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생제 감수성 검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항생제 감수성 검사는 환자 감염 치료에 사용할 항생제를 결정하기 위해 세균이 특정 항생제에 대해 감수성 또는 내성을 가지는지 확인하는 검사이다. 경험적 치료의 한계를 보완하며, 세균 배양 후 항생제 노출을 통해 세균 성장 변화를 관찰하는 표현형 검사, 또는 유전자 검사를 통해 내성 관련 유전자를 확인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검사 결과는 최소 저지 농도(MIC)를 기준으로 기록되며, 디스크 확산 검사, E테스트, 자동화된 검사 시스템 등 다양한 방법이 존재한다. 검사 결과는 임상적 치료에 활용되며, 항생제 내성 증가에 대응하기 위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생물학 기술 - 질-닐슨 염색
질-닐슨 염색은 결핵균 등 항산성 세균 검출을 위해 개발된 염색 방법으로, 석탄산 푹신으로 1차 염색 후 산성 알코올로 탈색하고 대비 염색하여 항산성 세균을 붉은색으로, 비항산성 세균을 다른 색으로 염색한다. - 미생물학 기술 - 산화효소 시험
산화효소 시험은 세균의 시토크롬 산화효소 유무를 확인하여 산소 이용 여부를 판단하고, 산화환원 지시약의 색상 변화로 결과를 판독하여 세균 분류 및 감염병 진단에 활용하는 생화학적 검사법이다. - 항생물질 - 헥사메틸렌테트라민
헥사메틸렌테트라민은 포름알데히드와 암모니아 반응으로 생성되는 유기 화합물로, 페놀 수지 경화제, 요로 방부제, 폭약 제조 원료, 고체 연료, 유기 합성 시약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지만, 식품 첨가물 사용은 국가별로 다르며 환경 및 건강에 대한 우려도 있다. - 항생물질 - 아목시실린
아목시실린은 페니실린계 항생제로, 세균 세포벽 합성을 억제하여 항균 효과를 나타내며, 다양한 감염 치료와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 치료에 사용되지만, 베타-락타마제 생성 균주에 의해 분해되기 쉽고 내성 균주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 감염병 - 바이러스
바이러스는 DNA 또는 RNA를 유전 물질로 사용하고 단백질 껍질로 둘러싸인 비세포성 감염체이며, 숙주 세포 내에서만 증식하고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감염병 - 결핵
결핵은 결핵균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성 질환으로, 주로 폐에 영향을 미치며 기침, 객혈 등의 증상을 보이지만 무증상일 수도 있고, 호흡기 비말 전파를 통해 감염되며, 항생제 치료를 하지만 약물 내성 문제로 인해 공중 보건 문제로 남아있다.
항생제 감수성 검사 | |
---|---|
기본 정보 | |
검사 이름 | 항생제 감수성 검사 |
다른 이름 | 항생제 감수성 시험 항생물질 감수성 검사 항균 감수성 검사 약물 감수성 검사 약물 감수성 시험 MIC 시험 |
목적 | 특정 항생제가 박테리아 또는 진균을 죽일 수 있는지 확인 |
방법 | 디스크 확산 E-테스트 한천 희석 배양액 희석 |
사용 | |
감염 치료 | 감염을 치료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항생제 결정 |
내성 검사 | 감수성이 있는 항생제를 사용하여 박테리아가 내성을 획득했는지 확인 |
결과 해석 | |
민감성 (S) | 항생제가 권장 복용량으로 박테리아를 죽일 가능성이 높음 |
중간 (I) | 항생제가 더 높은 복용량으로 박테리아를 죽일 수 있음 |
내성 (R) | 항생제가 박테리아를 죽일 가능성이 없음 |
추가 정보 | |
관련 질병 | 감염 |
관련된 박테리아 | 세균 |
관련된 진균 | 진균류 |
2. 용도
임상의학에서 항생제는 환자의 증상과 임상진료지침을 바탕으로 처방하는 경우가 가장 많다. 이런 식으로 처방할 항생제를 고르는 방법은 경험적 치료라고 한다.[1] 경험적 치료는 어떤 세균이 감염을 일으키고, 그 세균이 어떤 항생제에 감수성이나 내성을 가지는지에 대한 지식을 기반으로 한다.[1] 예를 들어 단순 요로감염증은 트리메토프림/설파메톡사졸로 치료할 수 있다.[2] 그 이유는 대장균(''Escherichia coli'')이 가장 원인균일 가능성이 높고 해당 복합항생제에 감수성을 가지기 때문이다.[2] 일부 세균이나 진균 감염의 경우 이미 효과가 좋은 항생제가 알려져 있어 감수성 검사를 시행하지 않는다.[3] 그러나 세균은 여러 항생제 종류에 내성을 가질 수도 있다.[2] 내성을 가지는 이유에는 세균이 일부 항생제에 대해 선천적으로 내성을 가지는 경우,[2] 항생제에 과거에 이미 노출되어 내성이 생긴 경우,[2] 플라스미드와 같은 다른 외부 요인으로 인해 내성을 획득한 경우 등이 있다.[4] 항생제 감수성 검사는 어떤 항생제를 사용해야 감염을 치료할 가능성이 높은지 정보를 알려준다.[1]
미생물 배양을 통해 세균을 동정한 후에는 항생제 감수성 검사를 통해 항생제를 선택할 수 있다.[6] 감수성 검사는 세균을 항생제에 노출시켜 성장이 변하는 양상을 관찰하는 방식(표현형 검사)이나, 특정 유전적 표지자를 확인하는 방식(유전적 검사)에 기초한다.[7] 검사 결과에서 내성이 있는지 없는지를 따지는 정성적인 방법이나, 최소 저지 농도(MIC)를 이용해 세균이 감수성을 가지는 항생제 농도를 정량적으로 알아낼 수 있다.[7]
또한 일부 국가에서는 선별 검사의 형식으로 인구 수준에서 항생제 감수성 검사를 수행하기도 한다.[5] 이런 검사를 하는 이유는 항생제에 대한 내성 비율(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 등)을 알아내고 가이드라인 설립과 공중보건에 이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5]
3. 방법
항생제 감수성 검사 결과에는 기구 사용 실패, 온도, 습도, 항생제의 효능 등 많은 요인이 영향을 미친다. 정도관리를 통해 검사 결과의 정확성을 확실히 할 수 있다. ATCC(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나 NCTC(National Collection of Type Cultures) 같은 조직은 정도관리에 사용할 수 있도록 내성 표현형이 알려진 균주 정보를 제공한다.
3. 1. 표현형 검사
항생제를 세균에 노출시키는 검사법은 한천배지를 사용하거나, 한천배지나 액체배지에 희석시키는 방법을 사용한다.[8] 항생제는 성장시킬 세균에 따라 선택한다.[6] 정확한 결과를 위해 배지에 세균을 접종하는 농도는 표준화되어야 한다. 맥팔랜드 표준액(주어진 세균의 농도와 동등한 탁도를 가지는 용액)과 식염수나 액체배지에 떠 있는 세균의 탁도를 비교한다. 눈으로 관찰하거나 광도 측정으로 판단하여 적정 농도(대개 0.5 맥팔랜드 표준액)에 도달하면 배지에 접종한다.[9]
3. 1. 1. 수동식 검사
디스크 확산 검사는 균주를 선택해 한천배지에 놓고, 항생제가 포함된 디스크 근처에서 세균이 성장하는지를 관찰하는 검사법이다.[10] 이 검사법은 커비-바우어법(Kirby-Bauer method)으로도 불리며,[11] 수정하여 사용하기도 한다.[12] 항생제가 미생물 성장을 억제한다면 디스크 주변에 투명한 고리 모양의 억제 구역이 보이게 된다. 최소 저지 농도와 관계를 가지는 억제 구역의 크기를 기준으로 세균은 항생제에 대한 감수성이 있는 경우, 중간 정도의 경우, 내성을 가진 경우로 나뉜다.[12]
뮐러 힌튼 배지를 디스크 확산 검사에서 자주 사용한다.[12] Clinical and Laboratory Standards Institute와 European Committee on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Testing는 한천배지의 종류와 깊이, 배양 시 온도, 결과 분석법 등에 대한 표준을 제공하고 있다.[9] 디스크 확산은 감수성 검사에 사용되는 방법들 중 가장 싸고 간단하다고 생각되며 새롭게 사용할 수 있게 된 항생제나 제제를 시험하는 데에 쉽게 맞춰서 사용할 수 있다.[6] 일부 배양이 까다롭거나 느리게 성장하는 미생물은 디스크 확산법으로 정확히 검사하기 힘들다.[6] 반면 연쇄상구균(Streptococcus)의 종들이나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Haemophilus influenzae) 등은 검사가 가능하지만 특별한 배지와 배양 조건이 필요하다.
E테스트와 같이 차이(gradient)를 이용하는 방법은 한천배지와 플라스틱 끈을 이용한다.[6] 여러 다른 농도의 항생제를 묻힌 플라스틱 끈을 배지에 위치시킨 후 배양 기간만큼 시간이 지나면 배지를 관찰한다.[6] 최소 저지 농도는 물방울 모양의 성장이 억제된 구역이 끈과 만나는 지점의 위치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6] 이런 방식의 검사도 확산 검사로 간주된다.
한천배지와 액체배지 희석법에서는 세균을 항생제 농도가 각기 다른 여러 개의 작은 관에 넣는다.[12] 세균이 항생제에 감수성을 가지는지 여부는 배양 기간이 지난 뒤 눈으로 관찰하거나 자동화된 광학적 방법으로 판단한다.[6] 액체배지 희석법은 표현형 검사법에서 표준으로 여겨진다.[12] 세균의 성장을 억제하는 가장 낮은 농도가 최소 저지 농도로 간주된다.[6]
3. 1. 2. 자동식 검사
자동화 시스템은 수동식 검사 과정을 모방하여 만들어졌다. 예를 들어 이미징과 소프트웨어 분석을 통해 디스크 확산 검사의 억제 구역을 기록한다.[12] VITEK-2, BD Phoenix, Microscan systems 등의 자동화 기기들이 항생제 감수성 검사에 가장 흔하게 사용된다. 각각의 기구들의 사양은 다르지만 기본적인 원리는 세균 현탁액을 미리 만들어진 항생제 패널에 넣는 것이다. 패널에서 세균이 배양되며 항생제에 의해 세균 성장이 억제되면 비탁법, 분광광도법, 형광 탐지법 등을 통해 억제 정도를 자동적으로 측정한다.[13] 전문가 시스템이 최소 저지 농도를 감수성 검사 결과와 연관짓고, 결과는 확인과 기록을 위해 실험실정보관리시스템으로 자동 전송된다. 이런 자동화 검사법은 수동식 검사법보다 덜 노동집약적이며 잘 표준화되어 있지만, 특정 생명체와 항생제에 대해서는 정확성이 비교적 부족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크 확산 검사는 예비 검사법으로서 여전히 유용하다.
3. 2. 유전형 검사
MALDI-TOF 질량분석법은 항생제 감수성 검사의 또 다른 방법이다.[7] 이 검사는 비행시간형 질량분석법의 한 형태로, 세균의 분자가 매트릭스 보조 레이저 탈착의 대상이 된다.[17] 이온화된 분자는 가속하여 스펙트럼의 최고점을 기록하여 발현 프로필을 만든다. 발현 프로필을 이미 알려져 있는 프로필과 비교하면 특정 세균 균주를 구별할 수 있다.[17] 항생제 감수성 검사의 경우 베타-락타메이스를 만들어내는 대장균 균주 등을 구별하는 데에 사용할 수 있다.[8] MALDI-TOF는 빠르고 자동화된 검사이다.[8] 그러나 이런 검사 방식에도 한계가 있는데, 검사 결과가 표현형 검사의 결과와 일치하지 않을 수 있으며,[8] 처음 구입하여 유지하는 데에 드는 비용이 비싸다.[16]
4. 기록
검사 결과는 표로 기록하며, 이 표를 간혹 안티바이오그램(antibiogram)이라고 부르기도 한다.[18] 세균의 성장이 멈추는 항생제의 가장 낮은 농도인 최소 저지 농도(MIC)에 따라 세균이 그 항생제에 감수성을 가지는지, 내성을 가지는지, 혹은 중간 정도의 내성을 가지는지 표시한다. 이때 이미 알고 있는 세균과 항생제 간의 표준 역치(standard threshold value, "breakpoint")을 MIC와 비교한다.[19] 이때 같은 세균과 항생제더라도 감염 부위에 따라 표준 역치는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CLSI는 일반적으로 폐렴구균(Streptococcus pneumoniae|폐렴연쇄구균la)과 페니실린 정맥 주사에 대하여 MIC가 0.06μg/ml 이하면 감수성, 0.12μg/ml ~ 1μg/ml면 중등도의 내성, 2μg/ml 이상이면 내성을 가지고 있다고 판정한다. 그러나 수막염인 경우 표준 역치가 상당히 낮다.[20] 때때로 항생제에 대한 내성 여부는 베타-락타메이스 생산 가능성과 같이, 이미 알려진 항생제 내성 기전과 관련된 세균의 특징을 기반으로 한다.[13][19] 광범위 베타-락타메이스(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 ESBL)의 존재와 같이 약물에 대한 내성, 또는 다제내성(여러 약물에 대한 내성)의 특정한 패턴은 주의해야 한다.[19] 이런 정보는 임상의가 경험적 치료를 원인균을 표적으로 하는 맞춤 치료로 변경하는 데에 유용할 수 있다.[1][8]
5. 임상적 이용
임상의학에서 항생제는 환자의 증상과 임상진료지침을 바탕으로 처방하는 경우가 가장 많다. 이런 식으로 처방할 항생제를 고르는 방법은 경험적 치료라고 한다.[1] 경험적 치료는 어떤 세균이 감염을 일으키고, 그 세균이 어떤 항생제에 감수성이나 내성을 가지는지에 대한 지식을 기반으로 한다.[1] 예를 들어 단순 요로감염증은 트리메토프림/설파메톡사졸로 치료할 수 있다.[2] 그 이유는 대장균(''Escherichia coli'')이 가장 원인균일 가능성이 높고 해당 복합항생제에 감수성을 가지기 때문이다.[2] 일부 세균이나 진균 감염의 경우 이미 효과가 좋은 항생제가 알려져 있어 감수성 검사를 시행하지 않는다.[3] 그러나 세균은 여러 항생제 종류에 내성을 가질 수도 있다.[2] 내성을 가지는 이유에는 세균이 일부 항생제에 대해 선천적으로 내성을 가지는 경우,[2] 항생제에 과거에 이미 노출되어 내성이 생긴 경우,[2] 플라스미드와 같은 다른 외부 요인으로 인해 내성을 획득한 경우 등이 있다.[4] 항생제 감수성 검사는 어떤 항생제를 사용해야 감염을 치료할 가능성이 높은지 정보를 알려준다.[1]
일부 국가에서는 선별 검사의 형식으로 인구 수준에서 항생제 감수성 검사를 수행하기도 한다.[5] 이런 검사를 하는 이유는 항생제에 대한 내성 비율(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 등)을 알아내고 가이드라인 설립과 공중보건에 이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5]
이상적인 항생제 치료는 원인 병원체와 그 병원체의 항생제 내성을 확인하고, 그에 기반하여 이루어져야 한다. 검사실에서 미생물학적 검사 결과가 나오기 전에 종종 경험적 치료를 시작하는 경우도 있다. 빠른 경험적 치료를 하는 경우에는 임상 지침상 흔하거나 비교적 경미한 감염인 경우(지역사회획득 폐렴 등), 또는 늦게 치료할 경우 심각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 중증 감염인 패혈증이나 세균성 수막염 등이 있을 수 있다.[1] 개별 항생제의 효력은 감염의 해부학적 위치, 항생제가 감염 부위에 도달하는 능력, 세균이 항생제에 대하여 가지는 내성이나 불활성화 능력에 따라 달라진다.
항생제 감수성 검사의 표본은 치료를 시작하기 전에 얻는 것이 이상적이다.[1] 표본은 감염이 있을 것으로 의심되는 부위에서 얻는다. 가령 세균이 혈액 내에 있는 균혈증이 의심된다면 혈액 배양 표본을, 폐렴 환자라면 객담 표본을, 요로감염증 환자라면 소변 표본을 얻는다. 만약 감염원이 명확하지 않다면 여러 가지의 표본을 채취하기도 한다.[1] 채취한 표본은 미생물학 검사실로 옮겨지고, 어떤 균인지 확인하고 항생제 감수성 검사를 시행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양이 모일 때까지 배양 배지에서 배양된다.[19]
항생제 감수성 검사가 끝나면 표본에 존재하는 미생물과 그 미생물이 어떤 항생제에 감수성을 가지는지 기록된다.[19] 항생제 감수성 검사는 검사실에서 수행되지만(생체외, in vitro), 검사의 결과에서 얻어진 정보는 인체 내에서의 항생제 작용(생체내, in vivo)과 임상적으로 연관되어 있는 경우가 종종 있다. 때때로 세균이 실제 감염의 원인인지, 아니면 체내에서 공생하는 세균이거나 단순히 외부에서 오염된 것인지 판단해야 할 때가 있다.[19] 그 예시로는 표피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epidermidisla)[22]이나 기타 기회감염 병원체가 있다. 그 외에 감염 부위까지 침투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농양 등), 하나 이상의 감염 원인이 표본에서 검출되지 않았다는 의심이 드는 경우와 같이 다른 사항을 고려하여 항생제를 선택해야 할 수도 있다.[1]
6. 역사
페니실린이 발견된 이래로 항생제 내성 비율은 계속 증가해 왔다. 시간이 지나며 세균의 항생제 감수성을 검사하기 위한 방법들 역시 발달하고 변화해 왔다.[16]
1920년대 알렉산더 플레밍은 처음으로 항생제 감수성 검사법을 개발했다. 플레밍이 개발한 "홈통 검사"(gutter method)는 확산을 이용한 검사법으로, 한천이 들어 있는 홈통을 통해 항생제가 확산되게 하는 방법이었다.[16] 1940년대에는 포프(Pope), 포스터(Foster), 우드러프(Woodruff), 빈센트(Vincent) 등의 여러 연구자들이 홈통 대신 종이 디스크를 사용하기 시작했다.[16] 이러한 모든 방법들은 오직 페니실린에 대한 감수성만 검사할 수 있었다.[16] 연구실 간에도 결과가 표준화되지 않고 부정확하여, 결과를 해석하기 어렵고 신뢰성도 떨어졌다.[16]
세균을 성장시키고 동정하기 위해서 희석법이 1870년대부터 사용되었으며, 세균의 항생제 감수성을 검사하는 데에 희석법이 사용된 것은 1929년, 역시 알렉산더 플레밍에 의해서였다.[16] 감수성을 판단하는 방식은 용액의 탁한 정도를 보는 방식, pH를 이용하는 방식(1942년), 광학 기기를 이용하는 방식으로 점차 변화했다.[16] 큰 관을 이용하는 '거대희석'(macrodilution) 검사법은 더 작은 '미세희석'(microdilution) 키트로 대체되었다.[6]
1966년 세계보건기구(WHO)는 커비-바우어법을 감수성 검사의 표준 방식으로 확정했다. 커비-바우어법은 간단하고 비용 대비 효율이 좋으며, 여러 가지 항생제에 대한 감수성을 검사할 수 있다.[16]
E테스트는 1980년 볼름스트롬(Bolmstrӧm)과 에릭슨(Eriksson)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MALDI-TOF는 2000년대에 처음 만들어졌다.[16] 자동화 시스템을 통한 분석은 1980년대 처음 개발되어 발전해 왔다.[16] PCR은 첫 유전적 검사법이었으며 항생제 감수성을 검사하는 방법으로 알려진 것은 2001년이었다.[16]
7. 추가 연구
정밀의료에서 불필요한 항생제 처방을 피하고 검사 시간을 줄이기 위해 현장진단이 발달해 왔다.[23] 전통적인 검사 기술은 보통 12 ~ 48시간이 소요되며,[7] 최대 5일까지 걸릴 수 있다.[19] 반면 분자진단법을 이용한 신속검사는 8시간 안에 가능하다.[7] 그러나 비용, 규제, 정보 수집 방식 등의 문제로 도입이 늦어졌다.[24]
최근 검사법들의 단점에 초점을 맞춘 추가 연구가 진행 중이다. 표현형 검사는 시간이 오래 걸리고, 힘들며, 휴대하기 어렵고, 재료가 제한적일 때 어렵다. 또한 교차오염 가능성도 있다.[16]
2017년, 세페이드는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MRSA), 리팜핀 내성 결핵균(TB), 반코마이신 내성 장구균의 항생제 내성을 현장진단할 수 있는 GeneXpert MTB/RIF 검사를 개발했다.[25]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qPCR)을 통해 세균의 내성 유전자 비율을 알아내는 연구와 동정된 세균의 총유전체 분석 연구도 진행 중이며, 비용 감소와 속도 증가로 이용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8]
미세유체역학이나 광학, 전기화학, 자성을 이용하는 다양한 검사법도 연구되었다.[8] 이 검사들은 적은 양의 액체를 사용하며, 빠르고 휴대성이 좋다.[8]
형광 염료 사용도 연구 대상이다.[8] 세균이 항생제 내성을 가질 때 세포 내 핵산 서열을 바이오마커로 표적하는 표지 단백질이 그 예시이다. 동정된 세균은 특정 위치에 고정 후 용해되어 형광 염료에 노출되면 빛을 낸다.[8]
기존 검사법 개선 연구도 진행 중이다. 예를 들어 표현형 검사에서 MIC를 더 빠르게 확인하는 이미징 기법이나, 육안으로 세균 성장을 쉽게 확인하는 생체발광성 효소 이용 연구가 있다.[16]
참조
[1]
저널
General principles of antimicrobial therapy
2011-02
[2]
저널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the Antibiotic Treatment of Community-Acquired Urinary Tract Infections
2018-03
[3]
웹인용
감수성 검사
https://terms.naver.[...]
2022-11-20
[4]
저널
Mobile Genetic Elements Associated with Antimicrobial Resistance
2018-10
[5]
저널
The global spread of healthcare-associated multidrug-resistant bacteria: a perspective from Asia
2013-05
[6]
저널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testing: a review of general principles and contemporary practices
2009-12
[7]
저널
Developmental roadmap for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testing systems
2019-01
[8]
저널
Progress on the development of rapid methods for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testing
2013-12
[9]
저널
Standardization of Operator-Dependent Variables Affecting Precision and Accuracy of the Disk Diffusion Method for Antibiotic Susceptibility Testing
2015-12-01
[10]
저널
Current and emerging techniques for antibiotic susceptibility tests
2017
[11]
웹인용
World Health Organization
https://www.who.int/[...]
2020-09-03
[12]
서적
Manual of Clinical Microbiology
2015
[13]
저널
Expert systems in clinical microbiology
2011-07
[14]
저널
Polymyxins: Antibacterial Activity, Susceptibility Testing, and Resistance Mechanisms Encoded by Plasmids or Chromosomes
2017-04
[15]
저널
Antibiotic Susceptibility Testing: Present and Future
2015-10
[16]
저널
Current and Emerging Methods of Antibiotic Susceptibility Testing
2019-05
[17]
저널
Review of rapid diagnostic tests used by antimicrobial stewardship programs
https://academic.oup[...]
2014-10
[18]
웹인용
Medical Definition of ANTIBIOGRAM
https://www.merriam-[...]
2020-07-05
[19]
저널
A Guide to Bacterial Culture Identification And Results Interpretation
2019-04
[20]
저널
Rationale for Revised Penicillin Susceptibility Breakpoints versus Streptococcus pneumoniae: Coping with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in an Era of Resistance
2009-06
[21]
웹사이트
Kirby-Bauer Disk Diffusion Susceptibility Test Protocol
http://www.microbeli[...]
2011-06-26
[22]
저널
Coagulase-negative staphylococci
2014-10
[23]
뉴스
Diagnostics Are Helping Counter Antimicrobial Resistance, But More Work Is Needed
https://www.mddionli[...]
2018-12-02
[24]
저널
Progress on antibiotic resistance
2018-10
[25]
저널
Resistance diagnosis and the changing epidemiology of antibiotic resistance
2017-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