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G4 국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G4 국가는 제2차 세계 대전의 승전국 중 브라질, 독일, 인도, 일본을 지칭하며, 이들은 국제 연합 안전 보장 이사회(UNSC) 상임이사국(P5) 진출을 목표로 하는 국가들이다. 이들은 UNSC 비상임 이사국으로 선출된 경험이 있으며, P5 국가에 비해 GDP가 높은 국가도 있다. G4 국가들은 UNSC 개혁을 통해 아프리카 국가를 포함한 상임이사국 확대를 주장하며, 다른 국가들의 지지와 반대에 직면해 있다. G4는 유엔 안보리 개혁을 위해 정상 회담 및 외무 장관 회담을 개최하고 공동 성명을 발표하는 등 활발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유엔 관계 - 유엔자원봉사단
    유엔자원봉사단(UNV)은 개발도상국의 기술 구축을 지원하기 위해 1970년 설립된 유엔 산하 기구로서, 국제 자원봉사 서비스의 영향을 받아 매년 1만 명의 자원봉사자를 동원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온라인 자원 봉사 서비스와 2030 지속 가능한 개발 의제 달성에도 기여한다.
  • 독일-유엔 관계 -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개혁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개혁은 2차 세계 대전 이후 안보리 구성에 대한 변화 요구로 시작되어 이사국 수 확대, 상임이사국 지위 및 거부권 조정 등을 논의하며, 다양한 국가와 그룹들이 각자의 입장을 표명하고 총회 태스크포스를 통해 개혁 방안을 모색하는 과정이다.
  • 인도-유엔 관계 -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개혁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개혁은 2차 세계 대전 이후 안보리 구성에 대한 변화 요구로 시작되어 이사국 수 확대, 상임이사국 지위 및 거부권 조정 등을 논의하며, 다양한 국가와 그룹들이 각자의 입장을 표명하고 총회 태스크포스를 통해 개혁 방안을 모색하는 과정이다.
  • 인도-유엔 관계 - 인도와 유엔
    인도는 유엔 창립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국제 평화와 안전 유지에 기여, 비동맹 운동의 중재자 역할 수행, 개발도상국 지원, 국제 여성의 날 및 국제 요가의 날 제정 주도 등 유엔 내에서 적극적으로 활동하고 있다.
G4 국가
G4
목적UNSC 개혁
결성2005년
회원국
브라질 국기
브라질
독일 국기
독일
인도 국기
인도
일본 국기
일본
지도자

2. 역사적 배경

UN은 거부권을 가진 미국, 영국, 프랑스, 러시아, 중국 5개의 상임이사국을 두고 있다. 이들은 제2차 세계 대전의 승전국들로 구성되어 있다.[2] G4 국가들은 해당 지역 그룹에 의해 안전 보장 이사회의 비상임 이사국으로 정기적으로 2년 임기로 선출된다.[2] 2024년까지 일본은 12번, 브라질은 11번, 인도는 8번, 독일은 6번(구 서독 포함) 선출되었다.

G4 국가들은 모두 현재 상임 이사국 중 GDP가 가장 낮은 러시아보다 높은 GDP를 가지고 있다.

3. G4 국가 및 P5 국가 비교

제2차 세계 대전의 승전국들인 중국, 프랑스, 러시아, 영국, 미국은 거부권을 가진 상임이사국이다. G4 국가들은 안전 보장 이사회의 비상임 이사국으로 정기적으로 2년 임기로 선출된다. 1987년부터 2010년까지 브라질일본은 각각 5번, 독일은 4번(서독 1번, 통일 독일 3번), 인도는 8번 선출되었다.[2] G4는 UN 창설 이후 안전 보장 이사회에서 총 64년을 보냈으며, 각 국가는 최소 10년 이상 재임했다.[3]

3. 1. G4 및 P5 국가 데이터 비교

G4 국가와 P5 국가 비교
국가 데이터
BRA

CHN

FRA

GER

IND

JPN

RUS

U.K.

U.S.
G4 국가
or
P5 국가
G4P5P5G4G4G4P5P5P5
지역라틴 아메리카와
카리브해
아시아 태평양서유럽서유럽아시아 태평양아시아 태평양동유럽서유럽북아메리카
인구2.7%
7위
17.9%
2위
0.9%
20위
1.1%
19위
17.9%
1위
1.6%
11위
1.9%
9위
0.9%
21위
4.2%
3위
영토8515767km2
5위
9596961km2
4위
640679km2
42위
357114km2
62위
3287263km2
7위
377973km2
61위
17098246km2
1위
242495km2
78위
9833517km2
3위
명목 GDP
(US$ 조)
2.33조달러
8위
18.53조달러
2위
3.13조달러
7위
4.59조달러
3위
3.93조달러
5위
4.11조달러
4위
2.05조달러
11위
3.59조달러
6위
28.78조달러
1위
GDP (PPP)
(US$ 조)
4.27조달러
8위
35.29조달러
1위
3.98조달러
10위
5.68조달러
5위
14.59조달러
3위
6.72조달러
4위
5.47조달러
6위
4.02조달러
9위
28.78조달러
2위
UN 자금12.95%
8위
12.01%
2위
4.43%
6위
6.09%
4위
0.83%
21위
8.56%
3위
2.41%
10위
4.57%
5위
22.00%
1위
UN 평화 유지 자금20.59%
19위
15.22%
2위
5.61%
6위
6.09%
4위
0.17%
38위
8.56%
3위
3.04%
8위
5.79%
5위
27.89%
1위
UN 평화 유지군282
47위
2,531
9위
706
30위
504
37위
5,353
5위
6
105위
70
70위
279
48위
33
78위
국방 예산
(US$ 십억)
200억달러
17위
2920억달러
2위
530억달러
8위
558억달러
7위
814억달러
4위
460억달러
10위
864억달러
3위
685억달러
6위
8870억달러
1위
군대 (현역)366,500
13위
2,185,000
1위
208,750
23위
183,500
27위
1,455,550
2위
247,150
19위
1,320,000
4위
148,500
34위
1,328,000
3위
군대 (예비군)1,340,000
4위
1,170,000
6위
141,050
30위
50,050
48위
1,155,000
5위
56,000
41위
2,000,000
2위
80,000
35위
744,950
9위
준군사 (현역)395,000
8위
660,000
6위
30,800
43위
0
2,526,950
3위
14,350
60위
554,000
60위
0
0
군대 (총계)2,101,500
7위
4,015,000
5위
380,600
28위
233,550
45위
5,137,500
4위
317,500
37위
3,874,000
6위
275,053
40위
2,072,950
8위
활성 우주 프로그램
헬기 수송함 프로젝트
항공모함 프로젝트
핵잠수함 프로젝트
활성 핵무기350
3위
290
4위
160
7위
5,977
1위
225
5위
5,428
2위
1연간 UN 예산 분담율 2UN 평화 유지 기금 분담율 3독일은 NATO 핵 공유 협정에 참여한다.


4. 국제 사회의 지지 및 반대 의견

G4 국가들의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상임이사국 진출에 대해 국제 사회는 다양한 의견을 보이고 있다.

상임이사국들은 대체로 G4 국가들의 진출에 대해 긍정적이거나 조건부 지지 의사를 밝혔다. 영국프랑스는 G4 국가 모두를 지지했고,[4] 미국일본브라질을 지지했다.[5][11] 러시아인도브라질을 지지하며,[15][19] 중국은 과거 인도일본과 연계하지 않는다는 전제 하에 지지 의사를 밝힌 바 있다.[7][8][9][10]

하지만 G4 각 국가에 대한 반대 의견도 존재한다. 특히 일본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전쟁 범죄에 대한 진정한 사과가 필요하다는 이유로 중국,[20]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등의 반대에 직면해 있다.

G4 국가들의 상임이사국 진출에 반대하는 국가들은 컨센서스 단결이라는 모임을 결성하여 활동하고 있다.

4. 1. 지지

영국프랑스는 G4의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상임이사국 진출을 지지했다.[4] 미국일본의 상임이사국 진출을 지지했으며,[5] 브라질에 대해서는 거부권이 없는 상임이사국 지위를 지지하는 의사를 밝혔다.[11] 러시아인도와 브라질의 상임이사국 진출을 지지한다.[15][19]

4. 2. 반대

일본의 상임이사국 진출 시도는 중국[20],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러시아, 대한민국의 강력한 반대에 직면해 있다. 이들 국가는 일본이 제2차 세계 대전 중 저지른 전쟁 범죄에 대해 진심으로 사죄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탈리아[21] 주도로 G4 국가의 상임이사국 진출에 반대하는 국가들은 컨센서스 단결 운동('클럽'이라고도 함)을 결성했다. 이들은 주로 인근 국가의 상임이사국 진출에 반대하는 지역 강국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비상임 안보리 이사국 수를 늘리고 거부권 행사를 제한하는 것을 지지한다. 이들은 안보리에 영구 이사국을 추가하는 것은 해당 자리를 얻는 국가에게만 이익이 된다고 주장하며, 비상임 이사국의 확대를 통해 유엔 안보리가 더욱 유연하고 민주적으로 운영될 수 있다고 믿는다.[22]

라틴 아메리카에서는 아르헨티나브라질의 상임이사국 진출에 반대하며,[23] 아시아에서는 파키스탄인도의 진출 시도에 반대한다.[24]

아프리카 연합은 에줄위니 컨센서스를 통해 안보리에서 아프리카의 대표성이 부족하다는 점을 지적하며, 5개의 새로운 비상임 이사국과 2개의 새로운 상임 이사국을 아프리카 국가에 할당할 것을 요구한다.[25]

G4의 상임이사국 진출에 반대하는 국가들은 컨센서스 연합을 형성하고 있으며, 주요 국가로는 이탈리아, 멕시코, 대한민국, 아르헨티나, 파키스탄이 있다. 동아시아에서는 대한민국이 일본에, 유럽에서는 이탈리아, 스페인, 네덜란드가 독일에, 라틴 아메리카에서는 아르헨티나, 콜롬비아, 멕시코가 브라질에, 남아시아에서는 파키스탄이 인도에 반대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일본의 전쟁 범죄나 독일의 홀로코스트 등 역사 문제도 중요한 쟁점이 되고 있다.

5. G4의 활동

개혁된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와 G4 및 P5 회원국


G4 정상 회담 (2015년 9월 26일)


G4는 안보리 개혁을 위한 국제적 노력을 지속해 왔다. 2017년에는 G4 국가들이 안보리 상임이사국 지위를 부여받을 경우 거부권을 일시적으로 포기할 의향이 있다고 보도되었다.[31]

국제 연합 안전 보장 이사회는 현재 미국, 영국, 프랑스, 러시아, 중국 5개국이 상임 이사국을 맡고 있지만, G4 국가들은 각 지역 몫으로 2년 임기의 비상임 이사국으로 빈번하게 선출되고 있다. 2024년까지 G4 국가들의 비상임이사국 선출 횟수는 다음과 같다.

국가선출 횟수
일본12번
브라질11번
인도8번
독일6번 (구 서독 포함)



G4 국가들은 모두 현재 상임 이사국 중 GDP가 가장 낮은 러시아보다 높은 GDP를 가지고 있다. G4의 상임 이사국 진입에 반대하는 컨센서스 연합(통칭 커피 클럽)에 속하는 이탈리아, 캐나다, 스페인도 마찬가지이다.

5. 1. 주요 활동

G4는 유엔 안보리 상임이사국에 자국 외에 아프리카 국가 2개국을 추가할 것을 제안했다. 그러나 2005년 여름, 아프리카 연합은 후보 2개국 합의에 실패했고, 이집트, 나이지리아,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모두 상임이사국 자리를 주장했다.[26][27]

2005년 9월 유엔 총회는 유엔 창설 60주년을 기념했지만, 회원국 간 협상 의지 부족으로 안보리 확대 등 시급한 개혁이 중단되었다.

G4는 2005년 7월 유엔 총회에 안보리 확대 결의안을 제출했으나 채택되지 않았다.[28][29] 2011년 2월 12일, G4 외무장관 회담에서 안보리 개혁을 위한 공동 성명을 발표했다.

2015년 9월,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는 G4 정상 회담을 개최하여 안보리 개혁 실현을 위한 협력 강화에 합의했다.[30]

2019년 9월과 2023년 9월, G4는 유엔 총회 기간 중 공동 언론 성명을 통해 안보리 개혁의 필요성을 재확인하고, 아프리카 국가의 상임이사국 진출 지지 입장을 밝혔다.[32][33]

6. 현재 G4 국가 정상

국가직함사진이름취임일
Brasil|브라지우pt브라질 연방 공화국 대통령--룰라 다 시우바2023년 1월 1일
Deutschland|도이칠란트de독일 연방 공화국 총리--올라프 숄츠2021년 12월 8일
भारत|바라트hi인도 공화국 총리--나렌드라 모디2014년 5월 26일
日本|니혼일본어일본국 총리--이시바 시게루2024년 10월 1일


7. 현재 G4 국가 각료

회원국외무 장관이름국방 장관이름
브라질외무 장관마우루 비에이라국방 장관조제 무시오
독일외무 장관아날레나 베어보크국방 장관보리스 피스토리우스
인도외무 장관수브라마냠 자이샨카르국방 장관라즈나트 싱
일본외무 장관이와야 다케시방위 장관나카타니 겐


참조

[1] 웹사이트 Japan Says No to G4 Bid http://www.globalpol[...] Globalpolicy.org 2006-01-07
[2] 웹사이트 Membership of the Security Council https://www.un.org/s[...] 2010-07-06
[3] 문서 List of members of the 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
[4] 웹사이트 Joint UK-France Summit Declaration http://www.number10.[...] British Prime Minister’s 2008-03-27
[5] 뉴스 US backs Japan's UNSC bid despite setback to momentum http://www.chinadail[...] People's Daily 2005-04-19
[6] 뉴스 UK backs Japan for UNSC bid http://www.centralch[...] Central Chronicle 2007-01-11
[7] 웹사이트 China Should Back India for a Permanent UN Security Council Seat https://thediplomat.[...] 2021-02-12
[8] 웹사이트 China supports India's bid for UNSC seat: Wen http://in.chineseemb[...]
[9] 뉴스 China ready to support Indian bid for UNSC http://www.thehindu.[...] 2011-07-16
[10] 웹사이트 Countries Welcome Work Plan as Security Council Reform Process Commences New Phase http://www.centerfor[...] Center for UN Reform Education
[11] 뉴스 Powell: Brazil Not Developing Nukes https://www.foxnews.[...] News Channel 2009-06-28
[12] 웹사이트 Global Brazil and U.S.-Brazil Relations http://www.cfr.org/b[...] 2019-09-16
[13] 웹사이트 France and Brazil http://www.diplomati[...]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France 2009-06-28
[14] 웹사이트 Joint UK-France Summit Declaration http://www.number10.[...] British Prime Minister's 2008-03-27
[15] 간행물 Putin in Brazil http://www.brazzilma[...] Brazzil 2009-06-28
[16] 웹사이트 Foreign Minister Sergey Lavrov's remarks and answers to questions at a plenary session of the Raisina Dialogue international conference, New Delhi, January 15, 2020 https://www.mid.ru/e[...] 2020-01-17
[17] 웹사이트 UK backs Brazil as permanent Security Council member http://webarchive.na[...] 2009-03-27
[18] 뉴스 BRICS divulga "Declaração de Brasília" https://g1.globo.com[...] 2019-11-14
[19] 웹사이트 Foreign Minister Sergey Lavrov's remarks and answers to questions at a plenary session of the Raisina Dialogue international conference, New Delhi, January 15, 2020 https://www.mid.ru/e[...] 2020-01-17
[20] 웹사이트 Allying with Japan at Security Council is India's 'Biggest Mistake': Chinese Media http://www.ndtv.com/[...] 2016-04-12
[21] 웹사이트 Players and Proposals in the Security Council Debate http://www.globalpol[...] 2005-07-03
[22] 웹사이트 "'UNITING FOR CONSENSUS' GROUP OF STATES INTRODUCES TEXT ON SECURITY COUNCIL REFORM TO GENERAL ASSEMBLY {{!}} Meetings Coverage and Press Releases" https://www.un.org/p[...] 2021-05-19
[23] 웹사이트 People's Daily Online -- Argentina opposes Brazilian admission to UN Security Council http://en.people.cn/[...] 2022-03-02
[24] 웹사이트 Pakistan opposes India's demand for UNSC seat https://www.dawn.com[...] 2020-09-27
[25] 웹사이트 African Union. Inventory of International Nonproliferation Organizations and Regimes http://cns.miis.edu/[...] 2011-10-25
[26] 간행물 Africa's Battle for Power in the Security Council https://www.un.org/a[...] United Nations Radio 2005-07-21
[27] 간행물 Africa: Security Council Expansion http://www.africafoc[...] AfricaFocus Bulletin 2005-04-30
[28] 웹사이트 International Review, Summer, 2006 by Emily Bruemmer http://findarticles.[...] 2011-04-08
[29] 웹사이트 Japan Says No to G4 Bid http://www.globalpol[...] Global Policy Forum, News24.com 2006-01-07
[30] 웹사이트 India pushes the envelope at G4 Summit: PM Modi tells UNSC to make space for largest democracies http://www.firstpost[...] 2015-09-27
[31] 웹사이트 India Offers To Temporarily Forgo Veto Power If Granted Permanent UNSC Seat http://www.huffingto[...] 2017-03-09
[32] 뉴스 Joint Press Statement http://www.itamaraty[...] 2019-09-25
[33] 뉴스 Joint Press Statement https://www.gov.br/m[...] 2023-09-21
[34] 웹사이트 安保理改革の経緯と現状 https://www.mofa.go.[...] 外務省 2009-10
[35] 웹사이트 2005年世界サミット成果文書 https://www.mofa.go.[...] 外務省仮訳 2005-09-16
[36] 뉴스 安保理改革へG4外相級会合 https://web.archive.[...] 産経新聞 2011-02-12
[37] 웹사이트 安保理改革に関するG4首脳会合 https://www.mofa.go.[...] 外務省 2015-09-27
[38] 뉴스 미국의 일본 UN안보리 진출 지원 http://www.chinadail[...] 인민일보 2005-04-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