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단상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흑단상어는 전 세계 열대 및 아열대 해역에 서식하는 흉상어과의 상어이다. 최대 2.8m까지 성장하며, 지느러미 끝의 검은색 무늬가 특징이다. 흑단상어는 멸치, 청어, 정어리 등 어류를 주로 섭취하는 육식성 어류로, 난태생으로 번식하며, 얕은 연안을 보육장으로 이용한다. 흑단상어는 상업적 어업 대상이며, 살, 지느러미, 가죽, 간유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은 흑단상어를 남획에 취약한 준위협종으로 평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요하네스 페터 뮐러가 명명한 분류군 - 별불가사리
별불가사리(Patiria pectinifera)는 동북아시아 해역에 분포하며 얕은 조간대에서 서식하고, 조류 등을 섭취하며, 난모세포 연구에 사용되는 모델 생물이다. - 요하네스 페터 뮐러가 명명한 분류군 - 황소상어
황소상어는 전 세계 열대, 아열대 해역, 기수역, 담수에서 서식하며, 4m까지 자라는 크고 뚱뚱한 체형에 짧고 둥근 주둥이를 가진 상어로, 뛰어난 삼투압 조절 능력으로 담수 생존이 가능하고 공격적인 성향을 보이며, 어획과 서식지 파괴로 IUCN 적색 목록에 취약종으로 등재되었다. - 1839년 기재된 물고기 - 황소상어
황소상어는 전 세계 열대, 아열대 해역, 기수역, 담수에서 서식하며, 4m까지 자라는 크고 뚱뚱한 체형에 짧고 둥근 주둥이를 가진 상어로, 뛰어난 삼투압 조절 능력으로 담수 생존이 가능하고 공격적인 성향을 보이며, 어획과 서식지 파괴로 IUCN 적색 목록에 취약종으로 등재되었다. - 1839년 기재된 물고기 - 흑기줄전갱이
흑기줄전갱이는 농어목 전갱이과에 속하며 등지느러미가 검은색이고 최대 25cm까지 성장하며, 서부 태평양과 인도양의 열대 및 아열대 해역에 서식하며 낚시로 잡혀 식용으로 사용된다. - 흉상어과 - 황소상어
황소상어는 전 세계 열대, 아열대 해역, 기수역, 담수에서 서식하며, 4m까지 자라는 크고 뚱뚱한 체형에 짧고 둥근 주둥이를 가진 상어로, 뛰어난 삼투압 조절 능력으로 담수 생존이 가능하고 공격적인 성향을 보이며, 어획과 서식지 파괴로 IUCN 적색 목록에 취약종으로 등재되었다. - 흉상어과 - 레몬상어
레몬상어는 아열대 및 열대 해역에 서식하며 노란색을 띤 회색의 체색과 짧고 넓은 주둥이를 가진 사회적인 야행성 육식 동물로, 무리를 지어 생활하며 난태생으로 번식하지만, 어업으로 인해 개체 수가 감소하여 보호가 필요한 종이다.
흑단상어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Carcharhinus limbatus |
명명자 | J. P. 뮐러 & 헨레, 1839 |
영명 | Blacktip shark |
다른 영명 | blackfin shark blacktip whaler grey shark spotfin ground shark |
![]() | |
멸종 위기 등급 | VU (취약) |
CITES 부록 | II (부록 2) |
형태 | |
최대 크기 | 1.5m |
학명 이명 |
2. 분류 및 계통
흑단상어는 1839년 프랑스 동물학자 아킬 발랑시엔에 의해 처음 기술되었으며, 이후 여러 학자들에 의해 분류학적 위치가 변경되었다. 형태와 행동의 유사성 때문에 흰배상어와 근연 관계에 있다고 생각되었으나, mtDNA와 리보솜 DNA를 사용한 분자 계통 분석에서는 검은코상어와 더 가깝다는 결과가 나왔다.[39] 이후 mtDNA를 이용한 포괄적인 계통 분석에서는 Carcharhinus tilstoni영어나 Carcharhinus amblyrhynchoides영어와 근연 관계라는 결과가 나왔다.[40]
미토콘드리아 DNA 분석 결과, 이 종에는 서대서양 계통과 동대서양·인도양·태평양 계통의 두 가지 뚜렷한 계통이 존재한다. 이는 동대서양 계통이 인도 태평양으로 분포를 넓힌 반면, 서대서양 계통은 대서양 확장과 파나마 지협 형성으로 인해 고립된 결과로 여겨진다. 두 계통은 형태, 체색, 생활사가 다르며, 독립된 종으로 분류해야 할 수도 있다.[41] 흑단상어의 화석화된 이빨은 델라웨어주와 플로리다주의 전기 신생대 (23-16Ma) 지층에서 발견된다.[42][43]
2. 1. 분류
흑단상어는 1839년 요하네스 페터 뮐러와 프리드리히 구스타프 야코프 헨레의 저서 《연골어강의 체계적 기술》(Systematische Beschreibung der Plagiostomen)에서 프랑스 동물학자 아킬 발랑시엔에 의해 ''Carcharias (Prionodon) limbatus''로 처음 기술되었다.[3] 모식 표본은 마르티니크 해역에서 잡힌 두 개체였으나, 이후 모두 유실되었다. 후대의 학자들은 이 종을 ''상어속''(Carcharhinus)으로 이동시켰다.[3][4] 종명 ''limbatus''는 라틴어로 "가장자리가 있는"을 의미하며, 이는 흑단상어 지느러미의 검은색 가장자리를 가리킨다.[5] 흑단상어의 다른 일반적인 이름으로는 검은지느러미상어, 검은꼬리상어, 일반 또는 작은 흑단상어, 회색상어, 점박이바닥상어 등이 있다.[11]2. 2. 계통
흑단상어의 가장 가까운 친척은 원래 형태와 행동의 유사성 때문에 귀상어(`C. amblyrhynchoides`)와 검은꼬리상어 (`C. brevipinna`)로 여겨졌다. 그러나 이러한 해석은 미토콘드리아 DNA와 리보솜 DNA 연구 결과와 일치하지 않으며, 대신 검은코상어 (`C. acronotus`)와의 유연성을 시사한다.[6] 이후에 실시된 mtDNA에 의한 포괄적인 계통 분석에서는 ''C. tilstoni''영어나 `C. amblyrhynchoides` 와 근연 관계라는 결과가 얻어졌다.[40] 흑단상어와 다른 `Carcharhinus` 종 간의 관계를 완전히 밝히기 위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6]미토콘드리아 DNA 분석은 또한 이 종 내에서 두 개의 뚜렷한 계통, 즉 서부 대서양에 서식하는 계통과 동부 대서양, 인도양 및 태평양에 서식하는 계통을 밝혀냈다. 이는 인도-태평양 흑단상어가 동부 대서양의 흑단상어에서 유래되었으며, 서부 대서양 상어는 한쪽으로는 넓어지는 대서양과 다른 한쪽으로는 파나마 지협의 형성으로 인해 격리되었음을 시사한다. 이 두 지역의 흑단상어는 형태, 색상, 생활사 특성이 다르며, 동부 대서양 계통은 종 지위를 얻을 수 있다.[7][41] 이 종에 속하는 화석 치아는 초기 마이오세 (23–16 Ma) 시대의 델라웨어와 플로리다 퇴적층에서 발견되었다.[8][9][42][43]
3. 형태
흑단상어는 길고 뾰족한 주둥이와 비교적 작은 눈을 가진 튼튼하고 유선형의 몸체를 가졌으며, 영어권에서는 '''블랙팁 샤크(Blacktip Shark)'''라고도 불린다. 5쌍의 아가미 갈라진 틈은 다른 흉상어 종류보다 길다. 턱에는 양쪽에 15개의 이빨 줄이 있으며, 위턱에는 2개의 대칭 이빨(턱 정중선)이 있고 아래턱에는 1개의 대칭 이빨이 있다. 이빨은 넓은 기저부에 높고 좁은 cusp와 톱니 모양의 가장자리를 가지고 있다.[4]
첫 번째 등지느러미는 키가 크고 낫 모양이며 짧은 뒤쪽 끝을 가지고 있으며, 등지느러미 사이에는 능선이 없다. 큰 가슴지느러미는 낫 모양이고 뾰족하다. 옆줄에는 눈에 띄는 흰색 줄무늬가 있으며, 이를 기점으로 몸의 등쪽은 회색과 갈색이 섞여 있고 배쪽은 흰색이다. 가슴지느러미, 제2등지느러미, 꼬리지느러미의 아랫부분은 검은색 끝을 가지고 있으며, 제1등지느러미와 꼬리지느러미 윗부분은 검은색 가장자리가 있다.[3] 일부 큰 개체는 지느러미에 표시가 없거나 거의 없을 수도 있다.[5] 보통 1.5m 정도이지만 최대 2.8m, 123kg에 달한다.[11]
3. 1. 신체 특징
흑단상어는 길고 뾰족한 주둥이와 비교적 작은 눈을 가진 튼튼하고 유선형의 몸체를 가지고 있다. 5쌍의 아가미 갈라진 틈은 다른 흉상어 종류보다 길다.[3] 턱에는 양쪽에 15개의 이빨 줄이 있으며, 위턱에는 2개의 대칭 이빨(턱 정중선)이 있고 아래턱에는 1개의 대칭 이빨이 있다. 이빨은 넓은 기저부에 높고 좁은 cusp와 톱니 모양의 가장자리를 가지고 있다.[4]첫 번째 등지느러미는 키가 크고 낫 모양이며 짧은 뒤쪽 끝을 가지고 있고, 첫 번째 등지느러미와 두 번째 등지느러미 사이에는 능선이 없다. 큰 가슴지느러미는 낫 모양이고 뾰족하다.[3]
몸의 색깔은 위쪽은 회색에서 갈색이고 아래쪽은 흰색이며, 옆면을 따라 눈에 띄는 흰색 줄무늬가 있다. 가슴지느러미, 두 번째 등지느러미, 꼬리지느러미의 아래쪽 로브는 일반적으로 검은색 끝을 가지고 있다. 골반지느러미와 드물게 배지느러미도 검은색 끝을 가질 수 있다. 첫 번째 등지느러미와 꼬리지느러미의 위쪽 로브는 전형적으로 검은색 가장자리를 가지고 있다.[3] 일부 더 큰 개체는 표시가 없거나 거의 표시가 없는 지느러미를 가지고 있다.[5] 흑단상어는 코코리스의 조류 번성(백화) 동안 거의 모든 색상을 일시적으로 잃을 수 있다.[10] 이 종은 최대 2.8m에 도달하지만 보통 1.5m이며, 최대 무게는 123kg이다.[11]
3. 2. 지느러미
흑단상어의 등지느러미는 2개이며 제1등지느러미는 키가 크고 낫 모양이며 짧은 뒷부분을 가진다. 제2등지느러미는 꼬리지느러미와 가까이 붙어 있고 작으며, 제1등지느러미와 제2등지느러미 사이에는 능선이 없다. 큰 가슴지느러미는 낫 모양으로 뾰족하다. 가슴지느러미, 제2등지느러미, 꼬리지느러미의 아랫부분은 검은색 끝을 가지고 있으며 제1등지느러미와 꼬리지느러미 윗부분은 검은색 가장자리가 있다.[3] 일부 큰 개체는 지느러미에 표시가 없거나 거의 없을 수도 있다.[5]3. 3. 이빨
흑단상어의 턱에는 양쪽에 15개의 이빨 줄이 있으며, 위턱에는 2개의 대칭 이빨(턱 정중선)이 있고 아래턱에는 1개의 대칭 이빨이 있다.[4] 이빨은 넓은 기저부를 가지며, 높고 좁은 첨두(cusp)와 톱니 모양의 가장자리를 가지고 있다.[4]3. 4. 체색
흑단상어의 몸은 튼튼하고 유선형이며, 길고 뾰족한 주둥이와 비교적 작은 눈을 가지고 있다. 옆면에는 눈에 띄는 흰색 줄무늬가 있으며, 이를 기점으로 몸의 등쪽은 회색에서 갈색을 띠고 배쪽은 흰색이다.[3] 가슴지느러미, 제2등지느러미, 꼬리지느러미의 아래쪽 로브는 보통 검은색 끝을 가진다. 골반지느러미와 드물게 뒷지느러미도 검은색 끝을 가질 수 있다. 제1등지느러미와 꼬리지느러미의 위쪽 로브는 일반적으로 검은색 가장자리를 가진다.[3] 하지만 일부 큰 개체는 지느러미에 이러한 무늬가 없거나 거의 없을 수 있다.[5][38]흑단상어는 코코리스의 조류 번성(물꽃) 현상으로 거의 모든 색상을 일시적으로 잃는 "백화"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10][44]
4. 분포 및 서식지
흑단상어는 전 세계 열대 및 아열대 해역에 널리 분포하며, 주로 수심 30m 미만의 얕은 연안에서 서식하지만 최대 64m까지 잠수하기도 한다.[11] 진흙이 많은 만, 섬 석호, 산호초 근처, 강어귀, 맹그로브 늪 등 다양한 환경에서 발견된다.[3]
4. 1. 분포
흑단상어는 태평양, 인도양, 대서양의 열대 및 아열대 해역에 널리 분포한다. 서부 대서양에서는 매사추세츠주에서 브라질까지, 멕시코만과 카리브해를 포함하며, 지중해, 마데이라 제도, 카나리아 제도에서 콩고 민주 공화국까지 발견된다. 인도양에서는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마다가스카르에서 아라비아 반도와 인도 아대륙, 동남아시아에 이르기까지 널리 분포한다. 서태평양에서는 일본의 류큐 열도[12]에서 오스트레일리아 북부, 중국 남부, 필리핀, 인도네시아를 포함하여 발견된다. 동태평양에서는 남부 캘리포니아에서 페루까지 서식한다. 또한 뉴칼레도니아, 타히티, 마르키즈 제도, 하와이, 레비야히헤도 제도, 갈라파고스 제도를 포함한 여러 태평양 섬에서도 발견된다.[3]대부분의 흑단상어는 대륙붕과 섬 주변의 수심 30m 미만의 얕은 물에서 발견되지만, 최대 64m까지 잠수할 수 있다.[11] 흑단상어는 진흙이 많은 만, 섬 석호, 산호초 근처의 벼랑과 같은 환경을 선호하며, 낮은 염분에도 견딜 수 있어 강어귀와 맹그로브 늪으로 들어가기도 한다. 해안에서 어느 정도 떨어진 곳에서도 발견될 수 있지만, 흑단상어는 외해에는 서식하지 않는다.[3] 미국 동부 해안 개체군의 경우, 여름에는 노스캐롤라이나주 북쪽으로, 겨울에는 플로리다주 남쪽으로 이동하는 계절적 이동이 기록되어 있다.[29]
4. 2. 서식지
흑단상어는 주로 대륙붕과 섬 주변의 수심 30m 미만의 얕은 물에서 발견되지만, 최대 64m까지 잠수할 수 있다.[11][45] 진흙이 많은 만, 섬 석호, 산호초 근처의 벼랑을 선호하며, 낮은 염분에도 견딜 수 있어 강어귀와 맹그로브 늪으로 들어간다.[3] 해안에서 어느 정도 떨어진 곳에서도 발견될 수 있지만, 외해에는 서식하지 않는다.[3][36] 미국 동부 해안 개체군은 계절에 따라 이동을 하는데, 여름에는 노스캐롤라이나주 북쪽으로, 겨울에는 플로리다주 남쪽으로 이동한다.[29][61]5. 생태
흑단상어는 빠르고 활발한 포식자로, 보통 무리를 지어 생활하며,[5] 성별과 연령에 따라 분리되는 경향이 있다.[3] 성체 수컷과 임신하지 않은 암컷, 임신한 암컷, 어린 개체는 각각 다른 무리를 이룬다.[3] 플로리다주 테라 세이아 만과 같은 흑단상어 보육장에서는 어린 흑단상어들이 낮에는 무리를 짓고 밤에는 흩어지는 모습이 관찰된다. 특히 초여름에 무리를 짓는 경향이 강한데, 이는 더 큰 상어와 같은 포식자로부터 보호받기 위한 행동으로 보인다.[13] 또한, 어린 흑단상어는 먹이가 풍부한 지역을 피하는데, 이 역시 포식자를 경계하는 행동으로 해석된다.[14] 성체의 경우 알려진 천적은 없다.[4]
흑단상어는 스피너 상어처럼 물 밖으로 뛰어오르는 행동을 보이기도 하는데, 이는 먹이를 쫓다가 발생하거나,[38] 몸에 붙은 빨판상어를 떼어내기 위한 행동으로 추정된다.[51] 점프 시 속도는 평균 6.3m로 측정되었다.[52]
흑단상어는 소심한 성격을 가지고 있어 갈라파고스 상어나 흑점상어와의 먹이 경쟁에서 밀리는 경향이 있다.[36] 위협을 느끼면 가슴지느러미를 내리고 머리와 꼬리를 들어 올린 후 좌우로 흔드는 등의 위협 행동을 보이는데, 이는 빨판상어를 쫓아내려는 행동과 유사하며, 약 25초 동안 지속된다.[53]
먹이는 90% 이상이 어류이며,[54] 멸치, 청어, 가자미, 고등어, 전갱이 등 다양한 어종을 섭취한다. 소형 상어나 가오리, 갑각류, 두족류를 먹기도 한다.[36] 멕시코만에서는 ''Brevoortia patronus''와 대서양농어가,[54] 남아프리카에서는 전갱이와 청어가 주된 먹이다.[55] 사냥은 주로 새벽과 해질녘에 이루어지며,[54] 대량의 먹이가 있을 때는 광란 섭식을 일으키기도 한다.[36]
다른 흉상어류와 마찬가지로 태생이며, 보통 4~7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번식은 1년에 한 번, 연안의 얕은 곳에서 이루어지며,[36] 플로리다의 파인 아일랜드 사운드, 테라 세이아 만, 얀키타운, 사우스캐롤라이나의 불스 베이, 브라질의 폰탈 두 파라나 등이 알려진 성장 장소이다.[56][57] 향수성이 강해 태어난 곳으로 돌아와 출산하는 습성이 있다.[56][58]
교배는 봄부터 초여름에 이루어지고, 임신 기간은 10~12개월이다.[36] 암컷은 하나의 난소와 두 개의 자궁을 가지고 있으며, 배아는 난황낭에서 영양을 얻다가 태반으로 전환된다.[59] 출생 시 크기는 미국 동해안에서 55cm~60cm, 북아프리카에서는 61cm~65cm이다.[61][59] 초기 사망률은 61~91%에 달하며, 포식이나 기아가 주요 원인이다.[60] 성장률은 해마다 느려지며, 성적 성숙 크기와 연령은 서식지에 따라 다르다. 수명은 최소 12년이다.[36] 2007년에는 단성생식 사례가 보고되기도 했다.[65]
흑단상어의 알려진 기생충으로는 요각류 ''Pandarus sinuatus'', ''P. smithii''와 단생류 ''Dermophthirius penneri'', ''Dionchus'' 속, 그리고 선충 등이 있다.[4][15][16][17]
5. 1. 행동
흑단상어는 매우 빠르고 활발한 포식자로, 보통 다양한 크기의 무리를 지어 생활한다.[5] 성별과 연령에 따라 무리를 짓는데, 성체 수컷과 임신하지 않은 암컷은 함께 무리를 이루고, 임신한 암컷은 따로 무리를 지으며, 어린 개체들은 또 다른 무리를 이룬다.[3]플로리다주 테라 세이아 만의 흑단상어 보육장에서는 어린 흑단상어들이 낮에는 무리를 이루고 밤에는 흩어진다. 이들은 상어가 가장 어릴 때인 초여름에 가장 강하게 모이는데, 이는 더 큰 상어와 같은 포식자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한 행동으로 보인다.[13] 또한, 어린 흑단상어는 먹이가 많은 지역을 피하는데, 이 역시 포식자를 경계하는 행동으로 해석된다.[14] 성체 흑단상어에게는 천적이 알려져 있지 않다.[4]
흑단상어는 스피너 상어처럼 물 밖으로 뛰어올라 착지하기 전에 세 번 또는 네 번 회전하는 행동을 보이기도 한다. 이는 먹이 활동의 결과일 수도 있고,[5] 몸에 붙은 빨판상어를 떼어내기 위한 행동일 수도 있다.[18] 점프 시 속도는 평균 6.3m/s로 추정된다.[19]
흑단상어는 소심한 성격을 가지고 있어 먹이를 놓고 경쟁할 때 같은 크기의 갈라파고스 상어나 백기흉상어에게 밀리는 경향이 있다.[3] 위협을 받으면 특정한 행동 양상을 보이는데, 몸을 좌우로 흔들고 가슴지느러미를 낮추는 등의 행동을 통해 위협을 표현한다. 이러한 행동은 약 25초 동안 지속되며, 빨판상어를 제거하려는 행동과 유사성이 있어, 이 두 행동이 연관되어 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20]
흑단상어의 알려진 기생충으로는 요각류 ''Pandarus sinuatus''와 ''P. smithii'', 그리고 상어의 피부에 부착되는 단생류 ''Dermophthirius penneri''와 ''Dionchus'' 속 등이 있다.[4][15][16] 또한 난소를 침범하는 Philometridae과의 선충 (속 Philometra)에 의해 기생되기도 한다.[17]
5. 2. 먹이
흑단상어는 멸치, 청어, 정어리, 꽁치, 고등어, 숭어와 같은 어류를 주로 먹으며, 오징어나 문어와 같은 두족류, 갑각류도 가끔 먹는다.[5] 멕시코만에서는 멕시코만 멸치(Brevoortia patronus)를 가장 많이 먹고, 그 다음으로 대서양 민어(Micropogonias undulatus)를 먹는다.[22] 남아프리카 연안에서는 전갱이와 청어가 주된 먹이다.[23]흑단상어는 매우 빠르고 활발한 포식자로,[5] 해가 뜨고 질 때 사냥 활동이 가장 활발하다.[22] 이들은 흥분성과 사회성이 높아 대량의 먹이가 나타나면 먹이 경쟁을 벌이기도 한다.[3]
5. 3. 번식
흑단상어는 난태생으로, 다른 상어류와 마찬가지로 새끼를 낳아 번식한다. 암컷은 보통 격년으로 4~7마리(범위 1~10마리)의 새끼를 낳으며, 먹이가 풍부하고 포식자가 적은 얕은 연안을 번식 장소로 이용한다.[3] 알려진 번식 장소로는 플로리다 걸프 해안의 파인 아일랜드 사운드, 테라 세이아 만, 양키타운, 사우스캐롤라이나 해안의 불스 만, 브라질 해안의 폰탈 두 파라나가 있다.[24][25]흑단상어 성어는 이동성이 크고 장거리를 이동하지만, 고향 회귀성이 있어 원래의 번식 지역으로 돌아와 출산한다. 이로 인해 지리적으로 겹치는 일련의 유전적으로 다른 번식 개체군이 형성된다.[24][26]
짝짓기는 봄부터 초여름까지 이루어지며, 새끼는 10~12개월의 임신 기간을 거쳐 다음 해 같은 시기에 태어난다.[3] 암컷은 기능적인 난소 1개와 기능적인 자궁 2개를 가지고 있으며, 각 자궁은 각각 하나의 배아가 있는 구획으로 나뉜다.[27] 배아는 처음에는 난황에 의해 유지되며, 배아가 임신 10주 또는 11주가 되면 난황 공급이 고갈되고 난황이 태반 연결로 발달하여 출생까지 배아를 유지한다.[29]
출생 시 길이는 미국 동부 해안에서 55cm 에서 60cm이고, 북아프리카에서는 61cm 에서 65cm이다.[29][27] 생후 15개월 동안의 사망률은 61~91%이며, 주요 위협은 포식과 기아이다.[28] 새끼는 첫 가을까지 번식 장소에 머물다가 겨울철 서식지로 이동한다.[29]
이 종의 성장 속도는 나이가 들면서 느려진다. 처음 6개월 동안 25cm 에서 30cm 성장하고, 그 후 2년까지 1년에 20cm 성장하며, 성체가 될 때까지 1년에 10cm 성장하고, 성어가 되면 1년에 5cm 성장한다.[31][35] 성숙 연령은 수컷의 경우 4~5세, 암컷의 경우 7~8세이다.[31][32] 수명은 최소 12년이다.[3]
2007년에는 버지니아 수족관에서 수컷과 짝짓기를 한 적이 없는 9살 된 암컷 흑단상어가 단일의 거의 만삭인 암컷 새끼를 임신한 것으로 밝혀졌다. 유전자 분석 결과, 이 새끼는 처녀생식의 한 형태인 자극적 처녀생식의 산물임이 확인되었다. 자극적 처녀생식은 난자가 극체와 융합하여 수정 없이 접합자를 형성하는 무성생식이다.[33]
6. 인간과의 관계
흑단상어는 인간에게 호기심을 보이지만, 대부분 안전거리를 유지하며 소심한 성격으로 인해 크게 위험하지 않다. 그러나 먹이가 있을 때는 공격적으로 변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국제 상어 공격 파일에 따르면 2008년 기준으로 흑단상어에 의한 비도발적 공격은 28건(1건 사망), 도발적 공격은 13건이 기록되었으며, 플로리다에서 발생하는 상어 공격의 16%를 차지한다.[34][4]
흑단상어는 연승 어업, 고정식 그물, 저층 트롤, 낚시 등 다양한 방법으로 전 세계에서 상업적으로 어획된다.[3] 살은 품질이 좋아 신선, 냉동, 건조, 염장 상태로 판매되며, 지느러미는 샥스핀, 가죽은 가죽, 간유는 비타민, 사체는 어분으로 이용된다.[3] 북서 대서양 상어 어업에서는 모래상어 다음으로 중요하며, 인도, 멕시코, 지중해, 남중국해, 호주 북부 연안에서도 어획된다.[35]
플로리다, 카리브해, 남아프리카에서는 흑단상어가 국제 게임 피시 협회에 의해 게임 피시로 지정되어 낚시꾼들에게 인기가 많다.[4] 1995년 이후 미국에서는 레크리에이션 낚시로 잡히는 흑단상어의 수가 상업 어획량을 넘어서기도 했다.[35]
국제 자연 보전 연맹은 흑단상어를 낮은 번식률로 인해 남획에 취약한 준위협종으로 평가했다.[1] 현재 미국과 호주에서만 흑단상어 어업을 관리하고 있으며, 이들 국가에서는 여러 상어 종을 함께 관리하는 포괄적인 계획에 따라 규제가 이루어지고 있다. 흑단상어만을 위한 특별 보존 계획은 아직 시행되지 않고 있다.[35]
6. 1. 위협
흑단상어는 다이버들에게 호기심을 보이지만, 안전거리를 유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부분의 경우, 이 소심한 상어는 인간에게 큰 위협이 되지 않는다. 그러나 먹이가 있는 환경에서는 공격적으로 변할 수 있으며, 크기와 속도를 고려할 때 주의가 필요하다.[3]국제 상어 공격 파일의 기록에 따르면, 2008년 기준으로 흑단상어에 의한 비도발적 공격은 28건(1건 사망), 도발적 공격은 13건이었다.[34] 흑단상어는 플로리다에서 발생하는 상어 공격의 약 16%를 차지하며, 이 종에 의한 공격은 대부분 경미한 부상으로 이어진다.[4]
6. 2. 어업
흑단상어는 연안에서 흔히 발견되는 대형 상어로, 전 세계적으로 상업적 어업의 대상이 된다. 연승 어업, 고정식 그물, 저층 트롤 및 낚싯바늘을 사용하여 어획한다.[3] 살은 품질이 우수하여 신선, 냉동, 건조, 염장 등의 형태로 판매된다.[3] 지느러미는 샥스핀의 재료로, 가죽은 가죽제품에, 간유는 비타민의 원료로, 사체는 어분으로 사용된다.[3]북서 대서양 상어 어업에서는 모래상어(''C. plumbeus'') 다음으로 중요한 종이며,[3] 인도와 멕시코 어업에서도 매우 중요하다.[35] 지중해, 남중국해, 호주 북부 연안의 어업에서도 흑단상어가 어획된다.[35] 미국에서는 모래상어와 다른 흉상어 종이 "흑단상어"라는 이름으로 판매되기도 한다.[35]
6. 3. 스포츠 낚시
흑단상어는 플로리다, 카리브해, 남아프리카의 낚시꾼들에게 인기가 많다. IGFA는 흑단상어를 게임 피시로 등재하였다. 낚시에 걸리면 강하고 꾸준하게 저항하며, 때로는 물 밖으로 뛰어오르기도 한다.[4] 1995년 이후, 미국에서 레크리에이션 낚시로 잡히는 흑단상어의 수는 상업 어업으로 잡히는 수를 따라잡거나 넘어섰다.[35]6. 4. 보존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은 흑단상어를 낮은 번식률과 남획에 취약하다는 점을 들어 준위협종(NT)으로 평가했다.[1][68] 흑단상어는 연승 어업, 고정식 그물, 저층 트롤, 낚시 바늘 등 다양한 어업 방식으로 전 세계에서 대량으로 어획된다.[3] 흑단상어의 살은 품질이 우수하여 신선, 냉동, 건조, 염장 등의 형태로 판매되며, 지느러미는 상어 지느러미 수프, 가죽은 가죽, 상어 간유는 비타민, 사체는 어분으로 활용된다.[3][36]흑단상어는 국제 게임 피시 협회에 게임 피시로 등재되어 플로리다, 카리브해, 남아프리카 등지에서 레크리에이션 낚시꾼들에게 인기가 높다.[4][37] 낚시에 걸리면 강하게 저항하며 물 밖으로 뛰어오르기도 한다. 1995년 이후 미국에서는 레크리에이션 낚시로 잡히는 흑단상어의 수가 상업 어획량을 넘어서기도 했다.[35][67]
현재 미국과 호주만이 흑단상어 어업을 관리하고 있다. 두 국가 모두 미국 국립 해양 어업 서비스의 대서양 상어 어업 관리 계획과 같이 여러 상어 종을 포괄하는 관리 계획에 따라 규제하며, 흑단상어만을 위한 특별 보존 계획은 시행되지 않고 있다.[35][67]
참조
[1]
간행물
"''Carcharhinus limbatus''"
2021
[2]
웹사이트
Appendices {{!}} CITES
https://cites.org/en[...]
2022-01-14
[3]
서적
Sharks of the World: An Annotated and Illustrated Catalogue of Shark Species Known to Date
Food and Agricultural Organization
[4]
웹사이트
Biological Profiles: Blacktip Shark
http://www.flmnh.ufl[...]
[5]
서적
Sharks, Rays, and Chimaeras of Californi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6]
논문
The phylogenetic relationship within the genus ''Carcharhinus''
https://comptes-rend[...]
[7]
논문
Worldwide phylogeography of the blacktip shark (''Carcharhinus limbatus'') inferred from mitochondrial DNA reveals isolation of western Atlantic populations coupled with recent Pacific dispersal
2006-10
[8]
서적
Geology and Paleontology of the Lower Miocene Pollack Farm Fossil Site, Delaware: Delaware Geological Survey Special Publication No. 21
Delaware Natural History Survey
[9]
서적
Florida's Fossils: Guide to Location, Identification, and Enjoyment
Pineapple Press Inc.
[10]
웹사이트
Albinism in Sharks
http://elasmo-resear[...]
[11]
FishBase
[12]
논문
Confirmation of blacktip shark,Carcharhinus limbatus, in the Ryukyu Islands and notes on possible absence ofC. melanopterus in Japanese waters
1999-06-01
[13]
논문
Quantitative analysis of aggregation behavior in juvenile blacktip sharks
[14]
논문
The importance of prey density in relation to the movement patterns of juvenile sharks within a coastal nursery area
[15]
논문
Skin Lesions Caused by ''Dermophthirius penneri'' (Monogenea: Microbothriidae) on Wild-Caught Blacktip Sharks (''Carcharhinus limbatus'')
2000-06
[16]
논문
"''Dionchus'' postoncomiracidia (Monogenea: Dionchidae) from the skin of blacktip sharks, ''Carcharhinus limbatus'' (Carcharhinidae)"
[17]
논문
Larval nematodes (Philometridae) in granulomas in ovaries of blacktip sharks, ''Carcharhinus limbatus'' (Valenciennes)
[18]
논문
Do sharksuckers, ''Echeneis naucrates'', induce jump behaviour in blacktip sharks, ''Carcharhinus limbatus''?
[19]
논문
Water-escape velocities in jumping blacktip sharks
[20]
논문
Agonistic Displays in the Blacktip Shark (''Carcharhinus limbatus'')
2000-02-01
[21]
웹사이트
"''Carcharhinus limbatus'' {{!}} Shark"
https://animaldivers[...]
[22]
학위논문
Feeding habits of blacktip sharks, ''Carcharhinus limbatus'', and Atlantic sharpnose sharks, ''Rhizoprionodon terraenovae'', in Louisiana coastal waters
Louisiana State University
[23]
논문
Sharks caught in the protective gill nets off Natal, South Africa. 7. The blacktip shark ''Carcharhinus limbatus'' (Valenciennes)
[24]
논문
Genetic heterogeneity among blacktip shark, ''Carcharhinus limbatus'', continental nurseries along the U.S. Atlantic and Gulf of Mexico
[25]
논문
A parturition and nursery area for ''Carcharhinus limbatus'' (Elasmobranchii, Carcharhinidae) off the coast of Paraná, Brazil
[26]
논문
Microsatellite and mitochondrial DNA analyses of the genetic structure of blacktip shark (''Carcharhinus limbatus'') nurseries in the northwestern Atlantic, Gulf of Mexico, and Caribbean Sea
[27]
논문
Reproductive biology of the blacktip shark, ''Carcharhinus limbatus'' (Chondrichthyes: Carcharhinidae) off West and North African Coasts
http://sfi.mnhn.fr/c[...]
[28]
논문
Estimation of mortality of juvenile blacktip sharks, ''Carcharhinus limbatus'', within a nursery area using telemetry data
[29]
논문
Biology of the blacktip shark, ''Carcharhinus limbatus'', off the southeastern United States
https://www.research[...]
1996-11
[30]
논문
Age and growth determination of the blacktip shark, ''Carcharhinus limbatus'', from the east coast of South Africa
http://fishbull.noaa[...]
2016-11-10
[31]
논문
Age and Growth Estimates for Blacktip, ''Carcharhinus limbatus'', and Spinner, ''C. brevipinna'', Sharks from the Northwestern Gulf of Mexico
1987-12-09
[32]
논문
Age and Growth of the Blacktip Shark, ''Carcharhinus limbatus'', near Tampa Bay
http://fishbull.noaa[...]
1989-05
[33]
논문
Parthenogenesis in a large-bodied requiem shark, the blacktip ''Carcharhinus limbatus''
https://www.research[...]
[34]
웹사이트
ISAF Statistics on Attacking Species of Shark
http://www.flmnh.ufl[...]
International Shark Attack File, Florida Museum of Natural History, University of Florida
[35]
서적
Sharks, Rays and Chimaeras: The Status of the Chondrichthyan Fishes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and Natural Resources
[36]
서적
Sharks of the World: An Annotated and Illustrated Catalogue of Shark Species Known to Date
Food and Agricultural Organization
1984
[37]
웹사이트
Biological Profiles: Blacktip Shark
http://www.flmnh.ufl[...]
2009-04-27
[38]
서적
Sharks, Rays, and Chimaeras of Californi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39]
논문
The phylogenetic relationship within the genus Carcharhinus
2008
[40]
논문
The Biology of Sharks and Their Relatives
http://prosper.cofc.[...]
CRC Press
[41]
논문
Worldwide phylogeography of the blacktip shark (Carcharhinus limbatus'') inferred from mitochondrial DNA reveals isolation of western Atlantic populations coupled with recent Pacific dispersal
2006-10
[42]
서적
Geology and Paleontology of the Lower Miocene Pollack Farm Fossil Site, Delaware: Delaware Geological Survey Special Publication No. 21
Delaware Natural History Survey
1998
[43]
서적
Florida's Fossils: Guide to Location, Identification, and Enjoyment
Pineapple Press Inc
2008
[44]
웹사이트
Albinism in Sharks
http://elasmo-resear[...]
2009-04-28
[45]
간행물
[46]
논문
Quantitative analysis of aggregation behavior in juvenile blacktip sharks
2005
[47]
논문
The importance of prey density in relation to the movement patterns of juvenile sharks within a coastal nursery area
2002
[48]
논문
Skin Lesions Caused by ''Dermophthirius penneri'' (Monogenea: Microbothriidae) on Wild-Caught Blacktip Sharks (''Carcharhinus limbatus'')
2000-06
[49]
논문
Dionchus'' postoncomiracidia (Monogenea: Dionchidae) from the skin of blacktip sharks, ''Carcharhinus limbatus'' (Carcharhinidae)
2000
[50]
논문
Larval nematodes (Philometridae) in granulomas in ovaries of blacktip sharks, ''Carcharhinus limbatus'' (Valenciennes)
1983
[51]
논문
Do sharksuckers, ''Echeneis naucrates'', induce jump behaviour in blacktip sharks, ''Carcharhinus limbatus''?
2003
[52]
논문
Water-escape velocities in jumping blacktip sharks
2005
[53]
논문
Agonistic Displays in the Blacktip Shark (''Carcharhinus limbatus'')
2000-02-01
[54]
학위논문
Feeding habits of blacktip sharks, ''Carcharhinus limbatus'', and Atlantic sharpnose sharks, ''Rhizoprionodon terraenovae'', in Louisiana coastal waters
Louisiana State University, Baton Rouge
2002
[55]
논문
Sharks caught in the protective gill nets off Natal, South Africa. 7. The blacktip shark ''Carcharhinus limbatus'' (Valenciennes)
1993
[56]
논문
Genetic heterogeneity among blacktip shark, ''Carcharhinus limbatus'', continental nurseries along the U.S. Atlantic and Gulf of Mexico
2003
[57]
논문
A parturition and nursery area for ''Carcharhinus limbatus'' (Elasmobranchii, Carcharhinidae) off the coast of Paraná, Brazil
2008
[58]
논문
Microsatellite and mitochondrial DNA analyses of the genetic structure of blacktip shark (''Carcharhinus limbatus'') nurseries in the northwestern Atlantic, Gulf of Mexico, and Caribbean Sea
2005
[59]
논문
Reproductive biology of the blacktip shark, ''Carcharhinus limbatus'' (Chondrichthyes: Carcharhinidae) off West and North African Coasts
2004
[60]
논문
Estimation of mortality of juvenile blacktip sharks, ''Carcharhinus limbatus'', within a nursery area using telemetry data
2002
[61]
논문
Biology of the blacktip shark, ''Carcharhinus limbatus'', off the southeastern United States
1996-11
[62]
논문
Age and growth determination of the blacktip shark, ''Carcharhinus limbatus'', from the east coast of South Africa
1996
[63]
논문
Age and Growth Estimates for Blacktip, ''Carcharhinus limbatus'', and Spinner, ''C. brevipinna'', Sharks from the Northwestern Gulf of Mexico
American Society of Ichthyologists and Herpetologists
1987-12-09
[64]
논문
Age and Growth of the Blacktip Shark, ''Carcharhinus limbatus'', near Tampa Bay
1989-05
[65]
논문
Parthenogenesis in a large-bodied requiem shark, the blacktip ''Carcharhinus limbatus''
2008
[66]
웹사이트
ISAF Statistics on Attacking Species of Shark
http://www.flmnh.ufl[...]
2009-04-22
[67]
서적
Sharks, Rays and Chimaeras: The Status of the Chondrichthyan Fishes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and Natural Resources
2005
[68]
간행물
Carcharhinus limbatu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