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청색꽃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청색꽃게(학명: Portunus pelagicus)는 십각목 꽃게과에 속하는 게의 일종으로, 수컷은 어두운 청색을 띠고 암컷은 녹색을 띠는 특징이 있다. 수컷은 긴 집게발을, 암컷은 둥근 등딱지를 가지며, 갑각은 육각형 모양에 톱니 모양의 돌기가 있다. 청색꽃게는 바지락 등 껍질을 깨 먹는 강한 집게발과 유영각을 이용해 물속을 자유롭게 이동하며, 기수역에서 주로 서식한다. 이들은 육식성이며 갑각류나 조개류를 먹고, 유생은 동족 포식 경향을 보인다.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상업적으로 중요한 종이며, 식용으로 이용된다. 호주에서는 상업적 어획과 레크리에이션 어획이 모두 이루어지며, 각 주별로 어획 규제가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꽃게상과 - 민꽃게
    민꽃게는 갑폭 8cm 정도의 꽃게로 육각형 등딱지와 가시 돋은 앞 가장자리, 가시 많은 집게발을 가지며 홋카이도 남부에서 규슈, 한국, 중국의 얕은 바다 암초 해안 조하대에 서식하고 식용으로 사용된다.
  • 꽃게상과 - 톱날꽃게
    톱날꽃게는 남중국해에서 자바해에 이르는 해안 지역에 분포하는 꽃게의 일종으로, 과거 아종으로 분류되었으나 현재는 별개의 종으로 취급되며, 베트남 남부에서 양식되고 대한민국에서는 '부산 청게'라는 이름으로 판매되지만 어획량이 적어 고가에 거래된다.
  • 1758년 기재된 동물 - 물거미
    물거미는 8~15mm 크기의 검은 거미로, 삶의 대부분을 물속에서 보내는 유일한 거미이며, 잠수종 형태의 집을 짓고 수생 곤충 등을 잡아먹고, 유럽과 아시아에 분포하며 대한민국에서는 멸종위기종으로 보호받고 있다.
  • 1758년 기재된 동물 - 물벼룩
    물벼룩은 갑각류의 일종으로, 다양한 수생 서식지에 살면서 생태계에서 중요한 먹이 역할을 하며, 최초로 게놈이 해독된 갑각류로서 유전자 연구와 생태 독성 시험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칼 폰 린네가 명명한 분류군 - 벵골호랑이
    벵골호랑이는 인도아대륙에서 서식하는 호랑이 아종으로, 노란색~주황색 털과 검은 줄무늬를 가지며, 멧돼지, 사슴 등 우제류를 먹이로 하며, 서식지 파괴와 밀렵으로 인해 제한적인 지역에서 서식한다.
  • 칼 폰 린네가 명명한 분류군 - 잉어
    잉어는 동아시아에 널리 분포하는 민물고기로, 하천 중류 이하의 진흙 바닥을 선호하며, 길조의 상징으로 여겨지며, 다양한 요리 재료로 활용되며, 기생충 감염 위험에 주의해야 한다.
청색꽃게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수컷
수컷
학명Portunus pelagicus
명명자Linnaeus, 1758년
이명Cancer pelagicus Linnaeus, 1758
일반명꽃게, 청색꽃게, 청색 수영게, 청색 만나게
영어 이름Swimming blue crab, flower crab, blue crab, blue swimmer crab, blue manna crab
분류
동물계 (Animalia)
절지동물문 (Arthropoda)
아문갑각아문 (Crustacea)
연갑강 (Malacostraca)
십각목 (Decapoda)
아목범배아목 (Pleocyemata)
하목단미하목 (Brachyura)
상과꽃게상과 (Portunoidea)
꽃게과 (Portunidae)
가자미속 (Portunus)
분포 및 서식지
주요 서식지자바해, 캄보디아, 태국, 필리핀
설명열대 서태평양, 아프리카 동해안, 동남아시아,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페르시아 만, 지중해 동부
생태 및 경제적 중요성
어업상업적 어업 대상
관리지속 가능한 어업 관리를 위한 노력 진행 중

2. 특징

청색꽃게는 등딱지 너비가 최대 20cm에 달하는 비교적 큰 이다. 수컷은 푸른빛이 돌고 암컷은 녹색이나 갈색을 띠는 등 성별에 따라 색깔 차이가 나타난다. 특히 한국에서 발견되는 개체는 일반 꽃게에 비해 푸른색이 더 강하고 등딱지의 구름무늬가 선명한 편이다.

주로 수심 10m에서 50m 사이의 모래나 진흙 바닥에서 생활한다. 한반도 남부(제주도 포함)를 비롯해 중국, 일본, 서태평양인도양 등 넓은 지역에 분포하며, 최근에는 수에즈 운하를 통해 지중해까지 서식 범위가 확장되었다. 여러 나라에서 식용으로 이용되고 있다.

2. 1. 형태

등딱지 너비는 최대 20cm에 달하는 대형 이다. 일반적으로 등딱지 길이는 약 64mm, 너비는 약 140mm이다.

갑각은 가로로 긴 육각형 모양에 가까우며, 앞 가장자리에는 톱니 모양의 돌기가 늘어서 있다. 옆 가장자리는 크게 뾰족하며, 갑각 가장자리의 돌기는 각각 톱니 모양이다. 앞 가장자리에는 4개, 옆 가장자리에는 좌우 각각 9개의 돌기가 있다.

수컷과 암컷은 외형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 수컷: 몸빛은 보통 어두운 청색 또는 어두운 녹색 바탕에 선명하고 불규칙한 흰색 무늬가 있다. 일반 꽃게보다 청색빛이 더 강하며 갑각의 구름무늬가 뚜렷하다. 특징적으로 긴 집게발을 가진다.
  • 암컷: 몸빛은 어두운 녹색을 띠며 밝은 구름 모양 무늬가 있다. 꽃게와 매우 비슷하지만, 과립 모양의 무늬가 더 세밀하고 갑각 전체에 넓게 퍼지는 경향이 있다. 수컷보다 더 둥근 등딱지를 가진다.


집게발은 매우 강하여 바지락과 같은 단단한 껍질을 깨서 먹이로 삼을 수 있다. 제2다리부터 제4다리까지는 걷는 데 사용하는 보행각이며, 제5다리는 지느러미 모양의 유영각으로 되어 있어 이를 처럼 움직여 물속을 자유롭게 헤엄쳐 다닐 수 있다.

2. 2. 근연종(꽃게)과의 구별

청색꽃게 수컷은 갑각과 다리에 뚜렷한 파란 무늬가 있어 일반 꽃게와 쉽게 구별할 수 있다. 그러나 암컷은 꽃게와 생김새가 매우 비슷하여 혼동하기 쉬우므로, 다음과 같은 특징으로 구별할 수 있다.

  • 갑각 앞쪽 가장자리(전연)의 이빨: 청색꽃게는 4개의 이빨이 있으며, 가운데에 있는 2개의 이빨이 양옆의 이빨보다 작다. 반면, 꽃게는 3개의 이빨이 있고 가운데 이빨이 가장 크다.
  • 집게다리 장절의 돌기: 몸통에 가까운 집게다리 마디(장절)의 앞쪽 가장자리(전연)를 보면, 청색꽃게는 3개의 돌기가 있다. 꽃게는 이 부분에 4개의 돌기가 있다.


아래 표는 청색꽃게와 꽃게의 주요 차이점을 요약한 것이다.

청색꽃게와 꽃게의 주요 차이점
구분청색꽃게꽃게
갑각 전연 이빨4개 (안쪽 2개 작음)3개 (가운데 큼)
집게다리 장절 전연 돌기3개4개


3. 생태

청색꽃게는 주로 수심 10m에서 50m 사이의 모래나 진흙 바닥에서 서식한다. 대부분의 시간, 특히 낮과 겨울 동안에는 모래나 진흙 속에 몸을 묻고 지내는데, 이는 암모늄(NH4+)과 암모니아(NH3)에 대한 높은 내성을 가지는 것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8] 주로 만조 때 활동하며 먹이를 찾는다.

청색꽃게(''Portunus pelagicus'')가 먹이를 먹는 모습, 카티프, 사우디 아라비아.


식성은 육식성으로, 이매패류, 어류, 그리고 대형 조류 등을 먹는다. 강한 집게발을 이용해 바지락과 같은 조개의 껍데기를 부숴 먹기도 한다. 유생 단계부터 동족 포식을 하는 경향이 있다. 마지막 다리 한 쌍은 노처럼 납작한 유영각으로 변형되어 있어 수영을 매우 잘하지만, 다른 꽃게류와 달리 물 밖에서는 오랫동안 생존하기 어렵다. 먹이와 은신처를 위해 기수역으로 들어가는 경우가 많다.

주요 천적으로는 문어나 어류 등이 있다.

분포 지역은 넓어서 한반도(제주도 포함) 남쪽 해역, 중국, 일본, 동남아시아 등 서태평양인도양의 열대 및 아열대 해역에 걸쳐 서식한다. 최근에는 수에즈 운하를 통해 지중해 동부 해역까지 침입하여 정착한 것으로 보고된다. 한국에서는 식용으로 이용된다.

3. 1. 생활환

수컷 청색꽃게는 영역성을 보일 수 있다.


청색꽃게는 먹이와 은신처를 찾기 위해 흔히 기수역으로 들어간다. 이 종의 생물학적 생활사는 유생과 초기 미성숙 개체가 성장과 발달을 위해 기수역 환경을 이용하는 것에 크게 의존한다.

산란기가 되면 암컷은 알을 낳기 위해 얕은 해양 서식지로 이동한다. 생식지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주로 봄부터 가을에 걸쳐 산란이 이루어진다. 알에서 갓 부화한 조에아 유생(zoea I)은 미세한 플랑크톤을 먹으며 부유 생활을 하고, 성장하면서 기수역으로 이동한다. 조에아 유생은 약 8일 동안 네 단계를 거치며(zoea I ~ IV), 이후 약 4~6일간 마지막 유생 단계인 메갈로파(megalopa) 시기를 보낸다. 메갈로파 유생은 먹이를 잡는 데 사용하는 큰 집게발을 가지는 것이 특징이다.

메갈로파는 약 15일 정도 지나 어린 게로 변태한다. 어린 게는 계속해서 기수역에서 시간을 보내는데, 이곳은 은신처와 먹이를 구하기에 적합한 환경을 제공한다. 그러나 초기 미성숙 개체는 낮은 염분 농도를 장기간 견디기 어려운데, 이는 약한 삼투압 조절 능력 때문일 가능성이 높다.[18] 이러한 이유로 우기에는 기수역에서 해수로 대량 이동하는 현상이 관찰되기도 한다.

어린 게는 늦가을에 성적으로 성숙한다. 교미를 마친 개체들은 겨울이 되면 더 깊은 곳으로 이동하여 월동한다. 특히 암컷은 수컷의 정자를 체내에 저장한 상태로 겨울을 나고, 이듬해 봄이 되면 저장된 정자를 이용해 산란한다.

한편, 수컷 청색꽃게는 수온이 낮아지면 영역성이 강해지는 경향이 있다. 이 때문에 온화한 수역에서는 수컷들이 서로 가까이 있는 경우가 드물며, 상대적으로 암컷이 더 많이 관찰될 수 있다.

4. 분포

한반도 이남의 서태평양인도양열대 지역에 넓게 분포하며, 한국에서는 제주도 연안에서 발견된다. 그 외 중국, 일본 등지에서도 서식한다. 주로 수심 10m에서 50m 사이의 모래나 진흙 바닥을 선호한다.

일본에서는 보소반도 이남 해역에서 흔하게 볼 수 있다.

최근에는 인도양 서부에서 수에즈 운하를 통해 지중해까지 유입되어 성공적으로 정착하고 번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5. 인간과의 관계

청색꽃게는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상업적으로 중요한 수산자원이다.[9] 빠른 성장 속도, 유충 관리의 용이성, 높은 번식력, 그리고 질산염[10][11]암모니아[8]에 대한 내성 덕분에 양식에 적합한 조건을 갖추고 있다. 여러 국가에서 상업적 또는 레크리에이션 목적으로 어획되며, 일부 지역에서는 자원 관리를 위한 규제가 시행되고 있다.[12][13][14][15][16][17]

5. 1. 어획 및 규제



청색꽃게는 인도-태평양 지역 전반에 걸쳐 상업적으로 중요한 수산 자원이다. 주로 딱딱한 껍질 상태로 유통되지만, 껍질이 연한 상태의 연갑게 형태로도 판매되며 이는 아시아 여러 지역에서 별미로 취급된다. 이 종은 미국 대서양 연안의 청색꽃게(''Callinectes sapidus'')를 대체할 수 있는 종으로 높은 평가를 받는다. 특히 페르시아만 지역에서는 식용으로 많이 어획되는데, 암컷이 수컷보다 더 높은 가격에 거래되는 특징이 있다.

이 종은 빠른 성장 속도, 비교적 쉬운 유충 관리, 높은 번식력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질산염[10][11]암모니아[8]에 대한 내성이 비교적 강한 편이다. 특히 암모니아 형태 중 암모니아성 질소(NH3–N)는 아가미 막을 쉽게 통과하여 독성이 더 강한 경향이 있는데, 이에 대한 내성도 가지고 있어 양식에 매우 적합한 조건을 갖추고 있다.

호주에서는 상업적 어업과 더불어 레크리에이션 낚시 대상으로도 인기가 있으며, 각 주 정부는 자원 보호를 위해 관련 규제를 시행하고 있다. 2016년 3월을 기준으로 호주의 주별 레크리에이션 낚시 관련 규제 내용은 아래와 같다.

주/준주최소 갑각 너비1인당 어획 제한량보트당 어획 제한량소지 제한량비고
남호주11cm20마리 (세인트 빈센트 만) 또는 40마리 (모래꽃게와 합산)60마리 (세인트 빈센트 만) 또는 120마리 (모래꽃게와 합산)해당 없음[12]
뉴사우스웨일스6cm10마리해당 없음20마리[13]
서호주12.7cm20마리 또는 10마리 (서부 해안)40마리 또는 20마리 (서부 해안)해당 없음콕번 사운드는 조업 금지. 필-하비 강 어귀는 매년 9월 1일부터 10월 31일까지 조업 금지.[14][15]
퀸즐랜드11.5cm제한 없음제한 없음제한 없음[16]
노던 준주해당 없음해당 없음해당 없음30마리갯벌 게를 제외한 모든 게 종류의 총합.[17]


5. 2. 식재료

가고시속의 다른 종과 마찬가지로 연중 식용으로 사용된다. 여름에는 살이 많은 수컷 개체가, 겨울에는 난소가 가득 찬 암컷 개체가 특히 좋다. 하지만 여름부터 가을 사이 탈피 직후의 개체는 살이 적은데, "달밤의 게"(살이 좋지 않음)라는 관용 표현은 이 시기 명월 무렵의 탈피 개체를 가리킨다.

찜, 삶기, 볶음 요리 등 다양한 방식으로 조리하여 먹을 수 있다.

5. 3. 문화

필리핀 세부의 카르카르 지역에서는 청색꽃게의 움직임을 본뜬 모로-모로 춤의 변형인 '린람바이'라는 춤이 있다. 이 지역에서는 청색꽃게를 "람바이"라고 부른다.

일본어로는 한자로 臺灣蝤蛑일본어라고 표기하며, 대만에서는 파란 껍데기 때문에 藍花蟹zho라고 부른다.

한국에서는 근연종인 꽃게와 마찬가지로 "'''참게'''"라는 별칭으로도 널리 알려져 있으며, 그 외에도 아오데(청수), 오이란(유녀), 오도리가니(춤추는 게), 히시가니(마름게)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다.

참조

[1] 웹사이트 FishSource - Blue swimming crab - Java Sea https://www.fishsour[...]
[2] 웹사이트 Saving flower crabs for future generations https://www.thestar.[...] 2023-06-12
[3] 웹사이트 Enhancing sustainable management of the blue swimming crab fisheries in Cambodia http://www.seafdec.o[...]
[4] 웹사이트 Thai Blue Swimming Crab Fishery Improvement Project - a pathway to sustaining marine environment https://wwf.panda.or[...]
[5] 웹사이트 Wild-caught blue swimming crab in the Philippines https://www.seafoodw[...] 2023-12-22
[6] 웹사이트 Research paper: Study of the impact of intermediaries on environmental and social outcomes and worker vulnerability in small-scale fishing and aquaculture in Indonesia and Viet Nam https://www.ilo.org/[...] 2021-03-09
[7] 논문 A revision of the Portunus pelagicus (Linnaeus, 1758) species complex (Crustacea: Brachyura: Portunidae), with the recognition of four species https://www.research[...] 2010
[8] 논문 Ontogenetic changes in tolerance to acute ammonia exposure and associated histological alterations of the gill structure through the early juvenile development of the blue swimmer crab, ''Portunus pelagicus''
[9] 웹사이트 Fisheries and Aquaculture - Global Production https://www.fao.org/[...] 2024-05-06
[10] 논문 Acute toxicity of sodium nitrate, potassium nitrate and potassium chloride and their effects on the hemolymph composition and gill structure of early juvenile blue swimmer crabs (''Portunus pelagicus'' Linnaeus, 1758) (Decapoda, Brachyura, Portunidae)
[11] 논문 Effects of potassium on nitrate mediated changes to osmoregulation in marine crabs
[12] 웹사이트 Blue Swimmer Crab http://pir.sa.gov.au[...] Department of Primary Industries and Regions, South Australia 2016-03-19
[13] 웹사이트 Bag and size limits - saltwater - NSW Department of Primary Industries http://www.dpi.nsw.g[...] 2016-03-19
[14] 웹사이트 Recreational fishing guide 2015 http://www.fish.wa.g[...]
[15] 웹사이트 Blue swimmer crab recreational fishing http://www.fish.wa.g[...] 2016-03-19
[16] 웹사이트 Size, take and possession limits for tidal waters https://www.daf.qld.[...] 2016-03-19
[17]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nt.gov.au[...] 2016-03-20
[18] 논문 The effects of salinity on the survival, growth and haemolymph osmolality of early juvenile blue swimmer crab, ''Portunus pelagicu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