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가미비라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가미비라키는 일본의 전통적인 행사로, 새해에 신에게 바쳤던 떡을 부수어 먹는 의식이다. 4대 도쿠가와 쇼군 이에쓰나가 300년 전 처음으로 행사를 거행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무로마치 시대에는 1월 20일에, 에도 시대에는 1월 11일로 날짜가 변경되었다. 오늘날에는 결혼식, 스포츠 행사 등 다양한 행사에서 술통을 깨는 의식과 함께 진행되기도 하며, 무술 도장에서는 새해 첫 훈련을 기념하는 의식으로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모찌 - 가가미모치
가가미모치는 둥근 거울 형태에서 유래한 일본의 떡 장식으로, 주로 정월에 신에게 바치는 공물이며 크고 작은 둥근 떡을 겹쳐 귤 등으로 장식하고, 무로마치 시대에 현재와 유사한 형태로 장식되기 시작했다. - 모찌 - 조니 (음식)
조니는 일본의 설날 음식으로, 떡을 주재료로 하여 다양한 재료를 넣고 끓인 국이며, 무로마치 시대 말기부터 설날에 먹는 전통이 시작되어 일본 각 지역의 특색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발전했다. - 쇼가쓰 - 출초식
출초식은 일본에서 에도 시대부터 시작되어 매년 1월에 소방 훈련과 시연을 통해 소방의 중요성을 알리는 행사로, 시대에 따라 내용과 형식이 변화해 왔다. - 쇼가쓰 - 카도마츠
카도마츠는 일본의 새해맞이 장식으로, 소나무와 대나무 등을 사용하여 토시가미를 맞이하는 임시 거처로 여겨지며, 헤이안 시대부터 존재해 지역에 따라 형태와 설치 기간에 차이가 있다. - 일본의 연중행사 - 모치바나
모치바나는 풍요와 다산, 가정의 평안을 기원하며 떡을 나뭇가지에 꽂아 만든 일본의 장식으로, 각 지역에서 다양한 형태와 이름으로 전해져 오고 특별한 날에 사용되며 현대에는 장식용이나 선물용으로도 활용된다. - 일본의 연중행사 - 쓰키미
쓰키미는 일본의 추석 풍습으로, 음력 8월 15일에 달을 감상하며 억새, 쓰키미 당고, 제철 음식 등을 바치고 풍성한 수확을 기원하는 행사이며, 헤이안 시대에 중국 중추절의 영향을 받아 시작되어 오늘날에는 가을 달을 즐기는 다양한 방식으로 변화하며 일본 문화 전반에 나타나고 있다.
카가미비라키 | |
---|---|
행사 정보 | |
이름 | 카가미 비라키 (鏡開き) |
의미 | 거울 열기; 떡 깨기 |
시기 | 1월 11일 (일본) |
설명 | 일본의 전통적인 의식으로, 주로 정월에 신에게 바쳤던 카가미모치(鏡餅)를 먹는 행사를 의미한다. 무가의 풍습에서 유래되었으며, 새해에 가가미모치를 나누어 먹음으로써 가족의 건강과 행복을 기원한다. |
유래 | |
기원 | 무가의 풍습 |
역사적 배경 | 에도 시대에 무가에서 정월 11일에 가가미모치를 먹고 한 해의 운을 기원하는 풍습에서 유래되었다. 칼을 사용하지 않고 나무망치 등으로 깨는 것은 무가 사회의 예의범절에서 비롯되었다. |
의식 절차 | |
준비물 | 카가미모치 (鏡餅), 나무 망치 |
방법 | 카가미모치를 망치 등으로 깨서 나누어 먹는다. 칼을 사용하는 것은 '할복'을 연상시키므로 피한다. 깨기 전에 가족의 건강과 행복을 기원하는 구호를 외치기도 한다. |
추가 정보 | |
기타 명칭 | 카가미와리 (鏡割り) |
관련 행사 | 술독 깨기 (鏡割り): 일본 술을 담은 나무통의 뚜껑을 열어 축하하는 행사 |
2. 역사
4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쓰나가 300년 전 처음으로 가가미 모치일본어 행사를 거행했다. 전쟁 전야에 그는 자신의 다이묘일본어들을 성에 불러 모아 술통을 깠다. 승리를 거둔 후 새로운 전통이 탄생했다.
무로마치 시대(1336-1573) 동안 매년 1월 20일에 열렸던 가가미비라키는 3대 도쿠가와 쇼군 도쿠가와 이에미쓰가 에도 시대(1603-1867) 동안 1월 20일에 사망한 후 일본의 많은 지역에서 1월 11일로 변경되었다는 설이 있다.[2]
2. 1. 유래와 초기 형태
4대 도쿠가와 쇼군 도쿠가와 이에쓰나가 300년 전 처음으로 가가미 모치일본어 행사를 거행했다. 전쟁 전야에 그는 자신의 다이묘일본어들을 성에 불러 모아 술통을 깠다. 승리를 거둔 후 새로운 전통이 탄생했다.무로마치 시대(1336-1573) 동안 매년 1월 20일에 열렸고, 3대 도쿠가와 쇼군 도쿠가와 이에미쓰가 에도 시대(1603-1867) 동안 1월 20일에 사망한 후 일본의 많은 지역에서 1월 11일로 변경되었다는 설이 있다.[2]
에도 시대에 신년 길일에 상가에서는 창고 개방 행사를 했지만, 무가에서는 신년 11일(원래는 20일)에 행하는 행사로 갑옷 등의 구족에 바친 구족떡을 내려 잡탕 등으로 만들어 먹고 "칼자루(하쓰카)"를 축하하는 행사였다. 또한, 여성이 거울대에 바친 경단을 쪼개는 것을 "첫 얼굴"을 축하한다고 했다. 이 무가 사회의 풍습이 일반화된 것이다. 에도성에서는, 찬합에 담은 떡과 앙금을 오오쿠에도 보내, 팥죽 등으로 먹었다.[8]
칼날로 떡을 자르는 것은 할복을 연상시키므로 손이나 나무 망치로 쪼개고, "자르다" "쪼개다"라는 말을 피해서 "열다"라는 말을 사용한다[9]("열기"는 "쪼개기"의 금기어). 거울은 원만함을, 열기는 번영을 의미한다. 또한, 경단을 먹는 것을 "이 굳히기"라고 한다. 이것은, 딱딱한 것을 먹고, 이를 튼튼하게 하여, 연신에게 장수를 기원하기 위함이다.
경단이 갈라지는 모양으로 점을 치는 지역도 있으며, "경단이 많이 갈라지면 풍년"이라고 한다[10]。 무가의 구족식을 이어받아, 유도장·검도장 등에서는 현재도 거울 열기 행사를 신년에 하는 곳도 있다.
2. 2. 에도 시대의 변화
4대쇼군 도쿠가와 이에쓰나가 300년 전 처음으로 가가미 모치일본어 행사를 거행했다. 전쟁 전야에 그는 자신의 다이묘일본어들을 성에 불러 모아 술통을 깠다. 승리를 거둔 후 새로운 전통이 탄생했다.무로마치 시대(1336-1573) 동안 매년 1월 20일에 열렸던 가가미비라키는 에도 시대(1603-1867) 3대 도쿠가와 쇼군 도쿠가와 이에미쓰가 사망한 후 일본의 많은 지역에서 1월 11일로 변경되었다는 설이 있다.[2] 에도 시대에 신년 길일에 상가에서는 창고 개방 행사를 했지만, 무가에서는 신년 11일(원래는 20일)에 행하는 행사로 갑옷 등의 구족에 바친 구족떡을 내려 잡탕 등으로 만들어 먹고 "칼자루(하쓰카)"를 축하하는 행사였다. 또한, 여성이 거울대에 바친 경단을 쪼개는 것을 "첫 얼굴"을 축하한다고 했다. 이 무가 사회의 풍습이 일반화된 것이다. 에도성에서는, 찬합에 담은 떡과 앙금을 오오쿠에도 보내, 팥죽 등으로 먹었다.[8]
칼날로 떡을 자르는 것은 할복을 연상시키므로 손이나 나무 망치로 쪼개고, "자르다" "쪼개다"라는 말을 피해서 "열다"라는 말을 사용한다[9]("열기"는 "쪼개기"의 금기어). 거울은 원만함을, 열기는 번영을 의미한다. 또한, 경단을 먹는 것을 "이 굳히기"라고 한다. 이것은 딱딱한 것을 먹고 이를 튼튼하게 하여 연신에게 장수를 기원하기 위함이다.
경단이 갈라지는 모양으로 점을 치는 지역도 있으며, "경단이 많이 갈라지면 풍년"이라고 한다[10]。 무가의 구족식을 이어받아, 유도장·검도장 등에서는 현재도 거울 열기 행사를 신년에 하는 곳도 있다.
2. 3. 현대의 가가미비라키
오늘날 가가미비라키 행사는 결혼식, 스포츠 행사, 집들이, 신규 회사 개업일 및 기념할 가치가 있는 기타 중요한 행사에서도 거행된다.[2]일본에서는 전통적으로 집에서 떡(모치)을 만들었지만, 오늘날 대부분의 가정에서는 기성품을 구입한다. 장식용 떡은 1월 11일에 치워져 먹기 전에 작은 조각으로 부서진다. 이때쯤이면 가가미모치는 보통 매우 부서지기 쉬워지고 표면에 금이 간다. 떡은 칼로 자르지 않는데, 자르는 것은 부정적인 의미(관계를 끊는 것)를 가지기 때문에 손이나 망치로 부순다.[2]
많은 일본 무술 도장에서는 가가미비라키 의식을 사용하여 새해의 첫 훈련을 기념한다.[3][4]

의식의 술 버전(원래 관행을 기반으로 함)은 행사 시작 시 참석자들에게 iwai-zake일본어("축하주") 한 통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그런 다음 이 통의 둥근 나무 뚜껑(조화를 상징)을 VIP가 나무 망치로 부수고(따라서 행사가 행운을 열어젖힘) 내용물을 참가자들에게 자유롭게 배포한다.
에도 시대에는 신년 길일에 상가에서는 창고 개방 행사를 했다. 무가에서는 신년 11일(원래는 20일)에 행하는 행사로 갑옷 등의 구족에 바친 구족떡을 내려 잡탕 등으로 만들어 먹고 "칼자루(하쓰카)"를 축하하는 행사였다. 또한, 여성이 거울대에 바친 경단을 쪼개는 것을 "첫 얼굴"을 축하한다고 했다. 이 무가 사회의 풍습이 일반화된 것이다. 에도성에서는, 찬합에 담은 떡과 앙금을 오오쿠에도 보내, 팥죽 등으로 먹었다[8]。
칼날로 떡을 자르는 것은 할복을 연상시키므로 손이나 나무 망치로 쪼개고, "자르다" "쪼개다"라는 말을 피해서 "열다"라는 말을 사용한다[9]("열기"는 "쪼개기"의 금기어). 거울은 원만함을, 열기는 번영을 의미한다. 또한, 경단을 먹는 것을 "이 굳히기"라고 한다. 이것은, 딱딱한 것을 먹고, 이를 튼튼하게 하여, 연신에게 장수를 기원하기 위함이다.
경단이 갈라지는 모양으로 점을 치는 지역도 있으며, "경단이 많이 갈라지면 풍년"이라고 한다[10]。 무가의 구족식을 이어받아, 유도장·검도장 등에서는 현재도 거울 열기 행사를 신년에 하는 곳도 있다.
가가미비라키는 지역별로 날짜가 다르다.
지역 | 날짜 |
---|---|
관동 지방을 중심으로 한 지역 | 1월 11일[12] (토요일, 일요일, 공휴일 등에 따라 다른 경우도 있음). |
그레고리력(양력)이 된 현재, 마츠노우치가 1월 15일인 지방 | 통상 1월 20일 (스무날 정월). |
교토부와 인근 일부 지역 | 1월 4일[14] (이유는 명확하지 않음). |
서일본 | 음력 2월 15일 (열반회에 맞춰) |
오늘날 카가미비라키 행사는 결혼식, 스포츠 행사, 집들이, 신규 회사 개업일 등 기념할 만한 가치가 있는 기타 중요한 행사에서도 거행된다. 많은 일본 무술 도장에서는 새해의 첫 훈련을 기념하는 의식으로 사용한다.[3][4]
3. 의식
원래 관행을 기반으로 한 의식의 술 버전은, 행사 시작 시 참석자들에게 祝い酒|이와이자케일본어(축하주) 한 통을 제공한다. VIP는 나무 망치로 술통의 둥근 나무 뚜껑(조화를 상징)을 부수고(행운을 열어젖힘), 내용물을 참가자들에게 자유롭게 배포한다.
3. 1. 가가미모치 장식과 의미
오늘날 대부분의 가정에서는 떡(모치)을 기성품으로 구입한다. 연휴 기간 동안에는 작은 접시 크기의 둥근 떡(가가미모치)을 받침대 위에 쌓아 신토 또는 불교 제단이나 도코노마(床の間)에 새해에 방문하는 신에게 바치는 제물로 놓는다.
장식용 떡은 1월 11일에 치워져 먹기 전에 작은 조각으로 부서진다. 이때쯤이면 가가미모치는 보통 매우 부서지기 쉬워지고 표면에 금이 간다. 떡은 칼로 자르지 않는데, 자르는 것은 부정적인 의미(관계를 끊는 것)를 가지기 때문에 손이나 망치로 부순다.[3][4]
칼날로 떡을 자르는 것은 할복을 연상시키므로 손이나 나무 망치로 쪼개고, "자르다", "쪼개다"라는 말을 피해서 "열다"라는 말을 사용한다.[9]("열기"는 "쪼개기"의 금기어). 거울은 원만함을, 열기는 번영을 의미한다. 또한, 경단을 먹는 것을 "이 굳히기"라고 한다. 이것은 딱딱한 것을 먹고 이를 튼튼하게 하여 장수를 기원하기 위함이다.
경단이 갈라지는 모양으로 점을 치는 지역도 있으며, "경단이 많이 갈라지면 풍년"이라고 한다.[10]
3. 2. 떡을 쪼개는 방법과 의미
가키미비라키일본어에서 가키미모치일본어는 보통 매우 부서지기 쉬워 표면에 금이 간 상태가 된다. 떡은 칼로 자르지 않는데, 이는 관계를 끊는다는 부정적인 의미를 가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손이나 망치로 부순다.[3][4]
에도 시대 무가에서는 1월 11일(원래는 1월 20일)에 갑옷 등의 구족에 바친 구족떡을 내려 잡탕 등으로 만들어 먹고 "칼자루(하쓰카)"를 축하하는 행사였다. 또한, 여성이 거울대에 바친 경단을 쪼개는 것을 "첫 얼굴"을 축하한다고 했다. 이 무가 사회의 풍습이 일반화된 것이다. 칼날로 떡을 자르는 것은 할복을 연상시키므로 손이나 나무 망치로 쪼개고, "자르다", "쪼개다"라는 말을 피해서 "열다"라는 말을 사용한다[9]("열기"는 "쪼개기"의 금기어). 거울은 원만함을, 열기는 번영을 의미한다.
경단이 갈라지는 모양으로 점을 치는 지역도 있으며, "경단이 많이 갈라지면 풍년"이라고 한다[10]。
3. 3. 지역별 풍습
오늘날 카가미비라키 행사는 결혼식, 스포츠 행사, 집들이, 신규 회사 개업일 및 기념할 가치가 있는 기타 중요한 행사에서도 거행된다.
일본에서는 전통적으로 집에서 떡(모치)을 만들었지만, 오늘날 대부분의 가정에서는 기성품을 구입한다. 연휴 기간 동안에는 작은 접시 크기의 둥근 떡(카가미 모치|가가미모치일본어)을 받침대 위에 쌓아 놓고 신토 또는 불교 제단이나 도코노마|床の間일본어에 새해에 방문하는 신에게 바치는 제물로 놓는다.
장식용 떡은 1월 11일에 치워져 먹기 전에 작은 조각으로 부서진다. 이때쯤이면 카가미 모치일본어는 보통 매우 부서지기 쉬워지고 표면에 금이 간다. 떡은 칼로 자르지 않는데, 자르는 것은 부정적인 의미(관계를 끊는 것)를 가지기 때문에 손이나 망치로 부순다.
많은 일본 무술 도장에서는 카가미비라키일본어 의식을 사용하여 새해의 첫 훈련을 기념한다.[3][4]
의식의 술 버전(원래 관행을 기반으로 함)은 행사 시작 시 참석자들에게 이와이-자케|祝い酒일본어("축하주") 한 통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그런 다음 이 통의 둥근 나무 뚜껑(조화를 상징)을 VIP가 나무 망치로 부수고(따라서 행사가 행운을 열어젖힘) 내용물을 참가자들에게 자유롭게 배포한다.
관동 지방을 중심으로 한 지역에서는 도시가미(세신)에게 올린 제물이 마쓰노우치(1월 7일)에 끝난 후[11]인 1월 11일[12]에 행해진다(토요일, 일요일, 공휴일 등에 따라 다른 경우도 있다). 원래는 마쓰노우치가 끝나는 고쇼가쓰(1월 15일)에, 후에 1월 20일에 행해졌지만, 도쿠가와 이에미쓰가 사망한 것이 게이안 4년 4월 20일(1651년6월 8일)이었기 때문에, 1월 20일을 기일로 피하여, 후에 마쓰노우치[13], 그 후 1월 11일로 정해졌다.
그레고리력(양력)이 된 현재, 마쓰노우치가 1월 15일인 지방에서는 16일 이후에 카가미비라키가 행해지며, 통상 1월 20일(스무날 정월)에 행해진다.
교토부와 인근 일부 지역에서는 1월 4일에 행하지만[14], 그 이유는 명확하지 않다고 알려져 있다.
서일본에서는 음력 2월 15일에 행해지는 열반회에 맞춰 카가미모치를 깨서 아라레를 만들어 먹으며, 일 년 동안 무병장수를 기원하는 풍습도 있다. 코딱지와 발음이 같기 때문에 "부처님의 코딱지"라고도 불린다.
3. 4. 술통 깨기 (가가미누키)
오늘날의 카가미비라키 행사는 결혼식, 스포츠 행사, 집들이, 신규 회사 개업일 및 기념할 가치가 있는 기타 중요한 행사에서도 거행된다.
의식의 술 버전(원래 관행을 기반으로 함)은 행사 시작 시 참석자들에게 祝い酒|이와이자케일본어(축하주) 한 통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그런 다음 이 통의 둥근 나무 뚜껑(조화를 상징)을 VIP가 나무 망치로 부수고(따라서 행사가 행운을 열어젖힘) 내용물을 참가자들에게 자유롭게 배포한다.
축연 등에서 짚(菰, 고모)을 감은 술통(고모다루)의 뚜껑을 나무 망치로 깨서 여는 것을 鏡開き(카가미비라키)라고도 한다[15][16]。 이는 술집에서 술통의 윗 뚜껑을 거울이라고 불렀던 데에서 유래한다[15][17]。 또한, 이 경우에는 鏡抜き(카가미누키)라고 부르기도 하며, '鏡開き(카가미비라키)'라고 부르는 것은 잘못되었다는 설도 있지만[18], 겟케이칸에서는 축하의 자리에서는 좋은 징조를 위해 '鏡開き(카가미비라키)'가 좋다고 한다[9]。
菰樽|고모다루일본어는 수송용으로 의식용은 아니었지만, 보기에 좋았기 때문에 상인이나 무사들이 사용하기 시작했고[19], 양조 회사도 장식을 한 화장 菰|고모일본어를 사용하게 되었다[9]。
주류 메이커에서는 내용물이 가득 찬 술통 외에도, 장식을 한 菰|고모일본어나 내용물을 줄여 가격을 낮춘 鏡開き(카가미비라키)용 술통을 병매하고 있다[20]。
나무 망치로 깨기 전에 통을 덮는 菰|고모일본어의 위쪽만 여는 작업이 필요하기 때문에 사전에 일련의 작업을 끝내고, 행사에서는 나무 망치로 윗 뚜껑을 두드리는 것만 하는 경우가 많다[9][16][21]。
4. 문화적 의미
가가미비라키는 단순한 떡을 먹는 행사를 넘어, 여러 문화적 의미를 지닌다.
문학에서 가가미비라키는 새해의 정취를 나타내는 소재로 활용된다. 하이쿠에서는 계절어로 사용되며, 와카에서는 여성이 경대에 올린 떡을 쪼개는 모습을 통해 새해를 맞이하는 기쁨을 표현했다. "수명 늘어나는 이갈이"라는 속담은 가가미비라키를 통해 건강과 장수를 기원하는 풍습을 보여준다.
무술 도장에서의 가가미비라키는 새해 첫 훈련을 기념하는 의식으로, 에도 시대 무가 사회의 전통을 이어받은 것이다. 에도 시대 무가에서는 신년에 갑옷에 바친 떡을 내려 먹으며 무운을 빌었고, 여성들은 경대에 바친 떡을 쪼개며 새해를 축하했다. 이러한 풍습이 일반화되면서, 칼로 떡을 자르는 대신 손이나 나무 망치로 쪼개고, "열다"라는 표현을 사용하여 번영을 기원하는 의미를 담게 되었다.[9]
4. 1. 문학 속 가가미비라키
- 하이쿠의 계절어가 되고 있다.
- 와카에서는 여성이 경대에 올린 떡을 쪼개는 것을 "첫 얼굴"을 축하한다고 하여, 20일에 걸쳐 연어로 삼았다.
- 속담에는 "수명 늘어나는 이갈이"라는 말이 있다.
4. 2. 무술 도장에서의 가가미비라키
많은 일본 무술 도장에서는 카가미 비라키|가가미비라키일본어 의식을 사용하여 새해의 첫 훈련을 기념한다.[3][4]에도 시대에 무가에서는 신년 11일(원래는 20일)에 갑옷 등의 구족에 바친 구족떡을 내려 잡탕 등으로 만들어 먹고 "칼자루(하쓰카)"를 축하하는 행사였다. 또한, 여성이 거울대에 바친 경단을 쪼개는 것을 "첫 얼굴"을 축하한다고 했다. 이 무가 사회의 풍습이 일반화된 것이다.
칼날로 떡을 자르는 것은 할복을 연상시키므로 손이나 나무 망치로 쪼개고, "자르다", "쪼개다"라는 말을 피해서 "열다"라는 말을 사용한다[9]("열기"는 "쪼개기"의 금기어). 거울은 원만함을, 열기는 번영을 의미한다.
무가의 구족식을 이어받아, 유도장·검도장 등에서는 현재도 거울 열기 행사를 신년에 하는 곳도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Sake Barrel Ceremony "Kagami-Biraki" {{!}} GEKKEIKAN KYOTO SINCE 1637
http://www.gekkeikan[...]
2018-12-08
[2]
웹사이트
鏡開き
https://imidas.jp/re[...]
2008-01-11
[3]
웹사이트
Kagami Biraki – Aikido Dojo & Samurai Tradition
http://aikidotoday.c[...]
2018-12-08
[4]
웹사이트
FightingArts.com - Kagami Biraki: Renewing the Spirit
http://fightingarts.[...]
2018-12-08
[5]
웹사이트
日本鏡餅組合
http://www.kagamimoc[...]
[6]
웹사이트
日本文化いろは辞典
http://iroha-japan.n[...]
[7]
문서
日本鏡餅組合アンケート:お汁粉2500・雑煮1500・その他500
[8]
서적
定本江戸城大奥
人物往来社
1968
[9]
웹사이트
鏡開きのいわれは? 樽酒の注文、鏡開きの準備はどのようにすればよいですか?
https://www.gekkeika[...]
2024-01-21
[10]
뉴스
四季
農業新聞
2011-01-11
[11]
웹사이트
allabout 「鏡開き」をまるごと解明!
https://web.archive.[...]
[12]
웹사이트
神社と神道
http://jinja.jp/modu[...]
[13]
문서
江戸では寛文2年1月6日 (旧暦)|1月6日(1662年2月24日)、江戸幕府により1月7日 (旧暦)|1月7日までとされた。
[14]
뉴스
奈良新聞 天理教
https://www.nara-np.[...]
[15]
웹사이트
鏡開き|知る・楽しむ|月桂冠 ホームページ
http://www.gekkeikan[...]
2016-12-09
[16]
웹사이트
鏡開きの基本知識 {{!}} 贈るこころ {{!}} 清酒 {{!}} 商品紹介 {{!}} 宝酒造株式会社
https://www.takarash[...]
2024-01-21
[17]
웹사이트
日本酒歳時記・冬|知る・楽しむ|月桂冠 ホームページ
http://www.gekkeikan[...]
2016-12-09
[18]
웹사이트
「鏡開き」と「鏡抜き」どの表現でもよい?
http://www.nhk.or.jp[...]
NHK방송문화연구소
2001-01-01
[19]
웹사이트
樽酒の鏡開きに込められた意味とは 声かけの回数も決まっていた?
https://weathernews.[...]
2024-01-21
[20]
웹사이트
상품情報 | もっと、美味しく、美しく。日本盛株式会社
https://www.nihonsak[...]
2024-01-21
[21]
웹사이트
鏡開きの基礎知識
https://www.zuiyo.co[...]
2024-01-21
[22]
웹사이트
일본 카가미모치 조합(日本鏡餅組合)
http://www.kagamimoc[...]
[23]
웹사이트
일본문화이로하사전(日本文化いろは辞典)
http://iroha-japan.n[...]
[24]
문서
일본 카가미모치 조합 앙케이트:오시루코 2500・조니 1500・그 외5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