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기흉상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흑기흉상어는 흉상어과에 속하는 상어의 일종으로, 인도-태평양 지역의 열대 및 아열대 연안 해역에 널리 분포한다. 최대 2m까지 성장하며, 지느러미 끝이 검은색을 띠는 것이 특징이다. 얕은 해안가에서 주로 발견되며, 단독 또는 소규모 그룹으로 생활한다. 흑기흉상어는 인간에게 소심한 편이나, 연안 서식지 선호로 인해 잠재적인 위험이 될 수 있다. 상업적 가치는 크지 않지만, 고기, 간유, 지느러미 등이 이용되며, 수족관 전시 및 생태 관광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은 흑기흉상어를 준위협종으로 평가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24년 기재된 물고기 - 켄트로게니스 바이기엔시스
켄트로게니스 바이기엔시스는 인도-서태평양에 서식하며 쏨뱅이과 어류와 비슷한 외형으로 포식자를 피하고 작은 물고기와 갑각류를 먹는 육식성 어류로, 관상어로도 사육된다. - 1824년 기재된 물고기 - 검목상어
검목상어는 검은상어속에 속하며 최대 56cm까지 성장하고, 열대 및 온대 해역에 분포하며, 다른 해양 동물에게 둥근 상처를 내는 습성을 가지고, 야행성으로 밤에는 얕은 수심에서, 낮에는 깊은 바다에서 생활하며, 인간에게 직접적인 위협은 적지만 드물게 공격하는 사례가 보고되기도 한다. - 이스라엘의 물고기 - 고래상어
고래상어는 세계에서 가장 큰 어류로 플랑크톤 등을 먹으며 열대 및 온대 해역에 널리 분포하지만, 혼획, 선박 충돌, 서식지 파괴, 해양 오염 등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여 멸종위기종으로 분류되어 보호받고 있다. - 이스라엘의 물고기 - 황소상어
황소상어는 전 세계 열대, 아열대 해역, 기수역, 담수에서 서식하며, 4m까지 자라는 크고 뚱뚱한 체형에 짧고 둥근 주둥이를 가진 상어로, 뛰어난 삼투압 조절 능력으로 담수 생존이 가능하고 공격적인 성향을 보이며, 어획과 서식지 파괴로 IUCN 적색 목록에 취약종으로 등재되었다. - 흉상어과 - 황소상어
황소상어는 전 세계 열대, 아열대 해역, 기수역, 담수에서 서식하며, 4m까지 자라는 크고 뚱뚱한 체형에 짧고 둥근 주둥이를 가진 상어로, 뛰어난 삼투압 조절 능력으로 담수 생존이 가능하고 공격적인 성향을 보이며, 어획과 서식지 파괴로 IUCN 적색 목록에 취약종으로 등재되었다. - 흉상어과 - 레몬상어
레몬상어는 아열대 및 열대 해역에 서식하며 노란색을 띤 회색의 체색과 짧고 넓은 주둥이를 가진 사회적인 야행성 육식 동물로, 무리를 지어 생활하며 난태생으로 번식하지만, 어업으로 인해 개체 수가 감소하여 보호가 필요한 종이다.
흑기흉상어 - [생물]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연골어강 |
목 | 메지눈상어목 |
과 | 메지눈상어과 |
속 | 메지눈상어속 |
종 | 흑기흉상어 (Carcharhinus melanopterus) |
일반 정보 | |
학명 | Carcharhinus melanopterus (Quoy & Gaimard, 1824) |
영어 이름 | Blacktip reef shark |
최대 크기 | 1.6m |
![]() | |
![]() | |
보존 상태 | |
IUCN | 취약 (VU) |
CITES | 부록 II |
이명 |
2. 분류
프랑스의 박물학자 장 르네 콩스탕트 콰이와 조제프 폴 가이마르는 1817~1820년 코르벳 ''위라니'' 호의 탐험 항해 동안 흑기흉상어를 처음으로 기술했다.[4] 이들은 뉴기니 서쪽의 와이게오 섬에서 잡힌 59cm 길이의 어린 수컷 모식 표본을 바탕으로, 지느러미의 뚜렷한 검은색 표식을 참고하여 그리스어 ''melas''(검은색)와 ''pteron''(지느러미 또는 날개)에서 유래한 *''Carcharias melanopterus''*라는 학명을 부여했다.[3][4]
다른 대부분의 속 구성원과 마찬가지로, 흑기흉상어의 계통발생 위치는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 1982년 잭 개릭은 형태를 기반으로 흑기흉상어의 가장 가까운 친척이 신경상어(''C. cautus'')라고 제안했다.[6] 1988년 레너드 콤파그노의 형태학적 분석은 이 종과 신경상어뿐만 아니라 다른 4종 사이의 친연성을 제시했지만, 그들의 관계를 더 이상 밝혀내지 못했다. 1998년 개빈 네일러의 알로자임 분석에 따르면, 흑기흉상어가 다른 10종의 ''Carcharhinus'' 종과 분지군(해결되지 않는 그룹)을 형성한다는 모호한 결과를 다시 얻었다.[7]
흑기흉상어는 인도-태평양의 열대 및 아열대 연안 해역에서 발견된다.[12] 인도양에서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홍해까지, 마다가스카르, 모리셔스, 세이셸을 포함하며, 인도 아대륙 해안을 따라 스리랑카, 안다만 제도, 몰디브를 포함한 동남아시아까지 분포한다. 태평양에서는 남부 중국과 필리핀에서 인도네시아, 북부 호주 및 뉴칼레도니아까지 발견되며, 마셜 제도, 길버트 제도, 소시에테 제도, 하와이 제도, 투아모투 제도를 포함한 수많은 대양 섬에도 서식한다.[11] 일본 해역의 이 종 개체는 대만에서 왔을 수 있다는 보고가 있지만,[8] 일본 남부 오키나와현의 이시가키 섬 연안 해역에서 여러 목격 및 포획 사례가 보고되었다.[9][10] 레셉스 이주 종인 이 상어는 수에즈 운하를 통해 동부 지중해에 정착했다.[11]
흑기흉상어는 튼튼하고 유선형인 "전형적인 상어" 형태를 가지고 있다. 주둥이는 짧고 넓으며 둥글고, 눈은 적당히 크고 타원형이다. 각 콧구멍 앞에는 젖꼭지 모양으로 확장된 피부 조각이 있다. 위턱에는 11~13개(보통 12개), 아래턱에는 10~12개(보통 11개)의 치열이 있다. 위턱 이빨은 좁고 삼각형이며 아래로 갈수록 톱니 모양이 더 굵어진다. 아래턱 이빨은 위턱 이빨과 비슷하지만 톱니가 더 미세하다.[4][12] 성체 수컷의 이빨은 암컷보다 더 급격하게 휘어져 있다.[13]
검은지느러미상어(''C. amblyrhinchos'') 및 흰점상어(''Triaenodon obesus'')와 함께 흑기흉상어는 인도-태평양 지역의 산호초에 서식하는 세 가지 가장 흔한 상어 중 하나이다. 흑기흉상어는 얕은 서식지에서 우세하며, 다른 두 종은 주로 더 깊은 곳에서 발견된다. 빠르고 활동적인 흑기흉상어는 단독으로 또는 소규모 그룹으로 발견될 수 있으며, 대규모 "사회적" 집단도 관찰되었다.[4][14]
대부분의 상황에서 흑기흉상어는 소심한 행동을 보이며 수영하는 사람들에게 쉽게 겁을 먹는다. 그러나 연안 서식지를 선호하여 사람들과 빈번하게 접촉하기 때문에 잠재적으로 위험한 것으로 간주된다.[4] 2009년 초 기준으로 국제 상어 공격 파일에는 흑기흉상어에 의한 11건의 비유발 공격과 총 21건의 공격(사망 없음)이 기록되어 있다.[38] 대부분의 공격은 상어가 물속을 걷는 사람의 다리나 발을 물어뜯는 것으로, 자연적인 먹이로 오인하는 것으로 보이며 심각한 부상으로 이어지지는 않는다.[4] 마셜 제도에서는 원주민들이 흑기흉상어의 공격을 피하기 위해 얕은 물에서 물속을 걸어 다니는 대신 수영을 하는데, 이러한 상어를 쫓는 방법 중 하나는 몸을 물속에 담그는 것이다. 흑기흉상어는 또한 먹이가 있는 곳에서 공격적으로 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작살 낚시 어부의 어획물을 훔치려 할 때 위협이 될 수 있다.[4]
[1]
IUCN
Carcharhinus melanopterus
2023-06-03
이후 흑기흉상어는 흉상어속(*Carcharhinus*)으로 옮겨졌으며, 1965년 국제 동물 명명 규약 위원회는 이 종을 흉상어속의 모식종으로 지정했다.[4] 한때 ''C. spallanzani''로 잘못 표기되기도 했으나, 현재는 점박이꼬리상어(*C. sorrah*)의 동의어로 간주된다.[12]
3. 계통
2012년의 포괄적인 분석에서는 초기 형태 분석과 일치하여 Carcharhinus cautus|카르카르히누스 카우투스la와 근연종이라는 결과가 나왔다.[45] 1982년에는 형태에 근거하여 신경상어와 가장 근연종으로 여겨졌으며,[43] 1988년 레오나르도 콤파뇨에 의한 분석에서는 신경상어를 포함한 4종과의 유사성이 시사되었지만, 상세한 계통은 밝혀지지 않았다. 1998년의 알로자임 분석에서는, 상어속(메지라자메속)의 다른 10종과 다분기된 계통을 구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44]
4. 분포 및 서식지
흑기흉상어는 75m 깊이에서도 보고되었지만,[5] 보통 수심이 몇 미터 안 되는 곳에서 발견되며, 등지느러미를 드러낸 채 해안 가까이에서 헤엄치는 모습을 자주 볼 수 있다.[4] 어린 상어는 얕고 모래가 많은 평원을 선호하는 반면, 나이가 많은 상어는 암초 가장자리 주변에서 가장 흔하게 발견되며 암초 절벽 근처에서도 발견될 수 있다. 이 종은 기수 강 어귀와 호수에서도 보고되었으며, 말레이시아의 담수 환경에서도 보고되었지만, 황소상어(''C. leucas'')만큼 낮은 염분을 견디지는 못한다.[4] 알다브라 인도양에서는 흑기흉상어가 간조 시 암초 평원 사이의 수로에 모여 물이 차오르면 맹그로브로 이동한다.[28] 분포의 북쪽과 남쪽 극단에 있는 상어는 물고기 이동을 한다는 증거가 불확실하다.[4]
5. 형태
가슴지느러미는 크고 좁으며 낫 모양이고 끝이 뾰족하다. 첫 번째 등지느러미는 높고 S자형의 뒤쪽 가장자리를 가지며 가슴지느러미 뒤쪽에서 시작된다. 두 번째 등지느러미는 비교적 크고 짧은 뒤쪽 가장자리를 가지며 뒷지느러미 맞은편에 위치한다. 등지느러미 사이에는 융기가 없다. 몸 위쪽은 옅은 회갈색이고 아래쪽은 흰색이며, 측면에 뚜렷한 흰색 띠가 뒷지느러미 위에서 앞으로 뻗어 있다. 모든 지느러미 끝은 검은색이며 밝은색 테두리로 강조되어 있는데, 이는 첫 번째 등지느러미와 아래쪽 꼬리지느러미에서 특히 두드러진다. 대부분의 흑기흉상어는 1.6m를 넘지 않지만, 드물게 1.8m 또는 2m까지 자랄 수 있다.[4] 국제 게임 피시 협회(International Game Fish Association)에 기록된 최대 무게는 13.6kg이다.[5]-- -- --
6. 생태
대부분 어린 상어와 성체 상어는 임신한 암컷의 출산을 위한 이동을 제외하고는 성별로 분리되지 않는다. 개체는 특정 지역에 대한 강한 충실도를 보이며, 몇 년 동안 그곳에 머물 수 있다.[33]
태평양 중부에 있는 팔미라 환초에서 추적 연구를 통해 흑기흉상어는 약 0.55km2의 서식 범위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모든 상어 종 중에서 가장 작은 규모에 속한다. 서식 범위의 크기와 위치는 하루 중 시간에 따라 변하지 않는다. 이 범위 내에서 면적의 3~17%는 거주 상어가 지나치게 많이 차지하는 선호하는 사냥 구역을 구성한다. 상어는 대부분 산호초 둑을 따라 앞뒤로 헤엄치며, 가끔 모래 평원으로 짧게 나아간다. 밤에 조수가 상승할 때 평균 헤엄 속도가 감소하는데, 이는 더 차가운 물의 유입으로 인해 신진대사가 감소하거나, 동반되는 먹이 물고기의 이동으로 인해 먹이 획득이 더 쉬워지기 때문일 수 있다.[32] 알다브라의 흑기흉상어는 팔미라의 상어보다 더 이동성이 높으며, 7시간 이상 동안 최대 2.5km의 개별 이동이 기록되었다.[28]
흑기흉상어, 특히 작은 개체는 다금바리, 검은지느러미상어, 상어상어(''Galeocerdo cuvier'') 및 동족을 포함한 더 큰 물고기의 먹이가 된다. 팔미라 환초에서 성체는 중앙의 더 깊은 석호에서 벗어나 상어상어의 순찰을 피한다.[32] 알려진 기생충으로는 촌충인 ''Anthobothrium lesteri'',[15] ''Nybelinia queenslandensis'',[16] ''Otobothrium alexanderi'',[17] 및 ''Platybothrium jondoeorum'',[18] 속 ''Unicapsula''의 점액포자충,[19] 그리고 단생흡충인 ''Dermophthirius melanopteri''가 있다.[20] 상어에서 기록된 몇 안 되는 감염성 질환의 예 중 하나는 흑기흉상어에서 발생한 치명적인 출혈성 패혈증으로, 세균인 ''Aeromonas salmonicida'' subsp. ''salmonicida''가 원인이었다.[21]
7. 인간과의 관계
흑기흉상어는 태국과 인도 연안에서 운영되는 어업의 일반적인 어획 대상이지만, 상업적으로 중요하다고 여겨지거나 표적 어종은 아니다.[11] 고기(신선, 냉동, 건조 및 염장, 훈제 형태로 인간 소비), 간유, 지느러미가 사용된다.[5]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은 흑기흉상어를 준위협(NT)종으로 평가하고 있으며 개체수가 감소하고 있다. 전반적으로 널리 분포하고 흔하지만, 남획으로 인한 상당한 지역 개체수 감소가 많은 지역에서 현재 문서화되었다. 이 종은 낮은 번식률을 보이며, 개체수 감소로부터 회복할 수 있는 능력이 제한적이다.[11][33] 흑기흉상어는 전형적인 "상어 같은" 외모, 사육 상태에서의 번식 능력 및 적당한 크기 때문에 수족관 전시의 인기 있는 대상이며, 생태 관광 다이버들에게도 매력적인 존재이다.[8][13]
참조
[2]
웹사이트
Appendices {{!}} CITES
https://cites.org/en[...]
2022-01-14
[3]
서적
Poissons de l'Océan Indien, les îles Maldives
Réalisations Éditoriales Pédagogiques
[4]
서적
Sharks of the World: An Annotated and Illustrated Catalogue of Shark Species Known to Date
Food and Agricultural Organization
[5]
FishBase
[6]
간행물
Sharks of the genus Carcharhinus
NOAA Technical Report, NMFS CIRC–445
[7]
저널
The phylogenetic relationships among requiem and hammerhead sharks: inferring phylogeny when thousands of equally most parsimonious trees result
https://deepblue.lib[...]
[8]
저널
Confirmation of blacktip shark, Carcharhinus limbatus, in the Ryukyu Islands and notes on possible absence of C. melanopterus in Japanese waters
1999-05-25
[9]
Youtube
Black Tip Reef shark, Spearfishing in Okinawa, Japan #1
https://www.youtube.[...]
2017-09-23
[10]
뉴스
シャークのジン: It's my life! 石垣島
http://ishigakijima.[...]
2017-09-23
[11]
서적
Sharks, Rays and Chimaeras: The Status of the Chondrichthyan Fishes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and Natural Resources
[12]
서적
Coastal Fishes of Oman
University of Hawaii Press
[13]
웹사이트
Biological Profiles: Blacktip Reef Shark
http://www.flmnh.ufl[...]
Florida Museum of Natural History Ichthyology Department
2009-10-03
[14]
저널
Social organization of shark populations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67
[15]
저널
Anthobothrium lesteri n. sp. (Cestoda: Tetraphyllidea) in Carcharhinus melanopterus from Heron Island, Australia, with comments on its site, mode of attachment, reproductive strategy and membership of the genus
2004-11-01
[16]
저널
Nybelinia queenslandensis sp. n. (Cestoda: Trypanorhyncha) parasitic in Carcharhinus melanopterus, from Australia, with observations on the fine structure of the scolex including the rhyncheal system
[17]
서적
The Trypanorhyncha Diesing 1863
PKSPL-IPB Press
[18]
저널
A revision of Platybothrium Linton, 1890 (Tetraphyllidea: Onchobothriidae), with a phylogenetic analysis and comments on host-parasite associations
2003-10-01
[19]
저널
A myxosporidian parasite in the skeletal muscle of a black-tip reef shark, Carcharhinus melanopterus (Quoy & Gaimard, 1824)
[20]
저널
A new microbothriid (monogenean) causing skin lesions on the Pacific blacktip reef shark, Carcharhinus melanopterus (Quoy and Gaimard)
https://www.research[...]
[21]
저널
Haemorrhagic septicaemia by Aeromonas salmonicida subsp. salmonicida in a black-tip reef shark (Carcharhinus melanopterus)
1998-09-01
[22]
저널
Erfahrungen mit Haien
https://onlinelibrar[...]
[23]
저널
Predation on aquatic snakes by sharks from northern Australia
American Society of Ichthyologists and Herpetologists
[24]
저널
Visual target discrimination in blacktip sharks (Carcharhinus melanopterus) and grey sharks (C. menisorrah)
https://scholarspace[...]
[25]
저널
Range of electrosensory detection of prey by Carcharhinus melanopterus and Himantura granulata
[26]
저널
Observations on the Biology of Carcharhinus cautus (Whitley), C. melanopterus (Quoy & Gainard) and C. fitzroyensis (Whitley) from Northern Australia
[27]
저널
On the gestation period of the blackfin reef shark, Carcharhinus melanopterus, in waters off Moorea, French Polynesia
2005-04-01
[28]
저널
Life history and ecology of sharks at Aldabra Atoll, Indian Ocean
[29]
저널
Requins de la cote ouest de Madagascar
[30]
저널
The elasmobranchs of the north-western Red Sea
1964
[31]
저널
Copulation and possible olfaction-mediated pair formation in two species of carcharhinid sharks
American Society of Ichthyologists and Herpetologists
[32]
저널
Scale-dependent effects of habitat on movements and path structure of reef sharks at a predator-dominated atoll
2009-04-01
[33]
저널
Distribution, size frequency, and sex ratios of blacktip reef sharks Carcharhinus melanopterus at Palmyra Atoll: a predator-dominated ecosystem
2009-09-16
[34]
저널
On the Development of Carcharhinus Melanopterus [sic] (Q. & G.)
[35]
저널
Feeding behavior in three species of sharks
[36]
웹사이트
Why Do Sharks Expose Their Dorsal Fins?
http://elasmo-resear[...]
2009-10-03
[37]
논문
Contributions to the biology of the whitetip reef shark (''Triaenodon obesus'')
[38]
웹사이트
ISAF Statistics on Attacking Species of Shark
http://www.flmnh.ufl[...]
2009-05-18
[39]
IUCN
Carcharhinus melanopterus
2023-09-26
[40]
서적
Poissons de l'Océan Indien, les îles Maldives
Réalisations Éditoriales Pédagogiques
[41]
서적
Sharks of the World: An Annotated and Illustrated Catalogue of Shark Species Known to Date
Food and Agricultural Organization
[42]
fishbase
[43]
간행물
Sharks of the genus ''Carcharhinus''
NOAA Technical Report, NMFS CIRC–445
[44]
논문
The phylogenetic relationships among requiem and hammerhead sharks: inferring phylogeny when thousands of equally most parsimonious trees result
[45]
논문
Elasmobranch phylogeny: A mitochondrial estimate based on 595 species
http://prosper.cofc.[...]
CRC Press
[46]
논문
Confirmation of blacktip shark, ''Carcharhinus limbatus'', in the Ryukyu Islands and notes on possible absence of ''C. melanopterus'' in Japanese waters
1999-05-25
[47]
서적
板鰓類研究会報第53号
[48]
서적
高知県と八重山諸島黒島で確認されたサメ・エイ類
板鰓類研究会報第55号
[49]
서적
Sharks, Rays and Chimaeras: The Status of the Chondrichthyan Fishes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and Natural Resources
[50]
서적
Coastal Fishes of Oman
University of Hawaii Press
[51]
웹사이트
Biological Profiles: Blacktip Reef Shark
http://www.flmnh.ufl[...]
2009-10-03
[52]
논문
Social organization of shark populations
Johns Hopkins Press
[53]
논문
''Anthobothrium lesteri'' n. sp. (Cestoda: Tetraphyllidea) in ''Carcharhinus melanopterus'' from Heron Island, Australia, with comments on its site, mode of attachment, reproductive strategy and membership of the genus
2004-11
[54]
논문
''Nybelinia queenslandensis'' sp. n. (Cestoda: Trypanorhyncha) parasitic in ''Carcharhinus melanopterus'', from Australia, with observations on the fine structure of the scolex including the rhyncheal system
[55]
서적
The Trypanorhyncha Diesing 1863
PKSPL-IPB Press
[56]
논문
A revision of ''Platybothrium'' Linton, 1890 (Tetraphyllidea: Onchobothriidae), with a phylogenetic analysis and comments on host-parasite associations
2003-10
[57]
논문
A myxosporidian parasite in the skeletal muscle of a black-tip reef shark, ''Carcharhinus melanopterus'' (Quoy & Gaimard, 1824)
[58]
논문
A new microbothriid (monogenean) causing skin lesions on the Pacific blacktip reef shark, ''Carcharhinus melanopterus'' (Quoy and Gaimard)
[59]
논문
Haemorrhagic septicaemia by ''Aeromonas salmonicida'' subsp. ''salmonicida'' in a black-tip reef shark (''Carcharhinus melanopterus'')
1998-09
[60]
논문
Erfahrungen mit Haien
[61]
논문
Predation on aquatic snakes by sharks from northern Australia
American Society of Ichthyologists and Herpetologists
[62]
논문
Visual target discrimination in blacktip sharks (''Carcharhinus melanopterus'') and grey sharks (''C. menisorrah'')
[63]
논문
Range of electrosensory detection of prey by ''Carcharhinus melanopterus'' and ''Himantura granulata''
[64]
논문
Observations on the Biology of ''Carcharhinus cautus'' (Whitley), ''C. melanopterus'' (Quoy & Gainard) and ''C. fitzroyensis'' (Whitley) from Northern Australia
[65]
논문
On the gestation period of the blackfin reef shark, ''Carcharhinus melanopterus'', in waters off Moorea, French Polynesia
2005-04
[66]
논문
Life history and ecology of sharks at Aldabra Atoll, Indian Ocean
[67]
논문
Requins de la cote ouest de Madagascar
[68]
서적
The elasmobranchs of the north-western Red Sea
1964
[69]
논문
Copulation and possible olfaction-mediated pair formation in two species of carcharhinid sharks
American Society of Ichthyologists and Herpetologists
[70]
논문
Scale-dependent effects of habitat on movements and path structure of reef sharks at a predator-dominated atoll
2009-04
[71]
논문
Distribution, size frequency, and sex ratios of blacktip reef sharks ''Carcharhinus melanopterus'' at Palmyra Atoll: a predator-dominated ecosystem
2009-09-16
[72]
논문
On the Development of ''Carcharhinus Melanopterus'' [sic] (Q. & G.)
[73]
논문
Feeding behavior in three species of sharks
[74]
웹사이트
Why Do Sharks Expose Their Dorsal Fins?
http://elasmo-resear[...]
2009-10-03
[75]
논문
Contributions to the biology of the whitetip reef shark (''Triaenodon obesus'')
[76]
웹사이트
ISAF Statistics on Attacking Species of Shark
http://www.flmnh.ufl[...]
2009-05-18
[77]
논문
Shark bite wounds of the valvular intestine: the cause of an acute mortality syndrome of captive blacktip reef sharks, Carcharhinus melanopterus
[78]
IUCN
''Carcharhinus melanopterus''
2023-06-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