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경주 지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6년 경주 지진은 2016년 9월 12일 경상북도 경주시 내남면에서 발생한 지진이다. 규모 5.1의 전진에 이어 규모 5.8의 본진이 발생했으며, 이는 대한민국에서 관측된 지진 중 역대 최대 규모였다. 내남 단층의 활동으로 발생한 것으로 분석되며, 이후에도 여러 차례 여진이 이어졌다. 지진으로 인해 부산, 울산 등 경상도 지역과 서울 등 수도권에서도 진동이 감지되었고, 건물 피해와 문화재 피해가 발생했다. 또한 원자력 발전소 가동 중단, 통신 장애 등의 영향이 있었으며, 일본에서도 지진이 감지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9월 12일 - 페틀라와드 폭발 사고
인도 페틀라와드에서 불법 젤리그나이트 폭발로 발생한 페틀라와드 폭발 사고는 식당 건물과 버스 정류장까지 피해를 입혔으며, 인도 정부는 희생자를 애도하고 보상금을 지급했고, 창고 임대인은 용의자로 지목되었으나 사망하여 정치적 논쟁을 낳았다. - 경상북도의 재난 - 2017년 포항 지진
2017년 11월 15일 경상북도 포항시에서 발생한 규모 5.4의 지진은 한국 전역과 일본 일부 지역에서 감지되었고, 인명 및 시설 피해, 대학수학능력시험 연기 등 사회 전반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지열 발전소의 유체 주입이 지진 발생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밝혀져 사회적 논란을 야기했다. - 경상북도의 재난 - 속리산 지진
1978년 속리산 지진은 일본 기상청 진도 계급 기준으로 보은에서 진도 4, 남한 대부분 지역에서 진도 3이 관측된 지진이며, 2007년부터 2021년까지의 분석 결과 서북서-동남동 방향의 단층이 원인으로 추정되나 정확한 발생 위치는 특정하기 어렵다. - 경주시의 역사 - 2017년 포항 지진
2017년 11월 15일 경상북도 포항시에서 발생한 규모 5.4의 지진은 한국 전역과 일본 일부 지역에서 감지되었고, 인명 및 시설 피해, 대학수학능력시험 연기 등 사회 전반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지열 발전소의 유체 주입이 지진 발생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밝혀져 사회적 논란을 야기했다. - 경주시의 역사 - 임관군
임관군은 신라시대 경주 남부와 울산 일대에 걸쳐 있던 군사 요충지로, 신당서에 강력한 방어 체계에 대한 기록이 있으며, 삼국사기에 왜구 방어와 지명 변경에 대한 기록이 있고, 현재 경주시 외동읍 모화리 일대가 중심지로 추정되며 여러 역사 유적을 포함한다.
2016년 경주 지진 | |
---|---|
지도 정보 | |
![]() | |
기본 정보 | |
이름 | 2016년 경주 지진 9.12 지진 |
발생 일시 | 2016년 9월 12일 오후 8시 32분 54초 (한국 표준시) |
발생 시각 (UTC) | 2016년 9월 12일 11시 32분 54초 |
ISC 이벤트 | 609440121 |
ANSS URL | us10006p1f |
진앙 | 경상북도경주시 내남면 용장리 907 |
지진 규모 | |
규모 종류 | 리히터 규모 모멘트 규모 Mw |
리히터 규모 | 5.8 (KMA) |
모멘트 규모 | 5.4 (USGS) |
깊이 | 13 km (USGS), 15km |
지진 유형 및 단층 | |
유형 | 주향이동단층형 지진 |
단층 | 내남 단층, 우수향 주향이동단층 |
진도 정보 | |
진도 종류 | 수정 메르칼리 진도 계급 |
최대 진도 | VI (MMI), VII (경주시) |
여진 정보 | |
최대 전진 | 리히터 규모 5.1 깊이 15km 모멘트 규모 4.9 2016년 9월 12일 오후 7시 44분 32초 좌표: |
최대 여진 | 리히터 규모 4.5 모멘트 규모 4.6 2016년 9월 19일 오후 8시 33분 58초 좌표: |
피해 상황 | |
피해 지역 | 경상북도, 경상남도, 대구광역시, 울산광역시, 부산광역시 |
인명 피해 | 부상 8명, 23명 |
재산 피해 | 110억원 |
쓰나미 | 없음 |
산사태 | 없음 |
2. 지진 발생 및 전개
2016년 9월 12일 경주시 내남면 인근에서 두 차례의 강진이 발생했다. 본진 발생 7일 후인 9월 19일에는 모멘트 규모 4.6의 여진이 발생하여 부산, 울산, 서울 등 넓은 지역에서 진동이 감지되었다. 이후에도 여진은 계속 이어졌으며, 9월 21일에도 여러 차례 여진이 발생했다. 2017년 11월 15일 기준으로 규모 1.5 이상 여진은 총 640회에 달한다.[19]
발생일시 (KST) | 진원지 | 좌표 | 진원 깊이 | 릭터 규모 (KMA) | 모멘트 규모 (USGS) | 최대진도 | 출처 |
---|---|---|---|---|---|---|---|
9월 12일 오후 7:44:32 | 경주시 남남서쪽 8.2km 지역 | KMA : 15km KIGAM :14.1kmUSGS : 10kmJMA : 36km | 5.1 | 4.9 | V | [http://www.kma.go.kr/weather/earthquake_volcano/report.jsp?prevEqkType=a&eqkType=a&eqk=eqk_web_3_201609121949.xml&x=23&y=19] | |
9월 12일 오후 8:32:54 | 경주시 남남서쪽 8.7km 지역 | 5.8 | 5.4 | VI | [http://www.kma.go.kr/weather/earthquake_volcano/report.jsp?prevEqkType=a&eqkType=a&eqk=eqk_web_3_201609122037.xml&x=8&y=7] | ||
9월 19일 오후 8:33:58 | 경주시 남남서쪽 11km 지역 | 17km | 4.5 | 4.6 | V | [http://www.kma.go.kr/weather/earthquake_volcano/report.jsp?prevEqkType=a&eqkType=a&eqk=eqk_web_3_201609192037.xml&x=26&y=6] | |
2. 1. 9월 12일 전진 및 본진
2016년 9월 12일 경주시 내남면에서 19시 44분 32초에 규모 5.1의 전진이, 20시 32분 54초에 규모 '''5.8'''의 본진이 발생하였다. 단층면해 분석 결과, 지진을 일으킨 단층은 북북동-남남서(또는 서북서-동남동) 방향의 단층면을 가지는 주향 이동 단층으로 추정되었으며, 주 압축 응력 방향은 동북동-서남서 방향으로 나타났다.[16] 지진 발생의 원인은 내남 단층의 활동이다.최근 연구에 따르면, 양산 단층과 덕천 단층 사이에서 지진을 발생시킨 단층이 발견되었다. 이 단층은 단층이 발견된 내남면의 이름을 따 '''내남 단층'''이라고 명명되었다. 깊이 10~16 km에 있는 소규모 단층인데, 여러 조각으로 쪼개져 복잡한 구조를 띠고 있다. 연구팀은 경상도 부근에 작용하고 있는 힘이 내남 단층이 활동하기에 유리한 방향으로 가해지고 있다며 2016년 지진 규모를 넘는 지진이 발생할 가능성도 있다고 분석했다. 최대 규모 지진은 모멘트 규모 6.1까지 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17][18]
발생일시 (KST) | 진원지 | 진원 깊이 | 릭터 규모 (KMA) | 모멘트 규모 (USGS) | 최대진도 | 출처 |
---|---|---|---|---|---|---|
9월 12일 오후 7:44:32 | 경주시 남남서쪽 8.2 km 지역 | KMA : 15 km KIGAM :14.1 kmUSGS : 10 kmJMA : 36 km | 5.1 | 4.9 | V | [http://www.kma.go.kr/weather/earthquake_volcano/report.jsp?prevEqkType=a&eqkType=a&eqk=eqk_web_3_201609121949.xml&x=23&y=19] |
9월 12일 오후 8:32:54 | 경주시 남남서쪽 8.7 km 지역 | 5.8 | 5.4 | VI | [http://www.kma.go.kr/weather/earthquake_volcano/report.jsp?prevEqkType=a&eqkType=a&eqk=eqk_web_3_201609122037.xml&x=8&y=7] |
2016년 9월 12일 오후 7시 44분에 릭터 규모 5.1의 강력한 지진이 발생하였다. 경주에서 발생한 2차례의 지진으로 서울, 부산과 같은 전국에서 시민들이 강력한 지진을 느낀 뒤 불안감을 호소하며 119에 신고 전화가 빗발쳤다. 지진의 진앙지는 경주와 울산 중간 지점인 경주시 내남면 내남초등학교 인근으로 밝혀졌다. 경주시 내남면은 울산광역시와도 가까운 거리이며, 두 번째 발생한 강진 때는 집안의 물건이 넘어지는 현상이 발생했다. 지진의 진동은 전라도, 경상도, 충청도, 제주도, 부산, 강원도, 서울 등 전국 각지에서 감지되었다. 또한 전진을 쓰시마섬에서 일본 기상청 진도 계급 최대 2를 계측하였다.[20]
48분 후인 오후 8시 32분에 규모 5.8의 지진이 또 발생하였다. 첫 진앙지와 두 번째 진앙지는 직선거리로 1.4km 떨어져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 지진으로 부산에 있는 80층 고층 건물이 흔들렸으며, 서울 종로구에서도 3~5초간 건물이 흔들리는 것을 느꼈다고 한다. 그리고 일본에서도 쓰시마섬에 일본 기상청 진도 계급 최대 3을, 규슈 북부 및 시마네현 등지에서 진도 1의 유감지진을 느꼈다.[21]
전진 발생 시각은 19시 44분 33초이며, 진원은 경주시의 남서쪽 약 10 km, 진원의 깊이는 약 10 km이다. 본진 발생 시각은 20시 32분 54초이며, 진원은 경주시의 남쪽 약 8 km, 진원의 깊이는 약 10 km이다. 일본에서도 쓰시마시에서 진도 3을 관측한 외에, 규슈 북부와 주고쿠 지방에서도 흔들림을 관측했다.
일본의 보도에서는 '''대한민국 동남부 지진'''이라는 표기도 보인다.
2. 2. 9월 19일 여진
본진 발생 7일 만인 9월 19일 오후 8시 33분 59초 경북 경주시 남남서쪽 11km에서 moment magnitude|모멘트 규모영어 4.6의 여진이 발생하였다.[16] 부산, 울산을 포함한 경상도 지역은 물론이고, 서울 등의 수도권에서도 지진이 감지되었다.발생일시 (KST) | 진원지 | 좌표 | 진원 깊이 | 릭터 규모 (KMA) | 모멘트 규모 (USGS) | 최대진도 | 출처 |
---|---|---|---|---|---|---|---|
9월 19일 오후 8:33:58 | 경주시 남남서쪽 11 km 지역 | 17 km | 4.5 | 4.6 | V | [http://www.kma.go.kr/weather/earthquake_volcano/report.jsp?prevEqkType=a&eqkType=a&eqk=eqk_web_3_201609192037.xml&x=26&y=6] |
2. 3. 이후 여진
9월 19일 오후 8시 33분 59초 경북 경주 남남서쪽 11km 지점에서 모멘트 규모 4.6의 여진이 발생하였다. 부산, 울산을 포함한 경상도 지역은 물론이고, 서울 등 수도권에서도 지진을 감지하였다.[19]9월 21일 오전 3시 36분 경북 경주 남남서쪽 8km 지점에서 규모 2.9의 여진이 발생하였으며, 이후 오전 11시 36분 경북 경주시 남서쪽 9km 지점에서 규모 2.2의 여진이 발생하였다. 그로부터 약 20분 후인 오전 11시 53분 54초에 경북 경주시 남남서쪽 10km 지점에서 규모 3.5의 여진이 발생하였다.[19]
2017년 11월 15일 기준 규모 1.5 이상의 여진은 총 640회에 달한다.[19]
2. 4. 지진 규모 및 위력
리히터 규모 5.8의 경주 지진은 TNT 폭탄 500kt이 한 번에 폭발한 위력과 같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사흘 전 규모 5.0의 인공지진을 낸 북한 5차 핵실험 위력(TNT 10kt)의 50배 규모이다.전진은 19시 44분 33초에 발생했으며, 진원은 경주시 남서쪽 약 10km, 진원 깊이는 약 10 km이다. 본진은 20시 32분 54초에 발생했으며, 진원은 경주시 남쪽 약 8km, 진원 깊이는 약 10 km이다. 일본 쓰시마시에서 진도 3을 관측한 것 외에, 규슈 북부와 주고쿠 지방에서도 흔들림을 관측했다.
일본 언론 보도에서는 '''대한민국 동남부 지진'''이라는 표기도 사용되었다.
여진으로 보이는 흔들림도 수백 차례 이어졌으며, 19일 밤에는 규모 4.5의 지진이 거의 같은 위치를 진원으로 관측되었다.
3. 원인 분석
2016년 9월 12일 경주시 내남면에서 규모 5.1의 전진과 규모 5.8의 본진이 발생하였다. 단층면해 분석 결과, 지진을 일으킨 단층은 북북동-남남서(또는 서북서-동남동) 방향의 주향 이동 단층으로 추정되며, 주 압축 응력 방향은 동북동-서남서 방향으로 나타났다.[16] 지진 발생의 주요 원인은 양산 단층과 덕천 단층 사이의 '''내남 단층'''의 활동으로 추정된다.
3. 1. 내남 단층
양산 단층과 덕천 단층 사이에서 지진을 발생시킨 단층이 발견되었다. 이 단층은 내남면의 이름을 따 '''내남 단층'''이라고 명명되었다. 깊이 10~16 km에 있는 소규모 단층인데, 여러 조각으로 쪼개져 복잡한 구조를 띠고 있다.[17][18] 연구팀은 경상도 부근에 작용하고 있는 힘이 내남 단층이 활동하기에 유리한 방향으로 가해지고 있다며 2016년 지진 규모를 넘는 지진이 발생할 가능성도 있다고 분석했다. 최대 규모 지진은 모멘트 규모 6.1까지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17][18]4. 피해 및 영향
2016년 9월 12일 오후 7시 44분에 리히터 규모 5.1의 전진과 오후 8시 32분에 규모 5.8의 본진이 발생했다. 이로 인해 부산, 울산, 대구 등 경상도 지역을 중심으로 건물이 흔들리고 물건이 떨어지는 등 피해가 발생했다.
첫 번째 지진과 두 번째 지진의 진앙지는 직선거리로 1.4km 떨어져 있었으며, 경주와 울산 중간 지점인 경주시 내남면 내남초등학교 인근으로 밝혀졌다. 내남면은 울산광역시와도 가까워, 두 번째 지진 때는 집안의 물건이 넘어지는 현상이 발생했다.
지진의 진동은 전라도, 경상도, 충청도, 제주도, 부산, 강원도, 서울 등 전국 각지에서 감지되었다. 전국에서 시민들이 강력한 지진을 느낀 뒤 불안감을 호소하며 119에 신고 전화가 빗발쳤다.
9월 19일 오후 8시 33분경에는 경북 경주 남남서쪽 11km 지점에서 모멘트 규모 4.6의 여진이 발생했다. 이 여진은 부산, 울산을 포함한 경상도 지역은 물론이고, 서울 등의 수도권에서도 감지되었다. 2017년 11월 15일 기준으로 규모 1.5 이상의 여진은 총 640회에 달했다.[19]
발생일시 (KST) | 진원지 | 릭터 규모 | 최대 진도 |
---|---|---|---|
9월 12일 오후 7:44:32 | 경주시 남남서쪽 8.2 km 지역 | 5.1 | V |
9월 12일 오후 8:32:54 | 경주시 남남서쪽 8.7 km 지역 | 5.8 | VI |
9월 19일 오후 8:33:58 | 경주시 남남서쪽 11 km 지역 | 4.5 | V |
4. 1. 시설물 피해
지진 여파로 부산국제금융센터에는 필수 인력을 제외한 모든 인원에게 대피령이 내려졌다.[22] 부산 도시철도 1~4호선은 5분간 정지되었다.[23] 울산화력발전소의 LNG 복합화력발전 4호기가 가동을 중지했으며, 월성원자력발전소도 1~4호기에 수동으로 가동 중지 조치가 취해졌다.[24][25] 카카오톡은 일시적으로 불통되기도 하였다.[26]불국사 대웅전 지붕 및 오릉 담장 일부 기와가 탈락됐고, 석굴암 진입로에 낙석이 발생했다.[28] 첨성대의 꼭대기 돌이 심하게 기울어졌다.
지진의 여파로 김천역 KTX 작업인부 사망 사고가 발생하였다. 경주시의 월성원자력발전소가 수동으로 가동을 중단했으며, 한국고속철도(KTX)가 운행을 중단했다.[11]
4. 2. 문화재 피해
불국사 대웅전 지붕 및 오릉 담장 일부 기와가 탈락되었고, 석굴암 진입로에 낙석이 발생했다.[28] 첨성대 상단부가 기울어지는 현상이 발생했다.4. 3. 인명 피해
지진의 여파로 김천역 KTX 작업인부 사망 사고가 발생하였다.4. 4. 일본
2016년 9월 12일 쓰시마섬에서 일본 기상청 진도 계급 최대 3을 기록하는 등 일본 서부 일부 지역에서도 지진이 감지되었다.[21][27] 규슈 북부 및 시마네현 등지에서 진도 1의 유감지진을 느꼈다.[21]일본 쓰시마시에서 진도 3, 규슈 북부와 주고쿠 지방에서도 흔들림이 관측되었다.
4. 5. 재난문자 발송 지연
국민안전처는 2016년 9월 12일 저녁 8시 40분쯤 경상북도 경주시 인근에서 발생한 규모 5.8의 2차 지진과 관련해 121개 지방자치단체에 재난안전문자를 보냈지만, 이 지역 SKT와 KT 4G 가입자 전체가 문자를 받지 못했다고 밝혔다. 안전처는 2,100만 명 가운데 절반이 넘는 1,200만 명이 재난안전 문자를 받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29]안전처는 두 이동통신사의 통신망이 폭주하면서 문자 발송이 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며, 통신망 증설 등 관련 대책을 통신사와 함께 논의할 방침이라고 밝혔다.[29]
4. 6. 원자력 발전소 안전 문제
경주 지진으로 월성원자력발전소가 수동으로 가동을 중단하면서, 원자력 발전소의 안전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었다.[11] 더불어민주당은 원전 안전 점검 강화와 투명한 정보 공개를 촉구했다.4. 7. 한국수력원자력
한국수력원자력은 2016년 9월 12일 두 차례의 지진 발생에도 불구하고, 전국의 원전 가동에는 이상이 없는 것으로 파악된다고 밝혔다.[11]4. 8. 기상청
기상청은 이번 지진이 육지에서 발생하여 해일 가능성은 없다고 발표했다.[1] 한국수력원자력은 12일 두 차례의 지진이 있었으나 전국의 원전 가동에는 이상이 없는 것으로 파악된다고 밝혔다.[1]참조
[1]
웹사이트
M5.4 – 6 km S of Kyonju, South Korea
https://earthquake.u[...]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2016-09-12
[2]
웹사이트
Strongest-ever earthquake hits Korea, tremors felt nationwide
https://www.koreatim[...]
2016-09-12
[3]
웹사이트
S. Korea still presumed safe from major earthquakes: experts
http://www.koreahera[...]
2016-09-12
[4]
뉴스
韓国南西部の地震受け「隠れ断層」の調査急がれる
https://world.kbs.co[...]
KBSワールド
2024-06-13
[5]
웹사이트
M5.4 - 8km S of Kyonju, South Korea
http://earthquake.us[...]
アメリカ地質調査所
2016-08-24
[6]
뉴스
韓国・慶州で観測史上最大M5.8の地震
http://www.chosunonl[...]
2016-09-13
[7]
뉴스
韓国・慶州でM5.8の地震 観測史上最大=全国で揺れ
http://japanese.yonh[...]
聯合ニュース
2016-09-12
[8]
웹사이트
地震情報
https://earthquake.t[...]
日本気象協会
2016-09-12
[9]
뉴스
韓国南東部地震、原発に異常なし 負傷者は8人
https://web.archive.[...]
2016-09-13
[10]
뉴스
南東部の慶州付近でM4.5余震
http://world.kbs.co.[...]
韓国放送公社
2016-09-19
[11]
뉴스
韓国南東部で観測史上最大規模の地震 余震91回、原発やKTXが停止
https://www.sankei.c[...]
2016-09-13
[12]
뉴스
기상청 경주 규모 5.8 지진 부상자 21명으로 늘어…피해 49건
http://mbn.mk.co.kr/[...]
MBN
2016-09-13
[13]
뉴스
"[뉴스초점] 사상 최강 지진 1년…천년 고도 경주는 어떻게 변했나"
https://news.naver.c[...]
연합뉴스TV
2017-09-11
[14]
웹인용
지진정보 기상청
http://www.weather.g[...]
기상청
2016-09-12
[15]
웹인용
국내 지진 규모별 순위
http://www.weather.g[...]
기상청
2016-09-12
[16]
웹인용
2016년 9월 12일에 발생한 경주지진의 특성 분석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the Gyeongju Earthquake on September 12, 2016)
https://www.riss.kr/[...]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8
[17]
뉴스
'[단독] "국내 최대 규모" 경주 지진, 정확한 원인 밝혀졌다'
https://www.youtube.[...]
SBS
2022-10-04
[18]
문서
단층 분석으로 발생할 수 있는 최대 규모를 계산하는 데는 [[지진 모멘트]]가 활용된다.
[19]
뉴스
'[종합]기상청장 "포항 지진, 남한 전 지역서 감지…여진 수개월"'
https://news.naver.c[...]
2017-11-15
[20]
웹인용
震度データベース検索 (地震別検索結果)
http://www.data.jma.[...]
일본 기상청
2016-09-12
[21]
웹인용
震度データベース検索 (地震別検索結果)
http://www.data.jma.[...]
일본 기상청
2016-09-12
[22]
뉴스
부산 63층 국제금융센터 필수인력 빼고 전원 대피령(속보)
https://news.naver.c[...]
매일경제
2016-09-12
[23]
뉴스
부산 아파트 유리창 깨지고 도시철도 운행 일시중단
https://news.naver.c[...]
매일경제
2016-09-12
[24]
뉴스
'[긴급] 경주 지진으로 울산 LNG 복합화력 4호기 가동 중지'
https://news.naver.c[...]
국민일보
2016-09-12
[25]
뉴스
월성원전 4기 정밀 안전점검 위해 수동 정지(종합2보)
http://www.yonhapnew[...]
2016-09-13
[26]
뉴스
"[속보] 경주에서 규모 5.1 지진 발생...카카오톡 불통"
http://www.ytn.co.kr[...]
YTN
2016-09-12
[27]
문서
[[일본방송협회|NHK]]의 보도에 따른 것으로 풀이한다.
[28]
뉴스
문화재청 "경주 지진…불국사 기와 탈락·석굴암 진입로 낙석"
http://news1.kr/arti[...]
한국일보
2016-09-12
[29]
웹인용
"[단독] 재난문자 또 먹통...1,200만 명 못 받아"
http://www.ytn.co.kr[...]
2016-09-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