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요타 마크 II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토요타 마크 II는 1968년 토요타 코로나의 고급 차종으로 출시되어 2004년 단종될 때까지 9세대에 걸쳐 생산된 일본의 중형 세단이다. 1972년 2세대부터 X 플랫폼을 사용하며, 3세대부터는 유럽풍 디자인을 채택하고, 4세대부터는 하드톱 세단이 추가되었다. 5세대부터는 '크레시다'라는 이름으로 수출되었고, 6세대부터는 DOHC 엔진과 트윈 캠 슈퍼차저가 적용되었다. 7세대부터는 하드탑 세단만 출시되었으며, 8세대는 안전성을 강화하고 디자인을 개선했다. 9세대는 일반 세단으로 변경되었으나, 판매 부진으로 인해 후속 차종인 마크 X에 자리를 물려주고 단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8년 도입된 자동차 - 닛산 로렐
닛산 로렐은 1968년부터 2003년까지 닛산 자동차에서 생산한 고급 승용차로, 블루버드보다 상위 모델로 기획되어 하이 오너형 승용차 시장을 공략하며 8세대에 걸쳐 변화를 거쳤으나, 2000년대 닛산의 경영난으로 세피로와 통합되어 단종되었고 후속 모델은 티아나이다. - 1968년 도입된 자동차 - 람보르기니 에스파다
람보르기니 에스파다는 1968년부터 1978년까지 생산된 4인승 GT 쿠페로, 마르첼로 간디니가 베르토네에서 디자인했으며, V12 엔진을 탑재하고 총 1,217대가 제작되었다. - 택시 차량 - 현대 쏘나타
현대 쏘나타는 1985년 출시 이후 전륜구동 방식으로 전환, 디자인과 성능을 개선하며 다양한 파워트레인을 탑재한 현대자동차의 대표적인 중형 베스트셀링카이다. - 택시 차량 - 가마
가마는 운반인이 어깨에 메어 사람을 수송하는 교통 수단으로, 신분과 지위를 나타내는 수단으로 역사적으로 사용되었으며, 한국, 중국, 인도, 일본 등에서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 왔다. - 픽업 - 픽업 트럭
픽업 트럭은 자동차 섀시에 적재함을 추가한 형태에서 유래하여 1913년 스터드베이커가 처음 명칭을 사용한 트럭으로, 전용 플랫폼을 통해 발전하고 디자인과 편의 기능이 개선되어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 픽업 - 현대 포니
현대 포니는 대한민국 최초의 고유 모델 자동차로서, 1975년부터 1990년까지 생산되었으며, 독창적인 디자인과 다양한 모델 출시로 한국 자동차 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현대자동차 디자인 유산으로 자리매김했다.
토요타 마크 II - [자동차]에 관한 문서 | |
---|---|
일반 정보 | |
![]() | |
제조사 | 도요타 |
다른 이름 | 토요펫 코로나 마크 II (1968–1980) 도요타 코로나 마크 II (1968–1976) 도요타 크레시다 (1976–1992) |
관련 차종 | 도요타 코로나 (1968–1972) 도요타 체이서 (1977–2001) 도요타 크레스타 (1980–2001) 도요타 베로사 (2001–2004) |
생산 기간 | 1968년 9월 – 2004년 10월 (마크 II 블리트/왜건 생산은 2007년까지 계속) |
조립 공장 | 일본 아이치현도요타시모토마치 공장 (1968년 9월 – 1993년 10월) 일본 후쿠오카현미야와카시도요타 자동차 규슈: 1992년 12월 – 2000년 10월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크레시다) |
차종 | 준중형차 (1968–1976) 중형차 (1976–2004) |
구동 방식 | 앞 엔진, 뒷바퀴 구동 앞 엔진, 네바퀴 구동 (1992–2007) |
후속 차종 | 도요타 마크 X (일본) 도요타 비엔타 (오스트레일리아) 도요타 아발론 (북미) 도요타 소아라 (쿠페) 도요타 컴포트 (택시 모델) |
차종 정보 | |
차명 | 도요타 마크 II |
차체 형태 | 2/4도어 하드탑 4도어 세단 5도어 스테이션 왜건/라이트 밴 |
구동 방식 | 뒷바퀴 구동 / 네바퀴 구동 |
선대 차종 | 도요타 1600GT |
후속 차종 | 도요타 마크 X |
다른 이름 | 토요펫 코로나 마크II (초대-3대) 도요타 코로나 마크II(3・4대) 도요타 크레시다(북미 외 여러 국가 사양) |
2. 1세대 (T60/70, 1968-1974)
1968년 9월 21일에 코로나의 고급 차종으로 출시되었다. 코로나와 크라운 사이에 위치하며, 코로나를 고급화한 모델이었다. 세단은 T60, 2도어 쿠페 차량은 T70의 코드네임을 가졌다. 엔진은 1,600cc 7R형과 1,900cc 8R형 수냉직렬 4기통 SOHC 엔진이 장착되었다.
1972년 1월에 출시되었다. 1세대에서 사용하던 T 플랫폼 대신 2세대부터는 X 플랫폼을 활용하였다. 1세대의 차명이었던 코로나 마크 II는 버리고 단순히 마크 II로 개명되었으나, 카탈로그에는 여전히 '코로나 마크 II'라고 불렸다.[40] 기존의 픽업 트럭은 단종되고 X10이라는 코드네임을 가진 세단과 스테이션 왜건, X20이라는 코드네임을 가진 쿠페 모델만 남았다.
1969년 9월에는 고성능 사양인 GS가 추가되었는데, 8R 1,900cc 엔진을 기반으로 DOHC화한 10R형(나중에 8R-G로 개명) 엔진이 장착되었다. 최고 출력은 140마력, 최고 속도는 200km/h였다.
1970년 2월에 페이스 리프트를 거치면서 그릴의 크기가 바뀌었고, 1,600cc 7R 엔진이 1,700cc 6R 엔진으로 교체되었다. 1971년 2월에 다시 한번 페이스 리프트를 거치면서 세단과 쿠페의 후면 번호판을 트렁크에서 뒷범퍼로 옮겼다. 1,500cc 2R 엔진은 1,600cc 12R 엔진으로 교체되었다.
1972년 1월에 세단과 쿠페, 스테이션 왜건은 2세대로 대체되었으나, 픽업 트럭은 1974년 8월까지 생산되었다.
북미 수출 모델은 센터 콘솔, 스페어 타이어 등이 적용되었으며, 남아프리카 공화국 사양에는 1,900cc 엔진이 탑재되었다.[3]
3. 2세대 (X10/20, 1972-1976)
엔진의 경우 1,707cc 6R I4, 1,808cc 16R I4, 1,968cc 18R I4, 1,968cc 18R-G DOHC I4, 1,988cc M I6가 각각 장착되었고, 수출 시장에서는 2,253cc 2M I6, 2,563cc 4M I6 엔진이 각각 장착되었다. 수출 시장에서는 닛산 블루버드(닷선 610)나 일본 내수 시장의 닛산 로렐 등과 경쟁하기 위해 크라운의 엔진을 사용하기도 했다.
1973년 8월과 1974년 8월에 각각 페이스 리프트를 거쳤다.
북미 사양에는 스테레오 카세트 플레이어, 파워 스티어링, 에어컨, 3단 자동 변속기가 옵션으로 제공되었다.
4. 3세대 (X30/40, 1976-1980)
1976년 12월에 출시되었다. 유럽풍 디자인을 채택한 것이 특징이다. 역대 마크 II 중에서 토요펫 브랜드에서 판매된 마지막 모델이었고, 이후 토요펫은 토요타의 딜러망 역할을 수행하게 되었다.
엔진은 TTC-C 기술을 사용하였다. 고급형 트림인 그란데도 선보였으며, 이 트림은 6기통 엔진이 장착되었다.
1977년 6월에는 경쟁 차종인 닛산 로렐, 블루버드, 스카이라인을 견제하기 위해 최고급형 모델인 체이서도 선보였다. 그 해 10월에 3T-U 엔진을 사용하기 시작됨에 따라 배기가스 기준을 맞췄다.
1978년 8월에 부분 변경을 거쳤고, 9월에는 4기통 2000cc 엔진에 기존의 18R-U형에서 21R-U형으로 바뀌었다.
1979년 9월에 크라운에 탑재되었던 4기통 2200cc의 L형이 적용된 디젤 엔진이 추가되었다.
1980년 4월에 또 다시 부분 변경을 감행하였다.
역대 마크 II 중 최초로 크레시다라는 수출명으로 팔리기도 했다.
3세대 모델은 더욱 고급스러운 유럽형 디자인으로 출시되었다. 이 라인은 이전 세대의 미국식 스타일과 S80 시리즈 크라운에서 볼 수 있는 새로운 토요타의 외관을 사용하는 대신 영국식 프론트 엔드를 결합했다. 이 모델은 1980년에 단종된 토요펫 브랜드 이름을 사용한 마지막 자동차 중 하나였다. 이 이름은 일본 ''토요펫 스토어'' 딜러십에서 계속 사용되었다. 이 세대는 일본 구매자들에게 닛산 로렐 세단에 대한 경쟁 모델을 계속 제공했으며, 새로운 체이서는 일본에서 닛산 스카이라인의 대안으로 기획되었다.
이 세대는 새로운 와이퍼와 헤드라이트 스위치 설치를 표준 장비로 제공했으며, 조작부는 스티어링 칼럼에 부착된 레버로 작동되었다.[16] 리어 와이퍼는 모든 세단, 하드탑, 스테이션 왜건 상위 트림 레벨 패키지에서도 사용할 수 있었다. 스티어링 칼럼 자동 기어 변속기는 엔트리 레벨 트림 패키지에서 계속 제공되었으며, 개별적으로 리클라이닝되는 앞좌석 등받이가 있는 벤치 시트도 제공되었다. 주차 브레이크 핸들은 이제 스티어링 휠 왼쪽에 설치된 벤치 시트를 사용하지 않는 한 센터 콘솔로 옮겨졌다.[16]
표준 또는 선택 품목 중 일부는 운전석 창문 파워 윈도우, 틸트 스티어링 휠 조정, 디스크 브레이크 라이닝을 점검해야 하는지 알려주는 시스템 모니터, 4개의 스피커가 있는 AM/FM 스테레오 라디오, 별도로 사용할 수 있는 카세트 플레이어 또는 8트랙 카세트, 전압계 및 오일 압력을 포함한 전체 계측기, 크루즈 컨트롤, 트렁크에 긴 물건을 수납할 수 있도록 접을 수 있는 뒷좌석 등받이가 포함되었다.[16] 4기통 엔진과 자동 변속기가 장착된 중간 등급 트림 패키지는 회전 속도 계측기를 "파워", "가속" 또는 "크루징"을 표시하는 흡기 매니폴드 진공 압력을 사용하는 이코노미터로 대체했다. 엔트리 레벨 차량은 회전 속도 계측기를 전기 시계로 대체했다.[16]
일부 모델에는 더 큰 크라운에서 차용한 전자 연료 분사가 선택적으로 장착된 6기통 엔진이 장착되었다. 일본 시장의 경우 모든 엔진은 토요타의 TTC-C 기술로 점진적으로 업그레이드되어 1975년 일본 정부의 대기 정화법을 준수했으며 차량 후면에 "TTC-C" 배지가 부착되었다. 1977년 10월 말, 3T-U 4기통 엔진은 희박 연소 설계를 통해 1978년 배출 가스 기준을 통과하도록 업그레이드되었다.[15] X30 시리즈 섀시 번호는 3세대 마크 II의 원래 코드였으며, 새로운 1978년 배출 가스 규정을 준수하는 모든 차량에는 X40 시리즈 번호가 할당되었다. 4기통 엔진은 6기통 모델의 고급스러움을 원하지만 더 작은 연간 자동차세를 원하는 일본 구매자를 위해 제공되었다.
서스펜션과 섀시가 업데이트되었으며, 크라운에서 후방 서스펜션을 차용하여 4개의 휠 모두에 맥퍼슨 스트럿을 사용하고 세미 트레일링 암을 4개의 링크와 함께 사용했다. 이제 모든 차체 스타일은 전면 및 후면의 크럼플 존이 있는 안전 케이지와 통합되었고, 프레임 차체 섀시는 버려졌으며, 이제 일체형 구조가 사용되었다.[16] 1979년 10월, 디젤 엔진을 탑재한 마크 II가 출시되어 디젤 엔진을 탑재한 이스즈 플로리안의 대안으로 모델 최초로 출시되었으며, 디젤 엔진 차량은 ''토요타 디젤 스토어'' 지점에서만 판매되었다.
1998년, 토요타는 프로그레라는 자동차를 출시했다. 프로그레의 전면은 X30/X40 시리즈 세단의 업데이트된 버전과 유사하다. 두 모델 모두 둥근 조명과 사각형 조명이 결합되어 있다. 라디에이터 그릴과 보닛도 비슷한 모양, 크기 및 라인을 가지고 있다.
그란데 트림은 2.6 또는 2.0리터 버전의 6기통 엔진과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최고급 트림 패키지로 출시되었다. 일본에서는 2.6 엔진이 장착된 유일한 버전이었으며, 체이서에서는 사용할 수 없었다.[16] 2.6 L 엔진이 장착된 경우 차량 후면과 전면 라디에이터 그릴의 오른쪽 하단 부분에 "2600" 배지가 설치되었다. 그란데 트림 이름은 마크 II 차명 종료까지 유지되었다.[16] 1988년이 되어서야 토요타는 일본 구매자들에게 마크 II/체이서/크레스타 제품군에서 2리터 이상의 엔진을 다시 제공했다.
토요타 마크 II는 수출 시장을 위해 토요타 크레시다(Toyota Cressida)로 이름이 변경되었으며, 크레시다라는 이름은 일본에서는 사용되지 않았다. 1976년 12월에 생산이 시작되었다.[18]
5. 4세대 (X60, 1980-1984)
1980년 10월에 4세대 마크 II가 출시되었다.[21] 2도어 쿠페는 소어러로 대체되면서 단종되었다. 4세대는 4도어 세단, 하드탑,[22] 스테이션 왜건 모델로 제공되었으며, 스테이션 왜건은 일본에서 상업용으로 판매되었다. 완전히 새롭게 크라운도 같은 차체를 사용했으며, 크라운에서도 2도어 하드탑 쿠페는 단종되었다. 마크 II와 크라운의 외형 치수는 거의 동일했으며, 마크 II는 ''토요펫 스토어''에서 최고급 모델로 판매되었다.
엔진은 1G-EU, 터보차저가 장착된 M-TEU, 5M-EU, 그리고 GT 모델에서 사용 가능한 트윈 캠 18R-G의 연료 분사 버전이 있었다. L 계열의 2.2 및 2.4리터 디젤 엔진도 선택 가능했으며, 더 큰 엔진에는 터보차저를 장착할 수 있었다. 마크 II 그란데는 145PS를 출력하는 2.8리터 5M-EU 직렬 6기통 엔진을 계속 탑재했다.[21] 1982년에는 트윈 캠 1G-GEU 엔진이 추가되었고, 1983년에는 자동 변속기가 전자 제어 4단으로 변경되었다. 최고급 모델인 "그란데"는 더 강력한 엔진과 함께 계속 판매되었다.
Van 모델은 일반적으로 출력이 낮은 엔진을 탑재했고, 장비가 매우 간소했으며, 승용차 모델보다 약간 짧은 소형 범퍼를 사용했다.[23] 이 세대의 마크 II는 상업용, 택시, 운전 교육용 차량으로 사용되었다. 마크 II는 코로나보다 약간 작은 크기로 택시로도 많이 사용되었다.
X60 마크 II는 세계 최초로 음성 경고 시스템을 도입하여 표준 장비로 제공했다.[24] 인도네시아에서는 1981년 후반부터 99PS DIN (105 PS JIS) 21R 엔진(RX60)을 탑재한 마크 II가 판매되었다.[25]
엔진 | 설명 |
---|---|
1770 cc 13T-J I4 (TX67V) | |
1832 cc 1S-U I4 (SX60) | |
1968 cc 18R-G I4 (RX63) | |
1972 cc 21R (RX60) | |
1988 cc 1G-EU I6 (GX61/60G) | |
1988 cc 1G-GEU DOHC I6 (GX61) | |
1988 cc M-TEU 터보 I6 (MX61) | |
2759 cc 5M-E/5M-GE I6 (MX62/63) | |
디젤: | |
2188 cc L 디젤 I4 (LX60/67V) | |
2446 cc 2L-TE TD I4 (LX65) |
6. 5세대 (X70, 1984-1997)
1984년 8월에 세단이 먼저 출시되었으며, 코로나라는 서브네임을 버리고 차명은 단순히 마크 II가 되었다. 닛산 로렐, 레오파드처럼 C 필러 형태로 디자인되었다.[5] 같은 해 11월에는 스테이션 왜건과 밴 모델도 추가되었다. 스테이션 왜건과 밴은 2.0L 레이저 1G-II 엔진만 장착되었다.
1985년 10월, 체이서 및 크레스타와 함께 1G-GTEU 엔진을 탑재한 GT 트윈터보 사양이 추가되었다. 이는 일본산 자동차 중 최초로 트윈 캠 트윈 터보 엔진을 탑재한 것이다. GT 트윈터보 사양 추가로 M-TEU 엔진을 탑재했던 그랜드 터보는 단종되었다. GT 트윈터보에는 전자 제어 4단 자동 변속기(ECT-S)와 5단 수동 변속기가 제공되었으나, 세단 모델에는 GT 트윈터보가 추가되지 않았다. 이와 함께 상위 모델에 전동 접이식 사이드 미러가 기본 장착되고, LG 하급 트림에 전면 강화 유리가 채용되는 등 소폭 변경이 이루어졌다.
1986년 8월에는 마이너 체인지를 통해 내·외장이 변경되었고, 1.8L LPG 엔진이 2.0L로 교체되었다.
1988년 8월, 4도어 하드톱과 세단이 X80 계열로 풀 모델 체인지되면서 단종되었고, 스테이션 왜건과 밴 모델만 남게 되었다. 스테이션 왜건과 밴은 마이너 체인지를 통해 엔진이 1G-FE형으로 교체되었고, 내부 색상이 변경되었다. 후드, 프론트 펜더, 범퍼는 GX71 크레스타와 같은 모양으로 교체되었다.
1990년 9월에는 상급 트림에 LG 그랜드 에디션이 추가되었다. 1993년 2월에는 일부 개량을 통해 스테이션 왜건에 루프 레일과 머드 가드가 장착되었고, 밴 모델의 엔진은 자동차 NOx법 규정에 따라 2Y-J형 1.8L에서 3Y-E형 4기통 2.0L로 교체되었다. 테일 게이트에는 토요타 마크가 부착되었다.
1996년 8월, X90 계열 마크 II 세단의 일부 개량에 따라 스테이션 왜건과 밴 모델에 운전석 에어백이 기본 장착되었다.
1997년 4월, 스테이션 왜건은 후속 차종인 마크 II 콰리스로 대체되었고, 밴 모델은 칼디나 밴으로 통합되면서 최종 단종되었다.
5세대 마크 II는 크레시다라는 이름으로 수출되었다.
7. 6세대 (X80, 1988-1995)
1988년 8월에 출시된 6세대 마크 II는 이전 모델보다 유연한 디자인을 적용했다. 세단과 4도어 하드탑 모델이 출시되었고, 스테이션 왜건과 밴은 이전 세대 모델(X70)로 계속 생산되었다. 가솔린 엔진 탑재 사양은 모두 DOHC화되었으며, 트윈 캠에 슈퍼차저가 탑재된 모델도 있었다.[52] 일부 사양은 운전석 에어백을 옵션으로 장착할 수 있었다.
1989년 8월에는 3.0L 7M-GE 엔진을 장착하고 트랙션 컨트롤과 ABS를 적용한 3.0 그란데 G 트림이 추가되었다.
1990년 8월 마이너 체인지를 통해 1G-GZE 엔진을 대체하는 1JZ-GE와 1JZ-GTE 엔진을 장착한 2.5 그란데, 2.5 그란데 G, 2.5GT 트윈 터보 트림이 추가되었다. GT 트림은 자동변속기만 적용되었으며, 6기통 모델은 모두 독립식 현가장치를 사용했다.
1991년 5월에는 일본 내 누적 판매 신차 등록 대수 300만 대를 기념하여 하드톱 모델에 2.5 그란데 리미티드와 2.0 그란데 리미티드 특별 사양이 추가되었다.
4도어 하드톱 모델은 경쟁 차종인 로렐에 밀려 판매 부진을 겪었고, 1992년 10월 X90 계열로 대체되며 단종되었다. 세단 모델은 일부 개량을 거쳐 몇몇 트림을 삭제하고 병행 판매되었다. 이 때 트렁크 리드 중앙의 엠블럼이 새로운 CI로 변경되었다.
1995년 12월 세단 모델 역시 택시 및 교습 차량을 주력으로 하는 컴포트 및 크라운 컴포트로 대체되어 단종되었다.[58]
6세대 마크 II는 역대 마크 II 중 마지막으로 크레시다라는 이름으로 수출되었다.
8. 7세대 (X90, 1992-1996)
1992년 10월에 출시되었다. 전·후방 범퍼와 테일램프 디자인이 변경되었으며, 특히 JZX90 모델은 테일램프 디자인이 사무라이 검인 카타나를 닮아 '''사무라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마크 II는 크기가 커져서 일본 외부 치수 규정에 따라 소형차로 분류되지 않고 일반 크기의 자동차로 분류되었다. 이 세대의 스타일링은 토요타 윈덤과 유사성을 보였다.[35]
X90 시리즈는 6가지 트림 레벨로 제공되었다. 모든 트림에는 완전 자동 에어컨과 인조 나무 내부 패널이 기본으로 장착되었다. 기본 GL은 디젤 또는 가솔린 4기통 엔진을 선택할 수 있었고, 표준 또는 자동 변속기를 선택할 수 있었다. 그로이에는 GL과 동일한 엔진 및 변속기 옵션과 더 많은 표준 기능이 제공되었다. 디젤 엔진에는 전자식 연료 분사가 장착되었고 NOx 배출량이 더 낮았다.[35]
다음 4가지 트림 레벨에는 가솔린 직렬 6기통 엔진과 후륜 또는 사륜 구동 방식이 적용되었다. 그란데는 2.0 L 1G-FE 또는 2.5 L 1JZ-GE 엔진과 4단 자동 또는 5단 수동 변속기를 장착할 수 있었다(1G 엔진 장착 마크 II 그란데). 그란데는 다른 옵션과 장비 측면에서 그로이와 동일했다. 그란데 G는 2.5 L 1JZ-GE 또는 3.0 L 2JZ-GE 엔진과 자동 변속기를 장착할 수 있었으며, ABS, 디지털 계기판, 트랙션 컨트롤이 기본으로 장착되었다.
투어러 S는 1JZ-GE 엔진, 4단 자동 변속기를 갖추고 있었으며, 그란데나 그란데 G에는 없는 몇 가지 옵션(ABS 및 컨트롤 등) 또는 기본 장착되지 않은 옵션(공장 리미티드 슬립 디퍼렌셜)을 갖추고 있었다.
투어러 V는 강화된 차체, 스포츠 서스펜션, 280hp 2.5리터 1JZ-GTE 직렬 6기통 트윈 터보 엔진을 탑재했다. 또한 트랙션 컨트롤, ABS, 선택 사양인 토센 LSD, 선택 사양인 5단 수동 변속기가 공장에서 장착되었다. 마크 II 투어러 V는 드리프터들 사이에서 인기 있는 선택이었다.
1993년 10월에 4륜구동 사양인 그란데 four와 그란데 G four가 추가되면서 역대 마크 II 중 최초로 4륜구동 모델이 출시되었다. 2.5L 1JZ-GE형 엔진이 장착되었고, 일부 개량이 실시되었다.
1994년 9월에 마이너 체인지를 통해 앞범퍼 하단의 형상이 변경되면서 후미등 중앙에 검은색 가로줄이 들어가는 등 내·외장이 변경되었다.
1995년 9월에 운전석 에어백을 전 차종에 기본 적용되었고, 전기 멀티 비전을 멀티 AV 스테이션으로 교체되었다.[62]
9. 8세대 (X100, 1996-2000)
1996년 9월에 출시되었는데, 버블 붕괴에 따른 어려운 경제 상황 속에서도 모델 체인지를 단행했다. 이 때문에 플로어 패널은 X90계의 것을 유용하여 비용 절감을 꾀했다. 한편으로는 안전성 향상에 주력하여, 충돌 안전 대책으로 토요타 독자 규격의 GOA와 운전석 및 조수석 SRS 에어백, ABS를 전 차종에 기본 장착했다. 디자인은 둥근 느낌의 기존 디자인을 계승하면서도, 큰 인기를 얻었던 X70계와 X80계를 연상시키는 직선 디테일을 추가했다.
엔진 라인업은 다음과 같다.
엔진 형식 | 배기량 | 종류 | 비고 |
---|---|---|---|
2JZ-GE | 3,000cc | 직렬 6기통 | |
1JZ-GE | 2,500cc | 직렬 6기통 | |
1G-FE | 2,000cc | 직렬 6기통 터보 | |
2L-TE | 2,400cc | 직렬 4기통 터보 | 염가형 |
1JZ-GTE | 2,500cc | 직렬 6기통 터보 | 투어러 |
4S-FE형 1,800cc 디젤 엔진 장착 모델은 단종되었다.
1998년 8월에 마이너 체인지를 통해 프론트 그릴과 리어 램프 등의 디자인을 변경하면서, 기본 장착된 알루미늄 휠 디자인을 체이서, 크레스타와 공유했다. 또한 조수석 벨트 경고등이 추가되었다. 실내의 경우 슈퍼 라이브 사운드 시스템의 스피커가 7개에서 6개로 줄었고, 동시에 출시 30주년을 기념하는 특별 사양인 '트란토'가 추가되었다. 트란토는 프랑스어로 30을 의미한다.[64] 단종 직전에는 2L-TE 엔진 장착 모델이 단종되었으며, 전 모델에 BEAMS VVT-i 기구가 기본 장착되었다.
10. 9세대 (X110, 2000-2004)
2000년 10월에 출시되었다. 9세대 마크 II는 하드탑 세단에서 일반 세단으로 변경되었으며, 역대 마크 II 중 차체 크기가 가장 컸다. 전조등은 두꺼워졌고, 후미등은 역대 마크 II 중 유일하게 삼각 형태를 띠고 있다. 엔진은 2.5L 직분사 방식의 1JZ-FSE 외에 1G-FE, 1JZ-GE, 1JZ-GTE 엔진이 있었으며, 모두 VVT-i 방식이 적용되었다. 투어러 모델은 사라지고, 독창적인 IR 모델이 이를 대체하였다. 실내가 넓어졌지만, 어색한 분위기로 인해 판매가 부진하였다.[1]
2002년 1월에는 스테이션 왜건 모델인 마크 II 블리트가 X110 계열 마크 II를 기반으로 부활하였다. 같은 해 10월에는 페이스리프트를 통해 전조등, 범퍼, 후미등이 변경되었고, 크롬 마감이 추가되었다.
2004년 11월, 후속 차종인 마크 X가 출시되면서 마크 II는 단종되었다. 이로써 36년간의 마크 II 역사는 막을 내렸다.[1]
참조
[1]
웹사이트
General Status of Plants in Japan: Motomachi Plant
http://www.toyota-gl[...]
Toyota Motor Corporation
[2]
웹사이트
General Status of Plants in Japan: Affiliates (Toyota wholly-owned subsidiaries)-Toyota Motor Kyushu, Inc
http://www.toyota-gl[...]
Toyota Motor Corporation
[3]
웹사이트
Toyota Mark II advertisement
http://www.thetrutha[...]
2017-06-18
[4]
논문
"'Itaku' Automotive Production: An Aspect of the Development of Full-Line and Wide-Selection Production by Toyota in the 1960s"
Kyoto University
[5]
웹사이트
Toyota Mark II sedan 1st thru 9th
https://www.toyota-g[...]
Toyota Motor Corporation
2024-06-05
[6]
웹사이트
Toyopet Corona Mark II pickup
https://www.toyota-g[...]
Toyota Motor Corporation
2024-06-12
[7]
웹사이트
Toyota Corona Mark II hardtop coupe
https://www.toyota-g[...]
Toyota Motor Corporation
2024-06-03
[8]
간행물
New Cars: Toyota Corona Mk. II
Motorpress
1969-09
[9]
웹사이트
1973 Toyota Mark II advertisement (USA)
http://www.productio[...]
2017-06-18
[10]
웹사이트
Toyopet Corona Mark II sedan: 2nd
https://www.toyota-g[...]
Toyota Motor Corporation
[11]
catalog
New Mark II Sedan
https://www.toyota.c[...]
Toyota Motor Corporation
1972-01
[12]
웹사이트
Toyota Corona Mark II stationwagon 1st thru 5th
https://www.toyota-g[...]
Toyota Motor Corporation
2024-06-08
[13]
웹사이트
Cressida production data
http://members.iinet[...]
2013-01-12
[14]
catalog
Toyota Motor Co.
[15]
간행물
自動車ガイドブック
Japan Automobile Manufacturers Association
1978-10-10
[16]
웹사이트
Toyopet Corona Mark II sedan: 3rd
https://www.toyota-g[...]
Toyota Motor Corporation
[17]
논문
Japanese Cars 1978
San-ei Shobo Publishing
1978-01
[18]
서적
Toyota Vehicle Identification Manual
http://members.iinet[...]
Toyota Motor Corporation – Overseas Parts Department
[19]
서적
What car is that? : in Australia & New Zealand
Rigby
[20]
간행물
New models: Toyota Cressida 2000 station wagon
Ramsay, Son & Parker (Pty) ltd.
1978-08
[21]
웹사이트
Corona Mark II sedan: 4th
https://www.toyota-g[...]
Toyota Motor Corporation
[22]
웹사이트
Mark II hardtop sedan 4th thru 8th
http://www.toyota-gl[...]
Toyota
2019-01-14
[23]
간행물
自動車ガイドブック
Japan Automobile Manufacturers Association
1983-10-28
[24]
웹사이트
Technical Development Electronics Parts
http://www.toyota-gl[...]
Toyota Motor Corporation
2015-01-14
[25]
간행물
Laporan test: Corona Mark II
PT Informedia Indonesia
1981-11-23
[26]
간행물
1981 Buyer's Guide
CBS Publications
[27]
서적
Ward's Automotive Yearbook 1981
Ward's Communications, Inc
1981
[28]
서적
The Elegant Solution: Toyota's Formula for Mastering Innovation
Free Press, NY
[29]
서적
Lexus: The Relentless Pursuit
John Wiley & Sons (Asia) Pte Ltd., Singapore
[30]
간행물
Alla Bilar -82
Specialtidningsförlaget AB
1981
[31]
간행물
Automobil Revue '84
Hallwag, AG
1984-03-01
[32]
brochure
Toyota Cressida
P.T. Toyota-Astra Motor
1985
[33]
간행물
Autotieto 1985
TM-Julkaisu
1985-03-19
[34]
웹사이트
TOYOTA INTRODUCES CROWN COMFORT AND COMFORT FOR TAXI USE | Toyota Motor Corporation Official Global Website
https://global.toyot[...]
2021-09-09
[35]
간행물
TMC rombak Mark II, Chaser, dan Cresta
Yayasan Beraya Press
1992-11-02
[36]
웹사이트
Affiliates (Toyota wholly-owned subsidiaries)-Toyota Motor East Japan, Inc.
http://www.toyota-gl[...]
Toyota Motor Corporation
2014-02-14
[37]
웹사이트
TMS Historical Sales 58-05 : A
https://archive.toda[...]
ToyotaReference.com
2010-10-08
[38]
간행물
デアゴスティーニジャパン 週刊日本の名車第21号3ページより。
[39]
서적
三栄書房 ニューモデル速報 歴代シリーズ 歴代トヨタ・マークII のすべて 15ページ
[40]
서적
『絶版日本車カタログ』[[三推社]]・[[講談社]]78,79頁
[41]
간행물
デアゴスティーニジャパン週刊日本の名車第13号17ページより。
[42]
서적
トヨタの製品開発 P.31-35
[43]
문서
内訳は日本仕様の昭和51年排出ガス規制適合車、および国外仕様車(クレシーダ)はX30型、日本仕様の昭和53年排出ガス規制適合車はX40型となる
[44]
문서
それまでは4気筒エンジン車が縦桟タイプと6気筒エンジン車がメッシュタイプ。
[45]
간행물
デアゴスティーニジャパン週刊日本の名車第18号9ページより。
[46]
서적
『昭和55年 写真生活』(2017年、ダイアプレス)p92
[47]
간행물
デアゴスティーニジャパン 週刊日本の名車第4号17ページより。
[48]
문서
特別仕様車「'''グランデ・リミテッド'''」ではクリスタルピラーが特別色(ファインベージュメタリックやブラウンメタリック)に塗られていたモデルも存在。
[49]
웹사이트
マークIIバン(トヨタ)のカタログ
https://www.carsenso[...]
リクルート株式会社
2020-01-15
[50]
웹사이트
マークIIワゴン(トヨタ)のカタログ
https://www.carsenso[...]
リクルート株式会社
2020-01-15
[51]
간행물
デアゴスティーニジャパン 週刊日本の名車第17号11ページより。
[52]
문서
この当時の上級乗用車はマークIIに限らず、[[トヨタ・カリーナED|カリーナED]]やローレルなど、居住性よりもスタイリッシュなデザインを重視する傾向が強く見られた。
[53]
웹사이트
マークII(トヨタ)1988年8月~1992年9月生産モデルのカタログ
https://www.carsenso[...]
リクルート株式会社
2020-01-26
[54]
문서
自家用は1800GL / GRサルーン、2000グランデのみ。その他はタクシー・教習車向け。これと共に、海外輸出仕様向け(及び[[南アフリカ共和国|南アフリカ]]、[[ジンバブエ]]と[[インドネシア]]の一部で現地組み立て。)のクレシーダも、北米で発表となった[[トヨタ・アバロン|アバロン]]と[[アジア]]・[[ヨーロッパ|欧州]]・[[オセアニア|南大洋州]]等には[[トヨタ・カムリ|カムリ]]が直接的な受け皿となり、1976年以来16年の幕を閉じた。
[55]
간행물
デアゴスティーニジャパン週刊 日本の名車第88号15ページより。
[56]
웹사이트
マークII(1989年4月~1993年2月)
https://gazoo.com/ca[...]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2020-01-26
[57]
간행물
デアゴスティーニジャパン 週刊日本の名車 第88号15ページより。
[58]
문서
パトカー仕様はS150系クラウンに移行。
[59]
웹사이트
マークIIセダン(トヨタ)のカタログ
https://www.carsenso[...]
リクルート株式会社
2020-01-25
[60]
문서
ツアラーのみパーキングブレーキがレバー式である。
[61]
웹사이트
マークII(トヨタ)1992年10月~1996年8月生産モデルのカタログ
https://www.carsenso[...]
リクルート株式会社
2020-01-16
[62]
간행물
デアゴスティーニジャパン 週刊日本の名車第29号9ページより。
[63]
간행물
デアゴスティーニジャパン週刊日本の名車第26号9ページより。
[64]
웹사이트
マークII(1996年9月~2000年10月)
https://gazoo.com/ca[...]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2020-01-16
[65]
간행물
デアゴスティーニジャパン 週刊日本の名車第26号9ページより。
[66]
웹사이트
マークII(トヨタ)のカタログ
https://www.carsenso[...]
リクルート株式会社
2020-01-16
[67]
간행물
デアゴスティーニジャパン週刊日本の名車第98号11ページより。
[68]
웹사이트
トヨタ博物館 マークII RT62型
http://www.toyota.c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