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테바이 신성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테바이 신성대는 고대 테베의 정예 보병 부대로, 기원전 379년에서 378년 사이에 창설된 것으로 추정된다. 300명의 남성으로 구성되었으며, 에라스테스(연인)와 에로메노스(연애 대상)로 이루어진 150쌍의 동성 연인 관계를 특징으로 했다. 보이오티아 전쟁, 테기라 전투, 레욱트라 전투 등에서 활약하며 스파르타의 무적 신화를 깨뜨리는 데 기여했지만, 기원전 338년 카이로네이아 전투에서 마케도니아의 필리포스 2세에게 패배하며 멸망했다. 카이로네이아 전투에서 전사한 신성대원들의 유해는 차이레아의 사자상 주변에서 발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테바이의 군사 - 호플리테스
    호플리테스는 고대 그리스의 중장보병을 일컫는 말로, 팔랑크스 대형을 이루어 전투를 벌였으며, 시민의 의무로서 갑옷, 방패, 창, 검 등의 장비를 갖추고 싸웠다.
  • 성소수자의 고대사 - 향연
    플라톤의 《향연》은 아테네 연회에서 에로스를 주제로 다양한 인물들이 연설하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특히 소크라테스는 에로스를 미의 이데아를 향한 추구로 정의하며 플라토닉 러브 개념을 제시한다.
  • 성소수자의 고대사 - 갈루스
    키벨레를 숭배하는 사제들인 갈리는 자기 거세 의식을 치르고 여성 복장을 하는 등 독특한 외모를 가꾸며 로마 사회에서 특이한 존재로 여겨졌다.
테바이 신성대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개요
명칭테바이 신성 부대
원어 명칭Ἱερός Λόχος (히에로스 로코스)
다른 표기신성대
신성 부대
상세 정보
존속 기간기원전 4세기
소속 국가테바이
군종중보병
역할정면 공격
백병전
팔랑크스
기습
규모300명
지휘관고르기다스
관련 전투레우크트라 전투
카이로네이아 전투
특이 사항동성애자 (남성)로 구성

2. 형성

신성대의 기원에 대해서는 여러 기록이 전해진다. 플루타르코스(46–120 AD)는 카이로네이아 출신으로, 신성대에 대한 가장 상세한 기록을 남겼다.[3][4] 그는 보이오타르크 고르기다스가 스파르타 수비대의 테베 카드메이아 요새 점령 직후 신성대를 결성했다고 기록했다.[19] 폴리에누스 역시 고르기다스를 창시자로 기록한다.[5] 반면, 디오 크리소스토모스(c. 40–120 AD) 등은 에파미논다스를 창설자로 본다.[1][6][7]

플라톤의 《향연》(c. 424–347 BC)에 등장하는 "연인들의 군대"는 신성대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13][12][14] 이는 당시 그리스 사회에서 남성 간의 사랑이 군사적 유대감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했음을 보여준다.

신성대 이전에도 300명 규모의 테베 정예 부대가 존재했다는 기록이 있다.[19] 헤로도토스투키디데스는 플라타이아 전투 (기원전 479년)에서 아테네인에 의해 전멸된 300명의 테베 정예 부대를 언급한다. 디오도로스 시켈로스 또한 델리움 전투 (기원전 424년)에 300명의 정예 병사가 있었다고 기록한다. 이들은 신성대 또는 적어도 그 전신을 지칭했을 수 있다.[19][9]

크세노폰은 그의 ''향연''에서 테베와 엘리스의 연인 간 전투 배치를 비판했지만, 이는 오히려 신성대의 존재를 암시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10][11][12]

2. 1. 구성

신성대는 사회 계급과 상관없이 능력과 자질을 기준으로 선발된 300명의 남성으로 구성되었다.[16] 이들은 150쌍의 연인 관계로, 나이가 많은 ''에라스테스''(ἐραστής|에라스테스grc)와 나이가 어린 ''에로메노스''(ἐρώμενος|에로메노스grc)로 이루어졌다.[12] 나우크라티스의 아테나이오스는 신성대가 "연인과 그들이 가장 사랑하는 사람들로 구성되어, 부끄럽고 비난받을 만한 삶보다 영광스러운 죽음을 택함으로써 신 에로스의 위엄을 나타냈다"고 기록했으며,[7] 폴리아에누스는 신성대를 "상호 사랑의 의무로 서로에게 헌신한" 사람들로 묘사했다.[5] '신성한' 명칭의 기원은 테베이올라오스(헤라클레스의 연인 중 한 명) 신전에서 연인 간의 서약 교환 때문이라는 설이 있다.[16]

신성대는 카드메아에 주둔하며 군사 훈련과 주거 시설을 제공받았으며, '도시 부대'(ἐκ πόλεως λόχος|에크 폴레오스 로코스grc)라고도 불렸다.[19][62] 훈련에는 레슬링, , 승마 등이 포함되었다.[16] 구성원들은 20~21세에 정식으로 편입되어[16] 30세에 복무를 마쳤을 것으로 추정된다.[16]

3. 군사적 역사

고대 그리스 지도. 보이오티아(테베가 이끔), 라코니아(스파르타가 이끔), 아티카(아테네가 이끔)의 상대적 위치를 보여줌


신성대는 보이오티아 전쟁 시기에 처음으로 실전에 투입되었다. 이들은 아테네의 용병 지휘관 카브리아스(기원전 357년 사망)와 스파르타의 왕 아게실라오스 2세(기원전 444년-360년) 사이의 대치 과정에서 활약했다.[16]

고르기다스는 신성대 대원들을 정규 보병 팔랑크스의 선두에 배치했으나, 펠로피다스는 이들을 충격 부대로 통합하여 운용했다. 신성대는 테기라 전투에서 수적으로 우세한 스파르타 군대를 상대로 첫 승리를 거두었다.[62][17] 이후, 레욱트라 전투에서 에파미논다스가 이끄는 테바이 군의 선봉에 서서 사선 대형을 활용, 스파르타 군을 격파하고 테바이 패권 시대를 열었다.[17][62]

카이로네이아 전투 (기원전 338년)에서 신성대는 마케도니아필리포스 2세와 알렉산드로스에게 맞서 싸웠으나 패배했다.[16] 이들은 포위된 상황에서도 항복하지 않고 전멸할 때까지 싸웠다. 필리포스 2세는 신성대원들의 용맹함에 감탄하여 "이 사람들이 부당한 일을 했거나 당했다고 의심하는 자는 누구든 망할지어다."라고 말했다고 한다.[62]

3. 1. 아게실라오스 2세의 침공

플루타르크에 따르면, 고르기다스는 원래 신성대 대원들을 정규 보병 팔랑크스의 선두에 배치했다.[22] 기원전 375년, 신성대의 지휘권은 펠로피다스에게 넘어갔다.[62][17] 펠로피다스 휘하의 신성대는 충격 부대의 단일 부대로 통합되었다.

테바이 신성대는 기원전 378년 보이오티아 전쟁의 시작과 함께 처음으로 실전에 투입되었다. 이 사건은 아테네의 용병 지휘관 카브리아스(기원전 357년 사망)와 스파르타의 왕 아게실라오스 2세(기원전 444년-360년) 사이의 대치 상황에서 발생했다.[16] 기원전 378년 여름, 아게실라오스 2세는 보이오티아 도시 테스피아이에서 스파르타 원정대를 이끌었다.[23]

스파르타군은 테바이 영토 주변에 설치된 토루 목책을 지키는 테바이 군대에 의해 며칠 동안 발이 묶였다. 스파르타군은 결국 방어 시설을 뚫고 테바이 시골로 진입하여 길을 따라 테바이의 밭을 파괴했다. 아테네는 이때 테바이 군대에 합류했지만, 여전히 스파르타군보다 수적으로 열세였다. 목책이 무너지자, 테바이군은 테베의 방어 가능한 벽으로 후퇴하거나, 자리를 지키며 스파르타군과 정면으로 맞서는 것 중 하나를 선택해야 했다. 그들은 후자를 선택하여 스파르타군 맞은편의 완만한 언덕 능선에 병력을 배치했다. 고르기다스와 신성대는 테바이 군대의 오른쪽 전열을, 카브리아스와 숙련된 용병 호플리테스 부대는 아테네 군대의 왼쪽 전열을 차지했다.[23]

아게실라오스는 먼저 산병을 보내 테바이와 아테네 연합 전선을 시험했다.[28] 이들은 테바이와 아테네 군대에 의해 쉽게 격퇴되었다. 그러자 아게실라오스는 스파르타 군대 전체에 진격을 명령했다. 그는 스파르타 군대가 결연하게 전진하는 모습을 보는 것만으로도 테바이와 아테네 군대를 위협하여 대열을 무너뜨릴 수 있으리라 생각했을 것이다.[23]

이때 카브리아스는 병사들에게 쉬어라고 명령했다.[24] 그의 용병 호플리테스는 일제히 휴식 자세를 취했다. 즉, 창은 적을 향하지 않고 위를 향하게 하고, 방패는 어깨에 걸치는 대신 왼쪽 무릎에 기대는 자세였다.[5][25] 고르기다스는 이를 보고 신성대에게도 똑같이 따르도록 명령했고, 그들은 동일한 군사 훈련 정확성과 자신감을 가지고 그렇게 했다.[26][23] 이 기동의 대담함과 실행의 규율은 아게실라오스가 진격을 멈출 정도였다.[26][27] 테바이와 아테네 군대가 낮은 지형에서 싸우도록 유도하려는 시도가 실패하자, 아게실라오스는 결국 병력을 테스피아이로 철수하는 것이 더 현명하다고 생각했다.[5][28]

테베에서 대치 상황이 벌어진 직후, 아게실라오스는 테스피아이에서 군대를 해산하고 메가라를 통해 펠로폰네소스로 돌아갔다.[16][32] 그는 포이비다스 장군을 테스피아이의 하르모스트(군정관)로 남겨 두었다.[29] 포이비다스는 휘하의 스파르타군과 테스피아의 징집병을 이용하여 테바이 영토를 여러 차례 습격하기 시작했다.[32][41] 이러한 습격은 너무 파괴적이어서 여름이 끝나갈 무렵 테바이인들은 고르기다스의 지휘하에 테스피아이에 맞서 대규모로 출격했다.[23]

포이비다스는 진격해 오는 테바이 군대와 교전했다. 경보병의 공격은 테바이에게 너무나 힘들었는지 그들은 후퇴하기 시작했다. 포이비다스는 궤주를 기대하며 무모하게 그들을 바싹 쫓아갔다. 그러나 테바이 군대는 갑자기 방향을 돌려 포이비다스의 군대를 공격했다. 포이비다스는 테바이 기병에 의해 죽임을 당했다.[33] 그의 펠타스트는 대열을 이탈하여 테바이 군대의 추격을 받으며 테스피아이로 도망쳤다.[16][23] 폴리애누스를 제외하고는 신성대에 대한 언급은 없지만, 그들이 고르기다스의 지휘하에 있었기 때문에 테바이 군대의 일부였을 가능성이 높다.[16]

얼마 지나지 않아, 아게실라오스는 테바이를 상대로 두 번째 원정을 감행했다. 그는 일련의 소규모 전투에서 승리했지만, 테바이 군대가 도시로 접근하자 정면으로 나와 다시 철수해야 했다. 디오도로스는 이 시점에서 테바이인들이 그 이후 스파르타군에 자신감을 가지고 맞섰다고 언급한다.[28] 고르기다스는 기원전 377년과 375년 사이에 역사에서 사라졌고, 그 기간 동안 신성대의 지휘권은 펠로피다스에게 넘어간 것으로 보인다.[16][34]

3. 2. 테기라 전투

기원전 375년 펠로피다스가 이끄는 신성대는 테기라 전투에서 수적으로 훨씬 우세한 스파르타 군대를 상대로 첫 승리를 거두었다.[62][17] 펠로피다스는 신성대를 밀집 대형으로 재편성하여 스파르타 군의 방어선을 뚫고 승리하는 전략을 택했다.[14][16]

테기라 전투는 스파르타 군이 무적이라는 신화를 깨뜨리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또한, 이 전투는 레욱트라 전투의 전조로 여겨지기도 한다. 크세노폰은 자신의 기록에서 테베의 승리를 언급하지 않았는데, 이는 그의 반(反) 테베적, 친(親) 스파르타적 성향 때문으로 보인다.[16][34]

3. 3. 레욱트라 전투

기원전 371년, 에파미논다스가 이끄는 테바이 군은 레욱트라 전투에서 스파르타 군을 격파하고 테바이 패권 시대를 열었다. 에파미논다스는 사선 대형을 활용하여 스파르타 군의 우익을 집중 공격했고, 펠로피다스가 이끄는 신성대는 이 공격의 선봉에 섰다.[17][62] 이 전투는 스파르타의 지배를 종식시키고 테바이의 독립을 확립했으며, 나아가 마케도니아 필리포스 2세의 지배 기반을 마련하는 계기가 되었다.

3. 4. 카이로네이아 전투

카이로네이아 전투 (기원전 338년)에서 마케도니아의 필리포스 2세는 아들 알렉산드로스와 함께 테베의 패권을 종식시켰다.[16] 이 전투는 페르시아와의 전쟁을 준비하기 위한 필리포스의 중앙 그리스 원정의 절정이었다. 마케도니아와 동맹군, 그리고 아테네와 테베가 이끄는 그리스 도시 국가 동맹 간의 전투였다. 디오도로스는 두 군대의 규모가 거의 비슷했으며, 양쪽 모두 약 3만 명의 병력과 2천 명의 기병을 보유했다고 기록한다.[61]

전통적인 중장 보병은 새로운 장창을 든 마케도니아 팔랑크스에 맞설 수 없었다. 테베 군과 그 동맹군은 붕괴되어 도망쳤지만, 테바이 신성대는 포위되고 압도되었음에도 항복을 거부했다. 테바이 신성대는 자리를 지켰고, 플루타르코스는 300명 모두 마지막 지휘관 테아게네스 곁에서 쓰러졌다고 기록한다. 이 전투에서의 패배는 필리포스에게 중요한 승리였다. 당시까지 신성대는 고대 그리스 전체에서 무적이라고 여겨졌기 때문이다. 플루타르코스는 필리포스 2세가 시신들을 "겹겹이 쌓여 있는" 것을 보고 그들이 누구인지 알아차리고 눈물을 흘리며 다음과 같이 외쳤다고 기록한다.

이 사람들이 부당한 일을 했거나 당했다고 의심하는 자는 누구든 망할지어다.|이 사람들이 부당한 일을 했거나 당했다고 의심하는 자는 누구든 망할지어다.grc[62]

고대 학자들은 이 전투의 중요성을 잘 기록했지만, 관련된 군대의 배치에 대한 정보는 거의 남아 있지 않다. 대부분의 현대 학자들(N.G.L. 해먼드, 조지 코크웰 포함)은 알렉산드로스가 기병대를 이끌었다고 본다.[61] 제임스 G. 데보토 역시, 《테바이 신성대》에서 알렉산드로스가 마케도니아 중장 보병 뒤에 기병대를 배치하여, "중장 보병이 재정비하는 동안 테베가 돌파구를 마련하여 기병 공격을 가능하게 했다"고 말한다.[16] 그러나 다른 역사가들은 알렉산드로스가 기병대가 아닌 사리사 (창)로 무장한 중장 보병을 지휘했다고 주장하는데, 플루타르코스 역시 신성대가 "마케도니아 팔랑크스의 창"에 쓰러졌다고 언급하기 때문이다. 플루타르코스와 디오도로스는 알렉산드로스가 신성대와 처음으로 교전했다고 기록한다.[61]

4. 고고학적 발굴

레욱트라 전투 승전 기념비는 레욱트라 전투에서 테바이가 스파르타에 승리한 것을 기념하기 위해 세워졌다. 이 기념비는 특이하게도 영구적인 건축물로 만들어졌는데, 이는 당시 임시적인 기념물을 세우는 일반적인 관행과는 다른 것이었다. 원래 기념물의 모습은 동전에 묘사된 것을 통해 알 수 있는데, 원통형 기단 위에 나무 줄기가 세워져 있고, 기단에는 방패 조각들이 새겨져 있었다. 나무 줄기에는 패배한 스파르타 군대의 방패, 무기, 갑옷 등이 걸려 있었다. 현재 기념물의 받침대는 남아있다.[63][64]

레욱트라 전투 승전 기념비의 복원된 트로파이온 기단


카이로네이아의 사자상은 카이로네이아 전투에서 전사한 테바이 병사들을 기리기 위해 세워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파우사니아스는 그의 저서 《그리스 안내기》에서 거대한 사자상이 테바이 병사들의 공동 묘지(πολυάνδριονgrc) 위에 세워졌다고 기록했다.[65] 1902년에 복원된 사자상은 높이 약 약 3.81m이며, 받침대 높이는 약 약 3.05m이다.[14][69]

2009년의 카이로네이아의 사자상. 사각형 울타리 발굴에서 7줄로 배치된 254구의 유골이 발견되었다.


기념비 근처에서 발견된 254구의 유골은 테바이 신성대의 것으로 추정되지만,[77][78] 일부 역사학자들은 이 유골이 마케도니아 군대의 것이라고 주장하기도 한다.[75]

4. 1. 레욱트라 전투 승전 기념비



레욱트라 전투에서 클레옴브로토스의 군대가 패배한 후, 테바이인들은 승리를 기념하기 위해 전장에 트로파이온을 세웠다.[50] 이는 일시적인 것을 목적으로 설계된 트로파이온의 일반적인 성격에 비추어 볼 때, 테바이인들이 영구적인 기념물로 대체한 전례 없는 조치였다. 기념물의 원래 모습은 당시의 동전에서 확인할 수 있는데, 원통형 기단 위에 나무 줄기가 세워진 형태로, 기단에는 메토페, 트리글리프, 그리고 일련의 돌 방패들이 조각되어 있었다. 나무 줄기 자체에는 패배한 스파르타인들의 방패, 무기, 갑옷이 부착되었다. 기념물의 받침대는 오늘날까지 남아 있다.[63][64]

4. 2. 카이로네이아의 사자상

파우사니아스는 그의 저서 《그리스 안내기》에서 테바이가 카이로네이아 전투에서 사망한 테바이 병사들의 다중 매장지 (πολυάνδριονgrc, 공동 묘지) 위에 카이로네이아 마을 근처에 거대한 사자상을 세웠다고 기록했다.[65] 1818년, 영국 건축가 조지 레드웰 테일러는 리바데아에서 여름을 보내던 중 파우사니아스의 책을 지침 삼아 카이로네이아 마을 근처에서 우연히 땅에 튀어나온 대리석 조각을 발견하고, 발굴 작업을 통해 거대한 사자상의 머리 부분을 찾아냈다.[67][68]

흔히 알려진 이야기와는 달리, 그리스 독립 전쟁 (1821-1829) 동안 오디세우스 안드루초스가 보물을 찾기 위해 사자상을 폭파했다는 것은 사실이 아닐 가능성이 높다. 1902년 재건 이전의 조각상에는 폭발 흔적이 없었으며, 깨끗하게 잘려져 있었다.[71][72][73]

1902년, 카이로네이아 기사단의 자금 지원으로 사자상이 복원되었다. 높이 약 약 3.81m인 사자는 높이 약 약 3.05m인 받침대 위에 설치되었다.[14][69] 19세기 후반 발굴 작업 결과, 기념비 주변에서 7줄로 배열된 254구의 유골이 발견되었다.[14][69] 이 유골들은 테바이 신성대원들의 유해로 추정된다.[77][78]

그러나 니컬러스 제프리 램프리에르 해먼드 등 일부 역사가들은 사자상이 신성대 무덤이 아니라고 주장한다. 해먼드는 사자상이 필리포스 2세가 전투에서 군대를 돌린 장소이며, 전사한 마케도니아군 우익 병사들의 무덤이라고 주장한다.[75] 반면, 역사가 윌리엄 K. 프리체트는 해먼드의 주장을 비판하며, 유스티누스 등의 기록을 바탕으로 사자상 주변의 유해가 신성대원들의 것이라고 주장한다.[75][78]

5. 역사성 논쟁

플루타르코스(46–120 AD)는 카이로네이아 출신으로, 신성대에 대한 가장 상세한 기록을 남겼다.[3][4] 그의 기록은 신성대의 동시대인인 칼리스테네스와 에포루스의 작품을 바탕으로 한 것으로 보이며, 이 두 사람의 작품은 현재 전해지지 않는다.[1]

신성대의 역사성은 대체로 인정되지만, 일부 역사가들은 이들이 남성 동성애 커플로 구성되었다는 점에 의문을 제기한다.[84] 존 킨로크 앤더슨과 조지 코크웰 등은 플루타르코스의 ''펠로피다스 생애''를 신뢰할 만한 기록으로 평가한다.[26][83] 프랭크 윌리엄 월뱅크와 펠릭스 야코비도 칼리스테네스의 육상 전투 묘사를 옹호하며, 테기라 전투의 세부 사항을 정확하게 묘사했다고 평가했다.[41] 존 버클러와 한스 벡 역시 플루타르코스의 테기라 전투 묘사가 지형과 4세기 자료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정확하다고 결론지었다.[87]

반면, 크세노폰은 테베 역사에 대해 침묵하거나 부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고든 S. 슈림프턴은 기원전 371년에서 341년 사이 테베 패권 시대에 대한 기록들이 대체로 테베에 비판적이었으며, 이는 그리스인들이 테베를 혐오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1] 특히 아테네인들은 펠로폰네소스 전쟁에서의 테베의 행동, 플라타이아 파괴, 오로푸스 침공 등으로 인해 테베를 경멸했다. 데모스테네스는 테베에 대한 반감을 노골적으로 드러냈다.[1][86]

플루타르코스의 ''영웅전''은 신성대에 대한 가장 중요한 기록의 주요 출처이다.


그러나 기원전 339년, 테베가 마케도니아와의 동맹을 끊고 아테네 중심의 동맹에 합류하면서 상황이 바뀌었다. 카이로네이아 전투에서 신성대가 전멸하고 테베가 파괴되자, 아테네인들은 테베를 동정적인 시각으로 바라보게 되었다. 이 시기에 람프사쿠스의 아낙시메네스, 아리스토크세노스, 칼리스테네스, 다이마쿠스, 디나르쿠스, 에포루스 등 테베에 우호적인 기록들이 등장했다.[1]

참조

[1] 논문 The Theban Supremacy in Fourth-Century Literature Classical Association of Canada
[2] 서적 Against Demosthenes http://www.bartleby.[...] 2022-10-10
[3] 서적 Homosexuality and Civilization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4] 서적 The Life of Pelopidas https://penelope.uch[...] Loeb Classical Library edition
[5] 서적 Στρατηγήματα http://www.attalus.o[...]
[6] 서적 Discourses https://penelope.uch[...] Loeb Classical Library
[7] 서적 Deipnosophistae http://www.attalus.o[...]
[8] 서적 Same-Sex Desire And Love in Greco-Roman Antiquity And in the Classical Tradition of the West Routledge
[9] 서적 The Sleep of Reason: Erotic Experience and Sexual Ethics in Ancient Greece and Rome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0] 서적 Symposium http://www.fordham.e[...]
[11] 논문 Intra-Socratic Polemics: The Symposia of Plato and Xenophon http://grbs.library.[...]
[12] 서적 Eros and Polis: Desire and Community in Greek Political Theor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3] 서적 Symposium http://classics.mit.[...]
[14] 논문 'An Army of Lovers' - The Sacred Band of Thebes http://www.historyto[...]
[15] 문서 Footnote 23, p. 182
[16] 논문 The Theban Sacred Band
[17] 서적 Elite Military Formations in War and Peace Greenwood Publishing Group
[18] 서적 The Macedonian Empire: The Era of Warfare Under Philip II and Alexander the Great, 359-323 B.C. https://books.google[...] McFarland
[19] 서적 The Boeotian Army: The Convergence of Warfare, Politics, Society, and Culture in the Classical Age of Greec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20] 문서 "Hippeis, literally meaning cavalry, is also the generic name for Greek elite units of between 300 and 1000 men. Although they initially fought as horsemen, during the 4th century BC they primarily fought as [[hoplite]] heavy infantry. Compare with [[knight]]s. (DeVoto, 1992)"
[21] 서적 Ἠθικά https://www.perseus.[...]
[22] 서적 Homosexualiti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3] 서적 The Defense of Attica: The Dema Wall and the Boiotian War of 378-375 B.C. http://ark.cdlib.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4] 서적 Spartan Warrior 735-331 BC https://books.google[...] Osprey Publishing
[25] 서적 Democracy and Classical Greece https://archive.org/[...] Harvard University Press
[26] 서적 Military Theory and Practice in the Age of Xenopho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7] 서적 Excellentium Imperatorum Vitae http://ancienthistor[...] 2012-07-27
[28] 서적 Bibliotheca Historica https://penelope.uch[...] Loeb Classical Library
[29] 서적 A History of Greece, Volume 5 https://books.google[...] Longman, Rees, Orme, Brown, Green & Longman and John Taylor
[30] 서적 Philip II and the Sacred War https://books.google[...] Brill Archive
[31] 서적 The World of Athens: An Introduction to Classical Athenian Cultur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2] 서적 Hellenica https://www.perseus.[...]
[33] 서적 Warhorse: Cavalry in Ancient Warfare https://books.google[...] Continuum International Publishing Group
[34] 문서 The historian Louis Crompton presumes that Gorgidas died in a skirmish in 378 BC. (Crompton, 2006)
[35] 서적 A History of the Classical Greek World: 478-323 BC https://books.google[...] Blackwell Publishing
[36] 간행물
[37] 서적 Boiotia and the Boiotian League, 432-371 B.C.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Alberta
[38] 서적 Xenophon and the Art of Command https://books.google[...] Stackpole Books
[39] 서적 Cavalry Operations in the Ancient Greek World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40] 서적 A Historical Commentary on Diodorus Siculus, Book 15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41] 서적 Classical Studies, Volume 28: Studies in Ancient Greek Topography, Part IV (Pass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42] 서적 The Cambridge Ancient History: The Fourth Century B.C. Cambridge University Press
[43] 서적 Sparta and Lakonia: A Regional History, 1300-362 BC https://books.google[...] Routledge
[44] 문서 Places where the Spartan Assembly met.
[45] 서적 Description of Greece http://www.theoi.com[...]
[46] 서적 Sources for the Ancient Greek City-State: Symposium August, 24-27 1994 The Royal Danish Academy of Sciences and Letters
[47] 서적 Aspects of Greek History, 750-323 BC: A Source-based Approach https://books.google[...] Routledge
[48] 간행물
[49] 서적 The Ancient Greeks: A Critical History https://archive.org/[...] Harvard University Press
[50] 서적 The Cambridge Ancient History: The Fourth Century B.C. Cambridge University Press
[51] 서적 Warfare in the Ancient World: From the Bronze Age to the Fall of Rome: From the Bronze Age to the Fall of Rome https://books.google[...] ABC-CLIO
[52] 서적 Great Captains of Antiquity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53] 서적 Population Decline and the Remaking of Great Power Politics https://books.google[...] Potomac Books, Inc.
[54] 간행물
[55] 서적 The Art of War in Western World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56] 논문 The Battle of Leuktra: Organizational Revolution in Military Affairs in the Classical World http://www.army.forc[...]
[57] 서적 From Polis to Empire, the Ancient World, C. 800 B.C.-A.D. 500: A Biographical Dictionary Greenwood Publishing Group
[58] 서적 Classical Theories and the Will to Fight http://apps.dtic.mil[...] U.S. Army Command and General Staff College, Illinois State University
[59] 문서
[60] 간행물
[61] 웹사이트 Battle of Chaeronea http://www.arsbellic[...] 2015-03-27
[62] 서적 Parallel Lives http://en.wikisource[...]
[63] 서적 Military Honour & Conduct of War: From Ancient Greece to Iraq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64] 웹사이트 Monument (Trophy) of The Battle of Leuktra http://odysseus.cult[...] Odysseus, Hellenic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2012-08-03
[65] 서적 Description of Greece http://www.theoi.com[...]
[66] 서적 Geographica https://penelope.uch[...]
[67] 논문 On the discovery of the Lion at Chæronea, by a party of English travellers in 1818 https://archive.org/[...]
[68] 서적 Dictionary of National Biography, 1885-1900, Volume 55 http://en.wikisource[...]
[69] 논문 Greek Lion Monuments https://books.google[...]
[70] 서적 The Companion Guide to Mainland Greece https://books.google[...] Companion Guides
[71] 논문 The Lion of Chaeronea https://books.google[...] 1876-02-26
[72] 서적 Handbook for travellers in Greece https://archive.org/[...] John Murray
[73] 논문 Chaironeia 338: Topographies of Commemoration
[74] 논문 Archaeology in Greece, 1901-1902 https://archive.org/[...]
[75] 논문 Observations on Chaironeia
[76] 논문 General Meeting of the Archaeological Institute of America, December 29–31, 1903
[77] 논문 The Annihilation of the Sacred Band at Chaeronea
[78] 서적 Lost Battles: Reconstructing the Great Clashes of the Ancient World https://books.google[...] Hambledon Continuum
[79] 문서 Other historians who accept the figure of 300 as literal instead assume that 26 members of the Sacred Band survived. (Ashley, 2004)
[80] 서적 Pausanias' Guide to Ancient Greec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81] 서적 Studies in the Ancient Greek ''Polis'', Volume 1 Franz Steiner Verlag
[82] 논문 Special issue: Receptions of Pausanias: From Winckelmann to Frazer
[83] 서적 Scripta Antiquitatis Posterioris Ad Ethicam Religionemque Pertinentia. Volume 16: Plutarch, On the Daimonion of Socrates Mohr Siebeck Tübingen
[84] 웹사이트 Did an Army of Lovers Really Dominate Ancient Greece? http://ancientheroes[...] 2016-09-28
[85] 서적 A Companion to the Classical Greek World John Wiley & Sons
[86] 서적 On the Navy https://www.perseus.[...]
[87] 서적 Central Greece And The Politics Of Power In The Fourth Century BC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88] 문서 Louis Crompton, ''Homosexuality & Civilization'', Harvard University Press, 2006, p. 77.
[89] 문서 Louis Crompton, ''Homosexuality & Civilization'', 하버드 대학교 출판부, 2006, p. 77. 아테네 철학자 [[크세노폰]]에 의하면 테베에서는 성인 남성이 소년과 함께 살고 있으며, 그것은 마치 ‘결혼한 시민의 것’이었다고 한다. 이 풍조는 아마 고대 [[크레타]]의 풍습의 흔적이라고 생각되고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