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2년 버마 쿠데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62년 버마 쿠데타는 1962년 3월 2일, 네 윈이 이끄는 군부가 쿠데타를 통해 민간 정부의 권력을 장악한 사건이다. 쿠데타는 1948년 버마 독립 이후 사회주의 국가를 표방하며 비동맹 운동에 참여했던 버마의 정치적, 경제적 상황을 뒤바꾸었다. 쿠데타의 배경에는 소수 민족의 연방 탈퇴 위협, 민간 정부의 무능, 군부의 권력욕 등이 있었으며, 쿠데타 이후 네 윈은 혁명 평의회를 구성하고 버마식 사회주의 정책을 추진했다. 이로 인해 정치적 억압, 경제 침체, 사회문화적 변화가 나타났으며, 1988년 민주화 운동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었다. 쿠데타는 독재, 고립, 독립 등 다양한 관점에서 해석될 수 있으며, 미얀마 현대사에서 중요한 분기점으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얀마의 쿠데타 - 8888 항쟁
8888 항쟁은 1988년 미얀마에서 발생한 대규모 민주화 운동으로, 군부 독재와 경제난에 대한 저항이 전국적인 시위로 확산되었으나 군부의 강경 진압과 쿠데타로 실패했지만 미얀마 민주화 운동의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 미얀마의 쿠데타 - 2021년 미얀마 쿠데타
2021년 미얀마 쿠데타는 미얀마군이 2020년 총선 결과에 불복하여 일으킨 군사 쿠데타로, 군부는 주요 인사를 구금하고 정권을 장악한 뒤 비상사태를 선포했으며, 선거 부정 의혹을 제기하며 쿠데타를 정당화했으나 대규모 시위와 국제 사회의 비판에 직면했다. - 1962년 3월 - 제19회 골든 글로브상
1962년 영화와 텔레비전을 대상으로 할리우드 외신 기자 협회에서 수여하는 제19회 골든 글로브상은 《나바론 요새》, 《어떤 사랑의 이야기》,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가 작품상을, 스탠리 크레이머가 《뉘른베르크의 재판》으로 감독상을 수상하고, TV 부문에서는 《왓츠 마이 라인?》과 《나의 세 아들》이 최우수 TV 프로그램으로 선정되었다. - 1962년 3월 - 에비앙 협정
에비앙 협정은 1962년 프랑스와 알제리 간에 체결되어 알제리의 완전한 주권과 자결권을 인정하고, 프랑스군 철수, 알제리 독립을 이끌었으나, 일부 조항은 실제 사건으로 인해 무력화되었다고 평가받는다.
1962년 버마 쿠데타 - [전쟁]에 관한 문서 | |
---|---|
쿠데타 개요 | |
분쟁 명칭 | 1962년 버마 쿠데타 |
관련 분쟁 | 버마(미얀마) 내전 및 냉전 |
날짜 | 1962년 3월 2일 |
장소 | 양곤, 버마 |
결과 | 쿠데타 성공 |
결과 상세 | 민간 정부가 군사 정권으로 대체됨 |
교전 세력 | |
교전 1 | 버마 정부 |
교전 1 소속 | 연합당(청정 AFPFL) |
교전 2 | 따머도 |
교전 2 소속 | 버마군 |
지휘관 및 지도자 | |
교전 1 지휘관 | 윈 마웅 (버마 대통령) |
교전 1 지휘관 | 우 누 (버마 총리) |
교전 1 지휘관 | 사마두와 신화나웅 (버마 대통령 지명자) |
교전 2 지휘관 | 네 윈 (따머도 참모총장) |
병력 규모 | |
교전 1 | 지역 경찰 |
교전 2 | 버마 군부 |
사상자 및 피해 | |
사망자 | 1–2명 사망 |
관련 정보 |
2. 쿠데타 이전 배경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독립한 미얀마는 민주 사회주의 국가를 표방하며 비동맹 운동에 참여했다. 그러나 경제난과 사회 혼란, 소수민족 문제 등으로 인해 민간 정부의 입지는 약화되었다. 1958년 10월, 사회 불안이 국가 안보 위기에 가까운 수준으로 높아지자, 민간 정부와 우 누 총리는 군대와 네 윈에게 임시 관리 정부로서 개입해 줄 것을 요청했다. 정치 질서가 회복되면 관리 정부는 총선을 실시하고 민간 통치를 복원할 것으로 예상되었다.[6]
2. 1. 우 누 정부의 위기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나고 1948년 버마가 독립한 후, 버마는 민주 사회주의 국가가 되어 비동맹 운동에 참여했다. 우 누 총리는 1949년 2월 1일 카렌족 출신인 스미스 던 장군을 대신하여 네 윈을 군 참모총장으로 임명하고 육군에 대한 완전한 통제권을 부여했다.[5]그러나 악화된 경제와 사회 혼란은 군대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군대가 1960년 선거를 원활하게 진행하고, 우 누가 이끄는 반파시스트 인민자유연맹 (AFPFL) 민간 정부의 권위를 인정하면서 군대에 대한 대중의 지지가 강화되었다.[7]
하지만 일반 대중은 선출된 정부가 부패하고, 국가 통치에 무능하며, 증가하는 범죄율로 특징지어지는 버마 사회에서 법과 질서를 회복할 수 없다고 인식했다.[8] 군대는 식민주의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버마 국민 사이에서 높은 우선순위였던 사회 안정을 보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인식되었다.
2. 2. 군부의 부상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나고 1948년 버마가 독립한 후, 버마는 민주 사회주의 국가가 되어 비동맹 운동에 참여했다. 1949년 2월 1일, 선출된 총리 우 누는 카렌족 출신 스미스 던 장군을 대신하여 네 윈을 군 참모총장으로 임명하고 육군에 대한 완전한 통제권을 부여했다.[5]그러나 악화된 경제와 사회 혼란은 군대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1958년 10월, 사회 불안이 국가 안보 위기에 가까운 수준으로 높아지자, 민간 정부와 우 누 총리는 군대와 네 윈에게 임시 관리 정부로서 개입해 줄 것을 요청했다. 정치 질서가 회복되면 관리 정부는 총선을 실시하고 민간 통치를 복원할 것으로 예상되었다.[6]
군대가 1960년 선거를 원활하게 진행하고, 우 누가 이끄는 반파시스트 인민자유연맹 (AFPFL)의 권위를 인정하면서 군대에 대한 대중의 지지가 강화되었다.[7]
하지만 일반 대중은 선출된 정부를 부패하고, 국가를 통치하는 데 무능하며, 끊임없이 증가하는 범죄율로 특징지어지는 버마 사회에서 법과 질서를 회복할 수 없다고 계속 인식했다.[8] 군대는 식민주의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버마 국민 사이에서 높은 우선순위였던 사회 안정을 보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계속 인식되었다.
3. 1962년 쿠데타
네 윈은 1962년 3월 2일 쿠데타를 일으켜 정권을 장악하고, '연방 혁명 평의회'를 구성하여 국가를 통치하기 시작했다.[1] 우 누, 사오 슈웨 타익 등 여러 사람을 체포하고, 고위 군 장교들로 구성된 "혁명 평의회"를 통해 사회주의 국가를 선포했다. 이 과정에서 사오 슈웨 타익의 아들 사오 미에 타익(Sao Mye Thaik)이 총에 맞아 사망했고, 십포의 사오바(Sawbwa) 사오 캬 센은 따웅지 근처 검문소에서 정지된 후 실종되었다.[9]
1962년 7월 양곤 대학교에서 발생한 시위는 군대의 발포와 학생회관 파괴로 이어졌다.[10] 네 윈은 라디오 연설을 통해 "칼에는 칼, 창에는 창"이라는 강경한 입장을 밝혔다.[11] 이후 네 윈은 "건강 검진"을 위해 오스트리아, 스위스, 영국으로 떠났으며,[12] 모든 대학교는 1964년 9월까지 2년 넘게 폐쇄되었다.
1988년, 네 윈은 학생회관 폭파 연루 사실을 부인하며, 아웅 지 준장이 명령을 내렸다고 주장했다.
3. 1. 쿠데타의 전개
1962년 AFPFL 정부에 권력이 이양된 지 2년도 채 되지 않은 1962년 3월 2일, 네 윈은 군부 주도의 쿠데타를 통해 다시 권력을 장악했다.[1] 쿠데타는 신속하고 비밀리에 진행되었다. 역사가 로버트 H. 테일러는 부사령관 아웅 지 준장조차 모르게 진행되었으며, 작전에 참여한 장교는 28명에 불과했고 쿠데타 날짜를 아는 사람은 네 윈뿐이었다고 설명한다.[16] 반면, 역사가 메리 P. 캘러한은 쿠데타를 "병력과 탱크를 공개적으로 투입하여 권력을 장악"한 고도로 조율된 군사적 성과라고 묘사한다.[17]쿠데타 과정에서 우 누 총리를 비롯한 5명의 내각 구성원, 대법원장, 그리고 샨과 카야 출신의 약 30명의 정치인 및 전직 지도자들이 체포되었다.[14] 이 과정에서 사오 슈웨 타익 장군의 아들만이 사망하여, 쿠데타는 유혈 사태가 없었다고 묘사된다.[15] 십포의 사오바(Sawbwa) 사오 캬 센 또한 따웅지 근처 검문소에서 정지된 후 미스터리하게 실종되었다.[9]
AFPFL 정부의 취약한 입지 때문에 쿠데타는 예상 밖의 사건은 아니었으며, 네 윈은 군부 인사들의 권력 찬탈 촉구를 받아들였다.[19] 여러 외국 정부는 군사 쿠데타를 긍정적이지는 않더라도 논리적인 전개로 간주했다.[13]
3. 2. 양곤 대학교 시위와 유혈 진압
1962년 7월 양곤 대학교에서 쿠데타에 반대하는 시위가 발생하자, 군부는 질서 회복을 명목으로 군대를 투입했다. 군대는 시위대에 발포하고 학생회관을 파괴했다.[10] 직후 네 윈은 5분간 라디오 연설을 통해 "만약 이러한 소란이 우리에게 도전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라면, 칼에는 칼, 창에는 창으로 맞설 것을 선언해야 합니다"라고 강경 대응을 천명했다.[11]4. 쿠데타의 원인
1962년 네 윈이 이끄는 군부가 민간 정부의 권위를 인정한 지 2년도 안 되어 쿠데타를 일으킨 데에는 다양한 설명이 존재한다. 쿠데타의 원인에 대해서는 다양한 해석이 존재한다. AFPFL 정부가 사회에서 취약한 입지를 보였기 때문에 쿠데타는 예상 밖의 사건은 아니었으며, 네윈은 군부 인사들의 권력 찬탈 촉구를 받아들였다.[19] 여러 외국 정부는 군사 쿠데타를 긍정적이지는 않더라도 논리적인 전개로 간주했다.[13]
쿠데타는 우 누 총리, 다른 5명의 내각 구성원, 대법원장, 그리고 샨과 카야 출신의 약 30명의 정치인 및 전직 지도자들을 체포하면서 실행되었다.[14] 단 한 명, 사오 슈웨 타익 장군의 아들이 사망했는데, 이 때문에 쿠데타는 유혈 사태가 없었다고 묘사된다.[15]
쿠데타가 얼마나 군사적으로 잘 조율되었는지에 대한 학술적 설명은 다양하다. 역사가 로버트 H. 테일러에 따르면 네윈은 부사령관인 아웅 지 준장조차 모르게 비밀리에 권력을 잡았다. 작전에 참여한 장교는 28명에 불과했으며, 쿠데타 날짜를 아는 사람은 네윈뿐이었다.[16]
반면, 역사가 메리 P. 캘러한은 쿠데타를 "병력과 탱크를 공개적으로 투입하여 권력을 장악"한 고도로 조율된 군사적 성과라고 묘사한다.[17] 테일러가 쿠데타를 일으키는 데 있어 네윈 개인의 영향력을 더 강조하는 반면, 캘러한은 네윈을 현장 지휘관, 탱크 지휘관, 행정 인력을 포함한 여러 요원 중 하나로 언급한다. 실제로 캘러한은 쿠데타가 군부가 통일되고 관료화된 실체로 활동했음을 보여주며, 이 통일성이 그 이후 이어진 권위주의 통치의 지속성을 설명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18]
4. 1. 연방 분열 위기
샨과 카야 등 소수 민족들이 1947년 헌법에 보장된 연방 탈퇴 권리를 주장하면서 국가 통합이 위협받는 상황이었다.[19][14][20][21] 샨 지도자들은 양곤에 대항하는 무장 반대 세력을 형성하기 시작했다.[19] 군부는 이를 국가 안보 위협으로 간주했다. 특히 우 누 정부의 불교 국교화 시도는 기독교를 믿는 소수 민족의 반발을 불러일으켰다.[7]군부는 연방주의와 의원 내각제가 본질적으로 약하며 지역 자치를 장려한다고 믿었다. 의회에서 표출되는 다양한 목소리는 불안정을 야기하고 연방을 붕괴시킬 민족적 차이를 증폭시키는 것으로 여겨졌다. 따라서 군부는 국가 통합을 보장하기 위해 강력한 중앙 정부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7]
주변 지역의 자율성 증가는 외부 위협의 측면에서도 문제시되었다. 군부는 해당 지역이 지나치게 독립하게 되면 1962년의 냉전 상황에서 위험이 커지면서 외세의 유입을 초래할 것이라고 믿었다. 특히 미국이 공산주의 국가와 국경을 접한 아시아 국가에 큰 관심을 보였고, 이는 미얀마가 중국과 국경을 맞대고 있어 잠재적인 관심 대상이 될 수 있음을 의미했다.[21]
만약 연방이 해체되고 샨 및 카야 주가 자치를 요구하게 된다면, 이들 주는 독립적인 외교 정책을 추진하고 미국과 같은 강대국과 동맹을 맺을 수 있었다. 이러한 국제 안보 상황으로 인해 이러한 동맹은 미얀마 영토에서 미국과 중국 간의 갈등 위험이 증가하면서 국가의 나머지 지역에 심각한 안보 위협을 초래할 수 있었다.[22]
4. 2. 민간 정부의 무능과 정치적 혼란
AFPFL 정부는 경제난과 사회 불안을 해결하지 못하고 부패와 무능으로 비판받았다.[19][14][20][21] 정부 내 권력 다툼과 정당 간 갈등도 심각했다.[23]군부는 연방주의와 의원 내각제가 본질적으로 약하며 지역 자치를 장려한다고 보았다. 의회에서 표출되는 다양한 목소리는 불안정을 야기하고 연방을 붕괴시킬 민족적 차이를 증폭시키는 것으로 여겨졌다. 따라서 군부는 국가 통합을 위해 강력한 중앙 정부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7]
군은 다당제 민주주의가 자본가와 지주를 대표하는 정치인에게 열려 있어 사회 부유층에게 봉사한다며 정치 체제 폐지를 정당화했다.[22]
AFPFL의 결속력과 권력은 정부 내 개인적인 경쟁으로 이미 약화된 상태였다. 네 윈과 군부는 당내 분열이 더 큰 불안정을 일으킬까 우려했다. 우 누가 다음 선거에 출마하지 않겠다고 발표하면서 이러한 두려움은 더욱 커졌고, 이는 쿠데타 동기를 강화했다.[23]
4. 3. 군부의 권력욕과 네 윈의 역할
연방 붕괴 위험이 커지자, 네 윈이 이끄는 군부는 1962년 쿠데타를 일으켰다.[19][14][20][21] 군부는 쿠데타 이후 발표한 공식 보도 자료에서 이를 명시했다.[21] 1947년 헌법에 의해 샨과 카야 두 소수 민족이 연방 탈퇴 권리를 주장하면서 국가 통합이 위협받는 상황이었다. 샨 지도자들은 양곤에 대항하는 무장 반대 세력을 형성하기 시작했다.[19] 군부와 네 윈은 연방 통합을 자신들의 책임으로 여겼고, 공식 보도 자료에서 쿠데타는 AFPFL 정부 정책, 특히 우 누의 불교 국교화 시도 때문에 불가피했다고 주장했다.[7]군부는 연방주의와 의원 내각제가 취약하며 지역 자치를 장려한다고 보았다. 의회의 다양한 목소리는 불안정을 야기하고 민족적 차이를 증폭시키는 것으로 여겨졌다. 따라서 군부는 국가 통합을 위해 강력한 중앙 정부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7] 군부는 다당제 민주주의가 사회 부유층에게 유리하다고 비판하며 정치 체제 폐지를 정당화했다.[22]
주변 지역 자율성 증가는 외부 위협 측면에서도 문제였다. 군부는 해당 지역이 지나치게 독립하면 냉전 상황에서 외세 유입을 초래할 것이라 믿었다. 특히 미국이 공산주의 국가와 국경을 접한 아시아 국가에 관심을 보였고, 중국과 국경을 맞댄 미얀마가 잠재적 관심 대상이 될 수 있었다.[21] 연방 해체 및 샨, 카야 주의 자치 요구는 이들 주의 독립적 외교 정책 및 미국과 같은 강대국과의 동맹으로 이어질 수 있었다. 이는 미얀마 영토에서 미국과 중국 간 갈등 위험을 높여 국가 안보에 심각한 위협을 초래할 수 있었다.[22]
분열된 베트남과 라오스의 불안정한 상황도 중앙 통제 유지의 근거가 되었다. 이러한 외부 위협과 내부 붕괴 위협 속에서 민간 정부는 국가 보호에 부적절하다고 인식되었다.[22] 정부 내 개인 간 경쟁, 특히 우 누가 다음 선거에 출마하지 않겠다고 발표한 것은 군부의 불안감을 증폭시켜 쿠데타 동기를 강화했다.[23]
역사학자들은 쿠데타에서 네 윈 역할에 대해 엇갈린 의견을 제시한다. 아웅 띤과 아웅 띤은 네 윈이 미얀마 문화와 역사에 기초한 정치적 정당성을 지녔고, 아웅 산의 신뢰받는 측근이었다는 점을 강조한다.[24] 반면 캘러헌은 네 윈 성격이나 붕괴 위협보다는 국가 구조에 대한 엘리트 내부 갈등, 국가에 대한 정당한 주장을 누가 갖느냐가 쿠데타의 결정적 원인이라고 주장한다. 장기적 구조 발전으로 군부가 강화되었고, 군 내부 갈등으로 네 윈과 긴장 관계에 있던 군 지휘관들이 숙청되면서 네 윈은 강력한 군대를 배경으로 권력을 장악했다.[17][25][26]
5. 쿠데타 이후의 정치 체제
1962년 버마 쿠데타 이후, 네 윈과 혁명 평의회는 미얀마(버마)의 정치 체제를 근본적으로 변화시켰다. 기존 헌법과 의회 제도를 폐지하고 혁명 평의회에 권력을 집중시켰다.
초기에 혁명 평의회는 주요 권력 기관이었으나, 이후 미얀마 사회주의 계획당(BSPP)을 창당하여 정치적 기반을 확대했다. BSPP는 좌익 성향 정치인, 군정에 협력하는 공무원 및 전직 정치인들을 포함했다. BSPP는 모든 근로자를 대표하는 정당을 표방하며, 국가 지원을 위한 대중 동원 채널 역할을 했다.
BSPP 창당 초기에는 혁명 평의회가 당보다 우위에 있었으나, 1974년 새 헌법 제정 후 BSPP가 총선을 통해 정치적 리더십을 확보했다.
5. 1. 혁명 평의회와 권력 집중
쿠데타 직후 네 윈과 다수의 고위 장교들은 16명의 고위 장교와 평의회 의장인 네 윈으로 구성된 혁명 평의회를 결성했다.[27] 또한 평의회 소속 8명의 고위 장교로 혁명 정부 내각을 구성했다. 네 윈 역시 이 그룹의 의장을 맡았다. 혁명 평의회는 AFPFL 정부를 대체했으며, 새로운 정부 기구 설립 다음 날 평의회는 1947년 헌법으로 설립된 기본적인 국가 기관들을 폐지했다.[28] 여기에는 훌타(의회)의 양원, 중앙 입법부[29] 및 지역 평의회(소수 민족 국가에서 양곤으로 연결되는 소통 채널)가 포함되었다. 이러한 기관에 내재된 관료적 권력은 혁명 평의회와 네 윈에게 이관되었다.[30]네 윈의 권력 집중은 1962년 3월 5일에 혁명 평의회 의장 자격으로 모든 행정, 입법 및 사법 권한을 행사하면서 계속되었다.[31] 혁명 평의회와 혁명 정부 내각의 수장으로서, "... 네 윈은 이론적으로 모든 국가 권력을 소유했으며, 따라서 1885년 이후 전례 없는 국가 내 공식적인 지배적 지위를 달성했다."[29]
혁명 평의회의 정치적 지배는 법률에 의해 폐지되지 않은 모든 기관이 인력이나 재정을 통해 평의회에 의존하게 함으로써 더욱 확실해졌으며, 이는 그들이 어떠한 반대도 조직하는 것을 막았다.[32]
5. 2. 미얀마 사회주의 계획당 (BSPP)
초기에 미얀마 사회주의 계획당(BSPP)은 혁명 평의회 위원들로만 구성되었지만, 결국 좌익 성향의 정치인들을 끌어들였다.[40] 네 윈은 군정 체제에 순응할 준비가 된 공무원과 전직 정치인들도 BSPP에 포함시켰다. 아웅 트윈과 아웅 트윈은 이전 행정부의 일원이었던 개인들을 포함시킨 것은 식민 통치 이전 버마 왕들의 행동에서 볼 수 있는 특징이라고 주장한다. 왕들은 이전 왕실 반대 세력 밑에서 일했던 대신들을 사용했다.[24] 따라서 아웅 트윈과 아웅 트윈은 구 행정부의 사람들을 새로운 정치 기구에 참여시키는 이러한 전략이 미얀마의 토착 역사적 특징이라고 시사한다. BSPP에 참여할 기회는 이전 아파플(AFPFL) 정부의 권력 엘리트에서 배제되었던 사람들 사이에서 특히 인기가 있었다.[30]BSPP의 목표는 국가를 지원하기 위해 사람들의 참여와 동원을 위한 주요 채널이 되는 것이었다.[24] BSPP의 정치적 지향점은 사회 민주주의와 공산주의 사이의 중도 노선으로 묘사되었으며, 당은 모든 근로자를 대표해야 했다. 따라서 이 당은 이전 정부를 구성했던 당에 대한 대안으로 구상되었으며 우익 또는 좌익 지향으로 분류되었다. 모든 사람을 대표한다고 주장함으로써, 당은 또한 지주와 자본가에 반대하는 공산주의와 구별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40]
BSPP 결성 후 첫 10년 동안 혁명 평의회는 당에 대한 우위를 누렸다. 이는 혁명 평의회가 "''건설 과도기 동안 당의 최고 권위''"라고 명시한 당의 헌법에 따른 것이었다.[41] 이러한 위계 질서는 나중에 뒤바뀌어 BSPP가 혁명 평의회를 이끌게 되었고,[42] 1974년 새로운 헌법이 제정되면서 당은 총선에서 정치적 리더십을 갖게 되었다.[6]
6. 쿠데타의 영향과 결과
1962년 쿠데타는 미얀마 사회 전반에 걸쳐 광범위한 영향을 미쳤다. 쿠데타 초기에는 농민을 우선시하는 정책으로 농업에 종사하는 대다수 국민들의 생활 조건이 개선되는 듯 보였다.[30] 그러나 새로운 권력 엘리트가 육군 장성으로 구성되고 군 경력이 지위 획득의 주요 경로가 되면서 사회 구조에 변화가 나타났다.[30]
군사 쿠데타는 국내외적으로 큰 반대 없이 받아들여졌다. 군대의 법과 질서 유지 능력에 대한 대중의 신뢰와 1960년 선거에서 군대가 보여준 전문적인 행동, 그리고 문민 정부에 권력을 이양할 것이라는 기대감 때문이었다.[7] 미국과 같은 외국에서는 군대의 반공주의적 성향을 긍정적으로 평가했고, 혁명 평의회가 냉전 시대에 미얀마의 중립 외교 정책을 유지할 것이라고 믿었기 때문에 쿠데타에 반대하지 않았다.[32]
하지만 군사 쿠데타는 장기적으로 미얀마 사회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혁명 평의회는 버마식 사회주의에 기초한 정책을 실행하면서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전반에 걸쳐 광범위한 변화를 추진했다.
6. 1. 정치적 억압과 민주주의 후퇴
군부는 반대 세력을 탄압하고 언론, 출판, 집회, 결사의 자유를 억압했다. 혁명 평의회는 정권에 대한 모든 정치적 반대를 불법으로 규정하고, 국가와 경쟁하는 기관을 제거했으며, 법적, 문화적, 교육 기관뿐만 아니라 미얀마의 모든 출판물에 대한 직접적인 통제를 시작했다.[43] 이는 민주주의의 후퇴와 군부 독재 체제의 강화로 이어졌다. 군대는 세속적인 정책을 시행하고 불교 사사나 협의회와의 협력 전통을 깨뜨렸다.[44]정부는 토착 버마 문화를 재건하고 식민지 시대의 잔재를 청산하기 위해 외국적인 가치와 문화를 배격하는 정책을 추진했다. 버마어를 연합의 공식 언어로 지정하고, 버마 문학을 장려했으며, 영국인들의 이름을 딴 거리 이름을 유명한 버마인들의 이름으로 변경했다. 풀브라이트 장학금 프로그램과 같은 서방 자금 지원 프로그램도 폐쇄하여 외부의 영향력을 차단했다.[44]
6. 2. 경제 침체와 고립
군사 쿠데타 이후 혁명 평의회는 버마식 사회주의에 기반한 정책을 실행하면서 미얀마 사회는 큰 변화를 겪었다.[30] 권력을 잡은 평의회는 경제 국유화를 광범위하게 추진하고, 정치적 반대를 금지했으며, 국가와 경쟁하는 기관들을 제거했다.[43] 또한, 정부는 법, 문화, 교육 기관 및 미얀마의 모든 출판물을 직접 통제하기 시작했다.[43]정부는 토착 버마 문화를 재건하고 식민지 시대의 잔재를 청산하기 위해 외국적인 가치와 문화를 배척했다. 영어 대신 버마어를 연합의 공식 언어로 지정하고, 유명한 영국인들의 이름을 딴 거리 이름을 버마인들의 이름으로 바꾸는 정책을 추진했다. 서방의 지원을 받던 풀브라이트 장학금 프로그램과 같은 외부 영향 채널도 폐쇄되었다.[44]
경제 정책에 있어서도 미얀마는 외부 세계로부터 멀어졌다. 경제의 버마화는 많은 중국인과 인도인의 추방을 포함했다.[45] 네윈 정부는 외국인이 토지를 소유하거나 특정 직업을 갖는 것을 금지했다.[45] 1960년대 중반, 미얀마의 대외 무역은 감소했고, 대외 무역 대 GDP 비율은 1960년 40%에서 1970년 26%로 떨어졌다.[46]
혁명 평의회는 사회주의 경제를 건설하기 위해 1963년 1월 1일 버마 석유 산업을 국유화하는 등 경제 국유화를 추진했다.[48] 쿠데타 2년 후인 1964년 3월까지 미얀마 경제의 주요 부분이 국유화되었다.[32] 정부는 농업 부문에 투자와 자원을 집중시키는 정책을 펼쳤지만, 이는 산업 부문의 침체를 가져왔다.[38]
1980년대 중반까지 산업 부문에 대한 무관심과 과도한 세금 부과, 토지 몰수로부터 농민을 보호하는 정책은 국가가 기본적인 서비스조차 유지할 수 있는 자본을 창출하는 능력을 제한했다. 1985년 짯 화폐 개혁은 정부에 대한 대중의 신뢰를 떨어뜨렸고, 쌀과 목재 가격 하락과 함께 인구와 농업 경제에 심각한 피해를 입혔다. 또 다른 화폐 개혁은 사람들의 은행 예금 인출 사태를 야기했고, 이는 도시 인구 사이에서 항의를 불러일으켰다. 경제 침체는 국가가 외국 대출을 갚을 수 없게 만들었고,[50] 결국 1987년 UN은 미얀마를 최빈 개발 도상국으로 분류했다.[51]
6. 3. 사회문화적 변화와 버마화 정책
군사 쿠데타 이후 혁명 평의회는 버마식 사회주의에 기반한 정책을 실행하면서 사회 전반에 걸쳐 광범위한 변화를 가져왔다.[30] 이들은 토착 버마 문화를 재건하고 식민지 시대의 잔재를 청산하려는 목적으로, 외국적인 가치와 문화를 배척하는 정책을 추진했다.[44]정부는 영어를 대신하여 버마어를 연합의 공식 언어로 지정했다.[44] 또한 버마 문학을 장려하고, 유명한 영국인들의 이름을 딴 거리 이름을 유명한 버마인들의 이름으로 바꾸는 정책도 시행되었다.[44] 풀브라이트 장학금과 같은 서방 자금 지원 프로그램은 외부 영향력을 차단하기 위해 폐쇄되었다.[44] 이러한 정책의 영향으로, 오늘날 버마에서는 일반 대중이 영어를 매우 제한적으로 사용한다.[44]
경제적으로도 버마는 외부 세계와 거리를 두었다. 경제의 버마화 과정에서 많은 중국인과 인도인이 추방되었고,[45] 네윈 정부는 외국인의 토지 소유와 특정 직업 종사를 금지했다.[45]
6. 4. 1988년 민주화 운동의 배경
1962년 버마 쿠데타 이후 26년간 이어진 군부 통치는 미얀마 사회 전반에 걸쳐 광범위한 변화를 가져왔다.[30] 군부는 버마식 사회주의를 내세우며 경제 국유화를 추진하고, 정권에 대한 반대 의견을 억압했으며, 국가와 경쟁하는 기관들을 제거했다.[43] 또한, 토착 버마 문화를 재건한다는 명목하에 외국 문화의 영향을 배격하고, 영어를 대신해 버마어를 공식 언어로 지정하는 등 여러 정책을 시행했다.[44]이러한 정책은 경제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외국인 투자와 무역이 감소하고, 경제의 버마화 과정에서 많은 중국인과 인도인이 추방되었다.[45] 농업 부문을 우선시하는 정책으로 인해 산업 부문은 침체되었고, 1980년대 중반에는 국가가 기본적인 사회 서비스조차 유지하기 어려울 정도로 경제난이 심화되었다.[38] 잇따른 화폐 개혁과 쌀 가격 하락은 경제 상황을 더욱 악화시켰고, 결국 1987년 UN은 버마를 최빈 개발 도상국으로 분류하기에 이르렀다.[51]
이처럼 장기간의 군부 통치와 경제난, 정치적 억압은 1988년 대규모 민주화 운동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었다.[52]
7. 1962년 쿠데타의 역사적 의의
1962년 버마 쿠데타는 미얀마 현대사에서 중요한 분기점으로, 민주주의, 세계주의, 독립이라는 세 가지 관점에서 해석될 수 있다. 학술 문헌에서는 쿠데타 이후 시기에 대한 다양한 해석을 제시하며, 이는 쿠데타가 미얀마 사회에 미친 복합적인 영향을 보여준다.
7. 1. 민주주의 대 독재
쿠데타와 그 이후 수십 년은 독재 시기로, 군부가 권력을 유지하고 26년 동안 민주화를 억압했다는 점에서 부정적으로 평가된다.[32] 칼라한(Callahan)은 쿠데타가 주변 국가의 권위주의 정권이 민주적인 정치 체제로 대체되었을 때 버마의 민간 통치를 "그렇게 결정적으로 종식"시켰다고 평가했다.[18] 또한 칼라한은 쿠데타 이후의 시기를 사회에서 군대의 현저한 존재감이 특징인 시기로 묘사한다.[27]7. 2. 고립주의 대 세계주의
쿠데타에 대한 세계주의적 관점은 쿠데타 이후 미얀마가 국제 사회로부터 고립되고 경제, 문화적으로 단절되어 소외되었다는 점을 강조한다. 테일러(Taylor)는 1962년부터 1988년까지의 시기를 "버마의 국가는 세계의 나머지 부분에 고립되고 독특한 존재로 보였다"라고 묘사했다.[46] 그는 또한 혁명 평의회가 새로운 국가 구조를 건설하기 위해 내적으로 전환하면서 국가가 경제, "일반적인 관계 단절"을 실천했다고 설명한다.[53] 이러한 고립주의는 미얀마의 발전과 성장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했다.7. 3. 독립 대 식민 잔재 청산
쿠데타는 영국 식민 통치의 잔재를 청산하고, 경제적, 문화적 독립을 추구했다는 긍정적인 측면도 있다. 군부는 버마족 중심의 민족주의 정책을 통해 식민지 시대의 잔재를 극복하려 했다.[44] 농민들을 과도한 세금과 토지 몰수로부터 보호하는 정책은 식민 통치자들이 농민들에게 가혹하게 세금을 부과한 것에 대한 대응으로 제시된다.[50] 이러한 관점에서 쿠데타의 중요성은 쿠데타가 촉진한 진정한 독립과 자율성에 있다고 할 수 있다.참조
[1]
서적
[2]
서적
[3]
간행물
People Power and Political Opportunities: Social Movement Mobilization and Outcomes in the Philippines and Burma
1999-08
[4]
서적
[5]
서적
[6]
서적
[7]
서적
[8]
서적
[9]
서적
Burma – Insurgency and the Politics of Ethnicity
Zed Books
[10]
서적
Resisting Dictatorship: Repression and Protest in Southeast Asia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1]
문서
Burmese phrase
[12]
뉴스
News items of Ne Win's trip to these countries for "medical check up"
The Guardian and The Nation
1962-07-14
[13]
간행물
Le coup d'État du 2 mars 1962 en Birmanie. Perceptions et réactions de la diplomatie française
https://www.cairn.in[...]
2020-06-15
[14]
서적
[15]
서적
[16]
서적
[17]
서적
[18]
서적
[19]
서적
[20]
서적
[21]
서적
[22]
서적
[23]
서적
[24]
서적
[25]
서적
[26]
서적
[27]
서적
[28]
서적
[29]
서적
[30]
서적
[31]
서적
[32]
서적
[33]
서적
[34]
서적
[35]
서적
[36]
인용
[37]
인용
[38]
인용
[39]
인용
[40]
인용
[41]
문서
The Constitution of the Burma Socialist Programme Party, section 2, p. 61
[42]
인용
[43]
인용
[44]
인용
[45]
서적
The Ripple Effect: China's Complex Presence in Southeast Asia
Oxford University Press
2024
[46]
인용
[47]
인용
[48]
인용
[49]
인용
[50]
인용
[51]
웹사이트
UN DESA ! DPAD ! CDP ! Least Developed Country Factsheet ! Myanmar
https://www.un.org/e[...]
United Nations
2015-11-20
[52]
인용
[53]
인용
[54]
인용
[55]
인용
[56]
저널
People Power and Political Opportunities: Social Movement Mobilization and Outcomes in the Philippines and Burma
https://archive.org/[...]
1999-08
[57]
인용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