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산 (프리모르스키 지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산은 러시아 프리모르스키 지방에 위치한 도시형 정착지로, 1938년 하산호 전투 이후 건설된 철도 노선의 종착역으로 시작되었다. 하산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화인민공화국과 인접한 지역으로, 러시아와 북한을 연결하는 철도 교통의 요충지이다. 블라디보스토크에서 라선시 선봉구역을 연결하는 바라놉스키-하산 선이 통과하며, 2000년대 이후 철도 시스템 개선 및 현대화 투자가 이루어졌다. 또한, 하산은 한국의 한반도종단철도(TKR)와 시베리아횡단철도(TSR) 연결 구상에서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하산은 습윤 대륙성 기후를 보이며, 여름에는 동아시아 몬순, 겨울에는 시베리아 고기압의 영향을 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리모르스키 변경주의 행정 구역 - 포그라니치니
포그라니치니는 러시아 연해주에 위치한 중국과의 국경 도시로, 1898년 동청철도 역으로 세워진 후 1958년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으며, 습윤 대륙성 기후를 띠는 시베리아 횡단 철도 연결의 요충지이다. - 프리모르스키 변경주의 행정 구역 - 크라스키노
크라스키노는 러시아 프리모르스키 지방 하산스키군의 도시형 정착촌으로, 과거 발해의 염주성이 위치했으며, 1936년 미하일 크라스킨 중위의 이름을 따 명칭이 변경되었고, 중국 훈춘과 블라디보스토크를 연결하는 철도 노선이 통과한다. - 러시아의 도시 - 첼랴빈스크
첼랴빈스크는 러시아 첼랴빈스크주의 주도로, 우랄산맥 동쪽 미아스 강가에 위치하며 시베리아 횡단 철도 건설 후 교통과 산업의 중심지로 성장했고, 제2차 세계 대전 중 군수 산업 발달로 '탱코그라드'라 불렸으며, 2013년 운석 낙하 사건이 있었던 러시아의 주요 산업, 문화, 스포츠 중심지 중 하나이다. - 러시아의 도시 - 비르스크
비르스크는 1663년에 건설되어 1781년에 도시 지위를 얻었으며, 러시아 내 바시키르 공화국 소속 도시이자 비르스키 구의 행정 중심지 역할을 한다.
하산 (프리모르스키 지방)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Khasan |
로마자 표기 | 하산 |
러시아어 표기 | Хасан |
도시 유형 | 도시형 정착촌 |
위치 | 러시아, 연해주, 하산스키 군 |
설립 연도 | 1959년 |
도시 지위 획득 | 1983년 |
행정 | |
행정 구역 | 하산스키 군 |
지도자 | 이반 스테파노프 |
면적 | |
총 면적 | (정보 없음) |
인구 | |
2023년 인구 | 469명 |
2010년 인구 조사 | 742명 |
2002년 인구 조사 | 795명 |
1989년 인구 조사 | 1,187명 |
인구 밀도 | (정보 없음) |
시간대 | |
시간대 | 블라디보스토크 시간 (UTC+10) |
기타 정보 | |
우편 번호 | 692700 |
웹사이트 | 하산 도시형 정착촌 공식 웹사이트 |
2. 역사
1938년 일본군과의 하산호 전투가 발생한 이후, 군사적 충돌에 대비하기 위해 바라놉스키와 크라스키노를 연결하는 철도 노선이 1941년에 완공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이후에는 두만강 하구까지 철도가 연장되었고 하산역이 세워졌다. 1959년에는 하산 노동 정착지가 만들어졌으며, 1983년에 도시형 정착지로 승격되었다.
러시아의 하산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나선시와 중화인민공화국(중국)의 훈춘시와 함께 삼국이 서로 국경을 맞대고 있는 지역이다. 하산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의 국경에 있는 러시아의 유일한 거주지이기도 하다.
하산의 주요 교통은 철도와 도로로 이루어진다. 특히 바라놉스키-하산 선 철도는 블라디보스토크와 북한 라선시를 잇는 노선상에 위치하여, 러시아와 북한 간의 중요한 교통 요충지 역할을 한다. 도로망 또한 정비되어 지역 교통 및 국제적 연결에 기여하고 있다.
3. 지리
이곳은 하산호와 두만강 근처에 자리 잡고 있다. 러시아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이의 국경은 두만강을 따라 형성되는데, 두만강의 흐름은 홍수 시에 종종 바뀌어 러시아 영토를 잠식하고 하산 정착지와 페스차나야 국경 초소를 침수시킬 위험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03년부터 강둑을 암반 토양으로 보강하는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국경 근처에는 대형 레이더 배열이 있는 눈에 띄지 않는 러시아 전초 기지가 있다.[2] 국경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쪽에는 투만강 지역이 있으며, 가장 가까운 중국 마을은 팡촨이다.
4. 교통
4. 1. 철도
하산에는 바라놉스키-하산 선 철도 노선의 하산역이 있다. 이 노선은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시작하여 두만강을 건너 북한의 라선시 선봉구역까지 이어지며, 하산은 이 철도가 통과하는 지점에 위치한다. 러시아와 북한을 연결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 두만강을 가로지르는 철교인 조로친선교가 놓여 있다. 강 건너편 북한 선봉군에는 두만강역이 있다. 경우에 따라 평양시의 평양역까지 열차가 운행되기도 한다.
바라놉스키역에서 크라스키노 방향으로 190km 지점까지 이어지는 철도 노선 건설은 1941년에 완공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이 노선은 북한과의 국경까지 연장되어 총 길이는 238km가 되었다. 노선의 종착역은 하산호 근처에 위치한 하산역으로, 1951년 9월 28일에 개통되었다. 초기에는 막다른 역이었으나, 1952년 국경인 두만강 너머로 임시 목조 다리가 건설되면서 첫 열차가 북한으로 운행되었다.
하산역을 통한 소련과 북한 간의 철도 화물 교환은 1954년부터 시작되었다.
연도 | 방향 | 화물량 (량) | 화물량 (톤) |
---|---|---|---|
1954년 | 북한 → 소련 (수출) | 65량 | 1300ton |
소련 → 북한 (수입) | 153량 | 3123ton | |
1955년 | 북한 → 소련 (수출) | 530량 | 7200ton |
소련 → 북한 (수입) | 295량 | 4800ton |
불과 2년 만에 하산역의 수출 물동량은 14배, 수입 물동량은 16배나 증가했다. 늘어나는 교통량을 감당하기 위해 임시 목조 다리를 대체할 필요성이 제기되었고, 1959년 소련과 북한은 석조 교각 위에 금속 상판을 얹은 새로운 다리, 즉 '우정의 다리'를 건설하기로 공동 결정했다. 이 다리는 1959년 8월 9일에 완공되었다.[3][4] 러시아 철도 시스템은 1520mm 광궤를 사용하는 반면, 북한 철도 시스템은 1435mm 표준궤를 사용하기 때문에 두 철도 사이에는 궤간 변경 작업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 노선은 점차 이용률이 감소하여, 2005년에는 연간 승객 수가 1만 명에 불과했다.[5] 화물 수송량 역시 급감했는데, 1988년에는 양방향 화물 수송량이 연간 500만ton을 초과했지만, 2001년에는 총 14.4만ton으로 줄어들었다. 특히 러시아 하산에서 북한 두만강으로 넘어가는 화물량은 1989년 83만ton에서 1998년 15만ton으로 감소했고, 2001년에는 9.2만ton에 그쳤다. 한편, 두만강역에서 라진 항구까지 이어지는 북한 내 철도 구간은 1950년대에 파괴된 상태였다.
1990년대 러시아의 경제 위기는 철도 상태 악화로 이어졌다. 1996년까지 북한은 러시아 철도에 2000만달러의 부채를 지게 되었는데, 이는 북한 측이 자국 내에 있던 러시아 화물 열차를 압류하여 사용하면서 지난 5년간 누적된 것이었다. 이로 인해 러시아 교통부는 하산에서 북한으로 가는 열차 운행을 금지하는 조치를 내렸고, 이는 북한을 러시아 시장에서 사실상 고립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이 문제는 1996년 9월, 북한이 2600만달러의 부채를 상환하기로 합의하면서 해결되었다.[6]
21세기 초에 들어 상황이 개선되면서, 이 지역 철도 시스템을 개선하고 현대화하기 위한 투자가 이루어졌다. 하산역은 2002년에 새로운 지붕을 설치했고, 2002년과 2003년에는 자갈을 사용하여 철로 바닥을 높이는 공사가 진행되었다.[7] 2001년에는 러시아 철도가 우수리스크에서 하산역까지 광섬유 케이블을 설치하여, 하산을 극동 러시아의 열차 통합 데이터 시스템에 연결했다.[8]
2008년 4월, 러시아와 북한은 북한으로 가는 철도 노선을 재건하는 오랜 숙원 사업에 대한 계약을 체결했다. 이 계약은 러시아 국경 도시인 하산에서 북한 라진항까지의 철도 노선을 개보수하여, 북한을 오가는 해상 화물을 처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러시아 철도 무역 회사와 라진항은 합작 회사를 설립했다. 이 합작 회사는 프로젝트 투자를 유치하고 설계 및 건설 계약자를 고용하는 역할을 맡는다. 합작 회사는 49년 동안 운영될 예정이며, 지분은 러시아가 70%, 북한이 30%를 갖는다.[9] 러시아 철도 관계자들은 2008년 10월 하산-라진 철도 구간 개보수 공사를 시작했으며,[10] 2011년 10월에는 시범 열차가 운행되었다. 이듬해 2월까지 라진-하산 구간에 길이 32km의 새로운 복선 선로가 부설되었고, 20km의 기존 선로가 개보수되었다. 또한 철도 분기기 설치, 다수의 기차역 재건, 터널 공사, 간선 통신선 및 전기 연동선 가설, 배수 시설 복구 등이 이루어졌다.[11] 2014년 여름부터는 이 노선을 통해 북한산 석탄 수송이 시작되었다.[12]
4. 2. 도로
2007년 11월, 하산, 자루비노와 포시에트항, 나데즈진스키 구의 라즈돌노예를 연결하는 개보수된 하산-라즈돌노예 도로가 완공되었다.[13] 2015년 4월, 러시아 교통부 차관 니콜라이 아사울과 북한 교통부 차관 곽일룡은 러시아와 북한 간의 도로 연결 개발에 관한 협정을 체결했다.[14]5. 경제
하산은 러시아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경에 위치한 지리적 특성상 에너지 교역을 포함한 경제 협력의 잠재적 거점으로 주목받아 왔다. 특히 LPG의 대북 교역이나 한국가스공사와 러시아 가스프롬 간의 PNG 사업 논의와 관련하여 언급되기도 했으며, 한국 기업인 STX가 이 지역에서 LPG 터미널 사업을 추진한 바 있다. 이러한 경제 활동은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의 대북 제재 결의와 관련하여 주목받기도 하였다.
5. 1. LPG 가스
2017년에 채택된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2397호에 따라, 회원국들은 매 30일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 보내거나 판매한 정제된 석유제품 규모를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위원회에 보고해야 한다.2018년 8월 11일, 러시아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액화석유가스(LPG)를 대량으로 수출하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 이는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2375호 위반 소지가 있는 행위이다. 만성적인 연료 부족에 시달리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러시아산 LPG를 대량 수입하여 도시에 보급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부유층뿐만 아니라 일반 주민들도 가스를 사용하기 시작한 것으로 알려졌다. 주유소에서는 한 가정이 한 달 정도 사용하는 13kg LPG 가스통이 90~110위안(한화 약 1.49만원~1.81만원) 정도에 판매되고 있다.
2018년 11월 13일, STX는 러시아 연해주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접경 도시인 하산에 액화석유가스(LPG) 탱크터미널 사업 진출을 발표했다. 서울 플라자 호텔에서 러시아 현지 회사인 유한회사 KIM에 600만달러를 투자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STX는 현지 회사가 향후 3년간 약 60만 톤의 LPG 거래를 통해 5억달러의 매출을 올릴 것으로 예상했다.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2375호는 매년 LPG 200만 배럴(162,078 톤)의 대북 수출을 허용하고 있으며, 액화천연가스(LNG)는 대북 수출이 전면 금지되었다. 이후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2397호에서는 대북 LPG 수출 한도가 매년 50만 배럴로 제한되었다.
5. 2. 관련 연표
- '''2017년 7월''': 러시아 가스프롬은 한국가스공사에 한·북·러 PNG 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사업 전반의 경제성과 기술성에 대한 공동검토를 요청했다.
- '''2017년 9월 11일''':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2375호가 통과되었다. 이 결의는 매년 LPG 가스 200만 배럴(162,078 톤)의 대북 수출을 허용했으나, LNG 가스의 대북 수출은 전면 금지했다.
- '''2017년 10월''': 한국가스공사는 국내 로펌에 PNG 사업 추진과 관련하여 미국의 대러 제재 및 유엔의 대북 제재 저촉 여부에 대한 법률 검토를 의뢰했다.
- '''2017년''':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2397호가 채택되었다. 이 결의는 매년 LPG 가스의 대북 수출 한도를 50만 배럴로 더욱 제한했으며, 회원국들에게 매 30일마다 대북 정제 석유제품 판매 및 이전 규모를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위원회에 보고하도록 의무화했다.
- '''2018년 6월''': 한‧러 정상회담 공동성명에서 한국과 러시아 양국은 가스프롬과의 PNG 사업 공동연구에 대한 지지를 공식적으로 표명했다.
- '''2018년 8월 11일''': 러시아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LPG 가스를 대량으로 수출하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 이는 당시 시행 중이던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2375호의 연간 상한선(200만 배럴)을 넘어서는 규모일 수 있어 제재 위반 논란이 제기되었다. 보도에 따르면, 만성적인 연료 부족을 겪던 북한이 러시아산 LPG를 대량 수입하여 도시에 보급하면서 부유층뿐 아니라 일반 주민들도 가스를 사용하기 시작했으며, 주유소에서는 13kg LPG 가스통이 90~110 위안(한화 약 1.49만원~1.81만원) 정도에 판매되고 있었다.
- '''2018년 8월 21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전체회의에서 당시 자유한국당 소속이었던 김규환 의원은 한국가스공사의 PNG 사업 공동연구가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2375호 위반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한국가스공사는 "PNG 사업은 천연가스의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공급원 확보와 도입선 다변화를 위해 추진하는 사업으로 대북지원 사업이 아니며, PNG 공동연구 역시 대북 제재와는 무관하다"고 반박하며 사업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 '''2018년 11월 13일''': STX 그룹이 러시아 연해주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접경 도시인 하산시에 LPG 탱크터미널 사업에 진출한다고 발표했다. STX는 서울 플라자 호텔에서 러시아 현지 회사인 유한회사 KIM에 600만달러를 투자하는 계약을 체결했으며, 이를 통해 현지 회사가 향후 3년간 약 60만t의 LPG 거래로 5억달러의 매출을 올릴 것으로 기대했다.
6. 한반도 종단 철도(TKR)와의 관계
한반도종단철도(TKR)가 시베리아횡단철도(TSR)와 연결되는 구상에서 하산은 중요한 지점으로 여겨진다. 주요 연결 노선으로는 부산-신의주-울란바토르(몽골횡단철도)-울란우데(시베리아횡단철도) 노선과 함께, 부산-원산-두만강역을 거쳐 블라디보스토크(시베리아횡단철도) 또는 하얼빈(만주횡단철도)을 통해 시베리아횡단철도로 이어지는 노선이 주요하게 거론된다. 특히 후자의 노선에서 하산은 두만강역과 러시아 철도망을 연결하는 중요 거점으로 언급된다.
7. 기후
하산은 프리모르스키 지방의 전형적인 사계절 습윤 대륙성 기후 (Dfb)를 보인다. 남쪽의 지리적 위치로 인해 북쪽 내륙 지역보다 계절별 기온 변화가 적다. 이 지역의 전형적인 특징처럼 여름에는 동아시아 몬순, 겨울에는 시베리아 고기압이 지역 기후의 주요 동인이며, 이로 인해 여름은 습하고 따뜻하며 덥다. 8월 평균 기온은 22°C 정도로, 기후 유형의 열대 하위 유형(Dwa)에 가깝다. 이어서 춥고 건조한 겨울이 이어진다.
참조
[1]
간행물
2010Census
[2]
웹사이트
Wikileaks about Khasan
http://www.cablegate[...]
[3]
서적
Communist Logistics in the Korean War
1995
[4]
웹사이트
Железнодорожные переговоры
http://www.logistics[...]
[5]
웹사이트
Russia, China, Japan and South Korea to launch new sea route linking China and Japan
http://www.jamestown[...]
The Jamestown Foundation
2006-09-11
[6]
서적
The North Korean Nuclear Program: Security, Strategy and New Perspectives from Russia
1999
[7]
뉴스
Vladivostok News, Khasan station dreams of revival
http://vn.vladnews.r[...]
2002-10-25
[8]
간행물
Russian Telecom Newslatter
2001-09
[9]
뉴스
Reuters
2008-04-24
[10]
뉴스
Itar Tass
2008-10-04
[11]
뉴스
"34 DPRK specialists to be trained in centres of Far East Railway"
ITAR Tass
2012-02-21
[12]
뉴스
Russia-North Korea Economic Ties Gain Traction
http://38north.org/2[...]
U.S.-Korea Institute, Johns Hopkins University School of Advanced International Studies
2014-11-06
[13]
웹사이트
Vladivostok Times- Primorye: Construction of the International Transport Corridor Continues
http://vladivostokti[...]
[14]
웹사이트
North Korea, Russia sign road connection deal
http://www.nknews.or[...]
2015-04-16
[15]
웹사이트
Climate Khasan
https://en.climate-d[...]
Climate-Data.org
2020-03-16
[16]
서적
北朝鮮建国神話の崩壊 金日成と「特別狙撃旅団」
筑摩書房
2012
[17]
웹인용
Storm247
http://www.storm247.[...]
2013-02-19
[18]
웹인용
Worldweatheronline
http://www.worldweat[...]
2013-02-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