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카미긴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미긴주는 필리핀 북민다나오 지역에 위치한 섬으로, 섬과 주변 작은 섬들로 구성되어 있다. 카미긴이라는 이름은 흑단 나무의 일종인 '카마공'에서 유래되었으며, 마노보족이 섬의 초기 거주민이었다. 스페인 식민 시대와 미국 식민 시대를 거치며 다양한 문화 유적과 역사를 간직하고 있으며, 1966년 독립된 주로 승격되었다. 5개의 지방 자치 단체로 나뉘며, 맘바자오가 주도이다. 어업과 농업이 경제의 주를 이루며, 람부탄과 코프라가 주요 생산물이다. 히복히복 산의 화산 폭발과 태풍 등의 자연 재해를 겪었으며, 란손 축제와 다양한 역사 유적, 생물 다양성을 자랑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북민다나오 지방 - 동미사미스주
    미사미스오리엔탈주는 필리핀 북민다나오 지방에 위치하여 부키드논주, 북아구산주, 남아구산주, 북라나오주와 접경하고 보홀해에 면해 있으며, 스페인 식민지 시대부터 이어진 역사를 가진 농업, 임업 기반의 철강, 금속, 화학, 광물 등 다양한 산업이 발달한 물류 중심지이다.
  • 북민다나오 지방 - 북라나오주
    필리핀 민다나오섬 북서부에 위치한 북라나오주는 1959년 라나오 주에서 분할되어 설치되었으며 투보드를 주도로, 험준한 지형과 마라나오족, 세부아노족이 주요 민족을 이루고 농업, 어업이 주요 산업인 22개의 지방 자치 단체로 구성된 주이다.
  • 필리핀의 해변 - 막탄섬
    막탄섬은 필리핀 세부주에 위치한 섬으로, 막탄 세부 국제공항이 있어 교통의 요지이며, 1521년 막탄 전투가 일어난 곳으로 유명하고, 현재는 관광 산업과 수출 가공 구역을 중심으로 경제 활동이 이루어진다.
  • 필리핀의 해변 - 보라카이섬
    보라카이섬은 필리핀에 위치한 섬으로, 아름다운 해변과 해양 레저 활동으로 유명하며 환경 문제로 폐쇄되었다가 재개방 이후 친환경적인 노력을 통해 회복을 시도한다.
  • 필리핀의 주 - 리살주
    리살주는 1901년에 설립되어 필리핀 역사 속에서 행정 구역 변경을 거쳐 현재 1개의 시와 13개의 지방 자치체로 구성된 칼라바르존 지역의 주이며, 구릉지대와 산악지형, 라구나 데 바이 호숫가를 포함하고 메트로 마닐라와 인접하여 경제적으로 발전했지만 지역 간 발전 불균형 문제를 가진 곳이다.
  • 필리핀의 주 - 라구나주
    라구나주는 필리핀 칼라바르존 지역에 위치하며 라구나 데 바이 호수에서 이름이 유래되었고 스페인 식민지 시대부터 여러 역사적 사건을 거쳐 현재는 농업, 산업, 관광을 기반으로 경제를 발전시키고 있는 필리핀 국민 영웅 호세 리살의 출생지이다.
카미긴주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기본 정보
카미긴 문장
카미긴 문장
별칭불의 섬
국가필리핀
소속 지역북민다나오 지방
설립1565년
주 승격1966년 6월 18일
중심지마닐라 (최대 자치체)
면적241.44 제곱킬로미터
면적 순위80번째/81번째
최고 고도1,630 미터
최고 지점팀퐁산
소득 분류5등급
인구 통계
총 인구92,809명 (2020년)
인구 순위80번째/81번째
인구 밀도자동 계산
인구 밀도 순위17번째/81번째
행정 구역도시: 0개
자치체:
카타르만
구인실리반
마히녹
맘바자오
사가이
바랑가이: 58개
하원 의원 선거구: 카미긴 선거구
정치
주지사사비에르 헤수스 D. 로무알도 (라카스-CMD)
부지사로딘 M. 로무알도 (필리핀 연방당)
지방 의회카미긴 지방 의회
언어
사용 언어세부아노어
키나미긴어
타갈로그어
필리핀 영어
기타 정보
시간대필리핀 표준시 (PST)
UTC 오프셋+8
우편 번호우편 번호
지역 번호88
ISO 코드PH-CAM
웹사이트카미긴 주 공식 웹사이트

2. 역사

카미긴 섬의 역사는 다양한 문화와 사건들로 이루어져 있다.

섬 초기에는 수리가오델노르테주의 마노보족이 거주했다.[7] 이들은 섬의 초기 정착민으로, 시나미긴 마노보라는 고유 언어를 사용했다. 카미긴 섬은 부투안 라자국, 다피탄 케다투안, 안다 반도의 고대인, 그리고 이슬람화 이전 라나오 지방의 세부 라자국과 마라나오족 등 다양한 상인과 무역상들의 교역 거점으로 활용되었다.

오래된 스페인 문서에 따르면, 1521년과 1565년에 탐험가 페르디난드 마젤란미겔 로페스 데 레가스피가 각각 카미긴에 상륙했다. 1598년에는 현재 긴실리반 지역에 최초의 스페인 정착지가 세워졌다. 긴실리반은 "감시탑에서 해적을 감시하다"라는 의미의 키나미긴 단어 "Ginsil-ipan"에서 유래되었으며, 모로 해적을 감시하기 위한 스페인 감시탑이 있었다.[42] 1679년에는 ''카타그만'' 또는 ''카타드만''(카타르만으로 알려짐)에 주요 스페인 정착지가 건설되었다. 이 정착지는 번성했지만, 1871년 불칸 산의 분화로 파괴되었다. 이전 정착지 위치는 현재 카타르만의 ''바랑가이 봉봉''이다.[42]

필리핀-미국 전쟁 중인 1901년, 미국 군대가 카미긴 섬에 상륙하여 정치적 통제를 시작했다. '''발레로 카마로'''가 이끄는 카미기논 그룹은 카타르만에서 미군과 짧은 전투를 벌였으나, 발레로 카마로는 전사했다.[8] 카미기논은 카가얀 데 오로의 혁명가들에게 무기, 탄약, 타자기를 지원했다.[8] 1903년, 맘바자오에 최초의 공립 학교가 설립되어 1912년에 완공되었다. 1904년에는 플라시도 레예스가 주도하여 주민들의 협력으로 건설된 최초의 공공 상수도 시스템이 개통되었다.[10] 1929년, 카미긴 섬은 미사미스 오리엔탈 주의 일부가 되었으며(1930년 1월 1일부터 발효).[11]

1942년 6월 18일, 일본 제국 육군카미긴에 상륙하여 맘바자오에 정부를 세웠다. 일본군은 게릴라 활동에 대한 보복으로 맘바자오 중심부를 파괴했으며, 그 잔해는 오늘날까지 남아있다.[42]

1946년 7월 4일, 필리핀은 미국으로부터 독립했다. 카를로스 P. 가르시아 대통령이 서명한 공화국 법령 제2021호(1957년 6월 22일)에 따라 카미긴주는 미사미스 오리엔탈 주의 하위 행정 구역이 되었다.[12] 1966년 6월 18일, 카미긴주는 공화국 법령 제4669호를 통해 독립된 주가 되었으며, 이는 1968년에 공식 서명되었다.[13][42]

1970년대 초, 페르디난드 마르코스는 필리핀 대통령 최초로 재선에 도전하면서 외채 자금 지원 공공 사업을 시작했다. 이로 인해 필리핀 경제는 1969년 필리핀 국제수지 위기를 겪었고, 사회 불안이 심화되었다.[16][17][18][19][20][21] 페르디난드 마르코스는 계엄령을 선포하여(1972년) 14년 더 권력을 유지했다.[22] 카미긴 주민들은 마르코스 치하의 계엄령 동안 인권 유린의 희생자였으며, 일부는 2014년에 배상받을 권리를 부여받았다.[23]

2004년, 맘바자오와 최고봉인 팀풍 산을 포함한 섬 중앙부 지역과, 활화산인 히복히복 산을 포함한 카타르만 산 일대가 팀풍-히복히복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 2015년 제13차 아세안 환경 장관 회의에서 팀풍-히복히복 기념물은 공식적으로 아세안 유산 공원으로 선언되었다.[24]

2. 1. 초기 역사

카미긴 섬은 원래 북수리가오델노르테주의 마노보족이 거주하던 곳이었다.[7] 이들은 섬의 초기 정착민으로, 그들의 언어인 시나미긴 마노보는 오늘날에도 사용되고 있다. 이 섬은 부투안 라자국, 다피탄 케다투안, 안다 반도의 고대인, 그리고 이슬람화 이전 라나오 지방의 세부 라자국과 애니미즘 신봉자였던 마라나오족 등 다양한 상인과 무역상들의 교역 거점으로 사용되었다.

2. 2. 스페인 식민 시대

오래된 스페인 문서에 따르면, 탐험가 페르디난드 마젤란미겔 로페스 데 레가스피는 각각 1521년과 1565년에 카미긴에 상륙했다. 최초의 스페인 정착지는 1598년에 현재 긴실리반인 곳에 세워졌다. 긴실리반은 오래된 키나미긴 단어 "Ginsil-ipan"("감시탑에서 해적을 감시하다"라는 의미)에서 유래되었으며, 카미기논족이 모로 해적을 감시하던 오래된 스페인 감시탑이 있다.[42]

1679년에 세워진 최초의 주요 스페인 정착지는 ''카타그만'' 또는 ''카타드만''(카타르만으로 알려짐)이라고 불렸다. 정착지는 성장하고 번영했지만, 1871년 불칸 산의 분화로 파괴되었다. 이전 위치는 현재 카타르만의 ''바랑가이 봉봉''이다.[42]

2. 3. 미국 식민 시대

1901년 필리핀-미국 전쟁 중, 미국 군대가 카미긴 섬에 상륙하여 정치적 통제를 시작했다. '''발레로 카마로'''가 이끄는 카미기논 그룹은 카타르만에서 미군과 짧은 전투를 벌였으나, 발레로 카마로는 이마에 총알을 맞고 사망했다.[8] 카미기논은 카가얀 데 오로의 혁명가들에게 무기, 탄약, 타자기를 제공하며 지원했다.[8] 같은 해, 카미긴은 미사미스 주의 일부가 되었다.[9]

1903년, 카미긴 최초의 공립 학교가 맘바자오에 설립되었고, 1912년에 완공되었다. 1904년 9월 9일, 플라시도 레예스가 주도하여 주민들의 협력으로 건설된 최초의 공공 상수도 시스템이 개통되었다.[10]

1929년, 카미긴 섬은 미사미스 오리엔탈 주의 일부가 되었다. 이 변경은 1930년 1월 1일부터 발효되었다.[11]

2. 4. 일본 점령 시대

1942년 6월 18일, 일본 제국 육군카미긴에 상륙하여 맘바자오에 정부를 세웠다. 일본군은 이 지역의 게릴라 활동에 대한 보복으로 맘바자오 중심부를 파괴했다. 이 건물들의 잔해는 오늘날까지 남아있다.[42]

2. 5.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1946년 7월 4일, 필리핀은 미국으로부터 독립했다. 1957년 6월 22일, 카를로스 P. 가르시아 대통령이 서명한 공화국 법령 제2021호에 따라 카미긴주는 미사미스 오리엔탈 주의 하위 행정 구역이 되었다.[12]

1966년 6월 18일, 카미긴주는 공화국 법령 제4669호를 통해 독립된 주가 되었으며, 이는 1968년에 공식 서명되었다.[13][42]

2. 6. 마르코스 계엄령 시대

1970년대 초는 필리핀에 격변과 변화의 시기였고, 이는 카미긴에도 많은 영향을 미쳤다.[14][15] 페르디난드 마르코스는 필리핀 대통령 최초로 재선에 도전하면서, 전례 없는 규모의 외채 자금 지원 공공 사업을 시작했다. 이로 인해[16][17] 필리핀 경제는 1969년 필리핀 국제수지 위기로 알려진 갑작스러운 하락세를 겪었고, 이는 경제적 어려움과 사회 불안의 심각한 증가로 이어졌다.[18][19][20][21]

1972년, 페르디난드 마르코스는 필리핀에 계엄령을 선포했다.[22] 이로 인해 마르코스는 14년 더 권력을 유지할 수 있었고, 그 기간 동안 카미긴은 많은 사회적, 경제적 부침을 겪었다.[4] 카미긴 주민들은 마르코스 치하의 계엄령 동안 발생한 인권 유린의 희생자였으며, 그들 중 일부는 2014년에 정식으로 불만을 인정받고 배상받을 권리를 부여받은 북민다나오 출신이었다.[23]

2. 7. 현대

2004년, 맘바자오와 최고봉인 팀풍 산을 포함한 섬 중앙부 지역과, 활화산인 히복히복 산을 포함한 카타르만 산 일대가 팀풍-히복히복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이 기념물을 지정한 포고 570 s. 2004는 주변 지역을 이 지역 보호를 위한 "완충 구역"으로 지정했다. 2015년 제13차 아세안 환경 장관 회의에서 팀풍-히복히복 기념물은 공식적으로 아세안 유산 공원으로 선언되었다.[24]

3. 지리

카미긴 주는 카미긴 섬과 화이트 섬, 만티게 섬을 포함한 몇 개의 작은 섬으로 구성되어 있다. 카미긴 섬은 면적이 약 238km2인 진주 모양의 섬으로, 섬의 가장 긴 길이는 약 23km이며, 가장 넓은 너비는 약 14.5km이다.[26] 섬은 산악 지형으로, 가장 높은 고도는 약 1524.00m 이상이다. 약 64km 길이의 국도가 섬을 둘러싸고 있다.[27]

카미긴 주 해안에서 가까운 거리에 다음 두 섬이 있다.


  • 화이트 섬
  • 만티게 섬

3. 1. 지형

카미긴 주는 주로 카미긴 섬과 몇 개의 작은 섬으로 구성되어 있다.

  • 화이트 섬: 맘바자오에서 서쪽으로 약 5km 떨어져 있다.
  • 만티게 섬: 맘바자오에서 남쪽으로 약 14km 떨어져 있다.


2023년 카미긴의 항공 사진


카미긴 섬은 면적이 약 238km2인 진주 모양의 섬이다.[25] 섬의 가장 긴 길이는 약 23km이며, 가장 넓은 너비는 약 14.5km이다.[26] 섬은 산악 지형으로, 가장 높은 고도는 약 1524.00m 이상이다. 약 64km 길이의 국도가 섬을 둘러싸고 있다.[27]

3. 2. 행정 구역

카미긴 주는 5개의 지방 자치 단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은 다시 총 58개의 바랑가이로 세분화된다.[25] 주도는 맘바자오이다.

카미긴 주의 행정 구역
지방 자치 단체2020년 인구[10]2015년 인구[10]면적(km2)인구 밀도(/km2)바랑가이 수
카타르만17,56916,79853.75km233014
긴실리반6,6856,28118.52km23607
마히노그14,63414,03832.55km245013
맘바자오41,09438,73589km246015
사가이12,82612,62644.13km22909
합계92,80888,478241.44km238058


4. 인구

2020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카미긴 주의 인구는 92,808명이며, 인구 밀도는 390PD/km2이다. 카미긴 주민들은 "카미긴농" 또는 "카미기논"이라고 불린다.

카미긴 주 인구 조사
연도인구
190351,579
191863,660
193969,302
194869,599
196084,337
197053,913
197557,574
198064,247
199068,039
199574,232
200074,232
200781,293
201083,807
201588,478
202092,808

[28]

4. 1. 언어

세부아노어가 이 지방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언어이지만, 키나미긴어가 토착 언어로 간주된다. 오늘날 키나미긴어는 사게이와 긴실리반 지자체에서 소수의 사람들에 의해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28] 타갈로그어영어도 지역 주민들에게 널리 사용되고 이해된다.[29] 카미긴 섬의 최초 거주민은 시나미긴 마노보족으로 여겨지며,[30] 그들의 언어인 카미긴어는 2000년 인구 조사 기준으로 26,700명의 화자를 가지고 있었다.

4. 2. 종교

카미긴 주민의 대다수(약 95%)는 로마 가톨릭 신자이며, 개신교이슬람교 신자도 소수 존재한다.

5. 경제

카미긴 주의 경제는 어업과 농업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코프라가 가장 큰 소득을 제공한다. 람부탄은 섬 지방의 주요 농산물이다.[29] 마닐라삼, , 망고 등도 재배된다. 관광 산업이 성장하면서 지역 경제에 기여하고 있으며, 소규모 수공예 산업도 방문객 증가에 따라 성장했다.

카미긴 섬의 일몰

5. 1. 빈곤율

필리핀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카미긴 주의 빈곤율은 2000년대 이후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지만, 여전히 전국 평균보다 높은 수준이다.[45][46][47][48][49][50][51] 연도별 빈곤율은 다음과 같다.

연도2000200320062009201220152018
빈곤율 (%)49.745.042.038.838.728.625.2



중도진보적 관점에서 볼 때, 카미긴 주의 빈곤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지속적인 경제 성장과 함께 사회적 불평등 완화를 위한 정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6. 교육

카미긴에는 맘바자오에 위치한 세 개의 대학이 있다.


  • 카미긴 파티마 대학교(FCC)
  • 카미긴 폴리텍 대학교(CPSC) (카타르만에 분교가 있음)
  • 카미긴 예술 및 기술 학교(CSAT)


사립 및 공립 학교에서 초등 및 중등 교육을 제공하며, 보육 및 유치원 교육을 위한 데이 케어 센터도 운영하고 있다.

이 지역에는 사회 복지 및 개발부(DSWD)에서 관리하는 총 68개의 데이 케어 센터와 56개의 공립 및 사립 초등학교가 있다. 13개의 중등학교와 3개의 사립 학교가 있으며, 나머지는 정부 소유이다. 비정부 기구(NGO)에서 관리하는, 불우하거나 특별한 아이들을 위한 특수 학교인 패밀리 투 패밀리 학교와 농장도 있다.[31]

기술 교육 및 기술 개발청(TESDA)은 직업 과정, 문맹 퇴치 및 생계 프로그램을 통해 개인을 돕는 대안 학습 시스템 (필리핀) 교육 부문도 제공한다.[31]

7. 문화

맘바하오에서 매년 10월 셋째 주에 섬 전체에서 란조네스 열매를 기념하는 란조네스 축제


카미긴 주는 독특한 문화와 전통을 가지고 있다. 특히 매년 10월 셋째 주에는 섬 전체에서 재배되는 란손을 기념하는 란소네스 축제가 열린다. 카미긴에서 재배된 란손은 화산 토양 덕분에 독특한 풍미를 가지며, 가장 달콤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페르디난드 마젤란미겔 로페스 데 레가스피가 각각 1521년과 1565년에 카미긴에 상륙했다는 기록이 있으며,[42] 1598년에는 긴실리반에 최초의 스페인 정착지가 세워졌다. 긴실리반은 "감시탑에서 해적을 감시하다"라는 의미의 오래된 키나미긴 단어 "Ginsil-ipan"에서 유래되었으며, 모로 해적을 감시하던 오래된 스페인 감시탑이 남아있다.[42]

카미긴 주에는 스페인 식민지 시대와 미국 식민지 시대의 건축물과 유적지가 많이 남아있다. 대표적인 유적지는 다음과 같다.

  • 산토 로사리오 교회: 사게이 시에 있으며 1882년에 지어졌다.
  • -
  • -
  • 카타르만의 오래된 본본 교회 유적: 구이오브 교회라고도 불리며, 1871년부터 1875년까지 불칸 산의 분화로 파괴되어 부분적으로 물에 잠겼다.
  • -
  • 바이라오 교회: 맘바자오 바랑가이 바이라오에 위치하며, 히복히복 산의 마지막 화산 폭발 동안 많은 생명을 구한 기적적인 곳으로 여겨진다.
  • -
  • -
  • -
  • 조상 대대로 내려오는 가옥: 스페인 식민지 시대와 미국 식민지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는 아름다운 가옥들이 카미긴 거리에 많이 남아있다.
  • 카타르만 침몰 묘지: 화산 폭발로 바다 아래로 가라앉은 고대 묘지이다.

카타르만 침몰 묘지를 기념하기 위해 나중에 가라앉은 기념 십자가.

  • 긴실리반의 스페인 시대 망루: 스페인 식민지 시대에 이 지역에서 가장 중요한 곳 중 하나였다.
  • 오래된 맘바야오 분수: 스페인 시대의 독특한 양식의 분수이다.
  • 오래된 맘바야오 시청: 잘 보존된 스페인 시대의 정부 건물이다.[3]

7. 1. 란소네스 축제



매년 10월 셋째 주에 섬 전체에서 재배되는 작은 포도 크기의 열대 과일인 란손(buahan/bwahan)을 기념하는 축제가 열린다. 카미긴에서 재배된 란손은 가장 달콤한 것으로 여겨지며, 독특한 풍미는 화산 토양의 비옥함 때문이다. 일주일간 열리는 란손 축제는 필리핀에서 열리는 수많은 다채로운 행사 중 하나이다.

7. 2. 역사 유적

페르디난드 마젤란미겔 로페스 데 레가스피가 각각 1521년과 1565년에 카미긴에 상륙했다는 오래된 스페인 문서의 기록이 있다.[42] 1598년 현재 긴실리반인 곳에 최초의 스페인 정착지가 세워졌다. 긴실리반은 "감시탑에서 해적을 감시하다"라는 의미의 오래된 키나미긴 단어 "Ginsil-ipan"에서 유래되었으며, 카미기논족이 모로 해적을 감시하던 오래된 스페인 감시탑이 있다.[42]

카미긴 주에는 스페인 식민지 시대와 미국 식민지 시대의 다양한 건축물과 유적지가 남아있다.

  • 산토 로사리오 교회: 사게이 시에 있는 산토 로사리오 교회는 1882년에 지어졌다. 교회의 외관은 필리핀의 ''중요 문화 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카타르만의 오래된 본본 교회 유적: 구 본본 교회는 불칸 산의 분화와 형성으로 인해 1871년부터 1875년까지 화산재에 의해 파괴되고 부분적으로 물에 잠겼다. 구이오브 교회라고도 알려진 이 교회 유적과 종탑만이 옛 마을에 남아 있다. 최근에 흰색 등대가 종탑 근처에 세워졌다. 이 고고학 유적지는 필리핀의 국보로 지정되었다.
  • 바이라오 교회: 맘바자오의 바랑가이 바이라오에 위치한 이 교회는 기적적인 곳으로 여겨지며, 히복히복 산의 마지막 화산 폭발 동안 많은 생명을 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조상 대대로 내려오는 가옥: 아름답고 화려한 조상 대대로 내려오는 가옥들은 스페인 식민지 시대와 미국 식민지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며, 카미긴 거리에서 여전히 풍부하게 찾아볼 수 있다. 이 유산 가옥 중 14채는 필리핀의 ''중요 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여기에는 Borromeo 조상 가옥, Bacut 조상 가옥, Luspo 조상 가옥, Neri 조상 가옥, Nery 조상 가옥, Nerio-Chan 조상 가옥, Corrales 조상 가옥, Corrales y Gamali 조상 가옥, Francisco 조상 가옥, Juni 조상 가옥, Lim 조상 가옥, Catalino Chan 및 Eleuterio Chan 조상 가옥이 포함된다.[3]
  • 카타르만 침몰 묘지: 화산 폭발로 인해 바다 아래로 가라앉은 고대 묘지. 이 고고학 유적지는 필리핀의 ''국가 문화 보물''로 지정되었다.

  • 긴실리반의 스페인 시대 망루: 긴실리반의 망루는 스페인 식민지 시대에 이 지역에서 가장 중요한 곳 중 하나였다. 이 망루는 필리핀의 ''국가 문화 보물''로 지정되었다.
  • 오래된 맘바야오 분수: 스페인 시대의 독특한 양식의 분수. 필리핀의 ''중요 문화재''로 지정되었다.
  • 오래된 맘바야오 시청: 잘 보존된 스페인 시대의 정부 건물로 필리핀의 ''중요 문화재''로 지정되었다.[3]

8. 자연 재해

카미긴 주는 필리핀에서도 화산 활동과 태풍 등 자연 재해에 취약한 지역으로 알려져 있다.

카미긴 섬은 4개의 성층 화산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중 역사적으로 분화 기록이 있는 유일한 화산은 1953년에 마지막으로 분화한 히복히복 산이다. 섬의 화산 목록은 다음과 같다.

화산 이름위치설명
히복히복 산, 벌칸 산카미긴 최북단유일하게 활동적인 화산. 벌칸 산은 1871년 열극 분화구로 시작됨.
팀풍 산카미긴에서 가장 큰 산. 여러 개의 용암 돔으로 구성.
부타이 산마히노그와 구인실리반 사이우하이 산이라고도 불림.
구인실리반 산구인실리반가장 남쪽에 있는 화산.



2001년 11월 7일 새벽, 태풍 링링(현지 이름: 난낭)이 카미긴 주를 강타하여 큰 피해를 입혔다. 이 태풍으로 인해 산에서 여러 차례 대규모 산사태가 발생하여 약 200명의 주민이 사망하거나 실종되었다.[44]

8. 1. 화산 분화

1871년 불칸 산 분화로 카타르만 마을이 파괴되고 묘지가 침몰했다.[36] 1871년 2월 16일, 섬에서 지진이 감지되기 시작하여 4월 30일까지 강도가 증가했으며, 이때 히복히복 산 북서쪽, 카타르만 마을 남서쪽 약 365.76m 지점에 화산 균열이 발생했다. ''불칸 산''(Mt. Vulcan)이 생겨나 계속 분출하며 용암을 바다로 쏟아냈고, 동시에 높이와 폭이 증가했다. 1875년, ''챌린저 탐험대''(Challenger expedition)가 이 지역을 방문하여 산을 높이 1950m의 돔 형태로 묘사했으며, 분화구는 없었지만 여전히 꼭대기에서 연기가 나고 백열 상태였다.[5]

카타르만 옛 마을은 파괴되었고 마을 일부는 바다 밑으로 가라앉았다. 정착지는 현재 마을 중심부가 있는 곳으로 이동했다. 오늘날 ''카타르만 비에호''(Catarman Viejo)에는 옛 스페인 교회, 수도원, 종탑의 폐허만이 남아 있다.

1948년부터 1951년까지 히복히복 산은 끊임없이 부글거리고 연기를 내뿜었다. 1948년의 첫 번째 작은 분화는 피해와 인명 피해가 적었지만, 1949년의 더 큰 분화로 화쇄류로 인해 79명이 사망했다. 가장 큰 분화는 1951년 12월 4일 아침에 일어났다. 화산은 용암류, 유독 가스, 화쇄류를 뿜어내 맘바자오 지역의 약 19제곱 킬로미터의 땅을 파괴했고, 총 3,000명 이상의 사람들이 사망했다. 1951년 히복히복 산 분화 이전 카미긴의 인구는 69,000명이었다. 분화 후, 대규모 이주로 인해 인구는 약 34,000명으로 감소했다. 이주한 사람들의 대부분은 민다나오 본섬, 주로 미사미스오리엔탈 주 주변으로 이주했다.[42][43]

8. 2. 태풍

2001년 11월 7일 새벽, 파괴적인 태풍이 이 지역을 강타했다. 열대성 폭풍인 링링(현지 이름: 난낭)은 산에 쏟아지는 폭우를 동반하여 여러 차례 대규모 산사태를 일으켰고, 약 200명의 주민이 사망하거나 실종되었다.[44]

9. 생물 다양성

카미긴 주는 생물 다양성이 풍부한 지역이다. 팀풍-히복히복 자연 기념물은 히복히복 산과 팀풍 산 산맥의 중요한 분수계생물 다양성의 중심지를 보존하고 있으며, 아세안 유산 공원으로 지정되어 있다. 또한 자이언트 조개 보호 구역에서는 다양한 종의 산호와 자이언트 조개를 볼 수 있다. 섬에는 카미긴 앵무, 카미긴 매부엉이, 카미긴 숲쥐 등 고유종이자 멸종 위기에 처한 다양한 동식물이 서식하고 있으며, 최소 6종의 척추동물이 카미긴 섬의 고유종으로 알려져 있다.

9. 1. 보호 구역

팀풍-히복히복 자연 기념물은 카미긴 섬 중부와 서부에 위치하며, 히복히복 산과 팀풍 산 산맥의 중요한 분수계생물 다양성의 중심지를 보존하고 있다. 섬에서 유일하게 남은 숲으로서, 카미긴 앵무, 카미긴 매부엉이, 카미긴 숲쥐와 같이 섬 고유종이자 멸종 위기에 처한 다양한 동식물을 지원한다.[24] 2015년 제13차 아세안 환경 장관 회의에서 아세안 유산 공원으로 공식 선언되었다.

자이언트 조개 보호 구역은 카빌라 자이언트 조개 보존 및 해양 양식장이라는 비정부 기구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다양한 종의 산호와 자이언트 조개의 서식지이다. 현재 9종의 자이언트 조개 중 7종이 이 보호 구역에서 발견된다.[38]

9. 2. 고유종

카미긴에는 최소 6종의 척추동물 고유종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카미긴 좁은입개구리 (''오레오프리네 나나'')
  • 카미긴쥐(Bullimus gamay) 또는 카미긴 숲쥐
  • 카미긴숲쥐(Apomys camiguinensis), 카미긴 숲쥐
  • 카미긴매눈(Ninox leventisi) 또는 카미긴 매
  • 카미긴앵무(Camiguin hanging parrot), 카미긴 앵무
  • 힙시페테스 카타르마넨시스(Hypsipetes catarmanensis) 또는 카미긴 덤불새

카미긴 화산 십자개구리

10. 교통

카미긴주에는 항공 교통과 해상 교통 수단이 있다.


  • 세부 퍼시픽은 막탄 세부 국제공항과 카미긴 공항 간의 항공편을 매일 운항한다.[39]
  • 민다나오 본토와는 카가얀 데 오로의 라귄딘간 공항을 통해 연결된다. 여기서 동쪽으로 가는 버스를 타면 미사미스 오리엔탈주의 발링고안 항구로 약 2시간 만에 이동할 수 있다.[39]
  • 발링고안 항구에서 베노니 항구로 가는 페리는 날씨에 따라 한 시간 조금 넘게 걸리며, 운항 간격은 오전 4시부터 오후 5시까지 시간대에 따라 다르다.[39][40]
  • 슈퍼 셔틀 Roro는 매일 카미긴의 발바곤 항구와 보홀의 자그나 항구 사이를 운항한다.[41]

기우실리반 산을 배경으로 카미긴으로 가는 페리

10. 1. 항공

10. 2. 해상

미사미스 오리엔탈주의 발링고안 항구에서 베노니 항구(카미긴)로 가는 페리가 운항된다. 운항 간격은 오전 4시부터 오후 5시까지이며, 시간대에 따라 다르다. 페리는 날씨에 따라 한 시간 조금 넘게 걸린다.[39][40]

슈퍼 셔틀 Roro는 매일 카미긴의 발바곤 항구와 보홀의 자그나 항구 사이를 운항한다.[41]

참조

[1] 뉴스 London travel fair gets an exciting glimpse of Camiguin, 'island born of fire' http://lifestyle.inq[...] 2016-03-18
[2] 웹사이트 List of Provinces http://www.nscb.gov.[...] National Statistical Coordination Board 2013-01-30
[3] 웹사이트 Camiguin church ruins, Sunken Cemetery declared National Cultural Treasures https://lifestyle.in[...] 2018-12-16
[4] 서적 Taxonomy of the Birds of the World The Complete Checklist of All Bird Species and Subspecies of the World BoD – Books on Demand 2018
[5] 서적 Report on the Geology of the Philippine Islands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01
[6] 웹사이트 Camiguin island http://datazone.bird[...] 2024-01-22
[7] 웹사이트 Manobo, Cinamiguin a language of the Philippines http://www.language-[...] 2012-04-27
[8] 문서 The Philippine Revolution in Misamis Province XU Press
[9] 간행물 An Act Extending the Provisions of the Provincial Government Act to the Province of Misamis https://elibrary.jud[...] Supreme Court E-Library 2024-07-30
[10] 문서 Las Aguas Potables de Mambajao 1910
[11] 간행물 An Act to Create the Provinces of Oriental Misamis and Occidental Misamis; Establish the Boundaries Thereof; Assign One Representative to Each Province; and Repeal Act Numbered Thirty-three Hundred and Fifty-four, and for Other Purposes https://elibrary.jud[...] Supreme Court E-Library 2024-07-30
[12] 간행물 an Act Creating the Subprovince of Camiguin in the Province of Misamis Oriental https://elibrary.jud[...] Supreme Court E-Library 2023-02-18
[13] 간행물 An Act Separating the Subprovince of Camiguin From the Province of Misamis Oriental and Establishing It as an Independent Province https://elibrary.jud[...] Supreme Court E-Library 2023-02-18
[14] 서적 Marcos Martial Law: Never Again Filipinos for a Better Philippines, Inc.
[15]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ww.official[...] 2024-06-17
[16] 논문 IMF Stabilization Program and Economic Growth: The Case of the Philippines https://dirp4.pids.g[...] 2022-11-06
[17] 서적 The Philippine Economy: Development, Policies, and Challenge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24-06-17
[18] 논문 Exchange Rate Movements in the Philippines
[19] 서적 Ferdinand Marcos and the Philippines: The Political Economy of Authoritarianism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1997
[20] 서적 The Philippines reader : a history of colonialism, neocolonialism, dictatorship, and resistance https://archive.org/[...] South End Press 1987
[21] 서적 Rebellion and repression in the Philippines https://archive.org/[...] Yale University Press 1989
[22] 서적 Kasaysayan, The Story of the Filipino People Volume 9:A Nation Reborn. Asia Publishing Company Limited
[23] 뉴스 Martial Law victims in N. Mindanao receive compensation https://www.rappler.[...] 2022-12-30
[24] 뉴스 Mt. Hibok-Hibok named Asean heritage park http://www.philstar.[...] Philippine Star 2015-11-08
[25] 웹사이트 About Camiguin Province http://www.camiguin.[...] 2012-04-25
[26] 문서 Measured with Google Earth
[27] 웹사이트 Region X (Northern Mindanao) http://www.nscb.gov.[...] 2012-04-26
[28] 웹사이트 Kinamigin: The Language of Camiguinons http://www.camiguing[...] 2012-04-27
[29] 웹사이트 People http://www.camiguin.[...] 2012-04-27
[30] 웹사이트 Manobo, Cinamiguin | Ethnic Groups of the Philippines http://www.ethnicgro[...]
[31] 웹사이트 Education http://www.camiguin.[...] Provincial Government of Camiguin 2010-10-25
[32] 웹사이트 Synonyms & Subfeatures - Camiguin http://www.volcano.s[...] 2012-04-25
[33] 웹사이트 Eruptive History Camiguin http://www.volcano.s[...] 2012-04-25
[34] 웹사이트 Synonyms and Subfeatures http://www.volcano.s[...] 2012-04-25
[35] 웹사이트 Tangub Hot Spring http://www.silent-ga[...] 2010-06-10
[36] 웹사이트 Camiguin is famous Burat Republic... http://www.tourism.g[...] Department of Titie Tourism
[37] 웹사이트 Places to See: Tuasan Falls http://www.camiguin.[...] 2010-06-10
[38] 웹사이트 Giant Clam Sanctuary in Camiguin https://www.taralets[...] Tara Lets Anywhere
[39] 웹사이트 Finding Camiguin, the Island born of Fire http://www.camiguin.[...] Province of Camiguin Official Website 2012-04-26
[40] 웹사이트 Balingoan to Camiguin Ferry Schedule http://www.camiguint[...] Camiguin Island Tours 2012-04-27
[41] 웹사이트 Schedule http://supershuttler[...]
[42] 웹사이트 History http://www.camiguin.[...] Province of Camiguin Official Website 2012-04-25
[43] 웹사이트 Hibok-Hibok http://volcano.phivo[...] Philippine Institute of Volcanology and Seismology 2012-04-25
[44] 뉴스 Storm leaves 22 dead in Philippines https://archive.toda[...] CNN World 2012-04-25
[45] 웹인용 Poverty incidence (PI): https://psa.gov.ph/c[...]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2020-12-28
[46] 간행물 2000
[47] 간행물 2003
[48] 간행물 2006
[49] 간행물 2012
[50] 간행물 2015
[51] 간행물 2018
[52] 간행물 20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