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이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이저는 독일어로 황제를 의미하는 단어로, 로마 황제의 칭호인 카이사르에서 유래했다. 신성 로마 제국, 오스트리아 제국, 독일 제국 등에서 군주의 칭호로 사용되었으며, 영국 군주가 인도 황제 칭호를 사용할 때 힌디어 및 우르두어로는 "카이사르-이-힌드"로 불리기도 했다. 또한 독일어 속어, 인명, 지명 등 다양한 곳에서 사용되며, 일본 천황의 번역어로도 쓰인다. 독일 역사에서 카이저는 신성 로마 황제와 오스트리아 황제의 칭호로 사용되었으며, 독일 제국에서는 호엔촐레른 왕조 출신 황제들이 이 칭호를 사용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황족 칭호 - 차트라파티
차트라파티는 인도 마라타 제국의 군주들이 사용한 "황제", "왕", "지도자"를 의미하는 칭호로, 시바지 1세가 마라타 제국 건국 시 처음 사용한 이후 그의 후계자들이 계승하였으며, 현재는 우다얀라제 보살레가 칭호를 이어받고 있다. - 황족 칭호 - 아우구스투스 (칭호)
아우구스투스는 로마 황제를 상징하는 칭호로, 옥타비아누스가 받은 후 황제의 고유 칭호가 되었으며, 법적 권한은 없었으나 최고 권력자의 상징으로 후대 황제들에게도 사용되었다. - 독일어계 외래어 - 이념
이념은 1796년에 앙투안 데스튀트 드 트라시가 고안한 용어로, 현실에 대한 기본적인 가정을 바탕으로 한 일관된 사상 체계이며 사회 통합 또는 불평등 정당화를 포함한 다양한 사회적 기능을 수행하며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연구가 이루어진다. - 독일어계 외래어 - 알레르기
알레르기는 면역 체계가 무해한 물질에 과도하게 반응하여 아토피 피부염, 비염, 천식, 두드러기 등 다양한 증상을 일으키는 질환으로, Gell과 Coombs 분류법에 따라 여러 유형으로 나뉘며, 심각한 경우 아나필락시스를 유발할 수 있고, 유전적,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며, 알레르겐 회피, 약물, 면역요법 등으로 치료한다. - 지도자 칭호 - 정이대장군
정이대장군은 에미시 정벌을 위해 임명된 일본 열도 태평양 방면 군 통솔 직책으로, 무사 정권의 시작과 함께 쇼군이 실질적인 권력을 행사하며 일본을 통치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 지도자 칭호 - 드루크걀포
드룩걀포는 부탄의 국가원수이자 국민 통합의 상징으로서, 헌법에 따라 종교와 정치를 아우르는 체제의 중심이며, 주요 정부 관리를 임명하고 국군의 최고 사령관으로서 외교, 훈장 수여, 사면 등의 왕실 특권을 행사한다.
카이저 | |
---|---|
용어 | |
독일어 | Der Kaiser |
네덜란드어 | Keyser, Keiser |
로마자 표기 | Ka-i-seo |
지위 | |
설명 | 독일 제국 (1871–1918)의 통치자와 관련된 독일어 단어. |
구분 | 왕과는 구별되는 황제의 칭호 |
유럽 귀족 계급 | |
황제/여황 | 황제 / 여황 / 왕・황제 / 여왕・여황 / 카이저 / 차르 |
상급왕/여왕 | 상급왕 / 상급여왕 / 대왕 / 대여왕 |
왕/여왕 | 왕 / 여왕 |
대공 | 에어츠헤어초크(대공) / 황녀 / 체사레비치(황태자) |
대공 | 벨리키 크냐지(대공・황태자) 대공 / 여대공 |
선제후/왕자 | 선제후 / 프린스 / 프린세스 / 크라운프린스 / 크라운프린세스 / 프린스 에트랑제 / 혈통친왕 / 인판테/인판타 / 도팽 / 도핀 / 크룰레비치 / 크룰레브나 / 야를 |
공작 | 공작 / 여공 / 헤르초크 / 크냐지 / 제후급 백작 |
제후 | 퓌르스트 / 퓌르스티네 / 보야르 |
후작 | 후작 / 여후작 / 변경백 / 방백 / 변경 제후/ 궁중백 |
백작 | 백작 / 그라프 / 샤틀렌 / 카스텔란 / 성백 |
자작 | 바이카운트 / 바이카운테스 / 비담 |
남작 | 바론 / 바로네스 / 프라이헤어 / 아드보카투스 / 로드 오브 팔러먼트 / 세인 / 렌드만 |
준남작 | 바로넷 / 바로네테스 / 스코틀랜드의 봉건 영주 / 리터 / 제국 기사 |
기사 | 에퀴테스 / 나이트 / 슈발리에 / 리더 / 레이디 / 데임 / 자유 기사 / 세뇨르 / 로드 |
신사 | 젠틀맨 / 젠트리 / 에스콰이어 / 레어드 / 에들러 / 용크헤어르 / 융커 / 얀거 / 메이드 |
대관 | 미니스테리아레 |
서양식 등작 | |
황제 | 임페라토르 / 아우구스투스 / 카이사르 바실레프스 / 아프토크라토르 / 카이저 / 차르 |
왕 | 렉스 / 바실레우스 / 코눙그 / 차르 |
대공 | 그랜드 듀크 / 그랜드 프린스 / 아치듀크 벨리키 크냐지 |
공작 | 듀크 / 프린스 / 헤어초크 / 크냐지 터워소그 / 데스포티스 / 쿠르퓌르스트 |
후작 | 마르키 / 퓌르스트 / 마르크그라프 란트그라프 / 팔츠그라프 / 보이보드 |
백작 | 카운트 / 그라프 / 얼 / 야를 / 에알도르만 |
자작 | 바이카운트 / 부르크그라프 / 카스텔란 |
남작 | 바롱 / 프라이헤어 / 리코스 옴브레스 / 보야르 |
준남작 | 바로넷 / 헤레디터리 나이트 |
기사 | 에퀴테스 / 나이트 / 데임 / 슈발리에 / 리터 에델프레이 / 야를 / 드루지나 |
유산층 | 에스콰이어 / 레어드 / 에들러 / 용크헤어르 / 융커 / 젠틀맨 |
2. 어원 및 언어 사용
독일어 '카이저'(Kaiser)는 로마 황제의 칭호인 카이사르(Caesar)에서 직접 유래했으며, 이는 다시 율리우스 카이사르 가문(줄리우스 가문)의 일원인 율리우스 가이우스 카이사르를 포함한 율리우스·클라우디우스 왕조의 조상인 율리우스 가이사르의 이름에서 유래했다.[4]
"카이저"는 카이사르에서 유래한 로마 제국의 황제 칭호이자 부황제 칭호인 카이사르의 파생어이다. 독일어로는 "황제"를 의미하며, 신성 로마 제국, 오스트리아 제국(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독일 제국에서 군주의 칭호로 사용되었다. 픽션에서도 독일계 황제의 칭호로 사용되기도 한다(예: 『은하영웅전설』). 일본의 천황을 번역할 때 "Kaiser"라는 표현을 사용하기도 한다.[17]
영국 군주들이 "인도 황제"라는 칭호를 사용했을 때 힌디어와 우르두어로는 ''카이사르-이-힌드''(Kaisar-i-Hind)라고 불렸지만, 이 단어는 궁극적으로 같은 라틴어 어원을 공유하지만, 독일어 Kaiserde가 아닌 페르시아어 ''Kaysar''에서 유래했다.[5]
Kaiserwetterde(카이저 날씨)는 구어적인 표현으로 독일어로는 짙푸른 맑은 하늘 아래 햇살이 쨍쨍한 날씨를 의미한다. 두덴에 따르면, 이 속담은 오스트리아 황제 프란츠 요제프 1세의 생일인 8월 18일의 대체로 밝은 햇살에서 유래했다고 한다.[6] 카이저슈마른(Kaiser schmarrn, 황제의 엉망진창)은 프란츠 요제프 1세에서 이름을 따온 가볍게 달콤한 팬케이크이다.[7] 오스트리아의 Kaisersemmelde("카이저 롤"), Kaiserfleischde ("카이저 고기") 또는 Kaisersuppede ("카이저 수프")에서도 '카이저'라는 단어는 최고 수준의 증가, 최고의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여겨진다.[8] ''카이저예거''(Kaiserjäger)와 ''카이저슈체첸''(Kaiserschützen)은 특히 카이저라는 이름의 일부에서 드러나듯이 오스트리아-헝가리군의 특별한 정예 부대였다.[9]
Der Kaiserde(카이저)는 1960년대와 1970년대에 활동했던 독일 축구 선수이자 서독을 1974년 FIFA 월드컵 우승으로 이끈 프란츠 베켄바우어[10]와 1976년 동계올림픽 챔피언인 오스트리아 스키 선수 프란츠 클람머의 별명이기도 한데, 둘 다 오스트리아 황제 프란츠 1세를 암시한다.
독일어로는 "황제"를 의미하며, 신성 로마 제국, 오스트리아 제국(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독일 제국에서는 군주의 칭호를 의미하며, 픽션에서도 독일계 황제의 칭호로 사용된다(예: 『은하영웅전설』). 일본의 천황 번역어도 "Kaiser"이다.[17]
격식을 갖춘 문장에서는, 'r'을 모음화하지 않는 옛 발음에 따라 "카이저"로 표기되기도 하며, 그 경우 빌헬름 2세 개인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18][19]
제왕절개는 독일어 "Kaiserschnitt"의 번역어이다.
네덜란드어나 네덜란드어 저지대 독일어의 일부 발음에 따라 "케이저"(keyser)로 표기되기도 한다.
3. 독일 역사와 칭호의 기원
격식을 갖춘 문장에서는 'r'을 모음화하지 않는 옛 발음에 따라 "카이저"로 표기하기도 하는데, 이 경우 빌헬름 2세를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18][19]
제왕절개는 독일어 "Kaiserschnitt"를 번역한 것이다. 네덜란드어나 네덜란드어 저지대 독일어의 일부 발음에 따라 "케이저"(keyser)로 표기되기도 한다.
3. 1. 신성 로마 제국 (962년 ~ 1806년)
신성 로마 황제(962~1806)들은 자신들을 ''카이저''(Kaiser)라고 불렀으며,[11] 이는 황제 칭호와 ''로마 왕''(황제 대관식 전 지명된 상속자가 취임) 칭호를 결합한 것이다. 그들은 자신의 통치를 로마 황제의 통치의 연장으로 여겼고, 그들의 유산을 반영하기 위해 ''카이사르''에서 유래한 칭호를 사용했다. 1452년부터 1806년까지, 1742년~1745년을 제외하고는 오직 합스부르크 가문의 구성원만이 "신성 로마 황제"였다.
3. 2. 오스트리아 제국 (1804년 ~ 1918년)
1806년 신성 로마 제국이 해체되었지만, 합스부르크 가문은 '카이저' 칭호를 유지했고, 그 수장은 1804년부터 오스트리아 황제 칭호를 사용했다.[11] 합스부르크 가문은 1273년 이후 대부분의 신성 로마 왕이나 황제를 배출했기 때문에, 자신들이 채택한 칭호의 정당한 상속자라고 여겼다. 그러나 오스트리아 제국은 더 이상 독일 대부분을 통치한다고 주장할 수 없었고, 오스트리아 외에도 비독일인이 거주하는 광대한 지역을 통치했다. 역사가 프리드리히 헤어(Friedrich Heer)에 따르면, 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 황제는 "카이사르의 손자"이자 성당의 수호자로 여겨졌으며, 그의 백성, 소수 민족, 모든 종교 공동체의 보호자로 여겨졌다.[12] 이러한 맥락에서 합스부르크 군주국 내 소수 민족뿐만 아니라 유대인[13]과 무슬림[14]은 황제에게 특히 충성스러웠다.
1867년 오스트리아 제국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으로 분할되었고, 프란츠 요제프 1세는 오스트리아 황제이자 헝가리 국왕이었다. 그의 후계자인 카를 1세도 마찬가지였다. 오늘날 합스부르크 가문의 가족 구성원은 종종 폐하(독일어: Kaiserliche Hoheit)로 불린다.
오스트리아 제국의 카이저는 네 명이었으며 모두 합스부르크 왕조에 속했다.
카를 본 합스부르크는 현재 합스부르크 가문의 수장이다.
3. 3. 독일 제국 (1871년 ~ 1918년)
1871년 독일 통일 (오스트리아 제외) 이후, 프로이센의 주도하에 통일된 독일 영토(자유 제국 도시, 공국, 공작령, 왕국 등)의 군주 칭호에 대한 논의가 있었다. 이들은 새로운 독일 제국을 형성하였다. 초대 카이저였던 빌헬름 1세는 Kaiser von Deutschland|독일 황제de를 선호했다. 그러나 비스마르크 총리가 제안한 Deutscher Kaiser|독일 황제de가 채택되었다. 이는 새 황제가 프로이센 출신임을 나타낼 뿐, 모든 독일 영토를 지배한다는 의미는 아니었다. 특히, 오스트리아 황제는 독일인이 거주하는 오스트리아가 여전히 독일 영토로 여겨졌기 때문에 불쾌하게 생각했다.[15]독일 제국에는 세 명의 카이저가 있었다. 이들은 모두 호엔촐레른 왕조 출신으로, 프로이센 왕으로서 사실상 소독일(오스트리아를 제외한 독일)의 지도자였다.
독일 제국의 카이저(1871~1918)는 다음과 같다.
이름 | 재위 기간 |
---|---|
빌헬름 1세 | 1871년 ~ 1888년 |
프리드리히 3세 | 1888년 3월 9일 ~ 6월 15일 (99일) |
빌헬름 2세 | 1888년 ~ 1918년 |
빌헬름 2세의 통치 기간 동안 독일의 군주제는 제1차 세계 대전이 끝날 무렵 종식되었다.[16]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페르디난트 프로이센 왕자는 현재 독일 제국과 프로이센 왕국의 전 통치 왕조였던 호엔촐레른 가문의 수장이다.
4. 현대의 사용
현대에는 '카이저'라는 단어를 격식을 갖춘 문장에서 'r'을 모음화하지 않는 옛 발음에 따라 표기하기도 하며, 이 경우 빌헬름 2세 개인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18][19] 제왕절개는 독일어 "Kaiserschnitt"의 번역어이다. 참고로, 네덜란드어나 네덜란드어 저지대 독일어의 일부 발음에 따라 "케이저"(keyser)로 표기하기도 한다.
참조
[1]
뉴스
Frankfurter Allgemeine Zeitung: Der ewige Kaiser
https://www.faz.net/[...]
Frankfurter Allgemeine Zeitung
[2]
뉴스
Der verklärte Kaiser Franz Joseph I. als Symbol einer Epoche
https://www.wn.de/We[...]
WN
[3]
뉴스
This is how dutifully Emperor Franz Joseph I died.
https://www.welt.de/[...]
Die Welt
[4]
논문
‘IT’S CAESAR [KAISER/TSAR], NOT MR. KING.’ (MIS)UNDERSTANDING A CAESARIAN PUN (SUET. IUL. 79.2) AND ITS IRONIES
https://histos.org/d[...]
2023
[5]
웹사이트
Autochthonous Aryans? The Evidence from Old Indian and Persian Texts
http://www.people.fa[...]
[6]
웹사이트
Duden: Kaiserwetter
https://www.duden.de[...]
Duden
[7]
서적
Lehrbuch für Köche
1999
[8]
서적
Hitlerweck und Kaisersemmel. Wahlkampfgeschenke und politisch-propagandistische Devotionalien aus dem Backofen
2010
[9]
서적
Kaiserjäger – Ruhm und Ende
1977
[10]
뉴스
Spieler Beckenbauer wird Kaiser Franz
FAZ.NET
2015-09-06
[11]
뉴스
Kaiser
1905
[12]
서적
Der Kampf um die österreichische Identität
1981
[13]
간행물
Mutig hinaus für Kaiser und Vaterland
Wina
2014-06
[14]
뉴스
Mit dem Fes auf dem Kopf für Österreich-Ungarn
https://www.derstand[...]
Der Standard
[15]
서적
Deutsche Verfassungsgeschichte seit 1789. Band III: Bismarck und das Reich
Kohlhammer Verlag
1988
[16]
웹사이트
Kaiser Wilhelm II - World War I - HISTORY.com
http://www.history.c[...]
2018-01-17
[17]
뉴스
Neuer Kaiser bekommt Throninsignien, die er nicht anschauen darf
https://www.welt.de/[...]
Die Welt
2020-10-30
[18]
서적
ヴィルヘルム2世 : ドイツ帝国と命運を共にした「国民皇帝」
中央公論社
2018
[19]
웹사이트
『ヴィルヘルム2世』/竹中亨インタビュー
https://www.chuko.co[...]
中央公論新社
2022-06-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