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형호북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목차

1. 개요

형호북로는 중국 송나라 시대에 존재했던 행정 구역으로, 현재 후베이성, 후난성 일대에 걸쳐 있었다. 강릉부를 중심으로, 악주, 덕안부, 복주, 상덕부, 예주, 협주, 귀주, 진주, 원주, 정주, 형문군, 한양군, 수창군 등의 지역을 관할했다. 각 지역은 군사적 요충지였으며, 다양한 특산물을 공납했다. 북송 시대에는 형호북로가 설치, 남송 시대에는 몽골의 침입으로 멸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후난성의 역사 - 남당
    남당은 오대십국 시대 강남을 중심으로 서지고(이병)가 건국하여 당을 계승했다는 명분으로 성립되었으나, 이경과 이유 시대에 문화적, 경제적 발전을 이루었음에도 후주와 송의 압력으로 쇠퇴하여 송에 멸망, 문화적 유산과 역사적 논쟁의 대상이 되었다.
  • 후난성의 역사 - 강남도 (당)
    강남도는 당나라 시대 중국 남부의 광대한 지역을 관할했던 행정구역으로, 733년 강남동도와 강남서도로 분할되었으며, 당나라 말기에는 절도사와 관찰사들이 등장하여 후대 봉건 체제에 영향을 미쳤다.
  • 송나라의 로 - 하북서로
    하북서로는 송나라 시대에 설치된 중국의 행정 구역으로, 진정부, 상주, 중산부 등 여러 지역을 관할하며 각 지역은 역사적 배경과 지리적 특징을 가지고 경제, 문화, 군사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했다.
  • 송나라의 로 - 하북동로
    하북동로는 송나라와 금나라 시대에 현재의 허베이성 일대에 존재했던 행정 구역으로, 송나라 시대에는 여러 주와 부가 설치되어 군사적 역할과 공납물을 담당했으며, 금나라 시대에는 하간부가 중심지로 기능하며 일부 행정 구역 명칭과 관할에 변화가 있었다.
  • 후베이성의 역사 - 촉한
    촉한은 유비가 세력을 확장하여 건국한 국가로, 한나라의 정통 계승을 명분으로 건국되었으나, 제갈량 사후 쇠퇴하여 위나라에 멸망하였으며, 국력의 약세와 내부 문제로 멸망에 이르렀다는 평가를 받는다.
  • 후베이성의 역사 - 남당
    남당은 오대십국 시대 강남을 중심으로 서지고(이병)가 건국하여 당을 계승했다는 명분으로 성립되었으나, 이경과 이유 시대에 문화적, 경제적 발전을 이루었음에도 후주와 송의 압력으로 쇠퇴하여 송에 멸망, 문화적 유산과 역사적 논쟁의 대상이 되었다.
형호북로
지도
1100년경 송나라 영토 내의 형호북로
1100년경 송나라 영토 내의 형호북로
기본 정보
이전형호로
시작998년 (송나라)
종료1270년대 (원나라)
1162년 인구445,844명
본부강릉부

2. 행정 구역

2. 1. 강릉부(江陵府)

강릉부는 형호북로의 중심지 중 하나였으며, 군사적으로도 중요한 위치에 있었다. 차부(次府)로 군명은 강릉군이었으며 형남절도(荊南節度)가 파견되었다. 1128년(건염 2년), 사부(師府)를 두었다. 1130년(건염 4년), 형남부, 귀주(歸州), 협주(峽州), 형문(荊門), 공안군진무사(公安軍鎮撫使)를 설치했으나 1135년(소흥 3년)폐지되었다. 숭녕연간엔 85,801호 223,284명의 주민들이 살았다. 릉(綾), 𦆭, 벽간차아(碧澗茶芽), 감귤을 공납으로 바쳤다. 총 8현을 속현으로 두었다.

현명한자대략적 위치현급비고
강릉현江陵縣징저우 시 장링 현次赤
공안현公安縣징저우 시 궁안 현 서북次畿
잠강현潛江縣첸장 시 서북次畿965년(건덕 3년), 백복연白伏巡)을 현으로 격상시켰다.
감리현監利縣징저우 시 젠리 현次畿997년(지도 3년), 옥사현(玉沙縣)으로서 복주에 속했으나 1073년(희녕 6년) 복주를 폐하고 옥사현을 감리현에 통폐합했다.
송자현松滋縣징저우 시 쑹쯔 시 서북次畿
석수현石首縣징저우 시 스서우 시 서次畿
지강현枝江縣이창 시 즈장 시 장강 남쪽次畿1073년 송자현에 통폐합되었다가 1086년(원우 원년) 복구되었다. 1130년(건염 3년), 강릉기(江陵寄)치소를 두었다가 1137년(소흥 5년) 복구했다. 1237년(가희 원년) 시주(澌州), 열주(涅州)로 이관시켰다. 1270년(함순 6년), 강남 백수진(白水鎮), 하타시(下沱市)로 치소를 옮겼다.
건녕현建寧縣징저우 시 스서우 시 동次畿965년, 백구연(白舊巡)을 현으로 승격시키고 만유현(萬庾縣)을 추가로 설치했다. 하지만 만유현은 얼마못가 폐지되었고 1073년, 석수현에 통폐합되었다가 1086년 복구되었다. 하지만 정강의 변 이후 폐지되었다.


2. 1. 1. 강릉현(江陵縣)

현재의 징저우 시 장링 현에 위치한다.

2. 1. 2. 공안현(公安縣)

형호북로는 현재의 징저우 시 궁안 현 서북쪽에 위치하였다.

2. 1. 3. 잠강현(潛江縣)

잠강현(潛江縣)은 현재의 첸장시 서북쪽에 위치한다.

2. 1. 4. 감리현(監利縣)

현재의 징저우시 젠리현(감리현)에 위치한다.

2. 1. 5. 송자현(松滋縣)

현재의 징저우 시 쑹쯔 시 서북쪽에 위치한다.

2. 1. 6. 석수현(石首縣)

현재의 징저우 시 스서우 시 서쪽에 위치하였다.

2. 1. 7. 지강현(枝江縣)

현재의 이창 시 즈장 시 장강 남쪽에 위치한다.

2. 1. 8. 건녕현(建寧縣)

현재의 징저우 시 스서우 시 동쪽에 위치한다.

2. 2. 악주(鄂州)

악주는 긴급(緊)이고 군명은 강하군이다. 무창군절도가 파견된 군사적 요충지였다. 무창군절도는 996년(지도 2년) 무청군(武淸軍)절도에서 바뀌었다. 1131년(건염 4년), 강남악주노안무(江南鄂州路安撫)를 겸했는데, 악주로안무(鄂州路安撫)로 바뀌었다. 1134년(소흥 2년), 형호북로안무(荊湖北路安撫)를 겸했다. 1138년(소흥 6년) 관내에 안무를 두었다. 1143년(소흥 11년) 폐지되었다. 1211년(가정 11년), 연강제치부사(沿江制置副使)를 두었다. 1245년(순우 5년), 형호북로 안무사를 겸하게 했다. 1249년(순우 9년) 폐지했다. 1260년(경정 원년) 형호제치사(荊湖制置使)로 개명했다. 1271년(함순 7년)폐지되었다. 숭녕연간에는 96,769호 240,767명이 살았다. 은광석을 공납으로 바쳤다. 7현은 다음과 같다.

현명한자대략적 위치현급비고
강하현江夏縣우한시 우창 구
숭양현崇陽縣셴닝 시 충양 현
당현唐縣975년(개보 8년), 지금의 이름으로 바뀌었다.
무창현武昌縣어저우 시남송대에 수창군으로 분리되었다.
포기현蒲圻縣셴닝 시 츠비 시
함녕현咸寧縣셴닝 시
통성현通城縣셴닝 시 퉁청 현1072년 숭양현 통성진에서 현으로 승격되었다. 1137년 진으로 격하되었다가 1149년(소흥 17년) 복구되었다.
가어현嘉魚縣셴닝 시 자위 현1073년 복주의 땅에서 분리신설되었다. 1074년 동전을 만드는 보천감(寶泉監)이 설치되었다.


2. 2. 1. 강하현(江夏縣)

현재의 우한시 우창구에 위치한다.

2. 2. 2. 숭양현(崇陽縣)

현재의 셴닝 시 충양 현에 위치한다.

2. 2. 3. 무창현(武昌縣)

남송 시대에 수창군으로 분리되었다. 현재의 어저우 시에 위치한다.

2. 2. 4. 포기현(蒲圻縣)

현재의 셴닝 시 츠비 시에 위치한다.

2. 2. 5. 함녕현(咸寧縣)

현재의 셴닝시에 위치한다.

2. 2. 6. 통성현(通城縣)

현재의 셴닝 시 퉁청 현에 위치한다.

2. 2. 7. 가어현(嘉魚縣)

현재의 셴닝 시 가어현(嘉魚縣)에 위치한다.

2. 3. 덕안부(德安府)

덕안부는 중급부로 군명은 안육군(安陸郡)이고 안원군절도(安遠軍節度)가 파견되었다. 1023년(천성 원년) 경서로에 속하게 되었으나 1041년(경력 원년) 형호북로로 이관되었다. 1119년(선화 원년) 덕안부로 승격되었다. 개보연간 길양현이 폐지되었다. 1131년, 안육, 한양진무사(安陸、漢陽鎮撫使)로 불렸다가 1135년에 이전으로 복구되었다. 숭녕연간에는 59,186호 143,892명이 살았다. 5현을 두었다.

현명한자대략적 위치현급비고
안육현安陸縣샤오간 시 안루 시1069년(희녕 2년) 운몽현(雲夢縣)이 진으로 격하되어 본현에 편입되었다가 1086년 복구되었다.
응성현應城縣샤오간 시 잉청 시
효감현孝感縣샤오간 시건염연간에 자자채(紫資砦)로 치소를 옮겼다.
응산현應山縣황강 시 잉산 현中下정강의 변이후 폐지되었다.
운몽현雲夢縣샤오간 시 윈멍 현1139년(소흥 7년), 오락시(仵落市)로 치소를 옮겼다가 1150년 원상복구했다.


2. 3. 1. 안육현(安陸縣)

현재의 샤오간시 안루시에 위치한다.

2. 3. 2. 응성현(應城縣)

현재의 샤오간시 잉청시에 위치한다.

2. 3. 3. 효감현(孝感縣)

현재의 샤오간시에 위치한다.

2. 3. 4. 응산현(應山縣)

현재의 황강시 잉산 현에 위치한다.

2. 3. 5. 운몽현(雲夢縣)

현재의 샤오간 시 윈멍 현에 위치한다.

2. 4. 복주(復州)

복주는 경릉군(景陵郡)이라고도 불렸으며, 방어가 파견되었다. 1131년 덕안부, 복주, 한양군진무사가 설치되었다. 1135년 형호북로안무사가 설치되었고 1236년 치소를 면양진(沔陽鎮)으로 옮겼다. 궐(闕)을 공납으로 바쳤다. 2현을 두었다.

현명한자대략적 위치현급비고
경릉현景陵縣톈먼 시1073년 주를 폐하고 안주로 소속시켰다가 1086년 복구되었다.
옥사현玉沙縣셴타오 시 서남 면성회족진(沔城回族鎭)997년, 강릉부에 속했다가 1039년 면양현을 통폐합했다. 1073년 다시 강릉부에 속하게 되었다가 1086년 경릉과 함께 복주로 이관되었다.


2. 4. 1. 경릉현(景陵縣)

현재의 톈먼시에 위치한다.

2. 4. 2. 옥사현(玉沙縣)

현재의 셴타오 시 서남쪽 면성회족진(沔城回族鎭)에 위치한다.

2. 5. 상덕부(常德府)

군명은 무릉군이고 상덕군절도(常德軍節度)를 두었다. 964년, 단련을 칭했고 1012년(대중상부 5년) 낭주(朗州)에서 정주(鼎州)로 개명했다. 1076년, 도원채(桃源砦), 탕구채(湯口砦), 백애채(白崖砦)의 3개채를 폐지했다. 1080년, 백전채(白磚砦), 황석채(黃石砦)가 폐지되었다. 1117년(정화 7년), 군으로 승격되었다. 1130년(건염 4년), 정주및예주진무사(鼎州및澧州鎮撫使)가 추가되었고 1131년(소흥 원년) 정주, 예주, 진주, 원주, 정주를 통치하는 형호북로안무사의 치소가 되었다가 1162년(소흥 32년), 폐지되었다. 1165년(건도 원년), 효종의 잠번(潛藩)이기에 부로 승격되었다. 숭녕연간에는 58,297호 130,865명의 주민들이 살았다. 연포(練布)와 포(布)를 공납으로 바쳤다. 3현을 두었다가 정강의 변이후 4현을 두었다.

현명한자대략적 위치현급비고
무릉현武陵縣창더 시
도원현桃源縣창더 시 타오위안 현무릉에서 분리신설되었다.
용양현龍陽縣창더 시 한서우 현대관연간에 진양현(辰陽縣)으로 개명되었다가 1131년 본래이름으로 돌아갔다. 1135년에 군사(軍使)가 파견되었고치소를 황성채(黃城砦)에 두었다. 1160년(소흥 30년)에 현으로 복구되었다.
원강현沅江縣이양 시 위안장 시中下건도연간에 악주(岳州)에서 본주로 이관되었다.


2. 5. 1. 무릉현(武陵縣)

창더 시에 위치한다.

2. 5. 2. 도원현(桃源縣)

형호북로(荊湖北路) 도원현(桃源縣)은 현재의 창더 시 타오위안 현에 위치한다.

2. 5. 3. 용양현(龍陽縣)

현재의 창더 시 한서우 현에 위치한다.

2. 5. 4. 원강현(沅江縣)



원강현(沅江縣)은 현재의 이양 시 위안장 시에 위치한다.

2. 6. 예주(澧州)

예주는 예양군(澧陽郡)이라고도 불렸으며, 군사가 파견되었다. 1131년 도가시산채(陶家市山砦)에 임시치소를 두었다가 수복된 이후 원래대로 복구했다. 숭녕연간에는 81,673호 236,921명의 주민들이 살았다. 죽점(竹簟), 명주를 공납으로 바쳤다. 4현을 두었다.

현명한자대략적 위치현급비고
예양현澧陽縣창더 시 리 현
안향현安鄕縣창더 시 안샹 현中下
석문현石門縣창더 시 스먼 현中下대의채(台宜砦, 스먼 현 북서)가 있다.
자리현慈利縣장자제 시 츠리 현색구채(索口砦)、안복채(安福砦, 장자제 시 쌍즈 현)、서우채(西牛砦)、무구채(武口砦)、예주채(澧州砦)의 5개채가 있다.


2. 6. 1. 예양현(澧陽縣)

현재의 창더 시 리 현에 위치한다.

2. 6. 2. 안향현(安鄕縣)

현재의 창더 시 안샹 현에 위치한다.

2. 6. 3. 석문현(石門縣)

석문현(石門縣)은 현재의 창더시 스먼현(石門縣)에 위치한다.

2. 6. 4. 자리현(慈利縣)

형호북로 당시에는 현재의 장자제시 츠리 현에 자리를 두고 있었다.

2. 7. 협주(峽州)

협주는 이릉군이라고도 불렸으며, 군사가 파견되었다. 건염연간에 치소를 석비산(石鼻山)으로 옮겼다가 1137년 원래대로 되돌렸다. 1234년 치소를 강남현으로 옮겼다. 숭녕연간에는 40,980호 116,400명의 주민들이 살았다. 오가피, 망초, 두약을 공납으로 바쳤다. 4현을 두었다.

현명한자대략적 위치현급비고
이릉현夷陵縣이창 시 이링 구한류채(漢流砦), 파산채(巴山砦), 마계채(麻溪砦), 어양채(魚陽砦), 장악채(長樂砦), 매자채(梅子砦)와 , 주석 등을 가공하는 연석장(鉛錫場)이 있다.
의도현宜都縣이창 시 이두 시
장양현長陽縣이창 시 창양 투자족 자치현中下한류염정(漢流鹽井), 비어염정(飛魚鹽井)이 있고 1082년 신안채(新安砦), 장양채(長楊砦)를 폐지했다.
원안현遠安縣이창 시 위안안 현 서북中下


2. 7. 1. 이릉현(夷陵縣)

형호북로 당시에는 현재의 이창 시 이링 구에 위치했다.

2. 7. 2. 의도현(宜都縣)

의도현(宜都縣)은 현재의 이창 시 이두 시에 위치한다.

2. 7. 3. 장양현(長陽縣)

후베이성 이창 시 창양 투자족 자치현에 설치되었던 현이다.

2. 7. 4. 원안현(遠安縣)

현재의 이창 시 위안안현 서북쪽에 위치한다.

2. 8. 악주(岳州)

하급주로 군명은 파릉군이다. 악양군절도(岳陽軍節度)가 파견되었다. 1119년 군사주에서 군명이 만들어졌다. 건염연간에 본주와 악주(鄂州) 각자에게 연강관내안무공공사(沿江管內安撫司公事)가 붙었다. 1155년(소흥 25년), 순주(純州) 화용군(華容軍)으로 개명했다가 1161년 원래대로 복구했다. 숭녕연간에는 99,791호 128,450명의 주민들이 살았다. 4현을 두었다.

현명한자대략적 위치현급비고
파릉현巴陵縣웨양 시
화용현華容縣웨양 시 화룽 현고루채(古樓砦)가 있다.
평강현平江縣웨양 시 핑장 현
임상현臨湘縣웨양 시 린샹 시 서북 장강변990년(순화 원년) 왕조장(王朝場)을 현으로 승격시켜서 지금의 이름으로 고쳤다.


2. 8. 1. 파릉현(巴陵縣)

현재의 웨양 시에 위치한다.

2. 8. 2. 화용현(華容縣)

현재의 웨양 시 화룽 현에 위치한다.

2. 8. 3. 평강현(平江縣)

현재의 웨양 시 핑장 현(平江縣)에 위치한다.

2. 8. 4. 임상현(臨湘縣)

현재의 웨양 시 린샹 시 서북쪽 장강변에 위치한다.

2. 9. 귀주(歸州)

귀주는 하급주로 군명은 파동군이다. 군사가 파견되었다. 1131년 기주로에 소속시켰다가 1135년 본로로 복구했다. 1161년 다시 기주로에 소속시켰다가 1187년 복구했다. 동년에 다시 기주로에 소속시켰다. 1236년 군치를 우남포(于南浦)에 두었다. 숭녕연간에는 21,580호 52,147명의 주민들이 살았다. 3현을 두었다.

현명한자대략적 위치현급비고
자귀현秭歸縣이창 시 쯔구이 현1072년 흥산현을 진으로 격하시켜 편입했다가 1086년 복구했다. 벌례채(橃禮砦)와 청림염정(靑林鹽井)이 있다.
파동현巴東縣언스 투자족 먀오족 자치주 바둥 현절첩채(折疊砦)가 있다.
흥산현興山縣이창 시 싱산 현968년(개보 원년), 치소를 소군원(昭君院)으로 옮겼다. 989년 향해(香溪)북쪽으로 옮겼다.


2. 9. 1. 자귀현(秭歸縣)

현재의 이창 시 쯔구이현에 위치한다.

2. 9. 2. 파동현(巴東縣)

현재의 언스 투자족 먀오족 자치주 바둥 현에 위치한다.

2. 9. 3. 흥산현(興山縣)

현재의 이창 시 싱산 현에 위치한다.

2. 10. 진주(辰州)

진주(辰州)는 노계군(盧溪郡)이라고도 불렸으며, 군사가 파견되었다.

현명한자대략적 위치현급비고
원릉현沅陵縣화이화 시 위안링 현
서포현漵浦縣화이화 시 쉬푸 현中下현고채(懸鼓砦)가 있다. 1079년 용담보(龍潭堡)를 설치했다.
진계현辰溪縣화이화 시 천시 현용문채와 동안채가 있다.
노계현盧溪縣샹시 투자족 먀오족 자치주 루시 현 서남
회계성會溪城샹시 투자족 먀오족 자치주 구장 현 북동1075년 축성했다.
지봉채池蓬砦미상1058년(가우 3년) 설치했다.
진계채鎭溪砦샹시 투자족 먀오족 자치주 지서우 시1071년(희녕 3년) 설치했다.
검안채黔安砦화이화 시 위안링 현 북1076년 설치했다.


2. 10. 1. 원릉현(沅陵縣)

현재의 화이화 시 위안링 현(沅陵縣)에 위치한다.

2. 10. 2. 서포현(漵浦縣)

현재의 화이화 시 쉬푸 현에 위치한다.

2. 10. 3. 진계현(辰溪縣)

현재의 화이화 시 천시현에 위치한다.

2. 10. 4. 노계현(盧溪縣)



노계현(盧溪縣)은 현재의 샹시 투자족 먀오족 자치주 루시 현 서남쪽에 위치한다.

2. 11. 원주(沅州)

하급주로 군명은 담양군이고 군사가 파견되었다. 의주(懿州)였다. 1074년 수복되었으며 옛 담양현땅에는 노양현(盧陽縣)이 설치되었다. 진주 마양현과 초유현이 본주로 이관되었다. 1075년, 금주채(錦州砦)의 민호를 더하여 초유현을 마양현에 통폐합했다. 1080년, 진강채(鎭江砦)의 민호를 검강성(黔江城)에 통폐합하여 검양현을 신설했다. 그리고 진강채를 폐하고 포(鋪)로 칭했다. 1082년 옛 거양채(渠陽砦)를 현으로 승격시켰다가 1091년 다시 채로 격하되었다. 1069년, 다시 현으로 복구했다. 숭녕연간에는 9,659호 19,157명이 살았다. 주사, 수은을 공납으로 바쳤다. 4현을 두었다.

현명한자대략적 위치현급비고
노양현盧陽縣화이화 시 즈장 둥족 자치현장주포(蔣州鋪), 서현포(西縣鋪), 팔주포(八洲鋪), 장의포(長宜鋪), 회계포(回溪鋪), 진강포(鎭江鋪), 용문포(龍門鋪), 회화포(懷化鋪)의 8개포가 있었다.
마양현麻陽縣화이화 시 마양 먀오족 자치현 동남금주채, 용계포(龍溪鋪), 용가포(龍家鋪), 죽채포(竹砦鋪), 허종포(虛踵鋪), 제천포(齊天鋪), 차계포(叉溪鋪)의 6개포가 있었다. 1073년, 공계채(龔溪砦)라는 이름을 받은 곳은 훗날 포로 개명되었다는 말이 있지만 진위여부는 알 수 없다.
검양현黔陽縣화이화시 훙장 시죽채포(竹砦鋪), 연계포(煙溪鋪), 무상포(無狀鋪), 목주포(木州鋪), 홍강포(洪江鋪)의 5개포가 있었다.
거양현渠陽縣화이화 시 징저우 먀오족 둥족 자치현 거양진(渠陽鎭)8개채가 있었다.


2. 11. 1. 노양현(盧陽縣)

현재의 화이화 시 즈장 둥족 자치현에 위치한다.

2. 11. 2. 마양현(麻陽縣)

현재의 화이화 시 마양 먀오족 자치현 동남쪽에 위치하였다.

2. 11. 3. 검양현(黔陽縣)

현재의 화이화시 훙장시에 위치한다.

2. 11. 4. 거양현(渠陽縣)

현재의 화이화 시 징저우 먀오족 둥족 자치현 거양진(渠陽鎭)에 위치한다.

2. 12. 정주(靖州)

하급주로 군사가 파견되었다. 1076년 당계동성주(唐溪洞誠州)를 수복했다. 1081년 성주(誠州)를 건립했다. 1082년 원주 만보채(貫保砦)를 현으로 격상시켰다. 숭녕연간에는 18,692호가 있었지만 총 인구수는 알 수 없다. 흰 견직물을 공납으로 바쳤다. 3현을 두었다.

현명한자대략적 위치현급비고
영평현永平縣화이화 시 징저우 먀오족 둥족 자치현거양현이었는데, 1103년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하였으며 1138년 본주로 이관되었다.
회동현會同縣화이화 시 후이퉁 현1103년 삼강현(三江縣)에서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통도현通道縣화이화 시 퉁다오 둥족 자치현 서북1103년 나몽현(羅蒙縣)에서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2. 12. 1. 영평현(永平縣)

현재의 화이화 시 징저우 먀오족 둥족 자치현에 위치한다.

2. 12. 2. 회동현(會同縣)

현재의 화이화 시 후이퉁 현에 위치한다.

2. 12. 3. 통도현(通道縣)

현재의 화이화 시 퉁다오 둥족 자치현 서북쪽에 위치한다.

2. 13. 형문군(荊門軍)

972년 장림현(長林縣)과 당양현(當陽縣)을 강릉에서 본군으로 이관시켰다. 1073년 군이 폐지되어 모두 강릉부로 이관되었다가 1086년 복구되었다. 1236년 치소를 당양현으로 옮겼다. 현재의 징먼 시 일대를 관할했다.

현명한자대략적 위치현급비고
장림현長林縣징먼 시次畿
당양현當陽縣이창 시 당양 시次畿1144년(소흥 14년) 장림현을 통폐합했다가 1146년(소흥 16년) 복구했다.


2. 13. 1. 장림현(長林縣)

현재의 징먼 시에 위치한다.

2. 13. 2. 당양현(當陽縣)

형호북로의 당양현(當陽縣)은 현재의 이창 시 당양 시에 위치한다.

2. 14. 한양군(漢陽軍)

1071년 한양현(漢陽縣)을 폐하고 한천현(漢川縣)은 진(鎭)으로 격하시켜 악주(鄂州)에 소속시켰다. 1086년 복구되었다. 1135년, 현으로 복구했다. 1137년 군으로 복구했다. 2현을 두었다.

현명한자대략적 위치현급비고
한양현漢陽縣우한 시 한양 구
한천현漢川縣샤오간 시 한촨 시 북977년 덕안부(德安府)로 이관되었다가 1135년 폐지되었고 1137년 복구되었다.


2. 14. 1. 한양현(漢陽縣)

현재의 우한시 한양구에 위치한다.

2. 14. 2. 한천현(漢川縣)

현재의 샤오간 시 한촨 시 북쪽에 위치한다.

2. 15. 수창군(壽昌軍)

1222년(가정 15년), 악주 무창현에서 수창군사(壽昌軍使)가 파견되면서 군으로 승격되었다. 1234년 무창현을 악주로 재소속시켰다. 정강의 변 이후 강주의 치소가 되었다가 이후 다시 악주로 되돌렸다.

3. 역사

3. 1. 북송 시대

3. 2. 남송 시대

3. 3. 몽골의 침입과 멸망

4. 문화

5. 같이 보기

참조

[1] 서적 Song Shi http://zh.wikisource[...]
[2] 서적 Shi
[3] 문서 《송사》 권88 지리지 4 형호북로 https://zh.wikisou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