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X 리무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KTX 리무진은 한국고속철도(KTX) 역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운행되는 리무진 버스이다. 2010년 울산역을 시작으로 김천구미역, 신경주역 등에서 운영되었으며, 수도권에서는 SRT와의 경쟁을 위해 광명역을 중심으로 노선이 확장되었다. 광명역 도심공항터미널 운영에 따라 인천국제공항 노선도 개통되었다. KTX 리무진은 한국철도공사의 혁신 정책으로 평가받으며, KTX 역의 교통 허브 역할을 강화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KTX 리무진은 기존 개통된 한국고속철도의 역들이 시내와 먼 거리에 있어 접근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개통되었다. KTX가 2단계 노선이 개통된 2010년 11월 1일을 기해 울산역과 울산광역시 시내를 잇는 리무진버스가 개통되면서, 개통 한달 차에는 1일 평균 2900명, 한 대당 평균 121명이 이용하는 등 성공하였다.[1] 이에 접근성이 낮은 김천구미역 역시 구미시와의 연계를 위해 2011년 4월 11일 1일 26회 김천시 - 김천구미역 - 구미역 등을 잇는 리무진 버스를 개통하였다.[2] 이에 따라 김천구미역의 이용객이 4월 29,372명에서 7월말 기준 31,353명으로 2000여명이 증가하는 성과를 거두었다.[3] 신경주역에서도 비슷한 시기 포항시와 신경주역을 잇는 KTX 리무진이 운행되었으나 포항역의 KTX 개통 이후 폐선되었다.
2. 운행 배경 및 도입 초기
수도권에서는 SRT와의 경쟁을 위해 2017년 1월 11일 코레일네트웍스에서 광명역 - 사당역 간 KTX 리무진 버스를 개통하며 운행이 시작되었다.[4] 이후 송내역과 시흥 요금소, 광명역을 차례로 잇는 리무진버스가 동년 12월 22일 개통되었고[5] 부평구, 원인재역 등 인천 각지와 광명역을 잇는 리무진버스가 2018년 3월 개통되었으나 청라국제도시와 광명역을 잇는 리무진버스는 동년 8월 수요부족으로 폐선되었다.
한편 광명역에 도심공항이 운영됨에 따라 광명역과 인천국제공항을 잇는 버스노선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는데, 이에 따라 인천국제공항을 직통으로 연결하는 공항리무진 버스가 2018년 1월 17일 개통되었다. 인천국제공항으로 향하는 리무진버스는 도심공항 이용객의 증가로 인해 운행 3개월만에 누적 이용객 7만명을 돌파하였다.[6]
KTX 리무진은 한국철도공사의 대표적인 혁신 정책으로 평가받는다. 더 많은 승객이 KTX를 이용할 수 있게 됨에 따라 KTX역이 주변 교통의 중심허브 역할을 할 수 있게 되었기 때문이다.[7]
2. 1. 울산역
5001번은 진목회관, 굴화주공, 무거복개천, 태화호텔, 시청앞, 남구청앞, 보람병원, 태화강역, 현대미포조선을 경유하여 꽃바위까지 운행하며, 배차 간격은 5~50분이다. 학성버스에서 운행한다.
5002번은 우미린2차, 교육청앞, 중구청앞, 학성초교, 현대출고사무소, 현대자동차정문, 남목1동, 현대중공업, 일산해수욕장, 방어동주민센터를 경유하여 꽃바위까지 운행하며, 배차 간격은 10~60분이다. 울산여객에서 운행한다.
5003번은 굴화주공, 삼호교앞, 태화동, 태화루, 성남동, 학성공원을 경유하여 병영사거리까지 운행하며, 배차 간격은 5~70분이다. 공동운수에서 운행한다.
5004번은 굴화주공, 신복로터리, 울산대학교, 법원앞, 공업탑, 수암동주민센터, 덕하시장, S오일정문, 온산읍사무소를 경유하여 남창고등학교까지 운행하며, 배차 간격은 10~65분이다. 울산여객에서 운행한다.
5005번은 천상1교사거리, 우미린2차, 다운동아아파트, 울산테크노파크, 동원로얄듀크2차, 한국석유공사, 근로복지공단·한국산업인력공단, 안전보건공단·동서발전, 중구청입구, 삼일초등학교, 북구청, 울산공항, 시장2리, 신천, 쌍용아진그린타운1차, 아이파크1차를 경유하여 달천까지 운행하며, 배차 간격은 5~120분이다. 신도여객에서 운행하며, 2014년 6월 2일 신설되었다.
노선번호 | 운행구간 | 주요 경유지 | 배차 간격(분) | 운행 업체 | 비고 |
---|---|---|---|---|---|
5001 | 울산역 ↔ 꽃바위 | 진목회관, 굴화주공, 시청앞, 태화강역, 현대미포조선 | 5~50 | 학성버스 | |
5002 | 울산역 ↔ 꽃바위 | 우미린2차, 교육청앞, 현대자동차정문, 현대중공업, 일산해수욕장 | 10~60 | 울산여객 | |
5003 | 울산역 ↔ 병영사거리 | 굴화주공, 삼호교앞, 태화루, 학성공원 | 5~70 | 공동운수 | |
5004 | 울산역 ↔ 남창고등학교 | 굴화주공, 울산대학교, 법원앞, S오일정문, 온산읍사무소 | 10~65 | 울산여객 | |
5005 | 울산역 ↔ 달천 | 다운동아아파트, 한국석유공사, 한국산업인력공단, 울산공항, 쌍용아진그린타운1차 | 5~120 | 신도여객 | 2014년 6월 2일 신설 |
2. 2. 김천구미역
김천터미널과 구미종합터미널을 연결하는 KTX 리무진 노선은 일선교통과 구미버스에서 운행한다. 5000번, 5100번, 5200번 노선이 운행 중이다.노선 번호 | 운행 구간 | 주요 경유지 | 운행 횟수 | 비고 |
---|---|---|---|---|
5000 | 김천터미널 ↔ 김천구미역 ↔ 구미종합터미널 | 구미대학교, 구미역 | 16회 | 2011년 4월 11일 개통 |
5100 | 김천터미널 ↔ 김천구미역 ↔ 황상 | 구미대학교, 구미역, 구미종합터미널, 공단본부, 인동정류장 | 6회 | |
5200 | 김천터미널 ↔ 김천구미역 ↔ 앙포동 | 구미대학교, 구미역, 구미종합터미널, 신평시장, 비산사거리, 금오공과대학교 | 4회 |
2. 3. 신경주역
3. 수도권 노선 확장
'''8507번''' 버스는 화영운수에서 운행하는 노선으로, 소하동 차고지에서 사당역까지 운행한다. 광명역과 서울대입구역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0분이다. 이 노선은 2017년 1월 11일에 개통되었다.
'''6770번'''은 광명역과 인천국제공항 (T1·T2) 사이를 운행하며, 송도국제교(광명역행)를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20~30분이며, 한국철도공사에서 운행한다. 환승 할인은 적용되지 않으며, 2018년 1월 17일에 개통되었다.
3. 1. 사당역 - 광명역 노선
8507번 버스는 화영운수에서 운행하는 노선으로, 소하동 차고지에서 사당역까지 운행한다. 광명역과 서울대입구역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0분이다. 이 노선은 2017년 1월 11일에 개통되었다.3. 2. 인천 지역 노선
6770번은 광명역과 인천국제공항 (T1·T2) 사이를 운행하며, 송도국제교(광명역행)를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20~30분이며, 한국철도공사에서 운행한다. 환승 할인은 적용되지 않으며, 2018년 1월 17일에 개통되었다.3. 3. 인천국제공항 노선
광명역과 인천국제공항(T1·T2)을 운행하는 6770번 노선은 송도국제교를 경유하며, 20~30분 간격으로 한국철도공사에서 운행한다. 이 노선은 환승 할인이 적용되지 않으며 2018년 1월 17일에 개통되었다. 또한, 소하동 차고지와 사당역을 운행하는 8507번 노선은 광명역과 서울대입구역을 경유하며, 10분 간격으로 화영운수에서 운행한다. 이 노선은 2017년 1월 11일에 개통되었다.4. 노선 목록
4. 1. 수도권
번호간격
(분)
2018년 1월 17일 개통
차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