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이란어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이란어군은 원시 이란어에서 기원전 2천년기 후반에 분화되었으며, 아베스타어와 유사성을 보인다. 고대에는 스키타이어와 고대 사카어 등이 있었고, 중세에는 박트리아어, 소그드어, 사카어 등이 사용되었다. 현대에는 파슈토어, 파미르어군, 문지-이드가, 오르무르-파라치어, 야그노비어, 오세트어 등이 존재한다. 동이란어군은 음운 변화, 특히 유성 파열음의 약화와 같은 특징을 보이며, 인접한 인도아리아어군의 영향을 받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이란어군 - 파슈토어
 파슈토어는 아프가니스탄과 파키스탄에서 주로 사용되는 인도유럽어족 이란어파 언어로, 아프가니스탄의 공용어이자 파키스탄 일부 지역의 지방 공용어이며, 다양한 방언과 페르시아-아랍 문자 변형을 사용하고, 파슈툰 민족주의와 국가 정체성 형성에 기여하며 풍부한 문학 전통을 가진다.
- 동이란어군 - 슈그니어
 슈그니어는 아프가니스탄과 타지키스탄 접경 지역에서 사용되는 파미르어군에 속하는 언어로, 다른 언어와의 관계에 대한 논쟁이 있으며 아랍, 라틴, 키릴 문자 등을 거쳐 현재는 페르시아 문자 기반으로 표준화 작업이 진행 중이다.
- 인도이란어파 - 네팔어
 네팔어는 데바나가리 문자로 표기되며, 산스크리트어와 프라크리트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10세기에서 14세기 사이에 나타나, 20세기 이후 표준화 과정을 거쳐 현대 네팔어로 자리 잡았으며, 인도 내 네팔어 사용자들의 권익 신장에 기여했다.
- 인도이란어파 - 다리어
 다리어는 아프가니스탄의 공용어인 페르시아어의 한 종류로, 행정, 정부, 미디어 등에서 사용되는 표준어이며, 사산 왕조 시대 중세 페르시아어에서 기원하여 이란 페르시아어와 차이를 보이고, 아프가니스탄 내 다양한 방언 중 카불 방언이 표준으로 간주된다.
- 언어에 관한 - 네팔어
 네팔어는 데바나가리 문자로 표기되며, 산스크리트어와 프라크리트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10세기에서 14세기 사이에 나타나, 20세기 이후 표준화 과정을 거쳐 현대 네팔어로 자리 잡았으며, 인도 내 네팔어 사용자들의 권익 신장에 기여했다.
- 언어에 관한 - 슬로바키아어
 슬로바키아어는 슬로바키아의 공용어이자 약 500만 명이 사용하는 서슬라브어군 언어로, 라틴 문자 기반의 고유한 문자를 사용하며 체코어와 유사하고 폴란드어 등 다른 슬라브어와도 연관성을 가진다.
| 동이란어군 | |
|---|---|
| 언어 정보 | |
| 이름 | 동이란어군 | 
| 지역 | 중앙아시아, 북서 남아시아, 코카서스 (역사적으로 스키타이, 사르마티아) | 
| 어족 | 인도유럽어족 | 
| 어파 | 인도이란어파 | 
| 어군 | 이란어군 | 
| 하위 어군 | 동북이란어군 동남이란어군 | 
2. 역사
서이란어군은 기원전 2천년기 후반에 원시 이란어에서 갈라져 나왔으며, 아베스타어와 크게 차이가 나지 않고, 아마도 야즈 문화에서 분화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동이란어는 그 뒤를 이어 원시 이란어의 자리를 대체하며 안드로노보 문화권 내에서 사용되었다. 
동이란어군은 공통적인 혁신을 겪으며 상당 부분 방언 연속체로 남아 있다. "북동"과 같은 전통적인 분파뿐만 아니라 동이란어군 자체도 유전적 그룹보다는 언어 지역으로 간주하는 것이 더 적절하다.[8][9]
그리스인이 중앙 아시아에 존재했기 때문에, 이 언어들 중 가장 동쪽에 위치한 일부 언어들은 중기 이란어 단계에서 기록되었지만 (이로 인해 "동부" 분류가 생김), 카자흐스탄에서 서쪽으로 흑해 스텝을 가로질러 우크라이나까지 뻗어 있는 스키토-사르마티아 연속체에 대한 기록은 거의 남아 있지 않다. 일부 저자들은 동이란계 민족이 러시아 민속 문화에 영향을 미쳤다고 본다.[2]
페르시아어/다리어는 아랍 정복 이후와 이슬람-아랍 통치 기간 동안 옥수스강 지역, 아프가니스탄, 호라산 주변으로 확산되었다.[3][4] 페르시아어를 표기하기 위해 팔레비 문자를 아랍 문자로 대체하는 작업은 9세기 호라산의 타히리드 왕조에 의해 이루어졌다.[5] 페르시아어 다리어의 확산으로 인해 박트리아어와 호라즘어를 포함한 동이란어가 사멸되었다. 소그드어에서 파생된 야그노비어는 중앙 아시아의 대부분 페르시아어 사용자인 타지크족 사이에서 소수의 화자만이 남아 있다. 이는 아랍-이슬람 군대가 중앙 아시아를 침략했을 때 대규모 페르시아어 사용자가 있었고, 이후 사만 왕조와 같은 이 지역의 무슬림 정부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6] 페르시아어는 사만 왕조에 의해 중앙 아시아에 뿌리내렸다.[7]
3. 분류
동이란어군에 속하는 언어는 다음과 같다.[10]시대 언어 고대 이란어 시대 중세 이란어 시대 현대 언어 (신 이란어) 
3. 1. 고대
아베스탄어†(약 BC 1000 - BC 7세기)는 흔히 초기 동이란어군에 분류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특정한 어군에 분류하지 않기도 한다.[1]
3. 2. 중세
3. 3. 현대
4. 특징
동이란어군은 광범위한 음운 변화의 영향을 받았는데, 예를 들어 t͡ʃ > ts로 변화했다. 다음은 그 예시이다.
| 영어 | 아베스타어 | 파슈토어 | 문지어 | 상글레치어 | 와키어 | 슈그니어 | 파라치어 | 오르무리어 | 야그노비어 | 오세트어 | 
|---|---|---|---|---|---|---|---|---|---|---|
| 하나 | aēva- | yaw | yu | vak | yi | yiw | žu | sō | ī | iu | 
| 넷 | t͡ʃaθwārō | tsalṓr | t͡ʃfūr | tsəfúr | tsībɨr | tsavṓr | t͡ʃōr | tsār | (tafṓr)1 | cyppar | 
| 일곱 | hapta | ōwə | ōvda | ōvδ | ɨb | ūvd | hōt | wō | aft | avd | 
1. 이 단어의 첫 음절은 야그노비어에서 강세 이동으로 인해 완전히 사라졌다.
인도아리아어군의 영향으로 권설음(파슈토어, 와키어, 상글레치어, 코탄어 등)과 유기음(코탄어, 파라치어, 오르무리어)이 발달하기도 했다.[8]
4. 1. 음운 변화
대부분의 동이란어군에서 흔히 나타나는 현상은 유성 파열음 *b, *d, *g의 특히 광범위한 약화이다. 모음 사이에서는 대부분의 서이란어군에서도 약화되었지만, 동이란어군에서는 단어의 첫머리에서도 일반적으로 마찰음화가 발생한다. 그러나 이 현상은 아베스타어에는 나타나지 않으며, 오르무리-파라치어에서도 나타나지 않는다.일련의 마찰음 자음이 첫 번째 단계였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b > *β, *d > *ð, *g > *ɣ. 유성 연구개 마찰음 는 대부분 보존되었다. 순음도 잘 보존되었지만, 대부분의 언어에서는 유성 양순 마찰음 에서 유성 순치 마찰음 로 이동했다. 치음이 가장 불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파미르어군에서는 유성 치 마찰음 가 보존되는 반면, 파슈토어와 문지어에서는 로 더 약화되었다. 반면에 야그노비어와 오세트어에서는 그 발전이 역전된 것으로 보이며, 유성 파열음 가 다시 나타났다. (두 언어 모두 이전의 *θ > 로 이동했다.)
| 영어 | 아베스타어 | 파슈토어 | 문지어 | 상글레치어 | 와키어 | 슈그니어 | 파라치어 | 오르무리 | 야그노비어 | 오세트어 | 
|---|---|---|---|---|---|---|---|---|---|---|
| ten | dasa | las | los / dā[1] | dos | δas | δis | dōs | das | das | dæs | 
| cow | gav- | ɣwā | ɣṓw | uɣūi | ɣīw | žōw | gū | gioe | ɣōw | qug | 
| brother | brātar- | wrōr | vəróy | vrūδ | vīrīt | virṓd | byā | (marzā[2]) | virṓt | ærvad[3] | 
자음 군집 *ft와 *xt도 널리 약화되었지만, 다시 오르무리-파라치어와 아마도 야그노비어를 제외한다.
4. 2. 외부 영향
인접한 인도아리아어군은 가장 가까운 동이란어군에 광범위한 외부 영향을 미쳤으며, 이는 권설음(파슈토어, 와키어, 상글레치어, 코탄어 등)과 유기음(코탄어, 파라치어, 오르무리어)의 발달에서 분명하게 드러난다.[8] 더 국지적인 음운 변화는 이전의 권설 마찰음 ''ṣ̌''가 Shughni–Yazgulyam 분파와 파슈토어의 특정 방언에서 ''x̌'' 또는 ''x''로 후퇴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고기"는 다음과 같이 변화한다.참조
[1] 
서적
 
Scythians
 
Routledge/UNESCO
 
1996
 
[2] 
학술지
 
Russians in the Medieval Iranian Epos
 
1955
 
[3] 
서적
 
A History of Islamic Societie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08-22
 
[4] 
서적
 
Islamic Societies to the Nineteenth Century: A Global Histor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10-29
 
[5] 
서적
 
Islamic Societies to the Nineteenth Century: A Global Histor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10-29
 
[6] 
서적
 
The Birth of Tajikistan: National Identity and the Origins of the Republic
 
https://books.google[...] 
I.B.Tauris
 
2007-06-15
 
[7] 
서적
 
The Birth of Tajikistan: National Identity and the Origins of the Republic
 
https://books.google[...] 
I.B.Tauris
 
2007-06-15
 
[8] 
백과사전
 
Eastern Iranian languages
 
http://www.iranicaon[...] 
2008
 
[9] 
서적
 
Orientalia Suecana : Vol. 58 (2009)
 
http://uu.diva-porta[...] 
Department of linguistics and philology, Uppsala universitet
 
2009
 
[10] 
서적
 
Dialectology and Topics
 
Routledge
 
2009
 
[11] 
웹사이트
 
https://archive.is/2[...] 
[12] 
서적
 
Scythians
 
Routledge/UNESCO
 
199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