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산 (승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포산은 대한제국의 시종무관 윤치성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배재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고 광주 학생 항일 운동에 연루된 것을 계기로 1930년 오대산으로 출가하여 만공의 제자가 되었다. 그는 만공의 지도로 유점사, 금강산 마하연 등지에서 수행했고, 1931년 지리산 칠불사 조실, 1935년 해인사 조실로 추대되었다. 일제강점기에는 징용을 피해 사불산에 은신했고, 해방 후 1948년 결혼과 함께 환속했다. 그는 이승만을 만나 자신의 포부를 밝히기도 했으며, 6.25 전쟁 중에는 친척을 구명하는 데 힘썼다. 만년에는 논산 연산면 천호리에 거주했으며, 당대 최고의 고승으로 추앙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제강점기의 승려 - 허영호 (정치인)
허영호는 일제강점기 독립운동에 참여하고 신간회 활동을 했으나, 중일전쟁 이후 친일로 전향하여 해방 후 혜화전문학교 교장과 동국대학교 학장을 역임했으며, 제헌 국회의원 재보궐선거에서 당선되었지만 한국 전쟁 중 납북되어 사후 친일 행적이 드러나 건국훈장이 취소되고 친일반민족행위자로 규정되었다. - 일제강점기의 승려 - 한용운
한용운은 충청남도 홍성 출신의 승려이자 시인, 독립운동가로, 3.1 운동에 참여하여 독립선언서에 서명하고 불교 혁신과 민족 독립을 위해 헌신했으며, 시집 《님의 침묵》을 통해 저항 문학을 대표했다. - 대한민국의 승려 - 허영호 (정치인)
허영호는 일제강점기 독립운동에 참여하고 신간회 활동을 했으나, 중일전쟁 이후 친일로 전향하여 해방 후 혜화전문학교 교장과 동국대학교 학장을 역임했으며, 제헌 국회의원 재보궐선거에서 당선되었지만 한국 전쟁 중 납북되어 사후 친일 행적이 드러나 건국훈장이 취소되고 친일반민족행위자로 규정되었다. - 대한민국의 승려 - 학눌
학눌은 평양 출신으로 일본 유학 후 법관으로 활동하다가 승려가 되어 금강산 신계사에서 출가하여 대한불교조계종 종정 등을 역임하고 1966년 입적하였다. - 충청남도 출신 - 윤증
윤증은 조선 중기 문신이자 소론의 영수로 우의정까지 역임한 정치가였으며, 성리학적·정치적 갈등으로 스승 송시열과 결별하고 탕평책을 지지했으나 당쟁 속에서 뜻을 이루지 못했으며, 실천적 삶을 강조한 무실학을 추구하며 조선 후기 정치와 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충청남도 출신 - 조남풍
조남풍은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제1야전군 사령관을 역임했으며, 특수전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며 베트남 전쟁 참전, 공수특전부대 육성, 한국형 기갑무기 개발 등에 기여하고, 예편 후에는 동국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하여 국제 외교 및 안보 분야에서 활동했다.
| 포산 (승려) | |
|---|---|
| 기본 정보 | |
![]() | |
| 속성 | 승려 |
| 법명 | 포산 (苞山) |
| 성 | 김(金) |
| 자 | 혜원(惠源) |
| 호 | 학명(鶴鳴) |
| 생애 | |
| 출생 | 1875년 12월 23일 |
| 사망 | 1961년 1월 24일 |
| 출생지 | 경상남도 양산시 |
| 입적 장소 | 해인사 |
| 사찰 | 해인사 |
| 스승 | 혜월혜명 |
| 활동 | |
| 주요 활동 | 해인사 강사 |
2. 생애
포산의 본명은 윤달선으로, 대한제국 시종무관이었던 윤치성과 그의 두 번째 부인 서경덕의 아들로 태어났다. 조선 선조 때의 형제 정승 윤두수, 윤근수 형제의 후손이다. 1910년 한일 합방 조약이 체결되자 아버지 윤치성은 관직을 버리고 은거하였다. 1921년 어머니 서경덕이 사망하자 아버지 윤치성은 최응신과 재혼했다.
서울대학교 총장을 역임한 윤일선은 그의 백부 윤치오의 아들이고, 대통령을 역임한 윤보선은 둘째 숙부 윤치소의 아들이다. 숙부 윤치영은 서울특별시장을 역임했다. 윤치호는 그의 5촌 당숙이었다.
수송소학교와 배재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였다. 배재고보 재학 시절 수영선수로 활동했으며, 각종 수영경기에 출전하였다.[3][4] 18세(1929년)에 광주 학생 운동에 연루된 것이 출가 동기가 되어, 1930년 오대산으로 들어가 만공을 은사로 정혜사에서 득도하였다.[5]
1930년 광주 학생 항일 운동에 연루된 후 오대산으로 들어가 만공 선사를 은사로 출가하여 혜천이라는 법명을 받았다.[5] 청담 스님의 권유로 만공의 상좌가 되었으며, 경허 선사의 법통을 계승한 저명한 승려 중 한 명이 되었다.
1933년부터 1935년까지 만공이 조실로 있던 유점사 금강선원과 금강산 마하연에서 성철, 청담, 운허 등과 함께 수행하였다.[5] 마하연에서 정진하던 중, 사촌 형 윤보선에게서 아버지 윤치성이 남긴 유산 36000KRW을 받았는데, 당시 논 200마지기를 살 수 있는 큰 돈이었으나, 포산은 돈을 세어보지도 않고 모두 내놓았다.[6]
1931년 지리산 칠불선원 조실, 1935년 합천 해인사 조실로 추대되었다. 그 외에도 백련암, 지리산 칠불암, 금산 태고사 등지에서도 수행하였다.
포산은 숙부 윤치영의 주선으로 서울 경무대를 찾아가 이승만을 만났다. 포산은 이승만을 만나는 자리에 주머니가 큰 조끼를 입고 갔다. 이승만은 젊은이가 무슨 큰 조끼를 입고 있느냐고 묻자, 포산은 자신의 조끼 주머니에 손을 넣으면서 "이 주머니에 역대 조사와 삼세제불을 다 집어 넣고 한 주머니에는 천하 영웅을 넣었는데 각하도, 백범도 다 내 주머니 속에 있습니다."라고 일갈했다. 그러자 이승만의 표정은 굳어버렸다.[16] 이승만과 헤어지고 나오면서 포산은 "아이구 이승만도 안되겠다."며 실망했다고 한다.[16]
포산 윤달선은 승려 신분이었기에 창씨개명에 참여하지 않았다. 그러나 징용을 피하기 위해 1936년 문경 사불산에 은신하였다.[16] 태평양 전쟁 말기, 총독부가 해인사 백련암의 범종을 떼어가자, 윤달선은 주지 변설호를 불러 짧게 "자네 알겠지?"라고 말했다. 변설호는 즉시 범종을 다시 달아 놓았다.[16]
2. 1. 어린 시절
포산의 본명은 윤달선으로, 대한제국 시종무관이었던 윤치성과 그의 두 번째 부인 서경덕의 아들로 태어났다. 조선 선조 때의 형제 정승 윤두수, 윤근수 형제의 후손이다. 1910년 10월 1일 한일 합방 조약이 체결되자 아버지 윤치성은 관직을 버리고 은거하였다. 1921년 어머니 서경덕이 사망하자 아버지 윤치성은 최응신과 재혼했다.서울대학교 총장을 역임한 윤일선은 그의 백부 윤치오의 아들이고, 대통령을 역임한 윤보선은 둘째 숙부 윤치소의 아들이다. 숙부 윤치영은 서울특별시장을 역임했다. 윤치호는 그의 5촌 당숙이었다.
수송소학교와 배재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였다. 배재고보 재학 시절 수영선수로 활동했으며, 각종 수영경기에 출전하였다.[3][4] 18세(1929년)에 광주 학생 운동에 연루된 것이 출가 동기가 되어, 1930년 오대산으로 들어가 만공을 은사로 정혜사에서 득도하였다.[5]
2. 1. 1. 출생과 가계
본명은 윤달선으로 대한제국의 시종무관이었던 윤치성과 그의 두번째 부인 서경덕의 아들로 태어났다. 조선 선조 때의 형제 정승 윤두수, 윤근수 형제의 후손으로 6대조 윤세겸은 동지돈녕부사를 지냈고, 5대조 윤발은 관직이 없었다. 고조부 윤득실은 통덕랑을 역임했지만 술을 좋아하여 38세로 요절했다. 증조부 윤취동은 일찍이 고아가 되어 형 윤교동의 슬하에서 양육되었으며 아산군 둔포면으로 분가하여 농토를 마련하고 부농이 되었다. 할아버지 윤영렬과 종조부 윤웅렬이 무관으로 출세하면서 다시 집안을 일으켜 세웠다.아버지 윤치성은 이미 상처한 상태에서 서경덕과 재혼하였는데, 포산에 의하면 고종 황제가 윤치성이 젊은 나이에 상처한 것을 딱하게 여겨, 자신의 승은을 입었던 궁녀 하나를 윤치성에게 내려주었다고 한다. 포산은 생애 후반에 자신의 시중을 들던 도일 스님 등 상좌들에게 이를 강조하였다. 1910년 10월 1일 한일 합방 조약이 체결되자 아버지 윤치성은 관직을 버리고 은거하였다. 형제자매로는 해방 후 상공신문사 사장을 역임한 윤호선(尹豪善)과 여동생 윤현경, 윤준경이 있었다. 1921년 그의 어머니 서경덕이 죽자 아버지 윤치성은 최응신(崔應信)과 재혼했다. 계모에게서는 1명의 남동생과 여동생이 태어났다.
그의 백부 윤치오의 아들은 서울대학교 병리학 교수와 부총장, 총장을 역임한 윤일선이고, 둘째 숙부 윤치소의 아들은 상공부장관, 서울시장과 4대 대통령을 역임한 윤보선이다. 숙부 윤치영은 내무부 장관, 서울특별시장을 역임했다. 일제 강점기의 사회운동가 좌옹 윤치호는 그의 5촌 당숙이었다.
2. 1. 2. 학창 시절
수송소학교와 배재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였다. 배재고보 재학 시절 수영선수로 활동했으며, 1929년 9월 2일과 9월 3일에 열린 전조선수영경기에는 D조로 출전하였고[3], 1931년 9월 15일 수상경기에 평영 200m에 출전하였다.[4]18세(1929년)에 광주 학생 운동에 연루된 것이 출가 동기가 되어, 이듬해인 1930년 속세를 버리고 오대산으로 들어가 만공을 은사로 정혜사에서 득도하였다.[5]
2. 2. 출가와 수행
포산은 1930년 광주 학생 항일 운동에 연루된 후 오대산으로 들어가 만공 선사를 은사로 출가하여 혜천이라는 법명을 받았다.[5] 청담 스님의 권유로 만공의 상좌가 되었으며,[5] 경허 선사의 법통을 계승한 저명한 승려 중 한 명이 되었다.1933년부터 1935년까지 만공이 조실로 있던 유점사 금강선원과 금강산 마하연에서 성철, 청담, 운허 등과 함께 수행하였다.[5] 마하연에서 정진하던 중, 사촌 형 윤보선에게서 아버지 윤치성이 남긴 유산 36000KRW을 받았는데, 당시 논 200마지기를 살 수 있는 큰 돈이었으나, 포산은 돈을 세어보지도 않고 모두 내놓았다.[6]
1931년 지리산 칠불선원 조실, 1935년 합천 해인사 조실로 추대되었다. 그 외에도 백련암, 지리산 칠불암, 금산 태고사 등지에서도 수행하였다.
2. 2. 1. 출가
1930년 윤달선은 광주 학생 항일 운동에 연루된 후 오대산으로 들어가 만공 선사를 은사로 출가하여 혜천이라는 법명을 받았다.[5] 청담 스님의 권유로 만공의 상좌가 되었다.[5] 이로써 그는 경허 선사의 법통을 계승한 저명한 승려 중 한 명이 되었다.2. 2. 2. 수행
만공을 은사로 출가한 포산은 1933년부터 1935년까지 만공이 조실로 있던 유점사 금강선원과 금강산 마하연에서 성철, 청담, 운허 등과 함께 수행하였다.[5]마하연에서 정진하던 중, 사촌 형 윤보선에게서 아버지 윤치성이 남긴 유산 3만 6천 원을 받았다. 당시 논 200마지기를 살 수 있는 거금이었으나, 포산은 돈을 세어보지도 않고 모두 내놓았다.[6] 이를 본 석두 스님은 "우리 절에 도인이 있다. 물욕이 없으니 도인이 아닌가"라며 찬탄했다고 한다.
1931년 지리산 칠불선원 조실, 1935년 합천 해인사 조실로 추대되었다. 그 외에도 백련암, 지리산 칠불암, 금산 태고사 등지에서도 수행하였다.
2. 3. 일제 강점기 활동
포산은 숙부 윤치영의 주선으로 서울 경무대를 찾아가 이승만을 만났다. 포산은 이승만을 만나는 자리에 주머니가 큰 조끼를 입고 갔다. 이승만은 젊은이가 무슨 큰 조끼를 입고 있느냐고 묻자, 포산은 자신의 조끼 주머니에 손을 넣으면서 "이 주머니에 역대 조사와 삼세제불을 다 집어 넣고 한 주머니에는 천하 영웅을 넣었는데 각하도, 백범도 다 내 주머니 속에 있습니다."라고 일갈했다. 그러자 이승만의 표정은 굳어버렸다.[16]이승만과 헤어지고 나오면서 포산은 "아이구 이승만도 안되겠다."며 실망했다고 한다.[16] 이에 그의 숙부 윤치영은 크게 놀랐다고 한다.
2. 3. 1. 중일 전쟁과 태평양 전쟁 시기
포산 윤달선은 승려 신분이었기에 창씨개명에 참여하지 않았다. 그러나 징용을 피하기 위해 1936년 문경 사불산에 은신하였다.[16] 태평양 전쟁 말기, 총독부가 해인사 백련암의 범종을 떼어가자, 윤달선은 주지 변설호를 불러 짧게 "자네 알겠지?"라고 말했다. 변설호는 즉시 범종을 다시 달아 놓았다.[16]2. 3. 2. 결혼
포산은 숙부 윤치영의 주선으로 서울 경무대를 찾아가 이승만을 만난 적이 있다.[16] 1948년에는 금산 태고사에 있었다.[17]1950년 6.25 전쟁 당시에는 그의 먼 친척들 중 빨치산에 부역했다가 국군에게 쫓기는 이가 있었다. 포산은 직접 군부대와 도청, 도경을 찾아가 그 친척이 사상적으로 빨치산이 아니며, 자신이 보증한다는 약속을 하여 그 친척을 살려낼 수 있었다.[11]
2. 4. 해방 이후
이전 결과물이 제공되지 않아 수정할 수 없습니다. 이전 단계의 결과물을 제공해주시면, 지시사항에 맞춰 수정해드리겠습니다.2. 5. 생애 후반
윤달선은 만년에 논산시 연산면 천호리에 거주하였다. 그의 상좌로는 천축사 주지를 역임한 문정영, 석영당 제선 등이 있었다.2. 5. 1. 사후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 천호리 산에 안장되었다.3. 평가
윤달선은 집안 배경과 지식, 인품으로 인해 당대 최고의 고승으로 추앙받았다.[20] 그는 경학뿐 아니라 속세의 학문, 지식에도 해박하였다.
혜승 스님은 "포산스님은, 한 번 만나 보면 어느 누구나 감응하여 다시 오체투지를 하고 갈 정도의 선지식이었다"라고 평가했다.[21]
4. 기타
윤달선은 그의 어머니 서경덕(徐卿德, 다른 이름은 서덕경(徐德卿))이 본래 고종 황제의 후궁이었다고 상좌 도일화상에게 전했다.[22] 그는 19세에 지리산 칠불선원 조실로 추대되었으며, 23세 때에는 해인사 조실로 추대되었다.[23] 이 때문에 직지사의 고봉(古峰, 1890~1961)과 갈등을 빚기도 했다. 고봉은 포산이 "젊은 놈이 어디 가서 도인 노릇을 하고 다닌다"고 못마땅하게 여겼다. 그러자 포산은 고봉의 멱살을 잡고 죽을래 살래 하면서 따졌다고 한다.[23] 싸움은 다른 스님들이 달라붙어 겨우 말렸다.
일설에는 그가 자칭 천자라고 떠들던 기인이었다는 평도 있다.[24] 그는 여러 불교 경전을 암기, 이해하였고, 그리스의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등의 철학에 대한 지식도 있었다고 한다. 그는 차를 다리는 법도 능하여, 수제녹차 제조의 명인이었다. 그는 일제 강점기 당시부터 물욕을 초월한 신선이라는 소문이 있었다. 그는 자신의 나이를 연상으로 말했고, 윤달선보다 19년 연상인 장택상이 그를 형님이라 불렀다.
5. 가족 관계
| 관계 | 이름 | 비고 |
|---|---|---|
| 장인 | 유치두 | 사대부가의 후손 |
| 장모 | 김광영 | 법명 대성화보살, 개태사 주지 역임, 환속 후 보살, 1934년 개태사 근처 삼존석불 발굴 |
| 부인 | 유진팔 | 1928년 11월 25일 - 1996년, 기계 유씨 |
| 아들 | 3남 | |
| 딸 | 3녀 |
참조
[1]
서적
석영당 제선선사
비움과소통
2011
[2]
웹사이트
효행당 범일스님 법랍 64세 원적
http://cjbbs.co.kr/h[...]
청주불교방송
2012-01-15
[3]
뉴스
綠陰 우거진 駱山下 開慕된水泳競技
동아일보
1929-09-02
[4]
뉴스
水上競技經過 中學及一般의 部
동아일보
1931-09-15
[5]
서적
석영당 제선선사
비움과소통
2011
[6]
서적
석영당 제선선사
비움과소통
2011
[7]
뉴스
"[山中閑談] (19) '범행 스님(법주사 조실)'.."몸은 먼지덩어리""
https://www.hankyung[...]
한국경제
2006-04-02
[8]
뉴스
"[禪茶를 마시며] (5)세상 속 '나눔포교' 본보기 의정부 포교원 혜승 스님"
https://www.segye.co[...]
세계일보
2009-02-05
[9]
뉴스
"[선지식 參訪] 천안 각원사 조실 법인스님"
https://www.ibulgyo.[...]
불교신문
2024-01-15
[10]
서적
道가 본시 없는데 내가 무엇 을 깨쳤겠나: 서암 스님 회고록
둥지
1995
[11]
서적
석영당 제선선사
비움과소통
2011
[12]
간행물
실천 문학 6호
실천문학사
1985
[13]
서적
석영당 제선선사
비움과소통
2011
[14]
서적
金烏 스님과 佛敎淨化運動
금오선수행연구원
2008
[15]
서적
석영당 제선선사
비움과소통
2011
[16]
서적
석영당 제선선사
비움과소통
2011
[17]
서적
산중 에서 길을 물었더니: 우리 시대 큰 스님 33인과의 만남
은행나무
2002
[18]
서적
석영당 제선선사
비움과소통
2011
[19]
서적
入山과下山
민음사
1993
[20]
서적
석영당 제선선사
비움과소통
2011
[21]
뉴스
원로의원 혜승스님
불교신문
2008-11-05
[22]
서적
석영당 제선선사
비움과소통
2011
[23]
서적
석영당 제선선사
비움과소통
2011
[24]
서적
道가 본시 없는데 내가 무엇 을 깨쳤겠나: 서암 스님 회고록
둥지
199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