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6·26 국민평화대행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6·26 국민평화대행진은 1987년 6월 26일, 전두환 정권의 4·13 호헌 조치에 반대하며 민주 헌법 쟁취를 요구하며 전국적으로 벌어진 대규모 시위이다. 6월 민주항쟁의 일환으로, 180만여 명이 전국 33개 도시와 4개 군에서 참여했다. 6월 29일, 민주정의당 노태우 대통령 후보가 6·29 선언을 통해 대통령 직선제 개헌을 약속하면서 6·26 국민평화대행진은 6월 민주항쟁의 승리를 이끌고 한국 민주주의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2. 배경

1987년, 4·13 호헌 조치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을 계기로 민주헌법쟁취국민운동본부가 결성되었다. 6월 10일, 민주헌법쟁취국민운동본부는 '박종철군 고문치사 조작, 은폐 규탄 및 호헌철폐 국민대회'를 개최하였다.[1] 전날 발생한 이한열 최루탄 피격 사건은 6·18 최루탄추방대회로 이어졌다.[2]

6월 17일, 민주화추진협의회(민추협)는 민주헌법쟁취국민운동본부(국본)와 공동으로 국민평화대행진을 실시하겠다고 발표했다.[3] 6월 23일, 국본은 26일 오후 6시에 전국적으로 '민주헌법쟁취를 위한 국민평화대행진'을 진행하겠다는 성명을 발표하였다.[4] 6월 24일, 전두환 대통령과 김영삼 통일민주당 총재 간의 영수회담이 열렸으나, 4·13 호헌 조치 철회는 무산되고[5] 김대중 민추협 공동의장의 가택 연금 해제에 그치면서 협상은 결렬되었다.[6] 6월 25일, 국본은 영수회담이 형식적인 대타협의 선전 공세에 불과하며 정치적 탄압이 강화될 것이라 주장하고, 예정대로 26일에 국민평화대행진을 전국적으로 강행하겠다고 밝혔다.[7]

2. 1. 6월 민주항쟁

1987년에 대통령 간선제 유지를 골자로 하는 4·13 호헌 조치와 1월에 있었던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에 대한 규탄을 계기로 민주헌법쟁취국민운동본부가 결성되었다. 6월 10일에 열린 대통령 후보 선출을 위한 민정당 전당대회에 맞서 민주헌법쟁취국민운동본부는 6월 10일 '''박종철군 고문치사 조작, 은폐 규탄 및 호헌철폐 국민대회'''를 개최하였다.[1] 한편 그 전날인 6월 9일에 발생한 이한열 최루탄 피격 사건은 6·18 최루탄추방대회로 이어졌다.[2]

2. 2. 준비 과정

6월 17일에 민주화추진협의회(민추협)는 민주헌법쟁취국민운동본부(국본)와 공동으로 국민평화대행진을 실시하겠다고 하였다.[3] 6월 23일에 국본은 26일 오후 6시에 전국에서 동시에 '민주헌법쟁취를 위한 국민평화대행진'을 진행하겠다는 성명을 발표하였다.[4] 6월 24일에 전두환 대통령과 김영삼 통일민주당 총재 간의 영수회담이 열렸으나, 4·13 호헌 조치 철회는[5] 무산되고 김대중 민추협 공동의장의 가택 연금 해제에 그치면서 협상은 결렬되었다.[6] 6월 25일에 국본은 영수회담이 형식적인 대타협의 선전 공세에 불과하며 정치적 탄압이 강화될 것이라 주장하고, 예정대로 26일에 국민평화대행진을 전국적으로 강행하겠다고 밝혔다.[7] 한편 전국 상당수의 대학에서는 다음 날 진행될 대행진을 위한 교내 집회와 시국 토론회가 열렸다.[8]

3. 국민평화대행진의 진행

1987년 6월 26일, 전국 33개 도시와 4개 군에서 180만여 명이 참여하는 대규모 시위가 벌어졌다.[5] 경찰은 시위 진압을 위해 5만 6천여 명을 배치했고, 시위대와 경찰 간의 격렬한 충돌로 경찰서 2개소, 파출소 29개소, 민정당 지구당사 4개소 등이 불탔다.[8]

3. 1. 지역별 진행 상황

전국 33개 도시와 4개 군에서 180만여 명이 참여하였다.[5] 시위 진압을 위해 경찰 5만 6천여 명이 24곳의 평화대행진 집회 및 시위 예상 도시에 배치되었고, 경찰서 2개소, 파출소 29개소, 민정당 지구당사 4개소 등이 불탔다.[8]

언론 보도에 따라 알려진 국민평화대행진이 벌어진 지역은 아래와 같다.[9][10]


3. 1. 1. 서울

서울특별시에서는 남대문, 종로, 신세계백화점 본점 앞, 서울역 등에서 국민평화대행진이 열렸고, 시위 진압이 벌어졌다.[11]

3. 1. 2. 부산

부산에서는 시민, 학생, 종교인 등이 참여하였으며, 가톨릭부산교구 사제단은 '민주화와 인권회복을 위한 특별미사'를 마친 후 침묵평화대행진을 벌였다.[12]

3. 1. 3. 대구

대구 6·26 평화대행진은 중앙공원에서 시작할 예정이었으나 경찰의 봉쇄로 옛 유신학원 네거리, 반월당, 수도산 일대에서 벌어졌다.[13]

3. 1. 4. 기타 지역

전국 33개 도시와 4개 군에서 180만여 명이 참여하였다.[5] 시위 진압을 위해 경찰 5만 6천여 명이 24곳의 평화대행진 집회 및 시위 예상 도시에 배치되었고, 경찰서 2개소, 파출소 29개소, 민정당 지구당사 4개소 등이 불탔다.[8]

언론 보도에 따라 알려진 국민평화대행진이 벌어진 지역은 아래와 같다.[9][10]


4. 결과

6·26 국민평화대행진 3일 뒤인 6월 29일, 민정당 대통령 후보 노태우6·29 선언을 통해 대통령 직선제 개헌을 약속하였다.[14]

5. 의의 및 영향

6·26 국민평화대행진 이후 3일 만인 6월 29일, 노태우 대통령 후보는 6·29 선언을 통해 대통령 직선제를 포함한 개헌을 약속하였다.[14]

참조

[1] 웹인용 6ㆍ10항쟁 https://archives.kde[...]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사료관 오픈아카이브 2024-06-30
[2] 웹인용 6.18 최루탄추방대회 https://archives.kde[...]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사료관 오픈아카이브 2024-06-30
[3] 뉴스 오늘 최루탄추방 行事 民推協,적극 참여키로 https://newslibrary.[...]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2024-06-30
[4] 뉴스 26일「平和 대행진」 民憲運서 强行발표 https://newslibrary.[...]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2024-06-30
[5] 웹인용 6ㆍ26 국민대행진 https://archives.kde[...]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사료관 오픈아카이브 2024-06-30
[6] 뉴스 4.13철회 분명히 밝혔어야 青瓦臺회담후의 金泳三총재 https://newslibrary.[...]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2024-06-30
[7] 뉴스 大行進강행 政局긴장 https://newslibrary.[...]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2024-06-30
[8] 뉴스 「大行進참가」各大學 집회 https://newslibrary.[...]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2024-06-30
[9] 뉴스 37개市邑서 大行進공방 大都市 深夜까지 격렬시위 https://newslibrary.[...]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2024-06-30
[10] 뉴스 37개市·郡서 街頭시위 https://newslibrary.[...]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2024-06-30
[11] 웹인용 국가기록사진 6.25 국민평화대행진 https://www.ehistory[...] 2024-06-30
[12] 웹인용 부산의 국민평화대행진 https://archives.kde[...]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사료관 오픈아카이브 2024-06-30
[13] 웹인용 대구 6·26평화대행진 https://www.grandcul[...] 향토문화전자대전 2024-06-30
[14] 뉴스 "어려운決断" "훌륭한決定" 두金씨 환영 https://newslibrary.[...]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2024-06-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