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티레니아어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티레니아어족은 에트루리아어, 라에티아어, 렘노스어를 포함하는 언어 어족으로, 1998년 헬무트 릭스에 의해 제안되었다. 이 어족은 형태론, 음운론, 통사론에서 공통적인 특징을 보이며, 유럽에 인도유럽어족이 도래하기 전의 고(古)유럽어 어족이었을 가능성이 있다. 티레니아어족은 에게해 지역에서 그리스어, 이탈리아 반도에서 라틴어로 동화되어 소멸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에트루리아 - 에트루리아 문자
    에트루리아 문자는 기원전 8세기경 서방 그리스 문자를 바탕으로 에트루리아 지역에서 사용되었으며, 26자에서 시작하여 에트루리아어에 맞게 변형되었고, 라틴 문자를 비롯한 여러 고대 이탈리아 문자에 영향을 미쳤다.
  • 에트루리아 - 에트루리아어
    에트루리아어는 기원전 1세기경 이탈리아에서 사용된 고대 언어로, 그리스 알파벳에서 유래한 티레니아어족에 속하지만, 많은 비문에도 불구하고 완전한 해독이 이루어지지 않아 문법과 어휘가 미스터리로 남아있으며, 라틴어에 영향을 주었다.
  • 스위스의 역사 - 중프랑크 왕국
    중프랑크 왕국은 843년 베르됭 조약으로 성립되어 북해에서 지중해에 이르는 영토를 차지했으나, 분열과 국경 변동을 겪다가 신성로마제국에 흡수되었다.
  • 스위스의 역사 - 신성 로마 제국
    신성 로마 제국은 800년 카롤루스 대제의 황제 즉위로 시작하여 1806년 프란츠 2세의 퇴위로 해체된 중세와 근세 유럽의 복합 정치체로서, 수많은 영방국 등으로 구성되어 중앙집권적인 국가가 아니었으며 서임권 투쟁, 30년 전쟁 등을 거치면서 권위가 약화되어 나폴레옹 전쟁 이후 해체, 여러 국가로 분할되었다.
  • 그리스의 역사 - 그리스 왕국
    그리스 왕국은 1832년부터 1924년, 그리고 1935년부터 1973년까지 존속했던 입헌 군주국으로, 바이에른 왕가와 글뤽스부르크 왕가의 통치를 거치며 영토 확장과 경제 발전을 이루었으나, 군주제 폐지와 군사 정권 수립 등 격동의 시기를 겪었다.
  • 그리스의 역사 - 8월 4일 체제
    8월 4일 체제는 1936년 이오아니스 메탁사스가 그리스에서 계엄령을 선포하고 헌법을 정지시켜 수립한 권위주의 정권으로, 정치적 혼란과 공산주의 확대를 배경으로 독재 체제를 구축하고 사회를 통제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 붕괴되었다.
티레니아어족
개요
이름티르세니아어족 (티레니아어족)
다른 이름티레니아어족
지역이탈리아, 스위스, 프랑스 (코르시카), 리히텐슈타인, 독일, 오스트리아, 그리스 (렘노스)
어족 색상고립어
어족 분류제안된 어족 중 하나
티르세니아어족 언어의 대략적인 영역
하위 언어
언어 코드
글롯토코드etru1243 (에트루리아-라에티아)

2. 분류

1998년 독일 언어학자 헬무트 릭스는 에트루리아어, 라에티아어, 렘노스어가 '티레니아어족'이라는 공통 언어 계통에 속한다고 제안했다. 에트루리아어는 에트루리아에서, 라에티아어는 남부 알프스에서, 렘노스어는 에게해의 렘노스 섬에서 사용되었으며, 렘노스어는 소수의 비문으로만 알려져 있다.[3]

데 시모네와 마르체시니(2013)가 제안한 티레니아어족 계통도


릭스의 티레니아어족은 슈테판 슈마허, 카를로 데 시모네, 노르베르트 푀팅거, 시모나 마르체시니, 렉스 E. 윌리스 등 많은 언어학자들의 지지를 받고 있다. 에트루리아어, 라에티아어, 렘노스어는 형태론, 음운론, 통사론에서 공통점이 발견되었지만,[3] 어휘적 일치는 거의 기록되지 않았다. 이는 라에티아어 및 렘노스어 텍스트가 적고, 언어가 이른 시기에 분리되었기 때문일 수 있다.[1][3]

2. 1. 카무니어

카무니어는 라에티아어와 관련이 있을 수 있으며, 중앙 알프스에서 약 170개의 비문이 발견되었다. 가장 오래된 카무니어 비문은 기원전 5세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3. 역사

티레니아어족은 유럽에 인도유럽어족이 도래하기 전의 고(古)유럽어 어족이었을 가능성이 높다.[1] 에트루리아어와 라에티어의 관계는 선사 시대의 먼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는 것으로 생각된다.[4]

스트라보 (''지리학'' V, 2)는 안티클리데스의 인용문을 통해 에트루리아 건국에 레므노스와 임브로스의 펠라스기족이 기여했다는 점을 언급한다.[8] 헤로도토스아테네인들에게 아티카에서 추방된 후 레므노스에 정착한 사람들을 펠라스기족이라고 언급했다.[9] 로도스의 아폴로니오스는 기원전 3세기에 쓰여진 그의 ''아르고나우티카'' (IV.1760)에서 칼리스테 또는 테라에 대한 ''아이티온''에서 레므노스에 있는 티르센족의 고대 정착지를 언급했다. 그는 신티안족 레므노스인들의 칼리스테 섬으로의 도피를 레므노스 섬에서 온 "티르센족 전사들"에게 돌렸다.

3. 1. 라에티아어의 분리 시기 논쟁

헬무트 릭스는 원시 티르센어 시기가 기원전 2천년기 마지막 분기에 끝났다고 추정했다.[1] 반면 카를로 데 시모네와 시모나 마르케시니는 청동기 시대 이전으로 티르센어 분열 시기를 추정하여, 어휘가 일치하는 수가 적은 것에 대한 설명을 제공한다.[1]

2004년 L. 부케 반 데르 메르는 라에티어가 에트루리아어에서 기원전 900년경 또는 그 이전부터 분리되었을 수 있으며, 적어도 기원전 700년 이후까지는 분리되지 않았다고 제안했다. 이는 가장 오래된 에트루리아어와 라에티어 비문에서 과거 시제의 문법적 성이나 남성 ''젠틸리치아''의 어미와 같은 차이점이 나타나기 때문이다. 기원전 400년경부터 라에티는 알파인 골족에 의해 에트루리아 지역에서 고립되어 두 언어 간의 접촉이 제한되었다.[4] 그러나 이러한 늦은 연대 추정은 분열이 너무 최근의 일이고 고고학적 자료와 모순된다는 이유로 합의를 얻지 못했다. 제2철기 시대의 라에티는 프리첸스-산제노 문화로 특징지어지는데, 이는 후기 청동기 문화와 초기 철기 시대 라우겐-멜라운 문화의 연속성을 보인다. 고고학적으로 라에티는 에트루리아인에서 기원한 것으로 여겨지지 않으며, 에트루리아인이 라에티에서 기원했다는 것도 그럴듯하지 않다고 여겨진다.[4]

3. 2. 렘노스어와 에트루리아인의 기원 논쟁

헬무트 릭스는 원시 티레니아어 시기가 기원전 2천년기 마지막 분기에 끝났다고 추정했다.[1] 카를로 데 시모네와 시모나 마르케시니는 티레니아어 분열이 청동기 시대 이전에 있었다고 주장했다.[1] 이는 어휘적 일치가 적은 이유를 설명해 줄 수 있다.

2004년 L. 부케 반 데르 메르는 라에티어가 에트루리아어에서 기원전 900년경 또는 그 이전에 분리되었을 수 있다고 제안했다. 늦어도 기원전 700년 이후까지는 분리되지 않았는데, 가장 오래된 에트루리아어와 라에티어 비문에서 과거 시제의 문법적 성이나 남성 ''젠틸리치아''의 어미와 같은 차이가 나타나기 때문이다. 기원전 400년경부터 라에티는 알파인 골족에 의해 에트루리아 지역에서 고립되어 두 언어 간의 접촉이 제한되었다.[4] 그러나 이러한 늦은 연대 추정은 고고학적 자료와 모순된다는 비판을 받았다. 제2철기 시대의 라에티는 프리첸스-산제노 문화로 특징지어지는데, 이는 후기 청동기 문화와 초기 철기 시대 라우겐-멜라운 문화의 연속성을 보인다. 고고학적으로 라에티는 에트루리아인에서 기원한 것으로 여겨지지 않으며, 에트루리아인이 라에티에서 기원했다는 것도 그럴듯하지 않다고 여겨진다.[4] 에트루리아어와 라에티어의 관계는 선사 시대의 먼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는 것으로 생각된다.[4]

90년이 넘는 레므노스 고고학적 발굴에도 불구하고, 레므노스에서 에트루리아 또는 라에티어가 사용된 알프스로의 이주를 뒷받침할 만한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다. 고대 시대에 '신테이스'라고도 불린 레므노스의 원주민들은 트라키아인인 신티안족이었다.[5] 이전 발굴 결과에 따르면 초기 철기 시대 레므노스의 주민들은 미케네 그리스 인구의 잔재일 수 있으며, 레므노스에 대한 가장 초기에 증명된 언급은 미케네 그리스어 'ra-mi-ni-ja', "레므노스 여성"인데, 이는 선형 B 음절 문자로 기록되어 있다.[5] 노르베르트 외팅거, 미셸 그라스, 카를로 데 시모네와 같은 학자들은 레므노어가 기원전 700년 이전에 일어난 섬에 대한 에트루리아 상업 정착의 증거이며, 해양 민족과는 관련이 없다고 생각한다.[6] 또는 레므노스어는 후기 청동기 시대에게해에 도달했을 수 있는데, 이때 미케네 그리스 통치자들은 시칠리아, 사르데냐 및 이탈리아 반도의 여러 지역에서 용병 집단을 모집했다.

기원전 800년에서 기원전 1년 사이에 살았던 에트루리아인에 대한 2021년 고고유전학적 분석 결과, 에트루리아인은 토착적이며 철기 시대 라틴족과 유전적으로 유사하며, 에트루리아어, 따라서 티르센어족의 다른 언어는 인도유럽어족 언어의 도래 이전인 적어도 신석기 시대부터 유럽에 널리 퍼져 있었던 언어 중 살아남은 언어일 수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7] 이는 독일 유전학자 요하네스 크라우스가 주장한 바와 같은데, 그는 에트루리아어(뿐만 아니라 바스크어, 고대 사르데니아어 및 미노아어)가 "신석기 혁명 과정에서 대륙에서 발전했다"고 결론 내렸다.[7] 에트루리아인들 사이에서 최근의 아나톨리아 관련 혼합과 이란 관련 조상이 부족한 것은 유전적으로 유럽 클러스터에 확고하게 합류한 것으로, 에트루리아어 및 라에티어와 관련된 언어로 레므노스에서 발견된 소수의 비문이 "이탈리아 반도에서 출발하는 인구 이동을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할 수도 있다.

스트라보의 (''지리학'' V, 2)는 안티클리데스의 인용문을 통해 에트루리아 건국에 레므노스와 임브로스의 펠라스기족이 기여했다는 점을 언급한다.[8] 펠라스기족은 또한 헤로도토스에 의해 아테네인들에게 아티카에서 추방된 후 레므노스에 정착한 사람들로 언급된다.[9] 로도스의 아폴로니오스는 기원전 3세기에 쓰여진 그의 ''아르고나우티카'' (IV.1760)에서 레므노스에 있는 티르센족의 고대 정착지를 언급했는데, 이는 칼리스테 또는 테라에 대한 정교하게 지어낸 ''아이티온''에서 나온 것이다. 그는 지나가는 말로 신티안족 레므노스인들의 칼리스테 섬으로의 도피를 레므노스 섬에서 온 "티르센족 전사들"에게 돌렸다.

3. 3. 최근의 고고유전학적 연구

2021년 에트루리아인에 대한 고고유전학적 분석 결과, 에트루리아인은 토착 민족이며 철기 시대 라틴족과 유전적으로 유사하다는 결론이 나왔다. 이에 따르면 에트루리아어, 따라서 티르센어족의 다른 언어는 인도유럽어족 언어의 도래 이전인 적어도 신석기 시대부터 유럽에 널리 퍼져 있었던 언어 중 살아남은 언어일 수 있다. 이는 이미 독일 유전학자 요하네스 크라우스가 주장한 바와 같은데, 그는 에트루리아어(뿐만 아니라 바스크어, 고대 사르데니아어 및 미노아어)가 "신석기 혁명 과정에서 대륙에서 발전했다"고 결론 내렸다.[7] 에트루리아인들 사이에서 최근의 아나톨리아 관련 혼합과 이란 관련 조상이 부족한 것은 유전적으로 유럽 클러스터에 확고하게 합류한 것으로, 에트루리아어 및 라에티어와 관련된 언어로 레므노스에서 발견된 소수의 비문이 "이탈리아 반도에서 출발하는 인구 이동을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할 수도 있다.

4. 언어

1998년 독일 언어학자 헬무트 릭스는 당시 분류되지 않았던 세 개의 고대 언어가 그가 '티레니아어족'이라고 부르는 공통 언어 계통에 속한다고 제안했다. 그 언어들은 에트루리아에서 사용된 에트루리아어, 남부 알프스의 라에티아어, 그리고 에게해의 렘노스 섬에서 소수의 비문으로만 증명된 렘노스어이다.[3]

릭스의 티르세니아어족은 슈테판 슈마허,[3] 카를로 데 시모네, 노르베르트 푀팅거, 시모나 마르체시니,[3] 렉스 E. 윌리스와 같은 많은 언어학자들에 의해 지지받고 있다.[3] 에트루리아어, 라에티아어, 렘노스어 사이의 공통적인 특징은 형태론, 음운론, 그리고 통사론에서 발견되었다.[3] 반면에, 어휘적 일치는 거의 기록되지 않았는데, 이는 적은 수의 라에티아어 및 렘노스어 텍스트와 언어가 갈라진 이른 시기 때문일 수 있다.[1][3]

언어설명비문 수발견 지역가장 오래된 비문
에트루리아어이탈리아에서 발견된 13,000개의 비문13,000개이탈리아기원전 8세기
라에티아어중앙 알프스에서 발견된 300개의 비문300개중앙 알프스기원전 6세기
렘노스어렘노스 섬에서 발견된 2개의 비문과 소수의 극히 단편적인 비문2개 + 소수렘노스 섬기원전 6세기 후반
카무니어라에티아어와 관련이 있을 수 있으며, 중앙 알프스에서 발견된 약 170개의 비문약 170개중앙 알프스기원전 5세기


5. 증거

라에티아어와 에트루리아어는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어휘를 공유한다.

에트루리아어라에티아어의미
zalettzalxrr'둘'
-(a)cvilettakvilxrr'선물'
zinaceettt'inachexrr'그가 만들었다'
-s-s-'s (소유격)
-(i)a-a-'s (두 번째 소유격)
-ce-ku-ed (과거 능동 분사)



에트루리아어와 렘노스어는 다음과 같은 공통 특징을 갖는다.


  • 여격 접미사 ''*-si,'' ''*-ale''를 공유한다.
  • * 페루지노 비문에서 aule-si|아울레에게ett로 입증됨.
  • * 렘노스 석비에서 Hulaie-ši|훌라에에게xle, Φukiasi-ale|포키아인에게xle로 입증됨.
  • 과거 시제 접미사 ''*-a-i''를 공유한다.
  • * 에트루리아어에서 ame|이었다ett ( ← ''*amai'')와 같이 -로 나타남.
  • * 렘노스어에서 šivai|살았다xle와 같이 -로 나타남.
  • 나이를 나타내는 두 개의 동족어(avils maχs śealχisc|그리고 65세ett, aviš sialχviš|60세xle)를 공유한다.

5. 1. 에트루리아어와 라에티아어의 공통 어휘

에트루리아어라에티아어의미
zalettzalxrr'둘'
-(a)cvilettakvilxrr'선물'
zinaceettt'inachexrr'그가 만들었다'
-s-s-'s (소유격)
-(i)a-a-'s (두 번째 소유격)
-ce-ku-ed (과거 능동 분사)


5. 2. 에트루리아어와 렘노스어의 공통 특징

에트루리아어와 렘노스어에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특징은 다음과 같다.

  • 공유된 여격 접미사 ''*-si,'' 및 ''*-ale''
  • * 페루지노 비문에서 aule-si|아울레에게ett로 입증됨
  • * 렘노스 석비에서 Hulaie-ši|훌라에에게xle, Φukiasi-ale|포키아인에게xle로 입증됨
  • 과거 시제 접미사 ''*-a-i''
  • * 에트루리아어에서 ame|이었다ett ( ← ''*amai'')와 같이 -
  • * 렘노스어에서 šivai|살았다xle와 같이 -
  • 나이를 나타내는 두 개의 동족어
  • * avils maχs śealχisc|그리고 65세ett
  • * aviš sialχviš|60세xle

6. 다른 어족과의 관계

G. M. 파케티, 레이먼드 A. 브라운, 마이클 벤트리스 등은 에테오크레타어, 미노아어, 에테오키프로스어를 포함하는 "에게해" 어족 가설을 제안했다. 이 가설은 에트루리아어와 렘노스어, 미노아어와 에테오크레타어 간의 유사성에 기반한다. 제임스 멜라르트는 지명 분석을 통해 이 어족이 아나톨리아의 인도유럽어 이전 언어와 관련이 있다고 보았다. T. B. 존스는 에테오키프로스어 텍스트를 에트루리아어로 해석하려 했으나, 학계의 반박을 받았다. 에트루리아어와 미노아어(에테오크레타어 및 에테오키프로스어 포함) 간의 관계는 근거가 없는 것으로 여겨진다.[1]

인도유럽어족 내 아나톨리아어족과의 관계 가설은 역사적, 고고학적, 유전적, 언어학적 이유로 받아들여지지 않는다.[10]

세르게이 스타로스틴[11]을 비롯한 일부 소련 및 탈소련 언어학자들은 티레니아어족과 북동캅카스어족 간의 연관성을 주장했다. 이들은 에트루리아어, 후르리어, 북동캅카스어족 언어들 간의 음운 대응 관계, 숫자, 문법 구조, 음운론을 근거로 제시했지만, 대부분의 언어학자들은 이 주장에 의문을 제기하거나 증거가 불충분하다고 본다.

6. 1. 에게해어족 가설

에테오크레타어, 미노아어, 에테오키프로스어를 포함하는 더 큰 "에게해" 어족을 G. M. 파케티가 제안했다. 그는 에트루리아어와 렘노스어 사이의 유사점, 그리고 미노아어와 에테오크레타어와 같은 언어들 사이의 유사점을 언급했다. 만약 이 언어들이 에트루리아어 및 라에티아어와 관련이 있다는 것이 밝혀진다면, 최소한 에게해 제도크레타에서 그리스 본토와 이탈리아 반도를 거쳐 알프스 산맥까지 뻗어 있는 인도유럽어 이전 언어 어족을 구성할 것이다.[1] 레이먼드 A. 브라운도 이전에 이러한 언어들 간의 관계를 제안했다.[1] 마이클 벤트리스존 채드윅과 함께 선 문자 B를 해독하는 데 성공했으며, 에트루리아어와 미노아어 사이에 관련성이 있다고 생각했다.[1]

파케티는 미노아어에서 파생된 두 개의 분기로 이루어진 가상적인 어족을 제안하며, 미노아어에서 원 티르세니아어가 나왔고, 여기에서 에트루리아어, 렘노스어, 라에티아어가 나왔을 것이라고 보았다.[1] 제임스 멜라르트는 지명 분석을 기반으로 이 어족이 아나톨리아의 인도유럽어 이전 언어와 관련이 있다고 제안했다.[1] 또 다른 미노아어 분기에서는 에테오크레타어가 나왔을 것이다.[1] T. B. 존스는 1950년에 에테오키프로스어 텍스트를 에트루리아어로 읽는 것을 제안했지만, 이는 대부분의 학자들에게 반박되었지만, 구소련에서 인기를 얻었다.[1] 어쨌든, 에트루리아어와 미노아어(에테오크레타어 및 에테오키프로스어 포함) 간의 관계는 근거가 없는 것으로 간주된다.[1]

미노아어나 인도유럽어족, 캅카스어족과의 동계설이 있지만, 자세한 내용은 불명이다.[2]

6. 2. 아나톨리아어족 가설

인도유럽어족 내에서 아나톨리아어족과의 관계가 제안되었지만, 역사적, 고고학적, 유전적, 언어학적 이유로 받아들여지지 않는다.[10] 만약 이 언어들이 인도유럽어 이전이 아닌 초기 인도유럽어 계층에 속한다면, 크라헤의 고대 유럽 수계 지명과 관련이 있으며 초기 청동기 시대의 ''쿠르간화'' 시대로 거슬러 올라갈 것이다.

6. 3. 북동캅카스어족 가설

몇몇 주로 소련 및 탈소련 언어학자들, 예를 들어 세르게이 스타로스틴[11]은 알라로디아어족에 속하는 언어인 티레니아어족과 북동캅카스어족 사이에 연관성이 있다고 주장했다. 이 주장은 에트루리아어, 후르리어, 그리고 북동캅카스어족 언어들 간의 음운 대응 관계, 숫자, 문법 구조, 그리고 음운론에 근거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언어학자들은 이 언어족들의 연관성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거나, 증거가 결정적이지 않다고 여긴다.

7. 소멸

이 언어 집단은 기원전 3세기경 에게해에서 (화자들이 그리스어로 동화되면서) 소멸된 것으로 보이며, 에트루리아어는 기원후 1세기경 이탈리아에서 (라틴어로 동화되면서) 소멸되었다.[12] 가장 늦은 라에티아어 비문은 기원전 1세기에 기록되었다.[1]

참조

[1] 웹사이트 Raetic http://mnamon.sns.it[...]
[2] 서적 2014
[3] 웹사이트 Raetica http://www.univie.ac[...] Department of Linguistics, [[University of Vienna]] 2018-07-26
[4] 서적 2019
[5] 웹사이트 Word study tool of ancient languages http://www.palaeolex[...]
[6] 서적 2010
[7] 서적 2021
[8] 간행물 Lacus Curtius https://penelope.uch[...] [[University of Chicago]]
[9] 간행물 The Histories https://www.perseus.[...] Tufts
[10] 서적 Etruscan by definition: the cultural, regional and personal identity of the Etruscans. Papers in honour of Sybille Haynes British Museum Press
[11] 서적 Explorations in Language Macrofamilies Bochum
[12] 논문 The Survival of Etruscan https://scholarworks[...]
[13] 서적 Rätisch und Etruskisch 199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