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남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홍남희는 변호사로서 장애인, 정신질환자, 치매환자 등의 인권 옹호에 관심을 갖고 관련 연구 및 저술 활동을 해왔다. 2012년 변호사 자격 취득 후 연구용역보고서, 논문, 편역서, 번역서 발간 등 활발한 활동을 펼쳤으며, 사회 활동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리걸클리닉센터 자문위원, 대한변호사협회 대의원, 국민권익위원회 자문변호사 등을 역임했다. 또한, 다양한 위원회 활동과 법률 지원 활동을 통해 사회적 약자를 위한 봉사에도 힘쓰고 있으며, 2020년 대한변호사협회 우수변호사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강릉여자고등학교 동문 - 김현 (정치인)
김현은 한양대학교 사학과 출신으로 평화민주통일연구회 등에서 활동하며 정치 경력을 쌓아 노무현 정부 청와대 춘추관장, 제19대 국회의원(비례대표)을 거쳐 제22대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경기 안산시 을)으로 재선에 성공, 더불어민주당 대변인, 방송통신위원회 상임위원 및 부위원장 등을 역임하고 현재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간사를 맡고 있는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강릉여자고등학교 동문 - 김별아
김별아는 개인적 경험과 역사 속 여성의 삶을 탐구하는 작품 활동을 활발히 펼치며 진보적인 시각과 섬세한 감성을 겸비한 대한민국의 소설가이자 수필가이다. - 서울대학교 동문 - 김태권
김태권은 서울대학교에서 미학과 서양고전학을 전공한 대한민국의 만화가이자 작가로, 2002년 《김태권의 십자군 이야기》로 데뷔하여 역사, 인문학, 사회 비판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인문학적 깊이와 풍자, 해학을 통해 사회 비판적인 메시지를 전달하는 작품들을 발표해왔다. - 서울대학교 동문 - 박주선
박주선은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하고 검사, 대통령비서실 법무비서관을 거쳐 국회의원, 국회 부의장, 당 대표 등을 역임했으며, 현재는 대한석유협회 회장으로 재직 중이다. - 대한민국의 변호사 - 김웅 (정치인)
법조인 출신 김웅은 검사로 활동하다 검경 수사권 조정에 반대하며 사직 후 새로운보수당에 입당하여 정계에 입문, 제21대 국회의원에 당선되었으며 국민의힘 당대표 선거에 출마했으나 낙선, 현재는 법무법인 남당 변호사로 활동하고 《검사내전》을 저술했다. - 대한민국의 변호사 - 추미애
추미애는 대한민국의 판사 출신 정치인으로, 김대중 전 대통령의 권유로 정계에 입문하여 다선 국회의원, 더불어민주당 대표, 법무부 장관을 역임했다.
홍남희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홍남희 |
출생일 | 1977년 5월 13일 |
출생지 |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
성별 | 여성 |
국적 | 대한민국 |
본관 | 남양 |
직업 | 변호사(2012. 3.~현재) 변리사(2014. 4.~현재) |
학력 | |
학력 |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법학 박사과정 수료 |
경력 | |
경력 | 홍클로버 법률사무소 대표 변호사 |
수상 | |
수상 | 대한변호사협회 우수변호사상 |
2. 생애
홍남희는 변호사로서 활동하며 장애인, 정신질환자, 치매 환자 등 사회적 약자의 인권 문제와 처우 개선에 관심을 가지고 관련 연구에 참여해왔다. 또한 성년후견제도와 가족법 분야에 대한 연구와 함께, 일본의 관련 판례 및 역사 소설을 번역하여 소개하는 등 저술 활동도 병행하였다.[4][5][7]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섹션 내용 없음 - 제공된 원본 소스에는 해당 섹션의 내용이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2. 2. 법조인의 길
변호사 자격을 취득한 2012년 이후, 평소 장애인, 정신질환자, 치매 환자 등의 돌봄과 처우 개선, 인권 옹호에 관심을 가져왔다. 이러한 관심을 바탕으로 2024년까지 매년 1~2편씩, 총 11편의 관련 연구용역보고서 작성에 공동연구원 또는 연구보조원으로 참여하였다.또한 성년후견제도, 업무상 재해로서의 정신질환, 가족법 분야에도 관심을 가지고 연구를 지속하여, 2024년 기준으로 총 6편의 논문을 학술지에 게재하였다.
성년후견제도에 대한 비교법적 논의 활성화를 위해, 한국보다 10년 앞서 제도를 도입한 일본의 성년후견 관련 주요 판례를 번역하고 해설을 덧붙여 2014년 《일본 성년후견판례의 이해》를 편역하여 발간하였다.[4]
더불어 한국과 유사한 가족 문화를 가진 일본의 가족법 관련 주요 판례를 번역하고 해설하여, 가족법 분야의 비교법적 논의를 촉진하고자 2015년 《2009~2014년 일본 가족법(친족상속법) 주요 판례 개관》 편역서를 출간하였다.[5]
같은 해인 2015년에는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일본학과 선배 세 명과 함께 일본 작가 黑髪酒呑童|구로카미 슈텐도일본어[6]의 역사소설 《일본 도자기의 신, 사기장 이삼평》을 번역하여 출간했으며, 이 책은 그 해 세종도서 우수교양도서로 선정되었다.[7]
2. 3. 다양한 학문 분야 탐구
홍남희는 법학전문대학원 졸업 이후에도 학문 탐구를 멈추지 않고, 특히 한국방송통신대학교를 중심으로 다양한 분야의 학사 및 석사 학위를 취득하며 지식의 폭을 넓혔으며, 학점인정 등에 관한 법률을 활용하여 여러 전문 분야의 학위를 취득하기도 했다. 2010년 이후의 주요 학력 사항은 다음과 같다.기간 | 학교/기관 | 학위/과정 | 전공 | 비고 |
---|---|---|---|---|
2010. 3. ~ 2012. 2.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 학사 | 환경보건학 | |
2011. 3. ~ 2013. 2. | 고려사이버대학교 | 학사 | 세무회계학, 사회복지학 | 복수전공 |
2011. 3. ~ 2013. 8.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 석사 | 경영학 | |
2012. 3. ~ 2013. 2. | 세계사이버대학 | 전문학사 | 약용건강식품학 | |
2012. 3. ~ 2014. 2.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 학사 | 일본학 | |
2013. 9. ~ 2015. 8. |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 박사과정 수료 | 법학 | |
2014. 3. ~ 2016. 2.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 학사 | 식품영양학 | |
2014. 9. ~ 2017. 2.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 석사 | 일본언어문화학 | |
2016. 3. ~ 2018. 2.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 학사 | 교육학 | |
2017. 3. ~ 2019. 8.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 석사 | 농업생명과학 | |
2017. 9. ~ 2018. 8. | 세계사이버대학 | 전문학사 | 피부미용뷰티학 | |
2018. 3. ~ 2020. 2.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 학사 | 청소년교육 | |
2020. 3. ~ 2021. 8. | 건양사이버대학교 | 학사 | 다문화한국어학 | |
2020. 3. ~ 2023. 2.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 석사 | 사회복지학 | |
2020. 3. ~ 2023. 8.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 학사 | 유아교육 | |
2021. 3. ~ 2022. 8. | 숭의여자대학교 부설 평생교육원 | 문헌정보학사 | 문헌정보학 | 학점인정 등에 관한 법률 |
2022. 9. ~ 2023. 2. | e그린원격평생교육원 | 공학사 | 정보보호학 | 학점인정 등에 관한 법률 |
2023. 3. ~ 2024. 8. | 한국발명진흥회 | 지식재산학사 | 지식재산학 | 학점인정 등에 관한 법률 |
2023. 9. ~ 2025. 8. (예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 학사과정 재학 | 국어국문학 | |
2024. 9. ~ 2026. 8. (예정) | 기상청 | 이학사 | 대기과학 | 학점인정 등에 관한 법률 |
wikitext
wikitext
홍남희 변호사는 장애인, 정신질환, 치매 환자 등 사회적 약자의 돌봄, 처우 개선, 인권 옹호 문제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연구 활동을 이어왔다. 변호사 자격을 취득한 2012년부터 꾸준히 관련 연구용역에 참여했으며, 성년후견제도, 업무상 재해로서의 정신질환, 가족법 분야에서도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다.
3. 학력
기간 학교 전공 학위 비고 2024. 9.~2026. 8. (예정) 기상청 대기과학 이학사 학점인정 등에 관한 법률 2023. 9.~2025. 8. (예정)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국어국문학 학사 재학 2023. 3.~2024. 8. 한국발명진흥회 지식재산학 지식재산학사 학점인정 등에 관한 법률 2022. 9.~2023. 2. e그린원격평생교육원 정보보호학 공학사 학점인정 등에 관한 법률 2021. 3.~2022. 8. 숭의여자대학교 부설 평생교육원 문헌정보학 문헌정보학사 학점인정 등에 관한 법률 2020. 3.~2023. 8.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유아교육 학사 2020. 3.~2023. 2.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 석사 2020. 3.~2021. 8. 건양사이버대학교 다문화한국어학 학사 2018. 3.~2020. 2.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청소년교육 학사 2017. 3.~2019. 8.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농업생명과학 석사 2017. 9.~2018. 8. 세계사이버대학 피부미용뷰티학 전문학사 2016. 3.~2018. 2.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교육학 학사 2014. 9.~2017. 2.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일본언어문화학 석사 2014. 3.~2016. 2.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식품영양학 학사 2013. 9.~2015. 8.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법학 박사과정 수료 2012. 3.~2014. 2.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일본학 학사 2012. 3.~2013. 2. 세계사이버대학 약용건강식품학 전문학사 2011. 3.~2013. 8.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경영학 석사 2011. 3.~2013. 2. 고려사이버대학교 세무회계학, 사회복지학 학사 2010. 3.~2012. 2.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환경보건학 학사 2009. 3.~2012. 2.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법학 전문석사 2008. 3.~2010. 2.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법학 학사 1996. 3.~2000. 2. 서울대학교 농학 학사 1993. 3.~1996. 2. 강릉여자고등학교 - 졸업
4. 경력
기간 소속 및 직책 2000년 12월 ~ 2002년 6월 일성신약(주) 마케팅팀[8] 2004년 9월 ~ 2005년 2월 강릉교육청 명주초등학교 2005년 2월 ~ 2007년 11월 춘천시 문화예술과, 기획예산과 2007년 11월 ~ 2008년 2월 국가청소년위원회 상담자활팀 2008년 2월 ~ 2009년 3월 보건복지가족부 아동청소년상담자활과, 질병정책과 2012년 2월 ~ 2012년 4월 성북구선거관리위원회 선거부정감시단 2012년 5월 ~ 2015년 3월 변호사 김상도 홍남희 법률사무소 2015년 3월 ~ 2017년 2월 법무법인 세중 의정부분사무소 2017년 3월 ~ 2018년 12월 법무법인 코러스 삼척분사무소 2019년 1월 ~ 현재 홍클로버 법률사무소 대표변호사
5. 연구 및 저술 활동
특히 대한민국보다 앞서 관련 제도를 도입한 일본의 사례에 주목하여 성년후견제도와 가족법 분야에서 비교법적 연구를 수행했으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일본의 주요 판례를 번역하고 해설한 편역서를 출간하기도 했다.[4][5] 또한, 일본 작가 黒髪酒呑童|구로카미 슈텐도일본어[6]의 역사소설 '일본 도자기의 신, 사기장 이삼평'을 공동 번역하여 출간하였는데, 이 책은 세종도서 우수교양도서로 선정되기도 하였다.[7]
5. 1. 연구용역보고서
홍남희 변호사는 평소 장애인, 정신질환, 치매 환자 등의 돌봄과 처우 개선, 인권 옹호에 관심을 가지고, 변호사 자격을 취득한 2012년 이후 매년 1~2편씩 연구용역보고서 작성에 참여해왔다. 2024년 현재까지 공동연구원 혹은 연구보조원으로 총 11편의 보고서 작업에 참여하였다. 주요 연구 주제는 지역사회 통합돌봄, 외국인 정신질환자 지원, 정신보건법 개정 및 운영, 성년후견제도 도입 관련 법제도 개선 등이다.
연도 | 연구용역보고서 제목 | 역할 | 출처 |
---|---|---|---|
2020 | 지역사회 통합돌봄 법률마련 연구 | 연구원 | [9] |
2019 | 외국인 정신질환자 지원방안 연구 | 연구원 | [10] |
2019 | 지역사회 통합돌봄 추진을 위한 법제도 개선방안 기반연구 | 연구원 | [11] |
2018 | 입원적합성심사위원회 심사기준 및 절차 운영방안 | 연구보조원 | |
2017 | 장애인차별금지법 이행 모니터링 개선 방안 및 이행 지표 개발 연구 | 연구원 | [12] |
2017 | 인신보호법상 수용시설의 인권실태 및 점검방안 | 연구원 | |
2016 | 개정 정신보건법에 따른 입퇴원제도 운영방안 | 연구원 | [13] |
2016 | 정신보건법상 강제입원제도 개선과 가정법원의 역할 | 연구보조원 | |
2015 | 정신질환자 개인정보 및 비밀보호를 위한 법제도 개선방안 | 연구보조원 | [14] |
2014 | 정신보건법상 입·퇴원제도 개선방안 | 연구보조원 | [15] |
2013 | 성년후견인제 도입에 따른 정신건강 관련 법제도 개선방안 | 연구보조원 | [16] |
5. 2. 논문
홍남희 변호사는 성년후견제도, 업무상 재해로서의 정신질환, 가족법 등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를 진행하여, 2024년 현재까지 총 6편의 논문을 학술지에 게재했다. 특히 대한민국보다 10년 앞서 성년후견제도를 도입한 일본의 사례를 중심으로 비교법적 연구를 수행했다.연도 | 논문 제목 | 주요 주제 |
---|---|---|
2016 | 성년후견제도의 현황과 과제 - 실무와 일본의 사례를 중심으로[17] | 성년후견제도, 일본법 비교 |
2015 | 과학적 증거가 있는 경우 민법 제844조의 친생추정에 대한 소고(小考) - 우리나라와 일본의 판례를 중심으로[18] | 가족법, 친생추정, 일본법 비교 |
2015 | 정신질환으로 인한 산업재해 관련 손해배상 사건에서 기왕증 등 피해자 측의 소인을 이유로 한 과실상계나 소인 감액의 인정 현황 및 평가 - 일본의 사례를 중심으로 -[19] | 정신질환, 산업재해, 손해배상, 일본법 비교 |
2015 | 정신질환의 업무상 재해 인정 현황 및 평가 - 한국과 일본의 사례를 중심으로 -[20] | 정신질환, 산업재해, 일본법 비교 |
2015 | 피성년후견인의 선거권 등 제한에 대한 법적 고찰[21] | 성년후견제도, 선거권 |
2015 | 이혼 시 퇴직금과 연금의 분할 문제에 대한 고찰 - 대법원 2014. 7. 16. 선고 2013므2250 및 2012므2888 전원합의체 판결을 중심으로 -[22] | 가족법, 이혼, 재산분할 |
5. 3. 편역서
성년후견제도와 가족법에 대한 비교법적 논의 활성화를 위해 일본의 관련 주요 판례를 번역하여 편역서를 발간하였다. 또한 일본 역사소설을 번역하기도 하였다.제목 | 출판 연도 | ISBN | 비고 |
---|---|---|---|
일본 성년후견판례의 이해(일본 성년후견판례 전문 번역 및 해설) | 2014년 | 978-89550660-5-0 | 일본 성년후견제도 관련 주요 판례 번역 및 해설.[4] |
2009~2014년 일본 가족법(친족상속법) 주요 판례 개관(판례 전문 번역 및 해설) | 2015년 | 978-89550666-1-6 | 일본 가족법 관련 주요 판례 번역 및 해설.[5] |
일본 도자기의 신, 사기장 이삼평 | 2015년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일본학과 선배 3인과 공동 번역. 원작자: 黒髪酒呑童|구로카미 슈텐도일본어.[6] 2015년 세종도서 우수교양도서 선정.[7] |
5. 4. 번역서
일본의 성년후견제도 관련 주요 판례를 번역하고 해설을 덧붙인 편역서 '일본 성년후견판례의 이해(일본 성년후견판례 전문 번역 및 해설)'를 2014년에 발간하였다.[4] 이듬해인 2015년에는 일본의 가족법 관련 주요 판례를 번역하고 해설한 편역서 '2009~2014년 일본 가족법(친족상속법) 주요 판례 개관(판례 전문 번역 및 해설)'을 발간하였다.[5]또한 2015년에는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일본학과 선배 세 명(김창복, 노미애, 홍성숙)과 함께 일본 작가 黑髪酒呑童|구로카미 슈텐도일본어[6]의 역사소설 '일본 도자기의 신, 사기장 이삼평'을 번역하여 출간하였다. 이 책은 같은 해 세종도서 우수교양도서로 선정되었다.[7]
- 2015년: 일본 도자기의 신, 사기장 이삼평 (김창복, 노미애, 홍남희, 홍성숙 공역) [세종도서 우수교양도서] ISBN 979-11552836-2-2
5. 5. 기고
연도 | 구분 | 제목 |
---|---|---|
2024 | 판례평석 | 직장 내 괴롭힘 관련 특수형태근로종사자에 대한 사업주의 보호 의무[23] |
2024 | 자유기고 | 2024년 4월 1일 시행 일본의 개정 부정경쟁방지법의 주요 내용[24] |
2024 | 판례평석 | 연장근로 한도를 위반하였는지 여부의 판단 방법[25] |
2023 | 판례평석 | 금전소비대차계약의 변제기 전 물상보증인의 변제[26] |
2022 | 자유기고 | 상속재산관리인 실무에서 느끼는 애로 사항[27] |
2022 | 특별기고 | ‘특정’ 국선변호인의 조력을 받을 권리?[28] |
2019 | 자유기고 | 출산전후휴가급여 신청해서 수령해 보니[29] |
2019 | 자유기고 | 폐지된 금치산제도를 운운하는 드라마[30] |
2013 | 자유기고 | 성범죄 친고죄 폐지의 넛지(Nudge)[31] |
6. 사회활동
홍남희 변호사는 사회적 약자의 인권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변호사 활동 초기부터 다양한 사회활동에 참여해왔다. 특히 장애인, 정신질환자, 치매 환자 등의 처우 개선과 인권 옹호를 위한 연구 활동에 꾸준히 참여하여, 2012년부터 2024년까지 관련 연구용역보고서 11편의 작성에 공동연구원 또는 연구보조원으로 기여했다.
또한 성년후견제도, 업무상 재해로서의 정신질환, 가족법 등 전문 분야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를 통해 다수의 논문을 학술지에 게재하였으며, 일본의 성년후견제도 및 가족법 관련 판례를 번역하고 해설한 편역서를 출간하여 비교법적 논의 활성화에 기여했다.[4][5]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일본학과 동문들과 함께 일본 작가 구로카미 슈텐도(黒髪酒呑童|구로카미 슈텐도일본어)[6]의 역사소설 '일본 도자기의 신, 사기장 이삼평'을 번역하여 2015년에 출간하였고, 이 책은 그 해 세종도서 우수교양도서로 선정되기도 했다.[7]
이 외에도 대한변호사협회, 춘천지방검찰청, 강원도 등 여러 기관에서 위원회 활동, 법률 자문, 국선변호사 활동 등을 수행하며 법률 전문가로서 사회 공헌에 힘쓰고 있다. 자세한 활동 내역은 하위 문서를 참고할 수 있다.
6. 1. 법률 지원 활동
홍남희 변호사는 사회적 약자의 인권 문제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변호사 활동 초기부터 법률 지원에 힘써왔다. 특히 장애인, 정신질환자, 치매 환자 등의 처우 개선과 인권 옹호에 주목하며 다양한 공익 활동에 참여하고 있다.국선변호사로서 형사 절차상 어려움을 겪는 피해자들을 돕고, 여러 기관을 통해 무료 법률 상담 및 소송 지원을 제공하며 법률 서비스 접근성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다. 또한, 대한변호사협회 활동을 통해 사회복지시설의 무연고 사망자 문제 해결, 장애인 권익 보호 등 사회적으로 소외되기 쉬운 이들을 위한 법률 지원 체계 마련에도 참여하고 있다. 다양한 위원회 활동을 통해 법률 전문가로서의 의견을 개진하며 공익 증진에 기여하고 있다.
주요 법률 지원 및 관련 활동 경력은 다음과 같다.
기간 | 활동 내용 | 소속/기관 |
---|---|---|
2012년 6월 ~ 2022년 12월 | 리걸클리닉센터 자문위원 |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
2013년 6월 ~ 2016년 6월 | 마을변호사 | 강릉시 강동면 |
2016년 3월 ~ 2017년 2월 | 피해자 국선변호사 | 의정부지방검찰청 |
2019년 2월 ~ 2025년 1월 | 대의원 | 대한변호사협회 |
2019년 7월 ~ 2023년 7월 | 행정심판 국선대리인 | 중앙행정심판위원회 |
2019년 7월 ~ 2023년 7월 | 비실명 대리신고 자문변호사 | 국민권익위원회 |
2019년 8월 ~ 2025년 7월 | 마약류중독자 치료보호심사위원회 위원 | 강원도 |
2020년 2월 ~ 2026년 2월 | 청문주재자 | 강원도 |
2020년 3월 ~ 2024년 2월 | 지방세 영세납세자 불복청구 지원 선정 대리인 | 강원도 |
2020년 3월 ~ 2026년 2월 | 장애인법률지원변호사단 단원 | 대한변호사협회 |
2020년 12월 ~ 2024년 12월 | 부동산가격공시위원회 위원 | 춘천시 |
2020년 12월 ~ 2024년 12월 | 상속재산관리인 | 춘천지방법원 |
2021년 4월 ~ 2027년 4월 | 인사위원회 위원 | 강원도 |
2022년 1월 ~ 2023년 12월 | 납세자보호위원회 위원 | 춘천세무서 |
2022년 1월 ~ 2026년 1월 | 형사상고심의위원회 위원 | 춘천지방검찰청 |
2022년 3월 ~ 2026년 2월 | 구속사건 논스톱 국선변호사 | 춘천지방법원 |
2022년 3월 ~ 2026년 2월 | 사회복지시설 무연고 사망자 유류금 신속처리 법률지원단 단원 | 대한변호사협회 |
2022년 5월 ~ 2026년 4월 | 국민연금재심사위원회 국선대리인 | 보건복지부 |
2022년 10월 ~ 2025년 10월 | 소비자소송지원 변호사 | 한국소비자원 |
2022년 11월 ~ 2026년 11월 | 성폭력피해자 무료 법률지원사업 전문 변호사 | 한국성폭력위기센터 (여성가족부 지원) |
2022년 11월 ~ 2026년 11월 | 경찰수사 심의위원회 위원 | 강원특별자치도경찰청 |
2024년 4월 ~ 2025년 12월 | 피해자 국선변호사 | 춘천지방검찰청 |
2024년 8월 ~ 2025년 12월 | 군 범죄 피해자 국선변호사 | 육군 강원지역보통검찰부 32검찰대 |
2024년 10월 ~ 2025년 12월 | 군 범죄 피해자 국선변호사 | 육군 강원지역보통검찰부 31검찰대 |
6. 2. 위원회 활동
기간 | 기관/위원회명 | 직책 |
---|---|---|
2024. 10. ~ 2025. 12. | 육군 강원지역보통검찰부 31검찰대 | 군 범죄 피해자 국선변호사 |
2024. 8. ~ 2025. 12. | 육군 강원지역보통검찰부 32검찰대 | 군 범죄 피해자 국선변호사 |
2024. 4. ~ 2025. 12. | 춘천지방검찰청 | 피해자 국선변호사 |
2022. 11. ~ 2026. 11. | 강원도경찰청 | 경찰수사 심의위원회 위원 |
2022. 11. ~ 2026. 11. | 한국성폭력위기센터 | 여성가족부 성폭력피해자 무료 법률지원사업 전문 변호사 |
2022. 10. ~ 2025. 10. | 한국소비자원 | 소비자소송지원 변호사 |
2022. 5. ~ 2026. 4. | 보건복지부 국민연금재심사위원회 | 국선대리인 |
2022. 3. ~ 2026. 2. | 대한변호사협회 사회복지시설 무연고 사망자 유류금 신속처리 법률지원단 | 단원 |
2022. 3. ~ 2026. 2. | 춘천지방법원 | 구속사건 논스톱 국선변호인 |
2022. 1. ~ 2026. 1. | 춘천지방검찰청 | 형사상고심의위원회 위원 |
2022. 1. ~ 2023. 12. | 춘천세무서 | 납세자보호위원회 위원 |
2021. 4. ~ 2027. 4. | 강원도인사위원회 | 위원 |
2020. 12. ~ 2024. 12. | 춘천지방법원 | 상속재산관리인 |
2020. 12. ~ 2024. 12. | 춘천시 | 부동산가격공시위원회 위원 |
2020. 3. ~ 2026. 2. | 대한변호사협회 | 장애인법률지원변호사단원 |
2020. 3. ~ 2024. 2. | 강원도 | 지방세 영세납세자 불복청구 지원을 위한 선정 대리인 |
2020. 2. ~ 2026. 2. | 강원도 | 청문주재자 |
2019. 8. ~ 2025. 7. | 마약류중독자 강원도 치료보호심사위원회 | 위원 |
2019. 7. ~ 2023. 7. | 국민권익위원회 | 비실명 대리신고 자문변호사 |
2019. 7. ~ 2023. 7. | 중앙행정심판위원회 | 행정심판 국선대리인 |
2019. 2. ~ 2025. 1. | 대한변호사협회 | 대의원 |
2016. 3. ~ 2017. 2. | 의정부지방검찰청 | 피해자 국선변호사 |
2013. 6. ~ 2016. 6. | 강원도 강릉시 강동면 | 마을변호사 |
2012. 6. ~ 2022. 12. |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리걸클리닉센터 | 자문위원 |
6. 3. 기타 사회활동
홍남희 변호사는 장애인, 정신질환, 치매 환자 등의 인권 옹호와 처우 개선에 관심을 가지고, 변호사 자격 취득 이후 2024년까지 총 11편의 관련 연구용역보고서 작업에 공동연구원 또는 연구보조원으로 참여했다. 또한 성년후견제도, 업무상 재해로서의 정신질환, 가족법 분야에서도 총 6편의 논문을 학술지에 게재했다.일본의 법 제도에 대한 비교법적 논의 활성화를 위해, 성년후견제도 및 가족법 관련 주요 판례를 번역하고 해설한 편역서 '일본 성년후견판례의 이해(일본 성년후견판례 전문 번역 및 해설)'(2014년)와 '2009~2014년 일본 가족법(친족상속법) 주요 판례 개관(판례 전문 번역 및 해설)'(2015년)을 발간했다.[4][5]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일본학과 동문들과 함께 일본 작가 구로카미 슈텐도(黒髪酒呑童|구로카미 슈텐도일본어)[6]의 역사소설 '일본 도자기의 신, 사기장 이삼평'을 번역하여 2015년에 출간했으며, 이 책은 해당 연도 세종도서 우수교양도서로 선정되었다.[7]
이 외에도 다양한 포럼, 토론회, 강연 등에 참여하며 사회적 논의에 기여하고 있다. 주요 활동은 다음과 같다.
- 2024년 8월 24일: <2024 서울국제교육포럼> "Session 1 가족과 공동체" 사회(司會)
- 2023년 9월 22일: "도서관에는 사서 노동자가 있다 : 사서 노동자 노동권 보장을 위한 '사서법' 및 '가이드라인' 제정 방향 모색을 위한 토론회" 발제[32]
- 2023년 5월 19일: "<알면 다르게 보이는 일본문화 3> 출판 기념회" 및 "제18회 동아시아 사랑방 포럼 학술대회" 발표 ('검댕이, 이 사소한 것에 대한 일본 대중문화 작품의 관심과 애정')[33]
- 2022년 10월 18일: 한국보건복지인재원 <제2기 치매친화적환경조성수립과정> "공공후견 우수사례" 강의
- 2020년 9월 6일: 다(多)학과 재학생 온라인 좌담회[34]
- 2020년 9월 5일: 다(多)학과 재학생 온라인 좌담회_ 나는 왜 여러 학과에 도전했나?[35]
- 2016년 2월 4일: "리걸클리닉 정신장애인 권리옹호 세미나" 발표 ('정신장애와 자격제한')[36]
- 2015년 9월 17일: "제44회 RI KOREA 재활대회" 발표 ('성년후견제도와 공직선거법')[37]
- 2012년 9월 19일: "젊은 변호사들! 부정청탁금지법을 말하다!" 진행[38]
7. 수상
연도 | 수상 명칭 | 수여 기관 / 비고 |
---|---|---|
2010 | 제2회 한중일 비교문화논문공모전 동상[41] | |
2011 | 제2회 장위공 서희 선양 전국 대학원생 학술논문 공모전 장려상 | |
2020 | 제14회 우수변호사상[40] | 대한변호사협회 |
2024 | 제4회 지식재산학사 수기공모전 최우수상[39] | 국제지식재산연수원장상 |
참조
[1]
문서
예사공파(禮史公派) 32세손이다.
[2]
문서
출생 당시에는 지명이 명주군(溟州郡)이었으며 명주군은 1995년 1월 1일 강릉시에 통합되었다.
[3]
문서
1992년부터 '농업생명과학대학 농학과'가 되었으며 1997년 원예학과와 통합되어 '농업생명과학대학 식물생산과학부'가 되었다.
[4]
뉴스
대한변협, 우수변호사 10인 선정 시상식 개최
http://www.lec.co.kr[...]
법률저널
2020-09-30
[5]
뉴스
대한변협, '정의·인권' 등 각 분야 우수변호사 10인 선정
https://www.joseilbo[...]
조세일보
2020-09-28
[6]
문서
본명은 요시지마 미키오(吉島幹夫)다.
[7]
웹사이트
지식과감성# 우수도서를 소개합니다
https://blog.naver.c[...]
도서출판 지식과감성#
2016-04-21
[8]
문서
2024년 3월 일성아이에스(주)로 사명을 변경하였다.
[9]
간행물
지역사회 통합돌봄 법률마련 연구
https://www.nl.go.kr[...]
발간등록번호 11-1342000-002833-01
[10]
간행물
외국인 정신질환자 지원방안 연구
https://www.kihasa.r[...]
발간등록번호 11-1352000-000000-00
[11]
간행물
지역사회 통합돌봄 추진을 위한 법제도 개선방안 기반연구
https://www.bing.com[...]
발간등록번호 11-1352000-2597-01
[12]
간행물
장애인차별금지법 이행 모니터링 개선 방안 및 이행 지표 개발 연구
https://www.nl.go.kr[...]
[13]
간행물
개정 정신보건법에 따른 입퇴원제도 운영방안
https://www.nl.go.kr[...]
발간등록번호 11-1352000-001826-01
[14]
간행물
정신질환자 개인정보 및 비밀보호를 위한 법제도 개선방안
https://dl.nanet.go.[...]
발간등록번호 11-1352000-001520-01
[15]
간행물
정신보건법상 입·퇴원제도 개선방안
https://www.nl.go.kr[...]
발간등록번호 11-1352000-001201-01
[16]
간행물
성년후견인제 도입에 따른 정신건강 관련 법제도 개선방안
https://www.nl.go.kr[...]
발간등록번호 11-1352000-001069-01
[17]
논문
성년후견제도의 현황과 과제 - 실무와 일본의 사례를 중심으로
https://www.dbpia.co[...]
서울대 사회보장법연구회
2016-12-31
[18]
논문
과학적 증거가 있는 경우 민법 제844조의 친생추정에 대한 소고(小考) - 우리나라와 일본의 판례를 중심으로
https://www.dbpia.co[...]
아주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11-30
[19]
논문
정신질환으로 인한 산업재해 관련 손해배상 사건에서 기왕증 등 피해자 측의 소인을 이유로 한 과실상계나 소인 감액의 인정 현황 및 평가 - 일본의 사례를 중심으로 -
https://www.dbpia.co[...]
한국노동법학회
2015-09-15
[20]
논문
정신질환의 업무상 재해 인정 현황 및 평가 - 한국과 일본의 사례를 중심으로 -
https://www.dbpia.co[...]
제주대학교 법과정책연구원
2015-08-30
[21]
논문
피성년후견인의 선거권 등 제한에 대한 법적 고찰
https://www.dbpia.co[...]
서울대 사회보장법연구회
2015-06-30
[22]
논문
이혼 시 퇴직금과 연금의 분할 문제에 대한 고찰 - 대법원 2014. 7. 16. 선고 2013므2250 및 2012므2888 전원합의체 판결을 중심으로 -
https://www.dbpia.co[...]
경북대학교 법학연구원
2015-02-28
[23]
뉴스
<판례평석> 직장 내 괴롭힘 관련 특수형태근로종사자에 대한 사업주의 보호 의무
https://news.koreanb[...]
법조신문
2024-11-25
[24]
뉴스
<자유기고> 2024년 4월 1일 시행 일본의 개정 부정경쟁방지법의 주요 내용
https://news.koreanb[...]
법조신문
2024-05-27
[25]
뉴스
<판례평석> 연장근로 한도를 위반하였는지 여부의 판단 방법
https://news.koreanb[...]
법조신문
2024-02-13
[26]
뉴스
<판례평석> 금전소비대차계약의 변제기 전 물상보증인의 변제
https://news.koreanb[...]
법조신문
2023-08-14
[27]
뉴스
<자유기고> 상속재산관리인 실무에서 느끼는 애로 사항
https://news.koreanb[...]
법조신문
2022-04-26
[28]
뉴스
<특별기고> ‘특정’ 국선변호인의 조력을 받을 권리?
https://news.koreanb[...]
법조신문
2022-01-24
[29]
뉴스
<자유기고> 출산전후휴가급여 신청해서 수령해 보니
https://news.koreanb[...]
법조신문
2019-07-08
[30]
뉴스
<자유기고> 폐지된 금치산제도를 운운하는 드라마
https://news.koreanb[...]
법조신문
2019-05-27
[31]
뉴스
성범죄 친고죄 폐지의 넛지(Nudge)
https://www.lawtimes[...]
법률신문
2013-05-09
[32]
문서
도서관에는 사서 노동자가 있다 : 사서 노동자 노동권 보장을 위한 '사서법' 및 '가이드라인' 제정 방향 모색을 위한 토론회
https://dl.nanet.go.[...]
[33]
뉴스
'일본 속에 공존하는 한국' 조명, 전편보다 더 흥미진진
https://weekly.knou.[...]
KNOU위클리
2023-05-25
[34]
뉴스
"학위 컬렉터라고요? 공부는 '나'를 자유롭게 합니다"
https://weekly.knou.[...]
KNOU위클리
2020-09-06
[35]
뉴스
'올드'한 방송대 이미지 개선해야
https://weekly.knou.[...]
KNOU위클리
2020-09-05
[36]
기타
리걸클리닉 정신장애인 권리옹호 세미나
https://www.uos.ac.k[...]
[37]
뉴스
피성년후견인 선거권 영구 박탈하는 법률 바꿔야
https://www.beminor.[...]
비마이너
2015-09-17
[38]
블로그
젊은 변호사들! 부정청탁금지법을 말하다!
https://glocallawyer[...]
[39]
뉴스
특허청, 제4회 지식재산학사 수기공모전 시상식 개최
https://biz.heraldco[...]
헤럴드경제
2024-12-13
[40]
기타
대한변협, 우수변호사 10인 선정
https://www.koreanba[...]
[41]
뉴스
‘다문화시대 일제식민지 귀화정책’ 한중일 비교문화 논문공모전 대상에
http://www.mediabudd[...]
미디어붓다
2010-10-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