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브라함 종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브라함 종교는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를 포괄하는 종교적 용어이다. 이들 종교는 아브라함을 공통 조상으로 여기며, 일신교, 창조, 계시, 구원 등의 개념을 공유한다. 유대교는 이스라엘 민족의 형성과 율법을 강조하며, 예루살렘을 성지로 여긴다. 기독교는 예수를 메시아로 믿고, 삼위일체 교리를 따르며, 성경을 경전으로 한다. 이슬람교는 무함마드를 마지막 예언자로 여기며, 꾸란을 경전으로 삼고, 알라를 유일신으로 믿는다. 이들 종교는 신학적, 교리적 차이점과 함께, 할례, 식생활 규정 등에서도 차이를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브라함 계통의 종교 - 유대교
    유대교는 야훼를 유일신으로 섬기며 토라를 중심으로 율법과 계명을 지키는 종교로, 바리새파에서 발전하여 기독교와 이슬람교에 영향을 주었고, 현대에는 율법 해석에 따라 여러 분파로 나뉜다.
  • 아브라함 계통의 종교 - 드루즈
    드루즈는 11세기 이집트에서 기원하여 레반트 지역에 주로 거주하는 소수 민족이자 종교 공동체로, 파티마 칼리프 하킴을 신격화하며 이슬람 신비주의 등의 영향을 받은 독자적인 신앙 체계를 가지고 있고, 비밀주의적 성향을 띄며 레반트 지역 사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 일신교 - 시크교
    시크교는 15세기 후반 인도 펀자브에서 구루 나낙이 창시한 유일신교로, 와헤구루를 믿으며 『구루 그란트 사히브』를 경전으로 삼고, 10명의 구루의 가르침, 신의 이름 염송, 이타적 봉사, 영적·세속적 권위의 조화를 강조하고 카스트 제도와 우상 숭배를 거부하며 인간 평등을 중시하며, 전 세계적으로 약 2,500만~3,000만 명의 신자를 가지고 있다.
  • 일신교 - 유대교
    유대교는 야훼를 유일신으로 섬기며 토라를 중심으로 율법과 계명을 지키는 종교로, 바리새파에서 발전하여 기독교와 이슬람교에 영향을 주었고, 현대에는 율법 해석에 따라 여러 분파로 나뉜다.
  • 종교 및 믿음에 관한 - 개종
    개종은 한 종교에서 다른 종교로, 또는 무신론으로 신념을 바꾸는 행위이며, 종교에 따라 개종에 대한 입장이 다르고 개인의 신념 변화, 사회적 요인 등에 의해 발생하며 종교 간 갈등과 관련될 수 있다.
  • 종교 및 믿음에 관한 - 탕카
    탕카는 티베트 불교 회화의 한 형태로, 불교 교리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며, 7세기경 인도에서 유래하여 만다라, 부처 등을 묘사하고, 천연 안료로 면이나 비단에 그림을 그리며, 채색 탕카, 자수 탕카 등으로 분류된다.
아브라함 종교
지도 정보
종교 개요
유형유일신교
창시자아브라함
주요 신야훼(유대교), 알라(이슬람교), 하느님(기독교)
신성한 경전토라(유대교)
성경(기독교)
코란(이슬람교)
기원중동
주요 종교
주요 종교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
기타 종교바하이교
드루즈교
만다야교
라스타파리 운동
사마리아교
신학적 공통점
유일신하나의 신을 믿음
예언자신의 뜻을 전달하는 예언자 존재
창조신에 의한 세상 창조
계시신의 계시를 통한 종교적 가르침
사후 세계사후 심판과 내세에 대한 믿음
천사신의 사자인 천사의 존재
특징
기원셈족 문화권에서 발생
역사적 중요성역사상 큰 영향력 행사
영향도덕, 윤리, 법률 체계 형성에 영향
문화적 영향예술, 문학, 건축 등에 영향
추가 정보
아브라함의 종교아브라함에게서 기원했다고 믿어지는 종교들을 지칭
종교적 가치사랑, 정의, 자비 등 강조
종교 간 관계상호 작용과 갈등의 역사
세계 종교세계에서 가장 큰 종교 그룹 중 하나

2. 용어

"아브라함계 종교"(및 그 변형)는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가 공유하는 요소들을 총칭하는 종교적 기술어이다.[4] 이 용어는 종교 간 대화와 정치적 담론에서 두드러지게 사용되지만, 학문적 담론에도 진입하였다.[5][6] 그러나 이 용어는 비판 없이 받아들여졌다는 비판도 받고 있다.[5]

아브라함계 종교의 분포(보라색)와 동방 종교(노란색)


"아브라함의 종교(ملة إبراهيم|밀라트 이브라힘ar)"라는 말은 《꾸란》에 자주 등장한다("암소" 130절 등).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의 기원과 유사성을 바탕으로 이 세 종교를 하나의 종교 집단으로 분류하려는 시도는 독자적으로 여러 차례 이루어졌다. 따라서 이 세 종교는 "사막의 일신교", "성서 종교", "경전 종교" 등 많은 총칭을 가지고 있으며, "아브라함의 종교" 또한 그 중 하나이다.

3. 신학적 담론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아브라함을 공통 기반으로 삼아 종말론적 화해를 추구한다.[9][10] 세 종교는 창조, 계시, 구원 등 여러 개념을 공유하지만, 각 종교와 종교 내부에서도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10] 이 용어를 지지하는 사람들은 아브라함이 숭배한 신을 통해 세 종교가 하나로 통합되었다고 주장한다.[9]

가톨릭 학자 루이 마시뇨는 "아브라함계 종교"라는 표현이 모든 종교가 하나의 영적인 근원에서 비롯되었음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이 용어는 쿠란에서 아브라함의 이름을 아랍어로 표기한 ''dīn Ibrāhīm''("이브라힘의 종교")를 복수형으로 사용한 것에서 유래한다.

사도 바울은 로마서 4:11-12에서 아브라함을 "믿는 자들, 즉 할례를 받은 자나 받지 않은 자를 포함하여 모든 자의 아버지"로 언급한다. 이슬람교는 창립 초기부터 자신을 아브라함의 종교로 여겼다. 바하이 경전에는 바하이교의 창시자 바하올라가 그의 아내 게투라의 아들들을 통해 아브라함의 후손이라고 명시되어 있다.

3. 1. 공통점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아브라함을 공통 조상으로 인식하며, 일신교 신앙을 공유한다.[4] 이들 종교는 창조, 계시, 구원 등의 개념을 공유하지만, 각 종교마다 그 내용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10] 아브라함계 종교의 신은 초월적이면서도 인격적인 존재로, 세계와 인간사에 개입한다고 믿어진다.[9]

이들 종교는 경전을 중시하며, 경전에는 많은 동일한 인물, 역사, 장소가 등장하지만, 종종 다른 역할, 관점, 의미로 제시된다.[36]

3. 2. 비판

"아브라함계 종교"라는 용어는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 사이의 공통점을 강조하지만, 각 종교의 독자성과 차이점을 간과한다는 비판이 있다.[5] 이들 종교는 공유된 조상을 가지지만, 각 종교의 기본적인 신앙은 서로 다르며 중요한 차이점을 보인다.[11]

예를 들어, 예수강생, 성삼위일체, 예수의 부활과 같은 기독교의 핵심 교리는 유대교와 이슬람교에서는 받아들여지지 않는다.[12] 또한, 유대교와 이슬람교의 돼지고기 섭취 제한과 같은 음식 규정은 기독교에서는 찾아볼 수 없다. 반대로, 예수의 예언자적 및 메시아적 지위와 같이 이슬람교, 기독교, 바하이교에서 공유하는 핵심 신앙은 유대교에서는 인정되지 않는다.

이처럼 "아브라함계 종교"라는 용어는 세 종교의 공통점을 지나치게 강조하고, 각 종교의 독특한 교리와 신앙 체계를 간과할 수 있다는 점에서 비판받고 있다.

4. 주요 종교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아브라함을 공통 조상으로 여기는 종교들로, 이들을 통틀어 "아브라함계 종교"라고 부른다.[4] 이 용어는 종교 간 대화나 정치적 담론뿐만 아니라 학문적 연구에서도 사용된다.[5][6]

창세기에 따르면 아브라함에게는 이스마엘이삭이라는 두 아들이 있었다. 이스마엘은 아브라함의 아내 사라의 여종 하갈에게서 태어났고, 이삭은 사라에게서 태어났다. 유대인은 이삭의 아들 야곱의 후손이며, 꾸란은 아랍인이 이스마엘의 후손이라고 기록한다. 야곱의 또 다른 이름이 이스라엘이기 때문에 유대인을 "이스라엘 민족"이라고 부른다. 이스라엘 민족과 신의 계약을 기록한 책이 타나크이며, 기독교에서는 구약성서라고 부른다.

기독교는 예수메시아이자 하나님의 아들로 믿으며, 신약성서를 구약성서와 함께 정경으로 삼는다.

이슬람교는 예수와 모세 등 유대 예언자들을 신의 말씀을 전하는 사명을 맡은 자로 인정하고, 무함마드를 최후의 예언자로 여긴다. 꾸란을 가장 중요한 경전으로 여기며, 토라, 시편, 복음서는 중시하지 않는다.

이 외에도 마니교, 바하이교 등이 아브라함계 종교로 분류되기도 한다. 아브라함계 종교는 모두 일신교이며 우상숭배를 금지하지만, 무엇이 유일신이고 우상숭배인지에 대한 정의는 종교마다 다르다.

"아브라함의 종교"라는 말은 꾸란에 자주 등장한다.

주요 아브라함계 종교
종교설명
유대교토라를 중심으로 하며, 아브라함의 후손인 이스라엘 민족의 종교이다.
기독교예수를 메시아로 믿으며, 성경을 경전으로 삼는다.
이슬람교무함마드를 최후의 예언자로 믿으며, 꾸란을 경전으로 삼는다.
기타마니교, 바하이교 등



소수 아브라함계 종교 신자 수
종교신자 수
바하이약 800만 명[104]
드루즈교100만~200만 명
라스타파리즘70만~100만 명[17]
만다이즘6만~10만 명[105][106]
아잘리 바브교약 1,000~2,000명[12]
사마리아교약 840명[107]


4. 1. 유대교

토라(율법)는 유대교의 기초와 토대를 형성하며 성경의 처음 다섯 권에 해당한다.


유대 전통에 따르면 이스라엘 12지파는 아브라함의 아들 이삭과 손자 야곱을 통해 계승되었으며, 그의 아들들이 가나안 땅에서 이스라엘 민족을 형성했다고 한다.

초기 단계에서 이스라엘 종교는 청동기 시대가나안 종교와 공통점이 있었다. 그러나 철기 시대가 되면서 다신교에서 일신교로 변화하면서 다른 가나안 종교와는 구별되었다. 이들은 자신들의 신인 야훼와의 관계를 계약으로 이해했고, 신이 아브라함에게 영원한 고향을 약속했다고 믿었다.[14]

창세기여러 신(''ʾĔlōhīm'')에 대해 이야기하지만, 이는 에누마 엘리쉬에서 지구를 창조한 다양한 가나안 신들에 대한 이야기와 비슷하다. 바빌론 유수 시대에 유대교 신학자들은 6일 창조 서술을 모두 야훼의 행위로 돌렸는데, 이는 야훼를 보편적인 신으로 이해했던 초기 개념을 반영한다.[15] 야훼 신앙의 일신교적 성격은 바빌론 유수 이후에 더욱 발전하여 결국 굳건한 일신교 종교 운동으로 나타났다.[16][17][18] 바빌론 함락과 함께 유대교는 메시아 사상, 자유 의지와 사후 심판에 대한 믿음, 천국과 지옥의 개념, 천사와 악마 등의 개념을 신앙 체계에 통합했다.[19][20][21]

예루살렘은 유대교에서 가장 신성한 도시로 여겨진다. 기원전 1004년, 성서의 전승에 따르면 다윗이 이스라엘 연합 왕국의 수도로 정했고, 그의 아들 솔로몬이 모리아 산에 첫 번째 성전을 건축했다. 이삭의 희생 제사가 그곳에서 이루어졌다는 히브리어 성경의 기록으로 미루어 볼 때, 모리아 산의 유대인들에게 있어 중요성은 이러한 주요 사건들보다 앞선다. 유대인들은 하루 세 번 이 방향으로 기도하며, 모리아 산에 성전(세 번째 성전)의 재건과 복원을 위한 기도를 포함한다. 또한 유월절 예배를 "내년에는 예루살렘에서"라는 그리운 말로 마치며, 매 끼니 후 축복에서 이 도시를 기억한다. 기원전 1400년 이후 이스라엘에 존재했던 다섯 개의 유대 국가(이스라엘 연합 왕국, 유다 왕국, 예후다 메디나타, 하스모네아 왕국, 그리고 현대 이스라엘)의 유일한 수도로 예루살렘이 기능했다. 1852년경부터 유대인이 다수를 차지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4. 2. 기독교

기독교는 1세기 유대교 내의 한 종파로서, 예수가 이끌었다. 그의 추종자들은 그를 메시아로 여겼다.[22] 십자가 처형과 죽음 이후, 그들은 그를 하나님의 화신으로 여기게 되었고, 부활하여 마지막 때에 다시 와서 산 자와 죽은 자를 심판하고 영원한 하나님의 나라를 창조할 것이라고 믿었다.

사도 바울은 아브라함을 종교적 법을 따르기 전에 하나님에 대한 믿음을 발견한 사람으로 묘사하며, 유대교와는 다른 기독교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데 기여했다.[23],[24]

박해와 여러 행정부 아래서의 상대적 평화가 번갈아 가며 이어진 여러 시대 이후, 기독교는 380년 로마 제국의 국교가 되었지만, 초창기부터 여러 교회로 분열되어 왔다. 비잔티움 제국은 그리스도교 세계를 통합하려고 시도했지만, 1054년 동서 분열로 공식적으로 실패했다. 16세기 종교 개혁 기간 동안 프로테스탄티즘의 탄생과 성장은 기독교를 여러 교파로 더욱 분열시켰다.

서구와 동방의 가지로 문화적으로 다양성을 유지하는 기독교는 서구 문명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30]

기독교인들은 나사렛 예수를 중심으로 그들의 종교를 만들었지만, 예루살렘 함락(70년)은 유대인들이 제2 성전의 파괴와 관련 의식과 함께 그들의 신앙 체계를 조정하도록 강요했다.[25] 이때 유대교와 기독교 모두 그들의 경전과 신앙을 체계화해야 했고, 아브라함의 계승을 주장하는 경쟁적인 신학이 생겨났다.[26] 그리스도인들은 히브리어 성경을 쉽게 무시할 수 없었는데, 예수 자신이 그리스도교 보고에 따르면 그것을 언급했고, 예수와 창세기에서 아브라함으로 시작하는 ''창조''와 ''구원''에 대한 성경 이야기 사이에 평행선이 존재하기 때문이다.[27] 그리스도인들에 따르면 예수가 주장한 먼 하나님은 창조주와 피조물 사이의 이원론과 ''무(無)에서의 창조''라는 교리를 만들었는데, 이는 나중에 유대교와 이슬람 신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28] 이를 통해 그리스도인들은 예수의 신을 숭배하는 자들로서 그리스인과 유대인과 구별되는 자신들의 정체성을 확립했다.[29]

기독교인들은 아브라함을 신앙의 중요한 본보기이자 예수의 영적인, 그리고 육체적인 조상으로 본다. 기독교인들에게 아브라함은 바울 사도에 대한 개인의 해석에 따라 직계 조상이라기보다는 영적인 조상이기도 하다.[48] 아브라함 언약은 "육체적인 혈통이 아닌 그리스도에 대한 신앙으로 정의되도록 재해석"되거나, 신앙과 직계 조상 모두로 해석된다.[49] 어떤 경우든, 아브라함 언약이 적용되기 위한 유일한 요구 사항은 신앙에 중점이 놓인다.[49] ( 새 언약과 대치설도 참조). 기독교 신앙에서 아브라함은 롤 모델 신앙의 본보기이며,[50] 그가 이삭을 바치려 한 하나님에 대한 순종은 하나님이 그의 아들 예수를 바치신 것을 예시하는 것으로 여겨진다.[51]

기독교 해설가들은 하나님이 아브라함에게 하신 약속을 유대교에 적용하기보다는, 유대교 신자들이 예수를 거부한 후에 기독교에 적용되는 것으로 해석하는 경향이 있다. 그들은 아브라함이 이방인(그가 할례를 받기 전)으로서 "하나님을 믿었고 그것이 그의 의로 여겨졌다"(롬 4:3, 야고보 2:23 참조)는 근거로 이를 주장한다. "믿음을 가진 자는 아브라함의 자녀들이다"(요한복음 8:39 참조).[52] 이것은 바울의 신학에서 가장 완벽하게 발전되었는데, 하나님을 믿는 모든 사람이 아브라함의 영적인 후손이다.[53] 그러나 롬 4:20[55]과 갈 4:9[56]에 관해서는, 두 경우 모두 그는 이러한 영적인 후손을 "하나님의 아들들"[57]이라고 부르지 "아브라함의 자녀들"이라고 부르지 않는다.[58]

4. 3. 이슬람교

이슬람교는 무함마드를 최후의 예언자로 믿으며, 꾸란을 하나님의 계시로 받아들인다. 아브라함은 이슬람의 예언자 중 한 명으로 존경받으며, 이스마엘은 아랍인의 조상으로 여겨진다.[13] 이슬람교는 유대교, 기독교와 마찬가지로 일신교 신앙을 강조하며, 예수를 예언자이자 메시아로 인정하지만 신성은 부인한다. 꾸란은 히브리 성경이나 신약 성서와는 독립적으로 존재하며, 종교적으로 분산된 환경에서 예언자들의 이야기를 활용하여 일신교적 메시지를 확립하는 데 중점을 둔다.

무슬림들에게 아브라함은 예언자이자, 아담에서 무함마드까지 이어지는 계보에 있는 "하나님의 사자"이다. 하나님은 그에게 계시를 주셨고, 그의 첫째 아들 이스마일과 함께 카바의 기초를 세웠다. 이브라힘(아브라함)은 무함마드의 계보에서 첫 번째이다. 이슬람은 아브라함을 "최초의 무슬림 중 하나"(꾸란 3)로 여긴다. 즉, 일신교가 상실된 세상에서 최초의 일신교 신봉자이자 하나님께 충실한 자들의 공동체이다. 따라서 "우리 아버지 아브라함"으로 불리며, "일신교 신봉자 아브라함"으로도 불린다. 또한 유대교와 마찬가지로 이슬람은 아브라함이 논리적 추론을 통해 우상 숭배를 거부했다고 믿는다. 아브라함은 매년 하지 순례의 특정 세부 사항에서도 기억된다.

예루살렘메카, 메디나와 함께 이슬람교의 3대 성지 중 하나이다.[42] 꾸란 수라 알-이스라에 "가장 먼 모스크"로 번역되는 알 악사 모스크와 그 주변은 "성지"로 언급된다. 하디스에 기록된 이슬람 전승은 알 악사를 예루살렘의 모스크와 동일시한다. 초기 이슬람교도들은 카바가 아닌 예루살렘을 향해 기도했다. 카바 방향으로 기도하라는 알라의 명령을 이행하기 위해(꾸란, 알-바카라 2:144-150) 기블라가 나중에 카바로 바뀌었다. 예루살렘의 중요성에 대한 또 다른 이유는 미라즈와의 관련성 때문이다.[43][44] 전통적인 이슬람 신앙에 따르면, 무함마드는 천사 가브리엘의 인도를 받아 부락이라는 날개 달린 짐승과 같은 말을 타고 천국 일곱 개를 통과하여 템플 마운트의 기초석에서 승천했다. 현대에는 돔 오브 더 록 아래에 있다.

4. 4. 기타 아브라함계 종교

바하이는 약 800만 명[104], 드루즈교는 100만~200만 명, 라스타파리즘은 70만~100만 명[17]의 신자를 가진다. 만다이즘은 6만~10만 명[105][106], 아잘리 바브교는 약 1,000~2,000명[12], 사마리아교는 약 840명[107]의 신자를 가진다.

소수 아브라함계 종교 신자 수
종교신자 수
바하이약 800만 명[104]
드루즈교100만~200만 명
라스타파리즘70만~100만 명[17]
만다이즘6만~10만 명[105][106]
아잘리 바브교약 1,000~2,000명[12]
사마리아교약 840명[107]



이슬람교에서 파생된 종교로는 바브교, 바하이교, 아흐마디야가 있으며, 알라위파시아파의 일종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드루즈파도 이슬람교에서 파생되었다. 마니교로마 제국에 퍼진 서방 기독교를 비판하며, 자신들을 독립된 종교가 아닌 정통 기독교라고 자칭했으나, 현재는 중국에 남아 있는 한 개의 사원을 제외하고는 소멸되었다.

5. 공통 요소

아브라함계 종교들은 모두 아브라함을 중요한 인물로 여기며, 일신교 신앙, 경전 중시, 예언자 사상 등 여러 공통 요소를 공유한다.[10] 이들 종교는 모두 하나님을 초월적인 창조주이자 도덕률의 근원으로 여긴다.[36]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의 세 주요 아브라함계 종교에서 개인, 하나님, 우주는 서로 매우 분리되어 있다. 이들 종교는 심판하고, 아버지 같은, 완전히 외부적인 신을 믿으며, 개인과 자연은 모두 신에게 종속된다. 사람들은 자연 세계를 탐구하거나 철학적 사색을 통해서가 아니라, 하나님의 뜻에 순종하거나 신의 계시를 통해 구원 또는 초월을 추구한다.

이들의 종교 경전에는 많은 동일한 인물, 역사 및 장소가 등장하지만, 종종 서로 다른 역할, 관점 및 의미로 제시된다.[10]

'''경전'''

아브라함계 종교는 《창세기》에 따르면, 아브라함에게는 이스마엘이삭 두 아들이 있었고, 이스마엘은 하갈이, 이삭은 사라가 낳은 아들이라고 한다. 유대인은 이삭의 아들 야곱의 후손이며, 이슬람교의 꾸란은 아랍인을 이스마엘의 후손이라고 한다. 야곱의 다른 이름이 이스라엘이기에 유대인은 “이스라엘 민족”이라고 불린다. 이스라엘 민족과 신의 계약을 기록한 책이 타나크이며, 기독교에서는 구약성서라고 한다.

기독교는 예수 그리스도메시아이자 하나님의 아들로 인정하며, 신약성서를 구약성서와 함께 정경으로 한다.

이슬람교는 무함마드를 최후의 예언자로 여기며, 그에게 내려진 계시를 모은 꾸란이 가장 충실하게 신의 말씀을 전하는 경전이라고 생각한다. 토라, 《시편》, 인질(복음서)을 경전으로 인정하지만 중시하지는 않는다.

6. 차이점

예를 들어, 기독교의 성삼위일체 교리는 유대교와 이슬람교의 유일신 개념과 상충한다.[37][38] 이슬람교와 유대교 모두 기독교의 대부분에서 부정되는 근본적인 신앙이 있으며(예: 유대교 및 이슬람교 식품 규정에 있는 돼지고기 섭취 제한), 유대교가 공유하지 않는 이슬람교, 기독교, 바하이교의 핵심 신앙도 있다(예: 예수의 예언자적 및 메시아적 지위).

기독교와 이슬람은 모두 예수(아랍어: ''이사'' 또는 무슬림과 아랍 기독교인 사이에서 ''야수'')를 존경하지만, 그 개념은 크게 다르다.


  • 기독교인들은 예수를 구세주로 보고 하나님의 강생으로 여긴다.
  • 무슬림들은 이사를 이슬람의 예언자이자 메시아로 본다. 또한 무슬림들은 이사(예수)가 최후의 심판 전에 지상에 돌아와 다잘(적그리스도)을 물리치고 한동안 평화를 회복할 것이라고 믿는다.


그러나 예수를 숭배하거나, 신에게 동반자를 부여하는 행위(이슬람에서는 ''쉬르크'', 유대교에서는 ''쉬투프''로 알려짐)는 일반적으로 이슬람과 유대교에서 이단인 우상 숭배로 간주된다.

7. 아브라함계 종교와 한국

한국은 전통적으로 불교, 유교, 무속 신앙 등이 강세를 보여왔으나, 근대 이후 기독교가 빠르게 성장하며 다종교 사회로 변화했다. 특히 개신교는 한국 사회에서 큰 영향력을 행사하며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다양한 영역에서 그 역할을 수행해왔다. 최근에는 이슬람교를 비롯한 다른 아브라함계 종교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으며, 다문화 사회로의 변화와 함께 이들 종교와의 관계 설정이 중요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을 비롯한 진보 진영에서는 종교 간 대화와 화합을 강조하며, 종교의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는 경향이 있다.

8. 종교 간 관계

아브라함계 종교들은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 간의 공통점을 포괄하는 용어로, 종교 간 대화와 학문적 논의에서 자주 사용된다.[4][5][6] 그러나 이 용어는 비판 없이 수용되어서는 안 된다는 지적도 있다.[5] 역사적으로 이 용어는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에 한정되었지만,[7] 19세기 후반에 등장한 바하이교도 아브라함을 인정하는 일신교이므로 아브라함계 종교로 분류되기도 한다.[8]

이들 종교는 창조, 계시, 구원 등에서 공통점을 공유하지만, 각 종교 내부와 종교 간에는 상당한 차이점도 존재한다.[10] 신을 통해 하나로 통합되었다고 보는 시각도 있다.[9]

가톨릭 학자 루이 마시뇨는 "아브라함계 종교"라는 표현이 이 모든 종교가 하나의 영적인 근원에서 비롯되었음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이 용어는 쿠란에서 아브라함의 이름을 아랍어로 표기한 ''dīn Ibrāhīm''("이브라힘의 종교")를 복수형으로 사용한 것에서 유래한다.

기독교에서 사도 바울은 로마서 4:11-12에서 아브라함을 "믿는 모든 자의 아버지"로 언급한다. 이슬람교는 초기부터 자신을 아브라함의 종교로 여겼다.[12] 바하이 경전에는 바하이교의 창시자 바하올라가 아브라함의 후손이라고 명시되어 있다.

모든 아브라함계 종교는 하느님이 아브라함에게 자신을 계시했다는 전통을 공유하며, 일신교로서 하느님을 초월적인 창조주이자 도덕 법의 근원으로 여긴다.[36] 이들의 종교 경전에는 동일한 인물, 역사, 장소가 자주 등장하지만, 서로 다른 역할, 관점, 의미로 제시되기도 한다.

세 종교(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에서 개인, 하느님, 우주는 서로 분리되어 있으며, 아브라함계 종교는 심판하고 아버지 같은, 완전히 외부적인 신을 믿는다. 신의 계시를 통해 구원과 초월을 추구한다.

예루살렘은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 모두에게 중요한 성지이다.


  • 유대교: 다윗 왕이 예루살렘을 수도로 정하고, 솔로몬 왕이 모리아 산에 첫 번째 성전을 건축했다. 유대인들은 하루 세 번 예루살렘을 향해 기도하며, 성전 재건을 기원한다.
  • 기독교: 예루살렘은 초기 기독교의 중심지였으며, 예수가 십자가에 못 박히고 부활한 곳이다.
  • 이슬람교: 알 악사 모스크는 메카, 메디나에 이어 세 번째로 신성한 곳이며, 무함마드가 승천한 곳으로 여겨진다.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 신자들은 모두 아브라함을 조상으로 여기지만, 일부 신자들은 그를 자신들만의 조상으로 주장하기도 한다.

  • 유대교: 아브라함은 이스라엘 민족의 족장이며, 하나님은 아브라함과 그의 후손에게 약속의 땅을 약속했다.
  • 기독교: 아브라함은 신앙의 본보기이자 예수의 영적, 육체적 조상으로 여겨진다.
  • 이슬람교: 아브라함은 예언자이자 하나님의 사자이며, 카바를 세운 인물로 존경받는다.


이처럼 아브라함계 종교들은 공통점과 차이점을 동시에 가지며, 역사적으로 갈등과 협력의 관계를 맺어왔다.

9. 같이 보기

참조

[1] 논문 The Concept of the Abrahamic Religions, Problems and Pitfalls https://doi.org/10.1[...] Oxford Academic 2024-02-12
[2] 논문 Abraham and ‘Abrahamic Religions’ in Contemporary Interreligious Discourse
[3] 웹사이트 Druze in Syria https://rpl.hds.harv[...] Harvard University
[4] 논문 The Judeo-Christian and Abrahamic Traditions in America
[5] 서적 The Family of Abraham: Jewish, Christian, and Muslim Interpretations Harvard University Press
[6] 논문 The Abrahamic faiths?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in Christian and Islamic doctrine
[7] 웹사이트 The Abrahamic religions https://www.bl.uk/sa[...] British Library 2019-09-23
[8] 웹사이트 Trialog International – Die jährliche Konferenz http://www.herbert-q[...] Herbert Quandt Stiftung 2009-09-19
[9] 서적 Abrahamic Religions: On Uses and Abuses of History by Aaron W. Hughes Oxford University Press
[10] 서적 Abrahamic religions: On the uses and abuses of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11] 논문 Judaism, Christianity, and Islam: The problem of 'Abrahamic religions' and the possibilities of comparison https://compass.onli[...]
[12] 서적 Trialogue and Terror: Judaism, Christianity, and Islam after 9/11 Wipf and Stock Publishers
[13] 서적
[14] 서적 The Abrahamic religions: a very short introdu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USA
[15] 서적 Creation and the God of Abraham Cambridge University Press
[16] 서적
[17] 웹사이트 BBC Two – Bible's Buried Secrets, Did God Have a Wife? http://www.bbc.co.uk[...] BBC 2012-07-04
[18] 웹사이트 Moses and the Beginning of Yahwism: (Genesis 37- Exodus 4), Christine Hayes, Open Yale Courses (Transcription), 2006. http://cojs.org/mose[...] 2022-08-17
[19] 백과사전 Zoroastrianism ("Resemblances Between Zoroastrianism and Judaism" and "Causes of Analogies Uncertain") https://www.jewishen[...] 2022-02-03
[20] 서적 A History of the Jews and Judaism in the Second Temple Period (vol. 1): The Persian Period (539-331BCE)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1] 서적
[22] 서적 A Concise Survey of Western Civilization: Supremacies and Diversities
[23] 논문 Paul, Monotheism and the People of God: The Significance of Abraham Traditions for Early Judaism and Christianity
[24] 논문 Paul, Monotheism and the People of God: The Significance of Abraham Traditions for Early Judaism and Christianity
[25] 서적 The Abrahamic religions: a very short introdu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USA
[26] 서적 The Abrahamic religions: a very short introdu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USA
[27] 서적 Creation and the God of Abraham Cambridge University Press
[28] 서적 Creation and the God of Abraham Cambridge University Press
[29] 서적 The Abrahamic religions: a very short introdu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USA
[30] 서적 Western Civilization: A Brief History, Volume I: To 1789 https://books.google[...] Cengage Learning
[31] 백과사전 Qurʼān http://www.britannic[...] 2007-11-04
[32] 서적 The Abrahamic religions: a very short introdu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USA
[33] 논문 Abraham in Islamic perspective reflections on the development of monotheism in pre-Islamic Arabia
[34] 웹사이트 Religions » Islam » Islam at a glance http://www.bbc.co.uk[...] BBC 2009-08-05
[35] 서적 Creation and the God of Abraham Cambridge University Press
[36] 웹사이트 Religion: Three Religions – One God https://www.pbs.org/[...] WGBH Educational Foundation 2009-09-20
[37] 웹사이트 The Trinity http://www.bbc.co.uk[...] BBC 2011-07-00
[38] 웹사이트 What Is the Doctrine of the Trinity? https://www.desiring[...] 2006-01-00
[39] 웹사이트 Islamic Monotheism and the Trinity https://uwaterloo.ca[...] University of Waterloo
[40] 성경 Luke 2:22
[41] 성경 Luke 2:41
[42] 웹사이트 Mi'raj – Islam https://www.britanni[...] 2009-10-26
[43] 웹사이트 Jerusalem https://www.britanni[...] 2022-09-14
[44] 웹사이트 Al-Aqsa Mosque – mosque, Jerusalem https://www.britanni[...] 2009-10-26
[45] 성경 Gen. 12:2
[46] 성경 Gen. 17:7
[47] 서적 The second Jewish book of why https://archive.org/[...] J. David Publishers 1985
[48] 성경 Rom. 4:9–12
[49] 기타 Blasi, Turcotte, Duhaime
[50] 성경 Heb. 11:8–10
[51] 성경 Rom. 8:32
[52] 성경 Gen. 15:6
[53] 성경 Gal. 3:7
[54] 성경 Rom. 4:20, Gal. 4:9
[55] 성경 Romans 4:20
[56] 성경 Galatians 4:9
[57] 성경 Gal. 4:26
[58] 기타 Bickerman
[59] 서적 In the Beginning: A Short History of the Hebrew Language https://books.google[...] NYU Press 2023-03-12
[60] 서적 Historia de la Filosofía I Herder
[61] 학술지 God and his Attributes Brill
[62]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World Myth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63] 백과사전 Allah
[64] 백과사전 Islam
[65] 코란
[66] 코란
[67] 서적 Original Sin Westminster John Knox
[68] 백과사전 Philosophy and Christian Theology
[69] 서적 Lucifer: The Devil in the Middle Ages Cornell University Press
[70] 학술지 AN ANALYSIS OF SALV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CHRISTIANITY AND ISLAM
[71] 서적 Die Dschinn, Teufel und Engel im Koran
[72] 서적 Die Glaubenslehren des Islam F. Schöningh
[73] 서적 The Crescent through the Eyes of the Cross: Insights from an Arab Christian Omnibus Press
[74] 서적 Die Dschinn, Teufel und Engel im Koran
[75] 기타 translation by Saheeh International
[76] 백과사전 Circumcision http://www.iranicaon[...] Columbia University 2020-02-07
[77] 웹사이트 Baptism https://jewishencycl[...] 2022-08-31
[78] 웹사이트 Ecumenical Council of Florence (1438–1445) http://www.cirp.org/[...] 2007-07-10
[79] 웹사이트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Article 5—The Fifth commandment http://www.christusr[...] 2007-07-10
[80] 웹사이트 The Morality of Circumcision http://www.cirp.org/[...] 2007-07-10
[81] 웹사이트 Frequently Asked Questions: The Catholic Church and Circumcision. http://www.catholicd[...] 2021-01-04
[82] 웹사이트 Should Catholics circumcise their sons? – Catholic Answers http://www.catholic.[...] 2015-12-21
[83] 웹사이트 The Catechism forbids deliberate mutilation, so why is non-therapeutic circumcision allowed? https://www.catholic[...] 2015-12-21
[84] 백과사전 Circumcision http://www.infopleas[...]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5-06-28
[85] 논문
[86] 뉴스 Circumcision protest brought to Florence Associated Press 2022-09-01
[87] 웹사이트 82% of the World's Men are Intact https://archive.toda[...] 1997
[88] 논문 Circumcision in Australia: prevalence and effects on sexual health 2006-08-01
[89] 논문 The potential impact of male circumcision on HIV in sub-Saharan Africa
[90] 웹사이트 Questions and answers: NIAID-sponsored adult male circumcision trials in Kenya and Uganda http://www3.niaid.ni[...] National Institute of Allergy and Infectious Diseases 2006-12-01
[91] 웹사이트 Circumcision amongst the Dogon http://www.necep.net[...] The Non-European Components of European Patrimony (NECEP) Database 2006-09-03
[92] 웹사이트 Christianity: Coptic Christianity http://www.omnilogos[...] 2006-01-01
[93] 웹사이트 Male Circumcision in Islam http://www.missionis[...] Muslim Information Service of Australia 2013-11-16
[94] 기타 Encyclopedia Talmudit Israel
[95] 서적 Spectrum–Times Atlas van de Wereldgeschiedenis Het Spectrum
[96] 웹사이트 Declaration on Religious Freedom https://www.vatican.[...] 1965-12-07
[97] 뉴스 Vatican says Catholics should not try to convert Jews, should fight anti-semitism https://www.reuters.[...] Reuters 2015-12-10
[98] 서적 Islam, Authoritarianism, and Underdevelopment: A Global and Historical Comparis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99] 논문 Toward Understanding Violence in Islam https://www.scienced[...] 2013-04-01
[100] 논문 The Problems of Violence and Conflict in Islam https://muse.jhu.edu[...] 2002-01-01
[101] 웹사이트 Christians remain world's largest religious group, but they are declining in Europe https://www.pewresea[...] Pew Research Center 2020-10-25
[102] 웹사이트 Religious Composition by Country, 2010–2050 https://www.pewforum[...] Pew Research Center's Religion & Public Life Project 2021-09-02
[103] 웹사이트 The Future of Global Muslim Population: Projections from 2010 to 2013 http://www.pewforum.[...] 2013-07-01
[104] 웹사이트 Baha'is by Country https://worldreligio[...] Institute on Culture, Religion, and World Affairs 2020-12-21
[105] 기타 Saheeh al-Bukharee, Book 55, hadith no. 584; Book 56, hadith no. 710
[106] 웹사이트 The Mandaeans – Who are the Mandaeans? http://mandaeanpries[...] 2021-11-05
[107] 웹사이트 The Samaritan Update http://www.thesamari[...] 2021-10-28
[108] 웹사이트 イスラム教徒、2100年には最大勢力 世界の宗教人口予測 - 日本経済新聞 https://www.nikkei.c[...]
[109] 웹사이트 Major Religions of the World Ranked by Number of Adherents http://www.adherent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