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리스마스섬 전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크리스마스섬 전투는 제2차 세계 대전 중인 1942년 3월, 일본군이 영국령 크리스마스섬을 점령하기 위해 벌인 전투이다. 크리스마스섬은 인도양 동부의 전략적 요충지이자 인산염의 주요 공급지였다. 일본군은 자와섬 점령 후 "X 작전"을 통해 크리스마스섬을 침공했다. 섬의 영국군 수비대는 인도인 병사들의 반란으로 무력화되었고, 일본군은 섬에 상륙하여 점령했다. 그러나 미국 잠수함의 공격으로 일본 해군은 피해를 입었고, 인산염 채굴 시도는 실패로 돌아갔다. 전쟁 후 반란을 주도한 인도인 병사들은 군법 재판에 회부되었으며, 이 사건은 일본의 자원 활용 실패와 연합군의 잠수함 작전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2차 세계 대전 중 오스트레일리아의 군사사 - 카우라 포로 수용소 탈출 사건
카우라 포로 수용소 탈출 사건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호주 카우라에서 일본군 포로들이 과밀 수용과 이송 계획에 반발하여 집단 탈출을 시도, 다수의 사망자와 부상자를 낸 사건으로, 전쟁의 참혹함을 보여주는 사례이며 호주와 일본의 역사적 관계 이해에 중요한 배경이 된다. - 1942년 오스트레일리아 - 산호해 해전
산호해 해전은 1942년 5월 미국과 일본 해군이 산호해에서 벌인 해전으로, 일본의 MO 작전은 실패하고 연합군의 전략적 승리로 끝났으며, 항공모함 중심 해전의 시작을 알렸다. - 1942년 오스트레일리아 - 다윈 공습
다윈 공습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1942년 2월 19일 일본군이 오스트레일리아 다윈에 감행한 대규모 공습으로, 항만 시설과 군사 기지가 큰 피해를 입고 많은 사상자가 발생했으며, "호주의 진주만"으로도 불린다.
| 크리스마스섬 전투 - [전쟁]에 관한 문서 | |
|---|---|
| 전투 개요 | |
| 분쟁 | 제2차 세계 대전 중 태평양 전쟁과 인도양 전구의 일부 |
| 날짜 | 1942년 3월 31일 – 4월 1일 |
| 장소 | 크리스마스섬 |
| 결과 | 일본군의 승리 |
| 점령 | 일본군에 의한 크리스마스섬 점령 |
| 교전 세력 | |
| 교전국 1 | |
| 교전국 2 | 일본 |
| 지휘관 | |
| 지휘관 1 | 미상 |
| 지휘관 2 | 니시무라 쇼지 |
| 전력 | |
| 전력 1 (연합군) | 육상: 32명 보병 해상: 잠수함 1척 |
| 전력 2 (일본군) | 육상: 850명 보병 해상: 경순양함 3척, 구축함 8척, 급유함 1척, 수송선 2척 공군: 미상 항공기 |
| 사상자 및 피해 | |
| 사상자 1 (연합군) | 27명 포로 |
| 사상자 2 (일본군) | 경순양함 1척 손상 |
| 추가 정보 | 1942년 3월 10일 반란으로 영국군 장교 1명과 사병 4명 사망 |
| 이미지 | |
![]() | |
![]() | |
2. 배경
크리스마스섬은 자와섬 남쪽 161해리(약 300km) 떨어진 곳에 위치한 해협식민지 소속 영국령 섬이었다. 이 섬은 인도양 동부를 통제할 수 있는 전략적 요충지였고, 일본 산업에 필요한 인산염의 주요 공급원이라는 두 가지 중요한 점을 가지고 있었다.[46] 1900년대부터 인산염 채굴이 시작되어 전투 당시에는 1,000여 명의 중국인과 말레이인 노동자들이 영국인 감독관의 지휘 아래 일하고 있었다. 섬에는 여성 100명과 어린이 200명도 거주하고 있었다.[49]
1942년 일본군이 자와섬을 점령하자 대본영은 크리스마스섬 침공 및 점령 작전인 "X 작전" 시행을 명령하였다.[46] 해군 소장 니시무라 쇼지가 지휘하는 남방군 제2함대가 투입되었으며, 경순양함 나카를 기함으로 하여 경순양함 나가라, 나토리, 구축함 9척, 유조선, 수송선 등으로 구성되었다. 상륙 부대는 특별육전대 및 공병부대원 850명으로 구성되었다.[46]
이에 맞서 크리스마스섬에는 1900년에 제작되어 1940년에 배치된 약 15.24cm 포 1문이 있었다. 영국군 주둔 분견대는 32명으로, 영국군 장교 L. W. T. 윌리엄스 대위가 지휘했다. 부대원은 인도인 장교와 펀자브인 인도계 포병, 부사관 27명, 영국군 4명으로 구성되었다.[47] 그러나 일부 펀자브 병사들은 일본의 선전을 믿고 현지 시크교도 경찰의 암묵적인 지지 하에 반란을 일으켰다. 이들은 1942년 3월 11일 윌리엄스 대위와 영국군 병사 4명을 살해하고 시신을 바다에 유기했으며, 섬의 지방 공무원들과 유럽계 거주민을 감금했다.[47]
2. 1. 지정학적 중요성

크리스마스섬은 자와섬 남쪽 161nmi 지점에 위치하여 인도양 동부를 통제할 수 있는 전략적 요충지였다.[46] 또한, 일본 산업에 필수적인 인산염의 주요 공급원이기도 했다.[1] 1900년대부터 인산염 채굴이 시작되어, 전투 당시에는 1,000여 명의 중국인과 말레이인 노동자들이 영국인 감독관의 지휘 아래 일하고 있었다. 섬에는 여성 100명과 어린이 200명도 거주하고 있었다.[49]
일본군의 자와섬 점령 이후, 대본영은 크리스마스섬 점령을 위한 "X 작전"을 명령하였다.[46]
2. 2. 인산염 자원
크리스마스섬은 자와섬 남쪽 161nmi 떨어진 곳에 위치한 해협식민지의 영국령으로, 동인도양 통제 기지이자 일본 산업에 필요한 인산염의 중요한 공급원이었다.[46] 1900년부터 인산염 채굴이 시작되었으며, 전투 당시 소수의 영국인 감독관 아래 1,000여 명의 중국인과 말레이인 노동자들이 채굴 작업을 하고 있었다. 섬에는 여성 100명과 어린이 200명도 거주하고 있었다.[49]2. 3. 영국군 방어
크리스마스섬의 영국군 방어 병력은 1900년에 제작되어 1940년에 배치된 약 15.24cm 포 1문이었다. 영국군은 홍콩과 싱가포르 왕립 포병대 주둔 분견대로 32명의 병력이 배치되었다. 이 분견대는 영국군 장교인 L. W. T. 윌리엄스 대위가 지휘했으며, 윌리엄스 부대는 인도인 장교 수바다르 무자파르 칸, 펀자브인 인도계 포병 사병과 부사관 27명, 영국군 4명으로 구성되었다.[47]일부 펀자브 병사들은 영국 통치로부터 인도를 해방하겠다는 일본의 선전을 믿고, 아마도 지역 시크교도 경찰관들의 묵시적인 지원을 받아 반란을 일으켰다. 1942년 3월 11일, 그들은 윌리엄스와 4명의 영국 사병(길스 하사, 크로스 하사, 서굿 포수, 테이트 포수)을 사살하고 시체를 바다에 던졌다.[47] 그 후 그들은 구역 관리와 섬의 다른 소수의 유럽 거주자들을 처형하기 위해 가두었으나, 일본의 점령으로 인해 실행되지 못했다.[46][48]
2. 4. 인도인 병사들의 반란
일본의 선전을 믿고 있던 일부 펀자브 병사들은 현지 시크교도 경찰의 암묵적인 지원을 받아 반란을 일으켰다.[47] 1942년 3월 11일, 펀자브계 부대원은 지휘관 윌리엄스와 자일스, 크록스 병장과 서굿, 테이트 사병 등 영국군 병사 4명을 살해하고 시신을 바다에 유기했다.[47] 이후 섬의 지방 공무원들과 유럽계 거주민을 감금했는데, 일본의 점령으로 인해 사형 집행은 사실상 무효화되었다.[46][48]3. 일본군의 침공 계획 (X 작전)
자바 점령 이후, 일본 대본영은 1942년 3월 14일 "X 작전"(크리스마스 섬 침공 및 점령)을 명령했다.[1] 당시 크리스마스 섬은 자바 섬에서 남쪽으로 161nmi 떨어진 해협 식민지의 행정 통제를 받는 영국령이었다. 일본은 동인도양의 통제 기지이자, 일본 산업에 필요한 인산염의 중요한 공급원[1]이었던 크리스마스 섬을 점령하고자 했다.
이에 맞서 영국군은 1900년에 제작되어 1940년에 크리스마스 섬에 설치된 약 15.24cm 포 한 문만을 보유하고 있었다. 영국 주둔군은 홍콩 및 싱가포르 왕립 포병 부대의 파견대로, L. W. T. 윌리엄스 대위가 이끄는 32명의 병력으로 구성되었다. 이들은 수바다르 무자파 칸을 비롯한 27명의 펀자브인 인도 포병 및 부사관, 그리고 4명의 영국 사병이었다.[2]
그러나 일부 펀자브 병사들은 영국 통치로부터 인도를 해방하겠다는 일본의 선전을 믿고 반란을 일으켰다. 3월 11일, 그들은 윌리엄스 대위와 4명의 영국 사병을 사살하고 시체를 바다에 던졌다.[2]
3. 1. 지휘관 및 함대 구성
해군 소장 니시무라 쇼지가 제2 남방 원정 함대의 점령 부대를 지휘했으며, 경순양함 나카가 기함이었다. 함대에는 경순양함 나가라, 나토리와 구축함 미네구모, 나츠구모, 아마츠카제, 하츠카제, 사츠키, 미나즈키, 후미즈키, 나가츠키, 유조선 '아케보노 마루', 수송선 '키미시마 마루'와 '쿠마가와 마루', 특별 기지 부대 병력 850명, 제102 건설 부대가 포함되었다.[1]3월 15일, 제16전대 사령관 하라 켄자부로 소장을 총지휘관으로 하는 크리스마스 섬 공략 부대가 편성되어 3월 31일 공략을 목표로 했다.[29][30]
편성된 함대의 상세 목록은 다음과 같다.
| 함대 역할 | 지휘관 계급 및 이름 | 주요 함선 목록 |
|---|---|---|
| 주대/제16전대 | 소장 하라 켄자부로 | 나토리, 나가라[30] |
| 경계대 | 소장 니시무라 쇼지 | 기함 "나카", 제9구축대 제1소대(나츠구모, 미네구모), 초계정 34호, 초계정 36호, 구마가와마루, 키미시마마루[30] |
| 육전 부대 | 제24특별근거지대 분견대 450명, 제21특별근거지대 포원 200명·12cm포 4·8cm 고사포 4, 제102건설부대 200명 | |
| 보급 부대 | "아케보노마루", 아마츠카제(제2수뢰전대, 제16구축대)[30][31] |
당초 경순양함 "나가라"는 경순양함 "키누"와 교체될 예정이었으나, "나가라"가 제10전대(항공모함 기동 부대 경계 부대) 기함으로 내정되어 장기 작전 계획에는 종사할 수 없었기 때문에 크리스마스 섬 공략 부대에 편입되었다.[13][30]
또한, 제22구축대(사츠키, 미나즈키, 후미즈키, 나가츠키)는 일본 육군제16군의 자바 2차 수송 임무 종료 후 주대(제16전대)에 합류하라는 명령을 받았다.[30]
3. 2. 병력
일본군은 특별 기지 부대 병력 850명(제21 및 제24 특별 기지 부대)과 제102 건설 부대로 구성되었다.[1] 이들은 육전 부대일본어로, 제24특별근거지대 분견대 450명, 제21특별근거지대 포병 200명(12cm포 4문, 8cm 고사포 4문), 제102건설부대 200명으로 편성되었다.[30][31]4. 전투 경과
1942년 3월 1일, 일본 해군 폭격기가 크리스마스 섬을 공습했다.[18] 같은 달 상순, 나구모 주이치 중장이 이끄는 나구모 기동 부대는 자바 섬 남쪽으로 진출하여 오스트레일리아 방면으로 탈출하는 연합군 함정을 소탕했다.[19]
3월 6일, 나구모 사령 장관은 잔적 소탕 명령을 내려 제2 항공 전대(소류, 히류), 제3 전대 제2 소대(하루나, 콩고), 제17 구축대(타니카제, 우라카제, 하마카제, 이소카제)의 8척을 별동대로 편성했다.[20][21] 3월 7일 이른 아침, 전함 2척과 구축함 2척은 크리스마스 섬에 약 20분간 함포 사격을 실시했고, 영국군 수비대는 백기를 게양했다.[22] 하지만 이 4척은 섬을 점령하지 않고 백기를 방치한 채 크리스마스 섬을 떠났다. 9일 오후 2시, 별동대는 나구모 기동 부대 주력과 합류했다.[24] 보고를 받은 나구모 사령 장관은 '크리스마스 섬 공략은 소 병력으로 쉽게 실시 가능'하다고 결론을 내렸다.[21][25]
인도인들은 '영국의 식민지하에 놓인 인도를 영국의 지배로부터 해방하겠다'는 일본군의 호소에 호응하여, 3월 10일에 반란을 일으켜 영국군 지휘관들을 살해하고, 섬에 남은 오스트레일리아인과 유럽인을 감금했다.
3월 14일, 대본영은 야마모토 이소로쿠 연합 함대 사령 장관에게 크리스마스 섬 공략을 지시했다.[15][27] 야마모토 장관은 남방 부대 지휘관 곤도 노부타케 중장에게, 곤도 장관은 다카하시 이보 중장에게 작전 실시를 명령했다. 당시 크리스마스 섬에는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싱가포르에서 옮겨온 6인치 포 1문과 대공포 3문 정도가 있었고, 영국군 수비대는 대부분 인도인으로 32명 정도였다.
4. 1. 일본군의 공습 및 상륙
1942년 3월 31일 새벽, 일본군 폭격기 12기가 크리스마스섬을 공격하여 라디오 방송국을 파괴했다.[46] 일본군이 상륙하기 전 반란군은 백기를 들고 항복 의사를 표시했다.[46] 일본군은 플라잉피시코브에 저항 없이 상륙했다.[49][50] 같은 날, 미 해군 잠수함 USS 시울프는 일본 경순양함 나카와 나토리에게 여러 차례 어뢰 공격을 가했으나 모두 빗나갔다.[51] 그러나 그날 저녁, 시울프가 발사한 어뢰 2발 중 1발이 나카의 우현 1번 보일러실 근처에 명중했다.[52] 나토리는 심각한 손상을 입어 싱가포르까지 견인되었고, 일본 본토에서 1년간 수리를 받아야 했다.[53] 이후 일본군 함정들은 미군 잠수함을 추격했으나, 시울프는 탈출에 성공했다.[53]
4. 2. 미 해군 잠수함의 공격
1942년 3월 31일 오전 9시 49분, 미국 해군 잠수함 USS 시울프는 일본 경순양함 나카를 향해 어뢰 4발을 발사했으나 모두 빗나갔다.[51] 다음 날 아침 6시 50분, 시울프는 나토리에 어뢰 3발을 발사했지만, 이 역시 모두 빗나갔다.[51] 그날 저녁, 시울프는 약 1005.84m 거리에서 나카를 향해 마지막 남은 어뢰 2발을 발사했고,[51] 이 어뢰 중 1발이 나카의 우현 1번 보일러실 근처에 명중했다.[52]나카는 심각한 손상을 입어 나토리에 의해 싱가포르까지 예인되어야 했고, 결국 일본 본토로 돌아가 1년간 수리를 받아야 했다.[53] 나카가 어뢰에 맞은 후, 다른 일본 함정들은 9시간 넘게 폭뢰를 사용하며 시울프를 추격했지만, 시울프는 탈출에 성공했다.[53]
4. 3. 일본군의 크리스마스섬 점령
1942년 3월 31일 새벽, 일본군 폭격기 12기가 크리스마스섬을 공격하여 라디오 방송국을 파괴했다. 일본군 850명이 상륙하기 전, 반란군은 백기를 들고 항복 의사를 밝혔다.[46] 일본군은 플라잉피시코브에 저항 없이 상륙했다.[49][50]같은 날 오전 9시 49분, 미국 해군 잠수함 USS 시울프가 경순양함 나카를 향해 어뢰 4발을 발사했으나 모두 빗나갔다. 다음 날 아침 6시 50분, 시울프는 나토리에 어뢰 3발을 발사했으나 또다시 빗나갔다. 그날 저녁, 시울프는 1000m 거리에서 나카를 향해 어뢰 2발을 발사했고,[51] 이 어뢰가 나카의 우현 1번 보일러실 근처에 명중했다.[52] 나토리는 싱가포르까지 견인되어야 할 정도로 심각한 손상을 입었고, 결국 일본 본토로 가서 1년간 수리를 받아야 했다. 이후 다른 일본군 함정들이 미군 잠수함을 잡기 위해 폭뢰를 사용하며 9시간 넘게 추격했으나 잠수함 시울프는 탈출하는 데 성공했다.[53]
1942년 4월 3일, 경순양함 나토리는 주둔군 20명을 제외한 전 병력을 인도네시아 반텐만으로 철수시켰다. 철수 당시 일본군은 수송선을 동원해 인광석을 수송하였다.[46]
5. 전투 여파
점령 이후 일본 주둔군은 중국인과 말레이인을 동원하려 시도했으나, 많은 이들이 내륙으로 도망쳤다. 반란군들은 창고 청소 노동자로 동원되었다.[49] 1942년 11월 17일, 미국 해군 잠수함의 공격으로 크리스마스섬의 인산염 생산이 완전히 중지되었고, 1943년 12월까지 섬 인구의 60% 이상이 자와섬으로 이주하였다. 이후 전쟁 기간 크리스마스섬에서는 별다른 충돌이 없었고, 1945년 10월 중순 영국군이 크리스마스섬을 다시 점령하였다.[49]
전후 반란을 일으켰던 펀자브 군인 7명이 군법재판에 회부되어, 이들 중 5명은 사형, 1명은 2년 징역형 및 불명예 제대를 선고받았다. 이후 인도와 파키스탄의 항소로 사형은 종신형으로 감형되었고, 1955년 6월 파키스탄으로 이송되었다.[46][47]
5. 1. 인산염 채굴 시도와 실패
일본군 점령 후, 중국인과 말레이인들은 강제 노역을 피하기 위해 내륙으로 도망쳐 자급자족했다. 반란에 가담했던 병사들은 창고 청소 노동자로 동원되었다.[49] 일본군은 인산염 채굴을 계획했으나, 노동자들의 저항과 수송선 격침 등으로 어려움을 겪었다.[45] 1942년 11월 17일, 일본군 수송선 니세이마루가 미군 잠수함 USS 시어벤의 공격으로 침몰하면서,[4] 크리스마스섬의 인산염 생산은 완전히 중단되었다.[9] 1943년 12월, 유럽인 포로를 포함한 섬 주민 60% 이상이 자와섬으로 이주하였다.[49]5. 2. 일본군의 철수
1942년 11월 17일, 미군 잠수함 USS 시어벤이 일본군의 수송선 니세이마루를 격침시키면서 크리스마스섬의 인산염 생산이 완전히 중단되었다.[49] 1943년 12월, 일본군은 크리스마스섬에서 대부분 철수했고, 섬 인구의 60% 이상(유럽인 포로 포함)이 자와섬 본토로 이주하였다.[49] 이후 전쟁 기간 크리스마스섬에서는 별다른 충돌이 없었고, 1945년 10월 중순 영국군이 크리스마스섬을 다시 점령하였다.[49]5. 3. 인도인 반란군 재판
전후 싱가포르에서 반란을 일으켰던 펀자브 군인 7명이 군법재판에 회부되었다. 최초로 신원이 확인되어 재판을 받은 6명은 1947년 3월 13일 전원 유죄 판결을 받았다. 5명은 사형, 1명은 2년 징역형 및 불명예 제대를 선고받았다.[46][47] 조지 6세 영국 국왕은 1947년 8월 13일 사형 선고를 확정했다.[46][47] 그러나 곧바로 영국령 인도가 붕괴되고 인도가 분할 독립하면서 외교적인 문제도 고려해야 했다. 1947년 10월에는 7번째 반란자를 발견하여 군법재판에 회부해 사형을 선고받았다. 8번째 병사도 반란에 가담한 것은 확인되었으나 체포되지는 않았다. 1947년 12월 8일, 인도, 파키스탄 정부의 항소를 통해 사형 선고는 종신형으로 감형되었다. 영국과 파키스탄 사이 반란군의 형량에 대한 분쟁이 지속되다가, 영국이 6명의 종신형 죄수를 1955년 6월 파키스탄으로 이송하기로 결정하면서 분쟁이 종료되었다.[46][47]참조
[1]
웹사이트
The Mystery of Christmas Island, March 1942
https://warfare.gq/d[...]
1999–2000
[2]
웹사이트
A Tale of Two Mutinies
http://www.kaiserscr[...]
2017-10-09
[3]
서적
Woodmore
1996
[4]
뉴스
Revolt on Christmas Island
http://www.smh.com.a[...]
Sydney Morning Herald
2012-03-14
[5]
서적
Gill
1968
[6]
서적
Blair
1976
[7]
웹사이트
IJN Naka: Tabular Record of Movement
http://www.combinedf[...]
Combined Fleet.com
2017-10-09
[8]
서적
Hara
2013
[9]
서적
Bertke, Smith & Kindell
2014
[10]
웹사이트
クリスマス島占領 印度洋上の敵要衝
https://hojishinbun.[...]
Manshū Nichinichi Shinbun, 1942.04.11 Edition 02
2023-12-16
[11]
문서
戦史叢書80巻、102-103頁「大東亞戦争と呼称決定」
[12]
문서
戦史叢書102巻、114頁「昭和17年(1942年)3月31日/クリスマス島攻略部隊、同島占領」
[13]
문서
日本水雷戦史、118-119頁
[14]
문서
日本空母戦史、169頁
[15]
문서
戦史叢書80巻、201-202頁「クリスマス島の占領」
[16]
문서
戦史叢書26巻、587-588頁「クリスマス島」
[17]
웹사이트
豆解説 クリスマス島
https://hojishinbun.[...]
Tairiku Shinpō 1942.04.09 Edition Evening
2023-12-16
[18]
웹사이트
印度洋上の要衝 クリスマス島強襲 海鷲、軍事施設を完碎
https://hojishinbun.[...]
Manshū Nichinichi Shinbun, 1942.03.04
2023-12-16
[19]
문서
戦史叢書80巻、197頁「ジャワ島南方海面機動作戦」
[20]
문서
S1703一水戦日誌(2) p.50〔 6日/一.1030機動部隊第2兵力部署ニ依ル別働隊(第2航空戦、第3戦隊2小隊、第17駆逐隊)ハ「クーパン」ヲ通ズル205度線以北海面ニ於ケル残敵撃滅ノ為主隊ト分離 〕
[21]
문서
戦史叢書26巻511頁
[22]
문서
S1703一水戦日誌(1) pp.6-7〔 3月7日 第17駆逐隊1小隊第三戦隊2小隊ト共ニ「クリスマス」島ヲ砲撃陸上施設(電信所桟橋油槽)ヲ破壊/3月9日 第17駆逐隊主隊ニ合同 〕
[23]
문서
S1703一水戦日誌(1) pp.37-38
[24]
문서
S1703一水戦日誌(2) p.52〔 9日/1415別働隊(第3戦隊2小隊、第2航空戦隊、第17駆逐隊)ハ南緯11度30分東経120度0分ニ於テ主隊ニ合同 〕
[25]
문서
S1703一水戦日誌(1) p.41〔 9日2100機動部隊指揮官/機動部隊戦闘概報第7號 3月6日南緯140度0分東経109度40分ニ於テ別働隊(第二航空戦隊、第三戦隊2小隊、第17駆逐隊)ヲ分離、9日「スンバ」島南方ニテ合同、11日「スターリング」湾着ノ予定(略)同島攻略ハ小兵力ヲ以テ容易ニ実施シ得ルモノト認ム、港内敵船ヲ認メス(以下略) 〕
[26]
문서
(昭和17年3月10日)(中略)二、別働隊「ジャワ」島南方一五〇浬ヲ東航ス。/(イ)七日朝二〇分ニ亘リ第三戦隊第二小隊、第十七駆逐隊第一小隊ヲ以テ「クリスマス島」ヲ砲撃、通信施設、桟橋附近重油槽一ヲ撃破ス。敵ハ忽チ白旗ヲ掲揚セリ。/(ロ)七日スンダ海峡南方ニテ一万トン級輸送船二爆撃撃沈。(「クリスマス島」ハトツテ用フル所、余計ナコトヲスルモノナリ)
[27]
문서
戦史叢書102巻、112頁「昭和17年(1942年)3月25日/大本営、聯合艦隊にクリスマス島攻略実施を下令(31日攻略成功)」
[28]
문서
(昭和17年3月16日月曜日)○第二艦隊(二六九=一五-一九一〇)作一四二号 一、蘭印部隊指揮官ハ四月上旬迄ニ「クリスマス」島ヲ占領スベシ。二、航空部隊指揮官([[塚原二四三]]中将)ハ右作戦ニ協力セヨ。
[29]
문서
日本軽巡戦史、219-220頁「クリスマス島上陸(三月三十一日)」
[30]
문서
戦史叢書26巻、613-614頁「クリスマス島の攻略」
[31]
문서
S1703十六戦隊日誌(3) p.2〔 三.兵力部署左ノ通定ム 〕
[32]
문서
戦史叢書26巻、615-617頁「「那珂」被雷す」
[33]
문서
日本軽巡戦史、221-222頁
[34]
문서
○三月三十一日〇七〇八「クリスマス」島泊地進入、攻撃制圧ヲ行フ。敵ハ白旗ヲ掲グ。〇九四五上陸成功。
[35]
웹사이트
クリスマス島敵前上陸 詳報占領 あつ白旗掲げたぞ! インドネシア人我陸戰隊を道案内
https://hojishinbun.[...]
Manshū Nichinichi Shinbun, 1942.05.06
2023-12-16
[36]
서적
戦史叢書26巻
[37]
문서
作戦経過概要第40号
[38]
서적
戦史叢書26巻
[39]
문서
S1703四水戦日誌(3)
[40]
문서
S1704四水戦日誌(1)
[41]
서적
戦史叢書26巻
[42]
서적
日本軽巡戦史
[43]
문서
S1704四水戦日誌(3)
[44]
문서
"クリスマス」島 貯鉱約二〇,〇〇〇瓲、袋詰約一五〇〇瓲(一-一二五〇)。"
[45]
웹사이트
クリスマス島燐礦の積出し
https://hojishinbun.[...]
Tairiku Shinpō 1942.05.12 Edition Evening
2023-12-16
[46]
웹인용
The Mystery of Christmas Island, March 1942
https://warfare.gq/d[...]
1999–2000
[47]
웹인용
A Tale of Two Mutinies
http://www.kaiserscr[...]
2017-10-09
[48]
서적
1996
[49]
뉴스
Revolt on Christmas Island
http://www.smh.com.a[...]
2017-10-09
[50]
서적
1968
[51]
서적
1976
[52]
웹인용
IJN Naka: Tabular Record of Movement
http://www.combinedf[...]
Combined Fleet.com
2017-10-09
[53]
서적
20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