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타르의 농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타르의 농업은 대추야자 재배로 시작되었으나, 기후 조건의 불리함으로 인해 진주 채취가 주요 산업으로 자리 잡았다. 20세기 초 석유 발견 이후 식량 수입이 증가하면서 농업 종사자 수가 감소했으나, 1970년대 식량 자급자족의 필요성이 대두되어 정부 주도의 농업 개발 노력이 시작되었다. 카타르는 1980년대부터 해수 사용을 탐구하는 등 농업 발전을 위한 노력을 지속해 왔으며, 2017년 외교 위기 이후 식량 안보를 강화하기 위해 가축 사육 및 농작물 생산을 증대시켰다. 현재는 토양의 염분 문제와 지하수 고갈이라는 어려움에 직면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카타르의 농업 | |
---|---|
개요 | |
설명 | 카타르의 농업은 전통적으로 제한적인 규모였으나, 최근 기술 발전과 정부 지원으로 발전하고 있다. |
역사적 배경 | |
전통적 농업 | 과거에는 주로 유목 생활을 하며 대추야자와 같은 작물을 재배했다. 어업 또한 중요한 생계 수단이었다. |
현대 농업 | |
발전 노력 | 정부는 수자원 관리, 토지 개간, 기술 도입 등을 통해 농업 생산량 증대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
주요 작물 | 채소, 과일, 곡물 등이 재배되며, 온실 재배를 통해 다양한 작물을 생산한다. |
축산업 | 낙타, 양, 염소 등을 사육하며, 가금류 생산도 증가하고 있다. |
문제점 및 과제 | |
수자원 부족 | 강수량이 적어 관개 시설에 의존하며, 해수 담수화 기술을 활용하고 있다. |
토양 문제 | 척박한 사막 토양이 많아 토양 개량이 필요하다. |
기후 조건 | 고온 건조한 기후로 인해 작물 재배에 어려움이 있다. |
정부 지원 및 정책 | |
농업 투자 | 정부는 농업 기술 개발, 농업 기반 시설 확충, 농가 지원 등에 투자하고 있다. |
식량 안보 | 식량 자급률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
미래 전망 | |
지속 가능한 농업 | 스마트 농업 기술 도입과 친환경 농법을 통해 지속 가능한 농업을 추구하고 있다. |
기술 혁신 | 수경 재배, 자동화 시스템 등을 도입하여 생산 효율성을 높이고 있다. |
2. 역사
카타르 반도에서 가장 먼저 경작된 작물은 대추야자였다.[43] 청동기 시대 초반에 이루어진 대추야자 교역은 카타르 경제에 큰 영향을 주었다.[37] 대추야자 잎은 건축 재료로서 널리 사용되기도 했다.[38] 하지만 카타르의 기후는 대규모 작물 경작에 적합하지 않았기 때문에, 진주 채취를 통해 얻은 이득보다 수익이 크지는 못했다. 카타르 주변 바다에는 진주가 풍부한 지역이 많았기 때문에 20세기 석유 발견 전까지 카타르 주민들에게 가장 큰 경제적 이익을 안겨 주었다. 일부 지역에서는 진주 교역을 낙타 사육으로 보충하기도 했다. 어업 또한 경제에서 중요하게 다뤄졌다.[39]
존 고든 로리머는 1908년에 쓴 책 《페르시아만, 오만, 중앙아라비아 지명 사전》에서 이주민들의 농업에 대해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40]
카타르의 생계 수단 중 핵심적이고 거의 유일하다 할 수 있는 것은 진주 채취로, 몇몇 지역에서는 낙타 사육으로 보충하기도 한다. 농업은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대추야자는 알루크타. 알마키바흐, 무샤이리브, 누아비아흐, 사카흐, 알사카마, 알와크라흐에서 소규모로 재배되며, 위 지역을 제외한 곳에서 농작물이 재배되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야생 대추 무리는 도하트-아스-살와 근방 서부 해안에서 극히 적게 발견된다. 이주한 주민들은 낙타와는 다르게 말 또는 소를 거의 사육하지 않으며, 판매보다는 자신의 소유를 목적으로 한다. 베두인이 양 및 염소를 사육하기도 한다. 지역 해안가를 따라 어업도 진행된다. 카타르의 베두인에게는 위의 언급이 적용되지 않으며, 일반적인 아랍 유목민 및 다른 지역의 베두인과 비슷한 생활 양식을 지킨다.
도시 | 어선 | 낙타 | 말 |
---|---|---|---|
코르 하산 | 5 | 20 | 0 |
아부다로프 | 10 | 30 | 0 |
아르 루아브스 | 10 | 20 | 4 |
푸와이리트 | 12 | 100 | 20 |
알타키라 | 5 | 10 | 0 |
알코르 | 30 | 100 | 0 |
시마이스마 | 10 | 70 | 6 |
알다옌 | 10 | 60 | 10 |
루살리 | 3 | 70 | 20 |
도하 | 90 | 800 | 150 |
알와크라흐 | 30 | 150 | 40 |
1950년대~1960년대에 카타르가 석유 시추로 많은 돈을 벌어들이자, 카타르의 식량 수입 능력이 증가하여 농업에 종사하는 사람 수가 급감했다.[42]
1970년대 초 식량 가격이 상승하자, 카타르 정부는 식량 자급자족의 필요성을 인식하기 시작했다. 1974년 초 카타르는 아랍농업개발기구에 연구자를 파견해 자국의 농업에 대해 연구해 줄 것을 요청했고 유엔의 육지 및 해양 자원에 대한 보고서와 대조하였다. 1974년 7월 시작한 연구는 같은 해 11월 정부에 보고서를 제출하면서 종료되었다. 같은 해 9월에는 카타르에서 자국의 농업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법을 찾기 위한 위원회를 조직하였다. 또 같은 해 카타르 정부 부처의 보고서에서는 농업은 카타르의 총 GDP의 0.65%만을 차지한다는 것이 밝혀졌다.[42]
1985년 3월, 농업 및 수자원 연구부는 아랍 건조 지역 연구 센터와 협력하여 농업 목적으로 해수 사용을 탐구하는 카타르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이 프로젝트는 천연 자원, 특히 토양과 물을 보존하고 지역 조건에 적합한 효과적인 토양 및 수자원 관리 관행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이 계획에는 농업용으로 2,000~10,000ppm의 염분 농도를 가진 염수를 사용하는 것이 포함되었다.[9]
2. 1. 초기 농업
카타르 반도에서 가장 먼저 경작된 작물은 대추야자였다.[43] 청동기 시대 초반에 이루어진 대추야자 교역은 카타르 경제에 큰 영향을 주었다.[37] 대추야자 잎은 건축 재료로서 널리 사용되기도 했다.[38] 하지만 카타르의 기후는 대규모 작물 경작에 적합하지 않았기 때문에, 진주 채취를 통해 얻은 이득보다 수익이 크지는 못했다. 카타르 주변 바다에는 진주가 풍부한 지역이 많았기 때문에 20세기 석유 발견 전까지 카타르 주민들에게 가장 큰 경제적 이익을 안겨 주었다.[39] 일부 지역에서는 진주 교역을 낙타 사육으로 보충하기도 했다. 어업 또한 경제에서 중요하게 다뤄졌다.[39]존 고든 로리머는 1908년에 쓴 책 《페르시아만, 오만, 중앙아라비아 지명 사전》에서 이주민들의 농업에 대해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40]
도시 | 어선 | 낙타 | 말 |
---|---|---|---|
코르 하산 | 5 | 20 | 0 |
아부다로프 | 10 | 30 | 0 |
아르 루아브스 | 10 | 20 | 4 |
푸와이리트 | 12 | 100 | 20 |
알타키라 | 5 | 10 | 0 |
알코르 | 30 | 100 | 0 |
시마이스마 | 10 | 70 | 6 |
알다옌 | 10 | 60 | 10 |
루살리 | 3 | 70 | 20 |
도하 | 90 | 800 | 150 |
알와크라흐 | 30 | 150 | 40 |
1950년대~1960년대에 카타르가 석유 시추로 많은 돈을 벌어들이자, 카타르의 식량 수입 능력이 증가하여 농업에 종사하는 사람 수가 급감했다.[42]
1970년대 초 식량 가격이 상승하자, 카타르 정부는 식량 자급자족의 필요성을 인식하기 시작했다. 1974년 초 카타르는 아랍농업개발기구에 연구자를 파견해 자국의 농업에 대해 연구해 줄 것을 요청했고 유엔의 육지 및 해양 자원에 대한 보고서와 대조하였다. 1974년 7월 시작한 연구는 같은 해 11월 정부에 보고서를 제출하면서 종료되었다. 같은 해 9월에는 카타르에서 자국의 농업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법을 찾기 위한 위원회를 조직하였다. 또 같은 해 카타르 정부 부처의 보고서에서는 농업은 카타르의 총 GDP의 0.65%만을 차지한다는 것이 밝혀졌다.[42]
2. 2. 진주 채취와 어업의 번성
1939년 석유 발견 전까지 카타르의 주요 수입원은 진주 채취였다.[48] 카타르 영해에는 약 85곳의 진주 생산지가 존재한다.[49] 역사적으로 진주 수확은 3기로 나뉘었다. "한시야흐"는 4월 중순에 시작되어 40일간 지속된다. "가우스 알 케비르"는 진주 수확기의 중심으로 5월부터 9월까지 지속된다. "루다흐"는 9월 말부터 10월 초까지였다.[50] 다우의 일종인 삼북이 전통적으로 진주 채취에 이용되었다. 18세기부터 20세기까지는 진주가 뭄바이로 보내져 분류된 다음 유럽 시장으로 보내졌다. 남은 진주는 바그다드 시장으로 흘러들어갔다.[51]

도시 | 어선 | 승무원 |
---|---|---|
코르 하산 | 20 | 240 |
아부다로프 | 20 | 200 |
아르 루아브스 | 18 | 270 |
푸와이리트 | 35 | 420 |
알타키라 | 15 | 180 |
알코르 | 80 | 1200 |
시마이스마 | 50 | 600 |
알다옌 | 70 | 840 |
루살리 | 9 | 90 |
도하 | 350 | 6300 |
알와크라흐 | 150 | 2550 |
카타르 북서부 해안의 정착지인 주바라흐는 근방에서 가장 크고 보존 상태가 양호한 진주 채취 정착지이다.[52] 주바라흐는 18세기에 전성기를 맞았는데, 진주 생산지와 근접해 있고 페르시아만 항로의 중간에 있는 큰 항구라는 점에서 주로 엠포리엄(대형 상점)으로서 기능했다.[53][54] 진주 양식 도입 및 20세기 대공황을 거치며 대부분의 카타르 주민이 진주를 포기했다.[48]
진주 채취는 페르시아 만에서 유서 깊은 관행이지만, 정확히 언제부터 시작되었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 약 5,000년 전 바레인의 딜문 문명에서 시작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당시 카타르 주민들은 이 문명과 접촉했다.[27] 카타르 반도에서 발견된 가장 오래된 진주는 2022년 와디 데바얀의 묘지에서 발견되었으며, 기원전 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23]
1800년대 후반 카타르의 통치자였던 무함마드 빈 타니는 1877년에 "''우리 모두는, 가장 높은 사람부터 가장 낮은 사람까지, 한 주인의 노예입니다: 바로 진주입니다.''"라고 말하며 카타르에서 진주의 중요성을 보여주었다.[26]
진주 채취선의 선장은 '노크다'(noukhadha)라고 불리며, 잠수부('알 파와스')(al-fawwas) 간의 갈등 관리, '알 헤이라트'(al-hairat)로 알려진 진주 채취선에 진주 보관 등 중요한 임무를 담당했다. 항해에 잠수부와 동행하는 '노크다 바르'(noukhadha bahr) 해상 선장과 해안에 머무는 '노크다 바르'(noukhadha barr) 육상 선장이 있었다. '알 무카딤'(al-muqaddim)은 모든 선박 운영을, '알 사쿠니'(al-sakuni)는 선박 운전사이다. 강제 노동은 때때로 진주 채취 선원들에 의해 사용되었다.[27] 페르시아, 발루치스탄, 아라비아 다른 지역에서 온 잠수부도 사용되었다. 잠수부들은 굴에서 진주를 채취하면서 15~24미터 깊이까지 잠수했다. 이 작업은 위험했고 잠수부들은 종종 다양한 건강 상태로 고통받았다.[28]
2. 2. 1. 1908년의 농업 및 어업 자원
(내용 없음)2. 3. 석유 발견과 농업의 위축
대추야자는 아라비아 반도에서 재배된 가장 초기의 작물 중 하나였다.[10] 청동기 시대부터 대추야자의 거래는 카타르 경제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3] 대추야자 잎은 건축 자재로도 흔히 사용되었다.[4] 그러나 카타르의 지형과 기후는 대규모 작물 재배에 적합하지 않았기 때문에 대추야자 교환은 진주 채취보다 카타르의 수입에 미치는 영향이 적었다. 카타르 주변 해역에는 세계에서 가장 풍부한 진주 조개 침대가 있어 20세기 석유 발견 전까지 카타르 주민들의 주요 수입원이었다. 진주 거래는 일부 지역에서 낙타 사육으로 보충되었다. 어업 또한 경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5]J.G. 로리머는 1908년 그의 저서 ''페르시아만 지리지]''에서 정착 마을 사람들의 농업은 거의 존재하지 않으며,
2. 4. 식량 안보와 농업 발전 노력
대추야자는 아라비아 반도에서 재배된 가장 초기의 작물 중 하나였다.[10] 청동기 시대부터 대추야자의 거래는 카타르 경제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3] 대추야자 잎은 건축 자재로도 흔히 사용되었다.[4] 그러나 카타르의 지형과 기후는 대규모 작물 재배에 적합하지 않았기 때문에, 대추야자 교환은 진주 채취보다 카타르의 수입에 미치는 영향이 적었다. 카타르 주변 해역에는 세계에서 가장 풍부한 진주 조개 침대가 있어 20세기 석유 발견 전까지 카타르 주민들의 주요 수입원이었다. 진주 거래는 일부 지역에서 낙타 사육으로 보충되었다. 어업 또한 경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5]J.G. 로리머는 1908년 그의 저서 ''
{{quote|
"카타르의 주요 생계 수단이자 거의 유일한 생계 수단은 진주 채취이며, 일부 지역에서는 낙타 사육으로 보충된다. 농업은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유일한 대추야자는 그다지 많지 않지만, 라크타, 마르키야, 무샤이리브, 나아이자, 사카크, 사카마 및 와크라 정원에 있는 것으로 보인다. 채소밭이 같은 곳이나 도하트아스살와 근처 서해안에서 발견되는 몇 개의 반야생 대추 무리를 제외하고는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낙타 외에도 정착한 마을 사람들은 소유한 소수의 말과 소, 그리고 베두인이 돌보는 양과 염소를 가지고 있다. 그들은 또한 지역 해안에서 어업을 한다.
이러한 발언은 다른 곳의 종족과 마찬가지로 목축 습관을 가지고 있으며 아랍 유목민에게 흔한 비율로 가축을 소유하고 있는 카타르의 베두인에게 적용되지 않는다."
}}

1908년 당시 카타르의 농업 자원 현황은 다음과 같다.[7]
도시 | 어선 | 낙타 | 말 |
---|---|---|---|
코르 하산 | 5 | 20 | 0 |
아부 달루프 | 10 | 30 | 0 |
아르 루아이스 | 10 | 20 | 4 |
푸와이리트 | 12 | 100 | 20 |
알 타키라 | 5 | 10 | 0 |
알 코르 | 30 | 100 | 0 |
시마이스마 | 10 | 70 | 6 |
알 다옌 | 10 | 60 | 10 |
루사일 | 3 | 70 | 20 |
도하 | 90 | 800 | 150 |
알 와크라 | 30 | 150 | 40 |
카타르의 토지 중 2.5% (28,000 헥타르)만이 목초지로 사용되며, 이는 1980년 256 헥타르, 1996년 8,312 헥타르에서 지속적으로 증가한 수치이다.[43] 1994년 기준 농업 토지 8,312 헥타르 중 2,345 헥타르는 영구농작물 재배에, 5,987 헥타르는 일년생농작물 재배에 사용되었으며, 영구농작물 중 가장 많은 수는 대추야자였다.[43] 당근, 감자, 양파, 사료무 등 뿌리채소 또한 카타르 농장에서 재배되는 주요 작물이다.[44]
1950년대부터 1960년대에 카타르가 석유 시추로 상당한 수익을 얻으면서, 많은 양의 식량을 수입할 수 있게 되어 농업 종사자 수가 감소했다.[8] 1970년대 초 식량 가격이 상승하자 카타르는 식량 자급자족의 중요성을 인식했다. 1974년 초, 에미리트는 아랍 농업 개발 기구에 연구자를 파견하여 UN 보고서의 육상 및 해양 자원 결과와 대조 연구를 진행했다. 1974년 9월, 카타르는 농업 개발 촉진 위원회를 구성했다. 1974년 당시 농업은 카타르 GDP의 0.65%에 불과했다.[8]
1985년 3월, 농업 및 수자원 연구부는 아랍 건조 지역 연구 센터와 협력하여 농업 목적으로 해수 사용을 연구하는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이 프로젝트는 천연 자원 보존과 효과적인 토양 및 수자원 관리 관행 개발을 목표로 했으며, 2,000~10,000ppm의 염분 농도를 가진 염수를 농업용으로 사용하는 것을 포함했다.[9]
3. 경작 및 생활 양식
1960년부터 1970년 사이에 농업이 성장하여 농장의 수가 4배 증가했다.[2] 카타르의 지주들은 보통 정부기관에서 근무하며 파키스탄이나 아랍계 외국인 노동자를 고용하여 농장을 관리하는 경향이 있다.[36] 1990년 기준 경작지의 48%는 채소(23,000톤), 33%는 과일 및 대추야자(8,000톤), 11%는 먹이(70,000톤), 8%는 곡물(3,000톤) 생산에 사용되었으며, 양 128,000마리, 염소 78,000마리, 낙타 24,000마리, 소 10,000마리, 말 1,000마리를 사육했다.[36] 낙농업도 있어 닭 2,000마리를 사육했으며, 달걀 수요량 20%는 카타르에서 현지 조달된다.[36] 농업 및 어업 장려 정책에도 불구하고, 1989년 기준 두 산업을 합쳐도 국내총생산의 1%만을 차지했다.[36]
2017년 카타르 외교 위기로 사우디아라비아와의 국경이 폐쇄되자, 카타르는 소 4천 마리를 비행기로 공수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45] 이후 계획은 2018년까지 소 1만 마리를 추가 수입하는 것으로 수정되었다.[46] 카타르 지방자치 및 환경부에 따르면 2017년 6월부터 2018년 3월까지 육류, 유제품, 작물 생산량은 400% 증가했으며, 수요량의 98%가 충족되고 있다.[47] 2019년까지 카타르의 채소 생산량은 2017년 중반 이후 연간 66,000톤으로 20% 증가했으며, 금수 조치 이전에는 낙농 및 가금류 수요의 각각 20%와 10%만을 생산했지만, 2019년에는 자급자족하게 되었다.[16]
3. 1. 경작 현황
카타르의 토지 중 2.5% (28,000 헥타르)만이 목초지로 사용되며, 이는 1980년 256 헥타르, 1996년 8,312 헥타르에서 지속적으로 증가한 수치이다.[43] 1994년 기준 농업 토지 8,312 헥타르 중 2,345 헥타르는 영구농작물 재배에, 5,987 헥타르는 일년생농작물 재배에 사용되었으며, 영구농작물 중 가장 많은 수는 대추야자였다.[43] 당근, 감자, 양파, 사료무 등 뿌리채소 또한 카타르 농장에서 재배되는 주요 작물이다.[44]
1960년부터 1970년 사이에 농업이 성장하여 농장의 수가 4배 증가했다.[2] 카타르의 지주들은 보통 정부기관에서 근무하며 파키스탄이나 아랍계 외국인 노동자를 고용하여 농장을 관리하는 경향이 있다.[36] 1990년 기준 경작지의 48%는 채소(23,000톤), 33%는 과일 및 대추야자(8,000톤), 11%는 먹이(70,000톤), 8%는 곡물(3,000톤) 생산에 사용되었으며, 양 128,000마리, 염소 78,000마리, 낙타 24,000마리, 소 10,000마리, 말 1,000마리를 사육했다.[36] 낙농업도 있어 닭 2,000마리를 사육했으며, 달걀 수요량 20%는 카타르에서 현지 조달된다.[36] 농업 및 어업 장려 정책에도 불구하고, 1989년 기준 두 산업을 합쳐도 국내총생산의 1%만을 차지했다.[36]
2017년 카타르 외교 위기로 사우디아라비아와의 국경이 폐쇄되자, 카타르는 소 4천 마리를 비행기로 공수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45] 이후 계획은 2018년까지 소 1만 마리를 추가 수입하는 것으로 수정되었다.[46] 카타르 지방자치 및 환경부에 따르면 2017년 6월부터 2018년 3월까지 육류, 유제품, 작물 생산량은 400% 증가했으며, 수요량의 98%가 충족되고 있다.[47] 2019년까지 카타르의 채소 생산량은 2017년 중반 이후 연간 66,000톤으로 20% 증가했으며, 금수 조치 이전에는 낙농 및 가금류 수요의 각각 20%와 10%만을 생산했지만, 2019년에는 자급자족하게 되었다.[16]
대추야자 시럽의 제조는 카타르에서 최소 17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오래된 산업 중 하나이다.[17]
3. 2. 가축 사육
카타르 토지의 2.5%(28,000ha)만이 경작 가능하거나 목초지로 사용 적합하며, 이는 지난 20년간 크게 증가한 수치이다. 1996년에는 8,312ha, 1980년에는 2,256ha만이 경작 가능했다.[10] 1990년 카타르는 약 128,000마리의 양, 78,000마리의 염소, 24,000마리의 낙타, 10,000마리의 소, 1,000마리의 말을 가지고 있었다.[2] 낙농장도 있으며, 약 2,000마리의 닭이 가금류로 사육된다.[2] 계란에 대한 현지 수요의 20%를 제외한 모든 수요가 국내에서 충족된다.[2]
2017년 7월, 사우디 아라비아와의 유일한 육상 국경이 폐쇄된 후, 카타르는 자국 낙농 수요의 약 3분의 1을 충족하기 위해 4,000마리의 소를 공수할 계획을 발표했다. 현지 기업 발라드나가 낙농 생산을 담당할 것이다.[13] 이후 발라드나는 2018년까지 카타르의 낙농 수요를 완전히 충족할 수 있도록 10,000마리의 소를 추가로 수입할 것이라고 발표했다.[14] 시 및 환경부에 따르면, 카타르의 외교 분쟁이 시작된 2017년 6월부터 2018년 3월까지 육류, 유제품, 작물의 국내 생산량이 400% 증가했다. 가금류 수요의 거의 전부(98%)가 충족되고 있다.[15] 에 대한 금수 조치 전에는 카타르가 낙농 및 가금류 수요의 각각 20%와 10%만을 생산했으나, 2019년까지 자급자족하게 되었다.[16]
3. 3. 토양
카타르의 토양은 모래질 롬부터 무거운 석회질 점토까지 다양하다.[42] 경작 대부분은 롬 점토 토양에서 이루어지지만, 염분이 높고 영양소가 적으며 물 투과율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42][8] 카타르는 대부분 미풍화토양(오르텐트)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층 발달이 이루어지지 않아 매우 얕다.[55][19]
4. 진주
1939년 석유 발견 전까지 카타르의 주요 수입원은 진주 채취였다.[48] 카타르 영해에는 진주 생산지가 약 85곳 존재한다.[49] 역사적으로 진주 수확은 "한시야흐(한시야흐/Hansiyahar)" (4월 중순~40일간), "가우스 알 케비르(가우스 알 케비르/Ghaus Al Kebirar)" (5월~9월), "루다흐(루다흐/Ruddahar)" (9월 말~10월 초)의 3기로 나뉘었다.[50] 다우의 일종인 삼북이 전통적으로 진주 채취에 이용되었다. 18세기부터 20세기까지 채취한 진주는 뭄바이로 보내져 분류된 다음 유럽 시장으로 보내졌고, 남은 진주는 바그다드 시장으로 흘러들어갔다.[51]
카타르 북서부 해안의 정착지인 주바라흐는 근방에서 가장 크고 보존 상태가 양호한 진주 채취 정착지이다.[52] 주바라흐는 18세기에 전성기를 맞았는데, 진주 생산지와 근접해 있고 페르시아만 항로의 중간에 있는 큰 항구라는 점에서 주로 엠포리엄(대형 상점)으로서 기능했다.[53][54] 양식 진주 도입 및 20세기 대공황을 거치며 대부분의 카타르 주민이 진주 채취를 포기했다.[48]
도시 | 어선 | 승무원 |
---|---|---|
코르 하산 | 20 | 240 |
아부다로프 | 20 | 200 |
아르 루아브스 | 18 | 270 |
푸와이리트 | 35 | 420 |
알타키라 | 15 | 180 |
알코르 | 80 | 1200 |
시마이스마 | 50 | 600 |
알다옌 | 70 | 840 |
루살리 | 9 | 90 |
도하 | 350 | 6300 |
알와크라흐 | 150 | 2550 |
4. 1. 진주 생산지
1939년 석유 발견 전까지 카타르의 주요 수입원은 진주 채취였다.[48] 카타르 영해에는 진주 생산지가 약 85곳 존재한다.[49] 역사적으로 진주 수확은 "한시야흐(한시야흐/Hansiyahar)"(4월 중순~40일간), "가우스 알 케비르(가우스 알 케비르/Ghaus Al Kebirar)"(5월~9월), "루다흐(루다흐/Ruddahar)"(9월 말~10월 초)의 3기로 나뉘었다.[50] 다우의 일종인 삼북이 전통적으로 진주 채취에 이용되었다. 18세기부터 20세기까지 채취한 진주는 뭄바이로 보내져 분류된 다음 유럽 시장으로 보내졌고, 남은 진주는 바그다드 시장으로 흘러들어갔다.[51]카타르 북서부 해안의 정착지인 주바라흐는 근방에서 가장 크고 보존 상태가 양호한 진주 채취 정착지이다.[52] 주바라흐는 18세기에 전성기를 맞았는데, 진주 생산지와 근접해 있고 페르시아만 항로의 중간에 있는 큰 항구라는 점에서 주로 엠포리엄(대형 상점)으로서 기능했다.[53][54] 진주 양식 도입 및 20세기 대공황을 거치며 대부분의 카타르 주민이 진주 채취를 포기했다.[48]
도시 | 어선 | 승무원 |
---|---|---|
코르 하산 | 20 | 240 |
아부다로프 | 20 | 200 |
아르 루아브스 | 18 | 270 |
푸와이리트 | 35 | 420 |
알타키라 | 15 | 180 |
알코르 | 80 | 1200 |
시마이스마 | 50 | 600 |
알다옌 | 70 | 840 |
루살리 | 9 | 90 |
도하 | 350 | 6300 |
알와크라흐 | 150 | 2550 |
4. 2. 진주 채취의 쇠퇴
1939년 석유가 발견되기 전까지 카타르의 주요 수입원은 진주 채취였다.[48] 카타르 영해에는 약 85곳의 진주 생산지가 존재했다.[49][22] 역사적으로 진주 수확은 "한시야흐(Hansiyah)", "가우스 알 케비르(Ghaus Al Kebir)", "루다흐(Ruddah)"의 세 시기로 나뉘었다.[50][24] 다우의 일종인 삼북이 전통적으로 진주 채취에 이용되었다.[50][24] 18세기부터 20세기까지 채취된 진주는 뭄바이로 보내져 분류된 후 유럽 시장으로 보내지거나, 바그다드 시장으로 흘러들어 갔다.[51][25]1908년 당시 카타르의 주요 도시별 진주 채취선 및 승무원 수는 다음과 같다.[50][24]
도시 | 어선 | 승무원 |
---|---|---|
코르 하산 | 20 | 240 |
아부다로프 | 20 | 200 |
아르 루아브스 | 18 | 270 |
푸와이리트 | 35 | 420 |
알타키라 | 15 | 180 |
알코르 | 80 | 1200 |
시마이스마 | 50 | 600 |
알다옌 | 70 | 840 |
루살리 | 9 | 90 |
도하 | 350 | 6300 |
알와크라흐 | 150 | 2550 |
진주 채취는 페르시아 만에서 유서 깊은 관행이지만, 아랍인들이 언제부터 진주를 채취하기 시작했는지는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이 직업은 약 5,000년 전 바레인의 딜문 문명에서 시작되었을 수 있다.[27] 카타르 반도에서 발견된 가장 오래된 진주는 2022년 와디 데바얀의 묘지에서 발견되었으며, 기원전 4600년경으로 거슬러 올라간다.[23] 1800년대 후반 카타르의 통치자였던 무함마드 빈 타니는 1877년에 "''우리 모두는, 가장 높은 사람부터 가장 낮은 사람까지, 한 주인의 노예입니다: 바로 진주입니다.''"라고 말하며, 카타르에서 진주의 중요성을 보여주었다.[26]
진주 채취선의 선장은 '노크다'(noukhadha)라고 불렸다.[27] '알 무카딤'(al-muqaddim)은 모든 선박 운영을 담당하고 '알 사쿠니'(al-sakuni)는 선박 운전사였다. 강제 노동은 때때로 진주 채취 선원들에 의해 사용되었다. 페르시아, 발루치스탄, 아라비아 다른 지역에서 온 잠수부도 사용되었다. 잠수부들은 굴에서 진주를 채취하면서 15~24미터 깊이까지 잠수했다. 이 작업은 위험이 많았고 잠수부들은 종종 다양한 건강 상태로 고통받았다.[27][28]
카타르 북서부 해안의 정착지인 주바라흐는 근방에서 가장 크고 보존 상태가 양호한 진주 채취 정착지이다.[52][29] 18세기에 전성기를 맞은 주바라흐는 진주 생산지와 근접해 있고 페르시아만 항로의 중간에 있는 큰 항구라는 점에서 주로 상업 중심지(emporium)으로서 기능했다.[53][54][30][31] 양식 진주 도입 및 20세기 대공황을 거치며 대부분의 카타르 주민이 진주 채취를 포기했다.[48][21]
5. 어업
어업은 역사적으로 어업 여행에 필요한 선박과 장비를 유지하는 데 드는 높은 비용 때문에 진주 채취에 가려져 있었다.[34] 1966년 카타르 영해에서 새우를 잡아 냉장 공장에서 가공하기 위해 카타르 국립 어업 기업이 설립되었다.[2] 일본은 도하의 상업용 어류의 주요 시장이다.[2] 1989년의 총 어획량은 4,374톤이었다.[2]
5. 1. 카타르 국립 어업 기업
1966년 카타르 영해에서 새우를 잡아 냉장 공장에서 가공하기 위해 카타르 국립 어업 기업이 설립되었다.[36][2] 도하에서 잡히는 물고기들의 주요 수출지는 일본이다.[36][2] 1989년의 총 어획량은 4,374톤이었다.[2]6. 농업의 한계와 극복 노력
카타르의 농업은 극심한 고온, 수자원 부족, 비옥한 토양 부족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55][2] 카타르 반도 대부분을 차지하는 미풍화토양(오르텐트)은 약 1,020,000ha에 달하며, 매우 얕아서 농작물 재배에 적합하지 않다.[55][19]
일부 지역에서는 지하수를 통해 농경이 가능하지만, 지하수 고갈 속도가 빨라 해수가 역류하면서 내염 식물 외에는 자라기 어려운 환경이 조성되고 있다.[36][2] 1966년 연간 2천만 m³였던 지하수 사용량은 2000년에 1억 2천만 m³로 증가했으며, 연구에 따르면 대수층은 2025년에 완전히 고갈될 것으로 예상된다.[56][20] 카타르 북부 지역은 국가에서 가장 중요한 담수 지하수원이며, 남부 지역보다 수리지질학적 조건이 유리한 편이다.[20]
카타르 반도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미풍화토양(오르텐트)은 102만 헥타르에 달하며, 매우 얕기 때문에 농작물 재배에 적합하지 않다.[55][19] 지하수를 통해 몇몇 지역에서는 농경이 가능하지만, 급속도로 고갈되어 해수가 역류하고 있다.[36][2] 이로 인해 염분에 강한 식물 외에는 자라지 못하는 땅이 늘어나고 있다.[36][2] 1966년 지하수 사용 속도는 1년당 2천만 m³였지만, 2000년에는 1억 2천만 m³로 증가했다.[56][20] 연구에 따르면 카타르 북부 지역을 중심으로 하는 대수층은 2025년에 완전히 고갈될 것으로 예상된다.[56][20]
6. 1. 지하수 고갈 문제
카타르 반도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미풍화토양(오르텐트)은 102만 헥타르에 달하며, 매우 얕기 때문에 농작물 재배에 적합하지 않다.[55][19] 지하수를 통해 몇몇 지역에서는 농경이 가능하지만, 급속도로 고갈되어 해수가 역류하고 있다.[36][2] 이로 인해 염분에 강한 식물 외에는 자라지 못하는 땅이 늘어나고 있다.[36][2] 1966년 지하수 사용 속도는 1년당 2천만 m³였지만, 2000년에는 1억 2천만 m³로 증가했다.[56][20] 연구에 따르면 카타르 북부 지역을 중심으로 하는 대수층은 2025년에 완전히 고갈될 것으로 예상된다.[56][20]6. 2. 극복 노력
카타르의 농업은 극심한 고온, 수자원 부족, 비옥한 토양 부족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55][2] 카타르 반도 대부분을 차지하는 미풍화토양(오르텐트)은 약 102만 헥타르에 달하며, 매우 얕아서 농작물 재배에 적합하지 않다.[55][19]일부 지역에서는 지하수를 통해 농경이 가능하지만, 지하수 고갈 속도가 빨라 해수가 역류하면서 내염 식물 외에는 자라기 어려운 환경이 조성되고 있다.[36][2] 1966년 연간 2천만 m³였던 지하수 사용량은 2000년에 1억 2천만 m³로 증가했으며, 연구에 따르면 대수층은 2025년에 완전히 고갈될 것으로 예상된다.[56][20] 카타르 북부 지역은 국가에서 가장 중요한 담수 지하수원이며, 남부 지역보다 수리지질학적 조건이 유리한 편이다.[20]
참조
[1]
서적
Qatar (Major Muslim Nations)
https://books.google[...]
Mason Crest
[2]
백과사전
Persian Gulf states: country studies
https://www.loc.gov/[...]
Federal Research Division, Library of Congress
1994
[3]
서적
Jassim the Leader: Founder of Qatar
https://books.google[...]
Profile Books
[4]
웹사이트
Old buildings
http://www.catnaps.o[...]
2015-12-15
[5]
웹사이트
'Gazetteer of the Persian Gulf. Vol. II. Geographical and Statistical. J G Lorimer. 1908' [1532] (1647/2084)
http://www.qdl.qa/en[...]
Qatar Digital Library
2015-07-26
[6]
웹사이트
'Gazetteer of the Persian Gulf. Vol. II. Geographical and Statistical. J G Lorimer. 1908' [1526] (1641/2084)
https://www.qdl.qa/e[...]
Qatar Digital Library
2018-07-06
[7]
웹사이트
'Gazetteer of the Persian Gulf. Vol. II. Geographical and Statistical. J G Lorimer. 1908' [1533] (1648/2084)
http://www.qdl.qa/en[...]
Qatar Digital Library
2015-07-26
[8]
학술지
Agricultural Development in a Petroleum-Based Economy: Qatar
1978-10
[9]
웹사이트
مدير البحوث الزراعية والمائية يصرح : بدء تنفيذ مشروع استخدامات المياه المالحة للزراعة
https://www.raya.com[...]
Al Raya
1985-03-27
[10]
웹사이트
Geography and population
http://www.fao.org/d[...]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2015-07-13
[11]
웹사이트
Agriculture and Fisheries
http://www.hukoomi.q[...]
Qatar e-Government
2018-07-18
[12]
웹사이트
سعادة وزير الصناعة والزراعة في حوار خاص مع الراية حول:الصناعة والزراعة في قطر .. ماذا حققت .. وكيف يمكن دعمها ؟
https://www.raya.com[...]
Al Raya
1986-06-04
[13]
웹사이트
Qatar airlifts in cows after Arab embargo cuts milk supplies
https://money.cnn.co[...]
CNN Money
2017-08-27
[14]
웹사이트
Baladna Farm plans to meet Qatar's dairy needs by April 2018
https://thepeninsula[...]
The Peninsula
2017-09-15
[15]
웹사이트
Self-sufficiency in some agricultural sectors by 2022
https://thepeninsula[...]
The Peninsula
2018-07-20
[16]
웹사이트
With cows, chickens and greenhouses, Qatar takes on regional boycott
https://www.reuters.[...]
2019-06-05
[17]
웹사이트
Traditional Qatari Culture
https://www.qatartou[...]
Qatar Tourism
2024-04-28
[18]
웹사이트
Traditional Date Presses (madabis) in Qatar
https://www.qu.edu.q[...]
Gulf Studies Centre of Qatar University
2024-04-28
[19]
서적
Industrial development in Qatar: a geographical assessment
http://etheses.dur.a[...]
Durham E-Theses, Durham University
[20]
서적
Intensive Use of Groundwater: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https://books.google[...]
CRC Press
[21]
웹사이트
Pearl Diving in Qatar
http://traveltips.us[...]
USA Today
2015-05-26
[22]
서적
Industrial development in Qatar: a geographical assessment
http://etheses.dur.a[...]
Durham E-Theses, Durham University
[23]
웹사이트
Archaeologists find over 6,500-yr-old pearl bead in Qatar grave
https://www.tribunei[...]
Tribune India
2024-06-16
[24]
서적
The heritage of Qatar
https://archive.org/[...]
Immel Publishing
[25]
문서
Casey & Vine, p. 52
[26]
웹사이트
Divers are a Pearl's Best Friend: Pearl Diving in the Gulf 1840s–1930s
https://www.qdl.qa/e[...]
Qatar Digital Library
2024-05-01
[27]
서적
Al-ughniya al-sha biyya f Qatar. 2 vols.
Ministry of Information and Culture
[28]
잡지
Remembering Slavery at the Bin Jelmood House in Qatar
https://merip.org/20[...]
Middle East Research and Information Project
2024-06-05
[29]
웹사이트
Al Zubarah Archaeological Site
https://whc.unesco.o[...]
UNESCO
2015-02-14
[30]
문서
Bowen R. Le B. 1951: The Pearl Fisheries of the Persian Gulf. In The Middle East Journal 5/2: 161–180.
[31]
웹사이트
The Pearl Emporium of Al Zubarah
https://archive.aram[...]
Saudi Aramco World
2015-03-01
[32]
서적
Marriage: Regulations, Customs and Traditions in Qatari Society
https://www.moc.gov.[...]
Department of Cultural Research & Studies of the Ministry of Culture
[33]
서적
The Arab at home
https://archive.org/[...]
Thomas Y. Crowell Company
[34]
서적
https://www.moc.gov.[...]
Ministry of Culture (Qatar)
[35]
서적
Qatar (Major Muslim Nations)
https://books.google[...]
Mason Crest
[36]
웹인용
Agriculture and Fishing
http://countrystudie[...]
Country Studies
2015-05-26
[37]
서적
Jassim the Leader: Founder of Qatar
https://books.google[...]
Profile Books
[38]
웹인용
Old buildings
http://www.catnaps.o[...]
2015-12-15
[39]
웹인용
"'Gazetteer of the Persian Gulf. Vol. II. Geographical and Statistical. J G Lorimer. 1908' [1532] (1647/2084)"
http://www.qdl.qa/en[...]
Qatar Digital Library
2015-07-26
[40]
웹인용
"'Gazetteer of the Persian Gulf. Vol. II. Geographical and Statistical. J G Lorimer. 1908' [1526] (1641/2084)"
https://www.qdl.qa/e[...]
Qatar Digital Library
2018-07-06
[41]
웹인용
"'Gazetteer of the Persian Gulf. Vol. II. Geographical and Statistical. J G Lorimer. 1908' [1533] (1648/2084)"
http://www.qdl.qa/en[...]
Qatar Digital Library
2015-07-26
[42]
저널
Agricultural Development in a Petroleum-Based Economy: Qatar
https://archive.org/[...]
1978-10
[43]
웹인용
Geography and population
http://www.fao.org/d[...]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2015-07-13
[44]
웹인용
Agriculture and Fisheries
http://www.hukoomi.q[...]
Qatar e-Government
2018-07-18
[45]
웹인용
Qatar airlifts in cows after Arab embargo cuts milk supplies
http://money.cnn.com[...]
CNN Money
2017-07-12
[46]
웹인용
Baladna Farm plans to meet Qatar's dairy needs by April 2018
https://thepeninsula[...]
The Peninsula
2017-08-07
[47]
웹인용
Self-sufficiency in some agricultural sectors by 2022
https://thepeninsula[...]
The Peninsula
2018-07-20
[48]
웹인용
Pearl Diving in Qatar
http://traveltips.us[...]
USA Today
2015-05-26
[49]
서적
Industrial development in Qatar: a geographical assessment
http://etheses.dur.a[...]
Durham E-Theses, Durham University
[50]
서적
The heritage of Qatar
Immel Publishing
[51]
문서
Casey & Vine, p. 52
[52]
웹인용
Al Zubarah Archaeological Site
http://whc.unesco.or[...]
UNESCO
2015-02-14
[53]
문서
Bowen R. Le B. 1951: The Pearl Fisheries of the Persian Gulf. In The Middle East Journal 5/2: 161–180.
[54]
웹인용
The Pearl Emporium of Al Zubarah
https://www.saudiara[...]
Saudi Aramco World
2015-03-01
[55]
서적
Industrial development in Qatar: a geographical assessment
http://etheses.dur.a[...]
Durham E-Theses, Durham University
[56]
서적
Intensive Use of Groundwater: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https://books.google[...]
CRC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