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곱 (범주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곱 (범주론)은 범주 내 대상들의 집합에 대해 정의되는 개념으로,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대상과 사영 사상의 집합으로 구성된다. 두 대상의 곱은 두 개의 사영 사상을 갖는 대상이며, 임의의 사상 쌍에 대해 유일한 사상을 구성하는 보편 성질을 만족한다. 임의의 대상 집합의 곱은 대상과 사영 사상의 족으로 구성되며, 보편 성질을 만족한다. 곱은 등식을 사용하여 정의하거나, 극한의 특수한 경우로 정의할 수도 있다. 곱은 결합적이며, 데카르트 범주에서는 자연 동형이 성립한다. 집합, 위상 공간, 군 등의 범주에서 곱은 곱집합, 곱공간, 직접곱 등으로 나타난다. 곱은 항상 존재하는 것은 아니며, 체의 범주나 종대상이 없는 범주에서는 곱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2. 정의

범주 \mathcal C에서 대상 집합 \{X_i\}_{i\in I}의 곱은 대상 X와 각 X_i에 대한 사상 \pi_i\colon X\to X_i (사영 사상)으로 구성되며, 다음의 보편 성질을 만족해야 한다.


  • 대상 X\in\operatorname{ob}(\mathcal C)
  • 사영 사상 \pi_i\colon X\to X_i


임의의 대상 Y\in\operatorname{ob}(\mathcal C)와 사상 f_i\colon Y\to X_i에 대하여, \pi_i f=f_i를 만족시키는 유일한 사상 f\colon Y\to X가 존재해야 한다.

곱의 보편성


이때, X를 곱이라 부르고 \prod_{i\in I}X_i로 표현한다.

2. 1. 두 대상의 곱

범주 \mathcal C에서, 두 대상 X_1X_2은 보통 X_1 \times X_2로 표기되며, 다음을 만족하는 대상 X와 사상 쌍 \pi_1 : X \to X_1, \pi_2 : X \to X_2으로 정의된다.

  • 보편 성질: 임의의 대상 Y와 사상 쌍 f_1 : Y \to X_1, f_2 : Y \to X_2에 대해, 다음 가환도표를 만족시키는 유일한 사상 f : Y \to X_1 \times X_2가 존재한다.
  • 곱의 보편 성질


\pi_1\pi_2표준 사영 또는 사영 사상이라고 불리며, ff_1f_2이라고 불리고 \langle f_1, f_2 \rangle로 표기된다.

곱이 존재한다면, 보편 성질에 의해 표준 동형 사상까지 유일하다. 즉, X', \pi_1', \pi_2'가 또 다른 곱이라면, \pi_1' = \pi_1 \circ h\pi_2' = \pi_2 \circ h를 만족하는 유일한 동형사상 h : X' \to X_1 \times X_2가 존재한다.

2. 2. 임의의 대상 집합의 곱

범주 \mathcal C의 대상 집합 \{X_i\}_{i\in I}은 다음 데이터로 이루어진다.

  • 대상 X\in\operatorname{ob}(\mathcal C)
  • X_i에 대하여, 사상 \pi_i\colon X\to X_i. 이들을 사영 사상(projection morphism|프로젝션 모피즘영어)이라고 한다.


이들은 다음과 같은 조건을 만족시켜야 한다. 임의의 대상 Y\in\operatorname{ob}(\mathcal C)와 사상 f_i\colon Y\to X_i에 대하여, 다음을 만족시키는 유일한 사상 f\colon Y\to X가 존재한다.

:\pi_if=f_i

즉, 다음 그림을 가환시키는 유일한 f가 존재한다.

:

이때, X를 '''곱'''이라 부르고 \prod_{i\in I}X_i로 표현한다. 만약 I = \{1, \ldots, n\}이면, 이는 X_1 \times \cdots \times X_n으로 표기하고 사상의 곱은 \langle f_1, \ldots, f_n \rangle로 표기한다.

2. 3. 등식적 정의

곱은 연산과 등식을 사용하여 정의할 수도 있다. 이진 곱의 경우, 연산 \langle \cdot,\cdot \rangle의 존재성과 특정 등식들을 통해 곱의 보편성과 유일성을 보장한다.

  • f의 존재는 연산 \langle \cdot,\cdot \rangle의 존재에 의해 보장된다.
  • 그림의 가환성은 다음 등식에 의해 보장된다: 모든 f_1, f_2 및 모든 i \in \{1, 2\}에 대해, \pi_i \circ \left\langle f_1, f_2 \right\rangle = f_i
  • f의 유일성은 다음 등식에 의해 보장된다: 모든 g : Y \to X_1 \times X_2에 대해, \left\langle \pi_1 \circ g, \pi_2 \circ g \right\rangle = g.[1]

2. 4. 극한으로서의 정의

곱은 극한의 특수한 경우이다. 이는 이산 범주(항등 사상 외에는 사상이 없는 대상들의 집합)를 극한의 정의에 필요한 다이어그램으로 사용하여 볼 수 있다. 이산 대상들은 성분과 투영의 지표 역할을 할 것이다. 만약 이 다이어그램을 함자라고 간주한다면, 이 함자는 이산 범주로 간주되는 지표 집합 I로부터의 함자가 된다. 그러면 곱의 정의는 극한의 정의와 일치하며, \{f\}_i는 뿔이 되고 투영은 극한(극한 뿔)이 된다.[1]

2. 5. 보편 성질

범주론에서 곱은 특정한 보편 성질을 만족시키는 대상과 사상들의 집합이다. 이 보편 성질은 극한의 개념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곱의 보편 성질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범주 \mathcal C의 대상들의 집합 \{X_i\}_{i\in I}가 주어졌을 때, 이 집합의 곱은 다음을 만족하는 대상 X와 사상들의 집합 \pi_i\colon X\to X_i (사영 사상)으로 구성된다.

  • 임의의 대상 Y와 사상들의 집합 f_i\colon Y\to X_i에 대하여, \pi_if=f_i를 만족시키는 유일한 사상 f\colon Y\to X가 존재한다.


이를 그림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이때, X는 곱 \prod_{i\in I}X_i로 표현된다.

두 대상 X_1X_2의 곱 X_1 \times X_2의 경우, 보편 성질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 모든 대상 Y와 모든 사상 쌍 f_1 : Y \to X_1, f_2 : Y \to X_2에 대해, 다음 가환도표를 만족시키는 유일한 사상 f : Y \to X_1 \times X_2가 존재한다.


만약 곱이 존재한다면, 보편 성질에 의해 표준 동형 사상까지 유일하게 결정된다. 즉, X', \pi_1', \pi_2'가 또 다른 곱이라면, \pi_1' = \pi_1 \circ h\pi_2' = \pi_2 \circ h를 만족하는 유일한 동형 사상 h : X' \to X_1 \times X_2가 존재한다.[1]

사상 \pi_1\pi_2는 표준 사영 또는 사영 사상이라고 불린다. Yf_1, f_2가 주어졌을 때, 유일한 사상 f는 사상 f_1f_2의 곱이라고 불리며, \langle f_1, f_2 \rangle로 표기된다.[1]

곱은 극한의 특수한 경우로 볼 수 있다. 극한의 보편 성질에서 이산 범주를 사용하면 곱 범주와 대각 사상을 얻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곱을 보편 사상으로 정의할 수 있다.[1]

3. 대각 사상

기수 \kappa와 대상 X가 주어졌을 때, \kappaX들의 곱 X^{\times\kappa}이 존재한다고 하자. 그렇다면, 곱의 보편 성질에 의하여 항등 사상 \operatorname{id}_X로부터 유도되는 사상

:\operatorname{diag}_X\colon X\to X^{\times\kappa}

이 존재한다. 이를 '''대각 사상'''(diagonal morphism영어)이라고 한다.

4. 성질

곱은 결합 법칙을 만족한다. 즉, X \times (Y \times Z) \simeq (X \times Y) \times Z \simeq X \times Y \times Z와 같은 자연 동형 사상이 존재한다. 유한 곱과 쌍대곱을 가진 범주의 임의의 대상 \(X, Y, Z\)에 대해, 표준 사상 \(X \times Y + X \times Z \to X \times (Y + Z)\)가 존재한다. 여기서 더하기 기호는 쌍대곱을 나타낸다. 분배 범주는 이 사상이 실제로 동형 사상인 범주이다. 따라서 분배 범주에서는 다음과 같은 표준 동형 사상이 존재한다.

:\(X\times (Y + Z)\simeq (X\times Y) + (X \times Z)\)

4. 1. 결합성

곱은 결합 법칙을 만족한다. 즉, X \times (Y \times Z) \simeq (X \times Y) \times Z \simeq X \times Y \times Z와 같은 자연 동형 사상이 존재한다.

4. 2. 분배성

유한 곱과 쌍대곱을 가진 범주의 임의의 대상 \(X, Y, Z\)에 대해, 표준 사상 \(X \times Y + X \times Z \to X \times (Y + Z)\)가 존재한다. 여기서 더하기 기호는 쌍대곱을 나타낸다. 쌍대곱 \(X \times Y + X \times Z\)의 보편적 성질은 다음 그림을 채우는 유일한 사상의 존재를 보장한다(유도된 사상은 점선으로 표시).



곱 \(X \times (Y + Z)\)의 보편적 성질은 위의 그림에서 점선 화살표로 유도된 유일한 사상 \(X \times Y + X \times Z \to X \times (Y + Z)\)을 보장한다. 분배 범주는 이 사상이 실제로 동형 사상인 범주이다. 따라서 분배 범주에서는 다음과 같은 표준 동형 사상이 존재한다.

:\(X\times (Y + Z)\simeq (X\times Y) + (X \times Z)\)

5. 예시

다음은 다양한 범주에서의 곱의 예시이다.

범주
의 범주 \operatorname{Grp}군들의 직접곱 A\times B
아벨 군의 범주 \operatorname{Ab}직접곱 A\times B (유한 직접곱은 쌍대곱과 일치)
K에 대한 벡터 공간의 범주 K-\operatorname{Vect}직접곱 A\times_k B (유한 직접곱은 쌍대곱과 일치)
R에 대한 왼쪽 가군의 범주 R-\operatorname{Mod}직접곱 A\times_R B (유한 직접곱은 쌍대곱과 일치)
집합과 이항관계의 범주 \operatorname{Rel}분리합집합 A\sqcup B


  • 위상 공간 범주에서 곱은 기본 집합이 곱집합이고 곱 위상을 갖는 공간이다. 곱 위상은 모든 사영이 연속이 되도록 하는 가장 거친 위상이다.
  • 어떤 R 위의 가군 범주에서 곱은 성분별로 정의된 덧셈과 분배 곱셈을 갖는 곱집합이다.
  • 그래프 범주에서 곱은 그래프의 텐서 곱이다.
  • 관계 범주에서 곱은 서로소 합집합으로 주어진다.
  • 대수다양체 범주에서 곱은 세그레 매립으로 주어진다.
  • 트레이스 모노이드 범주에서 곱은 히스토리 모노이드로 주어진다.
  • 바나흐 공간단사 사상 범주에서 곱은 노름을 갖는다.[2]
  • 부분 순서 집합은 순서 관계를 사상으로 사용하여 범주로 취급될 수 있다. 이 경우 곱과 쌍대곱은 최대 하한(만남) 및 최소 상한(결합)에 해당한다.

5. 1. 집합의 범주

집합의 범주에서 곱은 곱집합 A\times B이다.[2] 집합 범주에서 곱(범주론적 의미)은 데카르트 곱이다. 집합족 X_i가 주어지면 곱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prod_{i \in I} X_i := \left\{\left(x_i\right)_{i \in I} : x_i \in X_i \text{ for all } i \in I\right\}

표준 사영은 다음과 같다.

:\pi_j : \prod_{i \in I} X_i \to X_j, \quad \pi_j\left(\left(x_i\right)_{i \in I}\right) := x_j.

임의의 집합 Y와 함수족 f_i : Y \to X_i가 주어지면, 보편 화살표 f : Y \to \prod_{i \in I} X_if(y) := \left(f_i(y)\right)_{i \in I}.로 정의된다.

5. 2. 위상 공간의 범주

위상 공간의 범주에서 곱은 곱공간이다.[2] 곱공간은 각 집합의 곱집합에 곱 위상을 부여한 것이다. 곱 위상은 모든 사영이 연속이 되도록 하는 가장 거친 위상이다.

5. 3. 군의 범주

의 범주에서 곱은 직접곱 A\times B이다.[2] 이는 성분별로 정의된 곱셈을 갖는 데카르트 곱으로 주어진다.

5. 4. 아벨 군의 범주

아벨 군의 범주에서 유한 곱은 직접곱 A\times B이며, 이는 직합과 일치한다.[2]

5. 5. 벡터 공간의 범주

K영어에 대한 벡터 공간의 범주에서, 유한 곱은 직합과 일치한다.[2]

5. 6. 가군의 범주

R에 대한 왼쪽 가군의 범주에서 곱은 직접곱 A\times_R B이다.[2] 유한 직접곱은 직합과 일치한다.

5. 7. 관계 범주

집합과 이항관계의 범주에서 곱은 분리합집합이다.[2] 이는 집합 범주가 관계 범주의 부분 범주임을 고려하면 다소 놀라운 사실일 수 있다.

5. 8. 기타

다음은 다양한 범주에서의 곱의 예시이다.

범주
집합의 범주 \operatorname{Set}곱집합 A\times B
위상 공간의 범주 \operatorname{Top}곱공간 A\times B
의 범주 \operatorname{Grp}군들의 직접곱 A\times B
아벨 군의 범주 \operatorname{Ab}직접곱 A\times B (유한 직접곱은 쌍대곱과 일치)
K에 대한 벡터 공간의 범주 K-\operatorname{Vect}직접곱 A\times_k B (유한 직접곱은 쌍대곱과 일치)
R에 대한 왼쪽 가군의 범주 R-\operatorname{Mod}직접곱 A\times_R B (유한 직접곱은 쌍대곱과 일치)
집합과 이항관계의 범주 \operatorname{Rel}분리합집합 A\sqcup B


  • 위상 공간 범주에서 곱은 기본 집합이 곱집합이고 곱 위상을 갖는 공간이다. 곱 위상은 모든 사영이 연속이 되도록 하는 가장 거친 위상이다.
  • 어떤 R 위의 가군 범주에서 곱은 성분별로 정의된 덧셈과 분배 곱셈을 갖는 곱집합이다.
  • 군 범주에서 곱은 성분별로 정의된 곱셈을 갖는 곱집합으로 주어진 군들의 직접곱이다.
  • 그래프 범주에서 곱은 그래프의 텐서 곱이다.
  • 관계 범주에서 곱은 서로소 합집합으로 주어진다.
  • 대수다양체 범주에서 곱은 세그레 매립으로 주어진다.
  • 트레이스 모노이드 범주에서 곱은 히스토리 모노이드로 주어진다.
  • 바나흐 공간단사 사상 범주에서 곱은 노름을 갖는다.[2]
  • 부분 순서 집합은 순서 관계를 사상으로 사용하여 범주로 취급될 수 있다. 이 경우 곱과 쌍대곱은 최대 하한(만남) 및 최소 상한(결합)에 해당한다.

6. 곱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의 범주에서는 곱 \mathbb{Q} \times \mathbb{F}_p가 존재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mathbb{Q}\mathbb{F}_p 모두로의 준동형 사상이 있는 체가 없기 때문이다.

빈 곱(즉, 공집합인 경우)은 종대상과 동일하며, 무한군의 범주와 같은 일부 범주는 종대상을 갖지 않는다. 임의의 무한군 G가 주어지면 \mathbb{Z} \to G로의 무한히 많은 사상이 존재하므로 G는 종대상이 될 수 없다.

참조

[1] 서적 Introduction to Higher-Order Categorical Logic Cambridge University Press
[2] 웹사이트 Banach spaces (and Lawvere metrics, and closed categories) https://qchu.wordpre[...] 2012-06-23
[3] 서적 Categories for the working mathematician Springer-Verlag 1988
[4] 서적 Category Theory – Lecture Notes for ESSLLI http://www.let.uu.nl[...]
[5] 서적 Introduction to Higher-Order Categorical Logic Cambridge University Press
[6] 서적 Category Theory - Lecture Notes for ESSLLI http://www.let.uu.n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