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풍산 김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풍산 김씨는 신라 김알지의 후예인 김문적을 시조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고려 고종 때 좌리공신에 오른 김문적이 풍산백에 봉해졌으며, 7세 김안정을 중시조로 한다. 조선 시대에는 김양진, 김영조, 김응조 등이 문과에 급제하여 이름을 알렸고, 청송 김씨, 풍기 김씨 등으로 분적되었다. 본관은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일대인 풍산이며, 조선 시대에 문과 29명, 무과 27명 등 다수의 과거 급제자를 배출했다. 2000년 대한민국 통계청 조사에 따르면 12,438명이 풍산 김씨 성을 사용하고 있으며, 경기도 김포 등지에 집성촌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풍산 김씨 - 김탁환
    김탁환은 1968년 경상남도 진해 출생으로, 조선 후기를 배경으로 역사적 인물과 사건을 재해석하는 특징을 가진 대한민국의 소설가이자 평론가이다.
  • 풍산 김씨 - 김지섭
    김지섭은 안동 출신의 독립운동가로, 3·1 운동 참여 후 의열단에 가입하여 일본 시설 파괴를 시도하다 체포되어 옥중에서 사망했으며, 건국훈장 대통령장을 추서받았다.
풍산 김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풍산 김씨 정보
성씨풍산 김씨
한자 표기豐山金氏
나라한국
관향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시조김문적
중시조김안정
집성촌경기도 김포군 검단면
충청북도 중원군 주덕면
경상북도 봉화군 물야면, 안동군 풍산면
황해도 연백군 금산면, 평산군 마산면
주요 인물김영립, 김안정, 김자순, 김양진, 김영조, 김응조, 김수현
2000년 인구12,438명

2. 역사

김양진의 현손 김영조는 문과에 급제하여 이조참판을 역임했으며 서원에 배향되었다. 김영조의 아우 김응조도 우윤을 역임하고 서원에 배향되었다. 김양진의 증손 김수현은 참찬과 제학을 역임했다.

2. 1. 시조 및 기원

시조 '''김문적'''(金文迪)은 신라 김알지의 후예로 고려 고종 때 나라에 공을 세워 좌리공신(佐理功臣) 판상사(判相事)에 올랐으며 풍산백(豊山伯)에 봉해졌다.[1]

7세 '''김안정'''(金安鼎)은 고려 말 삼사좌윤(三司左尹)을 역임하였는데 후손들이 중시조(中始祖)로 삼고 있다.

김안정의 아들 김자순(金子純)은 조선조 계공량 군기시 직장 통훈대부 통례원을 역임하고 일파를 이루었다. 김자순의 증손 김양진(金楊震)은 문과에 급제하여 벼슬이 부제학(副提學)이었으며 청백리(淸白吏)에 뽑혔다.

김양진의 현손 김영조(金榮祖)는 문과에 급제하여 벼슬이 이조참판(吏曹參判)이었으며 서원에 배향되었다. 김영조의 아우 김응조(金應祖)도 벼슬이 우윤(右尹)이었으며 서원에 배향되었다. 김양진의 증손 김수현(金壽腎)은 벼슬이 참찬(參贊)ㆍ제학(提學)을 역임했다.

2. 2. 분적

청송 김씨, 풍기 김씨, 풍천 김씨, 화평 김씨 등으로 분적되었다.

3. 본관

풍산(豊山)은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일대의 옛 지명으로, 신라 때 하지현(下枝縣)이었다가 757년(경덕왕 16) 영안(永安)으로 고쳐져 예천(醴泉)의 영현(領縣)이 되었다. 923년(고려 태조 6)에 풍산현(豊山縣)으로 이름이 바뀌었으며, 1172년(고려 명종 2)에 감무(監務)를 두었다가 안동부(安東府)에 예속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풍산현의 이름을 따서 풍산면이라 하였으며, 1973년 읍(邑)으로 승격되었다. 1995년 안동시에 통합되었다.

4. 인물

풍산 김씨는 고려와 조선시대, 그리고 근현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인물을 배출했다. 고려시대에는 김영립(호장), 김연성(충렬왕 때 문과 급제, 찬성사, 안동 풍산 오릉동 은거), 김안정(봉익대부 삼사좌윤, 중시조)이 있었다. 조선시대에는 김자양(병조판서, 왕자의 난 연루), 김자순(계공랑 군기시 직장, 통훈대부 통례원, 안동 풍산현 오릉동 정착), 김양진(공조참판, 사간원 대사간, 부제학, 청백리 선정), 김의정(김양진 아들, 홍문관 수찬, 시호 문정) 등이 대표적이다. 근현대에는 독립운동가 김지섭과 대한민국 장성 및 국제관계학 박사 김재창이 있다.

4. 1. 고려

김영립(金永立)은 호장(戶長)을 지냈다.[1] 김연성(金鍊成)은 충렬왕 때 문과에 급제하여 찬성사를 지내고, 안동 풍산 오릉동(현 풍산읍 오미동)에 은거하였다.[2] 김안정(金安鼎)은 고려 말 봉익대부(奉翊大夫) 삼사좌윤을 지냈으며, 풍산 김씨의 중시조이다.

4. 2. 조선


  • 김자양(金子良): 병조판서를 지냈으며, 왕자의 난에 연루되어 죽었다.[1]
  • 김자순(金子純): 조선 초 계공랑 군기시 직장(直將), 통훈대부 통례원을 역임하였다. 형 김자양이 왕자의 난에 연루되어 피해를 입자 경상북도 안동 풍산현 오릉동에 정착하였다. 이후 후손들이 이곳에 세거하며 가문을 형성하고 일파를 이루었다.[2]
  • 김양진(金楊震): 문과에 급제하여 공조참판(工曹參判), 사간원 대사간(司諫院 大司諫)을 지냈고, 벼슬이 부제학(副提學)이었으며, 청백리에 선정되었다.
  • 김의정(金義貞): 김양진의 아들로, 문과에 급제하여 홍문관 수찬(弘文館修撰)을 지냈다. 시호는 문정(文靖)이다.
  • 김대현(金大賢): 김양진의 중손으로, 증가선대부 이조참판을 지냈다. 영주 구호서원(鷗湖書院)에 배향되었다.
  • 김영조(金榮祖): 김양진의 현손으로, 문과에 급제하여 이조참판(吏曹參判) 등을 역임하였다. 영주의 구산정사(龜山精舍)에 배향되었다.
  • 김응조(金應祖): 김영조의 아우로, 문과에 급제하여 한성부 우윤(漢城府右尹) 등을 역임하였다. 안동 물계서원(勿溪書院)과 영천 의산서원(義山書院)에 제향되었다.
  • 김수현(金壽腎): 김양진의 증손으로, 참찬(參贊)· 제학(提學)을 역임하였다. 시호는 정헌(靖憲)이다.

4. 3. 근·현대

5. 과거 급제자

풍산 김씨는 조선시대에 문과 급제자 29명, 무과 급제자 27명, 생원시 급제자 69명, 진사시 급제자 33명, 음관 12명을 배출했다.[2]

각 급제자 명단은 하위 문서를 참고하면 된다.

5. 1. 문과

명단
김간(金侃), 김규운(金奎運), 김두흠(金斗欽), 김몽후(金夢垕), 김봉조(金奉祖), 김상온(金相溫), 김서구(金叙九), 김서복(金瑞復), 김서응(金瑞應), 김서장(金瑞張), 김서진(金瑞陳), 김수현(金壽賢), 김숭조(金崇祖), 김양진(金楊震), 김연조(金延祖), 김영조(金榮祖), 김윤기(金潤起), 김응조(金應祖), 김의정(金義貞), 김익현(金翼賢), 김정(金), 김종규(金宗奎), 김종태(金宗泰), 김중하(金重夏), 김중환(金重煥), 김진(金鎭), 김필원(金必源), 김호(金鎬)

[2]

5. 2. 무과

풍산 김씨 무과 급제자
이름
김귀상(金貴尙)
김득선(金得善)
김련(金璉)
김상렬(金商烈)
김상록(金相祿)
김서풍(金瑞豊)
김석우(金碩佑)
김석좌(金碩佐)
김석중(金碩重)
김석필(金碩弼)
김시직(金時稷)
김약려(金若礪)
김응복(金應福)
김응윤(金應胤)
김익정(金益精)
김인례(金仁礼)
김종기(金宗器)
김종현(金宗顯)
김중서(金重西)
김중우(金重瑀)
김진웅(金震雄)
김처대(金處大)
김치환(金致煥)
김태동(金台東)
김하준(金夏準)
김항(金沆)
김현우(金玹宇)


5. 3. 생원시

성명한자생원시 합격 여부
김경조金慶祖O
김계학金繼學O
김광백金光白O
김규金奎O
김규영金奎永O
김규헌金奎獻O
김단金檀O
김달룡金達龍O
김대현金大賢O
김몽후金夢垕O
김문규金文奎O
김민원金敏源O
김병호金秉浩O
김상섭金相燮O
김상온金相溫O
김상용金相鏞O
김상일金相馹O
김상탁金相鐸O
김상호金相鎬O
김서권金瑞權O
김서길金瑞吉O
김서도金瑞圖O
김서봉金瑞鳳O
김서장金瑞張O
김서절金瑞節O
김서천金叙天O
김서한金瑞翰O
김서화金瑞華O
김성O
김순정金順貞O
김시침金時忱O
김양진金揚震O
김염조金念祖O
김예원金禮源O
김응문金應門O
김응조金應祖O
김이진金以震O
김익원金益源O
김익현金翼賢O
김재승金載升O
김정락金貞洛O
김정수金鼎壽O
김정원金鼎源O
김정하金鼎夏O
김종걸金宗杰O
김종경金宗慶O
김종규金宗奎O
김종련金宗鍊O
김종봉金宗鳳O
김종석金宗錫O
김종욱金宗煜O
김종철金宗哲O
김종탁金宗鐸O
김종태金宗泰O
김종휴金宗烋O
김종희金宗熙O
김좌원金左源O
김준원金浚源O
김중교金重嶠O
김중기金重驥O
김중남金重南O
김중연金重淵O
김진金鎭O
김진승金震升O
김취려金就礪O
김태정金台鼎O
김태황金泰璜O
김필원金必源O
김행원金行源O



조선시대 풍산 김씨 문중에서 배출한 생원시 합격자는 총 69명이다.[2]

5. 4. 진사시

이름한자
김간金侃
김과金菓
김근신金謹臣
김낙효金樂孝
김명현金命賢
김몽정金夢鼎
김병세金秉世
김봉조金奉祖
김상온金相溫
김상유金相儒
김상혜金相惠
김서응金瑞應
김서호金瑞虎
김선金銑
김수봉金壽鳳
김수현金壽賢
김숭조金崇祖
김양명金陽鳴
김연조金延祖
김의정金義貞
김이강金以剛
김정
김정화金鼎和
김종희金宗熙
김중휴金重休
김찬기金瓚起
김창조金昌祖
김치현金致鉉
김침金琛
김형규金炯奎
김호金鎬
김환규金煥奎
김휘벽金輝璧

[2]

5. 5. 음관

조선시대에 음관 12명을 배출했다.[2]

이름
김규운(金奎運)
김두흠(金斗欽)
김상록(金相祿)
김상룡(金尙龍)
김종박(金宗珀)
김종석(金宗錫)
김종태(金宗泰)
김중삼(金重三)
김중철(金重喆)
김중하(金重夏)
김중휴(金重休)


6. 집성촌


7. 인구

2000년 통계청이 발표한 결과에 의하면 풍산 김씨는 3,872가구 총 12,438명이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8. 항렬자

풍산 김씨 항렬표
21세22세23세24세25세26세27세28세29세30세31세32세33세34세35세36세
상(相)○○종(宗)중(重)○○규(奎)락(洛)○○병(秉)섭(燮)재(在)○○현(鉉)연(淵)○○동(東)환(煥)○○균(均)석(錫)영(永)식(植)


참조

[1] 문헌 증보문헌비고
[2] 웹사이트 http://people.aks.ac[...] 2019-03-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