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파로스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파로스섬은 면적 165km²의 그리스 키클라데스 제도의 섬으로, 서양배 모양을 띠며 해발 724m의 산과 평지로 이루어져 있다. 파로스섬은 이웃 섬인 안티파로스섬과 2km 거리이며, 페리선이 매일 운행된다. 주요 도시로는 파리키아가 있으며, 황금해변을 비롯한 여러 해변과 윈드서핑 명소로 알려져 있다. 고대에는 파로스 대리석 산지로 유명했으며, 밀로의 비너스 제작에 사용되었다. 역사를 거쳐 베네치아 공화국, 오스만 제국을 거쳐 그리스 왕국에 귀속되었으며, 관광 산업과 대리석 채석이 주요 경제 활동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파로스섬 - 파로스 대리석
    파로스 대리석은 그리스 파로스섬에서 생산되어 고대 그리스와 로마 시대 조각 작품 및 건축물에 널리 사용된 대리석이다.
  • 아테네인의 식민지 - 에페소스
    에페소스는 튀르키예 서부에 위치한 고대 도시로, 아르테미스 숭배와 동지중해 무역의 중심지였으며, 로마 제국 시대에 번영을 누렸으나 잦은 침략과 항구 매몰로 쇠퇴하여 15세기 이후 버려졌다.
  • 아테네인의 식민지 - 투리이
    투리이는 기원전 5세기 중반 이탈리아 남부에 건설된 고대 그리스 식민 도시로, 시바리스 몰락 후 재건 시도 실패와 아테네 지원을 통한 범헬라스 식민지로의 재건, 여러 전쟁과 로마와의 동맹, 그리고 한니발 전쟁 후 로마 식민지가 되었다가 중세 시대에 쇠퇴한 것으로 추정된다.
  • 키클라데스 제도 - 이오스섬
    이오스섬은 그리스 키클라데스 제도에 속하며, 제비꽃을 뜻하는 고대 그리스어에서 유래되었고, 해상 교통로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현재는 젊은 관광객들에게 인기 있는 여행지이다.
  • 키클라데스 제도 - 델로스섬
    델로스섬은 그리스 신화 속 아폴론과 아르테미스의 탄생지로, 고대 그리스 시대 주요 숭배 중심지이자 헬레니즘 시대 국제 무역 중심지로 번성했으며 현재는 다양한 유적이 남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었다.
파로스섬
개요
파로스섬의 전경
위에서 왼쪽부터: 파리키아, 파나기아 에카톤타필리아니, 프랑크 성, 파로스섬의 거리
위치에게해
군도키클라데스 제도
일반 정보
그리스어 표기Πάρος
로마자 표기Páros
베네치아어 표기Paro
면적196.308 km²
해안선 길이8 km
최고점724 m (마르피사)
남에게 주
지역구파로스
중심 도시파리키아
인구14,520 명 (2021년 기준)
차량 번호판EM
지역 번호22840
우편 번호844 00
공식 웹사이트파로스 시 공식 웹사이트
행정
자치체 유형자치체
지리
좌표37° 4′ N, 25° 12′ E

2. 지리

파로스섬은 에게해 중부에 위치한 키클라데스 제도에 속하며, 면적은 165km²이다. 섬은 서양배 모양을 하고 있으며, 섬 중앙에는 해발 724m의 산이 솟아 있고, 해안을 따라 평지가 이어진다. 섬의 주요 구성 암석은 대리석이며, 일부 편마암결정편암도 발견된다.[44]

파로스섬 서쪽에는 안티파로스섬이 위치하며, 두 섬 사이의 해협은 가장 좁은 곳이 2km 미만이다. 두 섬 간에는 차량과 승객을 나르는 페리선이 매일 운행된다.[44] 파로스섬 주변에는 여러 개의 작은 무인도가 분포한다. 섬에는 드리오스 인근의 '황금해변'(Chrissí Aktí), 포운다, 로가라스, 피소리바디, 나우사만, 파리키아, 아기아이리니 등 다양한 해변이 있다. 파로스섬과 낙소스섬 사이의 해협은 강풍으로 인해 윈드서핑 명소로 알려져 있다.

2. 1. 주변 섬

섬 이름위치
가이두로니시섬시파라 북쪽
포르테스섬파로스 타운 서쪽
티가니섬파로스 남서쪽
드리오니시섬파로스 남동쪽


3. 역사

키클라데스 제도에서 볼 수 있는 전통 양식을 따른 마르마라의 풍차


파로스섬은 파라시아의 파로스가 아르카디아인들과 함께 섬을 개척했으며 섬의 이름도 그로부터 유래됐다는 전설이 전해진다.[45] 고대 그리스 시기에는 플라테이아 (팍티아), 데메트리아스, 히리아, 힐레사, 미노아, 카바르니스 등으로 다양하게 불렸다.[46][47]

파로스는 아테네로부터 이오니아 식민지를 할양받아 번영을 이루었고, 다르다넬스 해협타소스섬과 파리움에 식민지를 건설하기도 하였다.[48][49] 타소스섬은 제15대~제18대 올림피아드 시기에 파로스섬 출신 시인 아르킬로코스가 개척에 참여했다고 전해지며,[50] 기원전 385년경에는 파로스섬 사람들이 시라쿠사디오니시오스 1세와 함께 일리리아 연안 섬 (지금의 크로아티아 흐바르섬)에 식민지를 개척했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46][51]

페르시아 전쟁 발발 당시 파로스섬은 낙소스의 속국이었으며,[46][52] 기원전 490년 제1차 그리스-페르시아 전쟁에서 페르시아 편에 서서 마라톤으로 트리에레스 함선을 보내 지원했다. 그리스는 이에 대한 보복으로 밀티아데스가 이끄는 아테네 함대를 파견해 섬을 포위하고 100달란트의 벌금을 요구했으나,[46] 파로스섬은 격렬하게 저항하여 아테네군은 26일간의 포위 공격 끝에 섬을 떠나야 했다.[46] 밀티아데스는 파로스섬의 테스모포로스 데메테르 신전에서 허벅지에 상처를 입었고 이 상처가 썩어들어가면서 사망했는데,[46][53] 헤로도토스는 신전 위치가 마을 경계 너머 낮은 언덕에 있다고 전했고, 훗날 독일 고고학자 루트비히 로스가 비문을 조사해 사실임을 확인했다.[46]

파리키아의 조오도호스 피기 교회


기원전 480년~479년 제2차 그리스-페르시아 전쟁에서도 파로스섬은 페르시아 제국크세르크세스 1세 편에 섰으나, 아르테미시온 해전 이후 파로스 함대는 큰 피해를 입고 키트노스섬에 머무르며 전쟁의 추이를 지켜봤다.[46][54] 전쟁이 그리스의 승리로 끝나자 아테네 총사령관 테미스토클레스는 파로스섬 사람들에게 페르시아 측을 도운 죄로 무거운 벌금을 부과했다.[46][55]

이후 파로스섬은 아테네가 주도하는 해상연합 델로스 동맹에 소속되어 섬 지역 가운데 가장 높은 공부금을 냈는데, 동시기 역사학자 올림피오도로스의 추산에 따르면 해마다 30달란트를 바쳤던 것으로 전해진다.[46][56] 이는 파로스섬이 에게해에서 제일 잘 사는 섬이었음을 보여준다. 당시 파로스섬의 정치 구조는 남아있는 기록이 별로 없지만, 관련 명문을 통해 아테네 민주주의에 기반, 행정부로는 500인 평의회(불레)를 중심으로 국가 중대사를 결정했던 것으로 보인다.[46][57] 그러나 기원전 410년 아테네 장군 테라메네스가 파로스섬을 찾았을 때에는 과두제가 시행되고 있었고, 테라메네스가 과두정을 폐하고 민주정으로 복구시켰다는 기록이 있다.[58] 기원전 378년에는 2차 아테네 동맹에 참여했으나 기원전 357년 히오스섬과 함께 아테네 동맹에서 탈퇴했다.

헬레니즘 시대에 들어서면서 키클라데스 제도는 이집트의 프톨레마이오스 왕국에 복속되었는데, 이때 파로스섬도 함께 복속된 것으로 여겨진다.[46] 이후 그리스 전역과 더불어 로마 제국의 영토가 되었고, 동로마 제국 시기까지 남아 있었다.

1204년 제4차 십자군콘스탄티노폴리스를 점령하고 동로마 제국을 무너뜨리면서, 파로스섬은 십자군 국가의 일원으로서 베네치아 공화국공작이 다스리는 낙소스 공국의 관할이 되었으나, 실질적으로는 베네치아 공화국종속국이었다.

1537년 오스만 제국의 낙소스 공국 침공으로 파로스섬은 오스만 제국의 영토가 되었다. 1770년~1775년 러시아-튀르크 전쟁 당시 러시아 제국은 나우사만 일대를 알렉세이 올로프 백작이 지휘하는 러시아 해군편대의 기지로 삼았다. 1821년 그리스 독립 전쟁이 발발하고 1832년 콘스탄티노플 협약 체결로 신생 독립국 그리스 왕국이 탄생하면서, 파로스섬은 수세기 만에 그리스인이 다스리는 영토로 되돌아왔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그리스 축 점령 기간 동안 파로스섬은 1943년까지 이탈리아군에 의해 점령되었다. 이후 1944년 나치가 섬을 점령하여 초반부터 가혹한 통치를 시작했다. 1944년, 독일 점령 시기 파로스섬의 전략적 중요성으로 인해 마르피사 마을 근처에 비행장이 강제적으로 건설되었으며, 이 프로젝트에는 한때 400명 이상의 그리스 강제 노동자가 동원되었다.[18] 연합군의 지원을 받은 지역 저항 세력은 이 프로젝트를 방해하려 했으며, 23세의 게릴라(partisan)인 니콜라스 스텔라스가 핵심 인물로 떠올랐다. 독일군에게 체포된 스텔라스는 어떠한 이름이나 정보도 제공하지 않았고, 결국 공개 처형되어 저항의 상징이 되었다. 이에 대한 보복으로 125명의 파로스섬 주민들이 처형 선고를 받았으나, 독일 사령관인 게오르크 그라프 폰 메렌베르크 소령은 스텔라스의 희생과 수도원장 필로테오스 제르바코스의 인간적인 호소에 감화되어 그들을 살려주었다.[19]

3. 1. 고대

파로스섬은 파라시아의 파로스가 아르카디아인들과 함께 섬을 개척하여 그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는 전설이 전해진다.[45] 고대에는 플라테이아(팍티아), 데메트리아스, 히리아, 힐레사, 미노아, 카바르니스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렸다.[46][47]

파로스섬은 아테네로부터 이오니아 식민지를 할양받아 번영을 누렸다.[48] 다르다넬스 해협타소스섬과 파리움에 식민지를 건설하기도 했다.[49] 타소스섬은 제15대~제18대 올림피아드 시기에 파로스섬 출신 시인 아르킬로코스가 개척에 참여했다고 전해진다.[50] 기원전 385년경에는 파로스섬 사람들이 시라쿠사디오니시오스 1세와 함께 일리리아 연안 섬(지금의 크로아티아 흐바르섬)에 식민지를 개척했다.[46][51]

페르시아 전쟁 발발 당시에는 낙소스의 속국이었던 것으로 보인다.[46][52] 기원전 490년 제1차 그리스-페르시아 전쟁에서 파로스는 페르시아 편에 서서 마라톤으로 트리에레스 함선을 보내 지원했다. 그리스는 이에 대한 보복으로 밀티아데스가 이끄는 아테네 함대를 파견해 섬을 포위하고 100달란트의 벌금을 요구했다.[46] 그러나 파로스섬은 격렬하게 저항했고, 아테네군은 26일간의 포위 공격 끝에 섬을 떠났다.[46] 밀티아데스는 파로스섬의 테스모포로스 데메테르 신전에서 허벅지에 상처를 입었고 이 상처가 썩어들어가면서 사망했다.[46][53] 헤로도토스는 신전 위치가 마을 경계 너머 낮은 언덕에 있다고 전했는데, 훗날 독일 고고학자 루트비히 로스가 비문을 조사해 사실임을 확인했다.[46]

기원전 480년~479년 제2차 그리스-페르시아 전쟁에서도 파로스섬은 그리스에 맞서 페르시아 제국크세르크세스 1세 편에 섰으나, 아르테미시온 해전 이후 파로스 함대는 큰 피해를 입고 키트노스섬에 머무르며 전쟁의 추이를 지켜봤다.[46][54] 전쟁이 그리스의 승리로 끝나자 아테네 총사령관 테미스토클레스는 파로스섬 사람들에게 페르시아 측을 도운 죄로 무거운 벌금을 부과했다.[46][55]

이후 파로스섬은 아테네가 주도하는 해상연합 델로스 동맹에 소속되어 섬 지역 가운데 가장 높은 공부금을 냈다. 동시기 역사학자 올림피오도로스의 추산에 따르면 해마다 30달란트를 바쳤던 것으로 전해진다.[46][56] 이는 파로스섬이 에게해에서 제일 잘 사는 섬이었음을 보여준다. 당시 파로스섬의 정치 구조는 남아있는 기록이 별로 없지만, 관련 명문을 통해 아테네 민주주의에 기반, 행정부로는 500인 평의회(불레)를 중심으로 국가 중대사를 결정했던 것으로 보인다.[46][57] 그러나 기원전 410년 아테네 장군 테라메네스가 파로스섬을 찾았을 때에는 과두제가 시행되고 있었고, 테라메네스가 과두정을 폐하고 민주정으로 복구시켰다는 기록이 있다.[58] 기원전 378년에는 2차 아테네 동맹에 참여했으나 기원전 357년 히오스섬과 함께 아테네 동맹에서 탈퇴했다.

헬레니즘 시대에 들어서면서 키클라데스 제도는 이집트의 프톨레마이오스 왕국에 복속되었는데, 이때 파로스섬도 함께 복속된 것으로 여겨진다.[46] 이후 그리스 전역과 더불어 로마 제국의 영토가 되었고, 동로마 제국 시기까지 남아 있었다.

파로스섬에 남아 있는 고대 대리석 채석장. 밀로의 비너스상에 쓰인 대리석이 바로 이곳 지하에서 채취된 것으로 추정된다.


파로스섬은 파로스 대리석이라는 고품질 대리석 산지로 유명하다. 파로스 대리석은 순백색에 투명기를 띄고 있으며 입자가 굵고 아름다운 질감을 지녀, 예로부터 파로스섬의 부를 축적하는 데 기여한 특산품이었다.[60] 파로스섬의 대리석 산지로는 성 미나스 수녀원 유적 바로 아래에 위치한 마라티산(카프레소산)이 가장 유명했다.[60]

파로스 대리석은 기원전 6세기경부터 채취되었으며 프락시텔레스를 비롯한 고대 그리스 조각가들이 애용했다. 지하 채석장에서 암석에 수평이나 수직 방면으로 구멍을 뚫어 채취했고,[60] 그 과정에서 등불에 의지했기 때문에 대리석을 '리크니테스'(lychnites), '리크네우스'(lychneus), '리그도스'(Lygdos)라 부르기도 했다.[60][61] 고대에 쓰인 채석장 구멍은 지금도 곳곳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60] 그리스 신화이나 님프가 사는 구멍이라는 설화도 전해진다.[60]

3. 2. 중세와 근현대

1204년 제4차 십자군콘스탄티노폴리스를 점령하고 동로마 제국을 무너뜨렸다. 파로스섬을 비롯한 그리스 도서지역은 십자군 국가의 일원으로서 베네치아 공화국공작이 다스리는 낙소스 공국의 관할이 되었으나, 실질적으로는 베네치아 공화국종속국이었다.

1537년 오스만 제국의 낙소스 공국 침공으로 파로스섬은 오스만 제국의 영토가 되었다. 1770년~1775년 러시아-튀르크 전쟁 당시 러시아 제국은 나우사만 일대를 알렉세이 올로프 백작이 지휘하는 러시아 해군편대의 기지로 삼았다. 1821년 그리스 독립 전쟁이 발발하고 1832년 콘스탄티노플 협약 체결로 신생 독립국 그리스 왕국이 탄생하면서, 파로스섬은 수세기 만에 그리스인이 다스리는 영토로 되돌아왔다.

독립전쟁 당시 파로스섬 출신의 만토 마우로게누스는 전쟁 자금을 지원하고 전투에도 직접 참여하여 그리스 민족주의자들의 영웅으로 떠올랐다. 에카톤타필리아니 교회 인근에 현재도 남아 있는 만토 마우로게누스의 생가는 사적지로 유명하다.

2000년 9월 26일, 유람선 MS 익스프레스 사미나가 파리키아만에서 포르테스섬과 충돌하여 침몰, 승객 82명이 사망했다.[59]

3. 3. 제2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중 그리스 축 점령 기간 동안 파로스섬은 1943년까지 이탈리아군에 의해 점령되었다. 이후 1944년 나치가 섬을 점령하여 초반부터 가혹한 통치를 시작했다.

1944년, 독일 점령 시기 파로스섬의 전략적 중요성으로 인해 마르피사 마을 근처에 비행장이 강제적으로 건설되었다. 이 프로젝트에는 한때 400명 이상의 그리스 강제 노동자가 동원되었다.[18] 연합군의 지원을 받은 지역 저항 세력은 이 프로젝트를 방해하려 했으며, 23세의 게릴라(partisan)인 니콜라스 스텔라스가 핵심 인물로 떠올랐다. 독일군에게 체포된 스텔라스는 어떠한 이름이나 정보도 제공하지 않았고, 결국 공개 처형되어 저항의 상징이 되었다. 이에 대한 보복으로 125명의 파로스섬 주민들이 처형 선고를 받았다. 그러나 독일 사령관인 게오르크 그라프 폰 메렌베르크 소령은 스텔라스의 희생과 수도원장 필로테오스 제르바코스의 인간적인 호소에 감화되어 그들을 살려주었다.[19]

영국 특공대와 지역 게릴라들은 성공적인 작전을 수행하여 주둔해 있던 독일군을 공격했다. 이 작전에는 독일 통신선 파괴와 핵심 독일 장교 납치가 포함되었다. 이러한 저항 노력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에게해 지역에서 이루어진 광범위한 연합군 전략의 일환으로, 이 지역에서 독일 군사 작전을 방해하는 데 기여했다.[20] 마르피사에 독일군이 건설한 비행장은 후에 영국군에 의해 폭격받았다. 오늘날에는 비행장의 잔해가 남아있지 않다.[18]

4. 주요 도시 및 마을

파로이키아(그리스어: παροικία)는 파로스섬 북서쪽 만에 위치하며, 고대 수도 파로스의 부지에 자리 잡고 있다.[1] 파로이키아 항구는 에게해 제도 페리와 쌍동선의 주요 허브로, 피레우스, 이라클리온 및 낙소스, 이오스, 미코노스, 산토리니 등 다른 섬으로 매일 여러 번 운항한다.

나우사(이전에는 아구사 또는 아우사)는 섬 북쪽에 있는 만으로, 선박 교통을 위한 넓고 자연적인 항구를 제공하며, 현대에는 관광 개발이 크게 이루어지고 있다.

레프케스는 파로키아에서 10km 떨어진 내륙 산악 마을이다. 19세기 후반, 레프케스는 1912년까지 나크소스 주에 속했던 이리아 자치구의 중심지였다.

드리오스는 섬 남동쪽에 위치한 또 다른 인기 있는 항구인데, 이곳은 파로스에 대한 오스만 통치(1537–1832) 기간 동안 터키 함대가 에게해를 거치는 연례 항해에서 닻을 내리곤 했다.

섬 동쪽 평원에 위치하고 고대 유적이 풍부한 프로드로모스(이전 드라굴라스), 마르마라, 마르피사(이전 치피도스)는 "케팔로스 마을"로 알려져 있으며, 고대 도시의 부지를 차지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이들은 가파르고 높은 케팔로스 언덕을 따라 위치한다.

5. 문화 유산

파로이키아의 파나기아 에카톤타필리아니


에카톤타필리아니 교회의 십자형 세례반

  • '''파나기아 에카톤타필리아니''': 파리키아에 있는 교회로, "백 개의 문 교회"라는 뜻이다. 로마 제국기독교국교로 채택하기 이전인 391년 이전에 지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콘스탄티누스 대제의 어머니 성 헬레나가 성지 순례 중에 설립했다고 전해진다. 초기 형태의 예배당 2개와 십자형 세례당이 있다.[1]

  • '''파로스 고고학 박물관''': 파리키아에 위치하며, 파로스섬 유적에서 발견된 유물을 소장하고 있다. 특히, 고대 그리스의 연대기인 파로스 연대기의 파편이 소장되어 있다. 이 연대기는 대리석에 새겨져 있으며, 기원전 1500년경부터 기원전 264년까지 주요 사건 사이의 경과 시간이 기록되어 있다.[22]

  • '''만토 마우로게누스 생가''': 파로스섬 출신의 그리스 독립 전쟁 영웅 만토 마우로게누스의 생가로, 에카톤타필리아니 교회 인근에 위치하며 역사적 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다.

  • '''고대 대리석 채석장''': 파로스 대리석의 채석장으로, 성 미나스 수녀원 유적 아래 마라티산에 위치한다. 밀로의 비너스상에 쓰인 대리석이 바로 이곳 100m 지하에서 채취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현재는 문화재 복원용으로만 사용이 허가되어 있다.

6. 경제

파로스섬의 경제는 관광 산업과 대리석 채석이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파로스섬은 파로스 대리석이라는 고품질의 대리석 산지로 유명하다. 파로스 대리석은 순백색에 투명기를 띄고 있으며 입자가 굵고 아름다운 질감을 지니고 있어, 예로부터 파로스섬의 특산품으로 자리매김하여 부를 축적하는 데 기여했다.[60] 파로스 대리석은 기원전 6세기경부터 채취되기 시작하였으며 프락시텔레스를 비롯한 고대 그리스의 조각가들이 애용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하 채석장에서 암석에 수평이나 수직 방면으로 구멍을 뚫어 채취하였고,[60] 그 과정에서 등불에 의지하였기 때문에 대리석을 등불을 뜻하는 '리크노스'에서 따와 '리크니테스'(lychnites), '리크네우스'(lychneus), '리그도스'(Lygdos)라 부르기도 하였다.[60][61]

근대에 이르러서도 대리석 채취 시도가 몇 차례 있었으나, 현재는 그 양이 많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60] 남아있는 대리석 산지는 국가에서 소유하고 있으며, 이곳에서 채취된 대리석은 문화재 복원용으로만 한정되어 사용된다.

6. 1. 관광 산업

파로스섬에는 수많은 해변이 있다. 동해안 드리오스 인근의 골든 비치(Chrissí Aktí), 푼다, 로가라스, 피소 리바디, 나우사 만, 파로이키아, 아기아 이리니 등이 대표적이다. 파로스섬과 낙소스섬 사이의 해협은 항상 강한 바람이 불어 윈드서핑 명소로 꼽힌다.[1]

6. 2. 대리석 채석



파로스섬은 파로스 대리석이라는 고품질의 대리석이 나는 것으로 유명하다. 파로스 대리석은 순백색에 투명기를 띄고 있으며 입자가 굵고 아름다운 질감을 지니고 있어, 예로부터 파로스섬의 특산품으로 자리매김하여 부를 축적하는 데 기여했다.[60] 파로스섬의 대리석 산지로는 성 미나스 수녀원 유적 바로 아래에 위치한 마라티산 (카프레소산)이 가장 유명했다.[60]

파로스 대리석은 기원전 6세기경부터 채취되기 시작하였으며 프락시텔레스를 비롯한 고대 그리스의 조각가들이 애용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하 채석장에서 암석에 수평이나 수직 방면으로 구멍을 뚫어 채취하였고,[60] 그 과정에서 등불에 의지하였기 때문에 대리석을 등불을 뜻하는 '리크노스'에서 따와 '리크니테스'(lychnites), '리크네우스'(lychneus), '리그도스'(Lygdos)라 부르기도 하였다.[60][61] 고대에 쓰인 채석장 구멍은 지금도 곳곳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60] 그리스 신화이나 님프가 사는 구멍이라는 설화도 전해져 내려오고 있다.[60]

근대에 이르러서도 대리석 채취 시도가 몇 차례 있었으나, 현재는 그 양이 많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60] 남아있는 대리석 산지는 국가에서 소유하고 있으며, 이곳에서 채취된 대리석은 문화재 복원용으로만 한정되어 사용되는데, 이는 고대의 또다른 유명 대리석 산지였던 펜텔리코산의 대리석과 비슷한 사례이다.

7. 출신 인물

시대인물설명
고대아고라크리투스조각가
아르킬로코스시인
사티로스건축가이자 조각가
스코파스조각가이자 건축가
레스보스의 테오크티스테은둔 성녀
티라시메데스조각가
티마리다스수학자
근현대누르바누 술탄오스만 제국 무라트 3세의 어머니
바실리스 아르기로풀로스배우
니콜라스 마우로게네스왈라키아의 왕자
아타나시우스 파리오스신학자
만토 마우로게누스그리스 독립전쟁의 영웅
요셉 헤시카스트수도사
아우구스티노스 칸티오테스주교
야니스 파리오스음악가
야니스 라구시스정치인
아르기로 바르바리고우유명 셰프
크리스토스 페라키스기업가, Zoottle 설립자, 전 애플(Apple Inc.) 그리스 및 키프로스 사업부 매니저
스탠 (스트라토스 안티파리오티스)음악가
크리스토스 아리아누초스축구 선수


7. 1. 고대

파로스 섬산 대리석으로 만들어진 『밀로의 비너스』 (기원전 100년경) 파리, 루브르 박물관


thumb

인물설명
아고라크리투스 (기원전 5세기경)조각가
아르킬로코스 (기원전 680년~645년경)시인
스코파스 (기원전 395년~350년경)조각가, 건축가
티라시메데스 (기원전 4세기경)조각가
티마리다스 (기원전 400년~350년경)수학자
사티로스 (기원전 4세기)건축가이자 조각가
레스보스의 테오크티스테 (9세기)은둔 성녀



그리스 전설에 따르면 파로스 섬에는 파라시아의 파로스가 입식하였고, 이후 아르카디아의 식민단을 데려왔다고 한다.[26] 이 섬의 고대 이름은 '''플라티아''' ('''Plateia''' or '''Pactia'''), '''데메트리아스''' ('''Demetrias''' ), '''스트론길리''' ('''Strongyli''', 섬의 모양에서 "둥근"이라는 의미), '''휘리아''' ('''Hyria''' ), '''Hyleessa''', '''미노아''' ('''Minoa''' ), '''Cabarnis''' 였다.[27]

이후, 이 섬에 아테네에서 온 이오니아인들이 이민단으로 왔으며[28], 이들은 고도의 번영을 이루어 타소스 섬[29]헬레스폰토스 해협의 Parium (:en:Parium)에 식민단을 보냈다. 아르킬로코스는 제15기 또는 제18기 올림피아드에 행해진 타소스 섬의 식민에 참가했다고 전해진다. 늦어도 기원전 385년에는 파로스인들이 파로스 (현 크로아티아의 흐바르 섬)의 일리리아인의 섬에 식민지를 건설했다.[30]

페르시아 전쟁 직전, 파로스 섬은 낙소스 섬의 속국이었던 것으로 보인다.[31] 기원전 490년에 시작된 제1차 페르시아 전쟁에서 파로스 섬은 페르시아 편에 서서 마라톤에 삼단노선을 보냈다. 그 보복으로 아테네 함대는 파로스 섬을 포위했고, 함대의 지휘관 밀티아데스는 100탈렌트의 벌금을 요구했다. 하지만, 마을의 저항으로 아테네는 26일간 포위했지만 섬을 떠날 수밖에 없었다. 밀티아데스는 섬의 데메테르·테스모포로스의 신전에서 받은 상처가 원인이 되어 사망했다.[32]

파로스 섬은 기원전 480년 - 기원전 479년의 제2차 페르시아 전쟁 때도 크세르크세스 1세의 편을 들었다. 아르테미시온 해전 후의 키토노스 (:en:Kythnos)에서 파로스인 분견대는 소극적이었고, 전황을 지켜보기만 했다.[33] 페르시아 편에 선 것으로 인해 섬 주민들은 아테네 군 지휘관 테미스토클레스에게 무거운 벌금을 요구받았다.[34]

델로스 동맹 (기원전 477년 - 기원전 404년) 하에서 파로스 섬은 전 섬 주민에게 고액의 공납을 하게 되었다. 테베의 올림피오도로스 (:en:Olympiodorus of Thebes)는 그 액수가 연 30 탈렌트라고 추정한다.[35] 파로스 섬의 헌법은 평의회 주도의 아테네 민주제 (:en:Athenian democracy)를 모델로 한 것으로 보인다.[36] 기원전 410년, 아테네의 장군 테라메네스 (:en:Theramenes)는 과두제가 파로스 섬에 펴져 있는 것을 보고, 민주제를 부활시켰다.[37] 파로스 섬은 제2차 아테네 동맹 (제2차 아테네 제국 :en:Second Athenian Empire, 기원전 378년 - 기원전 355년)에도 가맹했지만, 기원전 357년에 키오스 섬과 함께 아테네와의 관계를 끊었다.

Adule의 비문에 따르면, 파로스 섬을 포함한 키클라데스 제도는 헬레니즘 왕조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의 지배를 받았다 (기원전 305년 - 기원전 30년). 그 후 로마 제국의 일부가 되었고, 이어서 동로마 제국의 영토가 되었다.

7. 2. 근현대

누르바누 술탄 (세실리아 베니에르바포, 1525년~1583년)은 오스만 제국 무라트 3세의 어머니였다. 바실리스 아르기로풀로스 (1894년~1953년)는 배우였고, 니콜라스 마우로게네스 (1738년~1790년)는 왈라키아의 왕자였다. 아타나시우스 파리오스 (1721/22년~1813년)는 신학자였으며, 만토 마우로게누스 (1796년~1848년)는 그리스 독립전쟁의 영웅으로 재정 지원과 참전으로 독립에 기여했다. 그녀의 집은 역사적 기념물이다. 야니스 라구시스 (1965년~)는 그리스 정치인이고, 야니스 파리오스 (1946년~)는 음악가이다.

만토 마우로게누스


1537년, 파로스는 오스만 투르크에 정복되어 그리스 독립 전쟁 (1821~1829)까지 지배받았다. 러시아-튀르크 전쟁 (1768–1774) 중 1770년부터 1775년까지 나우사 만은 알렉세이 오를로프 백작의 러시아 군함 함대 기지였다. 콘스탄티노플 조약 (1832년)에 따라 파로스는 그리스 왕국의 일부가 되어, 6세기 이상 만에 그리스인 통치를 받게 되었다.

참조

[1] 서적 Paros
[2] 웹사이트 Population & housing census 2001 (incl. area and average elevation) http://dlib.statisti[...] Hellenic Statistical Authority
[3] 간행물 Cite DARE
[4] 웹사이트 Parian http://www.thefreedi[...] 2009-05-06
[5] 문서 De rebus publicis
[6] 문서 Stephanos Byz.
[7] 문서 Schol. Dionysius Periegetes 525; Herodian I.171
[8] 문서 Thucydides Peloponnesian War IV.104; Strabo Geography 487
[9] 논문 Warriors of Paros 2005
[10] 문서 Diodorus Siculus XV.13
[11] 문서 Histories V.31
[12] 문서 op.cit. VI.133–136
[13] 문서 op.cit. VIII.67
[14] 문서 op.cit. VIII.112
[15] 문서 Olympiodorus 88.4
[16] 문서 Corpus Inscriptionum Graecarum 2376–2383; Ross, Inscr. med. II.147, 148
[17] 문서 Diodorus Siculus XIII.47
[18] 웹사이트 Luftwaffe Airfields 1935-45 Greece, Crete and the Dodecanese https://www.ww2.dk/A[...] 2015-03
[19] 웹사이트 Lively Arts - Human Interest http://www.lively-ar[...] 2024-08-26
[20] 웹사이트 "Word is Vendetta" – The abduction of general Kreipe and the attack on Paros, April-May 1944. https://thomasharder[...] 2024-08-26
[21] 웹사이트 Ferry Disaster off Paros http://www.greekisla[...] Greek Island Hopping 2011-04-01
[22] 문서 Inscriptiones Graecae XII.100 seqq.
[23] 문서 Pliny the Elder Historia Naturalis XXXVI. 5, 14; Plato Eryxias, 400 D; Athenodorus V.205 f; Diodorus Siculus 2.52
[24] 문서 “Next morning we went in a tram drawn by horses up to the quarry of marble... We were received by the engineer who took us down the quarry. We all had miners’ lamps, not very light to hold, and scrambled and slipped and crawled through the various passages up and down… At the entrance is a bas-relief of figures dedicated to the Nymphs. It is carefully covered with wood. The middle figures have been removed by someone...” Extract from The Travel Chronicles of Mrs J. Theodore Bent, Vol. 1 (2006, Oxford, p.22). See also, Theodore Bent, The Cyclades, or Life Among the Insular Greeks (1885, London, pp.372 ff.).
[25] 웹사이트 thefreedictionary.com http://www.thefreedi[...]
[26] 문서 『De rebus publicis』8
[27] 문서 Stephanos Byz.
[28] 문서 Schol. Dionys. Perieg. 525; Herodian I.171
[29] 문서 『戦史 (トゥキディデス)|戦史』Peloponnesian War IV.104/『地理誌』487
[30] 문서 、XV.13
[31] 문서 『歴史 (ヘロドトス)|歴史』V.31
[32] 문서 op.cit. VI.133-136
[33] 문서 op.cit. VIII.67
[34] 문서 op.cit. VIII.112
[35] 문서 テーベのオリュンピオドロス、88.4
[36] 서적 Corpus Inscriptionum Graecarum 2376-2383; Ross, Inscr. med. II.147, 148
[37] 서적 Diodorus Siculus XIII.47
[38] 서적 大プリニウス 『博物誌』XXXVI. 5, 14/プラトン『Eryxias』400 D/ Athenodorus V.205 f/Diodorus Siculus 2.52
[39] 서적 Inscriptiones Graecae XII.100 seqq.
[40] 간행물 Paros
[41] 웹인용 Population & housing census 2001 (incl. area and average elevation) http://dlib.statisti[...] National Statistical Service of Greece
[42] 간행물 29024
[43] 웹인용 Parian – definition of Parian by the Free Online Dictionary, Thesaurus and Encyclopedia http://www.thefreedi[...] Thefreedictionary.com 2009-05-06
[44] 간행물 Paros
[45] 서적 Heraclides ''De rebus publicis'' 8
[46] 간행물 Paros
[47] 문서 Stephanos Byz.
[48] 서적 Schol. Dionysius Periegetes 525; Herodian I.171
[49] 서적 Thucydides ''Peloponnesian War'' IV.104; Strabo ''Geography'' 487
[50] 논문 Warriors of Paros
[51] 서적 Diodorus Siculus XV.13
[52] 서적 Herodotus ''Histories'' V.31
[53] 서적 Herodotus ''op.cit.'' VI.133–136
[54] 서적 Herodotus ''op.cit.'' VIII.67
[55] 서적 Herodotus ''op.cit.'' VIII.112
[56] 서적 Olympiodorus 88.4
[57] 서적 Corpus Inscriptionum Graecarum 2376–2383; Ross, Inscr. med. II.147, 148
[58] 서적 Diodorus Siculus XIII.47
[59] 웹인용 Ferry Disaster off Paros https://web.archive.[...] Greek Island Hopping 2011-04-01
[60] 간행물 Paros
[61] 서적 Pliny the Elder ''Historia Naturalis'' XXXVI. 5, 14; Plato ''Eryxias'', 400 D; Athenodorus V.205 f; Diodorus Siculus 2.5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