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쿠노 피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쿠노 피셔는 19세기 독일의 철학자이자 철학 역사가로, 1824년 프로이센에서 태어나 1907년 사망했다. 라이프치히 대학교와 할레 대학교에서 고전 문헌학과 철학을 공부했으며, 하이델베르크 대학교에서 사강사로 시작하여 예나 대학교, 하이델베르크 대학교에서 교수를 역임했다. 그는 헤겔 철학의 영향을 받았으며, 칸트 철학에 대한 해석으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피셔는 17, 18세기 철학자들을 경험론과 합리론으로 분류하는 데 기여했으며, 주요 저서로는 《근대 철학사》가 있다. 그의 저술은 니체 등에게 영향을 미쳤으며, 고틀로프 프레게 등이 그의 제자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하이델베르크 대학교 교수 - 막스 베버
    막스 베버는 독일 출신의 사회학자, 경제학자, 역사학자, 법학자로서, 종교사회학, 정치 체제 등을 연구하고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에서 자본주의 발전에 미친 프로테스탄티즘의 영향을 분석했으며, 권위의 유형을 구분하고 사회과학 연구의 객관성과 가치 중립성을 강조했다.
  • 하이델베르크 대학교 교수 - 아우구스트 뵈크
    아우구스트 뵈크는 독일의 고전 문헌학자이자 고고학자로, 고전 문헌학을 고대 세계에 대한 지식으로 정의하고 그리스 경제사, 도량형, 비문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업적을 남겼다.
  • 할레-비텐베르크 대학교 동문 - 로베르트 미헬스
    로베르트 미헬스는 사회학자이자 정치학자로, 과두제의 철칙(Iron Law of Oligarchy) 이론을 제시했으며, 정당의 관료화와 소수 엘리트 지배의 관계를 연구했다.
  • 할레-비텐베르크 대학교 동문 - 헤르만 슈타우딩거
    헤르만 슈타우딩거는 독일의 유기화학자로, 케텐 분자 계열 발견과 슈타우딩거 반응 보고 등 유기화학 분야에 기여했으며, 고분자 연구를 통해 고분자화학의 기초를 확립한 공로로 1953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고, 평화 운동 참여와 나치 정권 하 탄압 속에서도 연구를 지속하여 고분자 재료 개발에 기여했다.
  • 프로이센 출신 - 막스 베버
    막스 베버는 독일 출신의 사회학자, 경제학자, 역사학자, 법학자로서, 종교사회학, 정치 체제 등을 연구하고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에서 자본주의 발전에 미친 프로테스탄티즘의 영향을 분석했으며, 권위의 유형을 구분하고 사회과학 연구의 객관성과 가치 중립성을 강조했다.
  • 프로이센 출신 - 카를 마르크스
    카를 마르크스는 독일의 철학자, 경제학자, 사회학자, 역사가, 언론인, 혁명가이자 공산주의 사상 창시자 중 한 명으로, 『공산당 선언』과 『자본론』 등을 통해 역사적 유물론, 계급 투쟁, 자본주의 비판 이론을 체계화하여 사회주의 운동과 현대 사회 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다.
쿠노 피셔
기본 정보
쿠노 피셔
출생일1824년 7월 23일
출생지구라우 근처 잔데발데 (독일 연방)
사망일1907년 7월 5일
사망지독일 제국 하이델베르크
연구 분야형이상학
주요 사상경험주의–합리주의 구별
영향임마누엘 칸트, 게오르크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
영향을 준 인물고틀로프 프레게, 존 펜틀랜드 마하피, 빌헬름 빈델반트
학력
교육라이프치히 대학교
할레 대학교 (철학 박사, 1847년)
학문적 조언자크리스티안 헤르만 바이세 (라이프치히), 요한 에두아르트 에르트만 (할레), 율리우스 샬러 (할레)
박사 학위 논문 제목데 파르메니데 플라토니코 (플라톤의 파르메니데스에 관하여)
박사 학위 논문 URL데 파르메니데 플라토니코
박사 학위 논문 년도1847년
경력
소속 기관하이델베르크 대학교
예나 대학교
사상
학파/전통헤겔주의 (초기)
신칸트 학파 (후기)
제자
주목할 만한 학생리하르트 팔켄베르크

2. 생애

하이델베르크의 그의 묘지


쿠노 피셔는 프로이센 왕국 돌니실롱스크의 도시 구라우(Guhrau, 현 폴란드령 그라) 근교의 잔데발데에서 태어났다. 1844년 라이프치히 대학교에 입학하여 고전 문헌학을 공부했으며, 이후 할레 대학교에서 철학과 신학을 공부했다.

1850년 하이델베르크 대학교에서 철학 사강사로 강의를 시작했으나, 범신론적 견해로 인해 1853년 바덴 대공국 정부로부터 강의를 금지당했다. 그러나 이 사건은 오히려 그의 견해에 대한 대중의 공감을 불러일으켰다. 그는 하이델베르크에서 다비트 슈트라우스 등과 함께 철학 연구를 계속했다.

1856년 예나 대학교 철학 교수로 초빙되어 강의하였고, 그의 강의는 호평을 받았다. 1872년 에두아르트 첼러의 후임으로 하이델베르크 대학교에 복귀하여 1903년까지 철학 및 현대 독일 문학사 교수로 재직했다.

그는 뛰어난 강사이자 명확한 해설에 뛰어난 재능을 보였으며, 그의 명성은 주로 철학 역사가 및 해설자로서의 업적에 기반한다. 그는 헤겔 철학의 추종자로 여겨지며, 특히 임마누엘 칸트에 대한 그의 해석은 베를린 훔볼트 대학교의 프리드리히 아돌프 트렌델렌부르크와의 논쟁을 불러일으키기도 했다. 1860년 피셔의 ''칸트의 생애와 그의 교리의 기초''는 "칸트로의 회귀"에 첫 번째 실제적인 자극을 주었다고 평가받는다.

1904년 그의 80세 생일을 기념하여 오토 리프만, 빌헬름 분트, 테오도르 립스 등이 ''20세기 초의 철학. 쿠노 피셔를 위한 축전''을 출판했다. 1907년 하이델베르크에서 사망했다.

2. 1. 초기 생애와 교육

쿠노 피셔는 프로이센 왕국 돌니실롱스크의 도시 구라우(Guhrau, 현 폴란드령 그라) 근교의 잔데발데에서 태어났다. 1844년 라이프치히 대학교에 입학하여 고전 문헌학을 공부했으며, 이후 할레 대학교에서 철학과 신학을 공부했다.

1850년 하이델베르크 대학교에서 철학 사강사로 강의를 시작했으나, 범신론적 견해로 인해 1853년 바덴 대공국 정부로부터 강의를 금지당했다. 그러나 이 사건은 오히려 그의 견해에 대한 대중의 공감을 불러일으켰다. 그는 하이델베르크에서 다비트 슈트라우스 등과 함께 철학 연구를 계속했다.

1856년 예나 대학교 철학 교수로 초빙되어 강의하였고, 그의 강의는 호평을 받았다. 1872년 에두아르트 첼러의 후임으로 하이델베르크 대학교에 복귀하여 1903년까지 철학 및 현대 독일 문학사 교수로 재직했다.

그는 뛰어난 강사이자 명확한 해설에 뛰어난 재능을 보였으며, 그의 명성은 주로 철학 역사가 및 해설자로서의 업적에 기반한다. 그는 헤겔 철학의 추종자로 여겨지며, 특히 임마누엘 칸트에 대한 그의 해석은 베를린 훔볼트 대학교의 프리드리히 아돌프 트렌델렌부르크와의 논쟁을 불러일으키기도 했다. 1860년 피셔의 ''칸트의 생애와 그의 교리의 기초''는 "칸트로의 회귀"에 첫 번째 실제적인 자극을 주었다고 평가받는다.

1904년 그의 80세 생일을 기념하여 오토 리프만, 빌헬름 분트, 테오도르 립스 등이 ''20세기 초의 철학. 쿠노 피셔를 위한 축전''을 출판했다.

2. 2. 학문적 경력

라이프치히 대학교와 할레 대학교에서 철학을 공부한 후, 1850년 하이델베르크 대학교에서 사강사가 되었다. 1853년 바덴 대공국 정부는 그의 자유주의적 사상 때문에 그의 강의를 금지했지만, 이로 인해 그의 견해에 대한 상당한 공감을 얻게 되었다. 1856년 예나 대학교에서 교수가 되어 곧 그의 인격적인 존엄성으로 큰 영향력을 얻었다. 1872년, 에두아르트 첼러가 베를린으로 이동하자 피셔는 그를 대신하여 하이델베르크에서 철학 및 현대 독일 문학사 교수가 되었다.

그는 뛰어난 강사이자 명확한 해설에 대한 놀라운 재능을 지녔다. 그의 명성은 주로 철학 역사가 및 해설자로서의 그의 업적에 기인한다. 그의 철학적 견해에 관해서, 그는 일반적으로 헤겔 철학의 추종자였다. 특히 임마누엘 칸트에 대한 그의 해석과 같은 이 방향의 그의 저술은 베를린 훔볼트 대학교의 철학 교수인 프리드리히 아돌프 트렌델렌부르크와 그의 추종자들과의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860년 피셔의 ''칸트의 생애와 그의 교리의 기초''(Kants Leben und die Grundlagen seiner Lehre)는 소위 "칸트로의 회귀"에 첫 번째 실제적인 자극을 주었다.

1844년라이프치히 대학교에 입학하여 고전 문헌학을 수학했다. 그 후, 할레 대학교에서 철학신학을 공부했다. 1850년에 하이델베르크 대학교에서 철학 사강사로 강의를 했다. 그러나 범신론적 견해를 보이면서, 불복했음에도 불구하고 강의 자격을 박탈당했다. 그 후에도, 하이델베르크에서 다비트 슈트라우스 등과 함께 철학 연구를 했다.

1856년, 예나 대학교에 철학 교수로 초빙되었다. 현지에서의 강의는 호평을 받았다. 1872년에는, 원래 에두아르트 첼러의 후임으로 하이델베르크 대학교에 복귀하여 1903년까지 동 대학에서 강의를 했다.

1904년에 열린 그의 80번째 생일을 기념하여 오토 리프만, 빌헬름 분트, 테오도르 립스 등이 ''20세기 초의 철학. 쿠노 피셔를 위한 축전''(Die Philosophie im Beginn des 20. Jahrhunderts. Festschrift für Kuno Fischer, 하이델베르크, 1907)을 출판했다.

2. 3. 말년

라이프치히 대학교와 할레 대학교에서 철학을 공부하고, 1850년 하이델베르크 대학교에서 사강사가 되었다. 1853년 바덴 대공국 정부는 그의 자유주의적 사상 때문에 강의를 금지했지만, 오히려 그의 견해에 대한 공감을 얻게 되었다. 1856년 예나 대학교 교수가 되었고, 1872년 에두아르트 첼러의 후임으로 하이델베르크 대학교 철학 및 현대 독일 문학사 교수가 되었다.

그는 뛰어난 강사였으며 명확한 해설에 재능을 보였다. 그의 철학적 견해는 헤겔 철학의 영향을 받았으며, 특히 임마누엘 칸트에 대한 해석은 프리드리히 아돌프 트렌델렌부르크와의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860년 피셔의 ''칸트의 생애와 그의 교리의 기초''는 "칸트로의 회귀"에 첫 번째 자극을 주었다.

1904년 그의 80세 생일을 기념하여 오토 리프만, 빌헬름 분트, 테오도르 립스 등이 ''20세기 초의 철학. 쿠노 피셔를 위한 축전''을 출판했다. 1903년까지 하이델베르크 대학교에서 강의를 했고,1907년 하이델베르크에서 사망했다.

3. 철학 사상

피셔가 철학에 기여한 가장 중요하고 지속적인 공헌 중 하나는 17세기와 18세기 철학자들을 분류하는 데 있어 경험론/합리론 구분을 사용한 것이다. 존 로크, 조지 버클리, 데이비드 흄은 경험론 범주에 속하고, 르네 데카르트, 바뤼흐 스피노자,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는 합리론 범주에 속한다. 경험론은 인간의 지식이 감각, 즉 경험에서 비롯된다고 주장하는 반면, 합리론은 순수한 원리를 통해 경험 이전에 특정 지식을 얻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 영향력은 있었지만, 최근에는 이 구분이 분류하는 철학자들의 정확한 주장과 방법론을 정확하게 나타내지 못한다는 점에서 시대착오적이라는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피셔는 소위 헤겔 학파 2세대에 속한다. 그가 교단에 섰을 무렵은 유물론 철학이 성행했으며, 이마누엘 칸트게오르크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의 철학에서 급속히 멀어져 가던 시대였다. 그리고 아르투어 쇼펜하우어가 숭배받던 시대이기도 했다. 그러나 피셔는 철학을 연구할 때 칸트나 헤겔의 철학적 성과를 무시할 수는 없다고 생각했으며, 이들의 철학의 시원인 바루흐 스피노자나 르네 데카르트 등에도 접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1852년부터 1877년에 걸쳐 순차적으로 『근대 철학사』 전 10권 11책의 시리즈를 출판했다.

우선 데카르트, 스피노자, 고트프리트 라이프니츠, 칸트(전 2권), 요한 고틀리프 피히테, 프리드리히 셸링, 이어서 1897년에 헤겔(2책), 쇼펜하우어, 프랜시스 베이컨이 간행되었다. 이 시리즈는 각 철학자의 생애는 물론, 각 철학자의 철학 체계를 상세하고 문학적이며 명석하게 재구성했다는 평판을 얻어 당시 인기 텍스트였다.

3. 1. 헤겔 철학의 영향

피셔는 소위 헤겔 학파 2세대에 속한다. 그가 교단에 섰을 무렵은 유물론 철학이 성행했으며, 이마누엘 칸트게오르크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의 철학에서 급속히 멀어져 가던 시대였다. 그리고 아르투어 쇼펜하우어가 숭배받던 시대이기도 했다. 그러나 피셔는 철학을 연구할 때 칸트나 헤겔의 철학적 성과를 무시할 수는 없다고 생각했으며, 이들의 철학의 시원인 바루흐 스피노자나 르네 데카르트 등에도 접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1852년부터 1877년에 걸쳐 순차적으로 『근대 철학사』 전 10권 11책의 시리즈를 출판했다.

우선 데카르트, 스피노자, 고트프리트 라이프니츠, 칸트(전 2권), 요한 고틀리프 피히테, 프리드리히 셸링, 이어서 1897년에 헤겔(2책), 쇼펜하우어, 프랜시스 베이컨이 간행되었다. 이 시리즈는 각 철학자의 생애는 물론, 각 철학자의 철학 체계를 상세하고 문학적이며 명석하게 재구성했다는 평판을 얻어 당시 인기 텍스트였다.

3. 2. 경험론과 합리론의 구분

피셔가 철학에 기여한 가장 중요하고 지속적인 공헌 중 하나는 17세기와 18세기 철학자들을 분류하는 데 있어 경험론/합리론 구분을 사용한 것이다. 존 로크, 조지 버클리, 데이비드 흄은 경험론 범주에 속하고, 르네 데카르트, 바뤼흐 스피노자,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는 합리론 범주에 속한다. 경험론은 인간의 지식이 감각, 즉 경험에서 비롯된다고 주장하는 반면, 합리론은 순수한 원리를 통해 경험 이전에 특정 지식을 얻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 영향력은 있었지만, 최근에는 이 구분이 분류하는 철학자들의 정확한 주장과 방법론을 정확하게 나타내지 못한다는 점에서 시대착오적이라는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3. 3. 칸트 연구

피셔는 17세기와 18세기 철학자들을 경험론합리론으로 분류했다. 존 로크, 조지 버클리, 데이비드 흄은 경험론에, 르네 데카르트, 바뤼흐 스피노자,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는 합리론에 속한다. 경험론은 인간의 지식이 감각 경험에서 비롯된다고 주장하는 반면, 합리론은 순수한 원리를 통해 경험 이전에 특정 지식을 얻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 최근에는 이러한 구분이 철학자들의 정확한 주장과 방법론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는 비판도 제기된다.

피셔는 헤겔 학파 2세대에 속하며, 유물론 철학이 유행하고 이마누엘 칸트게오르크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 철학에서 멀어져 가던 시대에 활동했다. 아르투어 쇼펜하우어가 숭배받던 시대였지만, 피셔는 칸트나 헤겔의 철학적 성과를 무시할 수 없다고 생각했다. 그는 이들의 철학의 기원인 바루흐 스피노자나 르네 데카르트 등도 연구해야 한다고 생각하여, 1852년부터 1877년까지 『근대 철학사』 시리즈를 출판했다.

이 시리즈는 데카르트, 스피노자, 고트프리트 라이프니츠, 칸트(전 2권), 요한 고틀리프 피히테, 프리드리히 셸링, 헤겔(2책), 쇼펜하우어, 프랜시스 베이컨을 다루었으며, 각 철학자의 생애와 철학 체계를 상세하고 명석하게 재구성하여 당시 인기 있는 텍스트였다.

4. 주요 저서

쿠노 피셔는 방대한 저술을 남겼으며, 그의 저서들은 철학, 문학, 역사 등 다양한 분야를 아우른다. 그의 가장 위대한 작품으로 여겨지는 ''근대 철학사''(Geschichte der neuern Philosophie)는 6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8] 데카르트와 그의 학파,[8] 라이프니츠와 그의 학파, 임마누엘 칸트와 그의 가르침, 피히테와 그의 선구자, 헤겔의 생애, 작품 및 가르침, 쇼펜하우어의 생애, 작품 및 가르침 등을 다룬다. 특히 칸트와 헤겔에 대한 연구는 깊이와 통찰력으로 유명하다.

피셔는 철학 저서 외에도 문학 작품도 다수 저술했다. 실러, 괴테, 레싱, 셰익스피어 등 독일 문학의 거장들에 대한 연구를 통해 문학 비평 분야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괴테의 ''파우스트''와 셰익스피어의 ''리처드 3세''에 대한 분석은 문학 연구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피셔의 주요 저서는 다음과 같다.


  • ''De Parmenide Platonico''(파르메니데와 플라톤에 관하여). 슈투트가르트 (1847)
  • ''Diotima. Die Idee des Schönen''(디오티마, 미의 이념; 포르츠하임, 1849)
  • ''System der Logik und Metaphysik oder Wissenschaftslehre''(논리학 및 형이상학 체계, 혹은 지식론; 1852)
  • ''Die Apologie meiner Lehre nebst Replik auf die „Abfertigung“ des Herrn Schenkel''(1854)[7]
  • ''Geschichte der neuern Philosophie''(근대 철학사; 1854–77)
  • ''Franz Baco von Verona''(베로나의 프란츠 바코; 1856)
  • ''실러, 철학자로서''(1858)
  • ''칸트의 생애와 그의 가르침의 기초''(1860)
  • ''레싱의 “현자 나탄”''(1864)
  • ''스피노자의 생애와 성격''(1865)
  • ''셰익스피어의 리처드 3세의 성격 발달''(1868)
  • ''유머의 기원과 발전 형태에 관하여''(1871)
  • ''칸트 철학 비판''(1883)
  • ''괴테 저작''(1888–96)
  • ''소 논문''(1888–98)
  • ''실러 저작''(1891)
  • ''철학 저작''(1891–92)
  • ''헤겔의 생애와 작품''(1911)

5. 영향 및 평가

쿠노 피셔의 저서 《근대 철학사》는 프리드리히 니체의 근대 철학, 특히 스피노자에 대한 관점에 큰 영향을 미쳤다.[4][5] 고틀로프 프레게와 W. 서머셋 몸이 그의 제자였다.

헤르만 바일은 2차 세계 대전 이전 독일의 학문적 생활에 대해 글을 쓰면서 다음과 같은 일화를 전했다. 1890년대 하이델베르크에서 철학자였던 쿠노 피셔는 어느 날 집 앞 거리에서 자갈 까는 작업자들의 소음에 방해를 받았다. 당시 베를린 교수직 제안을 받은 상태였던 그는 창문을 열고 작업자들에게 "당장 그 소리를 멈추지 않으면, 베를린의 부름을 받아들이겠소."라고 소리쳤다. 감독은 시장에게 달려갔고, 시장은 시립 건축가를 소환하여 학기 방학이 시작될 때까지 거리 수리를 연기하기로 결정했다.[6]

피셔는 헤겔 학파 2세대에 속한다. 그가 교단에 섰을 무렵은 유물론 철학이 성행하고, 이마누엘 칸트게오르크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의 철학에서 멀어져 가던 시대였다. 또한 아르투어 쇼펜하우어가 숭배받던 시대였다. 그러나 피셔는 철학을 연구할 때 칸트나 헤겔의 철학적 성과를 무시할 수 없다고 생각했으며, 이들의 철학의 시원인 바루흐 스피노자나 르네 데카르트 등에도 접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1852년부터 1877년에 걸쳐 『근대 철학사』 전 10권 11책의 시리즈를 출판했다.

우선 데카르트, 스피노자, 고트프리트 라이프니츠, 칸트(전 2권), 요한 고틀리프 피히테, 프리드리히 셸링, 이어서 1897년에 헤겔(2책), 쇼펜하우어, 프랜시스 베이컨이 간행되었다. 이 시리즈는 각 철학자의 생애는 물론, 각 철학자의 철학 체계를 상세하고 문학적이며 명석하게 재구성했다는 평판을 얻어 당시 인기 텍스트였다.

5. 1. 한국에서의 수용

참조

[1] 서적 Karl Pearson: The Scientific Life in a Statistical Ag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0
[2] 서적 The Genesis of Neo-Kantianism, 1796-1880 Oxford University Press 2014
[3] 서적 The German Historicist Tradition Oxford UP 2011
[4] 논문 Nietzsche’s Readings on Spinoza. A Contextualist Study, Particularly on the Reception of Kuno Fischer 2012
[5] 논문 Nietzsche, Spinoza, and Philosophical Etiology (On the Example of Free Will)
[6] 간행물 Universities and Science in Germany 1953
[7] 웹사이트 Abfertigung für Herrn Kuno Fischer in Heidelberg https://archive.org/[...]
[8] 웹사이트 online https://archive.org/[...] 189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