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황 수위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교황 수위권은 가톨릭교회의 교리로, 예수 그리스도가 사도 베드로에게 부여한 권한에서 유래하며, 교황이 가톨릭 교회의 최고 권위자임을 의미한다. 이 교리는 마태오 복음서의 "베드로의 고백"에 근거하며, 로마 교회의 역사적 발전과 함께 여러 단계를 거쳐 확립되었다. 초기 기독교 시대에는 로마 교회가 분쟁 중재 역할을 했으며, 4-8세기에는 교황 인노첸시오 1세가 동서 교회의 중재자 역할을 하고, 교황 레오 1세가 교황 권위를 재확립했다. 11-13세기에는 교황 그레고리오 7세가 서임권 투쟁을 벌이는 등 교황 수위권이 강화되었고, 갈리카니즘, 제1차 바티칸 공의회, 제2차 바티칸 공의회를 거치며 교황 수위권에 대한 논의가 이어졌다. 동방 정교회와 개신교는 교황 수위권을 인정하지 않으며,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에는 교황과 주교의 관계, 신앙 감각의 중요성이 강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톨릭 관련 논란 - 로마의 히폴리투스
로마의 히폴리투스는 2-3세기 로마 교회의 지도자이자 신학자로, 양태론을 비판하고 로고스 교리를 옹호했으며, 윤리적 관점 차이로 대립 주교로 선출되었고, 순교자로 추앙받았다. - 가톨릭 관련 논란 - 대립교황
대립교황은 정당한 교황으로 인정받지 못하고 교황의 자리를 주장하는 인물로, 역사적으로 교황 선출 제도의 불안정, 황제와 교황청의 갈등, 교회 대분열 등 다양한 원인으로 등장했으며, 현대에는 소규모의 자칭 대립교황들이 존재한다. - 성좌 (가톨릭) - 교황청
교황청은 로마 가톨릭교회의 중앙 행정 기관으로, 교황을 중심으로 국무원, 여러 성, 기타 기구들로 구성되어 교회의 다양한 업무를 총괄하며, 역사적으로 "로마 법원"으로도 불렸고, 교황좌 공석 시에는 추기경단이 행정을 담당한다. - 성좌 (가톨릭) - 교황
교황은 로마 가톨릭교회의 최고 지도자이자 전 세계 가톨릭 신자들의 영적 지도자로서, 사도 베드로의 후계자로 여겨지며 그리스도의 대리자로서 교회의 행정, 사법, 입법 등을 총괄하고, 그의 지위와 권위에 대한 해석은 가톨릭교회 내외에서 논쟁을 불러일으킨다. - 교황 - 콘클라베
콘클라베는 가톨릭 교회에서 추기경들이 모여 비밀 투표를 통해 교황을 선출하는 회의로, 13세기부터 시작되어 여러 개혁을 거쳐 현재는 시스티나 성당에서 3분의 2 이상 득표한 후보를 선출하고 흰 연기와 종소리로 결과를 알린다. - 교황 - 교황 요한 4세
교황 요한 4세는 640년에 즉위하여 642년에 사망한 교황으로, 단의론을 비판하고 슬라브족 선교에 힘썼으며 고향 지역 구호 활동을 펼쳤다.
교황 수위권 | |
---|---|
교황 수위권 | |
![]() | |
개요 | |
유형 | 교의 |
지지 종교 | 가톨릭교회 |
반대 종교 | 정교회 개신교 |
관련 정보 | |
관련 인물 | 교황 베드로 |
관련 문서 | Pastor aeternus (영원한 목자) Lumen gentium (인류의 빛) Ut unum sint (그들이 하나가 되게 하소서) |
설명 | |
내용 | 교황이 전 세계 가톨릭교회에 대해 가지는 최고의 권위. 교황은 지상에서 그리스도를 대리하며, 신앙과 도덕에 관한 문제에 있어 오류가 없다는 교리 |
2. 교황 수위권의 역사적 발전
교황 수위권은 초기 기독교 시대부터 점진적으로 발전해 왔다. 안티오키아의 이그나티우스는 로마에 보낸 편지에서 로마 교회가 "로마인 지역의 자리에서 주재한다"라고 언급했다.[3] 그러나 프란시스 A. 설리번과 같은 학자들은 서기 150년 이후까지 로마에 단일 주교가 없었으며, 처음 3세기 동안 교황직이 존재하지 않았다고 주장한다.[4] 레이먼드 E. 브라운은 주교직의 발전적 측면을 인정하면서도 초기 교황들이 로마 사제들 사이에서 높은 권한을 가졌다고 보았다.[5]
예수회 역사학자 클라우스 샤츠는 100년, 200년, 300년에 로마 주교가 모든 기독교인의 수장인지 묻는다면, 그들은 "아니오"라고 답했을 것이라고 말한다. 그는 이러한 질문들이 현대적 범주를 전제하고 있으며, 이러한 범주가 발전하는 데 시간이 걸렸다고 설명한다. 샤츠는 또한 "매우 빠르게 동등한 자들 중의 의장 또는 '첫 번째'가 나타났을 가능성이 높다"라고 덧붙였다.[6]
2. 1. 초기 기독교 시대 (1-3세기)
초기 기독교 시대의 처음 3세기 동안 로마 교회는 다른 지역 교회들 간의 분쟁을 해결하기 위해 개입했다.[7] 1세기 기독교 말기에 교황 클레멘스 1세는 고린토 교회의 분쟁에 개입하여 중재했다.[8] 3세기 기독교에는 교황 코르넬리우스가 60명의 아프리카 및 동방 주교들의 시노드(주교회의)를 소집하여 주재했고,[9] 그의 경쟁자였던 대립교황 노바티아누스는 "수위권을 차지했다"고 주장했다.[10]2. 2. 교황 수위권의 첫 번째 단계 (4-8세기)
교황 인노첸시오 1세는 동서 교회 분쟁의 중재자 역할을 했다. 그의 재위 기간 동안 로마 사도좌는 모든 교회 분쟁을 해결하기 위한 최종 수단으로 여겨졌다.[12] 루앙의 빅트리키우스, 툴루즈의 엑수페리우스, 안티오키아의 알렉산더 등과의 소통, 그리고 요한 크리소스토무스가 알렉산드리아의 테오필루스에 맞서 그에게 제기한 항소에 대한 그의 행동은 이러한 기회가 다양하고 많았음을 보여준다.[12]교황 레오 1세는 교회 내 영적 권위의 중앙 집중화와 교황 권위 재확립에 크게 기여했다. 로마 주교는 점차 서방 교회의 수석 총대주교로 여겨지게 되었다. 레오는 여러 차례 갈리아의 분쟁에 대한 중재를 요청받았는데, 그중 하나는 레오의 사법적 지위를 인정하지 않은 아를의 힐라리우스와 관련된 것이었다. 레오는 과거의 관행에 호소하며 "사도좌가 얼마나 존경받고 있는지...여러 항소 문제에서 결정을 뒤집거나 확인... '평화의 끈 안에서 성령의 일치'가 지켜져 왔습니다."라고 말했다.[13] 로마 주교의 수위권이 위협받고 있다고 느낀 레오는 발렌티니아누스 3세로부터 445년 6월 6일의 칙령을 얻었다. 이 칙령은 베드로의 공적, 도시의 존엄성, 제1차 니케아 공의회의 법률을 근거로 로마 주교의 수위권을 인정했다.[14]
교황 젤라시오 1세는 비잔틴 황제 아나스타시우스와 교황 수위권 문제로 갈등했다. 이 분쟁은 교황청과 제국 간의 갈등의 초기 지점이었다.
교황 그레고리오 1세는 북부 이탈리아에서 제국 권위의 붕괴에 직면하여 로마의 민정을 인수하고 롬바르드 침략자들과 협상해야 했다.
2. 3. 교황 수위권의 두 번째 단계 (11-13세기)
11세기 중반부터 13세기 중반까지는 교황 수위권이 크게 부상한 시기였다. 이 시기는 크게 두 가지 사건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다.첫째, 1075년 교황 그레고리오 7세는 황제가 고위 성직자를 임명하는 전통적인 관행을 공격했다. 이는 서임권 투쟁으로 알려진 독일과 이탈리아의 오랜 내전과 교회 분쟁을 일으켰다.[16]
둘째, 1095년 교황 우르바노 2세는 십자군을 시작했다. 이는 이슬람 지배로부터 성지(聖地)를 해방하려는 시도로, 유럽 귀족들의 힘을 교황의 지도력 아래 모으는 계기가 되었다. 십자군은 교황의 위상을 크게 높이는 데 기여했다.[16]
이러한 노력으로 12세기와 13세기에는 교황 알렉산데르 3세(재위 1159–81), 교황 인노첸시오 3세(재위 1198–1216), 교황 그레고리오 9세(재위 1227–1241), 교황 인노첸시오 4세(재위 1243–1254)와 같은 강력한 교황들이 등장했다. 이들은 교회에 대한 수위권을 행사하며 황제와 왕에 대한 세속적, 영적 문제에 대한 사법적 수위권을 주장했다.[16]
매튜 에드워드 해리스(Matthew Edward Harris)는 "13세기가 진행됨에 따라 교황청이 점점 더 고귀한 용어로 묘사되었다"라고 평가했다. 이러한 발전은 프리드리히 2세와 필리프 4세에 대항하는 것과 같은 갈등에 대한 대응이었다.[16]
이 시기 초반, 캔터베리의 안셀름(1093–1109)은 교황 수위권을 옹호했다. 안셀름은 자신의 대주교 권위를 상징하는 팔리움을 받기 위해 로마로 갈 권리와 의무를 주장했다. 그러나 윌리엄 루퍼스는 교황 우르바노 2세를 인정하지 않아 이를 허용하지 않았다. 우르바노 2세는 하인리히 4세가 임명한 대립교황 클레멘스 3세와 대립하고 있었다. 1095년 2월 25일 로킹엄에서 열린 공의회에서 안셀름은 교황 수위권 교리에 대한 증언을 담은 연설을 통해 우르바노 2세의 권위를 강력하게 주장했다.[17]
2. 4. 갈리카니즘 (17-18세기)
갈리카니즘은 프랑스 왕국에서 국가의 권리를 강화하고 프랑스 가톨릭 교회의 권한을 약화시키려는 운동이었다.[18]갈리카니즘의 대표적인 예로 1673년 루이 14세가 왕실 특권(droit de régale)을 프랑스 왕국 전역으로 확대하면서 교황청과 갈등을 빚은 사건이 있다. 이 문제는 1516년 볼로냐 조약의 적용을 두고 벌어진 분쟁이었다.[18] 1682년 프랑스 성직자 회의는 프랑스 성직자 선언을 발표하여 교황의 권한을 제한하려 했다.[19] 이 선언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20]
내용 |
---|
시민 권력은 절대적 독립성을 가진다. |
교황은 공의회보다 열등하며, 콘스탄츠 공의회의 법령은 여전히 유효하다. |
교황 권한 행사는 교회법에 의해 규제되어야 한다. |
교황의 교리적 결정은 전체 교회의 판단에 의해 확인되기 전까지는 번복될 수 없다. |
교황 알렉산데르 8세는 1690년에 사도 헌장 Inter multiplices pastoralis officii|인테르 물티플리체스 파스토랄리스 오피치la를 통해 1681년 회의의 모든 절차를 무효화하고, ''프랑스 성직자 선언''이 무효이며 효력이 없다고 선언했다. 1693년, 루이 14세는 네 개의 조항을 철회하고 교황 인노첸시오 12세에게 "철회 서한"을 썼다.[19][21] 1681년 회의에 참여했던 주교 후보자들은 교황의 임명을 거부당했으나, 1693년에 1681년 회의가 교회 권력과 교황 권한에 대해 제정한 모든 것을 부인한 후에야 임명을 확인받았다.[19]
2. 5. 제1차 바티칸 공의회 (1869-1870)
제1차 바티칸 공의회는 1870년에 교황 무류성(교황이 오류 없이 ''교황좌에서'' 교리를 정의할 수 있는 능력)과 교황 수위권, 즉 교황의 최고, 완전, 직접적이고 보편적인 통상 관할권을 교리로 선포했다.[22] 울트라몬타니즘은 ''Pastor aeternus''라는 이름의 교의 헌장을 통해 공의회주의에 승리했다.''Pastor aeternus''는 교황 수위권이 가톨릭 교회의 교리라고 명시했다.[22]
2. 6. 제2차 바티칸 공의회 (1962-1965)
제2차 바티칸 공의회(1962-1965)는 교황 수위권과 권위에 대한 논쟁을 재점화시켰다. 교황, 주교, 공의회의 권위에 대한 가톨릭 교회의 가르침은 교의 헌장 ''인류의 빛(Lumen gentium)''에서 더 자세히 설명되었다.[23] 제2차 바티칸 공의회는 제1차 바티칸 공의회에서 명시된 교회론을 명확히 하고자 했으며, 그 결과 ''인류의 빛''에 교황직과 주교직에 대한 가르침이 담기게 되었다.제2차 바티칸 공의회는 제1차 바티칸 공의회가 가르친 교황 수위권, 지상권, 무류성을 모두 재확인하면서도 주교에 대한 중요한 점들을 추가했다. 주교는 "로마 교황의 대리자"가 아니라, 지역 교회를 다스리는 "그리스도의 대리자이자 사절"이다.[23] 이들은 교황을 수장으로 하는 "교황단"을 형성하며, 가톨릭 교회의 복지에 대한 책임을 진다. 이는 공의회에서 많은 논의를 불러일으킨 공통 교회론의 기본 요소로서, 지역 교회의 중요성과 동료성의 교리를 긍정한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는 동료성에 대한 구절에서 "주교 서열은 사도단의 스승이자 목자로서의 역할의 계승자이며, 사도단은 그 안에서 영속된다. 그들은 수장인 최고 교황과 함께, 그리고 그와 떨어져서는 안 되며, 보편 교회를 다스리는 최고의 완전한 권한을 갖는다. 그러나 이 권한은 로마 교황의 동의 없이는 행사될 수 없다"고 가르친다. 현재 교황 수위권에 대한 많은 논의는 이 구절의 함의를 탐구하는 데 관련되어 있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는 또한 살아있는 전통을 위한 수단으로서 ''신앙 감각(sensus fidelium)''을 강조했다.[24]
3. 교황 수위권에 대한 비판
교황 수위권에 대한 비판은 역사적으로 다양하게 제기되었다. 가톨릭 교리는 그리스도가 교황 수위권을 제정했으며, 교황 계승이 사도 베드로까지 거슬러 올라간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주장의 근거는 마태복음 16장 17-19절에 기록된 베드로의 고백이다. 베드로가 예수를 메시아이자 하느님의 아들로 고백하자, 예수는 다음과 같이 답했다.
안티오키아의 이그나티우스는 로마 교회에 보낸 편지에서 "로마인 지역의 자리에서 주재한다"(προκάθηται ἐν τόπῳ χωρίου Ῥωμαίων)라고 썼다.[3]
그러나 프란시스 A. 설리번 등의 학자들은 150년 이후까지 로마에 단일 "주교"가 없었으며, 처음 3세기 동안 교황직이 존재하지 않았다고 주장한다. 설리번은 2세기 수십 년 동안 로마 교회가 단일 주교가 아닌 사제단의 지도를 받았다는 학자들의 합의를 언급한다.[4] 레이먼드 E. 브라운은 주교직의 발전적 측면을 인정하면서도 초기 교황들이 로마 사제들 사이에서 높은 권한을 가졌다고 보았다.[5]
예수회 역사학자 클라우스 샤츠는 100년, 200년, 300년에 기독교인에게 로마 주교가 모든 기독교인의 수장인지, 아니면 다른 주교들 위에 있는 최고 주교로서 교회 전체 문제에 대해 최종 발언권을 가졌는지 물었다면, 그들은 확실히 '아니오'라고 답했을 것이라고 말한다. 그는 이러한 질문이 현대적 범주를 전제하며, 이 범주들이 발전하는 데 시간이 걸렸다고 설명한다.[6]
초기 기독교 시대 처음 3세기 동안 로마 교회는 분쟁 해결을 위해 다른 공동체에 개입했다.[7] 교황 클레멘스 1세는 1세기 기독교 말 고린토에서 그렇게 했다.[8] 3세기 기독교에는 교황 코르넬리우스가 아프리카 및 동방 주교 60명의 시노드를 소집, 주재했고,[9] 그의 경쟁자 대립교황 노바티아누스는 "수위권을 차지했다"고 주장했다.[10]
교황 그레고리오 7세 (11세기)의 것으로 알려진 교황 칙서는 "로마 교황만이 올바르게 보편적이라고 불릴 수 있다"고 명시한다. 교황 그레고리오 1세 (6세기)는 콘스탄티노플 총대주교가 "보편 주교" 칭호를 사용하는 것을 비난하며, 그 칭호를 주장하는 자는 "그의 우쭐함 속에서 적그리스도의 선구자"라고까지 말했다. 존 노먼 데이비슨 켈리에 따르면, 그레고리오 1세는 로마 주교의 보편적 관할권을 부인하지 않았다. 그는 "로마 수위권을 옹호하는 데 지칠 줄 몰랐고 동방에서 로마의 상소 관할권을 성공적으로 유지했다. ... 그레고리오 1세는 성 베드로의 임무(예: 마태복음 16:18)가 콘스탄티노플을 포함한 모든 교회를 로마에 종속시킨다고 주장했다." 1998년, 신앙교리성은 모든 주교가 ''sollicitudo omnium Ecclesiarumla'' (고린도후서 11:28 참조)의 대상이지만, "로마 주교는 주교단의 수장인 베드로의 방식대로 그리스도의 대리자로서, ''sollicitudo omnium Ecclesiarumla''이 교회 내에서 완전하고 최고의 권력과 결합되기 때문에 특별한 힘을 얻는다. 이는 진정으로 주교적인 권력으로서 최고, 완전, 보편적일 뿐만 아니라 모든 사목자와 다른 신자들에 대한 직접적인 권력이기도 하다"고 설명했다. 그레고리오 1세는 베드로에게 맡겨진 일을 수행한 주교로서 사도좌 수위권의 ''현실''을 주장했지만, "보편 주교"라는 ''칭호''는 "불경한" 것이라며 거부했다.
3. 1. 동방 정교회
동방 정교회는 로마 교황의 수위권을 인정하지 않으며, 각 지역 교회의 자율성을 강조한다. 동방 교회는 로마 교회를 '명예의 으뜸'으로 존중했지만, 이는 사도 베드로의 계승에 기반한 것이 아니라고 본다.[3]이브 콩가르 추기경에 따르면, 동방 교회는 로마의 관할권을 인정하거나 서방 주교들의 판단에 복종하지 않았다. 동방 교회가 로마에 도움을 요청한 것은 로마의 관할권을 인정해서가 아니라, 로마가 동일한 진실과 선을 가지고 있다는 믿음에 따른 것이었다. 동방 교회는 자율적인 삶의 방식을 보호하고자 했다.[3]
3. 2. 개신교
종교 개혁 시기부터 마르틴 루터, 필리프 멜란히톤, 장 칼뱅 등 초기 개혁가들은 교황의 권위를 성경의 가르침에 어긋나는 것으로 간주하며 매우 비판적이었다. 루터는 심지어 교황을 성경에 나오는 적그리스도로 여기기도 했다.[6]4. 현대 가톨릭 교회의 교황 수위권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 가톨릭 교회는 교황 수위권과 주교단의 관계를 새롭게 정립하고, 지역 교회의 중요성과 동료성의 교리를 강조하고 있다.
참조
[1]
문서
Paragraph 882
https://www.vatican.[...]
1997
[2]
문서
Paragraph 937
https://www.vatican.[...]
1997
[3]
서적
Letter of Ignatius of Antioch to the Romans, Prologue
Hendrickson
1989
[4]
서적
From apostles to bishops: the development of the episcopacy in the early church
https://books.google[...]
Newman Press
2017-03-28
[5]
서적
Responses to 101 Questions on the Bible
Paulist Press
[6]
서적
Papal primacy: from its origins to the present
https://books.google[...]
Liturgical Press
1996
[7]
간행물
The Church Which Presides In Love
http://www.golubinsk[...]
1992
[8]
서적
Clement of Rome, St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9]
뉴스
Pope Cornelius, a reconciler, had a hard road
http://find.galegrou[...]
National Catholic Reporter
2004-09-24
[10]
백과사전
Novatian and Novatianism
http://www.newadvent[...]
New Advent
2014-01-31
[11]
문서
Against Heresies 3.3
http://www.ccel.org/[...]
[12]
백과사전
Pope Innocent I
Robert Appleton Company
1910
[13]
문서
Letter 10: To the Bishops of the Province of Vienne. In the matter of Hilary, Bishop of Arles
http://www.newadvent[...]
Christian Literature Publishing Co.
1895
[14]
서적
Documents of the Christian Church
Oxford University Press
2011
[15]
문서
Medieval Sourcebook: The Second Council of Nicea, 787
https://sourcebooks.[...]
[16]
서적
The Notion of Papal Monarchy in the Thirteenth Century: the Idea of Paradigm in Church History
Edwin Mellen Press
[17]
백과사전
St. Anselm
Robert Appleton Company
1907
[18]
웹사이트
Droit de Regale
[19]
웹사이트
Gallicanism
[20]
웹사이트
Assemblies of the French Clergy
[21]
백과사전
Enchiridion symbolorum: a compendium of creeds, definitions and declarations of the Catholic Church
Ignatius Press
[22]
웹사이트
Philip Schaff: Creeds of Christendom, with a History and Critical notes. Volume II. The History of Creeds
https://www.ccel.org[...]
2020-02-18
[23]
웹사이트
CCC 2.1
[24]
문서
Lumen Gentium
[25]
문서
Matthew 16:18
[26]
논문
Karl Rahner and Pope Francis on Papal Ministry
2017-01-25
[27]
웹사이트
150th Anniversary of the Dogma of the Immaculate Conception
http://www.fides.org[...]
Fides Press Agency
[28]
논문
Interpreting Marian Doctrine
https://books.google[...]
Gregorian Publishing Group
[29]
웹사이트
Protestants and the Pope
https://www.wscal.ed[...]
2022-08-19
[30]
문서
Paragraph 882
http://www.vatican.v[...]
1997
[31]
문서
Paragraph 937
http://www.vatican.v[...]
199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