탕쥔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탕쥔이는 20세기 신유학을 대표하는 중국 철학자이다. 그는 1909년 쓰촨성에서 태어나 베이징 대학, 국립 중앙 대학을 졸업하고, 슝스리의 영향을 받아 철학 연구에 매진했다. 1949년 이후 홍콩으로 이주하여 신아학원 설립에 기여했으며, 홍콩 중문대학교에서 철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중국 전통 문화의 현대적 가치를 탐구했다. 그는 서양 철학과 유교 사상을 융합하여 독창적인 철학 체계를 구축했으며, 특히 윤리학, 형이상학, 문화 철학 분야에서 중요한 업적을 남겼다. 탕쥔이는 신유학 2세대로 평가받으며, 그의 저서는 중국 철학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의 철학자 - 상앙
상앙은 위나라 출신의 법가 사상가이자 진나라의 개혁가로, 효공의 신임을 얻어 법률 제도를 개혁하여 능력주의를 강조하고 중앙집권화 및 군사력 강화에 기여했으나, 혜문왕에 의해 처형당했다. - 중국의 철학자 - 장재
장재는 기(氣)를 우주의 근본 물질로 여기는 기일원론을 주장하고 성리학 형성에 영향을 미친 북송 시대의 유학자이다. - 1978년 사망 - 교황 바오로 6세
교황 바오로 6세는 제2차 바티칸 공의회를 마무리하고 교회 개혁을 추진한 교황으로, 교황청 개혁과 전례 개혁을 단행하고 교회 일치 운동에 기여했으나, 인공 피임 금지 회칙과 교회 개혁 논란으로 복잡한 시기를 겪었으며 시복 및 시성되었다. - 1978년 사망 - 이태준
이태준은 일제 강점기와 북한에서 활동한 소설가이자 문학평론가로, 섬세한 문체와 서정적인 분위기로 현실을 그린 단편소설들을 발표하여 주목받았으며, 특히 1930년대 〈달밤〉, 〈까마귀〉, 〈복덕방〉 등의 작품으로 한국 단편소설의 미학을 완성했다는 평가를 받지만, 월북 후 숙청되어 정확한 사망 시기와 장소는 알려져 있지 않다. - 1909년 출생 - 이병철
대한민국 기업인인 이병철은 삼성그룹의 창업주로, 무역업을 시작으로 제조업, 전자산업, 금융 등 다양한 분야로 사업을 확장하여 한국 경제 발전에 기여했다. - 1909년 출생 - 딘 러스크
딘 러스크는 미국의 정치인이자 외교관으로, 케네디 및 존슨 행정부에서 국무장관을 역임하며 쿠바 미사일 위기 외교적 해결 지지, 베트남 전쟁 미국 군사 개입 확대 옹호 등의 활동을 했다.
탕쥔이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인물 정보 | |
![]() | |
기본 정보 | |
본명 | 탕이보 (唐毅伯) |
출생 | 1909년 1월 17일 |
출생지 | 청나라 쓰촨성 |
사망 | 1978년 2월 2일 |
사망 장소 | 영국령 홍콩 구룡반도 홍콩 침례 병원 |
안장지 | 타이베이 차오양 묘지 |
배우자 | 셰톈광 (謝廷光, 1916년 12월 11일 – 2000년 8월 24일) |
웹사이트 | 탕쥔이 공식 웹사이트 |
학력 | |
모교 | 중러 대학 베이징 대학 난징 대학 (국립 중앙 대학) |
직업 | |
직업 | 교수 |
활동 기간 | |
활동 기간 | 알 수 없음 |
소속 | |
소속 기관 | 신아 칼리지 국립 타이완 대학 |
사상 | |
시대 | 20세기 철학 |
지역 | 중국 철학 |
학파 | 신유학 |
영향 | 공자 플라톤 헤겔 슝스리 |
2. 생애
탕쥔이는 1909년 1월 17일 쓰촨성 이빈현에서 부유한 학자의 아들로 태어났다.[1][11] 그는 량수밍과 슝스리와 같은 스승들의 영향을 받으며 학문적 기초를 다졌고,[2][1] 국립중앙대학교에서 수학하고 1932년에 졸업했다.[11] 이후 모교를 포함한 여러 대학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학문 활동을 이어갔고, 1940년에는 평생의 학문적 동지인 머우쭝산을 만났다.[1] 1944년에는 국립중앙대학교 철학과 정교수 및 학과장을 역임했다.[2]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중국 공산당의 통치를 피해 홍콩으로 이주하여 남은 생애를 보냈다.[3] 홍콩에서 그는 첸무 등과 함께 신아학원 설립을 주도했는데, 이는 당시 중국 본토의 반전통주의적 분위기 속에서 중국 전통 문화를 보존하고 계승하려는 그의 사명을 상징하는 중요한 활동이었다.[4] 신아학원은 이후 홍콩 중문대학으로 통합되었고, 탕쥔이는 이 대학의 철학과 창립 교수진으로 참여했다.[3]
1958년에는 쉬푸관, 장쥔마이, 무종산 등 다른 신유가 학자들과 함께 為中國文化敬告世界人士宣言|위중국문화경고세계인사선언zho("현대 신유가 선언")을 발표하여 중국 문화의 가치를 세계에 알리고자 했다.[12] 그는 홍콩 중문대학에서 1974년 퇴임할 때까지 후학 양성에 힘썼으며, 1975년에는 국립 타이완 대학 객원 교수를 지냈다.[11] 같은 해 폐암 진단을 받고 투병하다 1978년에 사망했다.[11]
그의 학문적 업적은 주로 홍콩, 대만, 미국 등지에서 큰 영향을 미쳤으며,[6] 2009년 탄생 100주년을 기념하여 신아학원 캠퍼스에 2m 높이의 청동상이 세워졌다.[6]
2. 1. 유년 시절 및 교육
탕쥔이는 1909년(선통 원년) 1월 17일, 중국 쓰촨성 이빈현(당시 서주부)에서 부유한 학자의 아들로 태어났다.[1][11] 그는 6명의 자녀 중 장남이었으며,[1] 본적은 광둥성 우화현이었으나 할아버지 대에 쓰촨성으로 이주했다.어린 시절 충칭 연합 중학교에서 공부하며 멍원퉁에게서 송명리학에 관심을 가졌고, 아버지와 함께 지나내학원의 欧陽漸|오양점중국어에게서 불교를 배웠다. 처음에는 량수밍의 제자였으나,[2] 1925년 베이징의 중러 대학[11]에 입학했다가 같은 해 베이징 대학으로 옮겼다. 이듬해인 1926년에는 국립중앙대학교 철학과로 다시 전학하여 학업을 이어갔다. 1927년, 탕쥔이는 일련의 강연을 듣고 슝스리의 추종자가 되었다.[1]
1932년 국립중앙대학교를 졸업하고[11] 고향인 쓰촨성으로 돌아와 중학교 교사가 되었다. 이듬해인 1933년에는 모교인 국립중앙대학교 강사로 임용되었다.[1] 1937년부터는 화서 대학의 교원으로 재직했고, 1940년에는 충칭 중앙 대학으로 자리를 옮겼다.[11] 같은 해, 그는 동료이자 평생의 친구가 될 머우쭝산을 만났다.[1] 1943년에는 교육 심리학을 전공한 셰팅광과 결혼했으며,[2] 1944년에는 국립중앙대학교 철학과 정교수로 임용되어 이후 학과장을 역임했다.[2]
2. 2. 학자로서의 초기 경력
탕쥔이는 1909년(선통 원년) 1월 17일, 부유한 학자의 아들로 쓰촨성 서주부 의빈현에서 태어났다.[1][11] 그의 집안은 본래 광동성 오화현 출신이었으나 할아버지 대에 쓰촨성으로 이주했다. 그는 6명의 자녀 중 장남이었다.[1] 충칭 연합 중학교에서 공부하며 멍원퉁에게서 송명리학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아버지처럼 지나내학원의 오양점(欧陽漸|오우양젠중국어)에게서 불교를 배우기도 했다.탕쥔이는 량수밍의 제자였으며[2], 1925년 베이징의 중국 대학에 입학했으나 같은 해 베이징 대학으로 옮겼다.[11] 이듬해인 1926년에는 국립중앙대학교 철학과로 다시 옮겨 학업을 이어갔다.[2][11] 1927년에는 일련의 강연을 듣고 슝스리의 가르침을 따르게 되었다.[2]
1932년 대학을 졸업한 후 고향인 쓰촨성으로 돌아가 중학교 교사가 되었다.[11] 이듬해인 1933년에는 모교인 국립중앙대학교의 강사가 되었다.[1] 1937년부터는 화서 대학에서 가르쳤고, 1940년에는 충칭으로 이전한 국립중앙대학교로 자리를 옮겼다.[11] 같은 해, 동료이자 평생의 친구가 된 머우쭝산을 만났다.[1]
1943년에는 교육 심리학을 전공한 셰팅광과 결혼했다.[2] 1944년, 그는 국립중앙대학교 철학과 정교수로 임용되었고, 이후 학과장까지 역임했다.[2]
2. 3. 홍콩 망명과 신아학원 설립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공산당의 통치를 피해 홍콩으로 망명하여 남은 생을 보냈다.[3] 이는 당시 많은 중국 지식인들이 영국령으로 이주하던 흐름의 일부였다. 홍콩에서는 첸무 등 다른 학자들과 함께 활동했다.같은 해 홍콩으로 이주한 첸무 등과 함께 신아학원을 설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4] 탕에게 신아학원은 반전통주의적 정부 아래에서 중국 전통 문화를 보존하고 계승하려는 그의 사명을 실현하는 상징적인 공간이었으며,[4] 공자 탄생 2500주년에 맞춰 설립된 것을 중국 역사의 새로운 시대를 여는 중요한 의미로 여겼다.
1957년 미국 국무부 초청으로 미국을 방문했고, 1958년에는 쉬푸관, 장쥔마이, 무종산과 함께 (A Manifesto on the Reappraisal of Chinese Culture)이라는 제목의 '현대 신유가 선언'을 발표했다.[12] 이 선언은 신유가 학자들의 입장에서 중국 문화의 가치를 재확인하고 세계에 알리려는 목적을 가졌다.
1963년 신아학원이 숭기학원 등과 통합되어 홍콩 중문 대학이 설립되자, 탕쥔이는 철학과 창립 위원장 겸 초대 주임 교수를 맡았다. 1970년대에는 신아중학의 이사로도 활동했다.[5]
1974년 홍콩 중문 대학에서 정년 퇴임했으며, 1975년에는 국립 타이완 대학의 객원 교수로 초빙되었다. 같은 해 폐암 진단을 받았고, 1978년 2월 2일 타이베이에서 병으로 세상을 떠났다.
그의 학문적 업적은 주로 홍콩, 대만, 그리고 미국에서 큰 영향을 미쳤다. 2009년, 그의 탄생 100주년을 기념하여 신아학원 캠퍼스에는 2m 높이의 청동상이 세워졌다.[6]
2. 4. 후기 생애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선포 이후, 중국 공산당의 통치를 피해 홍콩으로 망명하여 남은 생을 그곳에서 보냈다.[3] 당시 홍콩에는 첸무 등 다른 지식인들도 함께 거주하고 있었다. 탕은 홍콩에서 첸무 등과 함께 신아학원 설립에 기여했는데,[3] 이는 중국 본토가 반전통주의적 정부의 통치하에 있을 때 전통 중국 문화를 보존하려는 그의 사명을 상징하는 활동이었다.[4] 그는 신아학원이 공자 탄생 2500주년이 되는 해에 설립된 것을 단순한 우연이 아니라 중국 역사의 새로운 시대를 알리는 중요한 사건으로 여겼다.[4]1957년에는 미국 국무부의 초청을 받아 미국에서 연구 활동을 했다.[11] 이듬해인 1958년, 쉬푸관, 장쥔마이, 무종산과 함께 "현대 신유가 선언"(為中國文化敬告世界人士宣言|위중국문화경고세계인사선언zho, A Manifesto on the Reappraisal of Chinese Culture: Our Joint Understanding of the Sinological Study Relating to World Cultural Outlook)을 발표했다.[12] 이 선언은 신유가 학자들의 관점에서 중국 문화와 정치 상황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고 재고를 촉구하는 내용이었다.[12]
1963년 신아학원이 숭기학원과 통합되어 홍콩 중문 대학이 설립되자, 탕은 철학과 창립 위원장 겸 초대 주임 교수를 맡았으며[3] 신아서원의 철학 강좌 교수도 역임했다.[11] 1970년대에는 신아중학의 학교 이사로도 활동했다.[5]
1974년 홍콩 중문 대학에서 퇴임한 후, 1975년에는 대만으로 건너가 국립 타이완 대학의 객원 교수를 지냈다. 같은 해 폐암 진단을 받았고, 1978년에 사망했다.
그의 학문적 업적은 주로 홍콩, 대만, 그리고 미국에서 큰 영향을 미쳤다.[6] 2009년, 그의 탄생 100주년을 기념하여 신아학원 캠퍼스에는 2m 높이의 청동상이 세워졌다.[6]
3. 철학 사상
탕쥔이의 철학 사상은 주로 세 가지 문제, 즉 전통 중국 철학, 윤리학 및 형이상학(이 두 가지는 그의 저서에서 근본적으로 얽혀 있음), 그리고 중국 문화를 중심으로 전개되었다.[2][8] 그는 신유학 및 신유교와 깊은 관련을 맺고 있으며, 모쭝산, 쉬푸관 등과 함께 현대 신유학의 중요한 인물로 평가받는다.[7] 1958년에는 모쭝산, 쉬푸관, 그리고 장쥔마이와 함께 《세계 인민에게 드리는 중국 문화 선언》을 공동으로 발표하기도 했다.[1][7]
3. 1. 문화 철학
탕쥔이는 신유학과 신유교와 가장 관련이 깊다. 현대 신유학 연구에서 팡커리는 탕쥔이를 모쭝산과 쉬푸관과 함께 신유학 2세대로 분류했다.[7] 1958년 탕쥔이, 모쭝산, 쉬푸관, 그리고 장쥔마이는 공동으로 《세계 인민에게 드리는 중국 문화 선언》을 공동 집필했다.[1][7] 이 선언은 서구적 가치관을 따르는 중국인들을 대상으로 유교를 부활시키려는 노력이었다.탕쥔이는 유교의 메시지는 현존하는 인간 삶의 긍정이라고 믿었다. 그는 유교를 기독교와 불교와 대조했는데, 이 종교들은 육체적인 세계에 대한 인간의 초월을 추구하거나 육체적 세계를 환영으로 받아들인다고 보았다.[8]
탕쥔이는 유교를 새롭게 받아들여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유교와 관련된 구체적인 정치 체제를 옹호하거나, 자신의 철학에 기반한 새로운 정치 체제를 제안하지는 않았다.[9] 대신, 탕쥔이는 유교적 관점에서 기존의 정치적 대안들을 살펴보았다. 자유 민주주의는 모든 인간이 평등한 인간성을 부여받았다는 생각에 기반을 두고 있기 때문에, 유교와 가장 일치하는 정치 체제라고 생각했다.
탕쥔이는 자신의 경력 대부분을 중국의 전통적인 가치를 훼손하지 않으면서 어떻게 중국을 근대화할 수 있는지 탐구하는 데 헌신했다.[2] 탕쥔이는 개인이 전통적인 가치와 맺는 관계를, 현대 사회가 가져올 수 있는 공허함 속에서 진정한 삶을 유지하는 방법으로 보았다. 그의 저서는 주로 세 가지 문제, 즉 전통 중국 철학, 윤리학 및 형이상학(이 두 가지는 그의 저서에서 근본적으로 얽혀 있음), 그리고 중국 문화를 다루고 있다.[2][8]
3. 2. 중국 철학
탕쥔이는 신유학 및 신유교와 가장 밀접하게 연관된 철학자이다. 현대 신유학 연구에서 팡커리는 탕쥔이를 모쭝산, 쉬푸관과 함께 신유학 2세대로 분류했다.[7] 1958년, 탕쥔이는 모쭝산, 쉬푸관, 그리고 장쥔마이와 함께 《세계 인민에게 드리는 중국 문화 선언》을 공동으로 발표했다.[1][7] 이 선언은 서구적 가치관을 따르는 중국인들을 대상으로 유교를 다시 일으키려는 시도였다.탕쥔이는 유교의 핵심 메시지가 현재 살아가는 인간의 삶을 긍정하는 데 있다고 보았다. 그는 이러한 유교 사상을 기독교나 불교와 비교했는데, 이들 종교는 인간이 물질세계를 초월해야 한다고 보거나 물질세계를 환상으로 여기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8]
그는 유교를 새롭게 받아들여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유교와 관련된 특정 정치 체제를 지지하거나 자신의 철학에 기반한 새로운 정치 체제를 제안하지는 않았다.[9] 대신, 탕쥔이는 유교적 관점에서 기존의 정치적 선택지들을 검토했다. 그 결과, 자유 민주주의가 모든 인간이 평등한 인간성을 지녔다는 생각에 기초하고 있어 유교와 가장 잘 맞는 정치 체제라고 판단했다.
탕쥔이의 저술은 주로 세 가지 주제, 즉 전통 중국 철학, 윤리학과 형이상학(이 둘은 그의 저작에서 깊이 얽혀 있다), 그리고 중국 문화를 다룬다.[2][8] 개인이 우주와 맺는 관계에 대해, 탕쥔이는 개인과 우주가 궁극적인 조화 속에서 나타나는 두 가지 다른 표현이며 본질적으로 같다고 결론지었다.[10] 즉, 둘 사이의 구분은 항상 존재의 조화로운 전체를 만드는 데 서로 보완적인 역할을 한다. 그는 이러한 이원론적 구분이 없는 것이 중국 철학의 특징이라고 주장했다.
탕쥔이는 20세기 신유학의 가장 중요한 옹호자 중 한 명이었다(그가 속했던 신유교와는 구별된다).[4] 탕쥔이와 초기 신유학자들 사이의 주요 차이점 중 하나는, 탕쥔이가 서양 철학과의 비교를 통해 자신의 철학을 구축했다는 점이다.[8] 예를 들어, 탕쥔이가 제시한 심-마음(心) 개념은 인지, 감정, 의지를 모두 담당하는 단일한 실체로, 본래 신유학적 사상이다. 탕쥔이는 1977년 저서 《삶, 존재, 그리고 심-마음의 지평》에서 이 심-마음이 모든 인간 이해의 핵심이라고 주장했다.
3. 3. 윤리학과 형이상학
탕쥔이의 저서는 주로 전통 중국 철학, 윤리학 및 형이상학, 그리고 중국 문화를 다루는데, 특히 윤리학과 형이상학은 그의 저서에서 근본적으로 얽혀 있다.[2][8]그는 형이상학적 세계가 도덕적 속성을 지닌다고 보았다. 왜냐하면 덕성(德性)이 사람들이 자신을 우주와 조화롭게 일치시키는 데 도움을 주기 때문이다.[8] 윤리학에 대한 접근 방식에서 탕쥔이는 실제적 자아와 윤리적 자아를 구분한다. 실제적 자아는 공간과 시간에 제약을 받지만, 윤리적 자아는 이성에 의해 형성되어 실제적 자아를 초월하며, 진리에 부합하는 영구적인 실체이다. 이러한 이유로 탕쥔이는 실제적 자아가 아닌 윤리적 자아를 진정한 자아로 여겼다.[8]
저서 『마음, 사물, 그리고 인간의 삶』(心物與人生|심물여인생중국어)에서 탕쥔이는 현대 사회의 소외 문제가 일상생활의 구체적인 현실보다 추상적인 것에 대한 강조와 관련이 깊다고 주장했다.[2] 또한 1977년에 출간된 그의 마지막 저서 『삶, 존재, 그리고 마음의 지평』(生命存在與心靈境界|생명존재여심령경계중국어)에서는 도덕적 관념론을 체계화하고자 시도했다.[2] 그는 인간의 마음, 즉 인식, 감정, 의지의 근원이 세상을 이해하는 데 핵심이며, 이성과 감정을 통합함으로써 마음이 주어진 상황에 올바르게 반응할 수 있다고 보았다.[8]
3. 4. 구중천(九重天)
탕쥔이 철학에서 중요한 개념 중 하나는 인간 활동이 이루어지는 존재의 영역을 아홉 단계로 나눈 '''구중천'''(九重天)이다.[2] 구중천은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첫 번째 부분(1~3 지평선)은 마음이 지각하는 객관적인 세계를 다룬다.
- 첫 번째 지평선: 개별적인 존재들을 구분하여 인식하는 단계이다.
- 두 번째 지평선: 사물이나 개념을 범주별로 나누어 파악하는 단계이다.
- 세 번째 지평선: 인과관계나 수단과 목적 같은 논리적 순서를 식별하는 단계이다.
두 번째 부분(4~6 지평선)은 자기 자신을 돌아보는 성찰과 관련된다.
- 네 번째 지평선: 다른 사람과의 관계 속에서 서로를 인식하고 이해하는 단계이다.
- 다섯 번째 지평선: 수학이나 언어와 같은 기호와 그것이 나타내는 의미를 이해하는 단계이다.
- 여섯 번째 지평선: 우리가 추구하는 이상적인 가치를 실현하기 위한 도덕적 행위를 이해하는 단계이다.
세 번째 부분(7~9 지평선)은 주관적인 경험과 객관적인 세계를 통합하여 삶의 가치를 창조하는 단계로, 탕쥔이는 이를 '초주관적-객관적 지평선'이라고 불렀다.
- 일곱 번째 지평선: 유일신과 같은 초월적 존재를 깨닫는 단계이다.
- 여덟 번째 지평선: 불교에서 말하는 자아(自我)와 법(法, 다르마)의 공(空)함을 깨닫는 단계이다.
- 아홉 번째 지평선: 유교에서 말하는 천도(天道)의 자연스러운 흐름을 따르는 단계이다.
탕쥔이는 마지막 세 지평선에 아브라함 종교, 불교, 유교의 핵심 개념을 의도적으로 통합하여 설명했다.[8]
구분 | 지평선 | 내용 |
---|---|---|
객관적 세계 인식 | 1 | 개별 존재 구분 |
2 | 범주 구분 | |
3 | 순서(인과, 수단-목적 등) 식별 | |
자기 성찰 | 4 | 상호 인식 이해 |
5 | 기호와 의미(수학, 언어 등) 이해 | |
6 | 도덕적 행위(이상 실현) 이해 | |
초주관적-객관적 통합 | 7 | 유일신 깨달음 (아브라함 종교) |
8 | 자아와 법(다르마)의 공(空)함 깨달음 (불교) | |
9 | 천도(天道)의 흐름 따름 (유교) |
4. 주요 저서
저서명 | 출판 연도 |
---|---|
《인생의 체험》 | 1946년 |
《심물과 인생》 | 1953년 |
《중국 문화의 정신적 가치》 | 1953년 |
《인문 정신의 재건》 | 1955년 |
《중국 철학 원론》: 《원성편(原性篇)》, 《원도편(原道篇)》, 《원교편(原教篇)》 | 1956년-1975년 |
《중국 인문 정신의 발전》 | 1958년 |
《문화 의식과 도덕적 이성》 | 1958년 |
《철학 개론》 상, 하 | 1961년 |
《도덕적 자아의 확립》 | 1963년 |
《설 중화 민족의 화과 표류》 | 1974년 |
《중화 인문과 오늘날의 세계》 | 1975년 |
《생명 존재와 심령 경계》 | 1977년 |
《병리 건곤》 | 1980년 |
《사랑의 복음》 | |
《청년과 학문》 |
참조
[1]
서적
Confucian Tradition & Global Education.
Hong Kong : Chinese University Press ; New York : Columbia University Press
[2]
서적
The Rebirth of the Moral Self : the Second Generation of Modern Confucians and their Modernization Discourses
Honolulu, HI : University of Hawai'i Press
[3]
웹사이트
Umberto Bresciani, Reinventing Confucianism
http://www.cefc.com.[...]
French Centre for Research on Contemporary China
2007-06-15
[4]
간행물
The Experiences and Participation of Immigrant Intellectuals in the Cultural Development of Hong Kong: A Study of Tang Junyi
[5]
웹사이트
創校簡史
http://www.nams.edu.[...]
New Asia Middle School
2020-04-30
[6]
웹사이트
CUHK Celebrates the 60th Anniversary of Philosophy Department and Centenary of Professor Tang Chun-I
http://cpr.cuhk.edu.[...]
Chinese University of Hong Kong
[7]
서적
Confucianism in China: an Introduction
Bloomsbury Academic, an Imprint of Bloomsbury Publishing Plc
[8]
서적
Tang Junyi: Moral Idealism and Chinese Culture
Blackwell Publishers
[9]
서적
Tang Junyi: Confucian Philosophy and the Challenge of Modernity
https://brill.com/vi[...]
Brill
[10]
간행물
The Individual and the World in Chinese Methodology
www.jstor.org/stable[...]
[11]
문서
義和団事件の対ロシア賠償により1925年に開設された大学。1926年に廃止。
[12]
문서
唐君毅の東西冷戦期における思想:『現代新儒家宣言』について
[13]
저널
[14]
저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