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힌카쿠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힌카쿠 선은 시나가와역에서 쓰루미역을 잇는 철도 노선으로, 도카이도 본선과 병행하며 화물선으로 건설되었다. 1980년 여객 영업을 시작하여 요코스카선 열차가 운행되었으며, 신카와사키역, 니시오이역, 무사시코스기역이 개업하였다. 2001년부터 쇼난 신주쿠 라인 열차가 운행되었고, 2019년 소테츠선 직통 열차 운행이 시작되었다. 도카이도 신칸센 건설 시에는 부지 확보 문제로 힌카쿠 선의 경로를 일부 활용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화물철도의 철도 노선 - 도카이도 본선
    도카이도 본선은 도쿄역과 고베역을 잇는 713.6km의 협궤 철도 노선으로, 1872년 일부 개통 후 1889년 전 구간 개통하여 일본의 주요 간선으로 성장했으며, 현재는 JR 동일본, JR 도카이, JR 서일본에 의해 지역 수송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 일본화물철도의 철도 노선 - 요코스카선
    요코스카선은 JR 동일본과 JR 화물이 운영하며 도쿄역과 구리하마역을 잇는 총 연장 73.3km의 철도 노선으로, 일부 구간은 복선, 나머지는 단선으로 운행되며 소부 쾌속선, 쇼난 신주쿠 라인, 나리타 익스프레스 등과 직결 운행한다.
  • 1929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용산선
    용산선은 1929년 용산역-가좌역 구간을 시작으로, 현재는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의 일부로 운행되고 있으며, 용산역은 KTX 등 여러 노선과 환승이 가능하다.
  • 1929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장항선
    장항선은 천안에서 익산까지 이어지는 철도 노선으로, 사설 철도 충남선으로 개통 후 국유화되어 장항선으로 개칭되었으며, 복선 전철화 및 선형 개량 사업을 통해 수도권 전철 1호선, 서해선과 연결되어 여객 및 화물 수송의 주요 노선으로 발전하고 있다.
  • 도카이도 본선의 화물 시설 - 쓰루미역
    가나가와현 요코하마시 쓰루미구에 있는 JR 동일본의 쓰루미역은 게이힌 도호쿠 선과 쓰루미 선의 환승역이자 쓰루미 선의 종착역이며, 다수의 화물 노선과 동해도 본선의 여러 지선이 분기하는 요코하마 지역의 중요한 교통 허브이다.
  • 도카이도 본선의 화물 시설 - 사쿠라기초역
    사쿠라기초역은 1872년 최초의 요코하마역으로 시작하여 역명 변경과 이전을 거쳐 현재 위치에 자리 잡았으며, JR 동일본, 요코하마 시영 지하철, YOKOHAMA AIR CABIN이 운행하고, 주변에는 미나토미라이 지구 등이 위치해 있다.
힌카쿠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노선 정보
노선명힌카쿠 선
노선 종류도카이도 본선의 지선
이케가미 선과의 교차점을 지나는 동일본 여객철도 E235계 전동차
소재지도쿄도, 가나가와현
기점시나가와역(도쿄도미나토구)
종점쓰루미역(가나가와현요코하마시쓰루미구)
경유 노선도카이도 본선
노선 기호JO, JS
개업일1929년 8월 21일
소유자동일본 여객철도
운영자동일본 여객철도, 일본화물철도
영업 거리17.8 km
궤간1,067 mm
선로 수2 (전 구간)
전철화 방식직류 1,500V 가공 전차선 방식
영업 최고 속도120 km/h
경로도횡수카 선 참조

2. 역사

힌카쿠 선은 원래 도카이도 본선의 화물 우회 노선으로 건설되었다.[4] 1929년 시나가와역에서 신쓰루미 조차장을 거쳐 쓰루미역까지 이어지는 구간(17.7km)이 개통되었다.[6][7] 당시 신쓰루미 조차장은 대조차장으로, 이곳의 설치로 시나가와 조차장의 여객 수송용 시설 전환이 가능해져 시나가와 객차구, 도쿄 기관구 등이 설치되었다.[5]

1980년 SM 분리 작업 전까지는 주로 화물 열차만 운행했다.[4] 통근 5방면 작전의 일환으로 1980년에 여객선화되어 요코스카·소부 쾌속선 전철이 다니게 되었고, 신카와사키역이 개업했다. 이후 1986년에는 니시오이역, 2010년에는 무사시코스기역이 개업했다.[8]

2001년부터 쇼난 신주쿠 라인 열차가, 2019년부터 소테츠선 직통 열차도 힌카쿠 선을 이용하게 되었다.

도카이도 신칸센 건설 당시, 시나가와 역에서 다마가와 강까지는 부지 매입이 어려워 힌카쿠 선 부지를 활용했다. 니시오이역 남서쪽으로는 힌카쿠 선 위에 2층 구조의 고가를 세워 건설 비용을 절감했다.

2. 1. 연표

3. 노선 정보

힌카쿠선은 시나가와역에서 도카이도 본선과 분기되어 내륙부를 따라 다마가와 강을 건너 무사시코스기역 부근에서 남쪽으로 방향을 틀어 신쓰루미 신호장을 지나 쓰루미역에서 도카이도 본선과 다시 합류하는 노선이다. 오사키역 부근에서는 야마노테 화물선과 연결된다.[4]

1980년 도카이도-요코스카 별선화 작업으로 여객선으로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2001년 쇼난 신주쿠 라인 신설로 해당 열차도 운행하게 되었다. 2019년에는 소테츠·JR 직통선이 개통되어 소테츠선 열차도 힌카쿠선을 경유하게 되었다.[10]

현재 힌카쿠선은 요코스카선, 쇼난 신주쿠 라인, 소테츠·JR 직통선 등 3개 열차 운행 계통의 주행 경로로 이용되고 있다. 동일본 여객철도(JR 동일본)가 제1종 철도사업자, 일본화물철도(JR 화물)가 제2종 철도사업자로 지정되어 있다.[4]

도카이도 신칸센 건설 당시 선로 부지 매입 문제로 시나가와역부터 다마가와 강까지는 힌카쿠선을 따라 건설되었고, 니시오이역 남서쪽으로는 힌카쿠선 바로 위에 2층 구조의 고가를 설치하여 이용하기도 하였다.

힌카쿠선 다마가와 교량은 힌카쿠선의 교량으로 건설되었다. 현재는 요코스카선, 쇼난 신주쿠 라인의 열차가 다수 왕래한다(2007년 11월).


오사키 부근 개략도


본래 화물선으로 건설되었으나[4], 1980년 도카이도-요코스카 별선화 작업 이후 여객 열차도 운행하기 시작했다. 2010년에는 무사시코스기역에 요코스카선 승강장이 신설되어 난부선 및 도쿄 급행 전철 도요코선, 메구로선과의 환승역이 되었다.

오늘날에도 힌카쿠선과 야마노테 화물선을 경유하여 도카이도 본선도호쿠 본선 방면을 잇는 화물 열차가 일부 운행되고 있지만, 대부분은 도쿄 화물 터미널역을 경유하는 도카이도 화물선이나 무사시노선으로 변경되었다.

3. 1. 역 목록

거리영업
거리소재지시나가와品川|시나가와일본어도카이도 신칸센
도카이도 본선 (본선)#넘겨주기 야마노테 선-0.0도쿄도미나토구메구로카와 신호장目黒川信号場|메구로카와 신호장일본어야마노테 화물선-1.3시나가와구헤비쿠보 신호장蛇窪信号場|헤비쿠보 신호장일본어오사키 지선-3.1니시오이西大井|니시오이일본어3.63.6무사시코스기武蔵小杉|무사시코스기일본어난부 선
도쿄 급행 전철 도요코 선6.410.0가나가와현가와사키시 나카하라구신카와사키新川崎|신카와사키일본어2.712.7가와사키시 사이와이구신쓰루미 신호장新鶴見信号場|신쓰루미 신호장일본어무사시노 선#넘겨주기 난부 선 화물 지선1.213.9쓰루미鶴見|쓰루미일본어도카이도 본선 (본선, 다카시마 선, 화물선)#넘겨주기 쓰루미 선3.917.8요코하마시 쓰루미구



시나가와 기점 8.5km 지점(도쿄 급행 전철 이케가미 선과의 교차점 부근)에 마루코 신호장이 있었다.

여객 열차가 정차하는 역은 시나가와, 니시오이, 무사시코스기, 신카와사키 역이다. 신쓰루미 신호장은 여객 열차가 정차하지 않는다. 폐지된 신호장으로는 메구로카와 신호장, 헤비쿠보 신호장, 마루코 신호장이 있다.[10]

4. 연선 개황

시나가와역에서 도카이도 본선을 넘어 서쪽으로 갈라져 야마노테선과 나란히 달린다. 오사키역 부근에서 야마노테 화물선과 오사키 지선이 분기/합류한다. 니시오이역을 지나 도카이도 신칸센과 나란히 다마가와 강을 건넌다. 무사시코스기역을 지나 신칸센과 갈라지고, 요코스카선용 선로와 화물선으로 분기하여 복복선 구간이 된다. 신카와사키역신쓰루미 신호장을 지나 쓰루미역 부근에서 도카이도 본선과 다시 합류한다.[4]

5. 기타

도카이도 신칸센 건설 당시 토지 매입이 어려워 시나가와 역부터 다마가와 강까지는 힌카쿠 선 선로를 따라 건설되었다. 니시오이역 남서쪽으로는 힌카쿠 선 바로 위에 2층 구조의 고가를 건설하여 사용하기도 했다.[8] 이러한 이유로 시나가와 역에서 무사시코스기역 부근까지 신칸센과 나란히 달리는 모습을 볼 수 있다.

2019년 2019년 레이와 원년 동일본 태풍으로 인해 무사시코스기 역 요코스카선 구내가 침수되는 피해를 입기도 했다.

힌카쿠 선 주변에는 도쿄 급행 전철 노선, 쇼난 신주쿠 라인 등 다양한 철도 노선들이 지나간다.

참조

[1] 서적 JR気動車客車編成表 '05年版 ジェー・アール・アール 2005-07-01
[2] 서적 全線全駅鉄道の旅 小学館
[3] 서적 鉄道要覧 電気車研究会・鉄道図書刊行会
[4] 간행물 変貌間近!? 東海道貨物線のあゆみ ネコ・パブリッシング 2018-05-01
[5] 간행물 変貌間近!? 東海道貨物線のあゆみ ネコ・パブリッシング 2018-05-01
[6] 간행물 山の手貨物線の歴史 電気車研究会 2014-09-01
[7] 서적 日本鉄道旅行地図帳 全線・全駅・全廃線 新潮社 2008-08-19
[8] 간행물 変貌間近!? 東海道貨物線のあゆみ ネコ・パブリッシング 2018-05-01
[9] 뉴스 台風19号によるJR東日本管内の設備等の主な被害状況について http://www.jreast.co[...] 東日本旅客鉄道 2019-10-13
[10] 웹사이트 相鉄・JR直通線の運行計画の概要について https://www.sotetsu.[...] 相模鉄道株式会社・東日本旅客鉄道株式会社 2019-07-16
[11] 웹사이트 特定の分岐区間に対する区間外乗車の特例 http://www.jreast.co[...] 東日本旅客鉄道 2011-11-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