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캐스군 (미주리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캐스군은 미주리주에 위치한 카운티로, 1835년에 설립되었다. 초기에는 데히기하 시우족 언어족 부족들이 거주했으며, 이후 유럽계 미국인 정착민들이 유입되었다. 캐스군은 1872년 철도 건설 관련 스캔들로 인해 "건 시티 학살"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 현재는 잭슨군, 존슨군 등 여러 카운티와 접경하고 있으며, 주간고속도로 49호선 등 여러 고속도로가 지나간다. 2020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인구는 107,824명으로, 인구는 꾸준히 증가해왔다. 정치적으로는 공화당 지지 성향이 강하며, 교육 시설로는 여러 공립 및 사립 학교와 공공 도서관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주리주의 군 - 세인트루이스군 (미주리주)
    세인트루이스군은 1812년에 설립되어 미시시피강과 미주리강을 경계로 하며, 100만 명 이상의 인구를 가진 미주리주 군으로, 교육, 보건, 무역 등의 산업이 발달하였고, 군수와 의회에 의해 운영된다.
  • 미주리주의 군 - 플랫군 (미주리주)
    플랫군은 미국 미주리주 북서부에 위치한 군으로, 캔자스주와 경계를 접하며, 2020년 기준 인구는 106,718명이고, 주요 고속도로가 지나가며, 공화당이 강세를 보인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캐스군 (미주리주)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기본 정보
명칭캐스군
관할 국가미국
위치미주리주
군청 소재지해리슨빌
가장 큰 도시캔자스시티
면적1,819 제곱킬로미터
면적 (육지)1,805 제곱킬로미터
면적 (물)14.8 제곱킬로미터
인구 (2020년)107,824명
인구 밀도자동 계산
시간대중부 시간대
웹사이트캐스군 공식 웹사이트
역사
설립일1835년 3월 3일
명칭 유래루이스 캐스
정치
카운티 커미션의장: 밥 휴스턴
부의장: 몬티 키스너
위원: 지미 오돔
하원 의원4지구
이미지
해리슨빌의 카운티 법원
해리슨빌의 카운티 법원
미주리주 캐스 카운티 깃발
캐스 카운티 깃발

2. 역사

캐스군이 위치한 지역은 본래 데히기하 시우족 언어족에 속하는 오세이지, 칸사 등 다양한 아메리카 원주민 부족들이 활동하던 곳이었으며, 이후 쇼니레나페(델라웨어족) 등도 거주했다.[5] 1830년대부터 유럽계 미국인들의 정착이 시작되었고, 1835년 카운티 정부가 조직되었으며 초기에는 밴 뷰런군으로 불렸다. 1837년에는 미주리주 출신 미국 하원 의원 앨버트 G. 해리슨의 이름을 딴 해리슨빌이 구획되었다.

19세기 중반, 미주리 퍼시픽과 프리스코 철도 노선이 해리슨빌을 지나게 되었다. 그러나 철도 건설 자금 조달을 위한 채권 발행 과정에서 불거진 스캔들은 1872년 세 명의 관련자가 총에 맞아 살해되는 "건 시티 학살" 사건으로 이어지는 비극을 낳았다.[6][7][20][21]

남북 전쟁 시기인 1863년, 연합군은 반란군 게릴라 활동에 대한 지역 지원을 차단하기 위해 일반 명령 제11호를 발령했다. 이로 인해 많은 주민들이 강제로 이주당하고 마을의 건물 대부분이 불타는 등 해리슨빌은 큰 피해를 입었다. 이 시기 해리슨빌 요새가 잠시 연합군의 거점으로 사용되어 연합군 충성파 가족들을 보호하기도 했다.

카운티 북쪽 경계에 있는 플레전트 힐의 플레전트 힐 역사 협회 박물관에서 캐스군 일부 지역의 역사를 살펴볼 수 있다.

2. 1. 초기 역사

해리슨빌 지역은 오랫동안 데히기하 시우족 언어족 화자들이 거주했던 곳이다. 이 언어족에는 오세이지, 콰포, 오마하, 폰카, 칸사 부족 등이 속한다. 칸사족의 활동 범위는 남쪽의 캔자스 강과 미주리 강 합류 지점에서 북쪽의 현 베이츠군 북쪽 경계까지 이르렀으며, 오늘날의 플레전트 힐, 가든 시티, 아치, 드렉셀 지역을 포함했다. 남동쪽 경계에서는 오세이지족과 접했다. 그러나 이들 부족 중 어느 쪽도 현재 캐스군 영토에 영구적인 정착지를 두었다는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다.

이 지역에 거주했던 다른 역사적인 부족으로는 쇼니레나페(델라웨어족)가 있으며, 이들은 관련된 알곤킨어를 사용했다. 레나페족은 백인들의 지속적인 침략으로 인해 원래 거주지였던 대서양 중부 해안에서 밀려나 중서부로 이주하게 되었다.[5] 1818년, 미국 정부는 미주리 준주 남부에 레나페족을 위한 토지를 할당했으나, 미주리가 주로 승격된 후인 1825년에 이 땅을 다시 양도해야 했다. 이후 대부분의 레나페족은 캔자스주보호구역으로 옮겨갔고, 일부는 남쪽의 텍사스주로 이주했다. 해리슨빌 지역에 남은 아메리카 원주민들은 소크, 폭스, 킥푸 부족과 가까운 관계였다.

유럽계 미국인 정착민들이 해리슨빌 남서쪽에서 개최한 초기 야외 집회에는 때때로 500명에 달하는 아메리카 원주민들이 참여하기도 했다. 이들은 백인 정착민들과 마찬가지로 찬송과 사교 활동이 동반된 종교 의식을 즐겼던 것으로 보인다.[5]

현대 해리슨빌 부지에 처음 정착한 유럽계 미국인은 1830년의 제임스 래키였다. 그 외 초기 정착민으로는 험프리 헌트, 존 블라이스, 조셉 허드스페스 박사 등이 있다. 래키는 카운티 청사 부지로 지정된 공유지에 오두막을 짓고 작은 밭을 일구었기 때문에 당시에는 "불법 점유자"로 여겨졌다.

해리슨빌 마을 부지는 1835년 미주리주 의회 법에 따라 라피엣군의 데이비드 월도, 잭슨군의 새뮤얼 힝크와 윌리엄 브라운에 의해 확정되었다. 같은 해, 당시 밴 뷰런군으로 불렸던 카운티의 첫 번째 법원이 열렸다. 1835년 9월 14일, 제임스 맥클레런 판사와 윌리엄 사바지 판사가 피큘리어 남동쪽 약 약 4.83km 떨어진 맥클레런의 자택에서 회의를 열었다. 이 자리에서 윌리엄 리언이 법원 서기로 임명되었고, 그랜드 강 타운십 설립을 포함한 카운티 정부 조직이 구성되었다.

1837년 봄, 주 의회가 1836년 겨울에 임명한 위원들인 에녹 라이스, 프랜시스 프라인, 웰컴 스콧이 해리슨빌 마을 구획을 정했다. 카운티 측량사 마틴 라이스와 함께 이들은 1837년 4월 3일 존 쿡의 집에서 만나 래키의 우선 매수 청구권 문제를 해결했다. 5월에는 타운십 44N, 레인지 31W의 섹션 4 북동쪽 및 북서쪽 쿼터의 3, 4, 5, 6 구획에 마을을 배치했다. 이 160acre 면적의 부지에는 4개의 거리가 계획되었다. 동서를 가로지르는 월(Wall)과 펄(Pearl), 남북을 가로지르는 렉싱턴(Lexington)과 인디펜던스(Independence) 거리였으며, 각 거리의 폭은 약 12.19m 미만이었다. 1837년 4월 8일 플레밍 해리스가 마을 위원으로 추가 임명되었고, 그해 6월 12일 첫 번째 마을 부지 매각이 이루어졌다. 공공 광장에 접한 부지는 각각 20USD에, 나머지 부지는 10USD에 판매되었다.

새로운 마을 이름으로 "데모크랫(Democrat)"이 강력히 추천되었으나 결국 채택되지 않았다. 대신 미주리주 출신 미국 하원 의원인 앨버트 G. 해리슨을 기리기 위해 해리슨빌로 명명되었다. 마을 내 첫 번째 집은 1836년 제이슨 L. 디키가 지었다. 해리슨빌 최초이자 캐스군에서는 두 번째인 감옥은 1838년에 312 S. 인디펜던스 거리에 설립되었다. 이후 지어진 감옥 중 하나는 주 역사 유적지로 지정되어 있다.

카운티 최초의 교회는 1835년 10월 8일 해리슨빌에서 조직되었다. 호프웰(Hopewell) 또는 뉴 호프(New Hope) 침례교회로 알려진 이 교회는 마을에서 남서쪽으로 약 3.22km 떨어진 곳에 위치했다.

2. 2. 유럽계 미국인 정착과 카운티 형성

현대 해리슨빌 부지에 처음 정착한 유럽계 미국인은 1830년의 제임스 래키였다. 그 외 초기 정착민으로는 험프리 헌트, 존 블라이스, 조셉 허드스페스 박사 등이 있었다. 래키는 카운티 청사를 위해 확보된 공유지에 통나무집을 짓고 작은 밭을 일구었기 때문에 당시에는 "불법 점유자"로 간주되었다.

1835년, 미주리주 의회의 법에 따라 라피엣군의 데이비드 월도와 잭슨군의 새뮤얼 힝크, 윌리엄 브라운이 해리슨빌의 도시 부지를 확정했다. 같은 해, 당시 밴 뷰런군으로 알려졌던 카운티의 첫 번째 법원이 열렸다. 1835년 9월 14일, 재판관 제임스 맥클레런과 윌리엄 사바지가 피큘러 남동쪽 약 약 4.83km 떨어진 맥클레런의 거주지에서 회의를 가졌다. 이 자리에서 윌리엄 리언이 법원 서기로 임명되었고, 그랜드 강 타운십 설립을 포함한 카운티 정부 조직이 구성되었다.

1837년 봄, 해리슨빌 마을은 에녹 라이스, 프랜시스 프라인, 웰컴 스콧에 의해 구획되었다. 이들은 1836년 겨울 주 의회에서 위원으로 임명된 인물들이었다. 카운티 측량사인 마틴 라이스와 함께 이 위원들은 1837년 4월 3일 존 쿡의 집에서 만나 제임스 래키의 우선 매수 청구 문제를 해결했다. 같은 해 5월, 위원들은 44N 타운십, 31W 레인지의 4구역 북동쪽 및 북서쪽 4분의 1 구획 3, 4, 5, 6에 마을을 배치했다. 이 160acre 부지 내에는 4개의 거리가 계획되었는데, 동서 방향으로는 왈(Wall)과 펄(Pearl), 남북 방향으로는 렉싱턴(Lexington)과 인디펜던스(Independence)였으며, 각 거리의 너비는 약 12.19m 미만이었다. 플레밍 해리스는 1837년 4월 8일에 마을 위원으로 추가 임명되었다. 첫 번째 마을 부지는 그해 6월 12일에 판매되었는데, 공공 광장을 마주한 부지는 각각 20USD에, 다른 부지들은 10USD에 판매되었다.

새로운 마을의 이름으로 "데모크랫(Democrat)"이 강력히 추천되었으나 결국 거부되었다. 대신, 미주리 출신의 미국 하원 의원인 앨버트 G. 해리슨의 이름을 따서 해리슨빌로 명명되었다. 마을 내 첫 번째 집은 1836년 제이슨 L. 디키에 의해 세워졌다.

1835년 10월 8일, 해리슨빌 최초의 교회가 조직되었다. 호프웰(Hopewell) 또는 뉴 호프(New Hope) 침례교회로 알려진 이 교회는 마을에서 남서쪽으로 약 3.22km 떨어진 곳에 위치했다. 해리슨빌의 첫 번째 감옥이자 캐스 카운티의 두 번째 감옥은 1838년에 312 S. 인디펜던스 부지에 설립되었다. 이후에 지어진 감옥 중 하나는 주(州)의 역사적인 장소로 지정되어 있다.

2. 3. 철도 건설과 건 시티 학살

해리슨빌은 미주리 퍼시픽과 프리스코로 알려진 철도 노선의 서비스를 받게 되었다. 그러나 철도 건설 자금을 채권 발행을 통해 조달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스캔들은 1872년 4월 24일, 세 명의 남성이 폭도들에게 총에 맞아 살해되는 비극적인 사건으로 이어졌다. 이 사건은 인근 건 시티에서 발생하여 "건 시티 학살"로 알려지게 되었다.

사건의 발단은 1857년, 캐스군이 지역 철도 건설을 지원하기 위해 퍼시픽 철도 회사의 주식을 대량으로 매입하면서 시작되었다. 이후 이 회사는 보유 채권을 새로운 세인트루이스 앤드 산타페 철도로 넘겼고, 이 채권은 다시 뉴욕의 토지 양도 철도 및 건설 회사(Land Grant Railroad and Construction Company)로 이전되었다. 캐스군 주민들은 이러한 채권의 현금화를 막기 위해 법적 조치를 취하려 했으나, 법적 책략과 공모를 통해 회사는 은밀하게 새로운 채권을 발행받는 데 성공했다.

많은 주민들은 이러한 일련의 과정이 기존의 가치 없어진 채권 소유자들에게 부당한 이익을 안겨주기 위한 조작이라고 믿으며 크게 분노했다. 결국 1872년 4월 24일, 이 스캔들에 연루된 것으로 지목된 카운티 검사, 카운티 법원 판사, 그리고 또 다른 관련자 한 명 등 총 세 명이 미주리주 브라이슨과 캔자스주 파올라 사이를 운행하던 케이티 철도 지선 열차 안에서 총에 맞아 살해되었다. 사건 발생 장소는 현재의 건 시티 근처로 추정된다.

이 살인 사건으로 약 41명의 남성이 용의자로 체포되어 기소되었으나, 재판 결과 유죄 판결을 받은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한편, 총격 사건이 발생했을 당시 해리슨빌에서는 포터 J. 코스턴이 소유하고 있던 공화당 계열 신문사가 같은 폭도들에 의해 불타는 일도 벌어졌다.[6][7][20][21]

2. 4. 남북 전쟁 시기

남북 전쟁 발발 직전인 1860년, 해리슨빌의 인구는 675명으로 당시 미주리주 내 37번째 규모였다. 1863년, 연합군은 일반 명령 제11호를 발령했다. 이는 이 지역에서 활동하던 반란군 게릴라에 대한 지역 주민들의 지원을 차단하기 위한 조치였다. 이 명령에 따라 주민들은 강제로 이주해야 했으며, 감옥을 포함한 마을의 많은 건물이 불타면서 해리슨빌은 폐허가 되었다. 같은 해, 해리슨빌 요새는 잠시 연합군의 거점으로 활용되어 연합군에 충성하는 가족들을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3. 지리

미국 인구조사국에 따르면, 군 전체 면적은 1819.9km2이며, 이 중 육지는 1810.4km2, 수역은 9.5km2로 수역률은 0.52%이다.[22][8]

미국 종교 자료 보관 협회(Association of Religion Data Archiveseng)의 2010년 카운티 회원 보고서에 따르면, 캐스군은 때때로 바이블 벨트의 북쪽 가장자리에 있는 것으로 여겨지며, 복음주의 개신교가 가장 지배적인 종교이다. 캐스군 거주자 중 종교를 믿는 사람들의 가장 지배적인 종파는 남침례교(43.71%), 로마 가톨릭(17.42%), 연합 감리교회(11.07%)이다.

3. 1. 인접 카운티


  • 잭슨 군 (북쪽)
  • 존슨 군 (동쪽)
  • 헨리 군 (남동쪽)
  • 베이츠 군 (남쪽)
  • 마이애미 군 (캔자스주) (서쪽)
  • 존슨 군 (캔자스주) (북서쪽)


캐스 군은 미국에서 서로 다른 주에 같은 이름의 두 개 군(미주리주의 존슨 군과 캔자스주의 존슨 군)에 접경한 몇 안 되는 군 중 하나이다.

3. 2. 주요 고속도로


  • -- 주간고속도로 제49호선
  • -- 국도 71번
  • 미주리 주도 2번
    미주리 주도 2번
  • 미주리 주도 7번
    미주리 주도 7번
  • 미주리 주도 58번
    미주리 주도 58번
  • 미주리 주도 291번
    미주리 주도 291번

4. 인구

미국 인구조사국 자료에 따르면, 캐스군의 인구는 다음과 같이 변화해왔다. 2020년 인구 조사 기준으로 캐스군에는 107,824명이 거주하고 있으며,[1] 이는 2010년의 99,478명[28]에서 증가한 수치이다.

'''캐스군 연도별 인구 변화'''[10][11][12][13][1]
인구 조사 연도인구
18404,693
18506,090
18609,794
187019,296
188022,431
189023,301
190023,636
191022,973
192021,536
193020,962
194019,534
195019,325
196029,702
197039,748
198051,029
199063,808
200082,092
201099,478
2020107,824



'''2000년 인구 조사'''

2000년 인구 조사[14] 당시 캐스군에는 82,092명의 인구, 30,168가구, 22,988가족이 거주했다. 인구 밀도는 평방 킬로미터당 약 45명(평방 마일당 117명)이었다. 총 31,677채의 주택이 있었으며, 주택의 평균 밀도는 평방 킬로미터당 약 18채(평방 마일당 45채)였다.

군의 인종 구성은 백인 95.62%, 흑인 또는 아프리카계 미국인 1.42%, 아메리카 원주민 0.58%, 아시아인 0.48%, 태평양 섬 주민 0.04%, 기타 인종 0.50%였으며, 둘 이상의 인종적 배경을 가진 혼혈 인구는 1.35%였다. 전체 인구의 2.21%는 인종과 관계없이 히스패닉 또는 라틴 아메리카인으로 분류되었다.

전체 30,168가구 중 38.10%는 18세 미만의 자녀와 함께 거주했고, 63.60%는 부부가 함께 사는 가구였다. 9.10%는 남편 없이 여성 가장이 꾸리는 가구였으며, 23.80%는 비가족 가구(1인 가구 또는 혈연관계가 없는 사람들로 구성된 가구)였다. 전체 가구의 20.00%는 개인이 단독으로 거주했으며, 이 중 8.50%는 65세 이상의 노인 1인 가구였다. 평균 가구원 수는 2.69명, 평균 가족 구성원 수는 3.09명이었다.

군의 연령별 인구 분포는 18세 미만 28.40%, 18세~24세 7.30%, 25세~44세 30.20%, 45세~64세 22.30%, 65세 이상 11.70%였다. 인구의 중간 연령은 36세였다. 여성 100명당 남성 수는 95.90명이었고, 18세 이상 여성 100명당 남성 수는 92.90명이었다.

가구의 중간 소득은 49562USD였고, 가족의 중간 소득은 55258USD였다. 남성의 중간 소득은 39001USD, 여성의 중간 소득은 26174USD였다. 군의 1인당 소득은 21073USD였다. 전체 가족의 약 4.20%와 인구의 5.80%가 빈곤선 이하의 생활을 하고 있었으며, 이 중 18세 미만 인구의 7.00%, 65세 이상 인구의 5.20%가 빈곤선 아래에 해당했다.

'''2000년 인구 조사 통계 요약'''
구분내용
기초 데이터
인종별 인구 구성
연령별 인구 구성
가구와 가족 (가구 수 대비)
수입과 가계


5. 정치

캐스군은 미주리주 내에서 정치적으로 공화당 성향이 강한 지역으로 분류된다. 지방 정부 운영과 선출직 공무원 구성에서 공화당이 뚜렷한 우위를 점하고 있으며, 주 의회 및 연방 의회 선거에서도 공화당 후보들이 강세를 나타낸다. 과거 민주당 지지 성향을 보였던 시기도 있었으나, 1952년 이후 점차 공화당 지지세가 강해져 현재는 미주리주 내 대표적인 공화당 강세 지역 중 하나로 자리 잡았다.[18]

5. 1. 지방 정치

캐스군의 지방 정치는 공화당이 장악하고 있다. 군의 주요 선출직 공무원은 다음과 같다.

직책이름정당
재산 감정관로저 래피티공화당
감사관잭 본돈공화당
순회 법원 서기킴 요크공화당
군 서기제프 플레처공화당
군정 위원장밥 휴스턴공화당
제1지구 위원몬티 키스너공화당
제2지구 위원라이언 존슨공화당
세금 징수관크리스 몰렌도프공화당
검사벤 버틀러공화당
행정관랜디 존스공화당
등기 담당관마이크 메드스커공화당
보안관제프 웨버공화당
재무관스티브 체슬릭공화당



캐스군에서는 지방 차원에서 공화당이 대부분의 정치력을 장악하고 있으며, 군 선거에서 선출되는 직책은 3명을 제외하고 독점하고 있다.

5. 2. 주 및 연방 정치

캐스군의 지방 정치는 공화당이 장악하고 있다.

역대 주지사 선거 결과
년도공화당민주당제3당
202064.80% 37,02532.85% 18,7702.36% 1,347
201656.05% 28,57140.64% 20,7133.31% 1,688
201249.19% 23,83747.81% 23,1683.00% 1,454
200845.77% 22,59252.18% 25,7542.05% 1,010
200453.53% 23,53844.97% 19,7721.49% 659
200052.74% 18,77745.18% 16,0842.08% 742
199638.32% 11,03859.21% 17,0552.47% 710



=== 주 의회 ===

캐스군은 미주리 주 하원의 5개 선거구로 나뉘며, 그중 4개는 공화당이, 1개는 민주당이 차지하고 있다.


  • 제33선거구: 크리스 샌더(공화-론잭)가 대표한다. 이스트린, 건시티, 해리슨빌, 플레전트힐, 스트라스버그 지역사회를 포함한다.
  • 제37선거구: 아네트 턴바(민주-그랜드뷰)가 대표한다. 레이크 위네바고 및 레이모어 시의 일부를 포함한다.
  • 제55선거구: 마이크 하프너(공화-플레전트힐)가 대표한다. 가든시티, 페큘리어, 레이크 위네바고 및 레이모어의 일부 지역사회를 포함한다.
  • 제56선거구: 마이클 데이비스(공화-캔자스시티)가 대표한다. 벨턴, 클리블랜드, 드렉셀, 프리먼, 레이크 아네트, 캔자스시티의 작은 지역사회를 포함한다.
  • 제57선거구: 로저 리디(공화-윈저)가 대표한다. 아치 및 크레이턴 지역사회를 포함한다.


캐스군은 미주리 주 상원의 제31선거구에 속하며, 현재 릭 브래튼(공화-해리슨빌)이 대표하고 있다.

=== 연방 의회 ===

'''대통령 선거 결과'''[18]
년도공화당민주당기타
202465.81% 38,79233.51% 19,7531.36% 804
202067.45% 37,19730.12% 19,0522.44% 1,319
201664.35% 33,09828.86% 14,8466.74% 3,466
201263.60% 30,91235.07% 17,0441.33% 1,148
200858.99% 29,69539.42% 19,8441.59% 802
200461.63% 27,25337.73% 16,6810.64% 283
200056.07% 20,11341.60% 14,9212.33% 835
199646.52% 13,49540.48% 11,74313.00% 3,772
199234.59% 10,34934.25% 10,24631.12% 9,310
198855.80% 12,79944.00% 10,0920.20% 67
198465.79% 14,45634.21% 7,5170.00% 0
198052.81% 10,10542.84% 8,1984.34% 831
197644.00% 7,18255.15% 9,0080.86% 140
197271.24% 9,24228.76% 3,7310.00% 0
196845.15% 5,27138.27% 4,46816.59% 1,938
196435.50% 3,66564.50% 6,6580.00% 0
196053.30% 6,52346.70% 5,7180.00% 0
195650.06% 5,58949.94% 5,5750.00% 0
195254.00% 6,00045.80% 5,0890.12% 13
194839.98% 3,61459.88% 5,4150.18% 16
194451.85% 4,68748.08% 4,3470.08% 7
194047.55% 4,98352.29% 5,4790.16% 17
193641.30% 4,07058.17% 5,7310.53% 52
193234.02% 3,00965.24% 5,7720.75% 66
192859.13% 5,29940.68% 3,6470.20% 18
192442.16% 3,61055.00% 4,7092.83% 242
192044.16% 4,05554.77% 5,0301.09% 100
191637.95% 2,10460.20% 3,3371.86% 103
191222.37% 1,03470.23% 3,2477.40% 1,346
190840.58% 2,19358.16% 3,1431.26% 168
190444.36% 2,37551.36% 2,7504.28% 229
190037.85% 2,16258.66% 3,3503.50% 200
189635.50% 2,22963.32% 3,9751.20% 75
189235.22% 1,90855.88% 3,0278.88% 481
188840.04% 2,09557.62% 3,0152.37% 124



캐스군은 전체가 미주리주 제4연방 하원 선거구에 포함되며, 현재 비키 하츨러(공화당-해리슨빌)가 미국 하원에서 대표하고 있다. 하츨러는 2020년에 민주당 후보 린지 시몬스를 꺾고 6선에 성공했다.

캐스군은 미주리주의 나머지 지역과 함께 미국 상원에서 조시 호울리(공화당-컬럼비아)와 로이 블런트(공화당-스트래퍼드)가 대표한다. 2018년 선거에서 호울리는 캐스군에서 현직 민주당 상원의원 클레어 매캐스킬을 이겼다. 블런트는 2016년에 당시 미주리주 국무장관이었던 제이슨 캔더를 꺾고 두 번째 임기에 선출되었다.

=== 정치 성향 및 역사 ===

캐스군은 제2차 세계 대전 이전까지 남북 전쟁 당시 강력한 분리주의 성향에 뿌리를 둔 확고한 민주당 지지 지역이었다. 그러나 1952년 이후 대선에서 강력한 공화당 지지 지역으로 변화했다. 캐스군은 2016년 미국 대통령 선거2020년 미국 대통령 선거 모두에서 도널드 트럼프를 지지했다. 마지막으로 캐스군에서 승리한 민주당 대통령 후보는 1976년지미 카터였다.

캐스군 유권자들은 일반적으로 사회적, 문화적으로 보수주의 원칙을 고수하며, 이는 그들의 공화당 지향에 영향을 미치는 경향이 있다. 캐스군은 사회적으로 보수적인 플랫폼을 오랫동안 지지해 왔음에도 불구하고, 이 지역 유권자들은 포퓰리즘적 대의를 지지하는 경향도 보인다. 2018년, 미주리 주민들은 노동할 권리에 관한 주 법안을 뒤집는 제안 A에 투표했는데, 캐스군 유권자의 66.33%가 이 법을 뒤집는 데 찬성했다.

=== 대통령 예비선거 ===


  • 2020년: 민주당 예비선거에서는 조 바이든 전 부통령이 캐스군에서 승리했다. 공화당 예비선거에서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압도적인 차이로 승리했다.
  • 2016년: 민주당 예비선거에서는 버니 샌더스 상원의원이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장관을 근소하게 앞섰다. 공화당 예비선거에서는 테드 크루즈 상원의원이 도널드 트럼프를 누르고 캐스군에서 1위를 차지했다.
  • 2012년: 미주리주 공화당 예비선거는 구속력이 없었으나, 캐스군 유권자들은 릭 샌토럼 전 상원의원을 가장 많이 지지했다.
  • 2008년: 민주당 예비선거에서는 힐러리 클린턴 상원의원이 버락 오바마 상원의원을 크게 앞섰다. 공화당 예비선거에서는 밋 롬니 전 주지사가 존 매케인 상원의원과 마이크 허커비 전 주지사를 근소한 차이로 누르고 1위를 차지했다. 2008년 민주당 예비선거에서 힐러리 클린턴이 얻은 표는 캐스군 내 양당 후보 중 가장 많았다.

5. 3. 사회적 성향

캐스군 유권자들은 일반적으로 사회적, 문화적으로 보수주의 원칙을 고수하며, 이는 캐스군 주민들의 공화당 지지 성향에 영향을 미친다.[18] 캐스군은 제2차 세계 대전 이전까지 남북 전쟁 당시 강력한 분리주의 성향에 뿌리를 둔 확고한 민주당 지지 지역이었으나, 1952년 이후 대선에서 강력한 공화당 지지 지역이 되었다.[18] 2016년 미국 대통령 선거2020년 미국 대통령 선거 모두에서 도널드 트럼프를 강력하게 지지했으며, 마지막으로 캐스군에서 승리한 민주당 후보는 1976년지미 카터였다.[18]

사회적으로 보수적인 입장을 오랫동안 지지해 왔음에도 불구하고, 캐스군 유권자들은 포퓰리즘적 성향도 보인다.[18] 2018년, 미주리 주민들은 노동할 권리에 관한 제안(제안 A)에 투표했는데, 캐스군 유권자의 66.33%가 이 법을 뒤집는 데 투표했다.[18] 이 투표 결과로 전년도 주에서 통과된 노동할 권리 법안은 결국 폐지되었다.[18]

6. 교육

캐스군에는 다음과 같은 공립 교육구와 사립 학교가 있다.[16]

'''공립 교육구'''

교육구명
아치 R-V 교육구
벨턴 124 교육구
드렉셀 R-IV 교육구
해리슨빌 R-IX 교육구
홀든 R-III 교육구
킹스빌 R-I 교육구
리-서밋 R-VII 교육구
론잭 C-VI 교육구
레이모어-피큘리어 R-II 교육구
셔우드 캐스 R-VIII 교육구
플레전트 힐 R-III 교육구
미드웨이 R-I 교육구
이스트 린 40 교육구 (초등학교)
스트라스버그 C-III 교육구 (초등학교)



'''사립 학교'''

학교명위치학년종교
호프 침례교 크리스찬 스쿨플레전트 힐유치원-12학년침례교
해리슨빌 크리스찬 스쿨해리슨빌유치원-8학년초교파 기독교
트레이닝 센터 크리스찬 스쿨가든 시티유치원-12학년오순절교
하트랜드 고등학교 & 아카데미벨튼유치원-12학년침례교
블루 리지 크리스찬 스쿨 사우스벨튼유치원-6학년초교파 기독교



'''공공 도서관'''


  • 캐스군 공공 도서관[17]

7. 도시 및 지역

'''도시'''


  • 아치
  • 벨턴
  • 클리블랜드
  • 크레이튼
  • 드렉셀
  • 이스트 린
  • 프리먼
  • 가든 시티
  • 해리슨빌 (군청 소재지)
  • 캔자스시티 (일부)
  • 레이크 아네트
  • 레이크 위네배고
  • 리스 서밋 (일부)
  • 피큘리어
  • 플레전트 힐
  • 레이모어
  • 스트라스버그


'''빌리지'''

  • 볼드윈 파크
  • 건 시티
  • 리버뷰 에스테이츠
  • 웨스트 라인


'''인구 조사 지정 지역'''

  • 로크 로이드
  • 마틴 시티


'''비법인 커뮤니티'''

  • 오스틴
  • 콜먼
  • 도허티
  • 데이턴
  • 에버렛
  • 자우돈
  • 라이슬
  • 론 트리
  • 메인 시티
  • 윙게이트

8. 유명 인물


  • 로버트 C. 벨, 연방 판사
  • 안젤리카 브리지스, 배우, 모델, 가수
  • 델머 브라운, 일본학자
  • 에밋 달튼, 은행 강도단 달튼 갱의 일원
  • 카슨 코프만, AFL 선수
  • 체이스 코프만, NFL 타이트 엔드
  • 폴 코프만, NFL 선수
  • 타일러 파, 컨트리 음악 싱어송라이터
  • 브루터스 해밀턴, 십종경기 선수 및 육상 코치
  • 벤 하드어웨이, 미국 애니메이션 황금기의 스토리보드 아티스트, 애니메이터, 성우, 개그맨, 작가, 감독
  • 비키 하르츨러, 미국 하원 의원 (2011–2023)
  • 케빈 헌, 미국 하원 의원 (2018–현재)
  • 유잉 코프만, 마리온 연구소를 설립하고 캔자스시티 로열스의 초대 구단주였던 사업가
  • 크리스 코스터, 제41대 미주리주 법무장관 (2009-2017)
  • 태미 페이 메스너, 텔레 복음 전도사
  • 캐리 네이션, 금주 운동의 지도자
  • 에드워드 케이프하트 오켈리, 제시 제임스를 죽인 로버트 포드를 살해한 인물
  • 테이트 스티븐스, 2012년 ''The X Factor'' 우승자
  • 오드 스위가트, 프로 야구 선수
  • 글렌 라이트, 프로 야구 선수

참조

[1] 웹사이트 2020 Population and Housing State Data https://www.census.g[...]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21-09-08
[2] 웹사이트 Find a County http://www.naco.org/[...] National Association of Counties 2011-06-07
[3] 서적 How Missouri Counties, Towns and Streams Were Named https://archive.org/[...] The State Historical Society of Missouri
[4] 뉴스 Disappearing Missouri Names https://www.newspape[...] 2014-08-15
[5] 서적 The History of Cass and Bates Counties, Missouri http://www.casscount[...] National Historical Company, Saint Joseph, Missouri 2016-02-26
[6] 서적 Nome and Seward: History, Biography, Descriptions, and Stories https://archive.org/[...] Internet Archive
[7] 서적 General Jo Shelby: Undefeated Rebel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1954
[8] 웹사이트 2010 Census Gazetteer Files https://www.census.g[...]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12-08-22
[9] 웹사이트 Population and Housing Unit Estimates https://www.census.g[...] 2019-11-29
[10] 웹사이트 U.S. Decennial Census https://www.census.g[...]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14-11-14
[11] 웹사이트 Historical Census Browser http://mapserver.lib[...] University of Virginia Library 2014-11-14
[12] 웹사이트 Population of Counties by Decennial Census: 1900 to 1990 https://www.census.g[...]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14-11-14
[13] 웹사이트 Census 2000 PHC-T-4. Ranking Tables for Counties: 1990 and 2000 https://www.census.g[...]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14-11-14
[14] 웹사이트 U.S. Census website https://www.census.g[...]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11-05-14
[15] 웹사이트 P2 HISPANIC OR LATINO, AND NOT HISPANIC OR LATINO BY RACE – 2020: DEC Redistricting Data (PL 94-171) – Cass County, Missouri https://data.census.[...]
[16] 웹사이트 2020 CENSUS - SCHOOL DISTRICT REFERENCE MAP: Cass County, MO https://www2.census.[...] U.S. Census Bureau 2022-07-22
[17] 웹사이트 Cass County Public Library https://librarytechn[...] Libraries.org 2017-05-08
[18] 웹사이트 Dave Leip's Atlas of U.S. Presidential Elections http://uselectionatl[...] 2018-03-24
[19] 웹사이트 Quickfacts.census.gov https://www.census.g[...] 2023-12-14
[20] 서적 "Nome and Seward: History, Biography, Descriptions, and Stories," https://books.google[...]
[21] 서적 General Jo Shelby:Undefeated Rebel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1954
[22] 웹사이트 Census 2000 U.S. Gazetteer Files: Counties http://www.census.go[...] United States Census 2011-02-13
[23] 웹인용 Population and Housing Unit Estimates https://www.census.g[...] 2019-11-29
[24] 웹인용 U.S. Decennial Census https://www.census.g[...]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14-11-14
[25] 웹인용 Historical Census Browser http://mapserver.lib[...] University of Virginia Library 2014-11-14
[26] 웹인용 Population of Counties by Decennial Census: 1900 to 1990 https://www.census.g[...]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14-11-14
[27] 웹인용 Census 2000 PHC-T-4. Ranking Tables for Counties: 1990 and 2000 https://www.census.g[...]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14-11-14
[28] 웹인용 State & County QuickFacts http://quickfacts.ce[...]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13-09-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