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셴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푸셴어는 중국 남동부 푸젠성 푸톈 지역에서 사용되는 중국어 방언이다. 민난어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푸저우어의 영향을 받아 민둥어의 일부 요소도 흡수했다. 푸셴어는 모음, 자음, 성조 등에서 다른 민어 방언과 차이를 보이며, 고유한 어휘를 가지고 있다. 로마자 표기 시스템인 흥화 평화자를 사용하며, 6개의 음소 성조를 가지고 있고, 문독과 백독의 이독 현상이 나타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푸젠성 - 민난어
민난어는 푸젠성 남부에서 주로 사용되고 대만어의 주요 구성 요소인 중국어 방언으로, 동남아 화교 사회에서도 사용되며 고대 중국어 특징을 보존하고 있고, 다양한 하위 방언과 복잡한 음운 체계, 문백이독 현상을 특징으로 한다. - 푸젠성 - 민중어
민중어는 객가어의 방언으로, 싼밍, 융안, 샤현 지역에서 사용된다. - 중국어의 방언 - 광둥어
광둥어는 중국 남부에서 사용되는 중국어 방언으로, 고대 중국어의 특징을 보존하고 홍콩, 마카오 등 세계 각지에서 사용되며, 표준 중국어와 차이를 보이고 9개의 성조를 가지며, 캔토팝 등 고유한 문화를 형성하고 지역 정체성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 중국어의 방언 - 차오저우어
차오저우어는 중국 광둥성 차오산 지역에서 사용되는 민난어의 일종으로, 동남아시아 화교 사회로 확산되어 태국, 말레이시아 등지에서 영향력을 지니며, 다양한 방언과 표기법을 갖고 일상 대화, 지방극, 대중가요 등에서 사용된다.
푸셴어 | |
---|---|
개요 | |
고유 명칭 | 莆仙語/莆仙話/興化話 Pó-sing-gṳ̂/Pó-sing-uā/Hing-hua̍-uā |
사용 지역 | |
국가 | 중국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타이완 (우치우) |
지역 | 푸젠 성 (푸톈 시, 푸저우 시 및 취안저우 시 일부) |
민족 | 푸톈족 (한족) |
언어 정보 | |
사용자 수 | 약 315만 명 (2022년 기준) |
어족 | 중국티베트어족 중국어파 중국어 민어 연해 민어 |
조상 언어 | 원시 중국티베트어 고대 중국어 원시 민어 |
방언 | 푸톈 방언 셴유 방언 |
문자 | 간체자 번체자 흥화 로마자 (Hing-hua̍ Báⁿ-uā-ci̍) |
ISO 639-3 | cpx |
Glottolog | puxi1243 (Pu–Xian Chinese) |
Linguasphere | 79-AAA-id |
2. 역사
979년 이전 푸셴 지역은 취안저우현의 일부였으며, 그곳 사람들은 민난어의 한 형태를 사용했다.[5][6]
푸셴어는 중국어의 민어 방언으로, 푸톈시와 셴유현을 중심으로 사용되어 푸셴어 또는 푸셴 방언이라고 불린다. 푸톈시의 옛 이름인 싱화군(興化軍)에서 유래하여 싱화어(Henghua, Xinghua)라고도 한다. 민난어가 주로 사용되는 취안저우시와 민둥어가 주로 사용되는 푸저우시 사이에 위치하여, 두 언어의 특징을 모두 가지고 있다. 음운 체계는 취안저우 방언에 더 가깝지만, 어휘는 푸저우어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1]
송나라 시대인 979년에 이 지역은 행정적으로 취안저우에서 분리되었고, 그곳에서 사용되는 중국어는 나머지 민난어와 별도로 발전했다. 푸저우시와 인접해 있어 초성 자음의 형태음운론적 교체와 같은 민둥어의 일부 요소를 흡수했지만, 기본적인 언어적 특징, 즉 문법과 대부분의 어휘는 민난어에 기반을 두고 있다. 또한 역사적 비음 자음의 비음화와 모음 비음화를 민난어 방언과 공유한다.[7]
푸셴어는 취안저우 방언(민난어)과 62%의 동계를 보이며, 푸저우 방언(민둥어)과는 39%의 동계만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8]
3. 특징
푸저우시 관할 푸칭시 남부, 융타이현 일부, 취안저우시 관할 췐강 일부에서도 사용된다. 푸젠성 북동부 푸딩현 샤청진(沙埕鎮) 주변 마을(약 2,000명)과 푸안현 샤바이시향(下白石郷) (약 1,000명 이상)에도 화자가 있다. 타이완이 실효 지배하는 진먼현 우치우향은 푸톈과 지리적으로 가까워 소수의 화자가 있으며, 이들의 언어는 우치우어(烏坵話)라고도 한다.[1]
해외에서는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인도네시아에 푸톈 출신 화인・화교들이 Henghua, Xinghua라는 이름으로 고향 언어를 사용하고 있다. 푸톈시 내 난르다오(南日島) 일부에서는 민난어가 사용되기도 한다.[1]
대부분의 민남어 방언과 여러 면에서 차이를 보이며, 민둥어에서 차용한 어휘(예: 아내 老媽 (Lau Ma))가 존재한다.[1]
3. 1. 민남어 방언과의 차이점
4. 음운
푸셴어는 성모(초성), 운모(종성), 성조를 가진다.
푸셴어는 다른 민 방언과 마찬가지로 15개의 자음을 가지며, 영성모(제로 음절 시작)를 포함한다.[1] 다른 민 방언에서 s|s중국어 대신 ɬ|ɬ중국어 설측 마찰음을 가지는 것이 특징이며, β|β중국어는 연결된 음성에서만 나타나며, p|p중국어의 자음 변이 결과이다.[1]
운모는 40종이 있으며, 53개의 종성(비음 종성을 포함)을 가지고 있다.[1] 인접한 푸저우어에서 보이는 두 개 이상의 음절이 겹칠 때의 규칙적인 운모 변화 현상은 없다.[1]
푸셴어는 6개의 음소 성조를 가지며, 기본 성조 (조류)는 7종, 조치는 8종이다.[2] 입성자는 문독과 백독에서 조치가 다른데, 음입성의 백독은 이미 음절 말의 성문 폐쇄가 없어지고, 조치 11로 읽기 때문에 양거성과 동화되어 있다.[2]
두 개 이상의 음절이 이어지면서, 앞뒤 음절 모두 조치가 변화하는 복잡한 연속 변조가 있다.[2]
4. 1. 성모 (초성)
푸셴어는 대부분의 다른 민 방언과 마찬가지로 15개의 자음을 가지며, 영성모(제로 음절 시작)를 포함한다.[1] 다른 민 방언에서 s|s중국어 대신 ɬ|ɬ중국어 설측 마찰음을 가지는 것이 특징이다.[1] β|β중국어는 연결된 음성에서만 나타나며, p|p중국어의 자음 변이 결과이다.[1]양순음 | 치경음 | 설측음 | 연구개음 | 성문음 | ||||||||||||||||||||||||||||||||||||||||||||||||||||||||||||||||||||||||||||||||||||||||||||||||||||||||||||||||||||||||||||||||||||||||||||||||||||||||||||||||||||||||||||||||||||||||||||||||||||||||||||||||||||||||||||||||
---|---|---|---|---|---|---|---|---|---|---|---|---|---|---|---|---|---|---|---|---|---|---|---|---|---|---|---|---|---|---|---|---|---|---|---|---|---|---|---|---|---|---|---|---|---|---|---|---|---|---|---|---|---|---|---|---|---|---|---|---|---|---|---|---|---|---|---|---|---|---|---|---|---|---|---|---|---|---|---|---|---|---|---|---|---|---|---|---|---|---|---|---|---|---|---|---|---|---|---|---|---|---|---|---|---|---|---|---|---|---|---|---|---|---|---|---|---|---|---|---|---|---|---|---|---|---|---|---|---|---|---|---|---|---|---|---|---|---|---|---|---|---|---|---|---|---|---|---|---|---|---|---|---|---|---|---|---|---|---|---|---|---|---|---|---|---|---|---|---|---|---|---|---|---|---|---|---|---|---|---|---|---|---|---|---|---|---|---|---|---|---|---|---|---|---|---|---|---|---|---|---|---|---|---|---|---|---|---|---|---|---|---|---|---|---|---|---|---|---|---|---|---|---|---|---|---|---|---|
파열음 | 무성무기음 | p|바중국어 | t|다중국어 | k|가중국어 | ({{lang|zh|ʔ|} | })
모음 운미 | 반모음 운미 | 비음 운미 | 입성 운미 | |
---|---|---|---|---|
개구호 | 아 | 요 | 왕 | 압 |
오 | 용 | 옥 | ||
과 | 오 | 온 | 위 | |
예 | 애 | 연 | 흑 | |
개 | 환 | 욱 | ||
불 | ||||
제치호 | 의 | 유 | 인 | 익 |
야 | 요 | 염 | 엽 | |
합구호 | 부 | 위 | 황 | |
획 | 왜 | 완 | 활 | |
착구호 | 여 | 은 | 역 | |
안 | 양 | 약 |
4. 3. 성조
푸셴어는 6개의 음소 성조를 가지고 있다.[2]기본 성조 (조류)는 7종, 조치는 8종이다.[2]
조류 | 조치 | 예 | |
---|---|---|---|
음평 | 533 | 詩 | |
양평 | 13 | 時 | |
상성 | 453 | 死 | |
음거 | 42 | 四 | |
양거 | 11 | 寺 | |
음입 | (문독) | 21 | 湿 |
(백독) | 11 | 鉄 | |
양입 | (문독) | 4 | 実 |
(백독) | 35 | 舌 |
입성자는 문독과 백독에서 조치가 다르다. 음입성의 백독은 이미 음절 말의 성문 폐쇄가 없어지고, 조치 11로 읽기 때문에, 양거성과 동화되어 있다.[2]
두 개 이상의 음절이 이어지면서, 앞뒤 음절 모두 조치가 변화하는 복잡한 연속 변조가 있다.[2]
4. 4. 연속 변조
두 개 이상의 음절이 이어질 때, 앞뒤 음절의 성조가 변화하는 복잡한 연속 변조 현상이 나타난다.[1]4. 5. 문백이독 (文白異讀)
푸셴어는 다른 민어와 마찬가지로, 하나의 한자에 대해 같은 의미로 문어체 발음(문독)과 구어체 발음(백독)이 다른 경우가 많다.한자 | 문독 | 백독 |
---|---|---|
六 | 六|륙중국어 | 六|륙중국어 |
四 | 四|사중국어 | 四|사중국어 |
賣 | 賣|매중국어 | 賣|매중국어 |
5. 어휘
푸셴어 어휘는 민어, 특히 샤먼어나 푸저우어와 공통된 형태소를 가진 것이 많다. 그러나 인접한 푸저우나 취안저우와도 다른 독특한 어휘도 적지 않다. 이러한 독특한 어휘에는 한어의 고어도 포함되지만, 비한어계 어휘도 상당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 때문에 예로부터 한자로 표기하기 어려워 가차(대자)나 방언자를 고안하여 한자화된 것도 있다.
푸셴어는 취안저우 방언(민난어)과 62%의 동계어를 가지며, 푸저우 방언(민동어)과는 39%의 동계어만을 가진다.[8]
다음은 어휘 대조표이다.
유형 | 푸셴어 | 민동어 | 민남어 | 객가어 | 월어 | 북방어 | 일본어 | |
---|---|---|---|---|---|---|---|---|
푸저우어 | 샤먼어 | 조주어 | 광둥어 | 베이징어 | ||||
한어 공통 | 한자 | 한자 | 한자 | 한자 | 한자 | 한자 | 한자 | 한자 |
마(馬) | 마(馬) | 마(馬) | 마(馬) | 마(馬) | 마(馬) | 마(馬) | 말 | |
민어 공통 | 젓가락 | 젓가락 | 젓가락 | 젓가락 | 젓가락, 저쯔 | 젓가락 | 젓가락 | 젓가락 |
닭알 | 닭알 | 닭알 | 닭알 | 닭알 | 계란, 지춘 | 계란, 계알 | 계란 | |
조 | 조 | 조, 조아 | 조 | 화 | 화 | 벼 | 벼 | |
민남어와 공통 | 구모 | 견무 | 구모 | 구모 | 구마 | 구나 | 암캐 | 암견 |
민동어와 공통 | 목자 | 목자 | 목시 | 목즙 | 목즙 | 눈물 | 눈물 | 눈물 |
푸셴어 독특 | 여배 | 여각농 | 늠 | 늠 | 니등인 | 니지, 니지 | 너먼 | 당신들 |
죽마 | 초맹가 | 초후 | 초후 | 탕랑자 | 마광랑 | 사마귀 | 사마귀 | |
봉조 | 명단 | 명자일, 명자재 | 명기, 명일 | 천광일, 진조일 | 틍일 | 내일, 명아 | 내일 |
6. 로마자 표기법
흥화 평화자(興化平話字|흥화 평화자중국어)는 푸셴어의 로마자 표기 시스템이다. 23개의 문자를 사용한다: a, a̤, b, c, ch, d, e, e̤, g, h, i, k, l, m, n, ng, o, o̤, p, s, t, u, ṳ.
5개의 성조 부호를 사용하여 7개의 성조를 표시한다.
- 음평 Ing-báⁿ (표시 없음)
- 음상 Ing-siō̤ng ˆ (â)
- 음거 Ing-kṳ̍ ˈ (a̍)
- 음입 Ing-ci̍h (표시 없음)
- 양평 Ió̤ng-báⁿ ́ (á)
- 양거 Ió̤ng-kṳ̍ – (ā)
- 양입 Ió̤ng-ci̍h ˈh (a̍h)
성조 | 음평 Ing-báⁿ | 음상 Ing-siō̤ng | 음거 Ing-kṳ̍ | 음입 Ing-ci̍h | 양평 Ió̤ng-báⁿ | 양거 Ió̤ng-kṳ̍ | 양입 Ió̤ng-ci̍h |
---|---|---|---|---|---|---|---|
Báⁿ-uā-ci̍ | a | â | a̍ | ah | á | ā | a̍h |
7. 사용 지역
푸셴어는 중국어의 10대 방언 또는 7대 방언 중 하나인 민어에 속한다. 푸젠성 푸톈시가 관할하는 4개 구와 셴유현을 중심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두 지역의 이름을 따서 푸셴어 또는 푸셴 방언이라고 불린다. 푸톈시 외에, 푸저우시가 관할하는 푸칭시 남부, 융타이현 일부, 취안저우시가 관할하는 췐강구 일부에서도 사용된다.[8]
푸톈시에서 떨어진 지역으로는 푸젠성 북동부 푸딩현 샤청진(沙埕鎮) 주변 마을(약 2,000명), 푸안현 샤바이시향(下白石郷) (약 1,000명 이상)이 있다. 또한, 타이완 정부가 실효 지배하는 진먼현 우치우향도 지리적으로 푸톈과 가장 가까워 소수의 화자가 있으며, 우치우어(烏坵話)라고 불리기도 한다.
해외에서는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인도네시아에 비교적 많은 푸톈시 출신 화인·화교가 있으며, Henghua, Xinghua라는 표현으로 불리고, 고향의 언어를 사용하고 있다.
참조
[1]
논문
Tones and prosody in Middle Chinese and the origin of the rising tone
[2]
서적
Middle Chinese: A study in Historical Phonology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Press
[3]
간행물
Glottolog 4.8 - Min
https://glottolog.or[...]
Max Planck Institute for Evolutionary Anthropology
2023-07-10
[4]
간행물
Fúdǐng Àoyāo Púxiān fāngyán dǎo zài diàochá
http://en.cnki.com.c[...]
2013
[5]
웹사이트
Shìjiè shàng gēnběn wú Mǐnnányǔ ~ Wáng Huánán
http://www.taiwanus.[...]
2011-05-27
[6]
웹사이트
Cháozhōuhuà
http://8944.net/read[...]
2015-06-19
[7]
간행물
Denasalization, Vocalic Nasalization and Related Issues in Southern Min: A Dialectal and Comparative Perspective
https://www.research[...]
1998-08-17
[8]
서적
Lùn Mǐn fāngyán nèibù de zhǔyào chāyì
Yuwen Chubanshe
199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