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컨선월드와이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컨선월드와이드는 1968년 아일랜드에서 설립된 국제 구호 단체로, 전쟁과 기근으로 고통받는 지역을 지원하기 위해 시작되었다. 긴급 구호, 보건, 영양, 생계, 교육 등의 분야에서 활동하며, 50개국 이상에서 3,500명 이상의 직원을 고용하고 있다. 2000년대부터는 개발 협력 사업을 진행하며, 세계기아지수 발표에도 참여하고 있다. 한국에는 2015년 지부를 설립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국제 자선 단체 - ONE 캠페인
    ONE 캠페인은 2004년 여러 단체가 설립한 국제 캠페인으로, 대중 참여와 정치적 로비 활동을 통해 개발도상국의 빈곤 종식, 질병 예방, 개발 지원 확대, 부패 방지 등을 촉구하며, 여성 권익 신장과 백신 접종 중요성을 알리는 활동을 전개해왔으나 원조 효과성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 국제 자선 단체 - 굿네이버스
    굿네이버스는 1991년 한국에서 설립되어 아동 권리 옹호, 교육, 보건 등의 국제구호개발 활동을 펼치는 NGO로, 아시아, 아프리카 지역에서 활발히 활동하며 유엔 경제 사회 이사회로부터 포괄적 협의 지위를 획득했으나, 종교적 색채, 회계 투명성, 빈곤 포르노 등의 비판도 존재한다.
  • 1968년 설립된 단체 - NORSAR
    NORSAR는 노르웨이 셸러에 위치한 지진 연구 및 데이터 센터이며, 기초 지진학 연구, 소프트웨어 개발, 석유 산업 컨설팅 등의 활동을 수행하며, 포괄적 핵실험 금지 조약을 위한 노르웨이 국가 데이터 센터 역할을 수행한다.
  • 1968년 설립된 단체 - 아시아 럭비 연맹
    아시아 럭비 연맹은 아시아 지역의 럭비 종목을 관할하는 기구이며, 36개국 및 지역 단체가 회원으로 가입되어 있고 다양한 대회를 주최하며 이사회 등으로 조직을 구성한다.
컨선월드와이드
기본 정보
컨선 월드와이드 로고
설립일1968년
등록 ID39647
설립자케이 오로린 케네디
존 오로린 케네디
잭 피누케인
엥구스 피누케인
위치52-55 Lower Camden Street, Dublin 2
본사더블린, 아일랜드
주요 인물데이비드 리건 (CEO)
서비스 지역전 세계
제품장기 개발 및 재해 구호
초점빈곤 구제
웹사이트컨선 월드와이드 웹사이트
컨선 미국 웹사이트
이전 명칭아프리카 컨선
프로그램 정보
프로그램장기 개발
재해 구호
초점 분야빈곤 구제
기타 정보
회원인도주의 책임 파트너십

2. 역사

컨선월드와이드는 1968년 존과 케이 오라훌린 케네디 부부를 포함한 소규모 단체가 비아프라의 기아에 허덕이는 주민들을 돕기 위해 설립했다.[7] 스피리탄회 소속 레이 케네디(존의 형제), 앵거스 피너케인, 잭 피너케인도 컨선 설립에 참여했다. 그해 6월, 당시 '''아프리카 Concern'''이라 불렸던 이 단체는 "배 한 척 보내주세요"라는 기근 구호 호소를 시작했고, '콜맥힐'호가 9월 비아프라 해안에 도착하여 분말 식품과 의약품을 지원했다. 1970년에는 동파키스탄의 사이클론 피해 지원을 요청했고, 아프리카 Concern은 Concern으로 이름을 바꾸었다.[8]

1990년대에는 캄보디아의 소액금융 기관인 앙코르 미크로헤란바토 캄푸체아를 설립했다.[9][10]

2. 1. 시작: 아프리카 기근을 돕는 ‘구호선 보내기’ 운동 (1968~1970년대)

1968년 3월 19일, 아일랜드 청년 케이 케네디와 존 케네디(Kay and John O’Loughlin Kennedy)는 나이지리아 비아프라 내전으로 발생한 기근을 돕기 위해 아일랜드 더블린에 '''아프리카컨선(Africa Concern)'''을 설립하였다. 이들은 의약품이나 식량을 가득 채운 배를 비아프라 내전 지역에 보내는 ‘'''구호선 보내기(SOS: Send One Ship)''' 캠페인을 아일랜드 전역에서 실시하였고, 같은 해 9월 29일 아일랜드 국민의 지원을 받은 첫 구호선이 26일간의 항해 끝에 비아프라에 도착했다.[7][8]

1969년 5월까지 아프리카컨선은 비아프라에 총 다섯 척의 구호선을 보내고 다른 구호단체들과 함께 항공기를 이용한 대규모 공수작전을 감행했다. 수많은 자원봉사자들이 비아프라, 가봉, 코트디부아르, 상투메 현장을 직접 찾아가기도 했다.

1970년, 방글라데시(당시 동파키스탄)에서 재앙적인 사이클론으로 인해 막대한 피해가 발생했고 많은 사람들이 이로 고통받게 되었다. 여기에 파키스탄으로부터 분리 독립을 위한 내전이 발생하면서 수많은 난민들이 발생했고 이들은 인도 콜카타(Calcutta, 현재의 콜카타 Kolkata)로 모여들게 되었다. 이들을 돕기 위해 컨선은 ‘아프리카컨선’에서 현재의 ‘컨선(Concern)’으로 이름을 바꾸고 자원봉사자를 파견했다. 2년 후인 1972년에는 첫 번째 정식 구호팀을 파견하기도 했다.[8]

2. 2. 발전: 세계적인 인도주의 단체로의 성장 (1970~1990년대)

1970년대부터 컨선은 아프리카를 넘어 아시아까지 활동 지역을 넓히며 국제적인 인도주의 단체로 성장하기 시작했다. 1973년부터 1999년까지 전 세계의 기근, 내전, 학살, 재해 현장에서 고통받는 사람들을 위해 긴급구호 활동을 펼쳤다.

연도지역사건/상황컨선의 활동
1973년에티오피아가뭄으로 인한 기근 발생긴급구호 활동
1979년캄보디아폴 포트 정권의 학살로 인해 많은 캄보디아 난민이 태국에 난민촌 형성긴급구호 활동
1985년에티오피아정부의 정착촌 계획으로 6개월 동안 9만 명 사망에티오피아 정부를 설득해 계획 중단
기아 문제 해결을 위한 라이브 에이드(Live Aid) 공연 개최, U2의 보노가 컨선의 에티오피아 현장 방문
1988년남수단기근 발생긴급구호 활동
1988년북아일랜드벨파스트에 지부 설립
1990년-92년캄보디아킬링필드로 인해 태국에서 난민 생활을 하던 캄보디아인들의 본국 귀환 준비 시작, 1992년부터 귀환 시작
1992년우간다인간면역결핍 바이러스(HIV) 및 후천면역결핍증후군(AIDS) 사업 최초 실시
1991년터키-이라크 국경걸프 전쟁 직후 쿠르드족 난민 발생긴급구호 활동
1991년영국런던에 지부 설립
1992년소말리아역사적인 기근 발생다른 국제기구, NGO들과 함께 긴급구호 활동
1993년미국뉴욕에 지부 설립
1994년르완다와 브룬디대량 학살로 인해 2백만 명 이상의 난민 발생
1998년북한, 아프가니스탄, 온두라스북한 홍수, 아프가니스탄 지진, 온두라스 허리케인 발생피해 주민들을 위한 긴급구호 활동
1999년코소보NATO의 코소보 공습으로 알바니아와 코소보에서 대량 난민 발생긴급구호 활동

[1]

2. 3. 확장: 긴급구호와 더불어 다양한 개발협력사업 진행 (2000년대~현재)

2000년대부터 컨선월드와이드는 긴급구호 활동뿐만 아니라, 빈곤 문제 해결을 위해 장기적인 관점에서 다양한 개발협력 사업을 진행하기 시작했다. 또한, 세계 여러 단체들과 협력을 강화했다.

연도지역사건 및 활동
2000년모잠비크모잠비크 홍수 발생, 긴급구호 착수
2000년유럽유럽의 인도주의 및 인권 단체들과 협력하여 전략 네트워크인 얼라이언스2015(Alliance2015) 출범. 초기에는 컨선월드와이드(아일랜드), HIVOS(네덜란드), IBIS(덴마크), 세계기아원조(독일) 4개 단체로 시작했으나, 이후 CESVI(이탈리아), PIN(체코), ACTED(프랑스)가 합류하여 총 7개 단체로 확대됨.
2003년다르푸르, 이란다르푸르 분쟁 및 이란 지진 발생, 긴급구호 착수
2004년남아시아남아시아 쓰나미 발생으로 약 30만 명 사망. 컨선월드와이드는 인도, 인도네시아, 스리랑카에서 긴급구호 활동 진행.
2005년파키스탄파키스탄 지진 발생, 긴급구호 활동 실시
2006년영양 사업에 대한 축적된 지식을 바탕으로 국제식량정책연구소(IFPRI, 미국)와 세계기아원조(독일)와 함께 세계기아지수(Global Hunger Index) 발표 시작
2007년UN이 컨선월드와이드의 치료돌봄공동체(Community Therapeutic Care) 프로그램을 급성영양실조 치료를 위한 세계 최우수 사업(international best practice)으로 채택. 각국 정부가 이를 국가 보건 시스템에 반영하도록 권고.
2009년신속한 대규모 인도적 대응을 위해 세계식량계획(WFP)의 인도적지원물류센터(UNHRD) 협력기관으로 등록. 현재 전 세계 6개 UN 물류센터에 구호 물품 보관.
2010년아이티아이티 대지진 발생, 긴급구호 착수. 재난 현장의 인도주의 활동에 요구되는 투명성과 책무성, 품질 기준을 충족시키는 HAP(Humanitarian Accountability Partnership) 인증 획득.
2010년미국과 아일랜드 정부, 빌&멜린다 게이츠 재단(The Bill & Melinda Gates Foundation)과 함께 임신부터 두 돌까지 첫 1,000일의 영양 중요성을 강조하는 글로벌 캠페인 1000일의 기적(1000 Days) 런칭.
2013년시리아, 레바논, 터키시리아 내전 발생. 컨선월드와이드는 레바논과 터키의 난민과 시리아 북부의 실향민 대상 긴급구호 착수.
2015년세계은행(World Bank)이 컨선월드와이드의 영양개선 농업(Realigning Agriculture to Improve Nutrition) 프로젝트에 영양공급상(Secure Nutrition award) 수여. 영양 개선에 대한 잠재력이 가장 큰 프로젝트로 인정.
2015년EU 보건상에볼라 바이러스로 많은 사람들이 사망했던 아프리카에서 활동과 관련하여, EU는 컨선월드와이드가 시에라리온의 에볼라 사태 현장에서 진행한 존엄하고 안전한 매장 프로그램에 EU 보건상(EU Health Award) 수여.
2015년대한민국컨선월드와이드 서울 지부 설립.[38]


3. 주요 사업

컨선월드와이드는 1968년 아일랜드에서 설립된 국제 인도주의 단체로, 20세기에는 긴급구호활동을 중심으로 활동했다. 2000년대부터는 긴급구호뿐만 아니라 교육, 긴급구호, 보건영양, 성평등, 생계 등 다양한 개발협력사업을 진행하며, 전 세계 여러 단체들과 협력하고 있다.

컨선월드와이드의 주요 사업 분야는 다음과 같다:


  • 교육: 기초 교육, 특히 극빈층 어린이와 여자 어린이의 교육권 보장에 힘쓴다.
  • 긴급구호: 재난 및 분쟁 발생 시 신속하게 긴급구호팀을 파견한다.
  • 보건영양: 극빈층, 특히 아동의 만성 영양실조 문제 해결에 집중한다.
  • 생계: 극빈층의 자립을 위한 기술 지원과 인프라 개선 사업을 추진한다.


2000년대 이후 컨선월드와이드의 주요 활동은 다음과 같다:

연도지역사건 및 활동
2000년모잠비크홍수 피해 긴급구호
2000년유럽유럽 인도주의 및 인권 단체들과 협력하여 전략 네트워크 얼라이언스2015(Alliance2015) 출범
2003년다르푸르이란분쟁 및 지진 발생, 긴급구호
2004년남아시아쓰나미 발생, 인도, 인도네시아, 스리랑카에서 긴급구호
2005년파키스탄지진 발생, 긴급구호
2006년국제식량정책연구소(IFPRI), 세계기아원조와 함께 세계기아지수(Global Hunger Index) 발표 시작
2007년UN이 컨선의 치료돌봄공동체(Community Therapeutic Care) 프로그램을 급성영양실조 치료 세계 최우수 사업으로 채택
2009년세계식량계획(WFP)의 인도적지원물류센터(UNHRD) 협력기관 등록
2010년아이티대지진 발생, 긴급구호 및 HAP(Humanitarian Accountability Partnership) 인증 획득
2010년미국, 아일랜드 정부, 빌앤멜린다게이츠재단과 함께 글로벌 캠페인 1000일의 기적(1000 Days) 런칭
2013년시리아, 레바논, 터키시리아 내전 발생, 난민 및 실향민 긴급구호
2015년세계은행이 컨선의 영양개선 농업 프로젝트에 영양공급상 수여
2015년아프리카에볼라 바이러스 대응 관련, EU로부터 EU보건상 수상
2015년한국서울에 지부 설립[38]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컨선월드와이드는 생명 구조 프로그램을 유지하고, 감염 확산 방지를 위한 인식 개선 활동에 주력했다.[15]

3. 1. 보건/영양

컨선월드와이드는 전 세계 빈곤층 중에서도 '극빈층'의 영양과 보건 문제에 집중하고 있다. 특히 아동의 만성 영양실조에 주목하는데, 이는 한 사람이 삶을 시작하는 첫 1,000일간의 영양이 평생의 건강을 좌우하는 중요한 시기이기 때문이다.

컨선월드와이드의 '치료돌봄공동체(Community Therapeutic Care)' 프로그램은 지역 공동체와 국가 보건 서비스 플랫폼을 활용하여 아동 영양실조 문제를 해결하는 대표적인 사업이다. 이 프로그램은 UN에 의해 '세계 최우수 사업'으로 채택되었으며, UN은 각국 정부가 이 프로그램을 국가 보건 시스템에 반영하도록 권고했다.[39]

보건 위생 측면에서는 깨끗한 물 접근성을 높이는 WASH 사업을 주로 진행한다. 이 사업에는 상하수도 및 화장실 인프라 구축, 우물 이용 관련 마을 협의체 구성, 손 씻기 등 인식 개선 및 의사 결정 활동이 포함된다.

또한, 2015년 아프리카에서 많은 사망자를 낸 에볼라 바이러스와 같은 치명적인 전염병 확산을 막기 위한 활동도 한다. EU는 컨선월드와이드가 시에라리온에서 에볼라 사망자에 대해 진행한 '존엄하고 안전한 매장' 프로그램에 대해 'EU 보건상(EU Health Award)'을 수여했다.[39]

3. 2. 생계/농업

컨선월드와이드는 극빈층의 자립을 돕기 위해 생계 및 농업 관련 기술 지원과 인프라 개선에 힘쓰고 있다. 식량과 소득을 지역 경제 시장과 연계하는 접근 방식을 중요하게 여기며, 도로 건설, 협동조합신용조합 설립을 지원한다. 또한, 모바일 및 소액 금융을 활용하여 극빈층의 선택권을 확대하고 있다.[40]

농업은 극빈층에게 중요한 생계 수단이지만, 기후 변화로 인해 어려움이 커지고 있다. 이에 컨선월드와이드는 각국 농업 기관과 협력하여 가뭄이나 홍수에 강하고, 심지어 바닷물에도 견딜 수 있는 종자를 개발하고 보급한다. 2021년까지 '아프리카기후대응농업연맹(Africa Climate Smart Agriculture Alliance)'의 핵심 구성원으로서 땅을 보호하면서도 식량을 확보할 수 있는 기후변화 대응 농업 기술을 개발하고 보급하는 데 참여했다.[40]

3. 3. 교육

컨선은 특히 기초 교육에 집중하고 있는데, 이는 초등학교 저학년에 해당하는 기초 교육이 기본적인 학습 능력 발달은 물론 생존에도 직결된다고 믿기 때문이다. 특히 극빈층 어린이들, 그 중에서도 여자 어린이들이 배울 권리를 보호받고 양질의 기초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힘쓰고 있다. 이를 위해 교육 기자재를 개발하고 교사와 학교 위원들에게 필요한 교육을 제공하기도 한다.[41]

또한 컨선은 남녀 차별이나 교내 폭력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교사, 학부모, 학생 그리고 지역 사회 구성원들과 유기적으로 협력하고 있다. 대표적인 예시로, 오랜 내전으로 인해 레바논에서 학교를 다니는 시리아 난민 어린이들이 언어와 인종의 차별을 극복하고 정규 교육에 진입할 수 있도록 별도의 문해 교육과 수학 수업을 진행한 사례가 있다. 케냐와 같이 도시 빈민가에 살고 있는 학교 밖 어린이들을 위해서는 정부의 대안 기초 교육 가이드라인 수립을 지원하기도 했다.[41]

3. 4. 긴급구호

컨선월드와이드는 재난/분쟁 발생 시 24시간 내에 취약 지역에 긴급구호팀을 파견한다. 이들은 쉼터, 식량, 깨끗한 물, 의료 지원 등 긴급상황 발생 첫날과 이후 첫 일주일을 견디는데 필수적인 지원을 제공한다.[38] 2016년에는 시리아 난민 지원을 포함하여 25개국에서 45건의 인도적 지원을 진행했다.

보다 신속한 대규모 인도적 대응을 위해 세계식량계획(WFP)의 인도적지원물류센터(UNHRD) 협력기관으로 등록되어 있으며, 전 세계 6개 UN 물류센터에 구호물품을 보관하고 있다. 또한 유럽의 인도주의 및 인권 단체들과 협력하여 전략 네트워크인 '얼라이언스2015(Alliance2015)'를 출범시켰다. 얼라이언스2015는 컨선월드와이드(아일랜드), HIVOS(네덜란드), IBIS(덴마크), 세계기아원조(독일), CESVI(이탈리아), PIN(체코), ACTED(프랑스) 등 7개 단체가 참여하여 전 세계 긴급 상황에 대해 협력한다.

2010년에는 인도주의 활동의 투명성, 책무성, 품질 기준을 충족하는 HAP(Humanitarian Accountability Partnership) 인증을 획득했다. 하버드 인도주의 이니셔티브(Harvard Humanitarian Initiative)와 협력하여 매년 차세대 인도주의 리더들을 양성하고 있다.[42]

4. 기타 활동

컨선월드와이드는 2000년대부터 긴급구호활동 외에도 다양한 개발협력사업을 진행하며, 세계 여러 단체들과 협력하고 있다.

2000년에는 유럽의 인도주의 및 인권 단체들과 협력하여 전략 네트워크인 '''얼라이언스2015(Alliance2015)'''를 출범시켰다. 초기에는 컨선월드와이드(아일랜드), HIVOS(네덜란드), IBIS(덴마크), 세계기아원조(독일) 4개 단체로 시작했으나, 이후 CESVI(이탈리아), PIN(체코), ACTED(프랑스)가 합류하여 총 7개 단체가 되었다.

2007년에는 유엔이 컨선의 '''치료돌봄공동체(Community Therapeutic Care)''' 프로그램을 급성영양실조 치료를 위한 '세계 최우수 사업(international best practice)'으로 채택하고, 각국 정부가 이를 국가 보건시스템에 반영하도록 권고했다.

2009년에는 신속한 대규모 인도적 대응을 위해 세계식량계획(WFP)의 인도적지원물류센터(UNHRD) 협력기관으로 등록되어, 현재 전 세계 6개 UN 물류센터에 구호물품을 보관하고 있다.

2010년에는 미국과 아일랜드 정부, 빌앤멜린다게이츠재단(The Bill & Melinda Gates Foundation)과 함께 임신에서 두 돌까지 첫 1,000일의 영양 중요성을 강조하는 글로벌 캠페인 '''1000일의 기적(1000 Days)'''을 시작했다.

2015년에는 세계은행(World Bank)이 컨선의 '영양개선 농업(Realigning Agriculture to Improve Nutrition)' 프로젝트에 대해 '''영양공급상(Secure Nutrition award)'''을 수여하고, 영양개선에 대한 잠재력이 가장 큰 프로젝트로 인정했다. 같은 해, EU는 컨선이 시에라리온의 에볼라 사태 현장에서 진행한 '존엄하고 안전한 매장' 프로그램에 대해 '''EU보건상(EU Health Award)'''을 수여했다.

또한, 2015년에 컨선월드와이드는 한국 서울에 지부를 설립했다.[38]

연도지역사건
2000년모잠비크모잠비크에 홍수가 발생했고 컨선은 긴급구호에 착수
2003년다르푸르이란다르푸르에서 분쟁이 발생했고, 이란에서 지진 발생, 컨선은 긴급구호에 착수
2004년남아시아남아시아에서 쓰나미가 발생했고 약 30만 명이 사망, 컨선은 인도, 인도네시아, 스리랑카에서 긴급구호활동을 진행
2005년파키스탄파키스탄에서 지진이 발생했고 컨선이 긴급구호활동을 실시
2010년아이티아이티에서 대지진이 발생했고 컨선이 긴급구호에 착수, 재난 현장의 인도주의 활동에 요구되는 투명성과 책무성, 그리고 품질 기준을 충족시키는 HAP(Humanitarian Accountability Partnership) 인증을 획득
2013년시리아, 레바논 그리고 터키시리아에서 내전이 발생했고 컨선은 레바논과 터키의 난민과 시리아 북부의 실향민들에 대한 긴급구호에 착수


4. 1. 세계기아지수(GHI) 발표

컨선월드와이드는 영양 개입 분야에서 세계적인 권위를 가진 단체 중 하나이다. 50년 가까운 역사를 통해 축적된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2006년부터 매년 ‘세계기아지수(Global Hunger Index)’를 발간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세계적인 연구 기관인 국제식량정책연구소(IFPRI, 미국)와 세계기아원조(Welthungerhilfe, 독일)와 협력하고 있다. 세계기아지수는 다음의 네 가지 요소를 고려한다.

  • 1) 5세 미만 영유아 사망률
  • 2) 아동 영양 부족 (저체중과 발육 부진)
  • 3) 영양 결핍


위의 자료들은 유엔식량농업기구(FAO), 세계보건기구(WHO), 유엔아동기금(UNICEF), 유엔영유아사망률추정합동기구(UNIGME), 세계은행 등의 국가별 정보를 기초로 산출된다. 매년 10월 뉴욕, 베를린, 더블린, 런던, 브뤼셀, 벨파스트 등 세계 주요 도시에서 세계기아지수를 발표하고 있으며, 2015년부터는 한국어판을 통해 서울에서도 함께 발표하고 있다.[1]

5. 활동 지역



각 국가에서의 컨선월드와이드 활동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https://web.archive.org/web/20170807072622/http://www.concern.or.kr/load.asp?subPage=120 컨선 홈페이지]를 참고하면 된다.

5. 1. 아시아


5. 2. 아프리카

남수단, 니제르, 라이베리아, 르완다, 말라위, 모잠비크, 부룬디, 소말리아, 수단 공화국, 시에라 리온, 에티오피아, 우간다, 잠비아, 중앙 아프리카 공화국, 차드, 케냐, 콩고 민주 공화국, 탄자니아[11]

5. 3. 카리브해

컨선월드와이드는 아이티에서 활동한다.[13]

5. 4. 중동

레바논시리아/터키에서 활동하고 있다.[11]

참조

[1] 웹사이트 Irish Aid : Background note for the Minister of State March 2011 http://www.irishaid.[...]
[2] 웹사이트 Annual Reports : Concern Worldwide http://www.concern.n[...] 2019-04-08
[3] 웹사이트 About Concern http://www.concern.n[...]
[4] 웹사이트 About Our Programmes : Concern Worldwide http://www.concern.n[...] 2019-09-05
[5] 웹사이트 Humanitarian Accountability Partnership http://www.hapintern[...]
[6] 웹사이트 Q&A: Getting to know Danny Harvey, our new Executive Director : Concern Worldwide UK https://www.concern.[...] 2019-09-16
[7] 간행물 Fiftieth Anniversary of Concern Worldwide https://spiritan.ie/[...] Glowing Embers 2018-08
[8] 웹사이트 Our History : Concern Worldwide http://www.concern.n[...]
[9] 웹사이트 MICROCAPITAL BRIEF: Angkor Mikroheranhvatho Kampuchea Company Limited (AMK) of Cambodia Wins Second Giordano Dell'Amore Microfinance Best Practices International Award https://www.microcap[...] 2011-10-28
[10] 웹사이트 USD 15 M loan to AMK https://www.bio-inve[...]
[11] 웹사이트 Annual Report : Concern Worldwide http://www.concern.n[...] 2020-08-25
[12] 뉴스 Concern Appeals for more aid for Africa: Irish Times http://www.irishtime[...] 2011-08-02
[13] 웹사이트 YouTube : Tom Arnold of Concern Worldwide thanking the public for their support of the people of Haiti https://www.youtube.[...]
[14] 웹사이트 Our work in Pakistan : Concern Worldwide https://web.archive.[...] 2011-08-23
[15] 웹사이트 Concern's Response to COVID-19 : Concern Worldwide https://www.concern.[...] 2020-08-25
[16] 웹사이트 How we are governed : Concern Worldwide http://www.concern.n[...]
[17] 웹사이트 How About us : Humanitarian Accountability Partnership http://www.hapintern[...]
[18] 웹사이트 ICTR https://web.archive.[...] 2011-09-06
[19] 웹사이트 Chartered Accountants http://www.chartered[...]
[20] 웹사이트 How we raise money-Concern Worldwide http://www.concern.n[...]
[21] 웹사이트 Minister Lenihan to announce new €148 million multi-annual package for Concern http://www.irishaid.[...]
[22] 웹아카이브 Government cuts support to Irish charities http://www.dochas.ie[...]
[23] 웹사이트 Concern Fast http://www.concernfa[...]
[24] 웹사이트 1000-days https://web.archive.[...] 2016-10-04
[25] 웹사이트 Concern Writing Competition https://web.archive.[...] 2011-08-23
[26] 뉴스 Concern Writing Competition http://www.irishtime[...] 2011-06-23
[27] 웹사이트 Concern Challenges http://www.concernch[...]
[28] 웹사이트 Go Green : Concern Worldwide https://www.concern.[...]
[29] 웹사이트 Concern Long Jump Challenge : Concern Worldwide https://www.concern.[...]
[30] 웹사이트 Step in Their Shoes: Concern Worldwide https://www.concern.[...]
[31] 웹사이트 Toni Collette relives her experience in Haiti : Concern Worldwide https://www.concern.[...]
[32] 웹사이트 Donal Skehan gets a taste of Concern's work in Malawi : Concern Worldwide http://www.concern.n[...] 2016-07-11
[33] 웹사이트 'I Don't Have A Book, I Don't Have A Podcast, I'm Not Trying To Sell You Anything: Balls.ie https://www.balls.ie[...] 2019-12-07
[34] 웹사이트 WIN A PHOTOSHOOT WITH ACCLAIMED PHOTOGRAPHER ALEXI LUBOMIRSKI: Concern USA https://www.concernu[...]
[35] 웹사이트 ROB ON CONCERN TRIP https://www.independ[...] 2011-06
[36] 웹사이트 I Useta Love Her: How the song that rhymed Mass and ass became an Irish anthem : The Irish Times https://www.irishtim[...]
[37] 웹사이트 Take a trip down memory lane as Concern say thanks to long-forgotten Irish charity supergroup: The Irish Examiner https://www.irishexa[...] 2018-04-02
[38] 웹인용 컨선월드와이드 연혁 http://www.concern.o[...] 2017-08-07
[39] 웹인용 컨선월드와이드 사업_보건/영양 http://www.concern.o[...] 2017-08-07
[40] 웹인용 컨선월드와이드 사업_생계/농업 http://www.concern.o[...] 2017-08-07
[41] 웹인용 컨선월드와이드 사업_교육 http://www.concern.o[...] 2017-08-07
[42] 웹인용 컨선월드와이드 사업_긴급구호 http://www.concern.o[...] 2017-08-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