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국가'는 일본의 국가로, 가사는 10세기에 편찬된 '고금와카집'에 수록된 와카에서 유래했다. 이 노래는 원래 '와가 키미 와'로 시작했으나, 가마쿠라 시대에 '키미가요'로 변경되었다. 1869년 영국 군악대장 존 윌리엄 펜턴이 일본에 국가가 없음을 알고 작곡을 제안하여, 1880년 궁내성이 새로운 멜로디를 채택하고 독일 음악가 프란츠 에케르트가 서양식 화성을 더해 현재의 '기미가요'가 완성되었다. 1888년 공식 국가로 채택되었으며, '국기 및 국가에 관한 법률'에 의해 법적으로 인정되었다. 가사는 천황의 만세와 일본의 영원한 번영을 기원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1880년 노래 - 푸니쿨리, 푸니쿨라 1880년 루이지 덴자가 작곡하고 피피노 투르코가 작사한 나폴리 민요인 푸니쿨리, 푸니쿨라는 베수비오 산의 강삭철도 개통을 기념하기 위해 만들어져 피에디그로타 축제에서 처음 발표된 후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얻었다.
1880년 노래 - 캐나다의 국가 《오 캐나다》는 1880년 프랑스계 캐나다인 애국가로 처음 만들어졌으며, 영어 가사 추가, 성차별적 표현 수정, 원주민 언어 번역을 거쳐 1980년 캐나다의 공식 국가로 제정되어 스포츠 행사 등에서 연주된다.
전후 일본 - 도쿄 증권거래소 도쿄 증권거래소는 1949년 설립된 일본 최대 증권거래소로, 한때 세계 최대 주식 시장이었으나 오사카 증권거래소와 통합하여 일본거래소그룹으로 재편되었고, 현재는 세 개의 시장으로 운영되며 다양한 유가증권 거래를 지원하는 일본 자본시장의 핵심 기관이다.
전후 일본 - 단카이 세대 단카이 세대는 제2차 세계 대전 후 일본에서 태어난 많은 수의 인구를 지칭하며, 고도 경제 성장을 이끌었지만 고령화로 인해 사회적 부담을 가중시키고 일본 사회 전반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일본의 상징 - 일본의 국기 일본의 국기는 흰색 바탕에 붉은 원이 그려진 디자인으로, 태양을 상징하며 1999년 법률에 의해 공식적으로 국기로 지정되었다.
일본의 상징 - 기리몬 기리몬은 오동나무를 문양화한 일본의 가문 문장으로, 세 개의 꽃차례와 잎으로 구성되며 꽃의 수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있고, 일본 정부 및 역사적 인물의 상징으로 사용되었으나 국제적 인지도 부족으로 현재는 다른 상징으로 대체되기도 한다.
일본의 국가 - [음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제목
"" (일본어) 기미가요 (로마자 표기: Kimigayo)
영어 제목
His Imperial Majesty's Reign (폐하의 통치)
기미가요 악보
국가
일본
작사
와카 시 (헤이안 시대, 794–1185)
작곡
원곡: 존 윌리엄 펜턴, 1869년 현재 버전: 오쿠 요시이, 하야시 아키모리 (편곡: 프란츠 에케르트)
君が代|기미가요일본어는 천 년, 팔천 년 동안 이어지기를, 작은 조약돌이 큰 바위가 되어 이끼가 낄 때까지라는 뜻으로, 영원한 세월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것이다.[53]
영어 번역[31]
바실 홀 체임벌린의 시적 영어 번역[32]
이 가사는 10세기 칙찬 와카집인 『고금와카집(古今和歌集)』에 처음 등장하며, "우리 임금은 천 대(千代)에 팔천 대(八千代)에 자갈돌이 반석(巌)이 되어 이끼가 낄 때까지"라는 단가였다.[46][48][51] 이후 여러 문학 작품에 인용되며 축하의 노래로 널리 사용되었다.[46][48][52]
원래 "그대(君)"는 군주뿐만 아니라 다양한 사람을 지칭하는 말이었으나,[46][53] 메이지 시대 이후에는 천황을 가리키는 말로 사용되게 되었다.[56]
1869년 영국인 군악대 교관 존 윌리엄 펜턴의 제안으로 국가 작곡이 시작되었고,[46][48]1880년 사실상의 국가로 채택되었다.[48][57]
"사자레이시(さざれ石)의 바위가 되어 이끼가 낄 때까지"는 작은 돌이 큰 바위가 되어 이끼가 낄 때까지의 긴 시간을 의미하며, 영원한 세월을 시각적으로 표현한 것이다.[53]
하여 오래도록 길이 있으라 변치 않고 구히 길이 있으라 작은 돌은 엉키어 이 되고 다시 바위는 의 을 낳으리라
가사의 출처는 『고금화가집』(고금화가집 권7 하가 권두가, 제목 불명, 작자 불명, 국시 대관 번호 343번)이다. 단, 고금집의 텍스트에서는 첫 구를 "와가 키미와(我が君は)"로 하여, 현재의 국가 가사와는 완전히 일치하지 않는다.[48][53]
'''와가 키미와 치요니 야치요니 사자레노 이와오토나리테 코케노 무스마데'''
문헌에서 보이는 완전한 일치는, 낭영을 위한 수구(秀句)나 화가를 모은 『화한낭영집』의 가마쿠라 시대 초기의 한 본에 기록된 것이 가장 오래된 것으로 여겨진다(권하 축, 국시 대관 번호 775번)[48][52][66][67]。
『화한낭영집』에서도 오래된 사본은 "와가 키미(我が君)"로 되어 있지만, 후세의 판본은 "키미가요(君が代)"가 많다[52]。 이 "와가 키미"에서 "키미가요"로의 변천에 대해서는 첫 구 "와가 키미"의 화가가 『고금화가집』과 『고금화가육첩』 외에는 거의 보이지 않고, 이후의 가집에서는 첫 구 "키미가요"가 압도적으로 많기 때문에 시대의 흐름으로 "와가 키미"라는 직접적인 표현이 "키미가요"라는 간접적인 표현으로 바뀐 것이 아닌가 하는 추측이 있다[68]。 치바 유코는, "와가 키미"에서 "키미가요"로의 전환은 헤이안 시대 말기 무렵에 진행되었다고 한다[69]。
2. 2. 한국어 번역
기미가요 한국어 번역 표기
임의 시대는
천 대에 팔 천 대에
조약돌이
바위가 되어서
이끼가 낄 때까지
바실 홀 체임벌린은 이 가사를 영어로 번역했다.[63] 체임벌린의 번역은 다음과 같다.[64]
"''키미''(Kimi)"는 적어도 헤이안 시대부터 일본 천황 또는 자신의 군주(즉, 주인)를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4][5] 예를 들어, ''겐지 이야기''의 주인공 光源氏|히카루 겐지일본어는 光の君 라고도 불린다. 나라 시대 이전에는 천황을 종종 "''오키미''" (위대한 군주)라고 불렀으므로, "''키미가요''"의 "''키미''"라는 단어가 원래 "천황"을 의미했는지 여부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키미"는 또한 만엽집 (권1 78번)에서 여황제 겐메이가 그녀의 연인에 대해 쓴 시에서 "내 사랑"을 의미하기도 한다.
가마쿠라 시대에 "키미가요"는 사무라이들 사이에서 축제 노래로 사용되었고, 이후 에도 시대에 백성들 사이에서 인기를 얻었다. 에도 시대 후반에는 "키미가요"가 오오쿠 (에도 성, 현재 도쿄 황궁)와 사쓰마 번 (현재 가고시마현)에서 일반적인 새해 축제 노래로 사용되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키미''"는 결코 천황을 의미하지 않고, 단지 도쿠가와 쇼군, 사쓰마 번의 통치자인 시마즈 씨족, 명예 손님, 또는 축제 술자리의 모든 구성원을 의미했다. 메이지 유신 이후 사쓰마 번 출신의 사무라이들이 일본 제국 정부를 장악했고, 그들은 "키미가요"를 일본 국가로 채택했다. 이 시기부터 제2차 세계 대전 종전까지 "키미가요"는 천황의 장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었다. 1947년 일본국 헌법 채택과 함께 천황은 더 이상 국가 원수가 아니며, 왕권신수설에 의해 통치되는 주권자가 아니라, 국가의 상징이자 헌법 군주로서 국민의 단결의 상징인 인간이 되었다.[6] 문부과학성은 전쟁 이후 "키미가요"에 대한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지 않았고, 이로 인해 이 노래는 일본 국민을 의미하게 되었다. 또한 문부과학성은 "키미가요"의 전쟁 전 의미를 공식적으로 포기하지 않았다.[7]
1999년, 국기 및 국가에 관한 법률의 심의 과정에서 ''키미'' 또는 ''키미가요''의 공식적인 정의에 대한 질문이 반복적으로 제기되었다. 내각관방장관 노나카 히로무가 제시한 첫 번째 제안은, ''키미''가 "일본의 상징으로서의 천황"을 의미하며, 전체 가사가 일본의 평화와 번영을 기원한다는 것이었다. 그는 이러한 제안의 주요 이유로 일본국 헌법 제1조에 명시된 천황의 새로운 지위를 언급했다.[8] 같은 회기에서 내각총리대신오부치 게이조 (오부치 내각)는 1999년 6월 29일 성명을 통해 이 의미를 확인했다.
> "''키미''"는 국가의 상징이자 국민의 단결의 상징이며, 그 지위는 일본 국민의 합의에 기반한 의지에서 비롯된 천황을 나타냅니다. 그리고 "키미가요"라는 구절은, 일본 국민의 합의에 기반한 의지에 의해 국가의 상징이자 국민의 단결의 상징으로 천황이 즉위한 우리 국가, 일본을 나타냅니다. 그리고 "키미가요"의 가사가 그러한 우리 국가의 지속적인 번영과 평화를 기원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해석하는 것이 합리적입니다.[9]
오부치 행정부에서 정부를 장악했던 자유민주당에 반대하는 정당들은 ''키미''와 "키미가요"에 대한 정부의 해석에 강하게 반대했다. 민주당의 국회의원들은 어떤 역사적 연관성도 없다는 이유로 반대했다. 가장 강력한 비판자는 일본 공산당 위원장 시이 가즈오였는데, 그는 "키미가요" 가사는 천황의 장수를 기원하는 내용만 언급하기 때문에 "일본"을 "키미가요"에서 유래시킬 수 없다고 강력하게 주장했다. 시이는 또한 민주 국가에서 천황에 대한 국가가 적절하지 않다며, 이 노래를 국가로 사용하는 것에 반대했다.
「君が代는 천 대(千代)에 팔천 대(八千代)에 자갈돌이 반석(巌)이 되어 이끼가 낄 때까지」라는 가사는 10세기에 편찬된 칙찬 와카집(勅撰和歌集) 『고금와카집(古今和歌集)』 권7 「가(賀歌)」 권두에 "작자를 알 수 없음(読人知らず)"으로 "우리 임금은 천 대(千代)에 팔천 대(八千代)에 자갈돌이 반석(巌)이 되어 이끼가 낄 때까지"라고 하는 단가가 첫 출처이다.[46][48][51]
이것은 기노 쓰라유키 선정 『신찬와카(新撰和歌)』나 후지와라노 공임이 낭영(朗詠)을 위해 선정한 『와칸로에이슈(和漢朗詠集)』(11세기) 등에도 수록되어 축하의 노래로 여겨졌으며, 술자리 때 불리는 노래로도 여겨졌다.[46][48][52]9세기에 고교 천황이 승정 헨조의 장수를 축하하며 "그대의 팔천 대(君が八千代)"라고 한 것처럼 "그대(君)"는 폭넓게 사용하는 말로써 군주·천황을 가리키는 것만은 아니었다.[46][53]
"나의 그대(我が君)"는 축하를 받는 사람을 가리키며, "그대의 시대(君が代)"는 천황에게는 "천황의 치세"를 의미하지만, 일반적으로는 이 노래를 받는 자의 장수를 축하하는 의미였다.[46][47][53][54] 이 노래는 이야기, 오토기조시, 요곡, 고우타, 조루리에서 가부키, 우키요조시, 교카 등 다방면에 걸쳐 있으며, 소쿄쿠, 나가우타, 도키와즈, 추가(碓挽歌), 배노래, 본오도리 노래, 제례 노래, 비파 노래, 거지의 문전걸이 등 광범위하게 사용되었다.[46][47]아즈치모모야마 시대의 류타츠에서 "그대의 시대는 천 대(君が代は千代に)"는 사랑의 소곡으로 널리 알려져 있었다.[55] 이와 같이 원래의 노래에서는 "그대(君)"라는 말은 다의적으로 사용되었다.
"사자레이시의 바위가 되어 이끼가 낄 때까지(さざれ石のいわおとなりてこけのむすまで)"는 "작은 돌이 성장하여 큰 바위가 되고, 그것에 이끼가 낄 때까지"의 의미로, 한없는 영원한 세월을 가시적인 이미지로 표현한 것이다.[53]
''Whose venerable sides the moss doth line.''영어[65]
가사의 출처는 『고금와카집』(고금화가집 권7 하가 권두가, 제목 불명, 작자 불명, 국시 대관 번호 343번)이다. 단, 고금집의 텍스트에서는 첫 구를 "와가 키미와(我が君は)"로 하여, 현재의 국가 가사와는 완전히 일치하지 않는다.[48][53]
'''와가 키미와 치요니 야치요니 사자레노 이와오토나리테 코케노 무스마데'''
문헌에서 보이는 완전한 일치는, 낭영을 위한 수구(秀句)나 화가를 모은 『와칸로에이슈(和漢朗詠集)』의 가마쿠라 시대 초기의 한 본에 기록된 것이 가장 오래된 것으로 여겨진다(권하 축, 국시 대관 번호 775번)[48][52][66][67]
『와칸로에이슈』에서도 오래된 사본은 "와가 키미(我が君)"로 되어 있지만, 후세의 판본은 "키미가요(君が代)"가 많다.[52]만엽집 등에서는 "君が代"(기미가요)라는 말 자체가 "귀하(또는 주군)의 어명"에서 유래하여, 오래됨에 걸리는 말이며, 전하여 "우리 임금의 어세"가 된다. 고금와카집에 수록된 원가에서는 "君"(기미)는 "당신", "주인", "군주" 등 널리 사용되는 말로, 천황을 가리킨다고 한정할 수 없다.[53]
4. 역사
9세기에 고코 천황이 승정 헨조의 장수를 축하하며 "그대의 팔천 대(君が八千代)"라고 한 것처럼 "그대(君)"는 폭넓게 사용하는 말로써 군주·천황을 가리키는 것만은 아니었다.[46][53] 즉, "나의 그대(我が君)"는 축하를 받는 사람을 가리키며, "그대의 시대(君が代)"는 천황에게는 "천황의 치세"를 의미하지만, 일반적으로는 이 노래를 받는 자의 장수를 축하하는 의미였다.[46][47][53][54]
1869년 존 윌리엄 펜턴은 일본에 국가가 없다는 것을 알고 오야마 이와오에게 국가 제정을 건의했다.[10] 오야마는 이를 받아들여 가사를 선택했고, 펜턴에게 멜로디 작곡을 요청했다.[10] 펜턴은 2~3주, 그리고 단 며칠간의 연습 기간을 거쳐 1870년 일본 천황 앞에서 국가를 초연했는데, 이것이 "기미가요"의 첫 번째 버전이었다.[11][12] 그러나 이 버전은 "엄숙함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폐기되었다.[13] 일설에는 일본인에게 "부르기 어렵기" 때문이라고도 한다.[14]
1880년 궁내성(현재의 궁내청)은 오쿠 요시이사, 하야시 아키모리가 작곡한 새로운 멜로디를 채택했다. 작곡자는 종종 그들의 감독이자 아키모리의 아버지인 하야시 히로모리로 기록된다.[11] 이 멜로디는 일본 궁중 음악의 전통적인 음계를 기반으로 하면서도 서양 찬송가의 영향을 받은 혼합된 스타일이었으며, 펜턴 편곡의 일부 요소를 포함하고 있었다.[15]프란츠 에케르트는 이 멜로디에 서양식 화성을 적용하여 "기미가요"의 두 번째이자 현재 버전을 만들었다. 1888년 정부는 "기미가요"를 공식적으로 국가로 채택하고, 외교 의식을 위해 악보와 가사의 사본을 해외로 보냈다.[16]1893년까지 "기미가요"는 문부과학성의 노력으로 공립학교 의식에 포함되었다.
20세기 초, "기미가요"는 천황을 기리는 사상과 밀접하게 연관되기 시작했으며, 일본 교육의 일부로도 자리 잡았다. 그러나 1904년 오사카 신문에 표현된 의견은 "기미가요"를 국가 전체가 아닌 황실을 위한 노래라고 언급했다. 우치무라 간조는 "기미가요"가 국가의 찬송가가 아니며, 이 노래의 목적은 천황을 찬양하는 것이라고 말했다.[18] 일본인들은 청일 전쟁, 러일 전쟁 승리 이후 축하 분위기가 고조될 때까지 "기미가요"를 국가로 잘 알지 못했다.[16]
제2차 세계 대전 중 대일본제국은 자국과 식민지의 학도들에게 매일 아침 "기미가요"를 부르고 히로히토 천황에게 경례하도록 명령했다.
1999년 8월 13일, "국기 및 국가에 관한 법률"이 통과되면서 ''히노마루''와 "기미가요"가 일본의 국가 상징으로 공식 채택되었다. 이 법안은 히로시마의 한 학교 교장이 ''히노마루''와 "기미가요" 사용에 대한 학교 내 분쟁을 해결하지 못하고 자살한 사건이 계기가 되었다.[22]
오부치 게이조 당시 총리는 자유민주당 총재로서 2000년에 ''히노마루''와 "기미가요"를 일본의 공식 상징으로 만들기 위한 법안 제정을 추진했다. 노나카 히로무 내각관방장관은 아키히토 천황 즉위 10주년에 맞춰 법안을 완료하고자 했다.[19] 1974년 다나카 가쿠에이 총리도 1972년 오키나와 반환과 1973년 석유 파동을 배경으로 두 상징을 합법화하는 법안 통과를 시사한 바 있다.[21]
법안의 주요 지지 세력은 여당인 자민당과 공명당이었고, 사회민주당과 일본 공산당은 두 상징이 전쟁 시대와 관련이 있다고 비판하며 반대했다. 일본 공산당은 국민 투표를 요구하기도 했다. 민주당은 당내 합의를 이루지 못했지만, 간 나오토 대표는 두 상징을 이미 일본의 상징으로 인정하고 있었기에 법안을 지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19]하토야마 유키오 부서기장은 법안이 사회와 학교에 더 큰 분열을 초래할 것이라고 우려했다.[19]
와세다 대학교 교수 가토 노리히로는 "기미가요"가 ''히노마루''보다 더 복잡한 문제라고 지적하며 법안 분리를 요구했지만, 국회에서 거부되었다.[20] 1999년 7월 22일 중의원은 찬성 403표, 반대 86표로 법안을 통과시켰고,[21] 7월 28일 참의원으로 보내져 8월 9일에 통과되었다. 8월 13일, 법률로 제정되었다.[22]
국기 및 국가에 관한 법률 부록 2에는 국가의 가사와 악보가 제시되어 있다. 악보는 도리안 선법으로 작곡된 4/4 박자의 보컬 편곡을 보여준다.[23] 법률은 "기미가요" 연주 시 존경 표시에 대한 세부 사항은 담고 있지 않지만, 오부치 총리는 법이 새로운 규정을 부과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24] 그러나 지방 정부와 민간 단체는 때때로 특정 의례를 따르도록 제안하거나 요구하기도 한다. 2003년 10월 도쿄도청 지침에 따르면, 졸업식에서 교사는 국가 연주 시 기립하여 ''히노마루''를 향해 "기미가요"를 불러야 했다.[25] 법률은 "기미가요" 연주 시기와 장소를 규정하지 않지만, 국내외 스포츠 행사에서 흔히 연주된다. 스모 토너먼트에서는 시상식 전에 "기미가요"가 연주된다.[13]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문부과학성은 학교에서 '히노마루'와 '기미가요' 사용을 장려하는 성명과 규정을 발표했다. 1950년 첫 성명에서는 두 상징 사용이 바람직하지만 필수는 아니라고 명시했다. 이후 국경일과 의례 행사에서 두 상징을 모두 사용하도록 확대되었고, 학생들에게 국방 교육을 장려했다. 문부성은 두 상징이 법적으로 공식 제정되지 않았음을 설명하고, "기미가요"를 노래로 지칭하며 국가로 부르기를 거부했다. 1977년에야 문부성은 "기미가요"를 일본의 국가로 언급했다. 1989년 교육 지침 개정에서 자민당 정부는 학교 행사에서 '히노마루' 국기 사용과 "기미가요"에 대한 경의를 요구했고, 이를 따르지 않는 학교 관계자에 대한 처벌도 제정되었다.
국기 및 국가에 관한 법률 통과 후, 문부과학성이 발표한 1999년 교육 과정 지도 요령은 "입학식 및 졸업식에서 학교는 일본 국기를 게양하고 학생들에게 '기미가요'(국가)를 부르도록 지도해야 한다"고 규정했다.[26] 또한, 문부성은 일본 학생들이 자국 상징을 존중하지 않으면 다른 국가의 상징도 존중할 수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27]
TV 아사히 설문조사에 따르면, 1999년 법률 통과 이전에도 대부분의 일본인은 "기미가요"를 중요하지만 논란이 있는 노래로 인식했다.[28]마이니치 신문 여론조사에서는 대다수가 국가 지정 법률 제정에 반대하거나 국회가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해야 한다고 생각했다.[29] 많은 일본 학생들은 가사의 오래된 언어를 이해하지 못하고 역사적 사용에 대해 교육받지 못했다고 말하며, 학교 행사에서 국가 사용 관련 논란은 여전히 남아있다.[30]
4. 1. 메이지 유신 이전
1869년(메이지 2년), 군악대 교관이었던 영국인 존 윌리엄 펜턴이 일본에 국가가 없는 것을 안타깝게 여겨 작곡을 신청했다.[46][48]1880년(메이지 13년), 법률로 정해지지는 않았지만 사실상의 국가로서 예식곡 "그대의 시대(君が代)"가 채택되었으며, 그 테마는 황통의 영속성으로 여겨진다.[48][57]
가사의 출처는 『고금와카집』(권7 하가 권두가, 제목 불명, 작자 불명, 국시 대관 번호 343번)이다. 다만, 고금집의 텍스트에서는 첫 구절을 "와가 키미와(我が君は)"로 하여 현재의 국가 가사와는 완전히 일치하지 않는다.[48][53]
'''와가 키미와 치요니 야치요니 사자레노 이와오토나리테 코케노 무스마데'''
문헌에서 보이는 완전한 일치는, 낭영을 위한 수구나 화가를 모은 『화한낭영집』의 가마쿠라 시대 초기의 한 본에 기록된 것이 가장 오래된 것으로 여겨진다(권하 축, 국시 대관 번호 775번).[48][52][66][67]
『화한낭영집』에서도 오래된 사본은 "와가 키미(我が君)"로 되어 있지만, 후세의 판본은 "기미가요(君が代)"가 많다.[52] "와가 키미"에서 "기미가요"로의 변천에 대해서는, 첫 구 "와가 키미"의 화가가 『고금화가집』과 『고금와카육첩』 외에는 거의 보이지 않고 이후의 가집에서는 첫 구 "기미가요"가 압도적으로 많기 때문에, 시대의 흐름에 따라 "와가 키미"라는 직접적인 표현이 "기미가요"라는 간접적인 표현으로 바뀐 것이 아닌가 하는 추측이 있다.[68] 치바 유코는 "와가 키미"에서 "기미가요"로의 전환이 헤이안 시대 말기 무렵에 진행되었다고 한다.[69] 낭영은 서양 음악이나 그 영향을 받은 현대 일본 음악에서의 가사와 선율이 밀접하게 관련된 사가 일치체와는 달리, 그 가창에서 가사를 알아듣는 것은 매우 어렵다.[70]
만엽집 등에서는 "君が代"(기미가요)라는 말 자체가 "귀하(또는 주군)의 어명"에서 유래하여 오래됨에 걸리는 말이며, 전하여 "우리 임금의 어세"가 된다. 고금와카집에 수록된 원가에서는, 앞서 언급했듯이 "君"(기미)는 "당신", "주인", "군주" 등 널리 사용되는 말로, 천황을 가리킨다고 한정할 수 없다.[53] 고금와카집 권7의 하가 22수 중 18수는 특정 개인, 마쓰다 다케오에 따르면 고코 천황, 후지와라노 모토쓰네, 다이고 천황의 3명과 관련된 사람들의 구체적인 축하 장면에 맞춰 지어진 노래이다.[71]
후세의 주석서에서는, 이 노래의 "君"이 천자를 가리킨다고 명시하는 경우도 있다. 속군서류종 제16집에 수록된 요치의 『고금와카집 음명 작가 차례』가 그것이다. 이 책 제1권의 간행은 만지 원년(1658년)의 일이며, 요치는 첫 구를 "君か代ともいうなり"(기미가요토모이우나리)로 하고, "우리 임금의 천하를 다스리시네"라고 해설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17세기 중반 에도 시대 전기에서 "천황의 어세를 오래도록"이라고 축하하는 노래라는 해석이 존재했음을 알 수 있다.[87][72]
고금와카집에 한정하지 않고, 칙찬집에 수록된 하가에 대해 살펴보면 "君"이 의미하는 바는 시대가 내려갈수록 천황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기미가요"는 낭영에 사용되었을 뿐만 아니라, 가마쿠라 시대 이후 급속도로 서민들에게 퍼져나가, 하가(賀歌)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되었다.
16세기사쓰마국의 전국 무장 시마즈 타다요시는 가독을 둘러싼 내분을 수습한 후, 급증한 가신단을 결속시키기 위한 정신 교육에 주력하여 비파를 개조하고, 사쓰마 비파를 만들었다.[77] 그리고 무사의 윤리를 노래한 자작 47수에 군략의 조언도 구한 맹인 승려 후치와키 료코에게 곡을 붙여, 비파 노래 "이로하 노래"로 보급시켰다.[77] 시마즈 닛신사이 작사·후치와키 료코 작곡의 비파 노래 "호라이산"의 가사에는 "기미가요"가 포함되어 있다.[77]
"기미가요"를 읊은 이 비파 노래는 사쓰마 번 가문 내의 경사스러운 자리에서는 필수적인 곡으로 불렸으며, 향중 교육이라는 일종의 집단 교육도 더해져 이 곡을 부르지 못하는 사쓰마 번사는 거의 없었다.[77]
"기미가요"는 에도 성오오쿠에서 정초 새벽에 행해지는 "오사자레 이시" 의식에서도 불렸다.[78] 이는 미다이도코로(정실)가 "기미가요는 천대에 팔천대에 조약돌의"라고 윗 구절을 읊으면, 미다이도코로가 "이와호가 되어 이끼가 낄 때까지"라고 아랫 구절을 응하는 여성들만의 "정화 의식"이었다.[78]
펜턴 작곡의 「기미가요」[80][81]
1869년(메이지 2년) 4월, 영국 공사 해리 파크스로부터 에든버러 공 알프레드(빅토리아 여왕의 차남)가 일본을 방문한다는 통보가 있었다.[82] 그 접대 담당관에게 영국 공사관 호위대 보병 대대의 군악대장 존 윌리엄 펜턴이 일본에 국가가 없는 것은 유감이며, 국가 또는 의례 음악을 마련해야 한다고 진언하고, 스스로 작곡을 신청했다.[46][66][78]
당시 사쓰마 번 포병 대대장이었던 오야마 야스케(후의 오야마 이와오)는 노즈 시게오와 오사코 키자에몬과 상의하여, 사쓰마 비파 가곡인 「봉래산」에 있는 「기미가요」를 가사로 선택하고, 펜턴에게 제시했다.[66][78][83]
같은 해 10월, 가고시마에서 팡파레대의 청소년이 요코하마로 불려와 사쓰마 밴드(사쓰마 번 군악대)를 설립한다. 펜턴으로부터 악전과 악기 연주를 지도받고, 묘코지에서 맹연습을 했다.[85] 이듬해 1870년(메이지 3년) 8월 12일, 요코하마의 야마테 공원 음악당에서 펜턴 지휘, 사쓰마 밴드에 의해 최초의 연주회에서 초대 예식곡 「기미가요」가 연주되었다.[85] 같은 해 9월 8일, 도쿄 엣추지마에서 천람의 육군 관병식 때 취주되었다.[46][50][86] 그러나 펜턴 작곡의 「기미가요」는 위엄이 부족하여 악장 가마다 신페이를 비롯해 불만이 많았고[46][47][48], 당시 사람들이 서양적인 선율에 익숙하지 못했던 것도 있어 보급되지 않았다.
근대 서양에서의 국가는 일본이 개국한 막부 말 시점에서 외교 의례에 필수적인 것이 되었기 때문에, 일본에서도 국가의 필요성이 인식되게 되었다.
1876년(메이지 9년), 해군 악장 나카무라 유요는 해군성 군무국장 앞으로 「기미가요」 악보를 개정하는 상신서 「천황 폐하를 축하하는 악보 개정의 건」을 제출하고, 그 안에서 국가의 중요성을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46][48][69]
「(서양 제국에서) 빙문 왕래 등의 성대한 대전이 있을 때는, 각국 서로 (국가의) 악보를 읊조리고, 이를 통해 그 특립 자립국으로서의 융성을 표인하고, 그 군주의 위엄을 발휘하는 예의에 있어서 빼놓을 수 없는 전례로 한다」[87]
이 의견에 기초하여, 궁중의 영창하는 음절을 존중하여 개정하는 방향으로 궁내성과 검토에 들어가, 펜턴의 예식곡은 폐지되었다.[46][47][50] 이듬해 1877년에 서남 전쟁이 일어나, 그 사이에 펜턴은 임기를 마치고 귀국했다.
1880년(메이지 13년) 7월, 악보 개정 위원으로서 해군 악장 나카무라 유요, 육군 악장 요모토 요시토요, 궁내성 예인장 하야시 히로모리, 독일인 해군 군악 교사인 프란츠 에케르트 4명이 임명되었다.[46][47] 채택된 것은 하야시 히로모리가 아악의 이치코츠조 선율의 음계로 작곡한 것으로, 실제로는 히로모리의 장남 하야시 히로키와 궁내청 식부직 아악과의 예인 오쿠 요시요시가 붙인 선율을 바탕으로 히로모리가 곡을 만든 것으로 인정된다.[46][47] 이 곡에 에케르트가 서양풍 화성을 붙여 관현악용으로 편곡했다.[46][66][67][69][83]
개정판 「기미가요」는 1880년(메이지 13년) 10월 25일에 시연되었고, 26일에 군무국장 상신서인 「폐하 봉축의 악보 개정의 건에 대한 상신」이 시행되어 예식곡으로서의 지위가 정해졌다. 같은 해 11월 3일 천장절에는 처음으로 궁중에서 예인 등에 의해 연주되어 공적으로 공개되었다.[46][47][48][67][83] 조는 플랫(♭) 2개의 내림 나장조였다.[50]
해군성 소장의 1880년(메이지 13년)의 원보에 「국가 기미가요 운운」이라고 되어 있는 것으로부터, 에케르트 편곡에 의한 현행의 「기미가요」의 성립 시에는 「국가」라는 번역어가 만들어져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68]
1881년(메이지 14년)에 최초의 창가 교과서인 『소학 창가집 초편』이 문부성 음악 취조과에 의해 편집되어 이듬해 간행되었다.[48] 여기서의 「기미가요」 가사는 현대의 「기미가요」와는 약간 다르고, 2절까지 있었다.[88] 곡도 영국인이 작곡한 별개의 곡으로, 초등학교에서는 처음에는 이것이 가르쳐졌다.[47][88]
육군성도 에케르트 편곡의 「기미가요」를 국가로 인정하지 않고, 천황 행차 시에는 「나팔 오션오를 연주한다」라고 정하고 있어, 천람의 육군 대조련에는 「오션」이 연주되었다.[88]1882년(메이지 15년), 음악 취조과가 문부성의 명령을 받아 「기미가요」의 국가 선정을 노력했지만 실현되지 않았다.[48] 아악조의 에케르트 편곡 「기미가요」는 호평을 받아, 천황 예식곡으로 주로 해군에서 연주되었다.[48]
1888년(메이지 21년), 해군성이 하야시 히로모리 작곡, 에케르트 편곡 「기미가요」의 관현악보를 인쇄하여 「대일본 예식 Japanische Hymne (von F.Eckert)」로 각 관청 및 각 조약국에 송부했다.[46][47][48]1889년(메이지 22년)의 음악 취조과 편찬 『중등 창가』에는 에케르트 편곡의 예식곡이 게재되었고, 1889년 12월 29일 「소학교에서 축일 대제일 의식에 사용하는 가사 및 악보의 건」에서는 『소학 창가집 초편』과 『중등 창가』가 모두 언급되었다.[48]
예식곡 「기미가요」의 보급은 1890년(메이지 23년)의 『교육 칙어』 발포 이후, 학교 교육을 통해 강력하게 추진되었다.[48]1891년(메이지 24년), 「소학교 축일 대제일 의식 규정」이 제정되어, 이 의식에서는 축제 당일에 어울리는 노래를 부르는 것이 정해졌다.[48]
1893년(메이지 26년) 8월 12일, 문부성은 「기미가요」 등을 수록한 「축일 대제일 가사 및 악보」를 관보에 고시했다.[47][48][67][89] 여기에는 「기미가요」 외에 「1월 1일」(연초의), 「기원절」(구름에 솟아오르는), 「천장절」(오늘의 좋은 날은) 등 8곡을 제정 발표했다.[46][90] 「기미가요」는 작곡자는 하야시 히로모리, 가사에 관해서는 「옛 노래」라고 적혀 있으며, 조는 「대일본 예식」보다 한 음 높은 다장조,[50][89]4분의 4박자이지만 쉼표는 사용되지 않았다.[49]
1897년(메이지 30년) 11월 19일의 육군성 달 제153호에서 「『기미가요』는 폐하 및 황족에게 대할 때 사용한다」라고 하여, 「기미가요」는 에케르트 편곡의 현 국가로 통일되었다.[88] 「기미가요」는 학교 의식에서 국가로서 취급되어, 기원절, 천장절, 1월 1일에는 어린이가 학교에 참집하여 제창되었고, 청일 전쟁(1894년 - 1895년)·러일 전쟁(1904년 - 1905년)에 의한 국위 발양과 함께 국민 사이에 보급되어 갔다.[48][88]1903년(메이지 36년) 독일에서 열린 「세계 국가 콩쿠르」에서는 「기미가요」가 1등을 수상했다.[91] 다만, 메이지 시대에는 국가 제정의 의가 궁내성이나 문부성에 의해 진행되었지만 모두 실패했으며, 법적으로는 초등학교용 축일의 노래에 불과했다.[46]
1912년(다이쇼 원년) 8월 9일, 「의제에 관한 해군 군악보」가 제정되어, 1914년(다이쇼 3년)에 시행된 「해군 예식령」에서는 해군에서의 「기미가요」의 취급을 정하고 있다.[50][67]
군함기 게양 및 강하는 아침 8시에 게양하고 일몰 시에 강하하는, 옛날부터의 세계 공통의 관습이며, 해상자위대에서도 계승되고 있다.[50][92]
4. 2. 메이지 시대 (1868-1912)
1869년 존 윌리엄 펜턴은 일본에 국가가 없다는 것을 알고 오야마 이와오에게 국가 제정을 건의했다.[10] 오야마는 이를 받아들여 가사를 선택했고, 펜턴에게 멜로디 작곡을 요청했다.[10] 펜턴은 2~3주, 그리고 단 며칠간의 연습 기간을 거쳐 1870년 일본 천황 앞에서 국가를 초연했는데, 이것이 "기미가요"의 첫 번째 버전이었다.[11][12] 그러나 이 버전은 "엄숙함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폐기되었다.[13] 일설에는 일본인에게 "부르기 어렵기" 때문이라고도 한다.[14]
1880년 궁내성(현재의 궁내청)은 오쿠 요시이사, 하야시 아키모리가 작곡한 새로운 멜로디를 채택했다. 작곡자는 종종 그들의 감독이자 아키모리의 아버지인 하야시 히로모리로 기록된다.[11] 이 멜로디는 일본 궁중 음악의 전통적인 음계를 기반으로 하면서도 서양 찬송가의 영향을 받은 혼합된 스타일이었으며, 펜턴 편곡의 일부 요소를 포함하고 있었다.[15]프란츠 에케르트는 이 멜로디에 서양식 화성을 적용하여 "기미가요"의 두 번째이자 현재 버전을 만들었다. 1888년 정부는 "기미가요"를 공식적으로 국가로 채택하고, 외교 의식을 위해 악보와 가사의 사본을 해외로 보냈다.[16]1893년까지 "기미가요"는 문부과학성의 노력으로 공립학교 의식에 포함되었다.
기미가요 악보, 1888
요시모토 고조(吉本光蔵)는 국가와 이사와 슈지의 "일본 제국의 방어" (皇国の守り)라는 다른 작곡을 바탕으로 기미가요 행진곡 (君が代行進曲)을 작곡했다. 이 행진곡은 현재 해상자위대 군악대에 의해 연주된다.[17]
20세기 초, "기미가요"는 천황을 기리는 사상과 밀접하게 연관되기 시작했으며, 일본 교육의 일부로도 자리 잡았다. 그러나 1904년 오사카 신문에 표현된 의견은 "기미가요"를 국가 전체가 아닌 황실을 위한 노래라고 언급했다. 우치무라 간조는 "기미가요"가 국가의 찬송가가 아니며, 이 노래의 목적은 천황을 찬양하는 것이라고 말했다.[18] 일본인들은 청일 전쟁, 러일 전쟁 승리 이후 축하 분위기가 고조될 때까지 "기미가요"를 국가로 잘 알지 못했다.[16]
4. 3. 다이쇼 시대와 쇼와 시대 (1912-1945)
1869년(메이지 2년), 영국인 군악대 교관 존 윌리엄 펜턴이 일본에 국가가 없는 것을 안타깝게 여겨 작곡을 신청했다.[46][48]1880년(메이지 13년), 법률로 정해지지는 않았지만 사실상의 국가로서 예식곡 "기미가요"가 채택되었으며, 그 테마는 황통의 영속성으로 여겨진다.[48][57]
1912년(다이쇼 원년) 8월 9일, 「의제에 관한 해군 군악보」가 제정되었고, 1914년(다이쇼 3년) 시행된 「해군 예식령」은 해군에서의 "기미가요" 취급을 규정했다.[50][67]군함기 게양 및 강하는 아침 8시에 게양하고 일몰 시 강하하는, 세계 공통의 관습이며 해상자위대에서도 계승되고 있다.[50][92] 군악대가 승선한 함이 외국 항만에 정박하는 경우, 자국 국가로 게양 및 강하를 한 후 방문국의 국가를 연주한다.[50]
"기미가요"는 공식적인 국가는 아니었지만, 국제적인 손님 환송이나 스포츠 관련 행사 등에서 국가에 준하여 연주·가창되는 일이 많아졌으며, 특히 쇼와 시대 10년대에 들어 이러한 경향이 두드러졌다.[46][47]
1936년(쇼와 11년), 히라오 사부로 문부대신은 조선소 견습 직공에게 '기미가요' 가사를 한자로 쓰게 한 결과, 동음이의어를 쓰거나(예: 바위 음) 오자가 많은 것을 발견했다. 그는 국가 가사를 발음만으로 외우고 의미를 이해하지 못하는 것은 문제라고 여겨 심상소학교 교과서에 기미가요 게재를 지시했다.[93]
이후 초등학교 국정 수신 교과서에 가사가 게재되면서, "우리 신민이 '기미가요'를 부를 때에는 천황 폐하의 만세를 축원하고, 황실의 번영을 기원하는 마음으로 가득 찹니다."(『소학수신서』권4)라는 내용과 함께 기미가요를 부르는 의미도 실렸다. 1941년(쇼와 16년) 국민학교 수신 교과서에도 "기미가요는 천황 폐하께서 다스리시는 시대가 천 년, 만 년 이어져 번영하기를 바라는 의미로, 국민이 마음으로부터 축하드리는 노래입니다."(국민학교 4학년용 국정 수신 교과서 『초등과 수신 2』)라고 설명되었다.[48][94]중일 전쟁부터 태평양 전쟁 시기에는 오토모노 야카모치의 와카에 1937년(쇼와 12년) 노부토키 기요시가 곡을 붙인 "바다로 가자(海行かば)"도 제2 국가처럼 취급되어 다양한 장면에서 연주·제창되었다.[95]
4. 4.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1945-)
1999년 8월 13일, "국기 및 국가에 관한 법률"이 통과되면서 ''히노마루''와 "기미가요"가 일본의 국가 상징으로 공식 채택되었다. 이 법안은 히로시마의 한 학교 교장이 ''히노마루''와 "기미가요" 사용에 대한 학교 내 분쟁을 해결하지 못하고 자살한 사건이 계기가 되었다.[22]
오부치 게이조 당시 총리는 자유민주당 총재로서 2000년에 ''히노마루''와 "기미가요"를 일본의 공식 상징으로 만들기 위한 법안 제정을 추진했다. 노나카 히로무 내각관방장관은 아키히토 천황 즉위 10주년에 맞춰 법안을 완료하고자 했다.[19] 1974년 다나카 가쿠에이 총리도 1972년 오키나와 반환과 1973년 석유 파동을 배경으로 두 상징을 합법화하는 법안 통과를 시사한 바 있다.[21]
법안의 주요 지지 세력은 여당인 자민당과 공명당이었고, 사회민주당과 일본 공산당은 두 상징이 전쟁 시대와 관련이 있다고 비판하며 반대했다. 일본 공산당은 국민 투표를 요구하기도 했다. 민주당은 당내 합의를 이루지 못했지만, 간 나오토 대표는 두 상징을 이미 일본의 상징으로 인정하고 있었기에 법안을 지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19]하토야마 유키오 부서기장은 법안이 사회와 학교에 더 큰 분열을 초래할 것이라고 우려했다.[19]
와세다 대학교 교수 가토 노리히로는 "기미가요"가 ''히노마루''보다 더 복잡한 문제라고 지적하며 법안 분리를 요구했지만, 국회에서 거부되었다.[20] 1999년 7월 22일 중의원은 찬성 403표, 반대 86표로 법안을 통과시켰고,[21] 7월 28일 참의원으로 보내져 8월 9일에 통과되었다. 8월 13일, 법률로 제정되었다.[22]
국기 및 국가에 관한 법률 부록 2에는 국가의 가사와 악보가 제시되어 있다. 악보는 도리안 선법으로 작곡된 4/4 박자의 보컬 편곡을 보여준다.[23] 법률은 "기미가요" 연주 시 존경 표시에 대한 세부 사항은 담고 있지 않지만, 오부치 총리는 법이 새로운 규정을 부과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24] 그러나 지방 정부와 민간 단체는 때때로 특정 의례를 따르도록 제안하거나 요구하기도 한다. 2003년 10월 도쿄도청 지침에 따르면, 졸업식에서 교사는 국가 연주 시 기립하여 ''히노마루''를 향해 "기미가요"를 불러야 했다.[25] 법률은 "기미가요" 연주 시기와 장소를 규정하지 않지만, 국내외 스포츠 행사에서 흔히 연주된다. 스모 토너먼트에서는 시상식 전에 "기미가요"가 연주된다.[13]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문부과학성은 학교에서 '히노마루'와 '기미가요' 사용을 장려하는 성명과 규정을 발표했다. 1950년 첫 성명에서는 두 상징 사용이 바람직하지만 필수는 아니라고 명시했다. 이후 국경일과 의례 행사에서 두 상징을 모두 사용하도록 확대되었고, 학생들에게 국방 교육을 장려했다. 문부성은 두 상징이 법적으로 공식 제정되지 않았음을 설명하고, "기미가요"를 노래로 지칭하며 국가로 부르기를 거부했다. 1977년에야 문부성은 "기미가요"를 일본의 국가로 언급했다. 1989년 교육 지침 개정에서 자민당 정부는 학교 행사에서 '히노마루' 국기 사용과 "기미가요"에 대한 경의를 요구했고, 이를 따르지 않는 학교 관계자에 대한 처벌도 제정되었다.
국기 및 국가에 관한 법률 통과 후, 문부과학성이 발표한 1999년 교육 과정 지도 요령은 "입학식 및 졸업식에서 학교는 일본 국기를 게양하고 학생들에게 '기미가요'(국가)를 부르도록 지도해야 한다"고 규정했다.[26] 또한, 문부성은 일본 학생들이 자국 상징을 존중하지 않으면 다른 국가의 상징도 존중할 수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27]
TV 아사히 설문조사에 따르면, 1999년 법률 통과 이전에도 대부분의 일본인은 "기미가요"를 중요하지만 논란이 있는 노래로 인식했다.[28]마이니치 신문 여론조사에서는 대다수가 국가 지정 법률 제정에 반대하거나 국회가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해야 한다고 생각했다.[29] 많은 일본 학생들은 가사의 오래된 언어를 이해하지 못하고 역사적 사용에 대해 교육받지 못했다고 말하며, 학교 행사에서 국가 사용 관련 논란은 여전히 남아있다.[30]
5. 논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일본의 국가인 '기미가요'는 여러 논란에 휩싸였다.[33] 특히 학교는 국가와 국기를 둘러싼 논란의 중심에 있었다.[34]도쿄도 교육위원회는 관할 행사에서 '기미가요'와 국기 사용을 의무화했으며, 이를 따르지 않는 교사들은 직장을 잃을 수 있다는 명령을 내렸다.[35]
1999년 히로시마에서는 국가 게양을 거부하는 교사들과 교육위원회 간의 갈등이 발생했고, 이 과정에서 부교장이 자살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2010년오사카에서도 유사한 사건이 발생하여 32명의 교사가 국가 제창을 거부했다. 이후에도 교사들의 반발이 이어졌고,[36]하시모토 도루 오사카 시장은 "규칙을 어기려는 범죄자들이 수면 위로 드러난 것은 좋은 일"이라고 언급했다.[37]
일부에서는 이러한 규칙이 국제 연합 세계 인권 선언과 일본국 헌법의 "사상, 신념 및 양심의 자유" 조항을 위반한다고 주장했지만,[38] 위원회는 학교가 정부 기관이므로 직원들은 학생들에게 훌륭한 일본 시민이 되는 방법을 가르칠 의무가 있다고 반박했다. 교사들은 이시하라 신타로도쿄도지사 등 고위 관계자들을 상대로 형사 고소를 제기했지만 실패했다.[39]일본교직원조합은 이전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국기와 국가의 사용을 수용하고 있지만, 전일본교직원조합은 여전히 두 상징과 학교 시스템 내에서의 사용에 반대하고 있다.
2006년에는 도쿄의 은퇴한 교사 후지타 가쓰히사가 국가 연주 중 참석자들에게 앉아 있을 것을 촉구하여 이타바시 고등학교졸업식에서 방해한 혐의로 투옥될 위협을 받고 200000JPY (약 2000USD)의 벌금을 물었다.[40] 후지타의 선고 당시, 국가 관련 행사에 참여를 거부하여 345명의 교사가 처벌을 받았지만, 후지타는 그것과 관련하여 유죄 판결을 받은 유일한 사람이었다.[41]2006년9월 21일, 도쿄 지방 법원은 도쿄도 교육위원회의 지시에 따라 처벌을 받은 교사들에게 도쿄도 정부가 보상금을 지급하라고 명령했다. 당시 고이즈미 준이치로 일본 내각총리대신은 "국가를 중요하게 다루는 것은 당연한 생각"이라고 언급했다. 이 판결은 도쿄도 정부에 의해 항소되었다.[42]2003년10월 23일부터 2008년까지, 410명의 교사와 학교 직원이 교장들의 명령에 따라 일어나 국가를 부르는 것을 거부하여 처벌을 받았다.[43] 교사들은 또한 학교 행사에서 '기미가요'가 연주되는 동안 학생들이 일어나지 않으면 처벌을 받을 수 있다고 한다.
2011년5월 30일과 6월 6일, 일본 최고 재판소의 두 패널은 교사들에게 학교 행사에서 히노마루 앞에서 일어나 '기미가요'를 부르도록 요구하는 것이 합헌이라고 판결했다. 이 판결은 2003년과 2005년 사이에 일어서서 국가를 부르는 것을 거부하여 징계를 받은 13명의 교사에게 불리하게 판결한 도쿄 고등 법원의 결정을 비준한 것이다.[44]
학교 시스템 외부에서는 1999년 법안 통과 직후 '기미가요'와 관련하여 논란이 있었다. 법안 통과 한 달 후, 일본 록 음악가 이마와노 키요시로가 '기미가요'를 연주한 음반이 폴리도 레코드에 의해 그의 앨범 ''Fuyu no Jujika'' (冬の十字架, '겨울의 십자가')에서 제거되었다. 폴리도는 우익 단체의 괴롭힘을 유발하고 싶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에 이마와노는 문제의 트랙을 포함하여 독립 레이블을 통해 앨범을 재발매했다.[45]
6. 관련 악곡
君が代|기미가요일본어는 1869년(메이지 2년), 군악대 교관이었던 영국인 존 윌리엄 펜턴이 일본에 국가가 없는 것을 안타깝게 여겨 작곡을 신청하면서 시작되었다.[46][48]1880년(메이지 13년), 법률로 정해지지는 않았지만, 사실상의 국가로서 예식곡 "기미가요"가 채택되었다.
1869년 (메이지 2년) 4월, 영국 공사 해리 파크스는 에든버러 공 알프레드 (빅토리아 여왕의 차남)가 7월에 일본을 방문하여 약 1개월간 체류한다는 통보를 받았다.[82]영국 공사관 호위대 보병 대대의 군악대장 존 윌리엄 펜턴은 접대 담당관에게 일본에 국가가 없는 것은 유감이며, 국가 또는 의례 음악을 마련해야 한다고 진언하고, 스스로 작곡을 신청했다.[46][66][78]
당시 사쓰마 번 포병 대대장이었던 오야마 야스케(후의 오야마 이와오)는 대대장 노즈 시게오와 가고시마 소참사 오사코 키자에몬과 상의하여, 사쓰마 비파 가곡인 「봉래산」에 있는 「기미가요」를 가사로 선택하고, 두 사람 모두 이에 찬성하여 펜턴에게 제시했다.[66][78][83] 펜턴은 자신이 지휘하고 영국 군악대를 통해 에든버러 공 방문 시에 초대 예식곡 「기미가요」를 연주했다.[78]
1880년 (메이지 13년) 7월, 악보 개정 위원으로 해군 악장 나카무라 유요, 육군 악장 요모토 요시토요, 궁내성 예인장 하야시 히로모리, 전년에 일본을 방문한 독일인 해군 군악 교사 프란츠 에케르트 4명이 임명되었다.[46][47]하야시 히로모리가 아악의 이치코츠조 선율의 음계로 작곡한 것이 채택되었는데, 이는 실제로는 히로모리의 장남 하야시 히로키와 궁내성 식부직 아악과의 예인 오쿠 요시요시가 붙인 선율을 바탕으로 히로모리가 곡을 만든 것으로 인정된다.[46][47]프란츠 에케르트는 이 곡에 서양풍 화성을 붙여 관현악용으로 편곡했다.[46][66][67][69][83]
개정판 「기미가요」는 1880년 (메이지 13년) 10월 25일에 시연되었고, 26일에는 군무국장 상신서인 「폐하 봉축의 악보 개정의 건에 대한 상신」이 시행되어 예식곡으로서의 지위가 정해졌다. 같은 해 11월 3일 천장절에는 처음으로 궁중에서 예인 등에 의해 연주되어 공적으로 공개되었다.[46][47][48][67][83] 조는 플랫(♭) 2개의 내림 나장조였다.[50]
1897년 (메이지 30년) 11월 19일, 육군성 달 제153호에서 「『기미가요』는 폐하 및 황족에게 대할 때 사용한다」라고 하여, 에케르트 편곡의 현 국가로 통일되었다.[88]
1912년 (다이쇼 원년) 8월 9일, 「의제에 관한 해군 군악보」가 제정되었고, 1914년 (다이쇼 3년)에 시행된 「해군 예식령」에서는 해군에서의 「기미가요」 취급을 정하고 있다.[50][67]
군함기는 아침 8시에 게양하고 일몰 시에 강하하는 것이 세계 공통의 관습이며, 해상자위대에서도 이를 계승하고 있다.[50][92] 군악대가 승선하고 있는 함이 외국 항만에 정박하고 있는 경우는, 자국의 국가로 게양 및 강하를 한 후, 방문국의 국가를 연주하는 관습이 있다.[50]
기미가요에는 원래 전주가 없지만, 노래 시작 부분을 맞추기 위해 전반부 2마디("기미가요는..."까지)의 연주만 전주로 반복해서 연주하는 경우가 많다(예: 스모의 국가 제창). 이 경우 (전주)→(기미가요는...)로 노래가 시작된다. 메이지 시대부터 전주 유무가 혼재되어 이미 관습이 되었으므로 국기 국가법 위반은 아니라고 여겨진다.[104]
근대 올림픽에서는 2014년 소치 올림픽 이후, 시상식에서 나오는 기미가요 (연주: 요미우리 일본 교향악단)가 1분 20초에 달하는 느린 템포가 되었지만,[50][106] 이는 2012년경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가 국기 게양 시 통일감을 주기 위해 연주 시간을 60~90초로 맞춘 국가 음원을 제출하도록 지시한 것에 대해 일본 올림픽 위원회(JOC)가 응한 결과이다.[106] 그러나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에서 선수들이 "(길어서) 부르기 힘들었다"는 불만을 제기하면서, 2018년 평창 올림픽까지 음원이 교체되어 1분 4초 길이로 변경되었다.[107]
「기미가요」는 현재까지 많은 유명인들이 노래하고 연주하고 있다. 과거 일본에서는 스포츠 개막 등에서 기미가요 연주나 독창 기회가 적었지만, TUBE(튜브)의 마에다 와타루가 1993년 5월 15일에 J리그 개막전에서 선보인[102][119] 이후 정착되어 유명인들의 독주나 연주 기회가 늘어나고 있다.
기미가요 연주를 음악 매체 등에 수록하여 발매한 경우는 다음과 같다.
이마와노 키요시로 Little Screaming Revue - 1999년 앨범 『겨울의 십자가』에 수록. 펑크 록풍으로 편곡되었다.[120]
우스쿠 요시토(지휘), 프로이데 필하모니(연주) - 2004년 8월 녹음. 2007년 발매된 CD 『우스쿠 요시토의 세계 23』에 교향곡 9번 라단조 작품 125 「합창」과 함께 수록[121]
사잔 오루 스타즈 - 2000년 발매된 라이브 비디오 『시크릿 라이브 '99 SAS 사건부 in 가부키초』에 수록[123]
데몬 카쿠하 - 앨범 『우타다마』에 수록
토기 히데키 - 1997년 발매된 앨범 『환주보』에 수록
나가부치 츠요시 - 2013년 발매된 DVD 『THE TRUTH』DISC3에 수록[125]
: 〈君が代〉: 연주만. 템포 4분음표 70개/분. 처음 템포의 공식 기록이 기록된 "대일본례식"에서의 템포.
: 〈君が代〉: 연주만. 템포 4분음표 60개/분 (마무리 부분 리타르단도). 구 일본 해군 군악대 연주 템포.
: 〈君が代〉: 연주만. 템포 4분음표 50개/분. NHK 텔레비전・라디오 방송 종료 시 연주 템포.
참조
[1]
웹사이트
Japan – Kimigayo
http://nationalanthe[...]
NationalAnthems.me
2011-11-28
[2]
웹사이트
Facts About National Anthems
http://www.national-[...]
2023-03-23
[3]
뉴스
Elementary schools face new mandate: Patriotism, 'Kimigayo'
https://www.japantim[...]
2011-08-20
[4]
웹사이트
A dictionary of language 『広辞苑』 ("Kōjien"), 5th edition
Iwanami Shoten, Publishers
[5]
웹사이트
Inside "Kimigayo"
http://www.furutasig[...]
2008-05-10
[6]
서적
Citizenship Education and Lifelong Learning: Power and Place
https://books.google[...]
Nova Biomedical Books
2020-10-18
[7]
서적
Nationalism: Critical concepts in political science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20-10-18
[8]
간행물
Japan's Neo-Nationalism: The Role of the Hinomaru and Kimigayo Legislation
http://www.jpri.org/[...]
2010-10-13
[9]
웹사이트
Info of the minutes of the plenary session No.41 of the House of Representatives in the 145th Diet term
http://kokkai.ndl.go[...]
2008-05-10
[10]
웹사이트
Japan searches for Scot who modernised nation
http://thescotsman.s[...]
Johnston Press Digital Publishing
2007-12-10
[11]
웹사이트
Briton who gave Japan its anthem
https://www.telegrap[...]
Telegraph Media Group Limited
2007-12-10
[12]
서적
State Making in Asia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0-10-18
[13]
웹사이트
National Flag and Anthem
http://web-japan.org[...]
Japanes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09-12-11
[14]
서적
Republic or Death! Travels in Search of National Anthems
https://books.google[...]
Windmill Books
2020-10-18
[15]
문서
"Hoiku shōka'' and the melody of the Japanese national anthem ''Kimi ga yo''"
The society for Research in Asiatic Music
[16]
서적
State Making in Asia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0-10-14
[17]
Youtube
Kimigayo March - Japanese Navy Band
https://www.youtube.[...]
2023-02-10
[18]
서적
Japanese Schooling: Patterns of Socialization, Equality, and Political Control
https://books.google[...]
Penn State University Press
2010-10-14
[19]
웹사이트
国旗国歌法制化についての民主党の考え方
http://www.dpj.or.jp[...]
Democratic Party of Japan
2010-01-17
[20]
웹사이트
国旗・国歌法案、衆院で可決 民主党は自主投票
http://www.dpj.or.jp[...]
Democratic Party of Japan
2010-01-18
[21]
웹사이트
第145回国会 本会議 第47号
http://kokkai.ndl.go[...]
National Diet Library
2010-01-17
[22]
웹사이트
議案審議経過情報: 国旗及び国歌に関する法律案
http://www.shugiin.g[...]
House of Representatives
2010-01-17
[23]
웹사이트
国旗及び国歌に関する法律(平成十一年法律第百二十七号)
https://elaws.e-gov.[...]
Government of Japan
2021-03-30
[24]
웹사이트
Statement of Prime Minister Keizo Obuchi
http://www.mofa.go.j[...]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Japan
2010-05-17
[25]
웹사이트
Editorial: Coercion can't foster respect
http://search.japant[...]
2007-12-19
[26]
웹사이트
学習指導要領における国旗及び国歌の取扱い
http://www.pref.hiro[...]
Hiroshima Prefectural Board of Education Secretariat
2009-12-08
[27]
웹사이트
小学校学習指導要領解説社会編,音楽編,特別活動編
http://cebc.jp/data/[...]
Ministry of Education
[28]
웹사이트
国旗・国歌法制化について
http://www.tv-asahi.[...]
TV Asahi
2008-03-11
[29]
웹사이트
Flag-anthem law no end to controversy
https://www.japantim[...]
2015-12-21
[30]
웹사이트
'Kimigayo' controversy leaves students indifferent, confused
https://www.japantim[...]
2015-12-21
[31]
서적
Japanese Education Reform: Nakasone's Legac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0-10-13
[32]
웹사이트
Politika i ekonomija (Upoznajte Japan)
http://www.yu.emb-ja[...]
Japanska ambasada u Srbiji i Crnoj Gori
2010-05-17
[33]
서적
Republic or Death! Travels in Search of National Anthems
https://books.google[...]
Windmill Books
[34]
뉴스
For Japanese, Flag and Anthem Sometimes Divide
https://www.nytimes.[...]
2010-01-02
[35]
뉴스
A touchy subject
https://www.theguard[...]
Guardian Unlimited
2008-01-14
[36]
웹사이트
8 Osaka teachers to be punished for refusal to sing national anthem
http://www.japantoda[...]
2012-02-25
[37]
웹사이트
Teachers Who Refused To Sing National Anthem Face Punishment
http://www.japancrus[...]
Beth
2013-03-06
[38]
서적
Citizenship Curriculum in Asia and the Pacific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0-10-12
[39]
웹사이트
Ishihara's Hinomaru order called legit
http://search.japant[...]
2007-12-04
[40]
웹사이트
Feature: Upcoming verdict on retired teacher draws attention
https://web.archive.[...]
2006-07-29
[41]
뉴스
Japanese teacher fined for anthem protest
http://www.taipeitim[...]
AFP
2010-10-14
[42]
웹사이트
City Hall to appeal 'Kimigayo' ruling
http://search.japant[...]
2007-10-25
[43]
뉴스
2 teachers punished for refusing to stand up, recite 'Kimigayo'
http://arquivo.pt/wa[...]
Japan Today
2010-10-14
[44]
웹사이트
Top court again backs 'Kimigayo' orders
http://search.japant[...]
2011-10-15
[45]
간행물
Polydor Censors Japanese Rocker
https://books.google[...]
2009-08-25
[46]
문서
高橋(1979)pp.475-476
[47]
문서
『ブリタニカ国際大百科事典 小項目事典2』(1973)p.282
[48]
문서
『世界大百科事典 7』(1988)山住「君が代」p.134
[49]
문서
'[{{NDLDC|2946301/6}} 1893年8月12日官報]'
[50]
문서
海上自衛隊東京音楽隊「国歌『君が代』について」
https://web.archive.[...] [51]
문서
小沢正夫・松田成穂校注『古今和歌集』(2000)p.148
[52]
문서
谷(2008)p. 181
[53]
문서
佐伯梅友校注『古今和歌集』(1958)p.169
[54]
서적
古今和歌集通解
https://www.amazon.c[...]
明治書院
1955-01-01
[55]
문서
川口久雄『和漢朗詠集』解説(1965)pp.8-44
[56]
논문
「君が代」 考
https://nishogakusha[...]
2024-12-06
[57]
문서
시로니(2003)p.30
[58]
문서
国旗国歌法の表記では「いわお」(巌)や「こけ」(苔)はひらがな。歴史的仮名遣いでは、「巌」の仮名書きは「いはほ」である。
[59]
문서
志田延義校注『梁塵秘抄』(1965)p.341
[60]
문서
古今和歌集』巻十九雑体の部の長歌の前に「短歌」と誤り記して以来、長歌を短歌、短歌を長歌と呼ぶことがなされ、その呼び方が歌謡名に用いられたものと考えられる。「そよ」は囃し詞。志田延義校注『梁塵秘抄』(1965)pp.340-341
[61]
문서
川口久雄『和漢朗詠集』補注(1965)p.283
[62]
문서
原文は「陛下御宇、于今九載。仁流秋津洲之外、惠茂筑波山之陰。淵變爲瀨之聲、寂々閉口、'砂長爲岩之頌、洋々滿耳'。」。佐伯梅友校注『古今和歌集』「真名序」(1958)p.341
[63]
문서
小田切『国歌君が代の研究』(1965)
[64]
서적
We Japanese: Being Descriptions of Many of the Customs, Manners, Ceremonies, Festivals, Arts and Crafts of the Japanese, Besides Numerous Other Subjects
https://www.google.c[...]
Yamagata Press
[65]
문서
체임벌린 영사 번역: 시로니(2003)p.30
[66]
문서
暉峻(1991)
[67]
영상
君が代のすべて(KICG 3074)
https://amazon.jp/dp[...]
킹레코드
[68]
문서
和田(1998)
[69]
문서
千葉(2005)pp.238-239
[70]
문서
水谷川忠俊「雅楽研究 君が代の秘密」
https://web.archive.[...] [71]
문서
後藤(1974)
[72]
서적
国語国文学研究史大成7 古今集 新古今集
三省堂
[73]
문서
山田孝雄(1956)9章・10章
[74]
문서
市古貞次・大島建彦校注『曽我物語』(1966)p.257
[75]
문서
岡見正雄校注『義経記』(1959)p.296
[76]
문서
川口和也(2005) 3章「封印された『君が代』」
[77]
문서
小田(2018)pp.99-109
[78]
문서
小田(2018)pp.116-138
[79]
문서
小田(2018)pp.125-127
[80]
서적
現代音楽大観
https://dl.ndl.go.jp[...]
日本名鑑協会
[81]
서적
国歌君が代講話
https://dl.ndl.go.jp[...]
共益商社書店
[82]
문서
小田(2018)pp.109-115
[83]
문서
内藤(1997)
[84]
문서
澤鑑之丞『海軍七十年史談』「国歌「君が代」の歌詞選出の由来」、339~343頁
[85]
문서
小田(2018)pp.151-167
[86]
문서
小田(2018)pp.168-178
[87]
문서
小山(1941)
[88]
문서
小田(2018)pp.231-236
[89]
문서
弓狩(2004)
[90]
문서
"「君が代」「勅語奉答」「一月一日」「元始祭」「紀元節」「神嘗祭」「天長節」「新嘗祭」の8曲"
[91]
서적
日本の唱歌
講談社文庫
[92]
문서
1961年(昭和36年)1月18日制定の「儀礼曲の統一に関する通達」に、「海軍禮式令」同様の規定がある。
[93]
뉴스
国歌「君が代」の意味、教科書で教える
読売新聞
1936-07-02
[94]
문서
尾崎(1991)p.260
[95]
문서
堀(2001)pp.25-26
[96]
웹사이트
戦時下を「君が代」はいかに生き延びたか 第2回「君が代」が迎えた敗戦
https://www.gentosha[...] [97]
뉴스
國民に歌を與えよ
1948-01-25
[98]
웹사이트
"「日の丸」「君が代」に関する戦後年表"
https://web.archive.[...] [99]
웹사이트
"「君が代」の政府解釈の矛盾と修身教科書での本当の解釈"
http://www003.upp.so[...] [100]
문서
新情報センターが委託を受け調査した。
[101]
간행물
年号制度・国旗・国歌に関する世論調査
https://www8.cao.go.[...]
内閣府・政府広報室
2010-07-31
[102]
웹사이트
法制化で注目!君が代CDブレーク?
https://web.archive.[...]
1999-07-23
[103]
Youtube
Uganda National Anthem
https://www.youtube.[...] [104]
웹사이트
『君が代』前奏いる・いらない論争 「歌う」意識現れたためか
https://www.news-pos[...]
2024-11-24
[105]
웹사이트
海上自衛隊東京音楽隊「国歌『君が代』について」
https://www.mod.go.j[...] [106]
뉴스
リオ五輪の「君が代」に内村選手「すごくゆっくり」 JOC「実は意図してテンポを遅くした」
https://nlab.itmedia[...]
ねとらぼ
2016-08-09
[107]
웹사이트
高藤直寿選手が金メダル1号、「君が代」が短いことに気づいた? 変遷の歴史
https://globe.asahi.[...]
2021-07-28
[108]
서적
しっとりパイプのけむり
[109]
서적
1990
[110]
웹사이트
参考:独創古代|君が代の源流
http://www.furutasig[...] [111]
웹사이트
参考:NPO法人無形民俗文化財アーカイブズ|福岡県の指定・選択無形民俗文化財リスト
http://www.nponia.co[...]
2016-01-04
[112]
Youtube
参考:YouTube動画|志賀島 志賀海神社 山誉め祭
https://www.youtube.[...] [113]
웹사이트
参考:志賀海神|社山誉祭
http://www.sikanosim[...] [114]
웹사이트
参考:福岡市の文化財|山ほめ祭
http://bunkazai.city[...] [115]
웹사이트
l 参考:我が君地図|糸島・博多湾岸
http://www.furutasig[...] [116]
논문
歴史的視点から見た干潟環境の変化と人との係わりに関する研究 福岡・今津干潟を例に
https://doi.org/10.2[...]
2006
[117]
웹사이트
さざれ石
https://www.yoshimur[...]
2020-11-27
[118]
서적
2005
[119]
웹사이트
川淵名誉会長がTUBE前田氏と談笑
https://web.gekisaka[...]
2020-07-20
[120]
웹사이트
地味変|RELEASE|ALBUM
http://www.kiyoshiro[...] [121]
웹사이트
宇宿允人の世界23~ベートーヴェン:交響曲第9番「合唱つき」他 宇宿允人 / フロイデフィルハーモニー
https://artist.cdjou[...]
CDジャーナル
2017-02-06
[122]
웹사이트
世界で最も美しい宇宿允人の「君が代」オーケストラ演奏
https://www.zakzak.c[...]
ZAKZAK
2015-07-25
[123]
웹사이트
シークレットライブ '99 SAS 事件簿 in 歌舞伎町
https://southernalls[...]
SOUTHERN ALL STARS OFFICIAL SITE
[124]
문서
2000年のライブビデオ『シークレットライブ'99 SAS 事件簿 in 歌舞伎町』収録。
[125]
문서
2013年のライブビデオ「THE TRUTH」DISC3 Stay Alive Live at Osaka-jo Hall 2012.10.21より。
[126]
웹사이트
平井堅/MTV UNPLUGGED KEN HIRAI
https://tower.jp/ite[...]
タワーレコードオンライン
2021-12-17
[127]
Youtube
「君が代」吉川久子
https://m.youtube.co[...]
YouTube
2021-10-24
[128]
서적
陸海軍喇叭譜
https://dl.ndl.go.jp[...]
厚生堂
2019-06-04
[129]
서적
軍隊喇叭、喇叭鼓隊教本
https://dl.ndl.go.jp[...]
管楽研究会
2019-06-04
[130]
서적
標準軍歌集 : 附録・陸海軍喇叭譜
野ばら社
[131]
서적
標準軍歌集 : 附録・陸海軍喇叭譜
野ばら社
[132]
웹사이트
自衛艦に響くラッパ君が代 130年前の譜、呉港で今も
https://www.asahi.co[...]
朝日新聞
2019-06-04
[133]
웹사이트
陸上自衛隊:サウンド
https://www.mod.go.j[...]
2019-06-04
[134]
간행물
7つの連合国国歌によるパラフレーズ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