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어리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치어리딩은 미식축구 경기 응원을 위해 미국에서 시작되었으며, 스턴트, 텀블링, 점프, 댄스, 모션 등의 요소를 활용한다. 학교, 클럽, 프로 등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며, 국제 치어 연합(ICU)이 최대 세력이다. 치어리딩은 부상 위험이 높고, 스포츠로 인정받는 것에 대한 논란이 있으며, 이를 소재로 한 다양한 작품들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치어리딩 - 스턴트 치어리딩
스턴트 치어리딩은 텀블링, 댄스, 점프, 구호, 스턴트 등을 활용하여 스포츠 팀을 응원하는 활동이며, 미국에서 시작되어 스턴트와 체조 요소가 도입되었고 안전 규칙과 스포터의 역할이 중요하게 여겨진다. - 스포츠 문화 - 스포츠 사회학
스포츠 사회학은 스포츠를 사회적 현상으로 연구하는 학문 분야로서, 다양한 사회 이론을 적용하여 스포츠와 사회 문제, 인종, 젠더, 폭력 등 다양한 측면을 분석한다. - 스포츠 문화 - 스포츠 사진
스포츠 사진은 스포츠 경기와 관련된 인물, 장소 등을 촬영하는 분야로, 기술 발전에 따라 정적인 장면에서 역동적인 순간 포착이 가능해졌으며, 디지털 카메라, 통신 기술,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은 스포츠 사진의 발전과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다. - 미국의 발명품 - 텔레비전
텔레비전은 움직이는 영상과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고 수신 측에서 다시 영상과 소리로 바꾸는 기술을 이용한 매체로, 닙코프 원판을 이용한 초기 기계식 방식에서 음극선관 발명을 통해 전자식으로 발전하여 디지털 기술과 다양한 디스플레이 기술 발전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으며 사회, 문화, 경제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지만 건강 문제 및 부정적 콘텐츠 노출 등의 부작용도 존재한다. - 미국의 발명품 - 태양 전지
태양전지는 빛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장치로, 기술 발전을 거듭하여 발전 효율이 크게 향상되었고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고 있으며, 고집광 태양전지와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등의 새로운 기술 개발과 투자가 지속적으로 요구되는 지속 가능한 에너지원이다.
치어리딩 | |
---|---|
개요 | |
명칭 | 치어리딩 |
유형 | 운동 활동 |
관련 활동 | 팀 응원 |
사진 | |
![]() | |
![]() | |
설명 | |
활동 목적 | 팀 응원 |
참가자 수 (미국, 2017년) | 3,866,830명 |
국제기구 | 국제 치어 연맹 |
관련 용어 | |
관련 용어 | 치어리더 치어리딩 스턴트 |
2. 역사
치어리딩은 미국 미네소타 대학교에서 미식축구 경기의 조직적인 응원에서 시작되었다. 1889년 미네소타 대학생 쟈니 켐벨이 구호를 외치며 응원을 시작했고, 1898년 12월 2일 공식적으로 조직화된 응원이 등장했다. 1903년 최초의 남학생 치어리딩 단체 'Gamma Sigma'가 생겼으며, 1923년부터 여학생 참여가 시작되었다. 초기에는 체조, 텀블링, 메가폰 등이 사용되었고 이는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대한민국의 치어리딩은 1980년대 프로 스포츠 출범과 함께 시작되었다. 초기에는 응원 보조 역할이었으나, 2000년대 후반 프로야구 인기가 높아지며 박기량, 김연정 등 스타 치어리더가 등장했다. 현재는 야구, 축구, 배구, 농구 등 주요 프로 스포츠 구단 대부분이 응원단을 운영한다.
2. 1. 미국에서의 기원과 발전
1860년대 영국 학생들은 스포츠 경기에서 자신이 응원하는 선수들을 위해 일제히 응원하고 구호를 외치기 시작했으며, 이러한 응원 방식은 곧 미국으로 전파되었다.[4] 1869년 11월 6일, 프린스턴 대학교와 러트거스 대학교 사이에서 열린 미국 최초의 대학 미식축구 경기에서 학생 팬들은 "Sis Boom Rah!"라는 최초의 응원 구호를 외친 것으로 기록되었다.[5]
조직적인 치어리딩은 처음에 남성만의 활동으로 시작되었다.[6] 1877년 초 프린스턴 대학교는 ''The Daily Princetonian''에 기록된 "프린스턴 응원"을 사용했다.[7][8][9] 이 응원은 경기에 참석한 학생들이나 선수들이 스탠드에서 외쳤으며, "Hurrah! Hurrah! Hurrah! Tiger! S-s-s-t! Boom! A-h-h-h!"라는 구호는 약간의 수정을 거쳐 오늘날까지 "Locomotive"이라는 이름으로 사용되고 있다.[10]
1882년 프린스턴 졸업생인 토마스 피블스는 1884년 미네소타로 이주하여, 조직적인 군중 응원 아이디어를 미네소타 대학교로 옮겨왔다.[11][12] "치어 리더"라는 용어는 1897년 초부터 사용되었으며, 프린스턴의 미식축구 관계자들은 1897년 10월 26일에 토마스, 이스턴, 구에린 세 학생을 ''치어 리더''로 임명했다. 이들은 미식축구 연습에서도 팀을 응원했으며, 홈팀과 원정팀 모두를 위해 스탠드에 특별 응원 구역이 지정되었다.[13][14]
1898년 미네소타 대학교 학생 조니 캠벨이 "Rah, Rah, Rah! Ski-u-mah, Hoo-Rah! Hoo-Rah! Varsity! Varsity! Varsity, Minn-e-So-Tah!"를 외치며 군중을 이끌었고, 캠벨은 최초의 치어리더가 되었다.[15] 1898년 11월 2일은 조직적인 치어리딩의 공식적인 시작일로 여겨진다. 이후 미네소타 대학교는 6명의 남학생으로 구성된 "응원 리더" 팀을 조직했으며, 이들은 오늘날까지 캠벨의 원래 응원을 사용하고 있다.[16] 1903년에는 최초의 치어리딩 프래터니티인 감마 시그마(Gamma Sigma)가 설립되었다.[17]

1923년, 미네소타 대학교에서는 여성의 치어리딩 참가가 허용되었다.[18] 그러나 다른 학교들이 이를 따르는 데는 시간이 걸렸으며, 1920년대 후반의 많은 학교 안내서와 신문에서는 여전히 치어리더를 남성으로 지칭했다.[19] 여성 치어리더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대학생 남성들이 징집되면서 스포츠 행사장에서 더 많은 참여 기회를 얻게 되어 그 수가 주목받기 시작했다.[20] 키어런 스콧은 그의 저서 《얼티메이트 치어리딩》(Ultimate Cheerleading)에서 "여자아이들이 처음으로 주도권을 잡았다"고 언급했다.[21]
1949년, 서던 메소디스트 대학교의 전직 치어리더이자 허키 점프의 발명가인 로렌스 허키머는 텍사스주 헌츠빌에서 첫 번째 치어리딩 캠프를 열었으며, 52명의 소녀가 참가했다.[22] 이 클리닉의 인기로 두 번째 캠프에는 350명의 젊은 여성들이 참가했다. 허키머는 또한 폼폼을 특허냈으며, 1951년에는 치어리딩 활동을 성장시키고 전국 학교에 치어리딩 교육을 제공하기 위해 전국 치어리더 협회(NCA)를 설립했다.[15]
1950년대 동안 치어리딩에 대한 여성 참여는 계속해서 증가했다.[23] 프로 치어리딩도 이 시기에 시작되었는데, 내셔널 풋볼 리그(NFL) 역사상 최초로 기록된 치어리딩 스쿼드는 볼티모어 콜츠를 위한 것이었다.[4][27] 프로 치어리더들은 춤 실력뿐만 아니라 당시 남성의 시선에 부합하는 외모가 중요하게 여겨졌다.[28]
1960년대에 이르러, NCA에서 고용된 대학 치어리더들은 전국에서 워크숍을 개최하여 수만 명의 고등학생 연령대 소녀들에게 기본적인 치어 기술을 가르쳤다.[6] 허키머는 치어리딩 유니폼 공급 회사 설립, 허키 점프 발명,[29] 그리고 "스피릿 스틱" 제작 등 치어리딩 발전에 많은 기여를 했다.[17] 1965년, 프레드 개스토프는 비닐 폼폼을 발명했으며, 이는 국제 치어리딩 재단(ICF, 현재는 세계 치어리딩 협회, WCA)에 의해 대회에 도입되었다. 조직화된 치어리딩 대회가 나타나기 시작했고, 1967년 ICF는 "탑 텐 대학 치어리딩 스쿼드" 순위와 "치어리더 올 아메리카" 상을 처음으로 수여했다.
댈러스 카우보이스 치어리더는 1972-1973 시즌에 데뷔하여 노출이 심한 의상과 정교한 춤 동작으로 주목을 받았으며, 특히 슈퍼볼 X (1976)에서 널리 알려졌다. 1970년대의 이들 프로 스쿼드는 치어리더를 "건전한 성적 매력의 미국 아이콘"으로 자리매김하게 했다.[18] 1975년, 랜디 닐은 미국 내 치어리더 인구를 50만 명 이상으로 추정했으며, 이 중 95%가 여성이라고 보았다.[30] 1978년, 미국에서는 CBS에서 대학 치어리딩 선수권 대회의 첫 방송을 통해 경쟁적인 치어리딩이 대중에게 알려지게 되었다.[16][17]
2. 2. 대한민국
1980년대부터 대한민국의 프로 스포츠 태동과 함께 시작되었다. 2000년대 중반까지는 야구장 응원의 조력자 정도의 역할을 했다. 하지만, 2000년대 후반 프로야구 인기가 절정에 달하면서 박기량, 김연정으로 대표되는 스타 치어리더들이 배출되기 시작했다. 현재는 대한민국의 4대 프로 스포츠(야구, 축구, 배구, 농구) 모든 구단이 응원단을 운영하고 있다.2. 3. 기타 국가

'''캐나다'''
캐나다에서 치어리딩은 방과 후 활동 프로그램으로 젊은 층 사이에서 인기를 얻고 있다. 세계적으로 치어리딩이 성장함에 따라 캐나다에서도 단순 응원에서 경쟁적인 활동으로 발전했다. 캐나다 스포츠 문화 내에서 치어리딩은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교 수준에서 이루어지며, 특히 올스타 팀 활동이 활발하다. 치어리딩 선수들을 위한 지역, 주, 전국 단위의 다양한 선수권 대회가 개최된다. 캐나다에는 주 대표팀은 없지만, 치어 캐나다(Cheer Canada)가 운영하는 국가 프로그램인 '팀 캐나다'가 있다. 팀 캐나다는 2009년부터 국제 치어리딩 연맹(ICU, International Cheer Union) 세계 치어리딩 선수권 대회에 캐나다 대표로 참가하고 있다.[99]
치어 캐나다는 국제 치어리딩 연맹(ICU)이 인정한 캐나다 치어리딩 국가 관리 기구이다.[100][101][102] 치어 캐나다 산하에는 각 주의 치어리딩을 관리하는 여러 주별 스포츠 기구가 있다. 여기에는 BC 스포츠 치어(BC Sport Cheer),[103] 앨버타 치어리딩 협회(Alberta Cheerleading Association),[104] 서스캐처원 치어리딩 협회(Saskatchewan Cheerleading Association),[105] 치어 매니토바(Cheer Manitoba),[106] 온타리오 치어리딩 연맹(Ontario Cheerleading Federation),[107] 퀘벡 치어리딩 연맹(Federation de Cheerleading du Quebec),[108] 뉴펀들랜드 래브라도 치어리딩 육상 협회(Newfoundland and Labrador Cheerleading Athletics), 치어 뉴브런즈윅(Cheer New Brunswick)[109], 치어 노바스코샤(Cheer Nova Scotia)가 포함된다.[110] 치어 캐나다와 주 기구들은 올스타 치어와 퍼포먼스 치어(올스타 댄스)에 대해 국제 올스타 연맹(IASF, International All Star Federation)의 부문과 규칙을 따르며,[111][112] 학교 치어에 대해서는 국제 치어리딩 연맹(ICU)의 부문과 규칙을 적용한다.[113] 캐나디안 치어(Canadian Cheer, 이전 명칭: 치어 에볼루션)는 캐나다 최대의 치어 및 댄스 기구로, 현재 15개 행사를 치어 캐나다의 규칙 및 지침에 따라 운영한다.[114][115] 버시티 스피릿(Varsity Spirit) 역시 치어 캐나다/IASF 규칙을 사용하여 캐나다 내에서 행사를 개최하고 있다.[116] 현재 치어 캐나다에 등록된 클럽과 학교는 400개 이상이며, 2023년 기준 참가자는 25,000명이 넘는다.[100]
'''멕시코'''

멕시코에서 치어리딩은 멕시코 대학 미식축구와 프로 멕시코 축구 경기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인기 스포츠이다. 멕시코 치어리딩은 1930년대 국립 멕시코 자치 대학교(UNAM)가 자치권을 얻은 직후 시작되었다. 초기에는 UNAM을 중심으로 발전했으나, 이후 멕시코 시티의 다른 중고등학교 및 고등 교육 기관으로 퍼져나갔고, 현재는 거의 전국적으로 확산되었다.[134]
멕시코에서는 멕시코 치어리더 및 치어리딩 그룹 연맹(Federación Mexicana de Porristas y Grupos de Animación, FMPGA)이 치어리딩을 총괄한다. 이 연맹은 멕시코 내 대회를 주관하고, 올림픽 치어리더 연맹(COP Brands), 전국 치어리더 조직(Organización Nacional de Porristas, ONP), 멕시코 트레이너 및 응원 그룹 조직(Organización Mexicana de Entrenadores y Grupos de Animación, OMEGA Mexico)과 같은 하위 단체들을 관리하며, 이들은 멕시코에서 가장 큰 치어리딩 단체들이다.[135] 2021년에는 FMPGA가 주최하는 제3회 전국 주 대표 선수권 대회가 Vimeo 플랫폼을 통해 온라인 생중계 방식으로 열렸다.
멕시코에는 500개 이상의 치어리딩 팀과 약 10,000명의 선수가 활동하고 있다. 멕시코 대표팀은 2015년 4월 24일 국제 치어 연맹(ICU) 주최 세계 치어리딩 선수권 대회에서 1위를 차지하여 금메달을 획득했다. 2016년 기준으로 멕시코는 총 27개의 메달을 획득하여 미국 다음으로 세계에서 두 번째로 많은 메달을 딴 국가가 되었다. 2019년 코에드 프리미어 세계 치어리딩 선수권 대회에서는 미국, 캐나다, 대만에 이어 4위를 기록했으며, 2021년 세계 치어리딩 선수권 대회 주니어 붐 부문에서는 3위를 차지했다.
'''영국'''
영국 치어리딩 문서 참고.
'''호주'''
호주의 치어리딩 문서 참고.
'''일본'''

IOC:국제 올림픽 위원회
ICU:국제 치어 연합
WDSF:세계 댄스 스포츠 연맹
IFC:국제 치어리딩 연맹
USA:United Spirit Association
JOC:일본 올림픽 위원회
JSPO:일본 스포츠 협회
USA 재팬:Cheer & Dance Education
치어 재팬:일본 스포츠 치어&댄스 연맹
FJCA:일본 치어리딩 협회
JCDA:일본 치어 댄스 협회
AJCDF:전일본 치어 댄스 연맹
일본에서는 치어리딩이 학교의 동아리 활동, 지역 클럽, 영리 단체의 클럽 팀 등 다양한 형태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여러 협회에서 지역별 대회 및 전국 대회를 개최한다. 주요 국내 경기 연맹으로는 일본 내 최대 규모인 공익 사단법인 일본 치어리딩 협회(FJCA), 일반 사단법인 Cheer & Dance Education(USA 재팬), 그리고 세계 최대 치어리딩 기구인 ICU 계열의 일반 사단법인 일본 스포츠 치어&댄스 연맹(치어 재팬)이 있다. 이들 협회는 각각 고유한 대회 규칙을 가지고 있으며, 국제 대회 참가 역시 각자 독자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3. 치어리딩의 유형
치어리딩은 활동 목적과 형태에 따라 크게 학교 치어리딩, 클럽 치어리딩(올스타 치어리딩), 프로 치어리딩 등으로 나눌 수 있다.
학교 치어리딩은 가장 일반적인 형태로,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교 등 교육기관을 기반으로 활동한다. 주된 목적은 소속 학교의 스포츠 팀(미식축구, 농구 등)을 응원하고 관중의 참여를 유도하는 것이지만, 자체적으로 경쟁 대회에 참가하기도 한다. 학교의 대사 역할을 수행하며 리더십 활동에 참여하는 경우도 많다.
클럽 치어리딩 또는 올스타 치어리딩은 학교와는 별개로, 경쟁을 주목적으로 하는 치어리딩 유형이다. 선수들은 개인 소유의 체육관이나 클럽에 소속되어 활동하며, 다른 스포츠 팀 응원보다는 고난도의 스턴트, 텀블링, 점프, 댄스 등으로 구성된 루틴을 수행하여 대회에서 경쟁하는 데 집중한다.[44][45]
프로 치어리딩은 내셔널 풋볼 리그(NFL),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LB), 프로농구 등 프로 스포츠 구단에 소속되어 활동하는 형태이다. 경기 중 응원을 주도하고 분위기를 고조시키는 역할과 더불어, 화려한 댄스 퍼포먼스를 통해 관중에게 볼거리를 제공하는 엔터테인먼트적 성격이 강하다.[4][27] 초기에는 주로 여성으로 구성되었으나 점차 남성 치어리더도 등장하고 있다.
3. 1. 학교 치어리딩
미국의 대부분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교에는 조직된 치어리딩 팀이 있다. 일부 대학에서는 학생들에게 치어리딩 장학금을 제공하기도 한다. 학교 치어리딩 팀의 주요 목적은 일반적으로 스포츠 경기를 응원하고 관중의 참여를 장려하는 것이지만, 지역, 권역 또는 전국 대회에 참가하여 경쟁하기도 한다. 치어리딩은 점차 연중 활동이 되고 있으며, 보통 이전 학년의 봄 학기에 오디션을 시작한다. 팀들은 기술을 향상시키고 경쟁을 위한 루틴을 만들기 위해 여름에 조직된 치어리딩 캠프와 연습에 참여한다.학생 치어리더는 학교의 미식축구나 다른 스포츠 팀을 지원하는 것 외에도, 연중 레크리에이션 스타일의 루틴으로 대회에 참가할 수 있다.
=== 초등학교 ===
최근 몇 년 동안 초등학교에서 치어리딩 팀을 조직하는 것이 더욱 일반화되었다. 이는 어린 학생들이 스포츠를 접하고 군중을 이끄는 데 익숙해지도록 하는 좋은 방법으로 여겨진다. 또한, 어린 아이들은 빠르게 배우는 경향이 있어 텀블링과 같은 기술을 비교적 쉽게 익힐 수 있다.[39]
=== 중학교 ===
중학교 치어리딩은 고등학교 치어리딩 팀이 만들어진 직후 발전했으며, 지역 교육구 수준에서 운영된다. 중학교 치어리딩 팀은 고등학교 팀과 동일한 목적을 수행하지만, 고등학교 팀의 규칙을 수정하거나 추가 규칙을 적용하는 경우가 많다.[40] 팀은 농구팀, 미식축구팀, 기타 학교 스포츠팀을 응원할 수 있으며, 학교 행사에서 공연하거나 지역 내 다른 학교와 경쟁하기도 한다. 중학교 치어리딩은 때때로 가을과 겨울, 두 시즌 활동으로 이루어지기도 하지만, 많은 중학교 치어리딩 팀은 고등학교 팀처럼 연중 활동을 한다. 중학교 치어리더는 고등학교 선배들과 동일한 치어리딩 동작을 사용하지만, 지역 규정에 따라 덜 격렬한 스턴트와 텀블링 기술을 선보일 수 있다.
=== 고등학교 ===

고등학교에는 일반적으로 학교당 두 개의 팀, 즉 바시티(Varsity)와 주니어 바시티(Junior Varsity)가 있다. 고등학교 치어리딩은 학교의 응원 문화와 경쟁의 측면을 모두 포함한다. 이 팀들은 연중 활동의 일부가 되었다. 봄에 열리는 오디션을 시작으로 연중 연습, 가을과 겨울 시즌 동안 팀 응원, 그리고 치어리딩 대회 참가까지 이어진다. 대부분의 팀은 여름 동안 매주 최소 3일, 각 연습당 약 2시간 동안 연습한다. 많은 팀은 또한 연습 외에 별도의 텀블링 세션에 참석한다. 학년 중에는 치어리딩을 일반적으로 주 5~6일 연습하며, 대회 시즌에는 때때로 하루에 두 번 연습하면서 주 7일이 되기도 한다. 치어리딩의 학교 응원 문화는 미식축구 경기, 농구 경기, 심지어 레슬링 경기에서도 응원하고, 지원하며, 관중들의 열기를 높이는 것을 포함한다. 이와 함께 치어리더들은 일반적으로 학교 응원 행사에 참여하고, 다른 학생들에게 학교 응원 문화를 전파한다. 2009년 5월, 전미 고등학교 연맹(National Federation of State High School Associations)은 미국 공립 고등학교의 치어리더 수가 약 394,700명으로 추산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41]
대회를 개최하는 다양한 치어리딩 단체가 있으며, 주요 단체로는 주 및 지역 대회가 있다. 많은 고등학교에서 종종 자체적으로 치어리딩 대회를 개최하기도 한다. 지역 대회는 매년 플로리다주 올랜도에서 열리는 UCA(Universal Cheerleaders Association)와 같은 전국 대회의 예선전 역할을 한다.[42] 많은 팀은 규칙이나 규정을 위반하지 않도록 하고 팀에 창의적인 요소를 부여하기 위해 전문 안무가에게 루틴 제작을 의뢰하기도 한다.
=== 대학교 ===

대부분의 미국 대학교에는 풋볼, 농구, 배구, 레슬링, 축구 경기를 응원하는 치어리딩팀이 있다. 최근 몇 년 동안에는 모든 여성으로 구성된 팀과 소규모 대학팀이 급증했지만, 대부분의 대학팀은 남녀 혼성팀이 더 많다. 치어리딩은 NCAA, NAIA, NJCAA에서 공식 운동 경기로 인정하지 않으므로, 대학 수준에서 치어리딩을 하려는 선수에게 제공되는 장학금은 거의 없다. 그러나 일부 커뮤니티 칼리지와 대학교에서는 프로그램이나 후원 기금에서 직접 장학금을 제공한다. 일부 대학에서는 운동 선수의 재능, 학업 우수성 및/또는 지역 사회 행사 참여에 대한 장학금을 제공하기도 한다.
대학팀은 다단계 피라미드, 플리핑(flipping), 트위스트 바스켓 토스(basket toss) 등 고등학교 팀보다 더 어려운 스턴트를 수행한다.
대학 치어리더들은 해당 대학교의 다른 스포츠를 응원할 뿐만 아니라, 많은 대학교 팀들이 UCA 대학 내셔널 또는 NCA 대학 내셔널과 같은 대회에서 다른 학교와 경쟁한다. 이를 위해서는 팀에서 점프, 텀블링, 스턴트, 바스켓 토스, 피라미드 및 군중 참여 섹션의 요소를 포함하는 2분 30초 길이의 루틴을 안무해야 한다. 이러한 대회에서 우승하는 것은 매우 권위 있는 업적으로 여겨지며, 대부분의 학교에서 또 다른 전국 타이틀로 간주된다.
3. 2. 클럽 치어리딩 (올스타 치어리딩)

"올스타" 또는 클럽 치어리딩은 학교나 사이드라인 치어리딩과 다르다. 올스타 팀은 다른 스포츠 팀을 응원하는 대신, 오로지 경쟁 루틴을 수행하는 데 집중하기 때문이다. 올스타 치어리더는 개인 소유의 체육관이나 클럽의 회원이며, 체조 체육관과 유사하게 일반적으로 회비나 수업료를 지불한다.
1980년대 초, 학교나 스포츠 리그와 관련이 없는 치어리딩 팀이 등장하기 시작했는데, 이들의 주된 목표는 경쟁이었다. 스스로를 올스타라고 부른 최초의 단체는 1982년에 설립된 버지니아주 리치몬드의 Q94 로커스였다.[44] 1987년 이전에 경쟁했던 올스타 팀은 학교 및 스포츠 리그를 대표하는 팀과 동일한 디비전에 배치되었다. 1986년, 전미 치어리더 협회(NCA)는 후원하는 학교나 운동 협회가 없는 팀을 위한 별도의 디비전을 만들어 이 상황을 해결했다. 이를 올스타 디비전이라고 부르고 1987년 대회에서 처음 선보였다. 이 유형의 팀 인기가 높아지면서, 더 많은 팀이 결성되어 다양한 조직과 회사에서 주최하는 대회에 참가했는데, 각 조직은 자체적인 규칙, 규정 및 디비전을 사용했다. 이러한 상황은 코치와 체육관 소유주에게 우려 사항이 되었는데, 일관성이 없었기 때문에 코치들은 루틴을 끊임없이 변화시켜야 했고, 이는 기술 개발과 선수 개별 지도를 위해 더 잘 활용될 수 있는 시간을 빼앗았다. 더욱 중요한 것은, 다양한 회사들이 경쟁 우위를 차지하기 위해 끊임없이 경쟁했기 때문에 안전 기준이 점점 더 완화되었다는 것이다. 어떤 경우에는 자격이 없는 코치와 경험이 부족한 팀이 이러한 확장된 규칙의 결과로 위험한 스턴트를 시도하기도 했다.[45]
미국 올스타 연맹(USASF)은 2003년, 올스타 치어리딩의 전국적인 관리 기구 역할을 하고 연맹에서 승인하는 모든 대회에서 따라야 할 표준 규칙 및 심사 기준을 만들기 위해 경쟁 회사들에 의해 설립되었다. 스포츠를 성장시키고 더 많은 수준 높은 팀을 위한 기회를 만들고자 하는 열망으로, USASF는 2004년 4월 24일 첫 치어리딩 월드를 개최했다.[45] 동시에, 전국 각지의 치어리딩 코치들은 동일한 규칙 제정 목적으로 스스로를 조직하여, 전국 올스타 치어리딩 코치 회의(NACCC)라고 불렀다. 2005년, NACCC는 USASF에 흡수되어 규칙 제정 기구가 되었다.[44] 2006년 말, 미국 올스타 연맹(USASF)은 현재 전 세계 클럽 치어리딩을 관리하는 국제 올스타 연맹(IASF)의 설립을 지원했다.

USASF가 승인하는 올스타 치어리딩은 5~36명의 여성 및 남성으로 구성된 팀이 참여한다. 올스타 치어리더는 팀의 연령, 규모, 참가자의 성별 및 능력 수준을 기준으로 그룹화된 디비전에 배치된다. 연령대는 4세 미만에서 18세 이상까지 다양하다. 팀은 다양한 경쟁 출전을 위해 일 년 내내 준비하지만, 실제 루틴을 수행하는 시간은 팀 루틴 동안 최대 2분 30초이다. 팀이 참가하는 대회의 수는 팀마다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팀은 일 년에 6~10개의 대회에 참가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대회에는 일반적으로 학교 체육관이나 지역 행사장에서 열리는 지역 또는 지역 대회, 미국 전역의 대규모 행사장에서 열리는 전국 대회, 그리고 플로리다주 올랜도의 월트 디즈니 월드에서 열리는 치어리딩 월드가 포함된다. 경쟁 루틴 동안, 팀은 자신만의 맞춤 음악에 맞춰 세심하게 안무된 스턴트, 텀블링, 점프 및 댄스를 수행한다. 팀은 8카운트 시스템으로 루틴을 만들고 이를 음악에 적용하여 팀원들이 정확한 타이밍과 동기화로 요소를 실행하도록 한다.
올스타 치어리더는 개인 이벤트 제작 회사에서 주최하는 대회에서 경쟁하며, 그중 가장 대표적인 회사는 Varsity Spirit이다. Varsity Spirit는 The National Cheerleader's Association, The Universal Cheerleader's Association, AmeriCheer, Allstar Challenge, JamFest 등 많은 자회사의 모회사이다. 각 개별 회사 또는 자회사는 일반적으로 자체적인 지역 및 전국 수준의 대회를 주최한다. 즉, 동일 지역 내의 많은 체육관이 같은 해에 주 및 전국 챔피언이 될 수 있지만, 서로 경쟁한 적이 없을 수 있다. 현재, 단 하나의 주 또는 전국 타이틀만 수여하는 시스템은 없다.
대회의 심판은 그룹 또는 개별 구성원의 불법 기술을 면밀히 관찰한다. 여기서 불법 기술은 난이도 또는 안전 제한으로 인해 해당 디비전에서 허용되지 않는 기술이다. 그들은 스턴트 드롭이나 착지에 성공하지 못한 텀블러와 같은 감점 사항, 또는 잘못된 점을 찾는다. 더 일반적으로, 심판은 점프, 스턴트 및 텀블링의 난이도와 실행, 동기화, 창의성, 동작의 날카로움, 쇼맨십 및 전반적인 루틴 실행을 관찰한다.
레벨 6 또는 7 팀이 선택된 미국 올스타 연맹(USASF/IASF) 승인 전국 대회에서 충분히 높은 순위를 차지하면, 미국 올스타 연맹(USASF) 치어리딩 월드에서 자격을 얻어 전 세계 팀과 경쟁할 수 있으며, 순위에 따라 상금을 받을 수 있다.[3] 엘리트 레벨 치어리더에게 치어리딩 월드는 그들이 도달할 수 있는 최고 수준의 경쟁이며, 월드 챔피언십 타이틀을 획득하는 것은 놀라운 영예이다.
3. 3. 프로 치어리딩
미국에서는 1950년대에 프로 치어리딩이 시작되었다. 내셔널 풋볼 리그(NFL) 역사상 최초의 치어리딩 스쿼드는 볼티모어 콜츠 소속이었다.[4][27] 당시 프로 치어리더는 주로 여성으로 구성되었으며, 춤 실력뿐 아니라 이성애자 남성 관객의 시선에 부합하는 외모 역시 중요한 선발 기준으로 작용했다.[28]1970년대에는 댈러스 카우보이스 치어리더가 노출이 있는 의상과 정교한 춤 동작으로 큰 주목을 받았다. 이들은 1972-1973 시즌에 데뷔하여 슈퍼볼 X (1976)를 통해 널리 알려졌으며, 이 시기 프로 치어리더는 '건전한 성적 매력의 미국 아이콘'으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18] 1981년까지 총 17개의 NFL 팀이 자체 치어리더를 보유하게 되었고, 프로 치어리딩은 미식축구뿐 아니라 농구 등 다른 프로 스포츠로도 점차 확산되었다. 2003년에는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LB)의 플로리다 말린스(현 마이애미 말린스) 소속 '마린 머메이드'가 데뷔하여 전국적인 인지도를 얻었고, 이는 다른 MLB 팀들이 자체 치어/댄스 팀을 만드는 데 영향을 미쳤다. 2019년에는 나폴레옹 지니(Napoleon Jinnies)와 퀸턴 페론(Quinton Peron)이 슈퍼볼에서 공연한 최초의 남성 치어리더가 되었다.


대한민국에서는 1980년대 프로 스포츠가 시작되면서 함께 프로 치어리딩이 등장했다. 2000년대 중반까지는 주로 야구 경기 응원의 보조적인 역할을 수행했으나, 2000년대 후반 프로야구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박기량, 김연정 등 스타 치어리더들이 등장하며 주목받기 시작했다. 현재는 대한민국의 4대 프로 스포츠(야구, 축구, 배구, 농구) 모든 구단이 응원단을 운영하고 있다.
프로 치어리더와 댄서는 미식축구, 농구, 야구, 프로레슬링, 하키 등 다양한 프로 스포츠 경기에서 응원을 주도한다. 경기 응원 외에도 자선 활동 및 자선 사업 참여, 모델 활동, 동기 부여 연설, 텔레비전 출연, 광고 활동 등 다양한 분야에서도 활동한다.
전 세계적으로 여러 프로 치어리딩 리그가 존재하며, 대표적으로 NBA 치어리딩 리그, NFL 치어리딩 리그, CFL 치어리딩 리그, MLS 치어리딩 리그, MLB 치어리딩 리그, NHL 아이스 걸 등이 있다. 하지만 아직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지는 않았다.[46]
4. 치어리딩의 요소
치어리딩은 응원 구호 외에도 다양한 기술적 요소들을 포함한다. 특히 1980년대 현대 치어리딩이 시작되면서 어려운 스턴트 시퀀스와 체조(텀블링 포함) 기술이 루틴에 중요한 요소로 추가되었다. 이러한 요소들은 치어리딩을 더욱 역동적이고 경쟁적으로 만들었다.
그러나 고난도 기술, 특히 스턴트와 텀블링은 부상 위험을 동반하여 안전에 대한 우려를 낳았다. 이에 미국 치어리딩 코치 및 자문 협회(AACCA)와 같은 단체들은 부상자 수를 줄이기 위해 안전 기준을 적용하기 시작했으며,[38] 특정 고난도 스턴트나 텀블링 기술은 경기 중 수행이 제한되기도 한다.[38] 예를 들어, 농구 경기 중에는 바스켓 토스, 특정 높이 이상의 피라미드, 일부 텀블링 기술 등이 하프타임이나 경기 종료 후 매트 위에서만 허용되도록 규칙이 개정되었다.[38]
이 외에도 점프, 댄스, 그리고 통일된 동작(모션) 등이 치어리딩을 구성하는 주요 기술들이다. 각 기술 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이어지는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4. 1. 스턴트
스턴트(Stunt)는 사람이 사람 위에 올라가거나 공중에 던져지는 아크로바틱 기술로, 일종의 그룹 체조와 유사하다. 한 명 또는 여러 명의 베이스가 경기장 바닥보다 높은 위치에서 톱(플라이어)을 받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스턴트를 구성하는 주요 포지션은 다음과 같다.
포지션 | 설명 |
---|---|
톱 (플라이어) | 스턴트의 가장 위에서 중심을 잡고 다양한 동작을 수행하는 사람. |
베이스 | 스턴트의 아래에서 톱(플라이어)을 직접 받치거나 들어 올리는 사람. 그룹 스턴트에서는 일반적으로 메인 베이스와 서브 베이스로 나뉘어 2명이 담당한다. |
스폿(스포터) | 스턴트의 앞이나 뒤에서 균형을 잡는 것을 돕고, 톱(플라이어)이 떨어질 경우 안전하게 받아주는 역할을 하는 사람. 주로 키가 큰 사람이 맡는다. |
스턴트는 치어리딩에서 발생하는 부상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며, 때로는 피라미드라고도 불린다.[47] 이러한 스턴트는 스포츠 경기 응원, 행사 공연, 그리고 치어리딩 대회에서 수행된다. 특히 경쟁 루틴에서는 어렵고 위험한 스턴트가 강조되기도 한다. 치어리딩 관련 부상 중 가장 흔한 것은 뇌진탕이며, 뇌진탕 발생의 96%가 스턴트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7]
스턴트의 위험성은 여러 사고를 통해 알려졌으며, 이는 안전 규정 강화로 이어졌다. 2006년 서던 일리노이 대학교 치어리더 크리스티 야마오카(Kristi Yamaoka)가 스턴트 도중 추락하여 척추 골절 등 심각한 부상을 입는 사고가 발생하자,[35][36][37] 미주리 밸리 컨퍼런스는 특정 스턴트를 일시적으로 금지했고, NCAA는 농구 경기 중 2.5단 이상 높이의 피라미드와 바스켓 토스라고 알려진 스턴트를 허용하지 않도록 권고했다.[38] 이후 2006년 7월 11일, 미국 치어리딩 코치 및 자문 협회(AACCA)는 농구 경기 중 특정 고난도 기술을 영구적으로 제한하는 안전 규칙 개정을 만장일치로 통과시켰다. 이에 따라 바스켓 토스, 2.5단 높이 피라미드, 한 팔 스턴트, 몸을 비틀거나 뒤집는 스턴트 등은 하프타임이나 경기 종료 후 매트가 깔린 표면에서만 수행할 수 있게 되었고, 경기 중이나 타임아웃 중에는 금지되었다.[38]
4. 2. 텀블링
텀블링은 경기장 바닥에서 시작하여 경기장 바닥에서 끝나는 체조 기술을 말하며, 백 텀블링과 같은 아크로바틱 기술이 포함된다. 1980년대 현대 치어리딩이 시작되면서 어려운 스턴트 시퀀스와 함께 체조 기술이 루틴에 추가되었는데, 텀블링은 이러한 체조 기술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치어리딩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위험한 스턴트나 피라미드와 함께 텀블링 패스가 루틴에 포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 기준이 마련되기도 했다. 특히 크리스티 야마오카의 부상 사고 이후, 미국 치어리딩 코치 및 자문 협회(AACCA)는 농구 경기 중에는 텀블링 꼬기 기술과 같은 특정 상위 레벨 기술을 매트가 깔린 표면에서 하프타임이나 경기 종료 후에만 수행하도록 제한했다.[38]
현대 남성 치어리더의 경우, 유연성보다는 텀블링, 플립, 파이크, 물구나무서기와 같이 강한 다리와 코어 근력을 요구하는 기술에 더 중점을 두는 경향이 있다.
텀블링은 어린 학생들도 비교적 쉽게 배울 수 있어 초등학교 치어리딩에서도 활용되며[39], 중학교 치어리더는 지역 규정에 따라 고등학교 팀보다 덜 격렬한 텀블링 기술을 선보일 수 있다. 고등학교 팀의 경우, 정규 연습 외에 별도의 텀블링 세션에 참여하기도 한다.
4. 3. 점프
점프는 치어리딩의 주요 기술 요소 중 하나이다. 대학 수준의 치어리딩 대회에서는 팀이 텀블링, 스턴트, 바스켓 토스, 피라미드 등과 함께 점프 기술을 포함한 루틴을 구성하여 선보인다.4. 4. 댄스
댄스는 치어리딩 루틴을 구성하는 주요 요소 중 하나이다. 이는 스턴트, 텀블링, 점프, 모션 등 다른 기술들과 함께 사용되어 공연의 완성도를 높인다.특히 프로 스포츠 팀의 치어리더들은 종종 정교하고 역동적인 댄스 공연을 선보인다. 예를 들어, 댈러스 카우보이스 치어리더는 1980년대부터 활발한 활동을 펼쳐왔으며, 2003년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LB)의 "마린 머메이드" 데뷔 이후 다른 MLB 팀들도 자체 치어/댄스 팀을 만드는 데 영향을 받았다.
4. 5. 모션
치어리딩의 기본 요소 중 하나로, 팔과 다리를 이용한 명확하고 절도 있는 동작을 의미한다. 이는 팀 전체의 통일성과 에너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표현 수단이다.5. 관련 단체 및 대회
치어리딩의 조직화는 20세기 초반부터 시작되어, 1903년에는 최초의 치어리딩 프래터니티인 감마 시그마가 설립되었다.[17] 현대적인 치어리딩 단체의 중요한 시작점 중 하나는 1951년 로렌스 허키머가 설립한 전국 치어리더 협회(National Cheerleading Association, NCA)이다.[15] NCA는 치어리딩 기술 보급과 교육을 위해 전국적인 워크숍을 개최하는 등 활동을 펼쳤다.[6]
1965년, 프레드 개스토프는 비닐 폼폼을 발명했고, 이는 국제 치어리딩 재단(ICF, 현재는 세계 치어리딩 협회, WCA)에 의해 대회에 도입되었다. 이를 계기로 조직화된 치어리딩 대회가 나타나기 시작했으며, ICF는 1967년 처음으로 대학 치어리딩 스쿼드 순위를 발표하고 관련 상을 수여했다.
경쟁적인 치어리딩이 대중에게 널리 알려지기 시작한 것은 1978년 CBS에서 대학 치어리딩 선수권 대회를 처음 방송하면서부터이다.[16][17] 이후 1983년에는 ESPN이 전국 고등학교 치어리딩 대회를 전국적으로 방송하며 대중화에 기여했다. 1980년대에는 학교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올스타 팀들이 등장하기 시작했으며, 이는 이후 미국 올스타 연맹(U.S. All Star Federation, USASF)의 창설로 이어졌다.
치어리딩 기술이 점차 고난도로 발전하면서 부상 위험도 증가함에 따라 안전 기준 마련의 중요성이 커졌다. 1987년 설립된 미국 치어리딩 코치 및 자문 협회(American Association of Cheerleading Coaches and Advisors, AACCA)는 안전 기준을 적용하기 시작했으며, 2003년에는 전국 정신 안전 및 교육 위원회(National Council for Spirit Safety and Education, NCSSE)가 결성되어 다양한 수준의 코치들에게 안전 교육을 제공했다. 현재 전미 대학 체육 협회(NCAA)는 대학 치어리딩 코치에게 공인된 안전 교육 프로그램 이수를 의무화하고 있다.
프로 스포츠 분야에서도 치어리딩은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게 되었다. 내셔널 풋볼 리그(NFL)에서는 1950년대 볼티모어 콜츠를 위한 스쿼드가 창설된 것을 시작으로[4][27] 많은 팀들이 자체 치어리더를 운영하게 되었다. 특히 1970년대 댈러스 카우보이스 치어리더는 뛰어난 댄스 실력과 함께 대중적인 인기를 얻으며 프로 치어리딩의 상징적인 존재가 되었다.[18] 프로 치어리딩은 미식축구뿐만 아니라 농구(NBA), 야구(MLB), CFL, MLS, 아이스하키(NHL) 등 다양한 프로 스포츠 리그로 확산되었다.[46] 이러한 프로 치어리더들은 경기 응원 외에도 자선 활동, 모델 활동, 방송 출연 등 다양한 활동을 하기도 한다.
현재 치어리딩은 다양한 국제 및 국내 단체들에 의해 관리되고 있으며, 세계 선수권 대회를 비롯한 여러 수준의 대회가 개최되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 참조)
5. 1. 국제 단체
치어리딩을 관장하는 여러 국제 경기 연맹이 존재한다.'''국제 치어 연맹 (International Cheer Union, ICU)'''[60]
최대 세력은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 승인 국제 경기 연맹인 국제 치어 연맹(ICU)이다.[60] 2004년 4월 26일에 설립된 ICU는 스포츠어코드로부터 치어리딩의 세계 기구이자 관련 문제에 대한 권위자로 인정받았다. 2013년 5월 31일에는 스포츠어코드의 109번째 회원이자 93번째 국제 스포츠 연맹으로 가입했다. ICU는 전 세계 105개 회원 국가 연맹과 약 350만 명의 선수를 아우르며, 치어리딩 발전을 위한 통합된 목소리를 내고 있다.[60] ICU는 세계 반도핑 기구 (WADA) 규정을 준수한다. 또한, 심판 및 코치 교육 세미나, 글로벌 행사, 그리고 매년 월트 디즈니 월드 리조트에서 세계 치어리딩 선수권 대회를 개최한다.[70] 치어리딩이 올림픽 정식 종목이 되기 위한 잠정적 지위를 얻음에 따라, ICU는 세계 선수권 대회에 주니어 팀(12~16세) 부문을 도입했다.[61] 2015년 4월, 스포츠어코드(현 GAISF) 이사회는 치어리딩의 국제 경기 연맹을 ICU로 결정했다.
'''국제 치어리딩 연맹 (International Federation of Cheerleading, IFC)'''[62]
1998년 7월 5일에 설립되었으며, 일본 도쿄에 본부를 둔 비영리 연맹이다. 주로 아시아 지역에서 치어리딩의 세계 기구 역할을 하며, 치어리딩 보급과 회원 단체 간 우호 증진을 목표로 한다.[62] IFC는 격년으로 치어리딩 세계 선수권 대회(CWC)를 개최해왔다.[68][69] 과거 세계 댄스 스포츠 연맹(WDSF)에 가맹했으나, 2019년 1월에 탈퇴했다.
'''미국 올스타 연맹 (U.S. All Star Federation, USASF) / 국제 올스타 연맹 (International All-Star Federation, IASF)'''
USASF는 2003년, 경쟁적인 올스타 치어리딩의 규칙과 심사 기준 통일 및 안전 기준 강화를 위해 여러 경쟁 회사들에 의해 설립된 미국 내 관리 기구이다.[45] 이후 2006년 말, USASF는 전 세계 클럽 치어리딩(올스타 치어리딩)을 관리하는 국제 올스타 연맹(IASF)의 설립을 지원했다. USASF/IASF는 매년 플로리다주 올랜도의 월트 디즈니 월드 리조트에서 치어리딩 월드(The Cheerleading Worlds)를 개최한다.[45][74][75] 이 대회는 올스타/클럽 치어리딩만을 위한 최고 수준의 경쟁 무대로 여겨지며, 레벨 6과 7 팀 중 초청받은 팀만이 참가할 수 있다.[3]
'''미국 치어 (USA Cheer)'''[63]
2007년에 설립된 USA Cheer는 미국 내 모든 유형의 치어리딩(클럽, 학교 기반, STUNT 등)을 위한 국가 기구 역할을 하는 비영리 단체이다. ICU로부터 미국 대표 기구로 인정받고 있으며, 미국 내 치어리딩 참여 증진, 안전 및 교육 강화, 국제 대회 미국 대표팀(USA National Team) 조직 등을 목표로 한다.[63] 2018년에는 미국 치어리딩 코치 및 자문 협회(AACCA)를 흡수하여 안전 지침과 교육을 제공하고 있다.[64]
5. 2. 대한민국 단체
대한민국의 치어리딩을 대표하는 단체 중 하나로 대한치어리딩협회가 있다. 이 협회는 국제 치어리딩 연맹(International Cheer Union|국제 치어리딩 연맹eng, ICU)에 가입하여 활동하고 있다.ICU는 2004년 4월 26일에 설립되었으며, 스포츠어코드로부터 치어리딩 종목의 세계 기구로 공식 인정받은 단체이다.[60] ICU는 전 세계 105개 회원 국가 연맹을 포함하며, 치어리딩의 발전을 위한 국제적인 협력과 표준 마련에 힘쓰고 있다.[60] 대한치어리딩협회 역시 이러한 국제적인 흐름에 발맞추어 활동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5. 3. 주요 대회
치어리딩은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형태의 대회를 통해 경쟁이 이루어지고 있다. 주요 국제 대회로는 국제 치어 연합(ICU)과 미국 올스타 연맹(USASF)/국제 올스타 연맹(IASF)이 주관하는 대회가 있으며, 각 대륙 및 국가별로도 활발하게 대회가 개최되고 있다.'''국제 대회'''
- '''ICU 세계 선수권 대회''':[70] 2004년 설립된 국제 치어 연맹(ICU)은 스포츠어코드와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로부터 치어리딩의 세계 기구로 인정받고 있으며, 105개 이상의 회원국을 보유하고 있다.[60] ICU는 매년 월트 디즈니 월드에서 세계 치어리딩 선수권 대회를 개최한다. 이 대회는 대학 스타일의 퍼포먼스와 규칙을 따르며, 각 국가는 한 팀의 국가대표팀만을 파견할 수 있다. 2013년부터는 올림픽 정식 종목 진입을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주니어 부문(12~16세)도 도입되었다.[61]

- '''더 치어리딩 월드 (The Cheerleading Worlds)''':[74][75] 미국 올스타 연맹(USASF)과 국제 올스타 연맹(IASF)이 주관하는 대회로, 올스타/클럽 치어리딩만을 대상으로 한다. 2004년 처음 개최되었으며, 매년 월트 디즈니 월드 리조트에서 열린다. 레벨 6과 7의 팀만이 참가할 수 있으며, USASF/IASF가 승인한 파트너 대회를 통해 출전 자격(초청)을 얻어야 한다.[3] 이 대회에서 우승하는 것은 엘리트 레벨 올스타 치어리더들에게 최고의 영예로 여겨진다.
- '''IFC 치어리딩 세계 선수권 대회 (CWC)''':[68] 1998년 설립된 국제 치어리딩 연맹(IFC)이 주관하는 대회이다. IFC는 주로 아시아 지역을 기반으로 활동하며,[62] CWC는 2001년부터 격년으로 개최되어 왔다. 일본, 영국, 핀란드, 독일, 홍콩 등에서 대회가 열렸다.[69]
'''지역 및 국가별 주요 대회'''
- '''미국''': 미국 내에서는 수많은 치어리딩 대회가 열리며, 특히 Varsity Brands 산하의 회사들이 주관하는 대회가 큰 비중을 차지한다.[76][77]
- '''전국 치어리더 협회(NCA)''': 1948년 로렌스 허키머가 설립한 가장 오래된 치어리딩 회사 중 하나이다.[80] 매년 텍사스주 댈러스에서 고등학교 및 올스타 내셔널 챔피언십을, 플로리다주 데이토나 비치에서 대학 내셔널 챔피언십을 개최한다.
- '''유니버설 치어리더 협회(UCA)''':[81] 1974년 제프 웹이 설립했으며, 월트 디즈니 월드 리조트에서 고등학교, 올스타, 대학 내셔널 챔피언십을 개최한다. 이 대회들은 ESPN에서 방송된다.
- '''기타 Varsity Brands 산하 대회''': Americheer,[78] CHEERSPORT, JAM Brands,[79] 유나이티드 스피릿 협회(USA)[82] 등 다수의 회사가 자체적인 지역 및 전국 대회를 운영한다. The U.S. Finals는 여러 파트너 회사의 대회에서 입찰을 받은 팀들이 참가하는 최종 대회 형식으로 운영된다.
- '''아시아''':
- '''아시아 태국 치어리딩 인비테이셔널 (ATCI)''':[66] 태국 치어리딩 협회(CAT)가 국제 치어리딩 연맹(IFC) 규정에 따라 매년 주최한다. 태국 팀들과 초청된 주변국 팀들이 참가한다.
- '''치어리딩 아시아 인터내셔널 오픈 챔피언십 (CAIOC)''':[67] 일본 치어리딩 협회 재단(FJCA)이 국제 치어리딩 연맹(IFC) 규정에 따라 매년 도쿄에서 주최하며, 아시아 여러 국가의 팀들이 참가한다.
- '''일본''': 일본 치어리딩 협회(FJCA)가 주관하는 '''JAPAN CUP 치어리딩 일본 선수권 대회'''가 대표적이다. 또한 Cheer & Dance Education(USA 재팬)[143]과 일본 스포츠 치어&댄스 연맹(치어 재팬)도 자체적인 전국 대회를 개최하고 국제 대회 참가자를 선발한다.
- '''기타 국가 및 지역''':
- '''전국 치어리딩 선수권 대회 (NCC, 인도네시아)''':[71] 인도네시아 치어리딩 커뮤니티(ICC)가 주최하는 국제 치어리딩 연맹(IFC) 공인 대회로, 2010년부터 국제 대회로 개방되었다.[72]
- '''범아메리카 치어리딩 선수권 대회 (PCC)''':[73] 범아메리카 치어리딩 연맹(PFC)이 주최하는 국제 치어리딩 연맹(IFC) 산하의 대륙 선수권 대회로, 2년마다 개최된다.
- '''멕시코''': 멕시코 치어리더 및 치어리딩 그룹 연맹(FMPGA)이 국내 대회를 주관하며, 멕시코는 국제 대회에서도 우수한 성적을 거두고 있다.[135]
대한민국 내 치어리딩 대회에 대한 정보는 원본 소스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
6. 안전 문제 및 스포츠 인정 논란
치어리딩은 활기차고 역동적인 모습 이면에 심각한 안전 문제와 공식적인 스포츠 인정 여부에 대한 지속적인 논쟁을 안고 있다. 특히 고난도의 스턴트와 아크로바틱 기술이 도입되면서, 참여 선수들의 참혹한 부상 발생 위험이 다른 여러 스포츠 종목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다.[47][48][49] 이는 치어리딩 활동의 안전 관리 및 예방 대책 마련의 중요성을 부각시킨다.
이와 더불어 치어리딩을 공식적인 '스포츠'로 분류할 것인가에 대한 논의도 활발하다. 미국에서는 이러한 논쟁이 교육 분야에서의 성차별을 금지하는 연방 법률인 Title IX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진행되어 왔다.[83] 치어리딩이 Title IX의 적용을 받는 스포츠로 인정될 경우, 학교 내에서의 예산 배분, 시설 이용, 장학금 지급 등 선수들의 지위와 활동 환경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러나 치어리딩의 경쟁 방식, 주관적 채점 요소, 모든 팀의 경쟁 참여 여부 등을 이유로 스포츠 인정에 대한 찬반 의견이 엇갈리고 있으며[86][87][88], 관련 기관 및 법원의 판단도 일관되지 않은 모습을 보여왔다.[91][93] 이러한 안전 문제와 스포츠 인정 논란은 치어리딩의 발전 방향과 선수 보호를 위해 지속적으로 논의되고 해결해야 할 중요한 과제로 남아있다.
6. 1. 부상 위험
치어리딩은 미국의 고등학교와 대학 스포츠에서 여성 선수에게 가장 높은 비율의 참혹한 부상을 안겨주는 활동 중 하나이다.[47] 미국 내 약 290만 명의 여성 고등학교 선수 중 치어리더는 3%에 불과하지만, 치어리딩은 여자 고등학교 운동선수에게 발생하는 모든 참혹한 부상의 거의 65%를 차지한다.[48] 1982-83학년도부터 2018-19학년도까지의 미국 데이터를 보면, 고등학교 여성 치어리더의 심각하고 직접적인 외상성 부상 발생률은 참가자 10만 명당 1.68건으로, 조사된 모든 고등학교 스포츠 중 가장 높았다.[49] 대학 치어리더의 경우 정확한 부상률은 파악하기 어렵지만, 같은 기간 동안 발생한 외상성 직접 참혹 부상은 총 33건(여성 28명, 남성 5명)으로, 이는 대학 수준의 모든 스포츠(미식축구 제외)보다 높은 수치이다.[49] 또한 1982년과 2007년 사이 여성 고등학교 선수에게 발생한 103건의 치명적이거나 장애를 유발하는 심각한 부상 중 대다수인 67건이 치어리딩에서 발생했다.[50]부상의 주요 원인은 스턴트이며, 이는 흔히 피라미드라고도 불린다. 이러한 스턴트는 경기, 응원 행사, 대회 등에서 수행되며, 때로는 경쟁 루틴에서 어렵고 위험한 스턴트가 집중적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스턴트는 일반적으로 맨 위에 위치하는 플라이어, 아래에서 지지하는 1~2명의 베이스, 그리고 앞뒤에서 보조하는 1~2명의 스포터로 구성된다. 치어리딩 관련 부상 중 가장 흔한 것은 뇌진탕으로, 전체 뇌진탕의 96%가 스턴트와 관련하여 발생한다.[47] 그 외에도 발목 염좌, 손목 염좌, 허리 부상, 머리 부상(뇌진탕 포함), 팔 골절, 팔꿈치 부상, 무릎 부상, 코뼈 골절, 쇄골 골절 등 다양한 부상이 발생할 수 있다.[51][52] 심각한 경우 채찍질 손상, 목 골절, 척추 골절, 심지어 사망에 이르는 경우도 있다.[53]
의학 저널 ''소아과학''은 1990년부터 2002년 사이 치어리더의 뼈 골절, 뇌진탕, 염좌 발생 건수가 100% 이상 증가했으며, 2001년 한 해에만 어깨, 발목, 머리, 목 부상으로 25,000건의 병원 방문이 보고되었다고 밝혔다.[54] 미국에서는 1982년부터 2007년까지 치어리딩이 고등학교 여성 선수에게 발생한 모든 주요 신체 부상의 65.1%, 대학생의 신체 활동으로 인한 주요 부상의 66.7%를 차지했으며, 2002년에는 22,900명의 미성년자가 치어리딩 관련 부상으로 병원 치료를 받았다.[55][56]
치어리딩의 위험성은 2008년 로렌 창(Lauren Chang)의 사망 사건으로 더욱 부각되었다. 창은 대회 중 팀원이 실수로 가슴을 너무 세게 차 폐가 붕괴되어 사망했다.[57]
치어리딩(남녀 모두 포함)은 2009/10년부터 2012/13년까지 콜로라도 공중 보건 학교의 소아 부상 예방, 교육 및 연구 프로그램에서 연구된 스포츠 중 하나였으며,[58] 2012-13년 보고서에는 치어리딩 부상 관련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59] 아크로바틱 기술 수행 중 사고 발생 가능성이 있으므로, 위험 방지를 위해 적절한 지도와 감독이 필수적이다.[144]
6. 2. 스포츠 인정 논란 (Title IX)
미국에서 치어리딩의 '스포츠' 지정 여부는 Title IX 때문에 중요한 문제이다. Title IX는 1972년 미국 교육 개정안의 일부로, 교육 프로그램에서 성별에 따른 차별을 금지하는 연방 법률이다. 치어리딩이 Title IX의 목적상 스포츠로 간주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은 계속되고 있으며[83], 이는 각 교육 기관이 치어리딩을 어떻게 대하고 조직하는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일부 학교는 치어리딩을 스포츠로 인정하지 않아 선수들에게 동등한 기회를 제공하지 못한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시민권 사무소(OCR)는 여러 차례 학교에 공문을 보내 치어리딩(사이드라인 응원과 경쟁 치어리딩 모두 포함)이 Title IX의 목적상 "운동 프로그램"으로 간주될 수 없다는 입장을 표명했다.[83] 치어리딩 지지자들은 활동에 필요한 높은 수준의 운동 능력[84][85]을 근거로 스포츠로 인정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반면, 비판자들은 모든 치어리딩 팀이 경쟁에 참여하는 것은 아니며, 체조, 다이빙, 피겨 스케이팅과 같이 점수 판정이 객관적인 기록 측정이 아닌 심판의 주관적 판단에 의존한다는 점 등을 들어 스포츠보다는 신체 활동으로 분류해야 한다고 주장한다.[86][87][88]
OCR의 주요 관심사는 교육 기관들이 Title IX를 준수하여 성별에 관계없이 모든 학생에게 동등한 운동 기회를 제공하도록 하는 것이었다.[89] OCR은 치어리딩이 아직 대학 수준의 스포츠로 인정받을 만큼 충분히 발전하거나 조직화되지 않았다고 판단했지만, 이는 절대적인 기준은 아니었으며 각 사례별로 검토되었다.[90] 결과적으로 Title IX에 따른 치어리딩의 지위는 지역이나 학교의 운영 방식에 따라 달라졌고, OCR은 스포츠 인정 여부에 대한 명확한 지침을 제공하지 않았다.
법원의 판결은 엇갈리는 양상을 보였다. 2009년 1월 27일, 위스콘신 대법원은 치어리딩 연습 중 발생한 부상과 관련된 소송에서 치어리딩을 해당 주 법률상 풀 컨택트 스포츠로 인정했다. 이에 따라 참가자들은 활동 중 발생한 우발적인 부상에 대해 서로 소송을 제기할 수 없게 되었다.[91][92] 그러나 2010년 7월 21일, 코네티컷 연방 지방 법원은 퀴니피악 대학교 관련 소송에서 대학 경쟁 치어리딩이 Title IX의 목적상 스포츠로 인정될 수 없다고 판결했다. 법원은 당시 치어리딩 프로그램의 발전 및 조직화 수준이 미흡하다는 점을 지적했다.[93]
전미 대학 체육 협회(NCAA) 역시 치어리딩을 공식 스포츠로 인정하지 않는다.[94] 이로 인해 NCAA 소속 대부분의 대학 치어리딩 팀들은 학교로부터 충분한 재정 지원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으며, 선수들은 운동 특기자 장학금 혜택을 받기 어렵다.[96] 반면, 2014년 미국 의학 협회(AMA)는 치어리딩이 고등학교 및 대학 여성 운동선수들 사이에서 발생하는 심각하거나 치명적인 부상의 주요 원인 중 하나임을 지적하며, 안전 관리 및 예방 조치 강화를 위해 치어리딩을 스포츠로 지정해야 한다는 정책을 채택했다.[95]
2010년의 비에디거 대 퀴니피악 대학교 소송은 Title IX에 따른 스포츠 인정 기준을 명확히 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97] 당시 퀴니피악 대학교는 여자 배구팀을 해체하고 그 자리에 경쟁 치어리딩 팀을 신설하려 했으나, 법원은 이것이 Title IX에서 요구하는 여성 운동선수에 대한 동등한 기회 제공 원칙에 부합하지 않으며, 현재의 경쟁 치어리딩은 Title IX 목적상 스포츠로 간주될 수 없다고 판결했다.
이 판결 과정에서 법원은 Title IX 준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세 갈래 접근법(Three-Part Test)을 제시했으며, 이는 이후 OCR의 공식 지침으로 활용되고 있다.[98] 세 갈래 접근법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제1갈래: 대학 스포츠에 참여하는 남녀 학생의 비율이 해당 교육 기관의 전체 남녀 학생 등록 비율과 실질적으로 비례하는가?
# 제2갈래: 해당 기관이 역사적으로 과소 대표되었던 성별(주로 여성)의 운동 참여 기회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왔는가?
# 제3갈래: 해당 기관이 과소 대표된 성별의 운동 능력과 관심사를 충분히 그리고 효과적으로 수용하고 있는가?
이 세 갈래 접근법은 어떤 활동이 Title IX에 따라 스포츠로 인정받기 위해 필요한 요건을 구체적으로 명시한 첫 공식 지침이 되었다.[89] 현재 OCR은 이 기준에 따라 사이드라인 치어리딩과 경쟁 치어리딩 모두를 Title IX 목적상의 스포츠로 인정하지 않고 있다.
7. 치어리딩을 소재로 한 작품
; 텔레비전 드라마
; 애니메이션
; 소설
- 치어 남자!! (아사이 료)
; 만화
- 고텐바 치어리더즈 (소고베 토시노리)
- 고고 다이나마이츠 (코이케 사다지)
- 뱀파이어 치어리더즈 (아담 아놀드 / 시에이 / 마이클 쉘퍼)
- 애니메일! (우노하나 츠카사)
; 뮤지컬
- 나카노 블론디즈 (넬케 플래닝, 2008년 - )
; 라이트 노벨
- 치어스! (아카마츠 츄가쿠)
; 게임
- 치어풀! (희화)
참조
[1]
웹사이트
Cheerleading: number of participants U.S. 2017
https://www.statista[...]
2020-09-15
[2]
웹사이트
The Recognized World Governing Body of Cheerleading: What is the ICU
http://cheerunion.or[...]
2020-09-15
[3]
간행물
A World of Cheer!
http://www.newsweek.[...]
2007-05-14
[4]
웹사이트
History of Cheerleading
http://lshs.leesummi[...]
2007-02-18
[5]
웹사이트
First Intercollegiate Football Game; Princeton.edu
http://www.princeton[...]
princeton.edu
2014-12-16
[6]
웹사이트
History of The Sport of Cheer
https://cheerunion.o[...]
2020-02-02
[7]
뉴스
deadlink
http://theprince.pri[...]
1877-02-22
[8]
뉴스
deadlink
http://theprince.pri[...]
1880-03-12
[9]
뉴스
deadlink
http://theprince.pri[...]
1881-11-04
[10]
웹사이트
Princeton University website Songs and Cheers
http://www.princeton[...]
Princeton.edu
2012-08-01
[11]
문서
Thomas Peebles
https://archive.toda[...]
[12]
웹사이트
International Cheer Union, Governing Body of International Cheerleading Website: History of Cheerleading
http://cheerunion.or[...]
Cheerunion.org
1989-01-01
[13]
뉴스
deadlink
http://theprince.pri[...]
1897-10-26
[14]
뉴스
deadlink
http://theprince.pri[...]
1900-11-01
[15]
웹사이트
Male Cheerleaders
https://cheerleading[...]
2021-04-15
[16]
서적
The Official Cheerleader's Handbook
https://archive.org/[...]
Simon & Schuster
[17]
논문
Cheer Milestones
2005-02
[18]
웹사이트
CheerleaderPedia - the Cheerleader Encyclopedia - Home Page
http://www.cheerlead[...]
2014-11-18
[19]
문서
Go! Fight! Win!: Cheerleading in American Culture.
Bowling Green State Univ. Popular
1995
[20]
문서
Best Cheers: How to Be the Best Cheerleader Ever!
Becker & Mayer
2004
[21]
문서
Chants, Cheers, and Jumps.
Mason Crest
2003
[22]
웹사이트
Cheerleading – Oh How far it has come!
http://www.popwarner[...]
Pop Warner
2007-01-11
[23]
문서
Go! Fight! Win!: Cheerleading in American Culture.
Bowling Green State Univ. Popular
1995
[24]
문서
Go! Fight! Win!: Cheerleading in American Culture.
Bowling Green State Univ. Popular
1995
[25]
웹사이트
Being a Cheerleader - History of Cheerleading
http://www.varsity.c[...]
2017-11-19
[26]
문서
Go! Fight! Win!: Cheerleading in American Culture.
Bowling Green State Univ. Popular
1995
[27]
문서
Chants, Cheers, and Jumps.
Mason Crest
2003
[28]
문서
Go! Fight! Win!: Cheerleading in American Culture.
Bowling Green State Univ. Popular
1995
[29]
웹사이트
Cheerleading Jump Herkie
http://cheerleading.[...]
2007-08-06
[30]
문서
Go! Fight! Win!: Cheerleading in American Culture.
Bowling Green State Univ. Popular
1995
[31]
웹사이트
About the AACCA
http://www.aacca.org[...]
2007-01-11
[32]
웹사이트
Being a Cheerleader – Fundraising
https://www.varsity.[...]
2017-11-19
[33]
문서
Complete Guide to Cheerleading: All the Tips, Tricks, and Inspiration
Voyageur
2011
[34]
뉴스
2 NFL Male LA Rams Cheerleaders Will Make Football History in Super Bowl Game : NPR
https://www.npr.org/[...]
2021-04-15
[35]
웹사이트
Injured Cheerleader Defends Dangerous Stunts
https://abcnews.go.c[...]
2017-11-19
[36]
뉴스
Cheer Bans continue
http://www.athleticm[...]
2010-05-05
[37]
웹사이트
Cheerleader worried for team, not herself
http://www.msnbc.msn[...]
2007-09-29
[38]
웹사이트
Cheerleading programs going all-out for safety
http://www.aacca.org[...]
2006-12-19
[39]
웹사이트
Elementary School Cheerleading
https://cheerleading[...]
2021-04-01
[40]
웹사이트
Junior High Cheer
https://www.usacheer[...]
2021-12-14
[41]
웹사이트
NFHS.org
http://www.nfhs.org/[...]
[42]
웹사이트
Varsity.com
http://uca.varsity.c[...]
Universal Cheerleaders Association (UCA)
2008-12-07
[43]
웹사이트
Cheerleading
http://www.livebinde[...]
2017-11-19
[44]
간행물
The All-Star Chronicles
2007-02
[45]
웹사이트
The Cheerleading Worlds Administered by the USASF
http://www.varsity.c[...]
Varsity Brands, Inc.
2007-09-20
[46]
웹사이트
Cheer teams to provide crowd support only at winter olympics
https://www.usacheer[...]
2018-01-23
[47]
간행물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Council on Sports Medicine and Fitness. Policy statement. Cheerleading injuries: epidemiology and recommendations for prevention.
[48]
웹사이트
Catastrophic Sport Injury Research 28th Annual Report 2011
http://www.unc.edu/d[...]
National Center for Catastrophic Sports Injury Research
2013-11-06
[49]
웹사이트
Catastrophic Sports Injury Research Thirty-seventh Annual Report Fall 1982 - Spring 2019
https://nccsir.unc.e[...]
2021-08-02
[50]
웹사이트
Evidence Soup
http://www.evidences[...]
Evidence Soup
2009-06-22
[51]
웹사이트
Cheerleading Dangers
http://www.connectwi[...]
2008-11-06
[52]
뉴스
Dangers Of Cheerleading
https://www.cbsnews.[...]
2008-11-06
[53]
간행물
Catastrophic Cheerleading Injuries
2003-11-01
[54]
웹사이트
Health Warnings for Cheerleading
http://drbenkim.com/[...]
2008-11-06
[55]
뉴스
High risks for girls who high kick
2009-06-30
[56]
웹사이트
Girls' Most Dangerous Sport: Cheerleading
http://www.livescien[...]
LiveScience.com
2010-05-05
[57]
웹사이트
Newton North grad dies in cheerleading accident
http://www.boston.co[...]
2017-11-19
[58]
웹사이트
Pediatric Injury Prevention, Education and Research Program
http://www.ucdenver.[...]
Colorado School of Public Health
2013-10-14
[59]
웹사이트
Convenience Sample Summary Report : National High Scholl Sports-related Injury Study : 2012-2013 School Year
http://www.ucdenver.[...]
Colorado School of Public Health
2013-10-14
[60]
문서
International Cheer Union (ICU)
[61]
간행물
USA Cheer Announces U.S. JUNIOR NATIONAL Team
http://www.usacheer.[...]
USA Cheer News
2017-01-30
[62]
웹사이트
International Federation of Cheerleading - International Federation of Cheerleading
http://ifc-hdqrs.org[...]
Ifc-hdqrs.org
2012-08-01
[63]
웹사이트
About
https://www.usacheer[...]
2020-02-02
[64]
웹사이트
College Cheerleading Rules - USA Cheer
https://www.usacheer[...]
2020-02-02
[65]
웹사이트
Home
https://www.varsity.[...]
2021-04-15
[66]
웹사이트
Cheerleading Association of Thailand (CAT)
http://www.thaicheer[...]
Thaicheerleading.com
2012-08-01
[67]
웹사이트
Foundation of Japan Cheerleading Association (FJCA)
http://www.fjca.jp/
Fjca.jp
2012-08-01
[68]
웹사이트
International Federation of Cheerleading (IFC)
http://www.ifc-hdqrs[...]
Ifc-hdqrs.org
2012-08-01
[69]
웹사이트
Cheerleading World Championships 2011 (CWC)
http://www.daretoche[...]
Daretocheer.com
2012-08-01
[70]
웹사이트
International Cheer Union (ICU)
http://www.cheerunio[...]
cheerunion.org
2013-03-18
[71]
웹사이트
'Indonesian Cheerleading Community {{pipe}} Komunitas Cheerleading Indonesia (ICC)'
http://www.indonesia[...]
Indonesiancheerleading.com
2012-08-01
[72]
웹사이트
Indonesia to Host 3rd Annual National Cheerleading Championships
https://web.archive.[...]
Ifc-hdqrs.org
2012-08-01
[73]
웹사이트
PanamericanCheer
https://web.archive.[...]
2017-11-19
[74]
웹사이트
Usasf.Net
http://www.usasf.net
Usasf.Net
2014-01-22
[75]
웹사이트
Iasfworlds.org
http://www.iasfworld[...]
Iasfworlds.org
2014-01-22
[76]
웹사이트
'The Official Site - Varsity.com - We Are Cheerleading'
http://www.varsity.c[...]
Varsity.com
2014-01-22
[77]
웹사이트
Varsity Competitions Search Results
https://www.myvarsit[...]
2020-02-02
[78]
웹사이트
'Cheerleading Competition, InterNationals, Westerville, Ohio'
http://www.americhee[...]
AmeriCheer
2014-01-22
[79]
웹사이트
The JAM Brands Cheer and Dance Competitions, Conferences and Apparel
https://web.archive.[...]
Thejambrands.com
2014-01-22
[80]
웹사이트
Home
https://www.varsity.[...]
2023-05-04
[81]
웹사이트
'Universal Cheerleaders Association - Where America Cheers – HomeCollege Nationals'
https://web.archive.[...]
Uca.varsity.com
2012-08-01
[82]
웹사이트
About USA - History & Philosophy
https://web.archive.[...]
2014-11-18
[83]
논문
Defining Sport under Title IX: Cheerleading
2012-04-01
[84]
웹사이트
The road to recognition
http://www.cheerlead[...]
2008-08-02
[85]
뉴스
Cheerleading in the USA: A sport and an industry
https://www.usatoday[...]
2002-04-26
[86]
뉴스
Sport, not a sport: consider Dan the expert
http://daily.stanfor[...]
2004-09-29
[87]
웹사이트
No, Cheerleading is not a Sport
http://www.sfucheerl[...]
Simon Fraser University
2004-09-29
[88]
웹사이트
Point: What Makes a Sport a Sport?
https://web.archive.[...]
Goucher College
2009-05-04
[89]
논문
Who Knows the Difference Between Competitive Cheerleading, Sideline Cheerleading, Acrobatics and Tumbling? Why this Distinction is so Important for Title IX
https://scholarship.[...]
2020
[90]
논문
No Cheerleading Allowed: The Impact of Biedeger v. Quinnipiac University and the Future Title IX in College Athletics
https://papers.ssrn.[...]
2014
[91]
뉴스
Wisconsin Court: Cheerleading a Contact Sport, Participants Can't Be Sued for Accidental Injury
https://web.archive.[...]
2009-01-27
[92]
웹사이트
Wisconsin Supreme Court Ruling
https://web.archive.[...]
AACCA
[93]
뉴스
U.S. judge in Conn.: Cheerleading not a sport
https://web.archive.[...]
2010-07-21
[94]
논문
Cheerleading and the Gendered Politics of Sport
https://works.bepres[...]
2006
[95]
웹사이트
Cheerleading should be designated a sport, say medical officials
https://www.foxnews.[...]
2014-06-10
[96]
웹사이트
Can you get a scholarship for cheerleading?
https://scholarshipo[...]
2019-03-29
[97]
논문
'Sticking the Landing: How the Second Circuit''s Decision in Biediger v. Quinnipiac Univ. Can Help Competitive Cheerleading Achieve "Sport" Status Under Title IX'
https://digitalcommo[...]
2014
[98]
웹사이트
Title IX Compliance – Part I: The Three-Prong Test
https://www.nfhs.org[...]
2022-02-08
[99]
웹사이트
CCU "About"
http://www.teamcanad[...]
[100]
웹사이트
'Cheer Canada {{!}} Canada''s National Sport Organization for Cheerleading'
https://cheercanada.[...]
2023-09-26
[101]
웹사이트
International Cheer Union: Members - Americas - Canada
https://cheerunion.o[...]
2023-09-26
[102]
웹사이트
International Cheer Union Membership Letter - Cheer Canada
https://cheerunion.o[...]
[103]
웹사이트
BC Sport Cheer
https://bcsportcheer[...]
2023-09-26
[104]
웹사이트
Alberta Cheerleading Association
https://www.albertac[...]
2023-09-26
[105]
웹사이트
'Saskatchewan Cheerleading Association {{!}} Building Safer, Stronger Cheerleading'
https://sca.ca/
2023-09-26
[106]
웹사이트
Cheer Manitoba {{!}} Provincial Sport Organization for Cheerleading in Manitoba
https://www.cheerman[...]
2023-09-26
[107]
웹사이트
Ontario Cheerleading Federation - Home
https://ontariocheer[...]
2023-09-26
[108]
웹사이트
Fédération de Cheerleading du Québec
https://www.cheerlea[...]
2023-09-26
[109]
웹사이트
Cheer New Brunswick - About Us
https://www.cheernew[...]
2023-09-26
[110]
웹사이트
PROVINCIAL ORGANIZATIONS {{!}} Cheer Canada
https://cheercanada.[...]
2023-09-26
[111]
웹사이트
ALL STAR CHEER {{!}} Cheer Canada
https://cheercanada.[...]
2023-09-26
[112]
웹사이트
PERFORMANCE CHEER {{!}} Cheer Canada
https://cheercanada.[...]
2023-09-26
[113]
웹사이트
SCHOLASTIC CHEER {{!}} Cheer Canada
https://cheercanada.[...]
2023-09-26
[114]
웹사이트
Events
https://canadianchee[...]
2023-09-26
[115]
웹사이트
Scoring & Divisions
https://canadianchee[...]
2023-09-26
[116]
웹사이트
Varsity Spirit - Canada
https://www.varsity.[...]
2023-09-26
[117]
뉴스
Canada looks for fourth straight gold medal
http://montreal.ctvn[...]
2012-04-19
[118]
웹사이트
United States All Star Federation
http://www.usasf.net[...]
USASF
2013-04-02
[119]
웹사이트
The Recognized World Governing Body of Cheerleading: Member Nations
https://cheerunion.o[...]
2023-09-26
[120]
웹사이트
2024 ICU Junior World & World Cheerleading Championships - Rules & Regulations Information
https://cheerunion.o[...]
2023
[121]
웹사이트
Senior National Team • Call for applications {{!}} Cheer Canada
https://cheercanada.[...]
2023-09-26
[122]
웹사이트
The Recognized World Governing Body of Cheerleading: 2023 ICU Junior World & World Cheerleading Championships Medal Count
https://web.archive.[...]
2023-09-26
[123]
웹사이트
2023 ICU Junior World & World Cheerleading Championships Results - Cheer Rankings
https://web.archive.[...]
2023-09-26
[124]
웹사이트
2023 ICU Junior World & World Cheerleading Championships Results - Performance Cheer Rankings
https://web.archive.[...]
2023-09-26
[125]
웹사이트
International Cheer Union: 2022 World Cheerleading Championship Rankings
https://web.archive.[...]
2023-09-26
[126]
웹사이트
International Cheer Union: 2019 World Cheerleading Championship Rankings
https://cheerunion.o[...]
2023-09-26
[127]
웹사이트
The Recognized World Governing Body of Cheerleading: 2018 World Cheerleading Championship
https://cheerunion.o[...]
2023-09-26
[128]
웹사이트
The Recognized World Governing Body of Cheerleading: 2017 World Cheerleading Championship
https://cheerunion.o[...]
2023-09-26
[129]
웹사이트
The Recognized World Governing Body of Cheerleading: 2013 World Cheerleading Championship Results
https://cheerunion.o[...]
2023-09-26
[130]
웹사이트
International Cheer Union 2012 ICU World Cheerleading Championships Rankings
https://cheerunion.o[...]
[131]
웹사이트
2011 ICU World Championships Rankings
https://cheerunion.o[...]
[132]
웹사이트
2010 ICU World Cheerleading Championships
https://cheerunion.o[...]
[133]
웹사이트
2009 ICU World Cheerleading Championships
https://cheerunion.o[...]
[134]
논문
Origen, evolución y consolidación del porrismo en la UNAM (1929-2019)
https://publicacione[...]
2019-12-24
[135]
웹사이트
Porras
https://www.ciw.edu.[...]
2022-01-21
[136]
웹사이트
Sebastián Paniagua Paz: Es Porrista, Mexicano y Va Con Todo a EUA
https://www.mexicano[...]
2020-06-30
[137]
웹사이트
PORRISTAS EN MÉXICO {{!}} Salud & Fitness Amino Amino
https://aminoapps.co[...]
2022-01-21
[138]
웹사이트
The Recognized World Governing Body of Cheerleading: 2019 World Cheerleading Championship
https://cheerunion.o[...]
2022-01-21
[139]
웹사이트
Mexico wins bronze at the World Cheerleading Championships - El Financiero
https://www.smallcap[...]
2021-10-10
[140]
문서
アメリカ英語
[141]
웹사이트
SPORT ACCORD Information of Decision
http://www.jfscheer.[...]
2015-04-20
[142]
PDF
https://www.worlddan[...]
[143]
웹사이트
第1回 日本スポーツチア&ダンス連盟 ダンスワークショップ参加のご案内
http://www.jcda.jp/e[...]
2009-09-01
[144]
뉴스
Another Cheerleader Dies
http://abcnews.go.co[...]
ABC NEW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