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샤먼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샤먼어는 중국 푸젠성 샤먼 지역에서 사용되는 민남어의 방언이다. 1842년 샤먼이 무역항으로 개방된 이후 주변 지역 인구 유입과 대만, 동남아시아로의 이주를 통해 널리 퍼졌다. 샤먼어는 고대 중국어의 특징을 보존하고 있으며, 독특한 음운, 문법, 어휘 체계를 가지고 있다. 한자, 로마자, 국제 음성 기호 등으로 표기되며, 표준 중국어 보급 정책으로 사용이 위축되는 위기 속에서도 샤먼어 보존을 위한 다양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2. 역사

1842년 남경 조약 체결 이후 샤먼이 무역항으로 개방되면서 푸젠성의 취안저우, 장저우 등 여러 지역 주민들이 유입되었다. 이 과정에서 다양한 지역 억양들이 혼합되어 샤먼 방언의 기초가 형성되었다. 이후 수 세기에 걸쳐 푸젠성 남부 출신 호클로인들이 대만으로 이주하면서 샤먼 방언이 전파되었고, 이는 현대 대만어의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9] 샤먼 방언 화자들은 동남아시아의 여러 국가로도 이주하여 언어 공동체를 형성했다.

2. 1. 형성 과정

샤먼어는 취안저우어의 하위 방언인 퉁안어에서 발전한 언어(방언)이다. 퉁안어에 대한 연구는 샤먼어의 형성 과정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열쇠가 된다.

1842년 아편 전쟁 이후 체결된 남경 조약의 결과로 샤먼푸젠성의 주요 무역항 중 하나로 지정되어 대외에 개방되었다. 이 개방 조치로 샤먼과 인근 구랑위 지역은 빠르게 발전했으며, 이는 주변 지역인 취안저우와 장저우 등지로부터 많은 인구 유입을 촉진했다. 샤먼으로 이주해 온 사람들은 각기 다른 억양을 사용했는데, 이러한 다양한 억양들이 서로 섞이고 융합되면서 샤먼 방언의 기반이 형성되기 시작했다. 특히 취안저우어와 장저우어의 특징이 결합되면서 독특한 샤먼어가 만들어졌다.[9]

2. 2. 대만과의 관계

과거 수 세기 동안 푸젠성 남부 지역 출신의 많은 호클로인들이 네덜란드령 포르모사와 청나라의 대만 지배 시기에 대만으로 이주하면서 샤먼어가 전파되었다. 이 시기 "샤먼 방언"은 대만의 통속어로 여겨졌다.[9] 이후 일제강점기 동안 대만에서 사용되는 여러 억양이 혼합된 언어는 '대만어'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현대 대만어와 샤먼어 사이에는 미국 영어와 영국 영어의 비교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어휘나 발음에서 약간의 차이가 존재하지만, 이러한 차이가 의사소통에 큰 어려움을 주지는 않는다.

2. 3. 동남아시아 확산

샤먼 방언 화자들은 동남아시아 여러 지역으로도 이주하였다. 이들은 주로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필리핀, 인도네시아, 브루나이, 태국, 캄보디아, 미얀마 등으로 이주하여 샤먼어를 전파했다.

3. 특징

샤먼어(아모이어)는 상고 한어의 많은 음성과 단어를 보존하고 있으며, 초기에는 고대 민월어족이 사용했던 민월어의 영향을 받은 어휘적 특징을 보인다.[10] 또한 비음화 현상이 광범위하게 나타나는 것도 주요 특징 중 하나이다. 음운론적으로는 표준 중국어와 달리 유성음, 무기음, 유기음 초성 자음을 구별하는 등 독자적인 체계를 가지고 있으며(자세한 내용은 음운 문단 참조), 이러한 유성 자음은 중고 한어의 유성 장애음에서 직접 유래한 것이 아니라 비음 초성이 강화되어 나타난 것으로 분석된다.[11]

3. 1. 음운

샤먼어는 상고 한어의 음운 특징을 많이 간직하고 있으며, 비음화 현상이 두드러진다.[10] 표준 중국어와 달리 유성음, 무기음, 유기음 초성 자음을 구별하는 특징이 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문단 참조)

백화자를 기준으로 한 샤먼어의 음운 체계는 다음과 같다.

'''자음 (성모)'''

샤먼어에는 14개의 성모(초성 자음)가 있다.

colspan=2 |양순음치경음치경구개음
(/i/ 앞)
연구개음성문음
비음m (m)n (n)ŋ (ng)
파열음무성음 무기음p (p)t (t)k (k)ʔ
(종성에서 h)
유성음b (b)ɡ (g)
무성음 유기음pʰ (ph)tʰ (th)kʰ (kh)
파찰음무성음 무기음ts (ch/ts)tɕ (ch/ts)
유성음dz (j)dʑ (j)
무성음 유기음tsʰ (chh/tsh)tɕʰ (chh/tsh)
마찰음s (s)ɕ (s)h (h)
설측 접근음l (l)


  • 음절 끝에 오는 p, t, k는 터뜨리지 않고 입모양만 만드는 불파음([p̚], [t̚], [k̚])으로 발음된다.
  • m과 ng([ŋ])는 단독으로 음절을 이루는 성절 자음([m̩], [ŋ̍])이 될 수 있다.
  • 치경음 계열 자음(/ts, tsʰ, dz, s/)은 모음 /i/ 앞에서는 치경구개음([tɕ, tɕʰ, dʑ, ɕ])으로 소리 난다.
  • /l/은 어두에서 탄음 [ɾ]이나 유성 치경 파열음 [d]로 발음되기도 한다.[14]
  • 유성 파열음 [b], [ɡ] 등은 중고 한어의 유성 장애음에서 직접 유래한 것이 아니라, 비음 초성이 강화되어 나타난 것이다.[11]


'''모음 (운모)'''

샤먼어에는 78개의 운모(모음과 종성 자음의 결합)가 있다.

  • 단모음: a, ɔ, o, e, i, u
  • 비모음: ã, ɔ̃, ẽ, ĩ (ũ는 단독으로 쓰이지 않고 다른 모음과 결합)
  • 이중모음: ai, au, ia, io, iu, ui, ua, ue
  • 삼중모음: iau, uai
  • 비음 종성 운모: am, an, aŋ, ɔŋ, im, in, iɛn, iŋ, iam, iaŋ, iɔŋ, un, uan, uaŋ, m̩, ŋ̍
  • 파열음 종성 운모 (입성): ap, at, ak, ɔk, ip, it, ik/ek, iap, iɛt, iak, iɔk, ut, uat
  • 성문 파열음 종성 운모 (입성): aʔ, ɔʔ, oʔ, eʔ, iʔ, uʔ, iaʔ, ioʔ, iuʔ, uiʔ, uaʔ, ueʔ, aiʔ, auʔ, iauʔ, uaiʔ, mʔ, ŋʔ
  • 비음화된 입성 운모: ãʔ, ɔ̃ʔ, ẽʔ, ĩʔ, iãʔ, uẽʔ, ãiʔ, ãuʔ, iãuʔ, uãiʔ


'''성조'''

샤먼어는 중국 중고음의 성조 체계를 비교적 잘 보존하고 있어, 종성 자음이 없는 음절에는 6개의 성조가 있고, 종성 자음([p̚], [t̚], [k̚], [ʔ])으로 끝나는 입성(入聲) 음절에는 2개의 성조가 있다. 성조는 전통적으로 1부터 8까지 번호를 매기며, 4성과 8성이 입성이다. 현대 샤먼어에서는 성조 2(음상)와 성조 6(양상)의 구분이 사라지는 경향이 있다.

성조 번호
(백화자 기준)
성조 이름성조 기호
(백화자)
성조값
(수치 표기)
성조값
(IPA)
1음평(陰平)(표기 없음)44˥ 또는 ˦
2음상(陰上)´53˥˧
3음거(陰去)`21˨˩ 또는 🥉
4음입(陰入)(p/t/k/h로 끝남)32˧˨ʔ 또는 🥉ʔ
5양평(陽平)ˆ24˨˦ 또는 🥈
6 (현대 2와 통합)양상(陽上)(현대 표기 없음)(24)(˨˦)
7양거(陽去)ˉ22˨ 또는 🥈
8양입(陽入)̍ (p/t/k/h 앞에 붙음)4˦ʔ 또는 ˥ʔ



'''성조 연쇄 (연속 변조)'''

샤먼어는 매우 규칙적이고 광범위한 성조 연쇄(성조 변화) 현상을 보인다. 여러 음절이 이어질 때, 마지막 음절을 제외한 앞 음절들의 성조가 일정한 규칙에 따라 바뀐다. '발화 단위'의 마지막 음절만 원래 성조를 유지한다.

다음 표는 각 원래 성조가 다른 성조 앞에서 어떻게 변하는지를 보여준다.

샤먼어의 연속 변조 규칙표
원래 성조 (백화자 표기)원래 성조값변화된 성조 (백화자 표기)변화된 성조값
1성 (a)447성 (ā)22
2성 (á)531성 (a)44
3성 (à)212성 (á)53
4성 (-p/t/k/h)328성 (a̍p/a̍t/a̍k/a̍h)4
5성 (â)247성 (ā)22
7성 (ā)223성 (à)21
8성 (a̍p/a̍t/a̍k/a̍h)43성 (àp/àt/àk/àh)21 (단, 종성이 -h일 경우 4성 유지)


  • 규칙 요약: 1성 → 7성, 2성 → 1성, 3성 → 2성, 4성 → 8성, 5성 → 7성, 7성 → 3성, 8성 → 3성.


'''문백 이독 (문어음과 구어음)'''

다른 민난어처럼 샤먼어에도 문어체 발음(독서음)과 구어체 발음(백화음)이 공존하는 현상이 두드러진다. 동일한 한자가 문맥이나 단어에 따라 다르게 읽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크다'는 뜻의 한자 大는 구어체로는 tōa ([tua˧])로, 문어체로는 tāi ([tai˧])로 읽힌다.

구어체 발음은 일반적으로 더 오래된 민어 고유의 발음으로 여겨지며, 문어체 발음은 이후 중고 한어의 영향을 받아 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12][13] 어떤 발음을 사용해야 하는지에 대한 명확한 규칙이 없어 학습 시 개별적으로 암기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일반적으로 단음절 단어에서는 구어체 발음이 더 흔하게 사용된다.

다음은 문어음과 구어음 간의 주요 음운 대응 관계 예시이다.

구어음문어음예시 한자구어음 발음문어음 발음의미
[p-], [pʰ-][h-]punhun나누다
[ts-], [tsʰ-], [tɕ-], [tɕʰ-][s-], [ɕ-]chiâⁿsêng되다, 이루다
[k-], [kʰ-][tɕ-], [tɕʰ-]kíchí손가락, 가리키다
[-ã], [-uã][-an]khòaⁿkhàn보다
[-ʔ] (입성 -h)[-t] (입성 -t)chia̍hsi̍t먹다
[-i][-e]sìsè세상
[-e][-a]keka집, 가족
[-ia][-i]khkhì서다, 꾀하다


3. 1. 1. 샤먼어 내부의 차이

(후리구 + 스밍구)지메이구싱린구관커우진하이창구퉁안구【취(水), 과(瓜), 피(皮)】의 운모eeeueueɤ【저(豬), 거(車), 제(臍)】의 운모i (교외 u)uuu (서북부 i)u (서부 i)ɯ【전(煎), 천(淺), 선(禪)】의 운모iŋ (교외에서 "전"은 ãĩ)ãĩiŋãĩanãĩ【반(半), 문(門), 황(黃)】의 운모ŋŋŋŋuĩŋ【삼(三)자, 람(籃)자】의 운모ã ãã ãã ãã ãã ããĩ ã【평(平), 경(驚), 성(成)】의 운모ĩĩĩɛ̃ɛ̃ĩ【월(月), 말(末), 궐(缺)】의 운모eˀeˀeˀueˀueˀɤˀ


3. 1. 2. 표준 중국어와의 비교

관화와는 달리, 샤먼어는 유성음과 무기음 초성 자음구별한다. 표준 중국어는 초성 자음의 유성음화를 하지 않는다. 또한 영어와는 달리, 샤먼어는 무기음과 기식음 무성 초성 자음을 구별하는데, 이는 표준 중국어와 같다. 쉽게 말해, 샤먼어 원어민은 다음 음절 간의 차이를 듣는 데 어려움을 느끼지 않는다.

무기음기식음
양순음 파열음bo 母po 保pʰo 抱
연구개음 파열음go 俄ko 果kʰo 科
유성음무성음



다만, 샤먼어의 완전 유성 자음 [b], [ɡ] 등은 중고 한어의 유성 장애음에서 유래한 것이 아니라, 비음 초성의 강화에서 유래했다.[11]

다른 민난어처럼 샤먼어에도 표준 중국어와 비교했을 때 몇 가지 특징적인 음운 변화가 관찰된다.

3. 2. 문백이독

다른 민난어처럼 샤먼 방언도 한자의 문어체 발음(문독, 文読)과 구어체 발음(백독, 白読)의 차이, 즉 문백이독(文白異読) 현상이 매우 복잡하게 나타난다. 이는 단순히 같은 글자를 상황에 따라 다르게 읽는 것을 넘어, 때로는 의미까지 달라지게 만드는 중요한 특징이다.[12][13]

예를 들어, '크다' 또는 '위대하다'는 의미의 한자 大는 구어체(백독)로는 ''tōa''라고 읽지만, 문어체(문독)로는 ''tāi''라고 읽는다. 어떤 상황에서 문독을 쓰고 어떤 상황에서 백독을 써야 하는지에 대한 명확하고 일관된 규칙이 부족하여, 학습자는 개별 단어마다 적절한 발음을 익혀야 하는 경우가 많다. 일반적으로 한 글자로 된 단어는 구어체 발음(백독)을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구어체 발음(백독)은 일반적으로 민어 고유의 발음 층을 반영하는 더 오래된 형태로 여겨지고[12], 문어체 발음(문독)은 이후 중고 한어의 영향을 받아 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13]

언어학자 뤄창페이(羅常培)가 쓴 《샤먼 방언 연구》(厦門方言研究)의 통계 조사에 따르면, 조사 대상 3,758개의 한자 중 40.6%에 해당하는 1,529개 글자에서 문백이독 현상이 발견되었다. 이 중 대부분(약 90%)은 문독과 백독이 각각 하나씩 존재하는 경우였다. 다른 학자들의 연구 결과와 수치상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민난어의 문백이독 현상이 중국어의 여러 방언 중에서도 가장 복잡하다는 점에는 학계의 의견이 일치한다.

문백이독은 단순히 발음의 차이를 넘어 단어의 의미를 구별하는 중요한 기능을 하기도 한다.

또한, 일부 단어는 문독과 백독 두 가지 발음이 모두 통용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황하(黄河)'는 문독 [hɔŋ₅ ho₅]가 표준적인 발음이지만, 일상 대화에서는 백독 [ŋ₅ ho₅]도 흔히 사용된다.

지역 방언에 따라서도 문독과 백독의 사용 양상이 달라진다. 대표적인 예로 '대학(大学)'이라는 단어는 샤먼 지역에서는 주로 백독으로 읽지만, 타이완에서는 문독으로 읽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음 표는 문백이독으로 인해 나타나는 주요 음운 변화의 몇 가지 예시를 보여준다.

음운 변화 유형구어체 (백독)문어체 (문독)한자 (의미)백독 예시문독 예시
초성 변화[p-], [pʰ-][h-]分 (나누다)punhun
초성 변화[ts-], [tsʰ-], [tɕ-], [tɕʰ-][s-], [ɕ-]成 (되다)chiâⁿsêng
초성 변화[k-], [kʰ-][tɕ-], [tɕʰ-]指 (손가락)kíchí
운모 변화[-ã], [-uã][-an]看 (보다)khòaⁿkhàn
운미 변화[-ʔ] (성문 파열음)[-t]食 (먹다)chia̍hsi̍t
운모 변화[-i][-e]世 (세상)sìsè
운모 변화[-e][-a]家 (가족)keka
운모 변화[-ia][-i]企 (서다)khkhì


3. 3. 어휘

샤먼어(아모이어)는 상고 한어의 많은 음운과 어휘를 보존하고 있으나, 초기 단계에서 고대 민월어족이 사용했던 민월어의 영향을 받았다.[10] 또한 비음화가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특징이 있다.

관화와는 달리, 샤먼어는 유성음과 무기음 초성 자음구별한다(관화는 초성 자음의 유성음화가 없다). 영어와 달리, 샤먼어는 무기음과 기식음 무성 초성 자음을 구별한다(관화도 마찬가지다). 예를 들어, 샤먼어 화자들은 다음 음절 간의 차이를 쉽게 구별할 수 있다.

기식음 없음기식음 있음
양순음 파열음bo 母po 保pʰo 抱
연구개음 파열음go 俄ko 果kʰo 科
유성음무성음



그러나 샤먼어의 완전 유성 자음은 중고 한어의 유성 장애음에서 직접 유래한 것이 아니라, 비음 초성이 강화되어 발달한 것이다.[11]

언어학자 모리스 스워데시가 개발한 스워데시 목록은 언어의 진화를 연구하는 데 사용되는 도구로, 여러 언어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기본적인 단어들을 포함하고 있다. 이 목록을 통해 샤먼어와 다른 중국어 방언 및 언어들 간의 어휘 비교 연구를 수행할 수 있다.

3. 4. 문법

샤먼어 문법은 다른 중국어 방언과 유사한 구조를 공유하지만, 표준 중국어보다 약간 더 복잡하다.[11] 또한, 샤먼어와 표준 중국어에서 동일한 기능을 하는 조사라도 어원이 다른 경우가 많다.

=== 보어 구문 ===

샤먼어의 보어 구문은 어휘 선택에 차이가 있지만 대체로 표준 중국어의 구문과 유사하다. 다음은 샤먼어에서 사용되는 보어 구문의 예시이다.
샤먼어는 표준 중국어의 ''de'' (得) 대신 ''kah'' (甲)를 사용한다.

=== 부정 ===

부정 표현은 약 70% 정도 표준 중국어와 유사하지만, 사용되는 어휘는 다르다. 부정 표현에 사용되는 특정 어휘 입자는 표준화된 한자 표기가 없는 경우가 많다. (예: ''m̄''은 毋, 伓, 唔 등으로 표기될 수 있다.) 다음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부정사이다.

# '''''m̄''''' (毋/伓):

## '''~이 아니다 + 명사''' (표준 중국어 不, ''bù'')

#: ''i m̄-sī gún lāu-bú''. (伊毋是阮老母) "그녀는 나의 어머니가 아니다."

## '''~하지 않다 / ~하지 않을 것이다 + 동사''' (표준 중국어 不, ''bù'')

#: ''i m̄ lâi''. (伊毋來) "그는 오지 않을 것이다."

# '''동사 + ''bōe''''' (袂/𣍐 (⿰勿會)):

## '''~할 수 없다 + 결과 보어 입자''' (표준 중국어 不, ''bù'')

#: ''góa khòaⁿ-bōe-tio̍h''. (我看袂著) "나는 그것을 볼 수 없다."

# '''''bōe''''' (袂/𣍐 (⿰勿會)):

## '''~할 수 없다 + 보조 동사''' (''ē'' 會, "할 수 있다"의 반대) (표준 중국어 不, ''bù'')

#: ''i bōe-hiáu kóng Eng-gú''. (伊袂曉講英語) "그는 영어를 할 수 없다."

#*: ''bōe'' (袂)와 함께 사용되는 주요 보조 동사:

#*:* ''bōe-sái'' (袂使) - ~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는다 (표준 중국어 不可以 ''bù kěyǐ'')

#*:* ''bōe-hiáu'' (袂曉) - ~하는 방법을 모른다 (표준 중국어 不會, ''búhuì'')

#*:* ''bōe-tàng'' (袂當) - ~할 수 없다 (표준 중국어 不能, ''bùnéng'')

# '''''mài''''' (莫/勿愛):

## '''~하지 마라 (명령형)''' (표준 중국어 別, ''bié'')

#: ''mài kóng''! (莫講) "말하지 마!"

# '''''bô''''' (無):

## '''~하지 않다 / ~하지 않을 것이다 + 보조 동사''' (표준 중국어 不, ''bù'')

#: ''i bô beh lâi''. (伊無欲來) "그는 오지 않을 것이다."

#*: ''bô'' (無)와 함께 사용되는 주요 보조 동사:

#*:* ''beh'' (欲) - ~하고 싶다 + 동사; ~할 것이다 + 동사

#*:* ''ài'' (愛) - ~해야 한다 + 동사

#*:* ''èng-kai'' (應該) - ~해야 한다 + 동사

#*:* ''kah-ì'' (合意) - ~하고 싶다 + 동사

## '''~을 가지고 있지 않다''' (표준 중국어 沒有, ''méiyǒu'')

#: ''i bô chîⁿ''. (伊無錢) "그는 돈이 없다."

## '''~하지 않았다 (과거 부정)''' (표준 중국어 沒有, ''méiyǒu'')

#: ''i bô lâi''. (伊無來) "그는 오지 않았다."

## '''~하지 않다 + 형용사''' (표준 중국어 不, ''bù'')

#: ''i bô súi''. (伊無媠/水) "그녀는 아름답지 않다."

#* 예외: ''hó'' (好, "좋다")는 ''m̄ hó''와 ''bô hó'' 모두 사용 가능하다.

=== 입자 ===

샤먼어에서 흔히 사용되는 입자는 다음과 같다.

4. 표기

샤먼어 표기에는 주로 한자가 사용된다. 그러나 표준 중국어와 달리 샤먼어를 표기하는 통일된 규칙이 없으며, 샤먼어 표기가 가능한 사람도 많지 않다. 일부 사람들은 표준 중국어 발음을 빌려 샤먼어를 표기하기도 한다(예를 들어, '我'를 '哇'라고 쓰는 경우). 샤먼 지역 학자들을 중심으로 올바른 표기법(정자법)을 확립하고 보급하려는 노력이 시작되어, 관련 사전 출판과 규범 마련이 진행 중이다.

샤먼어 발음을 표기하기 위해 중국의 언어학자들은 국제 음성 기호(IPA)를 사용한다. 이 외에도 1955년 푸젠성 인민정부가 제정한 '민난 방언 병음 방안'(대만에서는 '푸민전'이라 불림)이라는 음성 기호 체계가 존재한다. 중국 대륙에서 출판되는 민난어 교과서에서는 이 '민난어 병음 방안'의 기호를 일부 수정하거나 생략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샤먼 사람들은 민난어에 대한 정식 교육을 받지 못했기 때문에 이 병음 방안의 존재 자체를 잘 알지 못한다.

샤먼어를 로마자로 표기하는 방식도 여러 가지가 고안되었다. 가장 오래되고 잘 확립된 체계는 19세기 기독교 교회에서 사용하기 시작한 백화자(POJ)이다. 최근 대만에서는 출판되는 많은 교과서와 사전에서 대만어 로마자 표기법(TL)을 선호하는 경향이 나타난다. 그 외에도 대만 학자들이 만든 '대만 민난어 로마자 병음 방안'(TLPA), '타이어 통용 병음'(DT) 등이 존재한다. 그러나 이러한 다양한 로마자 표기법들은 샤먼의 일반 대중에게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5. 현대 샤먼어의 위기와 보존 노력

중화인민공화국 정부의 표준어 보급 및 지역 방언 사용 억제 정책의 영향으로 1980년대 이후 샤먼 젊은 세대의 샤먼어 구사 능력은 현저히 저하되었다. 외부 인구 유입 증가 역시 민난어의 한 갈래인 샤먼어가 표준어에 밀려 점차 위축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민난어 계열인 대만어는 샤먼어와 상당히 유사하다. 대만어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억양은 장저우 음에 가까운 장·취안 혼합 억양(샤먼어의 하이창 억양 및 관커우 억양과 유사)이며, 두 번째로 영향력 있는 억양은 취안저우 음에 가까운 장·취안 혼합 억양으로, 대부분의 음운은 샤먼 시내(岛内腔) 억양과 비슷하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샤먼어 보존을 위한 노력도 이루어지고 있다. 중화인민공화국 정부는 厦门卫视|샤먼 위성 텔레비전중국어과 闽南之声广播|민난즈성 방송중국어 등 샤먼어 방송 송출을 허용했으며, 이는 샤먼어 보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샤먼 지역 학자들 사이에서도 샤먼어 보존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져 다양한 샤먼어 관련 서적이 출판되고 있으며, 샤먼어 교육을 위한 노력도 지속되고 있다. 민간에서는 샤먼어를 표기하기 위한 한자 규범을 마련하여 샤먼어 정자법(正字法)을 확립하려는 움직임도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 샤먼시 정부는 2009년 9월부터 일부 유치원과 초등학교에서 '민난 방언과 문화' 교육 과정을 시범적으로 개설했다. 2010년에는 시범 운영 범위를 확대했으며, 2011년부터는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에서 전면적으로 시행할 계획을 세웠다.

일상생활에서도 샤먼어 사용을 유지하려는 노력을 찾아볼 수 있다. 샤먼 지하철 차량 내에서는 표준 중국어, 샤먼어, 영어 3개 언어로 안내 방송이 이루어진다.

온라인 공간에서는 최근 자발적으로 민난어 문장을 사용하려는 사람들이 나타나고, 관련 웨이보 그룹이 생겨나는 등 샤먼어 사용을 활성화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Reclassifying ISO 639-3 [nan]: An Empirical Approach to Mutual Intelligibility and Ethnolinguistic Distinctions https://raw.githubus[...]
[2] 논문 Tones and prosody in Middle Chinese and the origin of the rising tone
[3] 서적 Middle Chinese: A study in Historical Phonology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Press
[4] 간행물 Glottolog 4.8 - Min https://glottolog.or[...] Max Planck Institute for Evolutionary Anthropology 2023-10-13
[5] 웹사이트 Amoyese https://www.merriam-[...] 2024-03-02
[6] 학위논문 Tone Patterns of Kelantan Hokkien and Related Issues in Southern Min Tonology http://repository.up[...] University of Pennsylvania 2005
[7] 서적 Authentic Chinese Christianity: Preludes to Its Development (Nineteenth and Twentieth Centuries) Leuven University Press 2001
[8] 뉴스 Táiwān Héluòhuà fāzhǎn lìchéng http://www.taiwan.cn[...] 2005-12-26
[9] 잡지 Formosa the Beautiful https://archive.org/[...] 1920-03
[10] 웹사이트 Gǔ Mǐnyuèzú yǔ Hànzú Mǐnnányǔ de yóulái http://www.jinjiang.[...] 2008-04-12
[11] 학위논문 Contact-Induced Phonological Change in Taiwanese http://rave.ohiolink[...] The Ohio State University 2011
[12] 서적 A handbook of old Chinese phonology Mouton de Gruyter 1992
[13] 논문 A Study of Literary and Colloquial Amoy Chinese https://www.jstor.or[...] 2022-06-01
[14] 논문 The Manila Incunabula and Early Hokkien Studies, Part 2 http://www2.ihp.sini[...] 196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