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IBSF 세계 선수권 대회 (봅슬레이 및 스켈레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IBSF 세계 선수권 대회는 국제 봅슬레이 스켈레톤 연맹(IBSF)이 주관하는 봅슬레이와 스켈레톤 종목의 세계 선수권 대회이다. 1930년 스위스에서 봅슬레이 4인승 경기로 시작되었으며, 1931년 2인승, 1982년 스켈레톤, 2000년 여자 봅슬레이 2인승과 여자 스켈레톤, 2007년 혼성팀, 2020년 스켈레톤 혼성팀, 2021년 여자 모노봅 경기가 추가되었다. 대회는 동계 올림픽 개최년을 제외하고 매년 개최되며, 유럽과 북미를 중심으로 여러 도시에서 개최되었다. 독일, 스위스, 캐나다 등이 강세를 보이며, 대한민국은 2016년 윤성빈 선수가 스켈레톤 은메달을 획득하며 첫 메달을 획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봅슬레이 대회 - 올림픽 봅슬레이
    올림픽 봅슬레이는 1924년 샤모니 동계 올림픽에서 처음 정식 종목으로 채택된 썰매 종목으로, 남자 2인승, 남자 4인승, 여자 2인승, 여자 1인승(모노봅) 등의 세부 종목으로 구성되며, 독일, 스위스, 미국 등이 메달 순위에서 상위권을 차지하고 대한민국은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에서 남자 4인승 공동 금메달을 획득했다.
  • 스켈레톤 - 국제 봅슬레이 스켈레톤 연맹
    국제 봅슬레이 스켈레톤 연맹(IBSF)은 1923년 창설되어 봅슬레이와 스켈레톤 경기를 관장하며, 주요 대회 주관, 종목 발전 및 보급, 규정 제정, 트랙 공인 등의 활동을 하는 국제 스포츠 기구이다.
IBSF 세계 선수권 대회 (봅슬레이 및 스켈레톤)
IBSF 세계 선수권 대회 (봅슬레이 및 스켈레톤)
기본 정보
종목봅슬레이
스켈레톤
주관IBSF
첫 대회1930년 (봅슬레이)
최신 대회2024년
개최 빈도매년
대회 역사
초기 역사1924년 동계 올림픽에서 봅슬레이가 처음으로 올림픽 종목이 됨.
1930년에 첫 봅슬레이 세계 선수권 대회가 개최됨.
스켈레톤은 1928년 동계 올림픽에서 데뷔했으나, 2002년에 다시 올림픽 종목으로 채택됨.
통합2007년부터 봅슬레이와 스켈레톤 세계 선수권 대회가 통합되어 개최됨.
2016년, IBSF가 FIBT에서 명칭 변경됨.
봅슬레이 세부 종목
남자2인승
4인승
여자2인승
모노봅
스켈레톤 세부 종목
남자개인전
여자개인전
혼성 종목
혼성팀 이벤트
기타
관련 대회동계 올림픽
봅슬레이 월드컵
스켈레톤 월드컵

2. 역사

1930년 스위스에서 4인승 봅슬레이 세계 선수권 대회가 처음으로 개최되었다. 이듬해인 1931년에는 독일 오버호프에서 2인승 봅슬레이 대회가 열렸다. 이후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중단되었고, 1947년에는 스위스 생모리츠에서 2인승과 4인승 봅슬레이 종목을 통합한 첫 세계 선수권 대회가 개최되었다.

스켈레톤은 1982년 생모리츠 대회부터 도입되었고, 여자 스켈레톤은 2000년 오스트리아 인스브루크 대회부터 포함되었다.

일본에서는 2003년에 나가노시 봅슬레이·루지 파크(스파이럴)에서 스켈레톤 경기가 개최되었다.

현재는 동계 올림픽 개최년을 제외하고 매년 개최되고 있다.

3. 종목

3. 1. 봅슬레이

미국2008202354615P3엘라나 마이어스 테일러(Elana Meyers Taylor)미국200920244329B/P4안야 슈나이더하인체-슈토켈(Anja Schneiderheinze-Stöckel)align="left" |2004201633–6B/P5로미 로그슈(Romy Logsch)align="left" |200720113––3B6캐슬린 마르티니(Cathleen Martini)align="left" |200320152338P7라우라 놀테(Laura Nolte)align="left" |202120242125P8프란치스카 베르텔스(Franziska Bertels)align="left" |201320172114B9아니카 드라젭(Annika Drazek)align="left" |2015201921–3B베리트 비아커(Berit Wiacker)align="left" |2007201221–3B



== 남자 2인승 ==

1931년에 처음 도입되었다.

순위국가합계
1독일393432105
2스위스39232385
3미국7172852
4이탈리아1818642
5서독11131236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width:800px;"

|-

! style="width:16%; background:#efefef;" | 시즌

! style="width:28%; background:gold" | 금메달

! style="width:28%; background:silver" | 은메달

! style="width:28%; background:#CC9966"| 동메달

|-

|1931 오버호프

| 독일/Deutschlandde (바이마르 공화국)
한스 킬리안
제바스티안 후버

| 독일/Deutschlandde (바이마르 공화국)
비보 피셔
게머

| 오스트리아/Österreichde
하인츠 볼크머
안톤 칼텐베르거

|-

|1933 슈라이버하우

| 루마니아
알렉산드루 파파너
두미트루 후베르트

|Brüme
발터 하인즐

|독일/Deutschlandde (바이마르 공화국)
프리츠 그라우
알베르트 브레메

|-

|1934 엔겔베르크

| 루마니아
알렉산드루 프림
바실레 두미트레스쿠

|독일/Deutschlandde (1933)
헤르만 폰 뭄
프리츠 슈바르츠

| 루마니아
알렉산드루 파파너
두미트루 후베르트

|-

|1935 이글스

|레토 카파드루트
에밀 디에너

|요제프 란젠도르퍼
카렐 루지치카

| 이탈리아 (1861)
마르케세 스토르자 비르비오
칼로 솔베니

|-

|1937 코르티나 담페초

|프레데릭 맥이보이
브라이언 블랙

| 이탈리아 (1861)
움베르토 질라르두치
안토니오 질라르두치

|레토 카파드루트
한스 아이켈레

|-

|1938 생모리츠

|독일/Deutschlandde (나치 독일)
비보 피셔
롤프 티엘레케

|프레데릭 맥이보이
찰스 그린

|프리츠 파이어아벤트
요제프 베를리

|-

|1939 생모리츠

| 벨기에
르네 룬덴
장 쿠프스

|독일/Deutschlandde (나치 독일)
비보 피셔
롤프 티엘레케

|독일/Deutschlandde (나치 독일)
한스 킬리안
슐레터

|-

|1947 생모리츠

|프리츠 파이어아벤트
슈테판 바서

|펠릭스 엔드리히
프리츠 발러

| 벨기에
맥스 후벤
자크 무베

|-

|1949 레이크 플래시드

|펠릭스 엔드리히
프리츠 발러

|프리츠 파이어아벤트
하인리히 앙스트

| 미국 (1912)
프레데릭 포춘
존 맥도널드

|-

|1950 코르티나 담페초

|프리츠 파이어아벤트
슈테판 바서

| 미국 (1912)
스탠리 벤햄
패트릭 마틴

| 미국 (1912)
프레데릭 포춘
윌리엄 다미코

|-

|1951 알프 퓔즈

|서독/Bundesrepublik Deutschlandde
안데를 오스트러
로렌츠 니베르트

| 미국 (1912)
스탠리 벤햄
패트릭 마틴

|펠릭스 엔드리히
베르너 슈프링

|-

|1953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

|펠릭스 엔드리히
프리츠 슈토클리

|서독/Bundesrepublik Deutschlandde
안데를 오스트러
프란츠 켐서

|서독/Bundesrepublik Deutschlandde
테오 키트
로렌츠 니베르트

|-

|1954 코르티나 담페초

| 이탈리아
구글리엘모 샤이브마이어
안드레아 잠벨리

| 이탈리아
이탈로 페트렐리
루이지 피골리

| 미국 (1912)
스탠리 벤햄
제임스 빅퍼드

|-

|1955 생모리츠

|프리츠 파이어아벤트
해리 워버턴

| 오스트리아
폴 아스테
페피 이서

|프란츠 카푸스
하인리히 앙스트

|-

|1957 생모리츠

| 이탈리아
우제니오 몬티
렌조 알베라

| 미국 (1912)
아서 타일러
토마스 버틀러

|스페인/Españaes (1945)
알폰소 드 포르타고
루이스 무뇨스

|-

|1958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

| 이탈리아
우제니오 몬티
렌조 알베라

| 이탈리아
세르지오 자르디니
세르지오 시오르파에스

| 오스트리아
폴 아스테
페피 이서

|-

|1959 생모리츠

| 이탈리아
우제니오 몬티
렌조 알베라

| 이탈리아
세르지오 자르디니
세르지오 시오르파에스

| 미국 (1959)
아서 타일러
토마스 버틀러

|-

|1960 코르티나 담페초

| 이탈리아
우제니오 몬티
렌조 알베라

|서독/Bundesrepublik Deutschlandde
프란츠 셸레
오토 괴블

| 이탈리아
세르지오 자르디니
루치아노 알베르티

|-

|1961 레이크 플래시드

| 이탈리아
우제니오 몬티
세르지오 시오르파에스

| 미국
개리 셰필드
제리 테넌트

| 이탈리아
세르지오 자르디니
로마노 보나구라

|-

|1962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

| 이탈리아
리날도 루아티
엔리코 드 로렌조

| 이탈리아
세르지오 자르디니
로마노 보나구라

|서독/Bundesrepublik Deutschlandde
한스 마우러
아돌프 뵈어만

|-

|1963 이글스

| 이탈리아
우제니오 몬티
세르지오 시오르파에스

| 이탈리아
세르지오 자르디니
로마노 보나구라

|앤서니 내시
로빈 딕슨

|-

|1965 생모리츠

|앤서니 내시
로빈 딕슨

| 이탈리아
리날도 루아티
엔리코 드 로렌조

| 캐나다 (1957)
빅 에머리
마이클 영

|-

|1966 코르티나 담페초

| 이탈리아
우제니오 몬티
세르지오 시오르파에스

| 이탈리아
잔프랑코 가스파리
레오나르도 카발리니

|앤서니 내시
로빈 딕슨

|-

|1967 알프 퓔즈

| 오스트리아
어윈 탈러
라인홀트 둠탈러

| 이탈리아
네비오 드 조르도
에도아르도 드 마르틴

| 미국
하워드 클리프턴
제임스 크롤

|-

|1969 레이크 플래시드

| 이탈리아
네비오 드 조르도
아드리아노 프라시넬리

|루마니아/Româniaro (1965)
이온 판추루
두미트루 포크셰네아누

| 이탈리아
잔프랑코 가스파리
마리오 아르마노

|-

|1970 생모리츠

|서독/Bundesrepublik Deutschlandde
호르스트 플로트
페피 바더

|서독/Bundesrepublik Deutschlandde
볼프강 지머러
페터 우츠슈나이더

|기온 카비첼
한스 칸드리안

|-

|1971 체르비니아

| 이탈리아
잔프랑코 가스파리
마리오 아르마노

| 이탈리아
엔조 비카리오
코라도 달 파브로

| 오스트리아
허베르트 그루버
요제프 오버하우저

|-

|1973 레이크 플래시드

|서독/Bundesrepublik Deutschlandde
볼프강 지머러
페터 우츠슈나이더

|한스 칸드리안
하인츠 쉔커

|루마니아/Româniaro (1965)
이온 판추루
두미트루 포크셰네아누

|-

|1974 생모리츠

|서독/Bundesrepublik Deutschlandde
볼프강 지머러
페터 우츠슈나이더

|서독/Bundesrepublik Deutschlandde
게오르크 하이블
프리츠 오르베르터

|프리츠 뤼디
칼 헤젤리

|-

|1975 체르비니아

| 이탈리아
조르조 알베라
프랑코 페루케

|서독/Bundesrepublik Deutschlandde
게오르크 하이블
프리츠 오르베르터

|프리츠 뤼디
칼 헤젤리

|-

|1977 생모리츠

|한스 힐테브란트
하인츠 마이어

|프리츠 뤼디
한스외르크 트락셀

|서독/Bundesrepublik Deutschlandde
슈테판 가이스라이터
만프레드 슈만

|-

|1978 레이크 플래시드

|에리히 셰러
요제프 벤츠

|마인하르트 네머
라이문트 베트게

|서독/Bundesrepublik Deutschlandde
야코프 레슈
발터 바르푸스

|-

|1979 쾨니히제

|에리히 셰러
요제프 벤츠

|서독/Bundesrepublik Deutschlandde
슈테판 가이스라이터
만프레드 슈만
프리츠 오르베르터

|서독/Bundesrepublik Deutschlandde
토니 망골드
슈테판 슈페테

|-

|1981 코르티나 담페초

|베르나르트 게르메샤우젠
한스-위르겐 게르하르트

|호르스트 셰나우
안드레아스 키르히너

|에리히 셰러
요제프 벤츠

|-

|1982 생모리츠

|에리히 셰러
맥스 뤼에그

|한스 힐테브란트
율리히 배흘리

|호르스트 셰나우
안드레아스 키르히너

|-

|1983 레이크 플래시드

|랄프 피흘러
우르스 로이트홀트

|에리히 셰러
맥스 뤼에그

|볼프강 호페
디트마르 샤우어하머

|-

|1985 체르비니아

|볼프강 호페
디트마르 샤우어하머

|데틀레프 리히터
슈테펜 그룸트

| 소련
진티스 에크마니스
니콜라이 지로프

|-

|1986 쾨니히제

|볼프강 호페
디트마르 샤우어하머

|랄프 피흘러
셀레스테 폴테라

|데틀레프 리히터
슈테펜 그룸트

|-

|1987 생모리츠

|랄프 피흘러
셀레스테 폴테라

|한스 힐테브란트
앙드레 키저

|볼프강 호페
디트마르 샤우어하머

|-

|1989 코르티나 담페초

|볼프강 호페
보그단 무시오우

|구스타프 베더
브루노 게르버

| 소련
야니스 키푸르스
알디스 인틀러스

|-

|1990 생모리츠

|구스타프 베더
브루노 게르버

|하랄트 추다이
악셀 장

|볼프강 호페
보그단 무시오우

|-

|1991 알텐베르크

|루디 로흐너
마르쿠스 치머만

|구스타프 베더
쿠르딘 모렐

|볼프강 호페
르네 하네만

|-

|1993 이글스

|크리스토프 랑겐
피어 요켈

|구스타프 베더
도나트 악클린

|볼프강 호페
르네 하네만

|-

|1995 빈터베르크

|크리스토프 랑겐
올라프 험펠

| 캐나다
피에르 루더스
잭 파이크

| 프랑스
에리크 알라르
에리크 르 샤노니

|-

|1996 캘거리

|크리스토프 랑겐
마르쿠스 치머만

| 캐나다
피에르 루더스
데이비드 맥이처런

|레토 괴치
구이도 악클린

|-

|1997 생모리츠

|레토 괴치
구이도 악클린

| 이탈리아
귄터 후버
안토니오 타르탈리아

| 미국

3. 1. 1. 남자 2인승

1931년에 처음 도입되었다.

순위국가합계
1독일393432105
2스위스39232385
3미국7172852
4이탈리아1818642
5서독11131236



시즌금메달은메달동메달
1931 오버호프독일/Deutschlandde (바이마르 공화국)
한스 킬리안
제바스티안 후버
독일/Deutschlandde (바이마르 공화국)
비보 피셔
게머
오스트리아/Österreichde
하인츠 볼크머
안톤 칼텐베르거
1933 슈라이버하우루마니아
알렉산드루 파파너
두미트루 후베르트
Brüme
발터 하인즐
독일/Deutschlandde (바이마르 공화국)
프리츠 그라우
알베르트 브레메
1934 엔겔베르크루마니아
알렉산드루 프림
바실레 두미트레스쿠
독일/Deutschlandde (1933)
헤르만 폰 뭄
프리츠 슈바르츠
루마니아
알렉산드루 파파너
두미트루 후베르트
1935 이글스레토 카파드루트
에밀 디에너
요제프 란젠도르퍼
카렐 루지치카
이탈리아 (1861)
마르케세 스토르자 비르비오
칼로 솔베니
1937 코르티나 담페초프레데릭 맥이보이
브라이언 블랙
이탈리아 (1861)
움베르토 질라르두치
안토니오 질라르두치
레토 카파드루트
한스 아이켈레
1938 생모리츠독일/Deutschlandde (나치 독일)
비보 피셔
롤프 티엘레케
프레데릭 맥이보이
찰스 그린
프리츠 파이어아벤트
요제프 베를리
1939 생모리츠벨기에
르네 룬덴
장 쿠프스
독일/Deutschlandde (나치 독일)
비보 피셔
롤프 티엘레케
독일/Deutschlandde (나치 독일)
한스 킬리안
슐레터
1947 생모리츠프리츠 파이어아벤트
슈테판 바서
펠릭스 엔드리히
프리츠 발러
벨기에
맥스 후벤
자크 무베
1949 레이크 플래시드펠릭스 엔드리히
프리츠 발러
프리츠 파이어아벤트
하인리히 앙스트
미국 (1912)
프레데릭 포춘
존 맥도널드
1950 코르티나 담페초프리츠 파이어아벤트
슈테판 바서
미국 (1912)
스탠리 벤햄
패트릭 마틴
미국 (1912)
프레데릭 포춘
윌리엄 다미코
1951 알프 퓔즈서독/Bundesrepublik Deutschlandde
안데를 오스트러
로렌츠 니베르트
미국 (1912)
스탠리 벤햄
패트릭 마틴
펠릭스 엔드리히
베르너 슈프링
1953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펠릭스 엔드리히
프리츠 슈토클리
서독/Bundesrepublik Deutschlandde
안데를 오스트러
프란츠 켐서
서독/Bundesrepublik Deutschlandde
테오 키트
로렌츠 니베르트
1954 코르티나 담페초이탈리아
구글리엘모 샤이브마이어
안드레아 잠벨리
이탈리아
이탈로 페트렐리
루이지 피골리
미국 (1912)
스탠리 벤햄
제임스 빅퍼드
1955 생모리츠프리츠 파이어아벤트
해리 워버턴
오스트리아
폴 아스테
페피 이서
프란츠 카푸스
하인리히 앙스트
1957 생모리츠이탈리아
우제니오 몬티
렌조 알베라
미국 (1912)
아서 타일러
토마스 버틀러
스페인/Españaes (1945)
알폰소 드 포르타고
루이스 무뇨스
1958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이탈리아
우제니오 몬티
렌조 알베라
이탈리아
세르지오 자르디니
세르지오 시오르파에스
오스트리아
폴 아스테
페피 이서
1959 생모리츠이탈리아
우제니오 몬티
렌조 알베라
이탈리아
세르지오 자르디니
세르지오 시오르파에스
미국 (1959)
아서 타일러
토마스 버틀러
1960 코르티나 담페초이탈리아
우제니오 몬티
렌조 알베라
서독/Bundesrepublik Deutschlandde
프란츠 셸레
오토 괴블
이탈리아
세르지오 자르디니
루치아노 알베르티
1961 레이크 플래시드이탈리아
우제니오 몬티
세르지오 시오르파에스
미국
개리 셰필드
제리 테넌트
이탈리아
세르지오 자르디니
로마노 보나구라
1962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이탈리아
리날도 루아티
엔리코 드 로렌조
이탈리아
세르지오 자르디니
로마노 보나구라
서독/Bundesrepublik Deutschlandde
한스 마우러
아돌프 뵈어만
1963 이글스이탈리아
우제니오 몬티
세르지오 시오르파에스
이탈리아
세르지오 자르디니
로마노 보나구라
앤서니 내시
로빈 딕슨
1965 생모리츠앤서니 내시
로빈 딕슨
이탈리아
리날도 루아티
엔리코 드 로렌조
캐나다 (1957)
빅 에머리
마이클 영
1966 코르티나 담페초이탈리아
우제니오 몬티
세르지오 시오르파에스
이탈리아
잔프랑코 가스파리
레오나르도 카발리니
앤서니 내시
로빈 딕슨
1967 알프 퓔즈오스트리아
어윈 탈러
라인홀트 둠탈러
이탈리아
네비오 드 조르도
에도아르도 드 마르틴
미국
하워드 클리프턴
제임스 크롤
1969 레이크 플래시드이탈리아
네비오 드 조르도
아드리아노 프라시넬리
루마니아/Româniaro (1965)
이온 판추루
두미트루 포크셰네아누
이탈리아
잔프랑코 가스파리
마리오 아르마노
1970 생모리츠서독/Bundesrepublik Deutschlandde
호르스트 플로트
페피 바더
서독/Bundesrepublik Deutschlandde
볼프강 지머러
페터 우츠슈나이더
기온 카비첼
한스 칸드리안
1971 체르비니아이탈리아
잔프랑코 가스파리
마리오 아르마노
이탈리아
엔조 비카리오
코라도 달 파브로
오스트리아
허베르트 그루버
요제프 오버하우저
1973 레이크 플래시드서독/Bundesrepublik Deutschlandde
볼프강 지머러
페터 우츠슈나이더
한스 칸드리안
하인츠 쉔커
루마니아/Româniaro (1965)
이온 판추루
두미트루 포크셰네아누
1974 생모리츠서독/Bundesrepublik Deutschlandde
볼프강 지머러
페터 우츠슈나이더
서독/Bundesrepublik Deutschlandde
게오르크 하이블
프리츠 오르베르터
프리츠 뤼디
칼 헤젤리
1975 체르비니아이탈리아
조르조 알베라
프랑코 페루케
서독/Bundesrepublik Deutschlandde
게오르크 하이블
프리츠 오르베르터
프리츠 뤼디
칼 헤젤리
1977 생모리츠한스 힐테브란트
하인츠 마이어
프리츠 뤼디
한스외르크 트락셀
서독/Bundesrepublik Deutschlandde
슈테판 가이스라이터
만프레드 슈만
1978 레이크 플래시드에리히 셰러
요제프 벤츠
마인하르트 네머
라이문트 베트게
서독/Bundesrepublik Deutschlandde
야코프 레슈
발터 바르푸스
1979 쾨니히제에리히 셰러
요제프 벤츠
서독/Bundesrepublik Deutschlandde
슈테판 가이스라이터
만프레드 슈만
프리츠 오르베르터
서독/Bundesrepublik Deutschlandde
토니 망골드
슈테판 슈페테
1981 코르티나 담페초베르나르트 게르메샤우젠
한스-위르겐 게르하르트
호르스트 셰나우
안드레아스 키르히너
에리히 셰러
요제프 벤츠
1982 생모리츠에리히 셰러
맥스 뤼에그
한스 힐테브란트
율리히 배흘리
호르스트 셰나우
안드레아스 키르히너
1983 레이크 플래시드랄프 피흘러
우르스 로이트홀트
에리히 셰러
맥스 뤼에그
볼프강 호페
디트마르 샤우어하머
1985 체르비니아볼프강 호페
디트마르 샤우어하머
데틀레프 리히터
슈테펜 그룸트
소련
진티스 에크마니스
니콜라이 지로프
1986 쾨니히제볼프강 호페
디트마르 샤우어하머
랄프 피흘러
셀레스테 폴테라
데틀레프 리히터
슈테펜 그룸트
1987 생모리츠랄프 피흘러
셀레스테 폴테라
한스 힐테브란트
앙드레 키저
볼프강 호페
디트마르 샤우어하머
1989 코르티나 담페초볼프강 호페
보그단 무시오우
구스타프 베더
브루노 게르버
소련
야니스 키푸르스
알디스 인틀러스
1990 생모리츠구스타프 베더
브루노 게르버
하랄트 추다이
악셀 장
볼프강 호페
보그단 무시오우
1991 알텐베르크루디 로흐너
마르쿠스 치머만
구스타프 베더
쿠르딘 모렐
볼프강 호페
르네 하네만
1993 이글스크리스토프 랑겐
피어 요켈
구스타프 베더
도나트 악클린
볼프강 호페
르네 하네만
1995 빈터베르크크리스토프 랑겐
올라프 험펠
캐나다
피에르 루더스
잭 파이크
프랑스
에리크 알라르
에리크 르 샤노니
1996 캘거리크리스토프 랑겐
마르쿠스 치머만
캐나다
피에르 루더스
데이비드 맥이처런
레토 괴치
구이도 악클린
1997 생모리츠레토 괴치
구이도 악클린
이탈리아
귄터 후버
안토니오 타르탈리아
미국
브라이언 시머
로버트 올레센
1999 코르티나 담페초이탈리아
귄터 후버
엔리코 코스타
우발도 란지
크리스토프 랑겐
마르쿠스 치머만
프랑스
브루노 밍종
에마뉘엘 오스타슈
2000 알텐베르크크리스토프 랑겐
마르쿠스 치머만
안드레 랑게
르네 호페
크리스티안 라이히
우르스 에버핸드
2001 생모리츠크리스토프 랑겐
마르코 야콥스
레토 괴치
세드릭 그랑
마르틴 아넨
비트 헤프티
2003 레이크 플래시드안드레 랑게
케빈 쿠스케
캐나다
피에르 루더스
줄리오 자르도
르네 스파이스
프란츠 자그마이스터
2004 쾨니히제캐나다
피에르 루더스
줄리오 자르도
크리스토프 랑겐
마르쿠스 치머만
안드레 랑게
케빈 쿠스케
2005 캘거리캐나다
피에르 루더스
라셀레스 브라운
안드레 랑게
케빈 쿠스케
마르틴 아넨
비트 헤프티
2007 생모리츠안드레 랑게
케빈 쿠스케
이보 뤼에그
알렉산드르 스트렐초프
토미 헤르초그
이탈리아
시모네 베르타조
사무엘레 로마니니
2008 알텐베르크안드레 랑게
케빈 쿠스케
토마스 플로르슈츠
미르코 팻쫄트
러시아/Россияru


3. 1. 2. 남자 4인승

}|wikitable sortable|순위| 순위 }}

!}

|style="background:gold; width:}|wikitable sortable|6em|4.5em}}; font-weight:bold;"|금

|style="background:silver; width:}|wikitable sortable|6em|4.5em}}; font-weight:bold;"|은

|style="background:#cc9966; width:}|wikitable sortable|6em|4.5em}}; font-weight:bold;"|동

!style="width:}|wikitable sortable|6em|4.5em}};"|합계

|}

|-

| 1 ||align=left| 스위스 || 39 || 34 || 32 || 105

|-

| 2 ||align=left| 독일 (1930-39, 1991부터) || 39 || 23 || 23 || 85

|-

| 3 ||align=left| 미국 || 7 || 17 || 28 || 52

|-

| 4 ||align=left| 이탈리아 || 18 || 18 || 6 || 42

|-

| 5 ||align=left| 서독 (1951-90) || 11 || 13 || 12 || 36

|}

남자 4인승 경기는 1930년에 처음 도입되었다.

3. 1. 3. 여자 2인승

여자 2인승 경기는 2000년에 처음 도입되었다.

역대 메달 순위 (상위 5개국):

순위국가합계
1독일1111830
2미국45716
3캐나다2237
4영국1102
5스위스1012



시즌금메달은메달동메달
2000 빈터베르크{{llang & 캐슬린 헤링미국
장 라신 & 제니퍼 데이비슨
{{llang & 카타리나 주터
2001 캘거리{{llang & 카타리나 주터미국
장 라신 & 제니퍼 데이비슨
{{llang & 타냐 헤스
2003 빈터베르크{{llang & 아네그레트 디트리히{{llang & 울리케 홀츠너{{llang & 이본느 체르노타
2004 쾨니히스제{{llang & 크리스티나 바더{{llang & 안야 슈나이더하인체미국
장 라신 & 보네타 플라워스
2005 캘거리{{llang & 안야 슈나이더하인체{{llang & 재키 데이비스미국
쇼나 로보크 & 밸러리 플레밍
2007 생모리츠{{llang & 로미 로그슈{{llang & 야닌 티셔미국
쇼나 로보크 & 밸러리 플레밍
2008 알텐베르크{{llang & 로미 로그슈{{llang & 야닌 티셔{{llang & 니콜 헤르슈만
2009 레이크 플래시드{{llang & 질리언 쿡미국
쇼나 로보크 & 엘라나 마이어스
{{llang & 야닌 티셔
2011 쾨니히스제{{llang & 로미 로그슈미국
쇼나 로보크 & 밸러리 플레밍
캐나다
카일리 험프리스 & 헤더 모이스
2012 레이크 플래시드캐나다
카일리 험프리스 & 제니퍼 치오체티
{{llang & 페트라 람메르트미국
엘라나 마이어스 & 케이티 에버링
2013 생모리츠캐나다
카일리 험프리스 & 첼시 발로아
미국
엘라나 마이어스 & 케이티 에버링
{{llang & 프란치스카 베르텔스
2015 빈터베르크미국
엘라나 마이어스 & 셰렐 가렛
{{llang & 아니카 드라젭{{llang & 슈테파니 슈나이더
2016 이글스{{llang & 아니카 드라젭캐나다
카일리 험프리스 & 멜리사 로톨츠
미국
엘라나 마이어스 & 로렌 깁스
2017 쾨니히스제미국
엘라나 마이어스 & 케흐리 존스
캐나다
카일리 험프리스 & 멜리사 로톨츠
미국
제이미 그루벨 포저 & 아야 에반스
2019 위슬러{{llang & 아니카 드라젭{{llang & 안-크리스틴 슈트락캐나다
크리스틴 드 브뤨인 & 크리스텐 부이노프스키
2020 알텐베르크미국
카일리 험프리스 & 로렌 깁스
{{llang & 키라 리퍼하이데캐나다
크리스틴 드 브뤨인 & 크리스텐 부이노프스키
2021 알텐베르크미국
카일리 험프리스 & 롤로 존스
{{llang & 안-크리스틴 슈트락{{llang & 데보라 레비
2023 생모리츠{{llang & 레오니 피비히{{llang & 키라 리퍼하이데미국
카일리 험프리스 & 케이샤 러브
2024 빈터베르크{{llang & 바네사 마르크{{llang & 데보라 레비{{llang & 레오니 피비히


3. 1. 4. 여자 모노봅

여자 모노봅은 2021년 알텐베르크에서 처음 도입되었다. 역대 메달 순위는 다음과 같다.

시즌금메달은메달동메달
2021 알텐베르크카일리 험프리스 (미국)슈테파니 슈나이더 (독일)라우라 놀테 (독일)
2023 생모리츠라우라 놀테 (독일)카일리 험프리스 (미국)리사 부크비츠 (독일)
2024 빈터베르크라우라 놀테 (독일)엘라나 마이어스 테일러 (미국)리사 부크비츠 (독일)



순위국가합계
1독일2136
2미국1203


3. 2. 스켈레톤

wikitext

IBSF 세계 선수권 대회의 남자 스켈레톤 경기는 1982년 처음 도입되었다.

역대 메달 순위 (상위 5개국):

순위국가합계
1독일/Deutschlandde55616
2라트비아/Latvijalv6118
3스위스/Schweizde55414
4캐나다/Canada영어5229
5오스트리아/Österreichde57618



한국은 2016년 윤성빈 선수가 은메달을 획득하며 이 대회에서 첫 메달을 획득했다. 이후 2019년에는 윤성빈이 동메달, 2023년에는 정승기가 동메달을 추가하며 꾸준한 성적을 보여주고있다.

IBSF 세계 선수권 대회 (봅슬레이 및 스켈레톤) 여자부는 2000년에 처음 도입되었다.

역대 메달 순위 (상위 5개국):

순위국가합계
1독일115521
2캐나다23510
3미국2349
4영국2226
5스위스2204



순위선수국가기간 시작기간 종료금메달은메달동메달총계
1크리스토퍼 그로테어align="left" |20152024729
2마르틴스 두쿠르스align="left" |20112019617
3그레고어 슈텔리align="left" |
4악셀 융크align="left" |201520243216
5제프 페인align="left" |20012005213
6라이언 데이븐포트align="left" |19951997213
7프랭크 로멜align="left" |200820131427
알렉산드르 트레탸코프러시아
러시아 봅슬레이 연맹
200920211427
9안디 슈미드align="left" |19901994134
맷 웨스턴align="left" |20232024134



순위선수국가기간 시작기간 종료금메달은메달동메달총계
1티나 헤르만align="left" |20152021729
2마리온 테스align="left" |20092013426
3자클린 파이퍼align="left" |201520243429
4노엘 피커스-페이스align="left" |20052013235
안야 후버align="left" |20082015235
6마야 페데르센-비에리align="left" |
7케이티 우렌더align="left" |200720122136
8수잔느 크레어align="left" |2023202322
9미셸 켈리align="left" |200320081113
10리지 야놀드align="left" |20122017123


3. 2. 1. 남자

IBSF 세계 선수권 대회의 남자 스켈레톤 경기는 1982년 처음 도입되었다.

역대 메달 순위 (상위 5개국):

순위국가합계
1독일/Deutschlandde55616
2라트비아/Latvijalv6118
3스위스/Schweizde55414
4캐나다/Canada영어5229
5오스트리아/Österreichde57618



한국은 2016년 윤성빈 선수가 은메달을 획득하며 이 대회에서 첫 메달을 획득했다. 이후 2019년에는 윤성빈이 동메달, 2023년에는 정승기가 동메달을 추가하며 꾸준한 성적을 보여주고있다.

3. 2. 2. 여자

IBSF 세계 선수권 대회 (봅슬레이 및 스켈레톤) 여자부는 2000년에 처음 도입되었다.

역대 메달 순위 (상위 5개국):

순위국가합계
1독일115521
2캐나다23510
3미국2349
4영국2226
5스위스2204


3. 3. 혼성 팀

3. 3. 1. 봅슬레이 및 스켈레톤 혼성 팀

봅슬레이 및 스켈레톤 혼성 팀 경기는 2007년에 처음 도입되었다. 역대 메달 순위는 다음과 같다.

순위국가합계
185114
22136
30246


3. 3. 2. 스켈레톤 혼성 팀

스켈레톤 혼성 팀 경기는 2020년 알텐베르크 대회에서 처음 도입되었다.

시즌금메달은메달동메달
2020 알텐베르크독일
자클린 페퍼
알렉산더 가스너
캐나다
제인 채널
데이브 그레슈치신
이탈리아
발렌티나 마르갈리오
마티아 가스파리
2021 알텐베르크독일
티나 헤르만
크리스토퍼 그로테어
독일
자클린 페퍼
알렉산더 가스너
러시아
엘레나 니키티나
알렉산드르 트레차코프
2023 생모리츠독일
수잔네 크레어
크리스토퍼 그로테어
영국
로라 디스
맷 웨스턴
영국
브로건 크라울리
크레이그 톰슨
2024 빈터베르크독일
한나 나이제
크리스토퍼 그로테어
영국
태비사 스토커
맷 웨스턴
독일
자클린 페퍼
악셀 융크



순위국가합계
1독일4116
2영국0213
3캐나다0101
4러시아0011
4이탈리아0011


4. 개최지

IBSF 세계 선수권 대회는 1930년부터 현재까지 전 세계 여러 도시에서 개최되었다.[1] 1930년 스위스 몽트뢰(Caux-sur-Montreux)에서 4인조 경기만으로 시작된 제1회 대회를 시작으로, 1931년에는 독일 오버호프에서 2인조 경기가 처음 도입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1940년부터 1946년까지 대회가 개최되지 않았다. 1947년 스위스 생모리츠에서 남자 봅슬레이 전 종목이 처음 도입되면서 대회가 재개되었다. 이후 1982년 생모리츠에서 남자 스켈레톤 경기가, 2000년에는 여자 봅슬레이 2인조(독일 빈터베르크)와 여자 스켈레톤(오스트리아 이글스) 경기가 추가되었다.

2004년 독일 쾨니히제에서는 남자와 여자 봅슬레이 및 스켈레톤 전 종목 대회가 처음으로 한 장소에서 개최되었고, 2007년 스위스 생모리츠에서는 봅슬레이와 스켈레톤을 결합한 혼성 팀 경기가 처음 도입되었다. 2020년 독일 알텐베르크에서는 스켈레톤 혼성 팀 경기가, 2021년 알텐베르크에서는 여자 모노봅 경기가 처음 도입되었다.

개최지는 유럽과 북미를 중심으로 다양하게 선정되었으며, 특히 생모리츠는 10번 이상 대회를 개최하여 가장 많은 개최 횟수를 기록했다. 독일의 알텐베르크와 빈터베르크, 쾨니히제, 오스트리아의 이글스, 미국의 레이크플래시드 등도 여러 차례 대회를 개최했다. 아시아에서는 유일하게 2003년 일본 나가노에서 스켈레톤 경기가 개최되었다.

2017년 대회는 원래 소치, 러시아에서 개최될 예정이었으나 변경되었다.[1]

5. 대한민국 선수 메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