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17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817년은 당나라 원화 12년, 일본 고닌 8년, 발해 주작 5년, 신라 헌덕왕 9년에 해당하며, 발해 희왕이 사망하고 간왕이 즉위했다. 신라에서는 2월과 4월에 걸쳐 귀화하는 사건이 있었고, 8월에는 한신 지방에 강풍과 해일로 220명이 사망하는 피해가 발생했다. 서유럽에서는 루이 1세가 카롤링거 왕조를 세 아들들에게 나누어주는 칙령을 발표했고, 베네벤토 공국의 그리몰드 4세가 암살당했다. 종교적으로는 교황 스테파노 4세가 사망하고 파스칼 1세가 교황으로 즉위했으며, 아헨 공의회에서 수도원 칙령을 채택했다. 민애왕, 아부 다우드, 알-파트 이븐 카칸 등이 탄생했고, 발해 희왕, 교황 스테파노 4세, 그리몰드 4세 등이 사망했다.
2. 연호
3. 기년
4. 사건
4. 1. 서유럽
여름 – 루이 1세 황제가 질서 있는 계승 계획을 세운 칙령인 ''Ordinatio Imperii''를 발표하였다. 그는 카롤링거 왕조를 세 아들들에게 나누어 주었다. 장남인 로타르 1세는 아헨에서 공동 황제로 선포되고 그의 형제들의 봉건 영주가 되었다. 그는 부르고뉴 왕국(독일과 갈리아 지역 포함)을 다스리게 되었다. 둘째 아들인 페팽 1세는 아키텐의 왕으로 선포되고 가스코뉴 공국(툴루즈 백작령 주변의 변경지역과 세프티마니아 일부 포함)을 받았다. 막내인 루이 독일인은 바이에른 공국의 왕으로 선포되고 동프랑크 왕국을 다스리게 되었다.[1]
4. 2. 북아프리카
지야다트 알라 1세가 아글라브 왕조의 세 번째 아미르가 되어 이프리키야(지금의 튀니지)를 다스리게 되었다. 그의 통치 기간 동안 아글라브 왕조와 아랍 군대 사이의 관계는 계속 긴장 상태를 유지했다.[1]
5. 종교
1월 24일 – 교황 스테파노 4세가 7개월의 재위 후 로마에서 사망하고, 교황 파스칼 1세가 가톨릭 교회 제98대 교황으로 계승한다.[1]
아헨 공의회(816~819년 공의회): 프랑크 왕국에서 수도원 생활에 관한 베네딕도 규칙을 담은 수도원 칙령을 채택한다.[2]
6. 문화
817년에는 특별한 문화적 사건이나 업적이 기록되지 않았다.
7. 탄생
8. 사망
- 발해 희왕 대언의 - 발해의 제8대 태왕.
- 1월 24일 - 스테파누스 4세 - 제97대 교황.[1]
- 그리몰드 4세 - 베네벤토 공국의 공작.[2]
- 쿠리아코스 - 안티오키아 총대주교.[3]
- 티브라이데 막 케테르나흐 - 클론퍼트 수도원장.
- 테오파네스 고백자 - 비잔티움 수도사. (818년 사망했다는 설도 있음)
- 우위안지 - 당나라의 장군.
- 1월 9일 - 거세야족 - 나라 시대 및 헤이안 시대의 장군, 정치가.
- 3월 21일 - 승도 - 나라 시대 및 헤이안 시대의 승려.
- 5월 14일 - 조원내친왕 - 나라 시대 및 헤이안 시대의 황족, 사이궁, 헤이조 천황의 황후.
- 10월 29일 - 후지와라 나와주 - 나라 시대 및 헤이안 시대의 공경.
- 이하 - 당나라의 한시 시인.
참조
[1]
서적
Annales Beneventani
818-00-00 # 추정 연도만 제공됨. 정확한 날짜는 불명
[2]
서적
明日の防災に活かす災害の歴史〈2〉平安時代~戦国時代
小峰書店
2020-04-07
[3]
웹사이트
国史大系第5巻>日本紀略 前編十四>嵯峨天皇>日本後紀巻第廿六 427頁(222コマ)
https://dl.ndl.go.jp[...]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