샤먼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샤먼어는 중국 푸젠성 샤먼 지역에서 사용되는 민남어의 방언이다. 1842년 샤먼이 무역항으로 개방된 이후 주변 지역 인구 유입과 대만, 동남아시아로의 이주를 통해 널리 퍼졌다. 샤먼어는 고대 중국어의 특징을 보존하고 있으며, 독특한 음운, 문법, 어휘 체계를 가지고 있다. 한자, 로마자, 국제 음성 기호 등으로 표기되며, 표준 중국어 보급 정책으로 사용이 위축되는 위기 속에서도 샤먼어 보존을 위한 다양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1842년 남경 조약 체결 이후 샤먼이 무역항으로 개방되면서 푸젠성의 취안저우, 장저우 등 여러 지역 주민들이 유입되었다. 이 과정에서 다양한 지역 억양들이 혼합되어 샤먼 방언의 기초가 형성되었다. 이후 수 세기에 걸쳐 푸젠성 남부 출신 호클로인들이 대만으로 이주하면서 샤먼 방언이 전파되었고, 이는 현대 대만어의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9] 샤먼 방언 화자들은 동남아시아의 여러 국가로도 이주하여 언어 공동체를 형성했다.
샤먼어(아모이어)는 상고 한어의 많은 음성과 단어를 보존하고 있으며, 초기에는 고대 민월어족이 사용했던 민월어의 영향을 받은 어휘적 특징을 보인다.[10] 또한 비음화 현상이 광범위하게 나타나는 것도 주요 특징 중 하나이다. 음운론적으로는 표준 중국어와 달리 유성음, 무기음, 유기음 초성 자음을 구별하는 등 독자적인 체계를 가지고 있으며(자세한 내용은 음운 문단 참조), 이러한 유성 자음은 중고 한어의 유성 장애음에서 직접 유래한 것이 아니라 비음 초성이 강화되어 나타난 것으로 분석된다.[11]
2. 역사
2. 1. 형성 과정
샤먼어는 취안저우어의 하위 방언인 퉁안어에서 발전한 언어(방언)이다. 퉁안어에 대한 연구는 샤먼어의 형성 과정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열쇠가 된다.
1842년 아편 전쟁 이후 체결된 남경 조약의 결과로 샤먼은 푸젠성의 주요 무역항 중 하나로 지정되어 대외에 개방되었다. 이 개방 조치로 샤먼과 인근 구랑위 지역은 빠르게 발전했으며, 이는 주변 지역인 취안저우와 장저우 등지로부터 많은 인구 유입을 촉진했다. 샤먼으로 이주해 온 사람들은 각기 다른 억양을 사용했는데, 이러한 다양한 억양들이 서로 섞이고 융합되면서 샤먼 방언의 기반이 형성되기 시작했다. 특히 취안저우어와 장저우어의 특징이 결합되면서 독특한 샤먼어가 만들어졌다.[9]
2. 2. 대만과의 관계
과거 수 세기 동안 푸젠성 남부 지역 출신의 많은 호클로인들이 네덜란드령 포르모사와 청나라의 대만 지배 시기에 대만으로 이주하면서 샤먼어가 전파되었다. 이 시기 "샤먼 방언"은 대만의 통속어로 여겨졌다.[9] 이후 일제강점기 동안 대만에서 사용되는 여러 억양이 혼합된 언어는 '대만어'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현대 대만어와 샤먼어 사이에는 미국 영어와 영국 영어의 비교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어휘나 발음에서 약간의 차이가 존재하지만, 이러한 차이가 의사소통에 큰 어려움을 주지는 않는다.
2. 3. 동남아시아 확산
샤먼 방언 화자들은 동남아시아 여러 지역으로도 이주하였다. 이들은 주로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필리핀, 인도네시아, 브루나이, 태국, 캄보디아, 미얀마 등으로 이주하여 샤먼어를 전파했다.
3. 특징
3. 1. 음운
샤먼어는 상고 한어의 음운 특징을 많이 간직하고 있으며, 비음화 현상이 두드러진다.[10] 표준 중국어와 달리 유성음, 무기음, 유기음 초성 자음을 구별하는 특징이 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문단 참조)
백화자를 기준으로 한 샤먼어의 음운 체계는 다음과 같다.
'''자음 (성모)'''
샤먼어에는 14개의 성모(초성 자음)가 있다.
colspan=2 | | 양순음 | 치경음 | 치경구개음 (/i/ 앞) | 연구개음 | 성문음 | |
---|---|---|---|---|---|---|
비음 | m (m) | n (n) | ŋ (ng) | |||
파열음 | 무성음 무기음 | p (p) | t (t) | k (k) | ʔ (종성에서 h) | |
유성음 | b (b) | ɡ (g) | ||||
무성음 유기음 | pʰ (ph) | tʰ (th) | kʰ (kh) | |||
파찰음 | 무성음 무기음 | ts (ch/ts) | tɕ (ch/ts) | |||
유성음 | dz (j) | dʑ (j) | ||||
무성음 유기음 | tsʰ (chh/tsh) | tɕʰ (chh/tsh) | ||||
마찰음 | s (s) | ɕ (s) | h (h) | |||
설측 접근음 | l (l) |
- 음절 끝에 오는 p, t, k는 터뜨리지 않고 입모양만 만드는 불파음([p̚], [t̚], [k̚])으로 발음된다.
- m과 ng([ŋ])는 단독으로 음절을 이루는 성절 자음([m̩], [ŋ̍])이 될 수 있다.
- 치경음 계열 자음(/ts, tsʰ, dz, s/)은 모음 /i/ 앞에서는 치경구개음([tɕ, tɕʰ, dʑ, ɕ])으로 소리 난다.
- /l/은 어두에서 탄음 [ɾ]이나 유성 치경 파열음 [d]로 발음되기도 한다.[14]
- 유성 파열음 [b], [ɡ] 등은 중고 한어의 유성 장애음에서 직접 유래한 것이 아니라, 비음 초성이 강화되어 나타난 것이다.[11]
'''모음 (운모)'''
샤먼어에는 78개의 운모(모음과 종성 자음의 결합)가 있다.
- 단모음: a, ɔ, o, e, i, u
- 비모음: ã, ɔ̃, ẽ, ĩ (ũ는 단독으로 쓰이지 않고 다른 모음과 결합)
- 이중모음: ai, au, ia, io, iu, ui, ua, ue
- 삼중모음: iau, uai
- 비음 종성 운모: am, an, aŋ, ɔŋ, im, in, iɛn, iŋ, iam, iaŋ, iɔŋ, un, uan, uaŋ, m̩, ŋ̍
- 파열음 종성 운모 (입성): ap, at, ak, ɔk, ip, it, ik/ek, iap, iɛt, iak, iɔk, ut, uat
- 성문 파열음 종성 운모 (입성): aʔ, ɔʔ, oʔ, eʔ, iʔ, uʔ, iaʔ, ioʔ, iuʔ, uiʔ, uaʔ, ueʔ, aiʔ, auʔ, iauʔ, uaiʔ, mʔ, ŋʔ
- 비음화된 입성 운모: ãʔ, ɔ̃ʔ, ẽʔ, ĩʔ, iãʔ, uẽʔ, ãiʔ, ãuʔ, iãuʔ, uãiʔ
'''성조'''
샤먼어는 중국 중고음의 성조 체계를 비교적 잘 보존하고 있어, 종성 자음이 없는 음절에는 6개의 성조가 있고, 종성 자음([p̚], [t̚], [k̚], [ʔ])으로 끝나는 입성(入聲) 음절에는 2개의 성조가 있다. 성조는 전통적으로 1부터 8까지 번호를 매기며, 4성과 8성이 입성이다. 현대 샤먼어에서는 성조 2(음상)와 성조 6(양상)의 구분이 사라지는 경향이 있다.
성조 번호 (백화자 기준) | 성조 이름 | 성조 기호 (백화자) | 성조값 (수치 표기) | 성조값 (IPA) |
---|---|---|---|---|
1 | 음평(陰平) | (표기 없음) | 44 | ˥ 또는 ˦ |
2 | 음상(陰上) | ´ | 53 | ˥˧ |
3 | 음거(陰去) | ` | 21 | ˨˩ 또는 🥉 |
4 | 음입(陰入) | (p/t/k/h로 끝남) | 32 | ˧˨ʔ 또는 🥉ʔ |
5 | 양평(陽平) | ˆ | 24 | ˨˦ 또는 🥈 |
6 (현대 2와 통합) | 양상(陽上) | (현대 표기 없음) | (24) | (˨˦) |
7 | 양거(陽去) | ˉ | 22 | ˨ 또는 🥈 |
8 | 양입(陽入) | ̍ (p/t/k/h 앞에 붙음) | 4 | ˦ʔ 또는 ˥ʔ |
'''성조 연쇄 (연속 변조)'''
샤먼어는 매우 규칙적이고 광범위한 성조 연쇄(성조 변화) 현상을 보인다. 여러 음절이 이어질 때, 마지막 음절을 제외한 앞 음절들의 성조가 일정한 규칙에 따라 바뀐다. '발화 단위'의 마지막 음절만 원래 성조를 유지한다.
다음 표는 각 원래 성조가 다른 성조 앞에서 어떻게 변하는지를 보여준다.
원래 성조 (백화자 표기) | 원래 성조값 | 변화된 성조 (백화자 표기) | 변화된 성조값 |
---|---|---|---|
1성 (a) | 44 | 7성 (ā) | 22 |
2성 (á) | 53 | 1성 (a) | 44 |
3성 (à) | 21 | 2성 (á) | 53 |
4성 (-p/t/k/h) | 32 | 8성 (a̍p/a̍t/a̍k/a̍h) | 4 |
5성 (â) | 24 | 7성 (ā) | 22 |
7성 (ā) | 22 | 3성 (à) | 21 |
8성 (a̍p/a̍t/a̍k/a̍h) | 4 | 3성 (àp/àt/àk/àh) | 21 (단, 종성이 -h일 경우 4성 유지) |
- 규칙 요약: 1성 → 7성, 2성 → 1성, 3성 → 2성, 4성 → 8성, 5성 → 7성, 7성 → 3성, 8성 → 3성.
'''문백 이독 (문어음과 구어음)'''
다른 민난어처럼 샤먼어에도 문어체 발음(독서음)과 구어체 발음(백화음)이 공존하는 현상이 두드러진다. 동일한 한자가 문맥이나 단어에 따라 다르게 읽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크다'는 뜻의 한자 大는 구어체로는 tōa ([tua˧])로, 문어체로는 tāi ([tai˧])로 읽힌다.
구어체 발음은 일반적으로 더 오래된 민어 고유의 발음으로 여겨지며, 문어체 발음은 이후 중고 한어의 영향을 받아 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12][13] 어떤 발음을 사용해야 하는지에 대한 명확한 규칙이 없어 학습 시 개별적으로 암기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일반적으로 단음절 단어에서는 구어체 발음이 더 흔하게 사용된다.
다음은 문어음과 구어음 간의 주요 음운 대응 관계 예시이다.
구어음 | 문어음 | 예시 한자 | 구어음 발음 | 문어음 발음 | 의미 |
---|---|---|---|---|---|
[p-], [pʰ-] | [h-] | 分 | pun | hun | 나누다 |
[ts-], [tsʰ-], [tɕ-], [tɕʰ-] | [s-], [ɕ-] | 成 | chiâⁿ | sêng | 되다, 이루다 |
[k-], [kʰ-] | [tɕ-], [tɕʰ-] | 指 | kí | chí | 손가락, 가리키다 |
[-ã], [-uã] | [-an] | 看 | khòaⁿ | khàn | 보다 |
[-ʔ] (입성 -h) | [-t] (입성 -t) | 食 | chia̍h | si̍t | 먹다 |
[-i] | [-e] | 世 | sì | sè | 세상 |
[-e] | [-a] | 家 | ke | ka | 집, 가족 |
[-ia] | [-i] | 企 | khiā | khì | 서다, 꾀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