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파우스토 베란치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파우스토 베란치오는 오늘날 크로아티아에 속하는 시베니크 출신의 귀족 가문에서 태어난 인물로, 법학, 물리학, 공학 등을 공부하고 헝가리와 트란실바니아의 재상을 역임했다. 그는 1615년 베네치아에서 자신의 발명품과 디자인을 담은 《새로운 기계》를 출판했으며, 여기에는 낙하산, 풍력 터빈, 다리 건설 등 다양한 기술적 개념이 포함되어 있다. 베란치오는 또한 5개 국어 사전을 편찬했으며, 그의 저술은 17세기의 기술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그는 낙하산 시험을 수행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의 유산은 다양한 기념관, 상, 그리고 문화 행사로 기려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파우스토 베란치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파우스트 브란치치 초상화
본명파우스트 브란치치
로마자 표기Faust Vrančić
출생1551년 1월 1일
출생지세베니코, 베네치아 공화국(현재 시베니크, 크로아티아)
사망1617년 1월 27일
사망지베네치아, 베네치아 공화국
분야박식가, 주교
작품Machinae Novae
Dictionarium quinque nobilissimarum Europæ linguarum
생애 및 업적
언어라틴어
이탈리아어
크로아티아어
헝가리어
관련 인물
후원자루돌프 2세

2. 생애

파우스토 베란치오는 오늘날 크로아티아에 속하는 시베니크의 귀족 가문에서 태어났다.[38] 그의 삼촌 안토니오 베란치오는 에스테르곰의 대주교이자 외교관이었으며 에라스무스, 필리프 멜란히톤, 니콜라 슈비크 지린스키 등과 교분을 맺고 있었다.[39] 파우스토 베란치오는 삼촌을 따라 베네치아로 이주하였다.[40]

파우스토의 삼촌 안토니오, 마틴 로타의 조각.


어린시절부터 과학에 흥미를 보였고, 파도바에서 대학을 다니면서 법학, 물리학, 공학 등을 공부하였다. 대학을 마친 뒤 루돌프 2세가 있는 프라하의 흐라차니 성에서 헝가리와 트란실바니아를 담당하는 공무원이 되었고, 이 때 요하네스 케플러, 티코 브라헤 등과 만나게 되었다.

1598년 아내가 사망하자[41] 차나드의 주교(Episcŏpus Csanadiensisla)가 되어 헝가리로 갔고, 1609년 베네치아로 귀환하여 타르수스의 성 바오로 수도회에 들어갔다. 파우스토 베란치오는 1617년 사망하여 가족의 영지와 가까운 달마시아 지역에 묻혔다.

2. 1. 가문과 배경

파우스토 베란치오는 오늘날 크로아티아에 속하는 시베니크의 귀족 가문에서 태어났다.[38] 그의 아버지 미켈레/미호빌 브란치치(베란치오)는 라틴 시인이었고, 어머니는 카타리나 베리슬라비치였다.[13] 파우스토에게는 형제 카지미르(1557-1637)가 있었다.[13]

그의 삼촌 안토니오 베란치오는 에스테르곰의 대주교이자 외교관이었으며 에라스무스, 필리프 멜란히톤, 니콜라 슈비크 지린스키 등과 교분을 맺고 있었다.[39][14][15] 파우스토 베란치오는 삼촌을 따라 베네치아로 이주하였다.[40][15]

베란치오 가문은 시베니크에 주로 거주하였지만, 섬인 프르비치의 셰푸리네 지역과 프르비치-루카 근처에 큰 별장을 소유하고 있었다. 이 바로크 건축 양식의 성은 베란치오 가문의 여름 별장으로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드라가니치 가문이 소유하고 있다. 1578년, 파우스토는 마리에타 자르와 결혼하여 딸 알바-로자와 아들을 두었으나, 아들은 어린 나이에 사망했을 가능성이 있다.[13]

2. 2. 교육 및 초기 활동

파우스토 베란치오는 오늘날 크로아티아에 속하는 시베니크[38]의 귀족 가문에서 태어났다. 그의 삼촌 안토니오 베란치오는 에스테르곰의 대주교이자 외교관이었으며 에라스무스, 필리프 멜란히톤, 니콜라 슈비크 지린스키 등과 교분을 맺고 있었다.[39] 어린 시절 안툰의 가르침을 받으며[13] 베란치오는 과학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삼촌을 따라 베네치아로 이주하여 학교를 다녔다.[40] 그 후 파도바로 가서 법학, 물리학, 공학기계공학을 전공했다.

신성 로마 제국 황제 루돌프 2세의 프라하 흐라트차니 성 궁정에서 베란치오는 헝가리와 트란실바니아의 재상으로, 요하네스 케플러 및 티코 브라헤와 자주 교류했다. 1598년 아내가 사망하자[16][41] 베란치오는 헝가리로 떠나 차나드 주교(''Episcŏpus Csanadiensis'') in partibus (비록 그가 체나드에 발을 들인 적은 없지만)의 지위를 받았다. 1609년 베네치아로 돌아온 그는 바르나바 수도회에 가입하여 과학 연구에 전념했다.

2. 3. 주교 임명과 수도회 생활

파우스토 베란치오는 크로아티아 시베니크의 귀족 가문에서 태어났다.[38] 그의 삼촌 안토니오 베란치오는 에스테르곰의 대주교이자 외교관이었다.[39] 베란치오는 어릴적 부터 과학에 흥미를 보였으며, 베네치아에서 학교를 다녔고, 파도바에서 법학, 물리학, 공학기계공학을 공부하였다.

신성 로마 제국 황제 루돌프 2세의 프라하 흐라트차니 성 궁정에서 베란치오는 헝가리와 트란실바니아의 재상을 담당했고, 요하네스 케플러 및 티코 브라헤와 자주 교류했다. 아내가 사망하자,[16][41] 베란치오는 헝가리로 떠났다. 1598년, 차나드 주교 (Episcŏpus Csanadiensisla) ''in partibus''의 지위를 받았다. 1609년 베네치아로 돌아온 그는 바르나바 수도회에 가입하여 과학 연구에 전념했다.

2. 4. 사망과 매장

파우스토 베란치오는 1609년 베네치아로 귀환하여 타르수스의 성 바오로 수도회에 들어갔다. 1617년 사망하여 가족의 영지와 가까운 달마시아 지역에 묻혔다.

3. 주요 업적

베란치오의 대표작인 《'''새로운 기계(Machinae Novae)'''》(베네치아, 1615년 또는 1616년)[17]는 56개의 서로 다른 기계, 기타 도구 및 기술적 개념을 묘사한 49개의 대형 그림을 담고 있다.

이 작품에는 두 가지 변형이 있는데, 하나는 라틴어이탈리아어로 된 ''"선언"''이 있고, 다른 하나는 세 개의 언어가 추가되었다. 몇 부만 남아 있으며, 종종 5개 언어로 완전한 텍스트를 제공하지 못한다. 이 책은 이탈리아어, 스페인어, 프랑스어, 독일어로 쓰여졌다.[18] 도표는 저자의 다양한 프로젝트, 디자인 및 구상을 나타낸다. 여기서 베란치오는 시계, "만능 시계"(도판 6–7), 다양한 종류의 제분기, 농업 기계, 다양한 재료로 된 다양한 종류의 다리, 바다를 정화하는 기계, 노새가 끄는 이중 안락 의자(도판 47), 특수 코치, 그리고 낙하산의 전신인 ''호모 볼란스''(Homo Volans, 도판 38)에 대해 썼다. 그의 아이디어에는 현대적인 구명 부표와 유사한 부유물(도판 39), 물의 흐름에 의존하는 독창적인 동력 메커니즘을 갖춘 보트(도판 40 및 41), 그리고 인쇄기를 개선하기 위한 회전식 인쇄기(도판 46)가 포함되었다.

이 책은 저자가 출판사 없이 자비로 출판했고 자금 부족으로 인쇄를 중단해야 했기 때문에 매우 희귀했지만,[6] 《새로운 기계》는 베란치오의 세계적인 명성에 크게 기여한 작품이었다. 그의 디자인 그림은 몇 년 후 다시 인쇄되어 중국에서 출판되었다.[19]

''Machinae novae'', 1615

3. 1. 《새로운 기계》(Machinae Novae)



《'''새로운 기계'''》(라틴어: ''Machinae Novae'')는 파우스토 베란치오가 1615년 베네치아에서 출판한 책이다. 베란치오는 이 책에서 자신의 발명품과 디자인을 소개했다.

=== 낙하산 (호모 볼란스) ===

''"Machinae Novae"'' 판 38: 베란치오의 낙하산


''Machinae Novae''에 실린 삽화 중 하나는 '호모 볼란스'(Homo Volans, "나는 사람")라는 낙하산 스케치이다. 베란치오는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낙하산 거친 스케치를 검토한 후, 자신만의 낙하산을 설계했다.[20][21] 파올로 귀도티는 이미 이 아이디어를 실행하려다 집 지붕에 떨어져 허벅지 뼈가 부러지는 사고를 겪었다(1590년경). 하지만 프랜시스 고드윈이 비행 소설 ''달의 남자''를 쓰는 동안 파우스토 베란치오는 실제로 낙하산 점프 실험을 수행한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따라서 낙하산을 제작하고 시험한 최초의 사람으로 여겨진다.[22] 전설에 따르면 베란치오는 1617년 65세가 넘은 나이에 낙하산 설계를 실행에 옮겨 산 마르코의 종탑에서 뛰어내리는 방식으로 시험했다고 한다.[23] 이 사건은 약 30년 후 런던의 왕립 학회 서기인 존 윌킨스가 쓴 책 ''Mathematical Magick or, the Wonders that may be Performed by Mechanical Geometry''(런던, 1648)에 기록되었다.

그러나 윌킨스는 자신의 저서에서 비행과 인간 비행의 가능성에 대해 썼지만,[24] 사람의 낙하 속도를 늦추는 방법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았다. 그의 논문에는 베란치오의 이름조차 언급되어 있지 않으며, 1617년에 낙하산 점프 또는 기타 사건에 대한 기록도 없다.[24] 베란치오의 낙하산 시험에 대한 증거는 지금까지 발견되지 않았다.

=== 풍력 터빈 ===

233x233px


그는 공학 및 기계 분야에 광범위한 관심을 가졌다. 제분소는 그의 주요 연구 분야 중 하나였으며, 그는 18가지의 서로 다른 설계를 만들었다. 그는 수직 및 수평 회전축을 가진 풍차를 구상했으며,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서로 다른 날개 구조를 고안했다. 조수 간만의 차를 이용한 방앗간의 아이디어는 고조 때 물이 채워지고 간조 때 비워지는 축적 풀을 포함하여 단순한 중력을 사용했다. 이 개념은 최근에 엔지니어링되어 사용되었다. 최초의 풍력 터빈은 파우스토 베란치오에 의해 묘사되었다. 그의 저서 《새로운 기계들》(1616)에서 그는 곡선 또는 V자형 블레이드를 가진 수직 축 풍력 터빈을 설명했다.

=== 다리 건설 ===

교황의 명령에 따라 그는 로마에서 2년을 보냈는데, 로마는 종종 테베레 강의 범람으로 인해 강을 규제하는 데 필요한 프로젝트를 구상하고 만들었다.[6] 그는 또한 바다로 둘러싸인 베네치아의 우물과 물 공급 문제를 해결했다.[25] 물, 불 또는 기타 방법을 사용하여 시간을 기록하는 장치가 구상되고 구체화되었다. 그의 태양 시계는 시간, 날짜 및 달을 읽는 데 효과적이었지만 정오에만 작동했다.

금속 다리 건설 방법과 정역학 분야의 힘의 역학도 그의 연구의 일부였다. 그는 현대 현수교사장교의 실제 건설보다 2세기 이상 앞서 제안을 했다. 마지막 영역은 수학자 시몬 드 브뤼헤스(시몬 스테빈)가 1586년에 별도의 책에서 더 발전시켜 설명했다. 베란치오는 또한 현대 아치교, 통과 아치교, 트러스 교 및 공중 리프트의 개념을 설계했다.

=== 기타 발명품 ===

"기타 발명품" 섹션의 내용은 "다리 건설" 섹션과 중복되므로, 출력하지 않는다.

3. 1. 1. 낙하산 (호모 볼란스)



''Machinae Novae''에 실린 삽화 중 하나는 '호모 볼란스'(Homo Volans, "나는 사람")라는 낙하산 스케치이다. 베란치오는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낙하산 거친 스케치를 검토한 후, 자신만의 낙하산을 설계했다.[20][21] 파올로 귀도티는 이미 이 아이디어를 실행하려다 집 지붕에 떨어져 허벅지 뼈가 부러지는 사고를 겪었다(1590년경). 하지만 프랜시스 고드윈이 비행 소설 ''달의 남자''를 쓰는 동안 파우스토 베란치오는 실제로 낙하산 점프 실험을 수행한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따라서 낙하산을 제작하고 시험한 최초의 사람으로 여겨진다.[22] 전설에 따르면 베란치오는 1617년 65세가 넘은 나이에 낙하산 설계를 실행에 옮겨 산 마르코의 종탑에서 뛰어내리는 방식으로 시험했다고 한다.[23] 이 사건은 약 30년 후 런던의 왕립 학회 서기인 존 윌킨스가 쓴 책 ''Mathematical Magick or, the Wonders that may be Performed by Mechanical Geometry''(런던, 1648)에 기록되었다.

그러나 윌킨스는 자신의 저서에서 비행과 인간 비행의 가능성에 대해 썼지만,[24] 사람의 낙하 속도를 늦추는 방법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았다. 그의 논문에는 베란치오의 이름조차 언급되어 있지 않으며, 1617년에 낙하산 점프 또는 기타 사건에 대한 기록도 없다.[24] 베란치오의 낙하산 시험에 대한 증거는 지금까지 발견되지 않았다.

3. 1. 2. 풍력 터빈



그는 공학 및 기계 분야에 광범위한 관심을 가졌다. 제분소는 그의 주요 연구 분야 중 하나였으며, 그는 18가지의 서로 다른 설계를 만들었다. 그는 수직 및 수평 회전축을 가진 풍차를 구상했으며,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서로 다른 날개 구조를 고안했다. 조수 간만의 차를 이용한 방앗간의 아이디어는 고조 때 물이 채워지고 간조 때 비워지는 축적 풀을 포함하여 단순한 중력을 사용했다. 이 개념은 최근에 엔지니어링되어 사용되었다. 최초의 풍력 터빈은 파우스토 베란치오에 의해 묘사되었다. 그의 저서 《새로운 기계들》(1616)에서 그는 곡선 또는 V자형 블레이드를 가진 수직 축 풍력 터빈을 설명했다.

3. 1. 3. 다리 건설

교황의 명령에 따라 그는 로마에서 2년을 보냈는데, 로마는 종종 테베레 강의 범람으로 인해 강을 규제하는 데 필요한 프로젝트를 구상하고 만들었다.[6] 그는 또한 바다로 둘러싸인 베네치아의 우물과 물 공급 문제를 해결했다.[25] 물, 불 또는 기타 방법을 사용하여 시간을 기록하는 장치가 구상되고 구체화되었다. 그의 태양 시계는 시간, 날짜 및 달을 읽는 데 효과적이었지만 정오에만 작동했다.

금속 다리 건설 방법과 정역학 분야의 힘의 역학도 그의 연구의 일부였다. 그는 현대 현수교사장교의 실제 건설보다 2세기 이상 앞서 제안을 했다. 마지막 영역은 수학자 시몬 드 브뤼헤스(시몬 스테빈)가 1586년에 별도의 책에서 더 발전시켜 설명했다. 베란치오는 또한 현대 아치교, 통과 아치교, 트러스 교 및 공중 리프트의 개념을 설계했다.

3. 1. 4. 기타 발명품

교황의 명령에 따라 그는 로마에서 2년을 보냈는데, 로마는 종종 테베레 강의 범람으로 인해 강을 규제하는 데 필요한 프로젝트를 구상하고 만들었다.[6] 그는 또한 바다로 둘러싸인 베네치아의 우물과 물 공급 문제를 해결했다.[25] 물, 불 또는 기타 방법을 사용하여 시간을 기록하는 장치가 구상되고 구체화되었다. 그의 태양 시계는 시간, 날짜 및 달을 읽는 데 효과적이었지만 정오에만 작동했다.

금속 다리 건설 방법과 정역학 분야의 힘의 역학도 그의 연구의 일부였다. 그는 현대 현수교사장교의 실제 건설보다 2세기 이상 앞서 제안을 했다. 마지막 영역은 수학자 시몬 드 브뤼헤스(시몬 스테빈)가 1586년에 별도의 책에서 더 발전시켜 설명했다. 베란치오는 또한 현대 아치교, 통과 아치교, 트러스 교 및 공중 리프트의 개념을 설계했다.

3. 2. 사전 편찬

표지 ''다섯 개 언어 사전''


베란치오는 5개 국어 사전의 저자였다.[26] 이 사전의 제목은 ''Dictionarium quinque nobilissimarum Europæ linguarum, Latinæ, Italicæ, Germanicæ, Dalmatiæ, & Vngaricæ''로, 1595년 베네치아에서 출판되었으며, 각 언어별로 5,000개의 항목을 수록했다. 수록된 언어는 라틴어, 이탈리아어, 독일어, 달마티아 방언 (특히 크로아티아어의 차카비아 방언)과 헝가리어였다. 그는 이 언어들을 "다섯 개의 가장 고귀한 유럽 언어"라고 칭했다 ("''quinque nobilissimarum Europæ linguarum''").[28]

이 ''Dictionarium''은 크로아티아어와 헝가리어 어휘 연구의 매우 초기이자 중요한 사례이며, 어휘 병렬 목록 외에도 두 언어에 대한 다른 문서를 포함하고 있다. 특히 베란치오는 ''Dictionarium''에 크로아티아어에서 차용어로 간주되는 304개의 헝가리어 단어를 수록했다. 또한 책의 마지막 부분에는 십계명, 주기도문, 성모 마리아 기도 및 사도신경의 크로아티아어 버전을 포함시켰다.[29]

사전의 확장판인 ''Vocabula dalmatica quae Ungri sibi usurparunt''에는 헝가리어에 유입된 초기 크로아티아어 단어 목록이 있다. 이 책은 크로아티아어와 헝가리어의 정서법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 헝가리어는 그의 제안을 받아들여, 예를 들어 ''ly'', ''ny'', ''sz'', ''cz''의 사용을 채택했다. 또한 헝가리어의 최초 사전으로, 베네치아, 프라하 (1606년), 포조니 (1834년),[30] 그리고 자그레브 (1971년)에서 4번 인쇄되었다. 이 작품은 베르나르디노 발디가 쓴 헝가리어-이탈리아어 사전, 인문주의자이자 어휘 편찬자인 히에로니무스 메기저의 독일어 ''Thesaurus polyglottus'', 그리고 1605년 프라하의 페트루스 로데레케루스가 쓴 다국어 ''Dictionarium septem diversarum linguarum''과 같은 다른 유럽 사전에 중요한 영감을 제공했다.[6]

3. 3. 기타 저술 활동

베란치오의 역사 관련 저작은 몇 편 남아 있지 않다. 『Regulae cancellariae regni Hungariae』와 『De Slavinis seu Sarmatis in Dalmatia』는 필사본 형태로 존재하며, 『Scriptores rerum hungaricum』은 1798년에 출판되었다. 1616년 베네치아에서 단일 판으로 출판된 『Logica nova』("새로운 논리")와 『Ethica christiana』("기독교 윤리")에서 베란치오는 신학 문제를 다루었으며, 이는 종교 개혁 운동과 가톨릭교 간의 이념적 충돌과 관련이 있었다. 토마소 캄파넬라(1568–1639)와 스플리트 대주교 마르코 안토니오 데 도미니스(1560–1624)는 그의 지적 동료였다.

4. 유산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은 기계 공학을 공부하기 시작했을 때, 르네상스 시대의 기술 논문, 특히 베란치오의 ''새로운 기계''(Machinae Novae)를 읽고 큰 영향을 받았다.[31] 17세기에 지어진 롱아일랜드의 ''브루클린 조력 제분소''는 파우스토 베란치오의 설계를 바탕으로 건설되었다.[6][33][34]

1965년에는 시베니크에 ''"파우스트 브란치치" 천문학회''가 설립되었다. 1969년에는 코스타 안젤리 라도바니의 작품인 그의 초상이 새겨진 메달이 자그레브 대학교 총장의 체인에 부착되었다. 1992년, 크로아티아 의회는 기술 문화 분야에서 뛰어난 업적을 이룬 개인, 협회 및 기타 법인에게 수여하는 ''"파우스트 브란치치" 국가 기술 문화상''을 제정했다. 1993년에는 그의 흉상이 니콜라 테슬라 기술 박물관의 ''크로아티아 과학 기술 천재 조각 정원''에 세워졌다.

2012년, 베란치오의 삶에 대해 더 자세히 알아보고 그의 가장 유명한 발명품을 볼 수 있는 ''[http://www.mc-faustvrancic.com/en/ 파우스트 브란치치 기념관]''이 프르비치 섬에 문을 열었다. 크로아티아 해군의 구조선 BS-73과 크로아티아의 많은 학교와 거리가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문화 행사 ''파우스트 브란치치 축제''가 매년 시베니크에서 열린다.

참조

[1] 간행물 Ivetic 2020
[2] 웹사이트 Veranzio, Fausto https://www.treccani[...] Enciclopedia Italiana 2021-03-05
[3] 서적 The New Encyclopaedia Britannica, Volume 7 https://books.google[...] Encyclopaedia Britannica
[4] 서적 Made in Hungary: Hungarian contributions to universal culture https://books.google[...]
[5] 웹사이트 The Hungarian Quarterly, Vol. XLII * No. 162 *, Summer 2001 http://www.hungarian[...] 2011-07-12
[6] 웹사이트 Verantius, Faustus (also known as Faust Vrančić or Veranzio) http://www.encyclope[...]
[7] 웹사이트 1797. október 22. Az első ejtőernyős ugrás https://old.rubicon.[...] 2024-06-20
[8] 웹사이트 Megidézik Verancsics Faustus alakját is http://forumhungaric[...] 2024-06-20
[9] 웹사이트 Magyar feltalálók: Verancsics János és a repülés https://karpatalja.m[...] 2014-01-28
[10] 학술지 A technikai fejlődés magyar-dalmát úttörője, Verancsics Faustus 1967
[11] 웹사이트 VERANCSICS FAUSTUS https://tudosnaptar.[...] 2024-06-20
[12] 웹사이트 A várkapitányból lett "veszprémi da Vinci", aki feltalálta az ejtőernyőt https://lelepo.hu/ve[...] 2023-01-19
[13] 학술지 Obiteljski korespondenti Antuna Vrančića (1504.-1573.): Biografski podaci i lokacija rukopisne građe https://hrcak.srce.h[...] 2014
[14] 서적 Travels Into Dalmatia https://books.google[...] Cosimo, Inc. 2007
[15] 서적 Memoirs of the Court of Augustus: Continued, and Completed, from the Original Papers of the Late Thomas Blackwell https://books.google[...] A. Millar
[16] 서적 Cultural Link Kanada, Deutschland: Festschrift zum dreissigjährigen Bestehen eines akademischen Austauschs https://books.google[...] Röhrig Universitätsverlag
[17] 문서 Some friends thanked him for this book in 1616; the date of 1595 refers to the publication of his ''Dictionarium''
[18] 웹사이트 "Original ''Machine Novae'', Fausto VERANZIO" https://translate.go[...]
[19] 서적 Missionary approaches and linguistics in mainland China and Taiwan Leuven University Press 2001
[20] 학술지 "The Invention of the Parachute" https://books.google[...] 1968
[21] 서적 The Rough Guide to Croatia https://books.google[...] Rough Guides 2003
[22] 서적 The World in the Air: The Story of Flying in Pictures https://books.google[...] G.P. Putnam's Sons
[23] 서적 He's in the paratroops now https://books.google[...] R.M. McBride & Company
[24] 문서 Mathematical Magick
[25] 서적 Biblioteca italiana, o sia giornale di letteratura, scienze ed arti ... https://books.google[...]
[26] 서적 Dictionaries in Early Modern Europe: Lexicography and the Making of Heritag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8-03-27
[27] 서적 Dictionarium quinque nobilissimarum Europæ linguarum, Latinæ, Italicæ, Germanicæ, Dalmatiæ, & Vulgaricæ https://books.google[...] Apud Nicolaum Morettum.
[28] 문서 When Petrus Lodereckerus published in 1606 his ''Dictionarivm septem diversarvm lingvarvm], videlicet Latine, Italice, Dalmatice, Bohemicè, Polonicè, Germanicè, & Vngaricè, vna cum cuiuslibet linguæ registro siue repertorio vernaculo, Singulari studio & industria collectum a Petro Lodereckeroin'' ([[Prague]]), he included two more languages than Veranzio's ''pentadictionary'': [[Czech language|Czech]] and [[Polish language|Polish]], with the addition of indices in Latin for each language.
[29] 서적 Was Faust Vrančić the First Croatian Lexicographer? https://books.google[...] Istituto Universitario Orientale
[30] 문서 Today Bratislava in Slovakia
[31] 서적 Portraits of Wittgenstein https://books.google[...]
[32] 서적 Ocean Energy: Tide and Tidal Power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09-02-08
[33] 서적 Energy from the sea: marine resource readings https://books.google[...] Book & Tackle Shop 1977-09
[34] 웹사이트 ISES Congress 2007 https://scholar.goog[...]
[35] 서적 He's in the paratroops now http://books.google.[...] R.M. McBride & Company
[36] 서적 Made in Hungary: Hungarian contributions to universal culture http://books.google.[...] 2011-07-17
[37] 서적 The Prehistory of Aviation http://books.google.[...] Chicago Field Museum of Natural History, University of Michigan
[38] 서적 A collection of modern and contemporary voyages & travels http://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39] 서적 Travels Into Dalmatia http://books.google.[...]
[40] 서적 Memoirs of the court of Augustus: continued, and completed, from the original papers of the late Sir Thomas Blackwell http://books.google.[...] University of Aberdeen, Printed for A. Millar
[41] 서적 Cultural Link Kanada, Deutschland: Festschrift zum Dreissigjährigen Bestehen http://books.googl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