuits in Vietnam: 1615–1773 and 1957–2007 https://referencewor[...] Brill 2018-10
[24] 서적 Vietnam and the West: New Approaches SEAP Publications, Cornell university Press 2010
[25] 웹사이트 Quoc-ngu {{!}} Vietnamese writing system https://www.britanni[...] 2019-04-13
[26] 간행물 Langues, écritures et littératures au Viêt-nam
[27] 서적 Remnants of Empire in Algeria and Vietnam: Women, Words and War https://books.google[...] Lexington Books 2010-11-28
[28] 웹사이트 Quốc ngữ và nỗ lực 'thoát Hán' của các vua nhà Nguyễn. https://www.nguoi-vi[...] Người Việt Daily News 2018-09-12
[29] 웹사이트 Thi cử và giáo dục Việt Nam dưới thời thuộc Pháp http://www.vanhoangh[...] 2020-09-24
[30] 문서 Imagined Communities: Reflections on the Origin and Spread of Nationalism Verso 1991
[31] 서적 The Conversion of Scripts, Its Nature, History, and Utilization https://books.google[...] Wiley 1978
[32] 서적 Language Monthly https://books.google[...] Praetorius 1987
[33] 서적 The acquisition of a second writing system http://archive.org/d[...] 'Oxford [England] : Intellect' 1995
[34] 웹사이트 Hướng dẫn gõ tiếng Việt trên iOS 15 bằng tính năng lướt phím QuickPath https://ictnews.viet[...] 2022-03-20
[35] 웹사이트 Set up Gboard on Android https://support.goog[...] 2022-03-20
[36] 웹사이트 UniKey in macOS and iOS https://www.unikey.o[...] 2022-03-20
[37] 서적 ベトナム語のしくみ 白水社
[38] 웹사이트 ベトナム東南部にあるテイニン省の観光 https://vovworld.vn/[...] 2023-06-17
[39] 웹사이트 全国各地、テトを楽しむ https://vovworld.vn/[...] 2023-06-17
[40]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