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해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해찬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1952년 충청남도 청양에서 태어났다. 서울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학생운동에 참여했으며, 민주화 운동 과정에서 투옥되기도 했다. 이후 출판업에 종사하며 재야 운동에 헌신했고, 1988년 국회의원에 당선되어 정계에 입문했다.
국회의원으로서 5선을 거쳤으며, 교육부 장관, 국무총리, 더불어민주당 대표 등을 역임했다. 교육부 장관 재임 시절에는 교육 개혁을 추진했으나, 200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저조한 성적을 기록하며 비판을 받기도 했다. 또한, 국무총리 재임 중 골프 파문으로 사퇴했다.
이해찬은 여러 차례 국회의원에 당선되었으며, 더불어민주당 대표를 역임하며 당의 승리를 이끌었다. 그는 여러 논란과 의혹에 휩싸였으며, 2020년 정계 은퇴를 선언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청양초등학교 (충남) 동문 - 홍석천
홍석천은 대한민국 배우이자 사업가로, 2000년 국내 연예인 최초로 커밍아웃 후 사회적 어려움을 겪었으나 이태원 레스토랑 운영 성공과 방송 활동, LGBT 권리 신장 활동을 통해 대중과 소통하며 사회적 수용을 얻고 용산구청장 출마를 고려하기도 했다. - 세종특별자치시의 국회의원 - 김종민 (1964년)
김종민은 서울대 국문과를 졸업하고 언론계에서 활동하다 노무현 정부 대변인을 거쳐 정계에 입문, 충남도 부지사를 지낸 후 20대, 21대 국회의원을 거쳐 새로운미래 창당 후 원내대표를 역임하고 22대 총선에서 세종특별자치시 갑 지역구에 당선된 3선 국회의원이다. - 세종특별자치시의 국회의원 - 홍성국
홍성국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자 금융 전문가로서, 대우증권 및 미래에셋대우의 주요 직책을 거쳐 대표이사 사장을 지냈으며, 제21대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어 활동하며 더불어민주당의 주요 당직을 역임했고, 경제 관련 저술 활동도 활발히 하고 있다. - 세종특별자치시의 국회의원 - 김종민 (1964년)
김종민은 서울대 국문과를 졸업하고 언론계에서 활동하다 노무현 정부 대변인을 거쳐 정계에 입문, 충남도 부지사를 지낸 후 20대, 21대 국회의원을 거쳐 새로운미래 창당 후 원내대표를 역임하고 22대 총선에서 세종특별자치시 갑 지역구에 당선된 3선 국회의원이다. - 세종특별자치시의 국회의원 - 홍성국
홍성국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자 금융 전문가로서, 대우증권 및 미래에셋대우의 주요 직책을 거쳐 대표이사 사장을 지냈으며, 제21대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어 활동하며 더불어민주당의 주요 당직을 역임했고, 경제 관련 저술 활동도 활발히 하고 있다.
이해찬 | |
---|---|
기본 정보 | |
![]() | |
존칭 | 각하 |
이름 | 이해찬 |
원어 이름 (언어) | ko |
출생일 | 1952년 7월 10일 |
출생지 | 장평, 충청남도, 대한민국 |
정당 | 민주당 |
모교 | 서울대학교 |
웹사이트 | www.hopechan.kr |
한국어 이름 | 이해찬 |
로마자 표기 | I Haechan |
매큔-라이샤워 표기 | I Haech'an |
주요 경력 | 서울대학교 복학생협의회 대표 민주쟁취국민운동본부 집행위원 민주평화통일연구회 상임이사 광장서적 대표 돌배게출판사 대표 한겨레신문 창간발기인 7선(13·14·15·16·17·19·20대) 국회의원 평화민주당 원내부총무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간사 신민주연합당 정책위원회 부의장 민주당 정책위원회 부의장 민주당 당무기획실장 민주당 환경특위 위원장 제31대 서울특별시 정무부시장 제38대 교육부 장관 새정치국민회의 총선기획단장 새정치국민회의 정책위원회 의장 새정치국민회의 당무위원회 부의장 새천년민주당 정책위원회 의장 새천년민주당 최고위원 새천년민주당 서울특별시 지부장 열린우리당 창당기획단장 열린우리당 국회개혁추진단장 제36대 국무총리 열린우리당 상임고문 대통령비서실 정무특별보좌관 대통합민주신당 상임고문 민주통합당 대표 민주정책연구원 이사장 민주통합당 상임고문 민주당 상임고문 사람사는세상 노무현재단 이사장 새정치민주연합 세종특별자치시당 위원장 새정치민주연합 상임고문 대통령비서실 중국 특사 더불어민주당 세종특별자치시당 위원장 더불어민주당 대표 민주연구원 이사장 더불어민주당 상임고문 |
본관 | 전주 |
종교 | 무종교 |
병역 | 면제 (수형) |
직책 | |
임기 시작 | 2018년 8월 25일 |
임기 종료 | 2020년 8월 29일 |
이전 대표 | 추미애 |
다음 대표 | 이낙연 |
임기 시작 | 2004년 6월 30일 |
임기 종료 | 2006년 3월 15일 |
대통령 | 노무현 |
이전 총리 | 고건 |
다음 총리 | 한명숙 |
임기 시작 | 2012년 5월 30일 |
임기 종료 | 2020년 5월 29일 |
선거구 | 세종 |
이전 국회의원 | 선거구 신설 |
다음 국회의원 | 홍성국, 강준현 |
임기 시작 | 1996년 5월 30일 |
임기 종료 | 2008년 5월 29일 |
이전 국회의원 | 이해찬 |
다음 국회의원 | 김희철 |
선거구 | 관악 B (서울) |
임기 시작 | 1988년 5월 30일 |
임기 종료 | 1995년 6월 30일 |
이전 국회의원 | 임철순, 김수한 |
다음 국회의원 | 이해찬 |
선거구 | 관악 B (서울) |
임기 시작 | 1998년 3월 3일 |
임기 종료 | 1999년 5월 24일 |
대통령 | 김대중 |
이전 장관 | 이명현 |
다음 장관 | 김덕중 |
의원 선수 | 7 |
의원 대수 | 13·14·15·16·17·19·20 |
지역구 | 서울 관악구 을(13·14·15·16·17) 세종특별자치시(19·20) |
당내 직책 | 상임고문 겸 당무위원 |
공직 | 국회의원 |
선수 | 7 |
선거구 | 서울 관악구 을(13·14·15·16·17) 세종특별자치시(19·20) |
취임일 | 1988년 5월 30일 |
퇴임일 | 2008년 5월 29일 |
취임일2 | 2012년 5월 30일 |
퇴임일2 | 2020년 5월 29일 |
공직3 | 제38대 교육부 장관 |
취임일3 | 1998년 3월 3일 |
퇴임일3 | 1999년 5월 24일 |
상관3 | 김대중 |
상관명3 | 대한민국 대통령 |
공직4 | 제36대 국무총리 |
취임일4 | 2004년 6월 30일 |
퇴임일4 | 2006년 3월 15일 |
상관4 | 노무현 |
상관명4 | 대한민국 대통령 |
2. 생애
1952년 7월 10일 충청남도 청양군에서 아버지 이인용과 어머니 박양순 사이의 5남 2녀 중 3남이자 다섯째로 태어났다. 아버지 이인용은 해방 이후 청양면장을 지냈으며 4.19 혁명 때까지 재직하였다.[25]
1965년 청양국민학교를 졸업하고 서울로 상경하여 1968년 덕수중학교를 졸업했다. 용산고등학교에 입학하여 1971년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섬유공학과에 진학했는데, 적성에 맞지 않아 자퇴하고 이듬해인 1972년 서울대학교 사회학과에 입학했다.
1972년 10월 17일 유신 선포를 계기로 학생운동에 뛰어들었다. 1974년 민청학련 사건으로 투옥되어 1년을 복역하고 출소했다.[6] 이후 생계를 위해 무역회사, 번역일, 엠네스티 한국지부 등에서 일했다. 1978년 김정옥과 결혼하고 광장서적을 설립하였다. 출판사 '한마당'과 '평민서당'을 설립했으나 불온서적을 출판했다는 이유로 등록이 취소되어 돌베개 출판사를 설립하고 사회과학 서적을 주로 출판했다.[26]
1980년 김대중 내란음모 사건에 연루되어 재판을 받고 투옥되었다가 2년 6개월 만에 크리스마스 특사로 석방되었다. 이후 재야운동에 본격적으로 투신하여 민주통일민중운동연합 총무국장에 선출되었다. 1985년 8월에 서울대학교를 졸업하였다. 1987년 민주쟁취국민운동본부 상임집행위원에 선출되었고, 6월 항쟁 당시 상황실장을 맡았다.
1987년 말 한겨레신문 창간발기인을 지냈고, 김대중 후보를 비판적으로 지지하는 입장에 섰던 재야인사들과 함께 평화민주당에 입당하였다.[1] 1988년 국회의원 총선거에 서울 관악구 을에서 평민당 후보로 입후보하여 당선된 이후 연속 5회 국회의원에 당선되었다. 13대 국회 노동위원회에서 노무현, 이상수 의원과 함께 노동위 3총사로 활약했다. 5.18 광주청문회 당시 국회 광주민주화운동진상조사 특별위원회 간사에 선출되어 5공 관련자들을 집중 추궁하여 청문회 스타로 떠올랐다.[1]
1991년 초부터 정치 개혁론을 주장했고, 야당부터 쇄신해야 된다는 소신을 피력했다. 『신동아』 1991년 7월호에 "이 야당으로는 정권 교체 못한다"는 글을 기고하여 김대중에 대해 비판하였다.[28] 야권통합운동과 당내 민주화가 좌절되면서 1991년 6월 탈당했다가 야권이 통합된 뒤 다시 입당했다.
1992년 민주당 당무기획실장, 1993년 민주당 환경특별위원회 위원장을 지냈다. 1994년에는 안기부의 사찰과 야당 인사 탄압에 관련된 비밀 장부를 발표하여 화제가 되기도 했다.[29] 1995년 조순 서울시장 후보의 선거대책본부장을 맡아 조순이 서울시장에 당선되자, 서울특별시 정무부시장에 발탁되었다. 5개월만인 1995년 12월 당의 부름을 받아 서울시 정무부시장직을 사퇴하고 새정치국민회의 총선기획단장을 맡았다.
김대중 정부에서 새천년민주당(민주당) 소속으로 1998년부터 1999년까지 교육부 장관을 지냈다. 교육부 장관 재임 시절 고등학교 야간 자율학습과 매달 치르는 모의고사를 폐지하는 교육 개혁을 단행했다. 이로 인해 교육 현장이 느슨해져 200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저조한 성적을 기록하면서 “이해찬 세대”(학력이 떨어지는 세대)라는 신조어가 만들어졌다.
노무현 정부 시절, 2004년부터 국무총리를 역임하였다. 총리 재임 중 2006년 삼일절에 철도 파업에도 불구하고 골프를 쳐서 논란이 되어 사임하였다.[7][8] 퇴임 후 2006년 10월 27일 대통령실 정무특별보좌관에 취임[9]했고, 2007년 3월 북한을 방문하여 김영남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과 회담했다.[10] 2007년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 대통합민주신당 후보 경선에 출마했으나, 정동영, 손학규에 이어 3위에 그쳤다.[11] 2008년 1월 민주신당을 탈당[12]하고, 제18대 총선에는 출마하지 않았다.[13]
2. 1. 생애 초기
1952년 7월 10일 충청남도 청양군에서 아버지 이인용과 어머니 박양순 사이의 5남 2녀 중 3남이자 다섯째로 태어났다. 어머니의 고향은 충주이다. 아버지 이인용은 해방 이후 청양면장을 지냈으며 4.19 혁명 때까지 재직하였다.[25]1965년 청양국민학교를 졸업하고 서울로 상경하여 1968년 덕수중학교를 졸업했다. 용산고등학교에 입학하여 1971년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섬유공학과에 진학했는데, 적성에 맞지 않아 자퇴하고 이듬해인 1972년 서울대학교 사회학과에 입학했다.
1972년 10월 17일 유신 선포를 계기로 학생운동에 뛰어들었다. 유신 선포로 휴교령이 내려지자 고향 청양에 내려왔는데, 아버지가 "나라가 이 모양인데 학생들이 데모도 하지 않느냐?"며 질책하여 바로 상경해 학생운동 써클에 가입했다고 한다. 어려운 환경에서 직접 막노동을 하며 생계와 학비를 마련했으나, 1974년 민청학련 사건으로 투옥되어 1년을 복역하고 출소했다.[6] 이후 생계를 위해 무역회사에 다니기도 하고, 동아일보에서 해직된 기자들이 차린 번역실에서 번역을 하기도 했으며, 엠네스티 한국지부 상근자로 일하다 평소 관심이 많던 출판일을 익히려고 범우사에서 일하기도 했다. 1978년 사회학과 학술모임에서 만나 사귀어 오던 김정옥과 결혼하고 광장서적을 설립하였다. 출판사 '한마당'과 '평민서당'을 설립했으나 불온서적을 출판했다는 이유로 등록이 취소되어 돌베개 출판사를 설립하고 사회과학 서적을 주로 출판했다.[26]
1980년 김대중 내란음모 사건에 연루되어 재판을 받고 투옥되었다가 2년 6개월 만에 크리스마스 특사로 석방되었다. 이후 재야운동에 본격적으로 투신하여 민주통일민중운동연합 총무국장에 선출되었다. 군사 독재 정권은 그를 요시찰 인물로 삼아 감시했으나, 굴하지 않고 반독재운동과 출판 활동 등에 종사했다. 입학하고 14년 만인 1985년 8월에 서울대학교를 졸업하였다. 1987년 민주쟁취국민운동본부 상임집행위원에 선출되었고, 6월 항쟁 당시 민주쟁취국민운동본부 상황실장을 맡았다.
2. 2. 정치 입문
李海瓚|이해찬중국어은 1952년 충청남도 청양군에서 공무원의 아들로 태어났다. 아버지는 일본 유학을 다녀온 재활 인사였다.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재학 중이던 1970년대, 민주화 운동에 참여했으며, 1974년 민청학련 사건[6]과 1980년 김대중 내란음모 사건으로 두 차례 투옥되었다.1987년 말 한겨레신문 창간발기인을 지냈고, 김대중 후보를 비판적으로 지지하는 입장에 섰던 재야인사들과 함께 평화민주당에 입당하였다.[1] 1988년 국회의원 총선거에 서울 관악구에서 평민당 후보로 입후보하여 당선된 이후 연속 5회 국회의원에 당선되었다. 이후 민주개혁정치모임 이사에 선출되었다. 13대 국회 노동위원회에서 노무현, 이상수 의원과 함께 노동위 3총사로 활약했다. 1988년 5.18 광주청문회 당시 국회 광주민주화운동진상조사 특별위원회 간사에 선출되어 5공 관련자들을 집중 추궁하여 청문회 스타의 한 사람으로 떠올랐다. 그 해 평민당 원내부총무에 선출되었다.[1]
1991년 초부터 정치 개혁론을 주장했고, 야당부터 쇄신해야 된다는 소신을 피력했다. 『신동아』 1991년 7월호에 "이 야당으로는 정권 교체 못한다"는 글을 기고하여 김대중에 대해 비판하였다.[28] 야권통합운동과 당내 민주화가 좌절되면서 1991년 6월 탈당했다가 야권이 통합된 뒤 다시 입당했다. 이 일로 김대중을 비판했다는 이유로 항의와 비난이 가해졌으나, 김대중은 나중에 이해찬을 다시 받아들였다.
1992년 민주당 당무기획실장, 1993년 민주당 환경특별위원회 위원장을 지냈다. 1994년에는 안기부의 사찰과 야당 인사 탄압에 관련된 비밀 장부를 발표하여 화제가 되기도 했다.[29] 1995년 조순 서울시장 후보의 선거대책본부장을 맡아 조순이 서울시장에 당선되자, 서울특별시 정무부시장에 발탁되었다. 5개월만인 1995년 12월 당의 부름을 받아 서울시 정무부시장직을 사퇴하고 새정치국민회의 총선기획단장을 맡았다.
김대중 정부에서는 새천년민주당(이하 민주당) 소속으로 1998년부터 1999년까지 교육부 장관을, 2000년부터 2001년까지는 정책위원회 의장을 지냈다. 교육부 장관 재임 시절에는 고등학교 야간 자율학습과 매달 치르는 모의고사를 폐지하는 교육 개혁을 단행했다. 이로 인해 교육 현장이 느슨해져 200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저조한 성적을 기록하면서 “이해찬 세대”(학력이 떨어지는 세대)라는 신조어를 만들어냈다.
2. 2. 1. 평화민주당 창당과 국회의원 당선
1987년 말 한겨레신문 창간발기인을 지내고, 대선 때 김대중 후보를 비판적으로 지지하는 입장에 섰던 재야인사들과 함께 평화민주당에 입당하였다.[1] 1988년 국회의원 총선거에 서울 관악구에서 평민당 후보로 입후보하여 당선된 이후 연속 5회 국회의원에 당선되었다.[1] 이후 민주개혁정치모임 이사에 선출되었다.[1]이해찬은 13대 국회 노동위원회에서 노무현, 이상수 의원과 함께 노동위 3총사로 활약했다.[1] 1988년 5.18 광주청문회 당시 국회 광주민주화운동진상조사 특별위원회 간사에 선출되었다.[1] 당시 5공 관련자들을 집중 추궁하여 청문회 스타의 한 사람으로 떠올랐다.[1] 그 해 평민당 원내부총무에 선출되었다.[1]
민주화 이후인 1988년에 치러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서울특별시 관악구 을 선거구에 평화민주당 후보로 출마하여 민주정의당의 김종인 후보 등을 누르고 초선 의원이 되었다.[2] 이후 2008년 총선 출마를 제외하고 2016년 총선까지 총 7번 당선되어 단 한 번도 선거에서 낙선한 적이 없다.[2]
2. 2. 2. 야당 개혁론과 김대중 비판
그는 여러 신문에서 의정활동 수위권 의원으로 선정되기도 했다.[27] 1991년 초부터 정치 개혁론을 주장했고, 정치 개혁을 위해서는 야당부터 쇄신해야 된다는 소신을 피력했다.이해찬은 『신동아』 1991년 7월호에 광역의회 선거를 앞두고 "이 야당으로는 정권 교체 못한다"는 글을 기고했다.[28] 이 글에서 김대중에 대해 비판하였다.[28] 그는 입당 때부터 큰 책임감을 느끼며 추진한 야권통합운동과 당내 민주화가 좌절되면서 1991년 6월 탈당했다가 야권이 통합된 뒤 다시 입당했다. 이 일로 김대중을 비판했다는 이유로 항의와 비난이 가해졌다. 그러나 김대중은 나중에 이해찬을 다시 받아들였다.
2. 2. 3. 김영삼 정부 시절
이해찬은 1992년 민주당 당무기획실장, 1993년 민주당 환경특별위원회 위원장을 지냈다. 1994년에는 안기부의 사찰과 야당 인사 탄압에 관련된 비밀 장부를 발표하여 화제가 되기도 했다.[29]1995년 7월 지방자치단체장 선거에서 이해찬은 민주당 조순 서울시장 후보의 선거대책본부장을 맡았다. 조순이 서울시장에 당선되자 1995년 7월 그는 서울특별시 정무부시장에 발탁되었다. 5개월만인 1995년 12월 당의 부름을 받아 서울시 정무부시장직을 사퇴하고 새정치국민회의 총선기획단장을 맡았다.
2. 3. 김대중 정부 시절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서울특별시 관악구 을 선거구에 평화민주당 후보로 출마하여 민주정의당 김종인 후보 등을 누르고 초선 의원이 되었다. 이후 2008년 총선 출마를 제외하고 2016년 총선까지 총 7번 당선되어 단 한 번도 선거에서 낙선한 적이 없다.[1] 1995년 5월부터 12월까지 서울특별시 부시장을 역임했으며, 김대중 정부에서 새천년민주당 소속으로 1998년부터 1999년까지 교육부 장관을, 2000년부터 2001년까지는 정책위원회 의장을 지냈다.[1]2. 3. 1. 교육부 장관
김대중 정부에서 새천년민주당(이하 민주당) 소속으로 1998년부터 1999년까지 교육부 장관을 지냈다.[1] 교육부 장관 재임 시절 고등학교 야간 자율학습과 매달 치르는 모의고사를 폐지하는 교육 개혁을 단행했다.[1] 이로 인해 교육 현장이 느슨해져 200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저조한 성적을 기록하면서 “이해찬 세대”(학력이 떨어지는 세대)라는 신조어가 만들어졌다.[1]2. 4. 노무현 정부 시절
노무현 정부 시절, 2004년부터 국무총리를 역임하였다. 총리 재임 중 2006년 삼일절에 철도 파업에도 불구하고 골프를 쳐서 논란이 되어 사임하였다.[7][8] 퇴임 후 2006년 10월 27일 대통령실 정무특별보좌관에 취임[9]했고, 2007년 3월 북한을 방문하여 김영남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과 회담했다.[10] 2007년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 대통합민주신당 후보 경선에 출마했으나, 정동영, 손학규에 이어 3위에 그쳤다.[11] 2008년 1월 민주신당을 탈당[12]하고, 제18대 총선에는 출마하지 않았다.[13]2. 4. 1. 국무총리
2004년 6월 30일부터 국무총리를 역임하였다. 노무현 대통령의 측근으로서 국정 전반을 총괄했다.[2]2002년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민주당 내 예비선거에서 노무현 등과 대통령 후보 자리를 놓고 경쟁했으나 패배했지만, 노무현의 선거기획본부장을 역임했다. 2003년 노무현 대통령의 중국 특사단장, 열린우리당 창당준비위원회 기획단장으로 활동했다.
2004년 7월 28일 노무현 대통령에 의해 국무총리직에 지명되었고, 7월 29일 국회의 승인을 받아 7월 30일 취임했다. 교육부 장관 재임 기간에 대한 부정적 평가로 인해 국무총리 지명에 다소 저항이 있었으나, 취임 후 능력 있는 국무총리임을 증명했으며, 어떤 이들은 그를 한국 역대 가장 강력한 국무총리라고 평가하기도 한다.
2006년 3월 1일 삼일절에 철도 파업으로 인한 비상 근무 체제 속에서 골프를 쳐 논란이 되었다. 더욱이 골프 참가자 중에 불법 정치자금 제공자가 있었다는 사실이 보도되어 3월 5일 사의를 표명했다(정식 사임은 3월 15일).[7][8]
2. 4. 2. 3.1절 골프 파문과 총리직 사퇴
2006년 3월 1일, 한국철도노동조합과 서울지하철노조가 파업에 돌입했다. 철도와 지하철 노조의 동시 파업은 특히 지하철에 크게 의존하는 서울 지역의 경제 활동에 치명타를 입혔다. 두 노조가 통제하는 지하철 운행 중단으로 서울 지역 교통이 마비되었다. 이에 대한 대처와 파업 중재는 당시 국무총리였던 이해찬의 책무였으나, 그는 부산 지역의 사업가들과 골프를 치고 있어 국민들의 거센 비난을 받았다.[7]이로 인해 삼일절 행사에도 불참하고 골프를 쳐, 더욱이 그 골프 참가자 중에 불법 정치자금 제공자가 있었다는 사실이 보도되어 3월 5일 스스로 사의를 표명했다(정식 사임은 15일).[8]
2. 4. 3. 총리 퇴임 이후
이해찬은 2006년 10월 27일 대통령 정무특별보좌관에 기용되었다.[40] 이후 열린우리당 상임고문, 열린우리당 위원장을 지냈다.2007년 6월 19일, 대한민국 제17대 대통령 선거에 출마할 것을 선언했으나, 대통합민주신당의 당내 경선에서 정동영, 손학규에 이어 3위에 그쳤다. 2008년 4월 운암 김성숙기념사업회 제3대 회장에 선출되었다.
2008년 대한민국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 불출마하고 대통합민주신당을 탈당했다. 2009년 시민주권 상임대표, 2011년 12월 시민통합당 창당을 주도하였다. 2011년 12월 21일 민주통합당 상임고문으로 위촉됐다. 2012년 19대 총선에서 세종특별자치시 선거구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어 국회로 돌아왔다.
3. 이명박·박근혜 정부 시절 야당 정치인
노무현·김대중 전 대통령 서거 후 정치 활동을 활발하게 하였다. 2011년 9월 야당 통합을 추진하기 위해 진보계 시민단체가 결성한 "혁신과 통합"의 상임대표가 되었다.[14] 민주당과 시민통합당 및 한국노총이 통합하여 민주통합당이 결성되자, 이해찬은 상임고문에 취임하였다.
2012년 4월 제19대 총선에서 세종특별자치시 선거구에 출마하여 심대평 자유선진당 대표 등을 제치고 당선되어 4년 만에 국회에 복귀하였다.[15][16]
한명숙 대표가 사퇴함에 따라 실시된 당 지도부 선거에 출마, 수도권 대의원 투표와 당원·시민선거인단 모바일 투표에서 역전하여 당 대표로 선출되었다.[17] 대통령 선거에서 야권 후보 단일화 협상 과정에서 안철수 측의 당 지도부 사퇴 요구에 따라, 11월 18일 당 지도부 전원과 함께 사퇴하였다.[18]
3. 1. 민주통합당 대표

2012년 6월 9일 열린 민주통합당 임시전당대회에서 이해찬은 경쟁 상대인 김한길 후보를 누르고 당 대표에 당선되었다. 대표 수락 연설에서 이해찬은 "이제 정권교체를 향한 대장정이 시작됐다. 정권교체를 바라는 국민과 당원의 뜻을 하나로 모을 것"이라고 밝혔다.[41] "박근혜와 새누리당의 매카시즘에는 단호히 맞서서 싸우겠다. 종북주의, 매카시즘 대신 정책 경쟁하는 그런 선거로 임해줄 것을 다시 한번 호소한다"라는 발언을 하기도 하였는데, 이로 인해 신 매카시즘 논란이 불었다.[42][43] 이후 대한민국 제18대 대통령 선거 관련 야권 후보 단일화 과정에서 지도부 총사퇴를 결의하고 민주통합당 대표직을 사퇴했다.
3. 2. 더불어민주당 복당 및 20대 총선
2016년 4월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더불어민주당(이하 민주당) 비상대책위원장 김종인에 의해 당 공천에서 배제되어 무소속으로 세종특별자치시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19] 김종인이 민주당 비상대책위원장직에서 물러나고 추미애가 민주당 대표에 취임(8월 27일)한 후, 같은 해 9월 민주당에 복당하였다.[20]4. 문재인 정부 시절
문재인 정부 출범 직후 중국에 대통령 특사로 파견되었으나, 홍콩 행정장관과 동등한 대우를 받아 ‘냉대’라는 보도가 있었다.[21] 2018년 더불어민주당 대표 선거에서 송영길, 김진표 등을 누르고 당 대표에 취임했다.[22][23][4] 제21대 총선에는 출마하지 않고, 당 대표 임기 만료와 함께 정계를 은퇴했다.
4. 1. 더불어민주당 대표
2017년 5월 18일 중국 특사로 임명되어 중국을 방문하였다.[44][45] 2018년 7월 20일 "문재인 정부의 성공을 튼튼하게 뒷받침하겠다"며 더불어민주당 대표 출마를 선언하였고,[46] 8월 25일 42.88%의 득표율로 더불어민주당 대표에 당선되었다.[47]21대 총선에 불출마한 그는 당 대표로서 더불어민주당의 압승을 이끈 후 2020년 8월 24일에 임기 만료와 함께 정계 은퇴를 선언했으며, 이낙연에게 당 대표 자리를 넘겼다.
5. 논란과 의혹
이해찬은 여러 논란과 의혹에 휩싸인 바 있다.
- 폭행 및 갑질 논란:
- 1995년 서울특별시 부시장 재직 시절, 형의 부동산 등기 문제로 송파구 공무원들에게 폭언과 폭행을 가했다는 의혹이 있다.[49] 당시 송파구 직원이 이해찬 형 소유 부동산의 등기 과정에서 실수하자, 이해찬은 해당 직원들에게 '네가 뭔데, 얼마 받아먹으려고 그렇게 지시했어'라며 고함을 치고 서류를 집어 던지며 뺨을 때리는 등 폭행을 가했다.[49] 또한, 이를 말리는 서울시 감사관에게 송파구 특별감사를 지시하기도 했다.[49]
- 민통련 간부 시절, 언론 보도에 항의하며 기자에게 폭행을 가한 사실을 인정했다.[50] 당시 문익환 목사에 대한 언론 보도에 항의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일이라고 밝혔다.[50]
- 1995년, 딸의 학급에서 발생한 성희롱 사건에 격분하여 서울특별시 교육청 장학관에게 욕설을 한 사실을 인정했다. 다만, 뺨을 때렸다는 의혹은 부인했다.[51]
- 1990년대 초, 의견 충돌이 있던 관악구청장에게 물컵을 던진 사건이 있었다.[52]
- 잦은 골프 논란:
- 2004년 9월, 포천 군부대 대전차포 오발 사고로 14명의 사상자가 발생한 이틀 뒤, 희생자 조문 직전 골프를 친 사실이 드러나 유가족들의 원성을 샀다.[54]
- 2005년 4월 5일 식목일에 양양군과 고성군에서 산불이 발생했을 당시 총리실 간부들과 포천에서 골프 행사를 진행하여 여야 모두에게 비판을 받았다.[55] 이후 교황 요한 바오로 2세 장례식 참석 후 국회 대정부질문에서 공식 사과했다.[56]
- 2005년 7월, 남부지방 호우 경보 발령 중 제주도에서 골프를 친 사실이 알려져 논란이 되었다.[56]
- 2006년 3월 1일, 3.1절 기념식 불참 후 부산지역 상공인들과 골프 모임을 가져 논란이 되었다.[57] 이 사건으로 한나라당, 민주당, 열린우리당 등 정치권과 언론의 비판을 받았으며,[58] 청와대의 직접 조사까지 이어졌다.[59] 결국 노무현 대통령이 이해찬의 총리직 사의를 수용하면서 총리직에서 물러나게 되었다.[60] 이 사건은 공직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쳐, 접대성 골프뿐만 아니라 친척을 제외한 모든 직무 관련자와의 골프를 금지하는 규제 조항이 신설되기도 했다.[61][62] 이해찬은 시민단체로부터 김진표와 함께 골프 파문 관련 피소되기도 했다.[63]
- 총리 재임 기간 동안 국무위원들과 경제단체장들 간의 '골프 회동'이 잦아 정·재계 현안 논의가 골프를 통해 이루어진다는 비판이 있었다.[64]
- 고교 평준화 정책 강행 논란: 고교 평준화 정책을 강행하면서 보수 단체 및 언론, 교사들의 반발을 샀다. 보수 언론들은 '바보 평준화'라며 비난했고, 교사들은 항의와 퇴진 운동을 벌였다. 평준화 정책 이후 학교 및 학생 성적 변화에 대한 평가는 여전히 논란거리이다.
6. 평가
이해찬은 국무총리 시절 독자적인 리더십을 구축하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기도 한다.[38] 그는 총리로서 자기 주관과 소신을 밝히긴 했지만, 노무현 전 대통령과 다른 노선을 걸었다거나 독자적인 리더십을 발휘했다고 평가받지는 않는다. 이해찬 자신도 "대통령의 정견을 충실히 실천에 옮기는 총리의 속성에 충실했다"고 말했다.
이해찬은 대입 체제 개혁의 일환으로 2002학년도 수능 시험을 도입했지만, 이로 인해 많은 학생들의 신세를 망쳤다는 비판을 받았다.[67] 일각에서는 "1년 12달을 놀고 지내도 대학에 진학할 수 있다"는 교육부 장관의 말을 믿고 따른 결과라는 비판도 제기되었다.
7. 학력
8. 경력
연도 | 내용 |
---|---|
1978년 | 광장서적 대표 |
1979년 | 돌베개출판사 대표 |
1980년 | 서울대학교 복학생협의회 대표 |
1983년 | 민주화운동청년연합 상임위원회 부위원장 |
1984년 | 민주통일국민회의 발기인, 정책실 차장 |
1985년 | 민주통일민중운동연합 정책실 차장, 총무국장, 부대변인 |
1987년 | 민주쟁취국민운동본부 집행위원, 한겨레신문 창간발기인 |
1988년 | 민주평화통일연구회 상임이사, 연구소장, 평화민주당 원내부총무 |
1988년~1991년 | 평화민주당 서울특별시 지부 관악구 을 지구당위원장 |
1988년~1992년 | 제13대 국회의원(서울 관악구 을, 평화민주당→신민주연합당→무소속→민주당, 초선) |
1991년 | 신민주연합당 정책위원회 부의장, 신민주연합당 서울특별시 지부 관악구 을 지구당위원장, 민주당 정책위원회 부의장 |
1991년~1995년 | 민주당 서울특별시 지부 관악구 을 지구당위원장 |
1992년 | 대한민국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당선(서울 관악구 을, 민주당, 재선), 민주당 당무기획실장 |
1992년~1995년 | 제14대 국회의원(서울 관악구 을, 민주당, 재선) |
1993년 | 민주당 환경특별위원회 위원장 |
1995년 |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민주당 조순 서울특별시장 후보 선거대책위원회 본부장, 제31대 서울특별시 정무부시장 |
1996년 | 새정치국민회의 총선기획단장, 대한민국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당선(서울 관악구 을, 새정치국민회의, 3선) |
1996년~1997년 | 새정치국민회의 정책위원회 의장 |
1996년~2000년 | 제15대 국회의원(서울 관악구 을, 새정치국민회의→새천년민주당, 3선), 새정치국민회의 서울특별시 지부 관악구 을 지구당위원장, 국회 한국아동환경인구연맹(CPE) 부회장 |
1997년 | 새정치국민회의 당무위원회 부의장, 제15대 대통령 선거 새정치국민회의 김대중 대통령 후보 선거대책본부 부본부장 |
1997년~1998년 | 김대중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정책분과 간사 |
1998년~1999년 | 제38대 교육부 장관 |
2000년 | 대한민국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당선(서울 관악구 을, 새천년민주당, 4선), 새천년민주당 정책위원회 의장, 새천년민주당 최고위원 |
2000년~2003년 | 새천년민주당 서울특별시 지부 관악구 을 지구당위원장 |
2000년~2004년 | 제16대 국회의원(서울 관악구 을, 새천년민주당→무소속→열린우리당, 4선) |
2001년 | 새천년민주당 정책위원회 의장 |
2002년 | 새천년민주당 서울특별시 지부 위원장, 제16대 대통령 선거 새천년민주당 노무현 대통령 후보 중앙선거대책위원회 기획본부장 |
2003년 | 열린우리당 창당기획단장 |
2004년 | 열린우리당 외부인사영입추진위원장,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당선(서울 관악구 을, 열린우리당, 5선), 열린우리당 국회개혁추진단장 |
2004년~2008년 | 제17대 국회의원(서울 관악구 을, 열린우리당→대통합민주신당→무소속, 5선) |
2004년 6월~2006년 3월 | 제36대 국무총리 |
2006년 | 열린우리당 상임고문 |
2006년~2007년 | 대통령비서실 정무특별보좌관 |
2007년 | 대통합민주신당 상임고문 |
2008년 | 운암 김성숙 기념사업회장 |
2009년 | 시민주권 상임대표 |
2011년 | 민주통합당 상임고문 |
2012년 |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당선(세종특별자치시, 민주통합당, 6선), 민주통합당 당대표 |
2012년~2013년 | 민주통합당 세종특별자치시당 세종특별자치시 지역위원회 위원장, 민주정책연구원 이사장 |
2012년~2016년 | 제19대 국회의원(세종특별자치시, 민주통합당→민주당→새정치민주연합→더불어민주당→무소속, 6선) |
2013년~2014년 | 민주당 세종특별자치시당 세종특별자치시 지역위원회 위원장, 민주당 상임고문 |
2014년 3월~2015년 12월 | 새정치민주연합 상임고문, 새정치민주연합 세종특별자치시당 세종특별자치시 지역위원회 위원장 |
2014년 3월~2018년 10월 | 제4대 사람사는세상 노무현재단 이사장 |
2015년 1월~12월 | 새정치민주연합 세종특별자치시당 위원장 |
2015년 2월~ | 사단법인 통일맞이 이사장 및 고문 |
2015년 12월~2016년 3월 | 더불어민주당 상임고문, 더불어민주당 세종특별자치시당 세종특별자치시 지역위원회 위원장, 더불어민주당 세종특별자치시당 위원장 |
2016년 |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당선(세종특별자치시, 무소속, 7선) |
2016년~2020년 | 제20대 국회의원(세종특별자치시, 무소속→더불어민주당, 7선) |
2016년 10월~2018년 8월 | 더불어민주당 상임고문 |
2016년 10월~2020년 5월 | 더불어민주당 세종특별자치시당 세종특별자치시 지역위원회 위원장 |
2017년 | 제19대 대통령 선거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대통령 후보 국민주권선거대책위원회 공동선거대책위원장, 대통령비서실 중국 특사 |
2017년 3월~2018년 8월 | 더불어민주당 세종특별자치시당 위원장 |
2018년 8월~2020년 8월 | 더불어민주당 당대표, 제12대 민주연구원 이사장 |
2019년 8월~ | 더불어민주당 국회세종의사당추진특별위원회 공동위원장 |
2020년 3월~4월 | 더불어민주당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선거대책위원회 공동선거대책위원장 |
2020년 6월~ | 사단법인 동북아평화경제협회 이사장 |
2020년 9월~ | 더불어민주당 상임고문 |
2023년~ | 재단법인 김대중기념사업회 상임고문 |
2024년 3월~4월 | 더불어민주당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선거대책위원회 상임공동선거대책위원장 |
기타 | (사)전주이씨대동종약원 고문 |
9. 수상
수상 내역 |
---|
환경기자클럽 올해의 환경인상 |
환경운동연합 녹색정치인상 |
1996년 6월 13일 황조근정훈장 |
2003년 청조근정훈장 |
2002년 7월 명예 제주도민증 (제주국제자유도시특별법 제정 공로) |
10. 저서 및 역서
제목 | 출판사 | 비고 |
---|---|---|
《광주민주항쟁》 | 돌베개 | 공저, 1988년 |
《민주와 통일의 길목에서》 | 함께사는 세상 | 1989년 |
《열두 편의 가슴시린 편지》 | 행복공작소 | 공저, 2005년 |
《청양 이 면장 댁 셋째 아들 이해찬》 | 푸른나무 | 2007년 |
《10명의 사람이 노무현을 말하다》 | 오마이북 | 공저, 2010년 |
《광장에서 길을 묻다》 | 동녁 | 공저, 2011년 |
《사회학적 상상력》 | 돌베개 | C. 라이트 밀즈 저 |
《세계환경정치(한국어판)》 | ||
《돔 헬더 까마라 - 정의와 평화의 사도》 | 한길사 | 조 세드 브루키르 저, 1979년 |
11. 가족
관계 | 이름 |
---|---|
아버지 | 이인용(李寅鎔, 1922년~1999년) |
어머니 | 박양순(朴良順, 1923년~2017년) |
형 | 이해진(李海鎭, 1946년~) |
형 | 이해명(李海明, 1948년~) |
동생 | 이해만(李海滿, 1957년~) |
배우자 | 김정옥(金貞玉, 1954년~) |
딸 | 이현주(李賢柱, 1979년~) |
기타 | 형제 1명, 누이 2명 |
12. 어록
- 2009년 7월 29일 이해찬은 친노 신당 논의에 대해 "섣불리 금방 결론내지 말고 충분히 논의해야 한다. 지난 10년간 그렇게(각개약진) 하다가 이렇게 쫄딱 망했다. (민주세력이) 다시 집권하려면 충분히 논의해야 한다"라고 했다. 특히 야권 연대의 필요성과 관련해 "각자의 힘은 얼마 안 된다"라며 "(야권이) 연대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48]
- 민주당의 전신인 열린우리당이 152석으로 과반을 한 적이 있다. 그러나 우리는 승리에 취했고 과반 의석을 과신해 겸손하지 못했다. 국민이 원하시는 것을 생각하지 않고 우리의 생각만을 밀어붙였다. 일의 선후와 경중, 완급을 따지지 않았고, 정부와 당보다는 나 자신을 내세웠다. 그 결과 우리는 17대 대선에서 패했고 뒤이은 18대 총선에서 겨우 81석의 나락으로 떨어졌다. 우리는 이 교훈을 잊지 말아야 한다.
13. 역대 선거 결과
연도 | 선거 종류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순위 | 당락 | 비고 |
---|---|---|---|---|---|---|
1988년 | 총선 | 평화민주당 | 39,950표 (31.18%) | 1위 | 당선 | 초선 |
1992년 | 총선 | 민주당 | 64,035표 (44.69%) | 1위 | 당선 | 재선 |
1996년 | 총선 | 새정치국민회의 | 54,049표 (44.75%) | 1위 | 당선 | 3선 |
2000년 | 총선 | 새천년민주당 | 48,751표 (47.48%) | 1위 | 당선 | 4선 |
2004년 | 총선 | 열린우리당 | 49,673표 (41.12%) | 1위 | 당선 | 5선 |
2012년 | 총선 | 민주통합당 | 22,192표 (47.88%) | 1위 | 당선 | 6선 |
2016년 | 총선 | 무소속 | 46,187표 (43.72%) | 1위 | 당선 | 7선 |
참조
[1]
웹사이트
ko:이해찬
http://people.nate.c[...]
Nate
2010-01-22
[2]
뉴스
韓国与党の新代表に李海チャン氏 盧元大統領側近
http://www.chosunonl[...]
2018-08-28
[3]
웹사이트
대한민국헌정회
https://www.rokps.or[...]
2022-03-11
[4]
뉴스
韓国与党「共に民主党」新代表にイ・ヘチャン議員-Chosun online 朝鮮日報
https://archive.is/I[...]
2018-08-28
[5]
웹사이트
승리로 장식된 이해찬의 정치사
http://www.kukinews.[...]
2020-04-17
[6]
뉴스
‘민청학련’이해찬·유홍준도 35년만에 무죄(‘民青学連’李海瓚・ユ・ホンジュンも35年ぶりに無罪)
http://www.hani.co.k[...]
2009-09-18
[7]
뉴스
李首相が辞意を表明、盧大統領の帰国後判断
http://app.yonhapnew[...]
2006-03-05
[8]
뉴스
李首相が退陣、盧大統領が後任選定作業に着手
http://app.yonhapnew[...]
2006-03-15
[9]
뉴스
青瓦台政務特別補佐官に李海チャン・呉盈教氏ら
http://app.yonhapnew[...]
2006-10-27
[10]
뉴스
訪朝の李海チャン元首相、金永南常任委員長と会談
http://app.yonhapnew[...]
2007-03-08
[11]
뉴스
新党の公認大統領候補、鄭東泳氏に確定
http://app.yonhapnew[...]
2007-10-15
[12]
뉴스
李海チャン氏が新党離党、親盧派の離党相次ぐ見通し
http://app.yonhapnew[...]
2008-01-10
[13]
뉴스
李海チャン元首相、総選挙不出馬の意向示す
http://app.yonhapnew[...]
2008-02-03
[14]
뉴스
「革新と統合」が発足 選挙に向け野党統合目指す
http://rki.kbs.co.kr[...]
2011-09-07
[15]
뉴스
이해찬, 4ㆍ11 총선 세종시 출마 선언(李海瓚、4・11総選世宗市出馬宣言)
http://www.yonhapnew[...]
2012-03-19
[16]
뉴스
‘세종시 지킴이’ 전략 성공… 세종시 민주 이해찬(‘世宗市守る’戦略成功・・・世宗市 民主 李海瓚)
http://news.donga.co[...]
2012-04-12
[17]
뉴스
民主統合党の新代表 李海瓚氏を選出
http://rki.kbs.co.kr[...]
2012-06-09
[18]
뉴스
韓国最大野党執行部が辞任 大統領選候補一本化交渉中断で
http://japanese.yonh[...]
2012-11-18
[19]
뉴스
「세종」무소속 이해찬 당선 확실(「世宗」無所属李海瓚当選確実)
http://www.hani.co.k[...]
2016-04-14
[20]
뉴스
더불어민주당, 이해찬 의원 '복당' 확정(共に民主党、李海瓚議員‘復党’確定)
http://imnews.imbc.c[...]
2016-09-30
[21]
웹사이트
文喜相国会議長、習主席に会えず…「中国がまた韓国冷遇」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
2019-05-08
[22]
뉴스
韓国与党の新代表に李海チャン氏 盧元大統領側近
http://japanese.yonh[...]
2018-08-25
[23]
뉴스
韓国与党新代表に李海チャン元首相、「最後の務め果たしたい」
https://japanese.joi[...]
2018-08-26
[24]
간행물
冬扇房閑話(21) 闘士と権力
2006-05
[25]
뉴스
https://news.naver.c[...]
머니투데이
2012-05-26
[26]
웹사이트
경제 월간지-이코노미 플러스
http://economyplus.c[...]
2010-03-29
[27]
서적
대통령으로 산다는 것
한국경제신문사
2006
[28]
간행물
인물과 사상
인물과사상사
2005-08
[29]
간행물
월간말
1994-01
[30]
서적
진짜 실세 가짜 실세
기문사
2002
[31]
서적
교단을 떠날 각오를 하고 쓴 교육개혁비판
신원문화사
1999
[32]
서적
비판력 아카데미
웅진지식하우스
2007
[33]
서적
교단을 떠날 각오를 하고 쓴 교육개혁비판
신원문화사
1999
[34]
서적
지도력의 위기 2
새로운사람들
2002
[35]
서적
지도력의 위기 2
새로운사람들
2002
[36]
뉴스
http://www.pressian.[...]
[37]
뉴스
http://news.khan.co.[...]
[38]
뉴스
한국의 총리는 왜 용이 못 됐나
http://h21.hani.co.k[...]
한겨레 21
[39]
text
[40]
웹인용
靑, 이해찬 前총리 등 특별보좌관 내정(상보)
http://news.mt.co.kr[...]
2013-06-18
[41]
뉴스
http://www.segye.com[...]
[42]
뉴스
http://news.khan.co.[...]
[43]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news1.kr/phot[...]
2012-06-12
[44]
뉴스
이해찬 대중특사 "첫 한중정상회담, 7월 G20 회의 때 가능"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7-05-18
[45]
뉴스
이해찬 중국 특사 베이징 도착 "두 정상간 신뢰 잘 이뤄진거 같아"
https://news.naver.c[...]
노컷뉴스
2017-05-18
[46]
뉴스
[전문]이해찬 “문재인 정부 뒷받침·재집권에 무한 책임” 당대표 출마 선언
http://news.donga.co[...]
news.donga.com
2018-07-20
[47]
뉴스
민주 새 대표에 이해찬…최고위원 박주민·박광온 등 5명(3보)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8-08-25
[48]
뉴스
이해찬 친노신당 섣불리 결론내면 안돼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09-07-29
[49]
뉴스
http://m.chosun.com/[...]
[50]
뉴스
https://m.pub.chosun[...]
[51]
뉴스
https://m.pub.chosun[...]
[52]
뉴스
http://m.chosun.com/[...]
[53]
뉴스
포천부대 대전차포 오발 14명 사상
https://news.naver.c[...]
[54]
뉴스
李총리, 오발사고 희생자 조문 前 골프
https://news.naver.c[...]
[55]
뉴스
李총리, 산불악화로 …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56]
뉴스
李총리 수해속 '골프회동' 논란
https://news.naver.c[...]
[57]
뉴스
https://news.naver.c[...]
[58]
뉴스
3·1절에 노동자들은 파업하는데 총리는 골프치나?
http://www.nocutnews[...]
[59]
뉴스
http://www.nocutnews[...]
[60]
뉴스
노대통령, 이총리 사의 수용…"선거 망칠라" 현실론
http://www.segye.com[...]
[61]
뉴스
http://news.sbs.co.k[...]
[62]
뉴스
http://www.hankyung.[...]
[63]
뉴스
https://news.naver.c[...]
[64]
뉴스
李총리-경제단체장 전격 골프회동
http://www.mt.co.kr/[...]
[65]
뉴스
이해찬, 장애인 비하 구설…장애인단체 “인권 교육부터 받아라”
https://news.joins.c[...]
중앙일보
2018-12-31
[66]
뉴스
이해찬 또 비하발언 “선천적 장애인은 의지 약해”
http://www.hani.co.k[...]
한겨레
2020-01-15
[67]
서적
진짜 실세 가짜 실세
기문사
20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