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석유공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국석유공사는 1979년 설립된 대한민국 국영 기업으로, 석유 자원 개발 및 비축, 석유 제품 수출입, 유통구조 개선 등을 주요 기능으로 한다. 1970년대 석유 파동 이후 국내 에너지 자원 개발의 필요성에 따라 설립되었으며, 국내외 석유 및 가스전 개발, 석유 비축 사업, 석유 정보 제공 등의 사업을 수행한다. 2000년대 이후 해외 자원 개발 투자를 확대하여, 여러 국가에서 유전 및 가스전 개발에 참여하고 있으며, 2023년에는 수소 사업 진출을 위한 법 개정이 이루어졌다. 하지만, 이명박 정부 시절 해외 자원 개발 투자 손실, 본사 건물 헐값 매각 논란, 쿠르드 자치정부와의 계약 관련 논란 등 여러 비판을 받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울산광역시 - 부울경
부울경은 대한민국 동남권의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경상남도를 아우르는 지역으로, 제조업과 항만 물류 산업이 발달하여 한국 경제의 중요한 축을 담당한다. - 울산광역시 - 울산미포국가산업단지
- 대한민국의 정유 회사 - 남해화학
남해화학은 1974년에 설립되어 비료 및 화학 제품 생산을 주요 사업으로 하며, 1995년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후 농협경제지주 계열사로 편입되어 국내 비료 시장에 기여하고 해외에도 제품을 수출한다. - 대한민국의 정유 회사 - SK인천석유화학
SK인천석유화학은 1969년 설립되어 SK그룹에 인수된 대한민국의 정유 및 석유화학 회사로, 하루 27만 5천 배럴의 원유 정제 능력을 바탕으로 석유제품 및 석유화학 제품을 생산하며 인천광역시에 위치한다.
한국석유공사 - [회사]에 관한 문서 | |
---|---|
회사 정보 | |
회사명 | 한국석유공사 |
영문 회사명 | Korea National Oil Corporation |
한자 회사명 | 韓國石油公社 |
로마자 회사명 | Hanguk Seogyu Gongsa |
이전 회사명 | 한국석유개발공사 |
유형 | 공기업 |
산업 | 석유 산업 |
설립 | |
설립일 | 1979년 |
위치 | |
본사 위치 | 울산광역시 |
상세 주소 |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305 |
서비스 제공 지역 | 캐나다 중국 인도네시아 카자흐스탄 나이지리아 우즈베키스탄 페루 러시아 대한민국 영국 베네수엘라 베트남 예멘 |
경영진 | |
CEO | 김동섭 |
직원 | |
직원 수 | 1,376명 |
직원 수 기준 년도 | 2022년 |
직원 수 (2012년) | 1,272명 |
재무 정보 (2019년) | |
매출액 | US$ 25억 1천만 달러 (2019년) |
순이익 | US$ 8천 30만 달러 (2019년, 손실) |
자산 | US$ 161억 8천만 달러 (2019년) |
자기자본 | US$ 5억 1천 840만 달러 (2019년) |
재무 정보 (2022년) | |
자본금 | 10,699,764,780,075원 |
매출액 | 3,640,321,787,062원 |
영업 이익 | 1,777,829,588,077원 |
당기순이익 | 312,951,106,537원 |
자산총액 | 18,299,094,642,843원 |
생산 정보 | |
생산량 | 일산 13.5만 석유환산배럴 |
생산량 기준 년도 | 2023년 |
제품 | |
제품 | 석유, 가스 |
모기관 | |
모기관 | 산업통상자원부 |
관련 웹사이트 | |
공식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영문) |
공식 웹사이트 (한국어) | 공식 웹사이트 (한국어) |
기타 | |
계열사 | 코리아오일터미널 |
2. 설립 근거
한국석유공사는 1978년 제정된 한국석유개발공사법에 의거하여 설립되었으며, 이후 한국석유공사법으로 개정되었다.[65]
3. 주요 기능 및 역할
4. 연혁
- 1978년 12월: 한국석유개발공사법 공포
- 1979년 3월: '''한국석유개발공사''' 발족[25][26]
- 1981년 7월: 구리지사 및 울산지사 설치
- 1981년 8월: 휴스턴지사 설치
- 1982년 4월: 출자회사 한국석유시추(주) 설립
- 1985년 1월: 거제지사 설치
- 1986년 8월: 출자회사 한국송유관(주) 설립
- 1987년 12월: 국내대륙붕에서 최초로 가스발견[66]
- 1989년 7월: 평택지사 설치
- 1992년 10월: 베트남지사 설치
- 1994년 10월: 출자회사 한국석유시추(주) 통합
- 1994년 12월: 한국송유관(주) 매각 및 (주)대한송유관공사 출자
- 1996년 2월: 영국 현지법인 KCCL 설립
- 1997년 1월: 페루지사 설치
- 1997년 10월: 인도네시아 현지법인 KSL 설립
- 1998년 5월: 용인지사 설치
- 1998년 9월: 여수지사 설치
- 1999년 1월: '''한국석유공사'''로 사명변경 (법정자본금 3조원→5조원)
- 1999년 5월: 곡성지사 설치
- 2000년 2월: 국내대륙붕 제6-1광구 동해-1 가스전 개발 선언[67]
- 2000년 7월: 동해지사 설치
- 2001년 9월: 한국·베트남 석유개발성공기념식 및 베트남 15-1광구 개발선언[68]
- 2003년 10월: 베트남 15-1광구 흑사자(Su tu Den)구조에서 원유생산개시
- 2004년 5월: 리비아 엘리펀트 유전 상업생산 개시
- 2004년 11월: 동해-1 가스전에서 천연가스 상업생산 개시[69]
- 2005년 8월: 서산지사 설치
- 2005년 10월: 카자흐스탄사무소 개소
- 2006년 2월: 예멘, 나이지리아, 캐나다 사무소 개소·석유기술연구원 신설
- 2006년 11월: 베트남 11-2광구 생산기념식
- 2007년 8월: 한국석유공사법 개정(법정자본금 5조원→10조원)
- 2008년 5월: 미국 현지법인 ANKOR Energy 설립
- 2009년 2월: 페루 Petro-Tech사 인수
- 2009년 10월: 캐나다 Harvest Energy사 인수계약 체결
- 2009년 12월: 카자흐스탄 Sumbe사 인수
- 2010년 9월: 영국 Dana사 인수
- 2011년 3월: 카자흐스탄 Altius사 인수
- 2011년 4월: 미국 Anadarko사 셰일오일자산 지분참여
- 2012년 7월: 아부다비사무소 설립 및 KADOC Ltd(현지법인) 사업허가서 취득
- 2012년 12월: 한국석유공사법 개정(법정 자본금 확대 10조원 → 13조원)
- 2013년 3월: 비전 선포식 (비전 - 에너지 그 이상의 가치를 실현하는 기업)
- 2014년 1월: 동북아 오일허브 울산북항사업 합작법인 ‘코리아오일터미널’ 출범
- 2014년 11월: 본사 울산광역시 이전
- 2018년 9월: 캐나다 블랙골드(오일샌드) 생산 개시
- 2019년 7월: UAE 할리바유전(Al Dhafra사업) 생산 개시
- 2023년 8월: 한국석유공사법 개정안 의결, 수소 사업 진출[31]
5. 조직
- 상임감사위원
- * 감사실
5. 1. 본사
- 기획재무본부
- 경영관리본부
- 탐사생산본부
- 비축사업본부
5. 2. 지사
5. 3. 소속기관
- 석유개발기술원
5. 4. 해외사무소
이라크, 아부다비, 베트남, 카자흐스탄, 미국, 캐나다, 영국 등에 사무소가 있다.6. 주요 사업
한국석유공사는 국내외 석유 자원 개발, 석유 비축, 석유 정보 제공 등 다양한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국내 유전 개발: 1979년 공사 설립 이후 국내 대륙붕 탐사를 통해 동해-1 가스전과 동해-2 가스전을 발견하여 생산하였으나, 2021년 12월 31일 매장량 고갈로 생산이 종료되었다.[70] 현재는 추가적인 해저 자원 탐사를 지속하고 있다.
해외 유전 개발: 1992년 베트남 11-2 광구 탐광을 시작으로, 베트남 15-1 광구, 리비아 엘리펀트 유전 등 여러 해외 유전 개발에 참여하고 있다. 2010년에는 영국의 다나 페트롤리엄을 적대적 인수합병하기도 했다.[73] 2023년 3월 기준으로 17개국 30개(국내 6개 포함)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일일 평균 약 를 생산하고 있다.
석유 비축 사업: 1979년부터 석유 비축을 시작하여, 2010년 제3차 비축 계획으로 1억 6,400만 배럴의 비축을 완료했다.[28] 2014년부터 2025년까지 제4차 비축 계획을 추진 중이다.
석유 정보 제공: 페트로넷과 오피넷을 통해 석유 관련 정보를 제공하고, 각종 석유 정보 간행물을 발행하고 있다.
기타 사업: 2011년부터 주유소 경영을 통해 국내 휘발유 가격 안정에 기여하고 있으며, 동해-1 가스전 부지에 해상 풍력 발전소 건설을 계획하고,[62] 암모니아 연료 인프라 구축 프로젝트, CCS 프로젝트 등 신재생에너지 사업도 추진하고 있다.[63][64]
6. 1. 국내 유전 개발
1979년 한국석유공사 설립 이후, 본격적으로 국내 대륙붕 탐사가 이루어졌다. 2022년 9월 말 기준, 국내 대륙붕 석유 탐사를 위해 총 116,549L-㎞의 2D 및 10589km2의 3D 물리탐사와 48공의 탐사 시추(외국 석유 회사 시추공 포함)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동해-1 가스전을 발견하여 2004년 11월부터 상업 생산에 돌입했다. 인근에 동해-2 가스전을 발견해 동해-1 생산 시설과 연계하여 2016년 6월 개발 완료 및 2016년 7월 생산을 개시하였다. 2021년 12월 31일 매장량 고갈로 생산이 종료되었다.[70]2021년 6월 30일, 동해 가스전 북동쪽으로 44km 떨어진 '방어구조'에서 시추를 추진했으나, 이상 고압대층 발견으로 잠정 중단되었다.[71]
1970년 한국은 해저 광물 자원 촉진법을 제정하고 대륙붕을 7개 구역으로 분할하여 미국의 걸프 석유(Gulf Oil)나 영국의 로열 더치 셸(Royal Dutch Shell) 등 해외 기업과 개발 협약을 체결하여 해저 자원 개발을 실시했다.[33][34] 이 사업으로 몇몇 유전, 가스전이 발견되었지만, 어느 것도 채산성이 맞는 규모는 아니었고, 상업 생산이 가능한 자원 발견까지는 이르지 못했다.[33] 1983년 이후, 국내 자원 개발은 PEDCO가 주도하게 되었고 탐사와 시추가 계속된 결과, 1998년 울산 앞바다에서 경제성 있는 규모의 해저 가스전이 발견되었다.[35] 이 가스전은 동해-1 가스전으로 명명되었으며, 2002년 3월부터 생산 설비 건설이 착공되어 2004년 9월에 생산이 시작되었다.[36] 동해-1 가스전은 액화 천연 가스 환산 400만 톤의 천연가스가 매장되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35] 2005년에는 동해-1 가스전의 남서쪽 5.4km 해역에서 추가 가스전이 발견되어 동해-2 가스전으로 명명되었고, 2014년부터 시추가 이루어진 후, 동해-1 가스전과 연결하는 형태로 2016년부터 생산이 시작되었다.[37][36] 동해-1 가스전은 KNOC가 100%의 권익을 가지고 있었고, 동해-2 가스전은 KNOC가 70%, 포스코인터내셔널가 30%의 권익을 가지고 있었다.[38] 그 후, 동해-1 가스전 및 동해-2 가스전은 자원이 고갈되어 2021년 말에 생산이 종료되었다.[36] 동해 가스전에서는 2021년 생산 종료까지 4,100만 석유환산배럴의 에너지 자원을 생산하여 2.7조원 상당의 수입 석유를 대체한 것으로 추산된다.[39] 생산 종료 후의 석유 플랫폼 설비는 해상 풍력 발전의 기반으로 전용할 계획이다.[40]
KNOC는 다음 에너지 자원 발견을 목표로 국내 해저 자원 탐사를 지속하고 있으며, 2007년에 동해 가스전을 포함한 6-1 광구의 일부 (6-1N 광구) 및 8 광구에서 KNOC와 호주의 우드사이드 페트롤리엄(Woodside Petroleum)이 각각 50%의 권익을 보유하고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하여 시추가 진행되고 있다. 2019년에는 동일 광구에서 새로운 계약이 체결되어 추가 자원 탐사가 계속되고 있다. 또한, KNOC 단독으로 2020년에 6-1 광구의 일부 (6-1C, E 광구), 2022년에 제주도 근처의 해분 지역에 설정된 4 광구, 5 광구에서 라이선스를 취득하여 3차원 물리 탐사 및 시추를 실시하고 있다.[37] 2021년에는 탐사 데이터로부터 동해 가스전의 북동쪽에 위치한 해역에 7억 석유환산배럴로 추정되는 가스전의 존재가 추정되어 시추가 시작되었으나, 제어 불능의 고압으로 지하 자원이 분출하는 "폭분"이라고 불리는 사고가 일어날 우려가 있는 이상 고압층의 존재가 감지되어 시추는 중단되었다.[39] 그 외, 2022년에는 한일 대륙붕 협정에 따른 공동 개발 구역에서의 라이선스도 취득했지만, 한일 공동 개발만 허용되는 구역이므로 일본 측 라이선스 취득자를 기다리는 상황이다.[37]
6. 2. 해외 유전 개발
한국석유공사는 국내 석유의 안정적인 공급을 위해 해외 유전 개발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왔다. 2023년 3월 기준으로 17개국 30개(국내 6개 포함) 유망 석유 개발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일일 평균 약 를 생산하고 있으며, 확보한 매장량은 석유환산 약 이다('22년말 기준).베트남 15-1광구는 한국석유공사가 탐사 단계부터 주도적으로 참여하여 우리 기술진에 의해 발견에 성공한 광구로 2003년 10월 원유 생산을 개시하였으며, 2003년 세계 최대 유전 중 하나로 선정되었다.[72] 이 광구의 가채 매장량은 로 추정되며, 베트남의 페트로베트남이 50%, 미국의 코노코필립스가 23.25%, 한국 컨소시엄이 23.25% (KNOC 14.25%, SK 9%), 프랑스의 Geopetrol SA가 3.5%의 권익을 가지고 있다.[44][41]
1992년에는 베트남 11-2 광구에서 생산물 분배 계약 형태로 권익을 얻어 탐광을 시작하여, 1995년에 Rong Doi 가스전을 발견했다. 2004년에는 페트로베트남과의 가스 매매 계약을 체결하고, 2006년부터 생산이 시작되었다.[42]
2010년 9월 24일, 한국석유공사는 영국의 석유탐사 기업 다나 페트롤리엄에 대한 적대적 인수합병에 성공했다. 이는 한국 기업이 주식의 공개매수를 통해 해외에서 적대적 인수합병으로 성사시킨 첫 사례이다.[73]
리비아에서는 1990년에 영국의 Lasmo영어사와 한국 컨소시엄 (KNOC, 현대, SK 등)이 공동으로 생산물 분배 계약을 체결하고 서부 지역 NC-174 광구의 탐광에 참여하여, 1997년에 Elephant Field영어(엘리펀트 유전)을 발견했다. 2004년부터 생산이 시작되었고, 2007년에는 일산 14만을 생산했지만, 2012년에는 9만까지 생산량이 감소했다.[46] 2023년 시점에서는 리비아 국영 석유 회사 (NOC)가 88%, Lasmo영어사를 인수한 이탈리아의 Eni사가 8%, 한국 컨소시엄 전체가 4%의 권익 비율을 갖고 있다.[47]
그 외에도 한국석유공사는 2008년 멕시코만에 유전 권익을 가진 테일러 에너지사,[48] 2009년 캐나다 중부에 가스전 등을 보유한 하베스트 에너지사,[49][50] 페루 해상 광구의 권익을 가진 Petro-Tech사 등을 인수했다.[51] 그러나 페루의 Petro-Tech사 (인수 후 Savia Peru사로 사명 변경) 인수의 경우 계약상의 문제로 생산된 석유의 판매권이 페루 정부에 있어, 생산된 석유를 한국 국내로 수출하지 못한 채 2021년에 보유한 모든 주식을 매각했다.[55][56]
6. 3. 석유 비축 사업
한국석유공사(KNOC)의 전신인 한국석유개발공사(PEDCO) 주도로 1979년부터 석유 국가 비축이 추진되었다.[57] 1989년 제1차 비축 계획으로 4,360만 배럴의 비축이 완료되었고,[28] 1993년에는 민간 비축도 시작되었다.[57] 대한민국은 국제 에너지 기구(IEA) 가입 요건인 순 수입량의 90일분 비축을 목표로 제2차 비축 계획을 세워 2002년에 9,550만 배럴을 비축, IEA 가입이 승인되었다.[26][28] 이후 2010년 제3차 비축 계획으로 1억 6,400만 배럴의 비축이 완료되었으며, 2014년부터 2025년까지 제4차 비축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28] 2023년 10월에는 대한민국-사우디아라비아 정상회담에 맞춰 사우디 아람코(Saudi Aramco)와 원유 공동 비축 계약이 체결되었다.[32]6. 4. 석유 정보 제공
한국석유공사는 석유와 관련된 국내외 정보를 종합한 페트로넷과 싼 주유소 찾기 웹사이트인 오피넷을 운영하고 있다.[59][60] 또한, 일일석유동향, 주간석유뉴스, 주간해외유가동향, 주간국내유가동향, 월간석유수급통계 및 영문석유수급통계(KMOS), 영문 월간석유뉴스(KON) 등 석유정보 간행물을 정기적으로 발행하고 있다.'''오피넷'''(Oil Price Information Network)은 한국석유공사가 운영하는 싼 주유소 찾기 웹사이트이다. 대한민국의 13,000여 주유소에서 실시간으로 가격을 수집하여 소비자에게 제공하고 있다.
6. 5. 기타 사업
2011년부터 국내 휘발유 가격 안정을 목적으로 주유소 경영을 하고 있으며, 2023년 6월 기준 국내 시장 점유율 11.7%를 차지하고 있다.[61]석유 외 에너지 사업으로, 동해-1 가스전 부지에 해상 풍력 발전소 건설을 계획하고 있으며,[62] 암모니아 연료 인프라 구축 프로젝트 등을 추진하고 있다.[63] 또한, 탄소 중립을 위한 노력으로, 동해-1 가스전의 저장층에 이산화탄소를 압입하여 저장하는 CCS 프로젝트에도 참여하고 있다.[64]
7. 논란 및 비판
이명박 정부의 해외 자원 개발 투자 손실, 본사 건물 헐값 매각, 쿠르드 자치정부와의 계약 등과 관련된 논란 및 비판이 있었다.[74][75][76][77][78][79][80]
7. 1. 이명박 정부 시절 해외 자원 개발 투자 손실
이명박 정부 시절 한국석유공사는 해외 자원 개발에 적극적으로 투자했으나, 여러 사업에서 큰 손실을 보았다.2009년 석유공사는 페루 사비아페루를 인수하고 사업권을 따내는 데 12억달러를 지불했다. 하지만 계약 조건 때문에 생산된 원유를 국내로 들여올 수 없었고, 금전적 이익도 얻지 못했다.[75]
미국 멕시코만 사업에서는 1605.9999999999998만달러가 경남기업으로 흘러들어 간 것으로 밝혀졌다.[76]
한국석유공사·SK가스·포스코·삼천리가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추진한 우즈베키스탄 나망간-추스트 석유 탐사 사업에서는 6년 동안 312억 원의 손실만 보고 철수했다.[77] 서페르가나-취나바드 유전 개발 사업에서는 시추도 못 해보고 107억 원을 낭비했다.[78]
7. 2. 본사 건물 헐값 매각 논란
이명박 정부 시절 무리한 해외 유전 사업 추진으로 부채가 많이 쌓이자, 2017년 1월 공개 경쟁 입찰로 코람코자산신탁에 울산혁신도시에 위치한 23층 사옥과 48039.2m2 부지를 2376억원에 매각하기로 했다.[79]2018년 감사원의 감사 결과, 석유공사가 사옥을 팔아서 오히려 손해를 보게 됐다는 감사 결과를 내놨다. 해당 건물을 인수한 코람코자산신탁 대표자와 이사진들이 옛 기재부 출신 고위 관료로 확인되면서 모피아 논란이 터졌다.[80]
7. 3. 쿠르드 자치정부 계약 논란
쿠르드 자치정부와 맺은 쿠르드 유전 개발 계약(35억 달러 규모)이 성립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74] 이라크 정부는 쿠르드 유전 개발에 참여한 기업들을 입찰에서 배제하겠다고 발표하여, 한국 기업들에게 불이익이 예상된다.8. 같이 보기
참조
[1]
뉴스
Edaily
http://www.edaily.co[...]
2008-06-12
[2]
웹사이트
Korea National Oil Corporation
https://www.knoc.co.[...]
[3]
웹사이트
Korea National Oil
https://www.forbes.c[...]
2022-01-09
[4]
웹사이트
StackPath
https://www.offshore[...]
2006-11-22
[5]
뉴스
UPDATE 2-Colombia and Korea oil firms buy Peru Petro-Tech
https://www.reuters.[...]
2022-01-09
[6]
뉴스
UPDATE 3-Nigeria court rules for S.Korea firm in oil case
https://www.reuters.[...]
2022-01-09
[7]
웹사이트
Yémen : Total entre dans un nouveau bloc à terre auprès de KNOC
https://totalenergie[...]
2022-01-09
[8]
뉴스
S.Korea's KNOC in talks with Kazakhstan to drop oil field project
https://www.reuters.[...]
2022-01-09
[9]
웹사이트
Korea's $3.9 Billion Oil And Gas Buy
https://www.forbes.c[...]
2022-01-09
[10]
뉴스
South Korea, Venezuela sign oil and natural-gas accord
https://www.wsj.com/[...]
The Wall Street Journal
2022-01-09
[11]
뉴스
South Korean Oil Company Buys Canadian Producer
http://dealbook.blog[...]
[12]
웹사이트
Prime Minister Barzani signs historic oil agreements with South Korea
http://www.krg.org/a[...]
2008-09-26
[13]
웹사이트
History of the Refinery at Come by Chance
http://www.northatla[...]
North Atlantic Refining
2010-08-09
[14]
뉴스
Korea National Oil acquires half of Peru Petro-Tech
https://www.reuters.[...]
2022-01-09
[15]
뉴스
KNOC comes knocking
https://www.economis[...]
2022-01-09
[16]
뉴스
Korean oil group in bid for Dana Petroleum
https://www.bbc.com/[...]
2022-04-24
[17]
뉴스
Dana Petroleum takeover firm KNOC backs acquisition
https://www.bbc.com/[...]
2022-04-24
[18]
뉴스
KNOC stands firm on £1.87bn bid for Dana Petroleum
https://www.bbc.com/[...]
2022-04-24
[19]
웹사이트
Hostile takeover of Dana Petroleum likely
http://www.theguardi[...]
2022-04-24
[20]
뉴스
Dana Petroleum board members step down after takeover
https://www.bbc.com/[...]
2022-04-24
[21]
웹사이트
석유개발현황도
https://www.knoc.co.[...]
한국석유공사
2023-11-14
[22]
문서
kim2009 p.1
[23]
문서
山縣 2013 p.24
[24]
웹사이트
1,2차 오일쇼크로 본 우리경제의 영향
https://www.hankooki[...]
한국일보
2023-11-15
[25]
웹사이트
공사소개(about us)
https://www.knoc.co.[...]
한국석유공사
2023-11-14
[26]
문서
山縣 2013 p.34
[27]
문서
kim2009 pp.2-3
[28]
웹사이트
회사연혁(会社沿革)
https://www.knoc.co.[...]
한국석유공사
2023-11-14
[29]
웹사이트
CEO 약력
https://www.knoc.co.[...]
한국석유공사
2023-11-14
[30]
웹사이트
석유개발사업개요
https://www.knoc.co.[...]
한국석유공사
2023-11-14
[31]
웹사이트
석유공사, ‘수소’ 영역까지 사업 확대한다
https://www.energy-n[...]
에너지신문
2023-11-14
[32]
웹사이트
韓国・サウジアラビア、官民でクリーン水素協力拡大に合意
https://www.jetro.go[...]
日本貿易振興機構
2023-11-14
[33]
간행물
韓国における沿岸及び海洋資源開発の現状と課題
https://www.spf.org/[...]
笹川平和財団
2023-11-14
[34]
문서
石井 2002 pp.66-67
[35]
문서
石井 2002 p.67
[36]
웹사이트
동해-1, 2 가스전 현황
https://www.knoc.co.[...]
韓国石油公社
2023-11-14
[37]
웹사이트
Operations Korea
https://www.knoc.co.[...]
韓国石油公社
2023-11-14
[38]
웹사이트
Prospectus_Korea National Oil Corporation
https://www.ca-cib.c[...]
クレディ・アグリコル-CIB
2018-06-29
[39]
웹사이트
동해 가스전의 불꽃 꺼졌다
https://www.dongasci[...]
동아사이언스
2023-11-18
[40]
웹사이트
「産油国」の地位もたらした東海ガス田、自然エネルギー基地に生まれ変わるか
https://japan.hani.c[...]
ハンギョレ
2023-11-18
[41]
문서
kim2009
[42]
웹사이트
석유개발현황도 베트남11-2 (海石油開発状況 ベトナム)
https://www.knoc.co.[...]
韓国石油公社
2023-11-14
[43]
웹사이트
석유개발현황도 베트남15-1 (海石油開発状況 ベトナム15-1)
https://www.knoc.co.[...]
韓国石油公社
2023-11-14
[44]
간행물
ベトナム、マレーシア: 新規油田が順次生産を開始
https://oilgas-info.[...]
エネルギー・金属鉱物資源機構
2018-01-24
[45]
간행물
最近のリビア事情
https://oilgas-info.[...]
エネルギー・金属鉱物資源機構
2003-05-30
[46]
간행물
リビア石油輸出ターミナル操業再開をめぐる情勢
https://oilgas-info.[...]
エネルギー・金属鉱物資源機構
2014-07-01
[47]
웹사이트
석유개발현황도 리비아 (海石油開発状況 リビア)
https://www.knoc.co.[...]
韓国石油公社
2023-11-14
[48]
웹사이트
UPDATE 1-South Korean firms acquire stakes in oil fields
https://jp.reuters.c[...]
ロイター
2023-11-15
[49]
웹사이트
石油公社、カナダ石油会社ハーベスト・エナジー買収
https://jp.yna.co.kr[...]
聯合ニュース
2023-11-14
[50]
웹사이트
석유개발현황도 캐나다 (海石油開発状況 カナダ)
https://www.knoc.co.[...]
韓国石油公社
2023-11-14
[51]
웹사이트
UPDATE 1-Peru investigates Petro-Tech sale to Ecopetrol, KNOC
https://reuters.com/[...]
ロイター
2023-11-15
[52]
웹사이트
<韓国経済>韓国石油公社・英ダナの買収に成功
http://www.toyo-keiz[...]
東洋経済日報
2023-11-15
[53]
웹사이트
석유개발현황도 영국(海石油開発状況 イギリス)
https://www.knoc.co.[...]
韓国石油公社
2023-11-14
[54]
간행물
韓国:政権交代とエネルギー政策 ~需給、国営石油企業の対外投資~
https://oilgas-info.[...]
エネルギー・金属鉱物資源機構
2017-05-30
[55]
웹사이트
[探査報道]李明博政権の資源外交(1)石油でなく水を汲んだだけの国策事業
https://japan.hani.c[...]
ハンギョレ
2023-11-15
[56]
웹사이트
Operaciones petroleras de Savia Perú fueron adquiridas por De Jong Capital LLC
https://elcomercio.p[...]
El Comercio
2023-11-15
[57]
문서
yamagata2013
[58]
웹사이트
석유정보서비스
https://www.knoc.co.[...]
韓国石油公社
2023-11-14
[59]
웹사이트
Petronet 정보안내
https://www.knoc.co.[...]
韓国石油公社
2023-11-14
[60]
웹사이트
Opinet
https://www.knoc.co.[...]
韓国石油公社
2023-11-14
[61]
웹사이트
알뜰주유소 사업소개
https://www.knoc.co.[...]
韓国石油公社
2023-11-14
[62]
웹사이트
부유식 해상풍력 사업
https://www.knoc.co.[...]
韓国石油公社
2023-11-14
[63]
웹사이트
저탄소 수소 · 암모니아 사업
https://www.knoc.co.[...]
韓国石油公社
2023-11-14
[64]
웹사이트
CCS사업
https://www.knoc.co.[...]
韓国石油公社
2023-11-14
[65]
문서
제1조(목적) 이 법은 한국석유공사(韓國石油公社)를 설립하여 석유자원의 개발, 석유의 비축, 석유유통구조의 개선에 관한 사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석유수급의 안정을 도모함과 아울러 국민경제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66]
뉴스
한국최초 가스 시추현장 탐사
https://news.kbs.co.[...]
1987-12-08
[67]
뉴스
울산앞바다 가스전 개발 공식선언...한국석유공사
https://n.news.naver[...]
2000-02-23
[68]
뉴스
석유공사, 베트남서 대형유전 발견
https://n.news.naver[...]
2001-08-23
[69]
뉴스
40년 만에 이룬 꿈
https://news.kbs.co.[...]
2004-11-05
[70]
뉴스
동해 가스전의 불꽃 꺼졌다
https://www.dongasci[...]
2022-04-29
[71]
뉴스
"[국감] “한반도 주변 석유 자원 탐사·시추에 나서야 한다”"
http://www.energydai[...]
에너지데일리
2022-10-20
[72]
뉴스
한국, 베트남 해상광구서 11월부터 원유상업생산(종합)
https://n.news.naver[...]
연합뉴스
2003-10-30
[73]
뉴스
석유公, 英다나 적대적 M&A 성공
http://www.hankyung.[...]
한국경제
2010-09-24
[74]
뉴스
MB, 권한 없는 이라크 대통령과‘35억불 유전 MOU’협의
http://www.gobalnews[...]
고발뉴스
2015-02-12
[75]
뉴스
"<단독> 사기당한 ‘MB 자원 외교’…“석유보다 물 더 퍼내”"
http://www.hani.co.k[...]
한겨레
2015-01-18
[76]
뉴스
경남기업-석유公, 지원금 횡령 의혹…자원외교 수사 본격화
http://www.seoulfn.c[...]
서울파이낸스
2015-03-19
[77]
뉴스
한-우즈베크, 석유광구 5곳 공동탐사
https://www.hani.co.[...]
한겨레
2009-05-11
[78]
뉴스
(국정감사)석유공사 10개 탐사사업 중 7개 실패
http://www.electimes[...]
전기신문
2018-04-27
[79]
뉴스
"'부채감축' 외치며 '빚'지는 석유공사의 본사 매각"
https://news.mt.co.k[...]
머니투데이
2017-01-23
[80]
뉴스
석유공사 매각 누가 이익을 얻었나?..멀쩡한 사옥 팔아 셋방살이 "585억 손해"
https://www.newsfree[...]
뉴스프리존
2022-08-16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주유소 기름값 4주 연속 하락…“다음주 상승 전망”
교육훈련비로 TV·로봇청소기 산 공공기관 직원들…권익위 적발
산업차관 "대미 투자 패키지 협상 중…'캐피털 콜' 가능성 커"
주유소 기름값 3주 연속 하락…"다음주도 안정세 유지 전망"
[단독]대왕고래 2차 탐사 추진 중인 한국석유공사…어민 피해보상은 뒷전
주유소 기름값 2주 연속 내림세…휘발유·경유 동반 하락
주유소 기름값 2주 연속 상승…"다음 주 소폭 오를 듯"
주유소 휘발윳값 소폭 상승…경유 가격 2주 연속 오름세
주유소 휘발유 가격 1주 만에 하락 전환…"당분간 안정세"
[단독] ‘마귀상어’ 풀어놨던 석유공사…꼬리 자르기 징계 논란
[포토] 주유소 기름값 4주 만에 하락 전환
주유소 기름값 4주 만에 떨어졌다…"다음 주도 하락 예상"
대왕고래·지열발전…국책사업에 멍든 포항, 지금도 떤다
경유 5주 만에 1500원대로↑…“계속 오르지는 않을듯”
원유 수입 판도 요동…중동 대신해 미국이 뜬다
석유공사 "韓 비축유 206.9일분…IEA 권고한 90일분 상회"
정부, 비축유 207일분 …"에너지 면밀 대응"
산업부, 비상대응반 가동…"에너지·수출 영향 제한적"
주유소 기름값 6주 만에 상승…"중동 정세 영향 반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