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평양성 (고구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평양성은 고구려가 수도로 삼았던 성으로, 현재는 평양직할시 시가지에 위치한 것으로 추정된다. 4중 구조로 외성, 중성, 내성, 북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고구려 멸망 시까지 수도로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고려 시대에는 서경으로 불리며, 조선 시대에는 평안도의 핵심적인 성으로 기능했다. 임진왜란과 구한말의 전투, 일제강점기 성곽 철거, 한국 전쟁을 거쳐 현재 북한에서 문화재로 지정되어 관리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평원왕 - 강서대묘
    강서대묘는 널방에 사신도 등 벽화가 그려진 원형 분구 형태의 고구려 고분으로, 화강암 널방과 모줄임천장 구조, 철선묘법의 사신도 벽화가 특징이며 7세기 초에 축조된 것으로 추정된다.
  • 평원왕 - 온달
    온달은 고구려의 평민 출신 장군으로, 평강공주와의 혼인 후 뛰어난 무예와 용맹을 떨쳐 이름을 알렸으며, 신라에게 빼앗긴 땅을 되찾기 위한 전투에서 전사한 인물이다.
  • 평양시의 역사 - 평안남도 (일제강점기)
    평안남도 (일제강점기)는 1910년부터 1945년까지 한일 병합 조약 이후 일본 제국의 식민 통치하에 놓였던 평안남도를 지칭하며, 조선총독부의 지배하에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모든 면에서 일본의 영향을 받았고, 지하자원 수탈, 강제 징용, 황민화 정책 등으로 고통받았으나 민족 교육과 독립운동을 통해 저항을 이어갔다.
  • 평양시의 역사 - 평양 전투 (371년)
    평양 전투 (371년)는 백제 근초고왕의 공격으로 고구려 고국원왕이 전사한 사건이며, 소수림왕 대에 국가 체제를 정비하여 국력을 회복하는 계기가 되었다.
평양성 (고구려)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평양성
한글평양성
한자平壤城
로마자 표기Pyeongyangseong
문화유산 유형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국보 번호1
위치평양시 중구역, 보통강구역, 평천구역
시대고구려
소유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문화성
역사
별칭장안성
한글 (별칭)장안성
한자 (별칭)長安城
로마자 표기 (별칭)Janganseong
배경427년 수도를 평양으로 옮겼으나, 586년 가군이 계획한 장안성 건설로 인해 수도 위치가 평양 안학궁에서 동쪽으로 약간 이동했음.
추가 정보
관련 링크장안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
관련 링크안학궁 (한국민족문화대백과)
관련 링크가군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이미지
평양성의 4대문 중 하나인 보통문
평양성의 4대문 중 하나인 보통문

2. 위치

보통문


대동문


을밀대


주류 학계에서는 평양성이 지금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직할시 시가지에 위치했다고 추정하고 있다. 그러나 일부 학자들은 평양성이 지금의 중화인민공화국 랴오양시에 위치했다고 주장한다.[12]

3. 구조

모란봉


칠성문(1908년)


평양성은 외성, 중성, 내성, 북성의 4중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3. 1. 외성



평양성의 가장 바깥쪽 성벽이다.[13]

3. 2. 중성

보통문은 외성과 내성 사이에 위치한 성벽의 주요 출입문이다.[14]

3. 3. 내성



평양성의 중심부 성벽으로, 대동문[13], 을밀대[14], 칠성문 등이 내성에 위치한다.

3. 4. 북성

4. 역사

평양성은 고구려의 수도였으며, 고려조선 시대에도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고구려 시대에는 양원왕 때 평양성 축조가 시작되어 보장왕 대까지 여러 태왕들이 이곳에서 즉위했다. 고수전쟁과 고당전쟁에서 승리하며 고구려의 전성기를 이끌었으나, 막리지의 난연씨정권 시기 내분으로 인해 국력이 약화되었다.

고려는 고구려 계승 의식에 기반하여 평양성을 서경으로 칭하고 중요하게 여겼으며, 묘청의 난 당시 수도 이전 주장이 제기될 정도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다.

조선 시대에는 평안도 지역의 핵심적인 성으로 역할을 수행했으며, 임진왜란 당시 평양 전투가 벌어진 장소이기도 하다. 구한말에는 청나라일본 제국 간의 평양 전투가 벌어졌다.

일제강점기에는 일본 제국에 의해 성곽이 철거되었다.

북한은 한국전쟁 당시 평양 전투 (1950년)를 겪었지만, 평양성을 국보 제1호로 지정하고 보통문, 대동문 등 주요 유적을 보존하고 있다.

4. 1. 고구려

양원왕 시기인 552년에 천도가 결정되어 축조 예정지 선정 및 건축 계획이 시작되었다. 566년 내성 축조가 시작되었으며, 586년 천도, 589년 중성과 외성 축조가 시작되었고, 593년에 최종적으로 완성되었다.[15][16]

평원왕, 영양왕, 영류왕, 보장왕 등 4명의 태왕이 이곳에서 즉위하였으며, 온달 장군과 평강공주의 전설인 온달 설화가 만들어졌다. 고수전쟁, 고당전쟁과 같은 국제전쟁에서 승리하며 고구려의 전성기를 이끌었다.[17]

평양성 천도 시점은 광개토왕, 장수왕대에 걸친 정복 활동의 성과와 고국천왕, 소수림왕대에 발전한 중앙집권제가 완성된 시기였다. 이를 바탕으로 수나라, 당나라 등 중국 통일 왕조와의 전쟁에서도 10만~15만 대군을 동원해[18] 승리할 수 있었으며, 고구려의 국력이 가장 강성했던 시기였다.

그러나 연개소문이 주화파 대신 180명과 영류왕을 죽이고 보장왕을 옹립한 막리지의 난이 일어났다. 이로 인해 왕자의 장안 입조를 놓고 조정이 둘로 나뉘고, 반당파가 친당파를 학살하는 등 정국이 혼란스럽게 전개되었다. 연개소문, 연남생, 연남건 3명의 연씨정권이 수립되었고, 안시성주와 연개소문의 정치적 충돌까지 일어났다.[17] 결국 형제들 간의 내분이 일어나 배신자 신성이 고구려의 멸망을 가속화하게 되었다.

4. 2. 고려

고려는 고구려를 계승한다는 정체성에 기반하여 평양성을 서경으로 칭하고 중요하게 여겼다.[19][20] 묘청의 난 당시 서경으로 수도를 옮겨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될 정도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다.[21]

4. 3. 조선

평안도 지역의 핵심적인 성으로 역할을 수행하였다.[22] 임진왜란 당시 평양성에서 조선군, 일본군, 명나라 군 간에 격렬한 전투가 여러 차례 벌어졌다. 대표적으로 평양 전투는 1차부터 4차까지 벌어졌다.[23] 구한말에는 청나라일본 제국 간의 평양 전투(1894년)가 벌어졌다.

4. 4. 일제강점기

조선을 침탈한 일본 제국평양성의 성곽을 철거시켰다.

4. 5. 북한

한국전쟁 당시 평양 전투 (1950년)가 발생하였다. 북한은 남한보다 고구려 및 고려 시대 문화재가 많은 점을 고려하여 평양성의 보통문, 대동문, 을밀대, 모란봉 등을 문화재로 보존하고 있다. 북한은 평양성을 국보 제1호로 지정하였다.[24][25]

참조

[1] 논문 The relationship between Shilla and Wae from the late 4th {{sic|cent|ry|nolink=yes}} to the early 5th {{sic|cent|ry|nolink=yes}} http://www.dbpia.co.[...] Institute of Humanities at Kwangwon National University 2014-04-24
[2] 웹사이트 장안성 http://encykorea.aks[...]
[3] 웹사이트 안학궁 http://encykorea.aks[...]
[4] 웹사이트 가군 http://encykorea.aks[...]
[5] 서적 Koguryo Tomb Murals: World Cultural Heritage https://books.google[...] Giljabi Media 2016-02-02
[6] 서적 Koguryŏ = Koguryo, the origin of Korean power & pride Northeast Asia History Foundation 2007
[7] 서적 A New History of Korea Harvard University Press 1984
[8] 서적 A History of Korea: From "Land of the Morning Calm" to States in Conflict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2016-07-15
[9] 백과사전 Pyongyang http://www.britannic[...] 2015-04-19
[10] 뉴스 Pyongyang, one-time Jerusalem of East https://www.koreatim[...] 2021-03-04
[11] 웹사이트 North Korea – Urban Population http://www.populstat[...] University of Utrecht
[12] 뉴스 랴오양(遼陽)이 고구려의 평양? 中요동 고구려계 고분벽화 국내 공개 https://www.donga.co[...]
[13] 웹인용 고구려평양성 http://contents.nahf[...] 2023-09-26
[14] 웹인용 "{!!} KBS 통일방송연구" https://office.kbs.c[...] 2023-09-26
[15] 웹인용 평양성(平壤城) https://encykorea.ak[...] 2023-09-26
[16] 웹인용 고구려는 왜 평양으로 천도했을까 https://www.mk.co.kr[...] 2023-09-26
[17] 논문 The establishment of structure of succession by Yeon Gaesomun and his death https://www.kci.go.k[...] 2018
[18] 문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
[19] 논문 A Study on the Status of Pyeongyang[Seogyeong] and it’s Fortress System in the Goryeo Dynasty https://www.kci.go.k[...] 2020
[20] 웹인용 "[문화-역사이야기] 서경 1100주년, 고려시대 평양[서경]의 위상" http://www.thepublic[...] 2023-09-26
[21] 웹인용 우리역사넷 http://contents.hist[...] 2023-09-26
[22] 논문 Pre-modern and Modern Pyeongyang As Represented in Joseon Maps and Paintings https://www.kci.go.k[...] 2009
[23] 웹인용 우리역사넷 http://contents.hist[...] 2023-09-26
[24] 웹인용 북한의 국보(1) 고구려 전성기의 상징 '평양성' http://www.snkpress.[...] 2023-09-26
[25] 웹인용 "[사진으로 만나는 북한 문화유산] ② 평양성-국보유적 제1호" https://www.news1.kr[...] 2023-09-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