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건강 증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건강 증진은 19세기 산업 혁명 시기 영국에서 시작되어, 환경 개선을 통해 전염병을 줄이는 데 기여했다. 20세기 후반 라론드 보고서, 오타와 헌장 등을 통해 개인의 건강 책임뿐 아니라 환경적, 사회적 요인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건강 증진의 개념이 확장되었다. 건강 증진은 건강의 전제 조건, 기본 전략, 활동 영역으로 구성되며, 건강 신념 모델, 변화 단계 모델, 사회 인지 이론 등 다양한 이론적 틀에 기반한다. 실행 전략으로는 지역사회 기반 중재, 정책 수준 접근법, 환경 기반 접근법 등이 있으며, 건강의 사회적 결정 요인, 건강 불평등, 피해자 비난, 공통 위험 요인 접근법 등과 관련된 개념들을 포괄한다. 대한민국은 2000년부터 건강 증진법 제정 등을 통해 건강 증진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건강 증진 - 세계 정신건강의 날
    세계 정신건강의 날은 정신 건강 문제에 대한 인식 제고와 사회적 편견 해소를 위해 1992년 제정된 국제 기념일로, 세계 보건 기구의 지원 아래 매년 특정 주제로 기념되며, 대한민국에서도 정부와 시민 단체가 정신 건강의 중요성을 알리고 사회적 공감대 형성을 위해 노력한다.
  • 건강 증진 - 범이론적 행동변화단계 모형
    범이론적 행동변화단계 모형은 심리 모델로, 행동 변화의 시간적 차원, 변화 과정, 의사 결정 균형, 자기 효능감의 네 가지 핵심 요소로 구성되며, 건강 증진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된다.
건강 증진
개요
정의사람들이 자신의 건강에 대한 통제력을 높이고 건강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과정이다.
목표건강 증진은 건강과 웰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환경적 요인을 해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전략건강 교육, 건강한 공공 정책 개발, 건강 지원 환경 조성, 지역 사회 행동 강화, 건강 서비스 방향 재설정 등이 있다.
역사적 배경
시초1986년 캐나다 오타와에서 열린 "국제 건강 증진 회의"에서 "오타와 헌장"이 채택되면서 국제적인 운동으로 발전하였다.
주요 문서오타와 헌장, 자카르타 선언, 방콕 헌장, 나이로비 콜 투 액션 등이 건강 증진의 주요 원칙과 전략을 제시한다.
주요 영역
건강 교육건강 정보를 제공하고 건강한 생활 방식을 장려한다.
건강한 공공 정책건강을 우선시하는 정책을 개발하고 시행한다.
지원 환경 조성건강에 도움이 되는 환경을 만든다.
지역사회 행동 강화지역사회 스스로 건강 문제를 해결하도록 돕는다.
건강 서비스 방향 재설정건강 서비스를 예방 중심으로 전환한다.
접근 방식
개인 중심 접근개인의 건강 행동 변화를 촉진한다.
집단 중심 접근지역 사회 전체의 건강 수준을 향상시킨다.
환경적 접근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요인을 개선한다.
관련 용어
웰빙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건강이 조화로운 상태를 의미한다.
건강 불평등 해소사회 경제적 지위, 성별, 인종 등에 따른 건강 격차를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건강 결정 요인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 (사회적, 경제적, 환경적 요인 등)을 의미한다.
추가 정보
관련 기관세계 보건 기구(WHO)는 건강 증진 활동을 지원하고 국제적인 협력을 촉진한다.
참고 자료건강 증진 관련 연구 논문, 보고서, 정책 자료 등을 참고할 수 있다.

2. 역사

건강 증진 개념은 19세기 공중 보건 발전과 함께 시작되었다. 19세기 후반, 질병 유행 위협은 감소했지만, 의학적 발견으로 인간의 생물 의학적 특성이 밝혀지면서 건강 증진은 환경에서 개인 교육으로 초점을 옮겼다.[59]

1974년 캐나다 보건부 장관 마르크 라론드는 라론드 보고서를 통해 건강이 생물 의학뿐 아니라 환경, 개인 행동, 생활 양식에도 영향을 받는다고 주장했다.[60] 이는 건강 증진 관점을 개인과 환경 양쪽으로 확장하는 데 중요했다.

1986년 오타와 제1차 건강 증진 국제 회의에서 건강증진 오타와 헌장이 발표되었다.[105] 이 헌장은 건강 증진을 보건 부문 책임만이 아닌, 건강한 생활 방식을 넘어 복지로 나아가는 것으로 정의했다. 또한 정치, 경제, 사회, 문화, 환경, 행동, 생물학적 요인을 건강에 유리하게 만들고, 건강의 평등 달성을 목표로 하며, 정부, 보건 등 관련자들의 행동을 요구했다.[15]

2. 1. 산업 혁명과 공중 보건

밤의 코울브룩데일, 1801 화가: 필리프 야콥 루더부르 2세


건강 증진에 대한 생각은 19세기 공중 보건 선구자들의 업적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19세기 영국에서는 산업 혁명의 영향으로 대도시 노동자들은 빈곤, 가혹한 노동 환경, 열악한 생활 환경 등 여러 가지 부담을 안고 있었다. 이러한 사회적 상황은 콜레라, 인플루엔자 등 전염성 질병의 대유행으로 이어져 사회 안정을 위협했다.

에드윈 채드윅, 토마스 사우스우드 스미스와 같은 개혁가들은 지방 자치 단체의 개혁을 통한 사회 상황 개선을 강력하게 주장했다. 이들의 주장은 1875년 도시의 수도 공급, 하수 처리, 동물 처리에 관한 관리를 규정한 공중 보건 법령(:en:Public Health Act of 1875)으로 결실을 맺었다. 법령에 따른 환경 정비는 전염성 질병 감소에 큰 영향을 미쳤다. 토마스 맥커운이 고찰했듯이, 이는 임상 의학이 감염병의 병원체와 항생제를 발견하기 훨씬 이전의 일이었다.

2. 2. 의학적 발견과 개인의 책임

19세기 후반까지 질병 유행의 위협은 다소 감소했다. 또한 수많은 의학적 발견으로 인간의 생물 의학적 특성이 밝혀지고 있었다. 개인의 모습도 시대와 함께 변화하면서, 건강 증진에 대한 생각은 환경적 수단에서 개인 교육에 초점을 맞추기 시작했다. 건강 증진은 이러한 교육적 수단에 치우치는 경향을 보였다.[59] 교육적 건강 증진은 점차 심장병 예방, 예방, 고혈압 예방, 당뇨병 예방 등 건강을 위협하는 여러 질환 각각의 예방을 중시하는 풍조로 발전해 갔다. 또한, 정보 캠페인과 질병에 더 걸리기 쉬운 사람을 특정하여 예방하는 방법 등도 널리 퍼져나갔다.

2. 3. 라론드 보고서와 건강 증진의 전환점

1974년 캐나다 보건부 장관 마르크 라론드는 보고서를 통해 건강이 생물 의학적 요인뿐만 아니라 환경, 개인의 행동, 생활 양식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고 주장했다.[60] 이 보고서는 건강 증진의 관점을 개인뿐만 아니라 사람과 환경 양쪽으로 확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2. 4. 건강 증진 국제 회의와 오타와 헌장

1986년 오타와에서 열린 제1차 건강 증진 국제 회의에서 건강증진 오타와 헌장(Ottawa Charter for Health Promotion)이 발표되었다.[105] 이 헌장은 건강 증진을 단순히 보건 부문의 책임만이 아닌, 건강한 생활 방식을 넘어 복지로 나아가는 것으로 정의했다. 또한, 정치, 경제, 사회, 문화, 환경, 행동, 생물학적 요인들을 건강에 유리하게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하며, 건강의 평등 달성에 중점을 두고, 정부, 보건 및 기타 사회 단체 등 모든 관련자들의 조정된 행동을 요구했다.[15]

오타와 헌장은 2000년까지 모든 사람이 건강을 획득하는 것을 목표로, 건강 정책이나 지원 환경과 같은 건강 증진을 구성하는 개념을 제시하고,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포괄적으로 관리하는 시각과 방법을 제시했다.[62] 오타와 헌장의 상징 마크도 제작되었으며, 이는 현재까지 WHO에서 제창하는 건강 증진의 상징으로 여겨지고 있다.

건강 증진 국제 회의에서는 회를 거듭할수록 오타와 헌장의 개념이 강조되었으며, 1997년 제4회 회의 이후에는 건강의 (사회적) 결정 요인에 대한 노력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63]

3. 건강 증진의 구성 요소

WHO의 1986년 오타와 헌장과 2005년 방콕 헌장은 건강 증진을 "사람들이 자신의 건강과 그 결정 요인에 대한 통제력을 높이고, 이를 통해 건강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과정"으로 정의한다.[2] 건강 증진은 개인의 행동 변화뿐만 아니라 소득, 주거, 식량 안보, 고용, 양질의 근로 조건과 같은 건강 결정 요인을 해결하기 위한 광범위한 사회적, 환경적 개입을 포함하는 다면적인 접근 방식이다.[3][4]

건강 증진은 건강 형평성과 일치하며, 사회 정의 또는 인권에 전념하는 비정부 기구 (NGO)의 초점이 될 수 있다. 건강 문해력은 학교에서 개발될 수 있으며, 모유 수유 증진과 같은 건강 증진의 측면은 공공 장소의 법률과 규칙에 달려 있다.

건강 증진은 크게 건강의 전제 조건, 3가지 기본 전략, 5가지 활동 영역으로 구성된다. 건강 증진을 위한 오타와 헌장에 제시된 내용은 2005년 국제 회의에서도 긍정적으로 평가받으며 그 중요성이 유지되고 있다.

3. 1. 건강의 전제 조건

WHO의 1986년 오타와 헌장과 2005년 세계화 시대의 건강 증진을 위한 방콕 헌장은 건강 증진을 "사람들이 자신의 건강과 그 결정 요인에 대한 통제력을 높이고, 이를 통해 건강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과정"으로 정의한다.[2] 1998년에 건강의 사회적 결정 요인으로 정리된 건강의 기본적인 조건은 다음과 같다.[64]

3. 2. 기본 전략

WHO의 1986년 오타와 헌장과 2005년 세계화 시대의 건강 증진을 위한 방콕 헌장은 건강 증진을 "사람들이 자신의 건강과 그 결정 요인에 대한 통제력을 높이고, 이를 통해 건강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과정"으로 정의한다.[2] 건강 증진은 개인의 행동 변화를 넘어선 다면적인 접근 방식이다. 이는 소득, 주거, 식량 안보, 고용, 양질의 근로 조건과 같은 건강 결정 요인을 해결하기 위한 광범위한 사회적, 환경적 개입을 포함한다.[3][4]

건강 증진을 위한 기본 전략은 현지에서의 실제적인 요구와 실현 가능성, 그리고 각 사회, 문화, 경제 상황까지 고려하여 적용된다. 건강 증진을 위한 오타와 헌장에서는 건강의 전제 조건 중 하나로 지속 가능한 자원을 꼽고 있다. 건강 증진을 위한 방콕 헌장에서는 건강 증진 전략 중 하나로 건강 결정 요인을 관리하기 위한 '''지속 가능한 정책'''을 꼽고 있다.

1986년 오타와에서 열린 제1차 국제 건강 증진 회의의 결과는 "건강 증진을 위한 오타와 헌장"으로 이어졌다.[15] 오타와 헌장에 따르면, 건강 증진은 다음과 같다:[15]

  • 단순히 보건 부문의 책임이 아니라, 건강한 생활 방식을 넘어 웰빙까지 확장된다.
  • 건강을 위한 옹호를 통해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환경적, 행동적 및 생물학적 요인]을 유리하게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한다.
  • 건강 형평성 달성에 중점을 둔다.
  • 정부, 보건 및 기타 사회 단체 등 관련된 모든 주체의 조율된 행동을 요구한다.


건강 증진의 주요 3가지 기본 전략은 다음과 같다:

  • '''건강 옹호(Advocacy)''': 건강의 중요성을 알리고 건강한 환경 조성을 위한 지지를 확보한다.
  • '''역량 강화(Enabling)''': 개인과 지역사회가 건강을 위한 잠재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 '''조정(Mediation)''': 건강 증진을 위해 다양한 이해관계자 간의 협력을 촉진한다.

3. 3. 활동 영역


  • '''건강한 공공 정책 수립''': 건강을 모든 정책의 중심에 둔다.[6]
  • '''지원적 환경 조성''': 건강한 선택을 쉽게 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든다.
  • '''지역사회 활동 강화''': 지역사회가 건강 문제 해결에 주도적으로 참여하도록 돕는다.
  • '''개인 기술 개발''': 건강 정보를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킨다.[8]
  • '''보건 의료 서비스의 재정립''': 예방과 건강 증진 중심으로 의료 서비스를 개편한다.[7]


보건 정책에 관해서는 보건 정책에 관한 애들레이드 권고에서, 지원 환경 정비에 관해서는 건강 지원 환경에 관한 순즈발 선언에서 더 깊이 다루고 있다.

4. 이론적 틀

건강 증진은 그 실행을 안내하는 여러 이론적 틀에 의해 뒷받침된다.


  • 건강 신념 모델: 이 모델은 건강 위협에 대한 개인의 인식과 건강 증진 행동의 효과에 중점을 둔다.[18]
  • 변화 단계 모델: 변화 단계 모델이라고도 하며, 건강 행동을 수정할 때 개인이 거치는 다양한 단계를 설명한다.[18]
  • 사회 인지 이론: 이 이론은 건강 증진에서 개인적 요인, 환경적 영향, 행동 간의 상호 작용을 강조한다.[18]


이러한 틀은 효과적인 건강 증진 전략과 중재를 개발하는 데 기반을 제공한다.

현재의 건강 증진 모델에는 사회적, 역학적 평가를 기반으로 건강 증진 중재를 계획하는 PRECEDE-PROCEED 모델과 자기 효능감 및 개인과 환경 간의 상호 작용을 강조하는 반두라 (1986)의 사회 인지 이론이 포함된다. 이러한 틀을 통해 보건 전문가는 개인, 지역 사회 및 정책 등 여러 수준에서 행동 변화를 목표로 하는 중재를 설계할 수 있다.[19]

5. 실행 전략

건강 증진은 목표 달성을 위해 다양한 전략을 사용한다.

1. 지역사회 기반 중재: 지역 사회를 참여시켜 건강 문제를 파악하고 해결책을 개발하는 것을 포함한다.[20]

2. 정책 수준 접근법: 금연 조치나 식품 라벨링 규제와 같이 건강을 지원하는 정책을 옹호하고 시행하는 것이 포함된다.[21]

3. 환경 기반 접근법: 학교, 직장 및 병원과 같은 특정 환경에서 건강 증진 환경을 조성하는 데 중점을 둔다.[21]

4. 건강 정보 활용 능력 증진: 사람들이 정보에 입각한 결정을 내리기 위해 건강 정보에 접근하고 이해하며 사용하는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21]

5. 사회 동원: 인식 제고, 자원 제공, 지속 가능한 지역 사회 참여를 건강 증진에 활용하기 위해 사회적 영향과 개인적 영향을 결합하는 것을 포함한다.[21]

WHO의 "모두를 위한 건강" 이니셔티브와 같은 글로벌 건강 증진 노력은 디지털 건강 중재의 증가하는 역할을 강조한다. 예를 들어,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의 mHealth 프로그램은 예방 접종률을 개선하는 데 성공을 거두었다.[22] 이러한 기술은 소외된 인구에게 실시간 건강 교육과 예방 관리를 제공할 수 있게 한다.

6. 환경 기반 접근법

세계 보건 기구(WHO)의 건강 증진을 위한 환경 접근 방식은 지역 사회 참여, 형평성, 역량 강화, 파트너십을 건강 증진 활동과 연결하는 개별 시스템으로서의 환경을 고려한다. WHO에 따르면, 환경이란 "사람들이 일상 활동에 참여하는 장소 또는 사회적 맥락으로, 환경적, 조직적 및 개인적 요소가 상호 작용하여 건강과 웰빙에 영향을 미치는 곳"이다.[28] 이 접근 방식에서는 도시, 마을, 자치단체 및 지역 사회, 학교, 직장, 시장, 가정, 섬, 병원, 교도소, 대학교와 같은 다양한 환경이 고려된다.[29]

이러한 환경 중에서 특히 병원과 직장은 건강 증진을 위한 중요한 장소로 여겨진다. 건강 증진 병원은 환자, 직원, 지역사회의 건강을 지원하며, 직장 건강 증진은 구성원들의 건강과 웰빙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진다.

6. 1. 건강 증진 병원

병원은 환자, 직원, 지역사회의 건강을 지원하여 건강 이득을 증가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1] 이는 건강 증진 개념, 전략 및 가치를 병원의 문화와 조직 구조에 통합함으로써 달성된다.[1] 구체적으로, 관리 구조를 설정하고, 의료 및 비의료 직원을 건강 증진 커뮤니케이션에 참여시키며, 건강 증진 정책 및 프로젝트에 대한 실행 계획을 수립하고, 직원, 환자 및 지역 사회의 건강 결과 및 영향을 측정하는 것을 의미한다.[1]

국제 건강 증진 병원 및 보건 서비스 네트워크는 병원 및 보건 서비스 환경에서 건강 증진을 위한 원칙, 표준 및 권고 사항을 홍보하고 전파하기 위한 공식적인 국제 네트워크이다.[1]

6. 2. 직장 건강 증진

직장 건강 증진은 "직장에서 사람들의 건강과 웰빙을 개선하기 위한 고용주, 직원 및 사회의 공동 노력"으로 정의되었다.[32][33] 세계 보건 기구(WHO)는 직장이 "신체적, 정신적, 경제적 및 사회적 웰빙"에 영향을 미치고 "광범위한 청중의 건강 증진을 지원하는 이상적인 환경과 인프라를 제공"하기 때문에 "21세기의 건강 증진을 위한 우선 순위 환경 중 하나로 확립되었다"고 명시한다.[34]

작업장 건강 증진 프로그램 ( "직장 건강 증진 프로그램", "작업장 웰빙 프로그램" 또는 "직장 웰빙" 프로그램이라고도 함)에는 충분한 수면,[35] 요리 강습,[40] 운동,[35][36] 영양,[40] 신체 활동,[37][38][39] 금연,[35][40][41] 스트레스 관리,[40][42] 및 체중 감량이 포함된다.[43]

질병 통제 예방 센터(CDC)에 따르면 "정기적인 신체 활동은 가장 효과적인 질병 예방 행동 중 하나입니다."[44] 신체 활동 프로그램은 불안과 우울증을 줄이고, 비만을 줄이며 (특히 개선된 식단과 결합할 때), 심혈관 질환, 고혈압 및 제2형 당뇨병을 포함한 만성 질환의 위험을 줄이고, 지구력, 힘 및 에너지를 향상시킨다.

작업장 건강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도내용
2004년식이 섭취에 대한 효과는 강력, 신체 활동에 대한 효과는 결정적이지 않음, 건강 위험 지표에 대한 효과는 증거 없음.[45]
2005년긍정적인 임상 및 비용 결과, 관련 연구 수와 질 감소.[46]
1982년~2005년병가 결근율 평균 26.8% 감소, 건강 비용 26.1% 감소, 근로자 보상 비용 및 장애 관리 청구 비용 32% 감소, 비용 편익 비율 5.81.[47]
1970년~2005년작업 능력과 전반적인 웰빙에 대한 중간 정도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 건강한 생활 방식 장려 활동으로 질병 결근 감소.[48]
1997년~2007년우울증과 불안 감소.[49]
119개 연구 검토성공적인 프로그램은 직원 요구 사항 평가, 높은 참여율, 자기 관리 촉진, 여러 건강 문제 동시 타겟팅, 다양한 활동 제공 등의 속성을 가짐.[50]



세계 보건 기구와 국제 노동 기구의 연구에 따르면, 장시간 노동은 2016년에 허혈성 심장 질환 및 뇌졸중으로 인한 약 745,000명의 사망을 초래한 주요 직업 위험 요인이다.[51]

7. 건강 증진과 관련된 개념

세계 보건 기구(WHO)의 1986년 오타와 헌장과 2005년 방콕 헌장은 건강 증진을 "사람들이 자신의 건강과 그 결정 요인에 대한 통제력을 높이고, 이를 통해 건강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과정"으로 정의한다.[2] 건강 증진은 개인의 행동 변화뿐만 아니라 소득, 주거, 식량 안보, 고용, 양질의 근로 조건과 같은 건강 결정 요인을 해결하기 위한 광범위한 사회적, 환경적 개입을 포함한다.[3][4]

건강 교육은 건강 문해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조화된 학습 활동을 의미하는 반면, 건강 증진은 건강한 행동과 생활 방식을 지원하도록 설계된 더 광범위한 사회적, 환경적 개입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건강 교육과 건강 증진을 구분하는 것이 중요하다.[5]

건강 증진은 건강 결정 요인을 다루는 공공 정책을 포함하며,[6] 최근에는 모든 정책의 건강 고려(HiAP)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건강 증진은 건강 형평성과 일치하며, 사회 정의 또는 인권에 전념하는 비정부 기구(NGO)의 초점이 될 수 있다. 건강 문해력은 학교에서 개발될 수 있으며, 모유 수유 증진과 같은 건강 증진의 측면은 공공 장소의 법률과 규칙에 달려 있을 수 있다. 오타와 헌장 건강 증진 행동 항목 중 하나는 예방을 사회의 모든 분야에 주입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 예방 의료에서 치료 및 치료 중심의 의료 모델보다는 예방 의료로 간주된다.[7]

일부 공중 보건 관계자, 정부 및 의료 산업 복합체는 건강 증진을 개인 기술 개발, 즉 건강 교육 및 행동 위험 요인 변화에 초점을 맞춘 소셜 마케팅으로 축소하려는 경향이 있다.[8]

건강 증진에 관한 최초의 출판물은 1974년 캐나다 정부에서 발행한 랄론드 보고서이다.[10] 이 보고서는 건강 증진 전략을 담고 있으며 "정신적 및 육체적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에 대해 개인과 조직이 더 많은 책임을 받아들이고 더 적극적으로 활동하도록 정보를 제공하고, 영향을 미치고,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11] 1979년 미국 외과 의사의 보고서인 ''건강한 사람들''(Healthy People)에서는[10] 건강 증진은 "…[사람들]이 행복한 상태를 유지하고 향상시킬 수 있는 생활 방식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지역 사회 및 개인 조치의 개발을 추구한다"고 명시했다.[12]

1980년대 중반, 건강 증진에 대한 정의를 이끈 출판물은 다음과 같다.


  • 1984년, 세계 보건 기구(WHO) 유럽 지역 사무소는 건강 증진을 "사람들이 자신의 건강에 대한 통제력을 높이고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과정"으로 정의했다.[13]
  • 1986년, 캐나다 보건부 장관 제이크 엡(Jake Epp)은 ''모두를 위한 건강 달성: 건강 증진을 위한 프레임워크''를 발표했는데, 이 보고서는 "엡 보고서"로도 알려지게 되었다.[10][14] 이 보고서는 건강 증진의 세 가지 "메커니즘"을 "자기 관리", "상호 지원, 즉 사람들이 서로 돕기 위해 취하는 행동", "건강한 환경"으로 정의했다.[14]
  • 1986년, 오타와에서 열린 제1차 국제 건강 증진 회의의 결과는 "건강 증진을 위한 오타와 헌장"으로 이어졌다.[15]


1980년대 후반 ''미국 건강 증진 저널''(Americ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에서 처음 발표한 "미국" 건강 증진 정의는 환경적 지원보다는 환경적 접근 방식을 사용하여 생물-행동적 접근 방식으로 서비스 제공에 더 중점을 둔다. 이후 행동에 대한 환경의 영향력이 포함되었다.

WHO는 다른 조직과 협력하여 2015년 오카나간 건강 증진 대학교 및 대학 헌장을 포함한 국제 회의를 공동 후원했다.

2019년 11월, 연구자들은 27개 국가의 국제 연구를 바탕으로, 전 세계적으로 가족을 돌보는 것이 사람들의 주요 동기라고 보고했다.[16][17]

건강 증진 계획의 평가는 여러 요인으로 인해 복잡하다.

  • 장기적인 결과: 많은 건강상의 이점은 중재 후 수년 또는 수십 년이 지나야 나타날 수 있다.
  • 귀인: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많은 요인을 고려할 때 건강 개선을 특정 건강 증진 활동에만 귀속시키기 어려울 수 있다.
  • 복잡성: 건강 증진은 종종 여러 전략을 포함하고 동시에 다양한 건강 결정 요인을 목표로 한다.
  • 윤리적 고려 사항: 의학 연구의 표준으로 간주되는 무작위 대조 시험은 지역 사회 기반 건강 증진에서 항상 실행 가능하거나 윤리적이지 않을 수 있다.[23]


이러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수많은 연구에서 건강 증진 중재의 효과가 입증되었다.

  • 흡연 조절: 공공 교육, 금연 규제 및 과세를 포함한 포괄적인 흡연 조절 프로그램은 흡연율 및 관련 건강 문제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24]
  • 신체 활동: 신체 활동을 증진하기 위한 지역 사회 전체 캠페인은 신체 활동 수준 증가 및 건강 결과 개선과 관련이 있다.[25]
  • 영양: 건강한 식습관을 장려하는 학교 기반 프로그램은 어린이의 식습관 및 체질량 지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26]
  • 직장 건강 증진: 체계적인 검토 결과, 직장 건강 증진 프로그램은 직원의 건강 행동 개선 및 의료 비용 절감으로 이어질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27]

7. 1. 건강의 사회적 결정 요인

건강의 사회적 결정 요인은 사람들의 건강을 규정하는 경제적·사회적 상황이다.[65] 질병은 일반적으로 사회, 경제, 정치, 환경적인 상황과 관련되어 있으며, 이러한 상황에 대한 노력을 통해 건강 증진을 추진하려는 움직임이 있다.

건강의 사회적 결정 요인이 시사하는 것은 개인의 건강은 개인이 관리할 수 없는 상황에 좌우된다는 것이다. 이는 WHO의 건강 정의에도 부합하는 이념이다.

1997년 건강 증진을 21세기로 이끄는 자카르타 선언에서 건강 결정 요인의 중요성이 강조[66]되면서, 1998년 마이클 마멋과 리처드 윌킨슨 등에 의한 지견 정리로 '건강'과 '사회'를 연결하는 현실적이고 정책적인 개념으로 성숙했다.

7. 2. 건강 불평등

건강 불평등은 인종, 민족,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라 건강의료의 질에 차이가 나타나는 현상을 의미한다.[73]

이는 단순한 우연이나 생물학적 요인(연령, 성별, 유전 등)에 의한 건강 차이와는 달리, "예방 가능하고, 불필요하며, 불공정하고, 부당한 건강상의 차이"로 정의된다.[74] 더 나아가, 건강 불평등은 "세금 제도, 사업 규제, 복지 급여, 의료 재원 마련 등 사회적 결정에 따른 결과"라는 주장도 제기되며, 우연이나 생물학적 요인에 의한 차이와는 명확히 구분되어야 함을 강조한다.[75]

건강 불평등은 주로 다음 세 가지 영역에서 나타난다.[76]

영역설명
질병 발생 빈도의 격차특정 집단에서 질병이 더 자주 발생하는 현상
의료 접근성(근접성)의 격차의료 서비스를 이용하기 어려운 정도의 차이
의료의 질의 격차제공되는 의료 서비스 수준의 차이



2000년 건강 증진을 위한 멕시코 선언에서는 국가 내, 국가 간 건강 불평등 격차를 줄이는 것이 중요함을 강조했다.[77] 건강 심리학(Health Psychology)은 건강권을 건강 불평등과 관련하여 복지 및 윤리적 영역까지 폭넓게 다루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한다.[109][110]

7. 3. 피해자 비난

건강의 사회적 결정 요인이 밝혀지면서, 질병의 원인이 개인에게만 있는 것이 아니라는 점이 분명해지고 있다. 질병을 앓는 사람들(희생자)을 "질병의 원인은 모두 당신에게 있다"고 비난하는 것은 질병으로 인한 고통을 줄이지 못할 뿐만 아니라, 부당한 비난으로 정신적인 고통을 더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피해자 비난은 제한된 자원의 낭비와 질병으로 인한 고통의 다층화를 초래한다고 여겨진다. 또한, 피해자 비난은 새로운 질병 발생 빈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7. 4. 공통 위험 요인 접근법

여러 만연한 질병(비만, 당뇨병, 고혈압 등)에는 공통적인 원인 등이 관련되어 있다. 이 공통적인 원인을 중심으로 정보 캠페인 전개와 환경 정비를 추진함으로써 건강 증진을 실현하는 방법이 공통 위험 요인 접근법이다.[78] 이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많고 분산된 지원 활동에서의 노력 중복과 정보 모순을 방지하고, 한정된 자원을 유효하게 건강 증진에 활용할 수 있다고 여겨진다. 또한, 이 위험 요인에는 운동 부족, 흡연, 지방 과다 및 섬유질 부족 식습관, 신체 청결 등이 있다.

건강의 사회적 건강 결정 요인이 명확해짐에 따라, 질병별 대책이 아닌 일원화된 대책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7. 5. 협력

WHO의 오타와 헌장에 따르면, 지역 사회의 참여는 건강 증진의 기본적인 요소이다. 건강 문제 인식부터 변화를 만드는 방법에 이르기까지 모든 면에서 지역 사회가 중심이 되어야 한다. 또한, 광범위하고 다양한 건강의 사회적 결정 요인을 인식하고, 이에 초점을 맞춰 협력하는 것이 건강 증진의 핵심 요소이다. 사회의 여러 부문, 예를 들어 정부 부처, 교육, 농업, 의료, 자원봉사 활동 등 모두가 건강에 큰 영향을 미친다.

7. 6. 전체 인구 접근법

질병 발생이 모집단 전체에 분포하는 경우, 중증은 모집단의 일부에 집중되고 경증 또는 중등도의 증상은 모집단에 광범위하게 발생할 수 있다. 실제로 몇몇 질병의 중증도는 이와 같이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79] 이러한 질병에 대한 접근 방식으로는, 해당 질병에 걸릴 가능성이 높다고 의심되는 일부 집단을 선택하여 그 집단에 예방 수단을 강구하는 방식(타겟 인구 접근법)과, 모집단 전체에 예방 수단을 강구하는 방식(전체 인구 접근법)이 상황에 따라 정당화되어 왔다.

건강 증진에 있어서는, 모집단에서 광범위하게 발생하는 경증 또는 중등도의 증상의 존재를 간과할 수 없다는 상황에서, 전체 인구 접근법에 따라 대책이 강구되는 경우가 많다. 다만 자원이 부족하다는 상황으로 인해 타겟 인구 접근법이 선택되기도 한다.

7. 7. 생애 과정 분석

생애 과정 분석이란 건강에 대한 생물학적 위험과 생애 전반에 걸친 만성 질병의 진행이 경제적, 사회적, 심리적 요인과 서로 영향을 미치는 복잡한 방식을 분석하는 것을 기초로 한다.[80]

건강과 관련하여 생애에는 다음과 같은 임계기가 있다고 여겨진다.[80]

임계기
초등학교에서 중학교로의 전환
학교 시험
노동 시장 참여
부모와의 별거
자가 주택 마련
부모가 됨
직업 불안, 변화, 상실
노동 시장 퇴출



생애 과정 분석의 관점은 사회적 상황, 그리고 생애를 통한 사람과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강조한다.

7. 8. 건강권

경제적, 사회적 및 문화적 권리에 관한 국제 규약(A 규약)은 건강권을 "달성할 수 있는 최고 수준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이라고 설명하며, 정부는 건강의 전제 조건을 정비하고 의료를 제공해야 할 의무가 있다고 본다.[83]

A 규약 제12조는 건강권을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 이 규약의 체약국은 모든 사람이 도달 가능한 최고 수준의 신체적 및 정신적 건강을 누릴 권리가 있음을 인정한다.

# 이 규약의 체약국이 1항의 권리를 완전히 실현하기 위해 취하는 조치에는 다음 사항에 필요한 조치를 포함한다.

## 사산율 및 유아 사망률을 감소시키기 위한 조치, 그리고 아동의 건전한 발육을 위한 대책

## 환경 위생 및 산업 위생의 모든 상태의 개선

## 전염병, 풍토병, 직업병 및 기타 질병의 예방, 치료 및 억제

## 질병의 경우 모든 사람에게 의료 및 간호를 확보하는 조건의 창출

일본변호사연합회는 건강권이 헌법의 기본적 인권에서 유래하며, 모든 국민에게 동등하게 전면적으로 보장되고, 누구도 이를 침해할 수 없으며, 국가, 지방 공공 단체, 의사 및 의료기관 등에 대해 적극적으로 그 보장을 주장할 수 있는 권리라고 설명한다.[84] 건강 심리학은 건강권을 건강 불평등과 관련해 복지와 윤리적인 영역까지 폭넓게 다루어야 할 필요성을 보고하고 있다.[109][110]

8. 한국의 건강 증진 정책

대한민국은 2000년부터 '건강 대한민국 21'(21세기 국민 건강 증진 운동)을 통해 건강 관련 수치 목표를 설정하였다.[89] 2002년에는 국민 보건 향상을 위한 건강 증진법이 제정되었다.[90]

일본 후생노동성은 직원 건강 증진과 지구 온난화 대책으로 청사 내 계단 이용 캠페인을 실시하고 있다.[91]

2005년, 일본은 국민의 건강한 심신과 풍부한 인간성 함양을 위한 식육기본법을 채택하였다.[92]

더불어민주당은 건강 불평등 해소, 취약 계층 지원, 보편적 건강 보장, 공공 의료 강화 등을 주요 정책으로 추진하며 건강 증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참조

[1] 간행물 Health Promotion Glossary of Terms 2021 https://www.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2] 문서 Participants at the 1st Global Conference on Health Promotion in Ottawa, Canada, Geneva, Switzerland: World Health Organization, 1986. Retrieved September 15, 2021. 2021-09-15
[3] 웹사이트 Health promotion https://www.who.int/[...] 2024-10-24
[4] 논문 Health Promotion Elsevier
[5] 학술지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Cognitive View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Cognitive View, by Bandura Albert.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1986, 617 pp., cloth. http://dx.doi.org/10[...] 1987-01
[6] 웹사이트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 Healthy People 2030 {{!}} health.gov https://health.gov/h[...] 2022-11-18
[7] 웹사이트 Ottawa Charter for Health Promotion: An International Conference on Health Promotion https://www.canada.c[...] 2023-10-28
[8] 서적 Health promotion: disciplines, diversity, and developments Routledge
[9] 학술지 Your Health vs. My Liberty: Philosophical beliefs dominated reflection and identifiable victim effects when predicting public health recommendation compliance during the COVID-19 pandemic 2021
[10] 학술지 Health education, health promotion and the open society: an historical perspective 1989
[11] 문서 A new perspective on the health of Canadians. A working document. http://www.hc-sc.gc.[...] 1974
[12] 문서 Healthy people: the Surgeon General's report on health promotion and disease prevention. http://profiles.nlm.[...] 1979
[13] 학술지 A discussion document on the concept and principles of health promotion 1986-05
[14] 학술지 Achieving health for all. A framework for health promotion
[15] 웹사이트 The Ottawa Charter for Health Promotion. Firs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Health Promotion, Ottawa, 21 November 1986. https://www.who.int/[...]
[16] 뉴스 Caring for family is what motivates people worldwide - International study including 27 countries shows people prioritize loved ones over everything else https://www.eurekale[...] 2019-11-26
[17] 학술지 Family Matters: Rethinking the Psychology of Human Social Motivation https://psyarxiv.com[...] 2019-11-30
[18] 웹사이트 Health Promotion - an overview {{!}} ScienceDirect Topics https://www.scienced[...] 2024-10-24
[19] 웹사이트 Social Cognitive Theory Model - Rural Health Promotion and Disease Prevention Toolkit https://www.ruralhea[...] 2024-10-24
[20] 웹사이트 Health promotion https://www.who.int/[...] 2024-10-24
[21] 웹사이트 Health Promotion https://www.who.int/[...] 2024-10-24
[22] 학술지 Health promotion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cognitive theory http://www.tandfonli[...] 1998-07
[23] 학술지 Perspectives on the Measles, Mumps and Rubella Vaccination among Somali Mothers in Stockholm 2018-11-01
[24] 학술지 The Impact of Implementing Tobacco Control Policies: The 2017 Tobacco Control Policy Scorecard http://dx.doi.org/10[...] 2018-09
[25] 학술지 Evidence-based intervention in physical activity: lessons from around the world http://dx.doi.org/10[...] 2012-07
[26] 학술지 What childhood obesity prevention programmes work?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http://dx.doi.org/10[...] 2015-04-20
[27] 학술지 Workplace Wellness Programs Can Generate Savings http://dx.doi.org/10[...] 2010-02
[28] 웹사이트 WHO {{!}} The WHO Health Promotion Glossary https://web.archive.[...] 2020-08-11
[29] 웹사이트 Healthy settings https://www.who.int/[...] 2023-10-28
[30] 웹사이트 About us https://www.hphnet.o[...] 2023-10-28
[31] 서적 Health promotion: effectiveness, efficiency and equity Nelson Thornes
[32] 웹사이트 Workplace health promotion. http://www.enwhp.org[...]
[33] 웹사이트 Workplace health promotion. Benefits. https://www.who.int/[...]
[34] 웹사이트 Workplace health promotion. The workplace: a priority setting for health promotion. https://www.who.int/[...]
[35] 학술지 Modifiable Healthy Lifestyle Behaviors: 10-Year Health Outcomes From a Health Promotion Program https://pubmed.ncbi.[...] 2016
[36] 논문 A Million Steps: Developing a Health Promotion Program at the Workplace to Enhance Physical Activity 2017
[37] 논문 Health and wellness in the Australian coal mining industry: An analysis of pre-post findings from the RESHAPE workplace health promotion program 2023
[38] 논문 Field Test of an m-Health Worksite Health Promotion Program to Increase Physical Activity in Taiwanese Employees: A Cluster-Randomized Controlled Trial https://pubmed.ncbi.[...] 2023
[39] 논문 Physical Activity and Adherence to the Mediterranean Diet among Spanish Employees in a Health-Promotion Program before and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he Sanitas-Healthy Cities Challenge 2021-03-08
[40] 논문 A Swedish primary healthcare prevention programme focusing on promotion of physical activity and a healthy lifestyle reduced cardiovascular events and mortality: 22-year follow-up of 5761 study participants and a reference group 2020
[41] 논문 Effects of a multi-behavioral health promotion program at worksite on smoking patterns and quit behavior https://pubmed.ncbi.[...] 2019
[42] 논문 Effects of a work-related stress model based mental health promotion program on job stress, stress reactions and coping profiles of women workers: a control groups study 2020-11-04
[43] 논문 Weight loss, hypertension and mental well-being improvements during COVID-19 with a multicomponent health promotion programme on Zoom: a service evaluation in primary care 2021
[44] 웹사이트 CDC - Workplace Health - Implementation - Physical Activity https://www.cdc.gov/[...] 2015-09-27
[45] 논문 Worksite health promotion programs with environmental changes: a systematic review 2005-07
[46] 논문 A review and analysis of the clinical and cost-effectiveness studies of comprehensive health promotion and disease management programs at the worksite: update VI 2000–2004 2005-10
[47] 논문 Meta-evaluation of worksite health promotion economic return studies: 2005 update http://fhs.mcmaster.[...]
[48] 논문 Work health promotion, job well-being, and sickness absences—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08-11
[49] 논문 Meta-analysis of the effects of health promotion intervention in the workplace on depression and anxiety symptoms 2009-01
[50] 논문 The health and cost benefits of work site health-promotion programs
[51] 논문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burdens of ischemic heart disease and stroke attributable to exposure to long working hours for 194 countries, 2000–2016: A systematic analysis from the WHO/ILO Joint Estimates of the Work-related Burden of Disease and Injury 2021
[52] 웹사이트 World Health Organization http://www.who.int/h[...] 2009-03-06
[53] 웹사이트 Ontario Health Promotion Resourse system http://www.ohprs.ca/[...] 2007-03-11
[54] 간행물 Health promotion: concepts and principles. https://iris.who.int[...] 1984
[55] 간행물 What’s New About the “New Public Health”? 2004-05
[56] 서적 World History null
[57] 서적 The role of medicine Oxford, Basil Blackwell 1979
[58] 웹사이트 Health Promotion Emblem http://www.who.int/h[...] 2007-03-17
[59] 간행물 A new perspective on the health of Canadians. http://www.hc-sc.gc.[...] 1974
[60] 웹사이트 健康づくり国際会議 http://www.who.int/h[...] 世界保健機関
[61] 웹사이트 健康づくりのためのオタワ憲章 http://www.who.int/h[...] 世界保健機関
[62] 웹사이트 健康づくりを21世紀へと誘うジャカルタ宣言 http://www.who.int/h[...] 世界保健機関
[63] 웹사이트 健康の社会的決定要因: ソリッドファクツ http://www.euro.who.[...] 世界保健機関
[64] 웹사이트 Wilkinson, R., & Marmot, M. (2003).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The solid facts. http://www.euro.who.[...] WHO European Office 2007-03-17
[65] 웹사이트 健康づくりを21世紀へと誘うジャカルタ宣言(1997) http://www.who.int/h[...] 世界保健機関
[66] 논문 The inverse care law 1971
[67] 서적 A case for refocusing upstream: the political economy of illness. Basingstoke, Macmillan 1979
[68] 서적 溺れる赤ん坊のメタファー 「社会を変える」を仕事にする 社会起業家という生き方 英治出版 2007
[69] 웹사이트 健康的な選択を、よりやさしい選択に http://www.dh.gov.uk[...] イギリス保健省
[71] 서적 Promoting health through public policy Canadian Public Health Assosication 1986
[72] 웹사이트 集団の健康テンプレート http://www.phac-aspc[...] カナダ保健省 2001
[73] 간행물 Healthy People 2010: National Health Promotion and Disease Prevention Objectives 2000-01
[74] 논문 The conceptsd and principles of equity and health 1991
[75] 논문 Why should physicians be concerned about health inequalities? Because inequalities are unfair and hurt everyone http://www.pubmedcen[...] 2001-07
[76] 간행물 Understanding Health Disparities Health Policy Institute of Ohio 2004-11
[77] 웹사이트 健康づくりのためのメキシコ声明 http://www.who.int/h[...] 世界保健機関
[78] 서적 Integrated programme for community health in noncommunicable disease (Interhealth). In ''The prevention of noncommunicable diseases: experiences and prospects.'' World Health Organization Regional Office for Europe 1987
[79] 서적 Rose's Strategy of Preventive Medicine Oxford University Press
[80] 논문 Socio-economic determinants of health; health and the life course: why safety nets matter. http://www.bmj.com/c[...] 1997
[81] 서적 A Thematic Guide to Documents on Health and Human Rights
[82] 논문 Health and human rights 1994-Fall
[83] 웹사이트 経済的、社会的及び文化的権利に関する国際規約(A規約) https://www.mofa.go.[...] 外務省
[84] 웹사이트 人権擁護大会宣言・決議集 Subject:1980-11-08「健康権」の確立に関する宣言 https://web.archive.[...] 日本弁護士連合会
[85] 웹사이트 たばこの規制に関する世界保健機関枠組条約 https://www.mofa.go.[...] 外務省
[86] 웹사이트 たばこと健康に関する情報ページ http://www.mhlw.go.j[...] 厚生労働省健康局総務課生活習慣病対策室健康情報管理係
[87] 웹사이트 食事と運動、健康についての世界戦略 http://www.who.int/d[...] 世界保健機関
[88] 웹사이트 健康づくりに関する世論調査(平成元年6月) https://www8.cao.go.[...] 内閣府政府広報室
[89] 웹사이트 健康日本21 https://www.kenkouni[...] 2007-03-16
[90] 웹사이트 健康増進法(平成十四年法律第百三号) https://laws.e-gov.g[...] 総務省行政管理局 2019-06-07
[91] 웹사이트 階段利用キャンペーンについて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健康局総務課生活習慣病対策室健康指導係
[92] 웹사이트 食育の推進にむけて https://www8.cao.go.[...] 内閣府
[93] 웹사이트 健康づくり http://www.phac-aspc[...] カナダ公衆衛生機関
[94] 웹사이트 ヘルシー・ピープル (1979) の全文 http://profiles.nlm.[...] 米国国立医学図書館
[95] 웹사이트 ヘルシー・ピープル2010 http://www.healthype[...] 米国保健社会福祉省
[96] 웹사이트 ヘルシー・ピープルとは何か? http://www.healthype[...] 米国保健社会福祉省
[97] 웹사이트 ヘルシー・ピープルの目的は何か? http://www.healthype[...] 米国保健社会福祉省
[98] 서적 Promoting Health - a practical guide Balliere Tindall 2005
[99] 논문 Report of the 2000 Joint Committee on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Terminology https://archive.org/[...] Wiley-Blackwell
[100] 논문 Health education, health promotion and the open society: an historical perspective 1989-Spring
[101] 간행물 A new perspective on the health of Canadians. A working document. http://www.hc-sc.gc.[...] Government of Canada 1974
[102] 간행물 Healthy people: the Surgeon General's report on health promotion and disease prevention. http://profiles.nlm.[...] U.S. Department of Health, Education, and Welfare, Public Health Service, Office of the Assistant Secretary for Health and Surgeon General 1979
[103] 논문 A discussion document on the concept and principles of health promotion http://heapro.oxford[...] 1986-05
[104] 논문 Achieving health for all. A framework for health promotion http://heapro.oxford[...] 1986
[105] 웹사이트 The Ottawa Charter for Health Promotion. Firs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Health Promotion, Ottawa, 21 November 1986. http://www.who.int/h[...]
[106] 뉴스 Caring for family is what motivates people worldwide - International study including 27 countries shows people prioritize loved ones over everything else https://www.eurekale[...] EurekAlert! 2019-11-26
[107] 저널 Family Matters: Rethinking the Psychology of Human Social Motivation https://psyarxiv.com[...] 2019-11-30
[108] 논문 Self-control and Health-Related Behaviour: The Role of Implicit Self-Control, Trait Self-Control, and Lay Beliefs in Self-Control https://pubmed.ncbi.[...] 2019-11
[109] 간행물 질병예방 및 건강증진 전략개발 연구 http://repository.ki[...]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2
[110] 논문 보완대체의학의 윤리적 성찰 2009-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