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하느님의 아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느님의 아들은 역사적으로 통치자, 왕, 메시아에게 부여된 칭호로, 신과의 관계를 나타낸다. 고대 근동, 중국, 유라시아 유목민, 고대 그리스와 로마 등 다양한 문화권에서 통치자는 신의 아들로 여겨졌다. 아브라함 계통 종교에서 "하느님의 아들"은 구약성경에서 메시아를 지칭하는 칭호로 사용되며, 기독교에서는 예수 그리스도를, 이슬람교에서는 예언자 이사를, 유대교에서는 유대 민족이나 랍비를 비유적으로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하느님 - 엘로힘
    엘로힘은 성경 히브리어에서 "신들" 또는 다양한 의미로 사용되는 복수형 명사로, 유대교에서는 하느님을 지칭하는 단수로 이해되기도 하며, '엘'에서 파생된 것으로 여겨지면서 가나안 종교와의 연관성, 문법적 특징, 성경 용례 등 다양한 측면에서 논의되고, 후기 성도 운동에서는 하나님 아버지를 나타내는 표현으로 사용된다.
  • 하느님 - 응가이
    응가이는 키쿠유족, 엠부족, 메루족, 캄바족에게 숭배받는 신으로, 키쿠유족에게는 "무에네 냐가"로 불리며 창조 신화에서 최초의 인간을 창조했고, 마사이족에게는 양성적인 창조주로 숭배받으며 "비"와 동의어로 여겨진다.
  • 예수 - 예수의 세례
    예수의 세례는 세례자 요한이 예수에게 베푼 세례로, 복음서에 상세히 기록되어 있으며, 공관복음서는 세례 직후 성령이 내려오고 음성이 들리는 것을 묘사하며 예수의 공생애 시작을 알리는 중요한 기점으로 여겨진다.
  • 예수 - 수난
    기독교에서 수난은 예수가 겪은 고통과 죽음을 의미하며, 특히 예루살렘 입성부터 부활까지의 사건들을 포괄적으로 지칭하고, 인류의 죄를 대속하기 위한 희생으로 여겨진다.
  • 종교 용어 - 섭리
    섭리는 삶과 역사가 신의 깊은 배려로 일어난다는 종교적 관점으로, 세상과 인간을 향한 신의 개입과 돌보심을 강조하며, 다양한 종교에서 나타나고 특히 기독교에서는 핵심 교리로 여겨지지만, 인간의 자유 의지 및 예정론과의 관계는 신학적 논쟁의 대상이 된다.
  • 종교 용어 - 카리스마
    카리스마는 특정 개인의 비범한 능력이나 그에 대한 숭배를 의미하는 고대 그리스어에서 유래된 단어로, 막스 베버는 이를 사회학적 개념으로 정립하여 지배의 한 유형으로 제시했으며, 종교적, 정신의학적 용어로도 사용된다.
하느님의 아들
일반 정보
여러 종교에서
여러 종교에서 "하느님의 아들"이라는 용어의 사용을 보여주는 삽화 (1886). 왼쪽부터 시계 방향으로: 예수, 브라흐마, 아후라 마즈다, 부처.
다른 이름하느님의 종
선택된 사람
이스라엘
종교적 의미
유대교천사
의인
이스라엘 왕
유대 민족
기독교예수
기독교인
유대교에서의 하느님의 아들
성경하느님의 아들들은 창세기에서 하느님의 종들로 묘사됨.
출애굽기에서 이스라엘 민족을 지칭함.
신명기에서 하느님의 선택된 백성을 의미함.
시편에서 이스라엘 왕을 지칭함.
의미하느님과의 특별한 관계를 나타내는 은유적 표현. 문자 그대로의 혈연관계가 아님.
특징하느님께 선택받고 특별한 사명을 수행하는 존재를 의미.
도덕적 완전성과 하느님에 대한 헌신을 강조.
기독교에서의 하느님의 아들
예수성육신을 통해 하느님의 아들이 됨.
삼위일체의 제2위 (성자).
하느님과 본질적으로 동일한 존재 (동본질).
구세주로서 인류의 죄를 대속함.
기독교인성령을 통해 하느님의 자녀가 됨 (양자).
거듭남을 통해 새로운 생명을 얻음.
하느님의 성품을 닮아가며 그 뜻을 따라 살아감.
기타 종교에서의 하느님의 아들
조로아스터교아후라 마즈다의 아들
불교부처
힌두교브라흐마

2. 역사적 배경: 통치자와 제왕의 칭호

역사적으로 서주 시대(기원전 1000년경)의 중국부터 알렉산드로스 3세(기원전 360년경)를 거쳐 일본 천황(서기 600년경)에 이르기까지 많은 통치자와 황제들이 자신들의 권위를 신성화하고 정통성을 확보하기 위해 신과의 혈연관계를 나타내는 칭호를 사용했다.[11][13][14][12] 이러한 칭호는 고대 사회에서 통치자들이 자신의 권력을 강화하고 백성들의 지지를 얻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되었다.

성경에 따르면, 다마스쿠스의 여러 왕들이 하닷의 아들이라는 칭호를 사용했다. 고고학 기록에서 파나무와 2세가 아버지 파남무와 2세를 위해 세운 비문에는 비슷한 표현이 담겨 있다. 사말의 왕이었던 파남무와 2세의 아들은 자신을 라킵의 아들이라고 불렀다.[19] 라킵-엘은 페니키아어와 아람어 비문에 등장하는 신이다.[25]

로마 제국 밖에서, 2세기의 쿠샨 왕 카니슈카 1세는 "신의 아들"을 의미하는 ''데바푸트라''라는 칭호를 사용했다.[35]

2. 1. 고대 근동 및 이집트

고대 근동 지역에서는 왕들이 신의 아들로 여겨지는 경우가 많았다. 특히 이집트의 파라오는 특정 신의 아들로 불렸으며, 초기 왕조에서는 신의 화신으로 여겨져 직접적인 신정 정치를 펼쳤다.[19] 이집트 파라오는 신적 아버지와 완전한 동등성을 갖지 않았으며, 오히려 종속되었다.[19] 그럼에도 불구하고, 처음 4개 왕조 동안 파라오는 신의 화신으로 여겨졌다.[20][21] 아마르나 시대의 아케나톤은 자신을 유일신 아텐(태양)의 아들이자 대리인으로 칭하며 종교 개혁을 시도했다. 그는 아텐 신앙을 강조하며, 유일한 성직자이자 아버지의 아들로 남아 있었다.[22][23][24]

2. 2. 중국과 동아시아

서주 시대(기원전 1000년경)부터 사용된 천자(天子|티엔쯔중국어)는 '하늘의 아들'이라는 뜻으로, 중국에서 통치자의 권위가 하늘로부터 부여받았음을 나타내는 칭호였다.[13][14] 이 칭호는 천명사상을 바탕으로 통치자의 정당성을 강조했으며, 시경에도 언급되어 있다.[13][14] '天'은 하늘 또는 신을 의미하기 때문에, 천자는 "신의 아들"로 번역될 수 있다.[15] 일본 천황도 7세기 초부터 '천자'(天子|텐시일본어) 칭호를 사용했다.[16]

2. 3. 유라시아 유목민

유라시아 유목민들 사이에서도 "신의 아들" 또는 천자와 유사한 칭호가 널리 사용되었다. 예를 들어, 기원전 3세기에 통치자는 선우[17]라고 불렸고, 칭기즈 칸도 13세기까지 비슷한 칭호를 사용했다.[18]

2. 4. 고대 그리스와 로마

그리스 신화에서 헤라클레스(제우스의 아들)와 다른 많은 인물들은 필멸의 여성과의 결합을 통해 신의 아들로 여겨졌다. 기원전 360년경부터 알렉산드로스 대왕은 "아문제우스의 아들"이라는 칭호를 사용하여 자신이 반신임을 암시했을 수 있다.[27]

대략 기원전 18년에 주조된 데나리우스. 앞면: CAESAR AVGVSTVS; 뒷면: DIVVS IVLIV(S)


기원전 42년에 율리우스 카이사르는 그의 암살 이후 "신성한 율리우스"(divus Iuliusla)로 공식적으로 신격화되었다. 그의 양아들인 옥타비아누스(15년 후인 기원전 27년에 주어진 칭호인 아우구스투스)는 따라서 divi Iuli filiusla(신성한 율리우스의 아들) 또는 단순히 divi filiusla(신의 아들)로 알려지게 되었다.[28] 아우구스투스는 대담하고 전례 없는 행보로 이 칭호를 사용하여 제2차 삼두 정치에서 자신의 정치적 지위를 높였고, 마침내 로마 국가 내에서 권력을 위한 모든 경쟁자를 극복했다.[28][29]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신격화되었을 때 적용된 단어는 divusla였으며, deusla라는 별도의 단어가 아니었다. 따라서 아우구스투스는 자신을 Divi filiusla라고 불렀으며, Dei filiusla라고 부르지 않았다.[30] 신과 신과 같은 존재 사이의 경계는 때때로 일반 대중에게 명확하지 않았고, 아우구스투스는 모호성을 유지해야 할 필요성을 인식한 것으로 보인다.[30] 순전히 의미론적인 메커니즘으로서, 그리고 모호성을 유지하기 위해, 아우구스투스의 궁정은 황제에게 주어진 모든 숭배는 황제 개인보다는 "황제의 지위"에 지불되었다는 개념을 유지했다.[31] 그러나 미묘한 의미론적 구분은 로마 밖에서는 사라졌고, 아우구스투스는 신으로 숭배되기 시작했다.[32] 따라서 비문 DF는 아우구스투스에게 사용되었으며, 어떤 의미가 의도되었는지 불분명할 때가 있었다.[30][32] 아우구스투스의 Divi filiusla 칭호의 가정은 그의 이미지를 행사하려는 그의 더 큰 캠페인과 결합되었다. 아우구스투스의 공식 초상화는 그의 생애 말기에 제작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그를 잘생긴 청년으로 계속 묘사하여, 기적적으로 그가 늙지 않았다는 것을 암시했다. 황제를 본 사람이 거의 없다는 점을 감안할 때, 이러한 이미지는 분명한 메시지를 전달했다.[33]

나중에, 티베리우스(서기 14년부터 37년까지의 황제)는 divusla 아우구스투스의 아들로, 하드리아누스는 divusla 트라야누스의 아들로 받아들여졌다.[28] 1세기 말에 황제 도미티아누스는 dominus et deusla(즉, ''주인이자 신'')라고 불렸다.[34]

3. 아브라함 계통 종교에서의 '신의 아들'

바하이 신앙에서 "하느님의 아들"이라는 용어는 예수를 지칭하지만,[36] 예수와 하느님 사이의 육체적 관계가 아닌, 매우 강한 영적 관계[36]와 권위의 근원을 상징한다.[37] 20세기 전반기 바하이 신앙 지도자 쇼기 에펜디는 이 용어가 예수가 붓다, 무함마드, 바하올라 등 다른 신의 현현보다 우월함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고 했다.[38] 모든 신의 현현은 하느님과 같은 친밀한 관계를 공유하고 같은 빛을 반영하므로, 아들이라는 용어는 어떤 의미에서 모든 현현에게 적용될 수 있다고 한다.[36]

기독교, 이슬람교, 유대교에서 '하느님의 아들'에 대한 내용은 각각의 하위 문서를 참조.

3. 1. 기독교

기독교에서 "하느님의 아들"이라는 칭호는 예수성부 하느님의 신성한 아들로서의 지위를 나타낸다.[39][40] 이 칭호는 신약성경초기 기독교 신학에서 유래되었다. 이 용어는 네 복음서 모두, 사도행전, 바울 서신, 요한 서신에 사용된다.

또 다른 해석은 유대교적 이해에서 비롯되었는데, 이는 모든 인간을 하느님의 아들로 묘사한다. 구약성경의 일부에서 야곱솔로몬과 같은 역사적 인물들이 하느님의 아들로 언급되는데, 이는 그들이 아담의 후손임을 나타낸다. 성서학자들은 이 칭호를 예수의 인성을 긍정하는 방식으로 사용하며, 그는 완전한 인간이지만, 또한 요한 복음서 3장 16절에서 언급된 것처럼 전능하신 하느님이신 아버지로부터 보내심을 받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밀랍화 기법으로 그려진 예수 그리스도의 이콘 (6세기경, 시나이 반도, 성 카타리나 수도원 소장)


기독교(정교회 , 비칼케돈 기독교 , 가톨릭교회 , 성공회 , 개신교)에서 삼위일체의 하느님(지성삼자) 중 아들 하느님(신자: かみこ)인 "하느님의 아들"은 성육신하여 예수 그리스도로서 세상에 왔다고 믿어진다.

"하느님의 아들"은 삼위일체의 하느님(지성삼자) 중 아들 하느님(신자: かみこ)만을 가리키는 것은 아니다. 이 어의임을 특히 명확히 할 경우에는, "'하느님께 보내심을 받은 자'" , "'아들 하느님'" , "'하느님의 독생자'" , "'신자'(かみこ)" 와 같은 표기가 사용된다.

"하느님의 아들"은 구약성경에서 메시아의 칭호이기도 하다. 메시아는 "기름 부음 받은 자"라는 의미이며, 대망의 구세주(기독교에서는 예수 그리스도)로서의 메시아에 한정되지 않는 칭호이지만, 주석가에 따라 구약성경의 몇몇 구절에 대해 "하느님의 독생자" 예수 그리스도가 예언되었다고 해석되기도 한다.[97][98]

예를 들어 시편 2:7에 나오는 "(하느님의) 아들"은 하느님의 독생자 예수 그리스도를 예언하는 것이라고 기독교에서는 해석될 수 있으며[72][71][99][100], 이는 사도행전 4:25 - 4:27에서도 나타난다고 여겨지기도 한다(다만 그러한 해석을 따르지 않는 사람도 있으며[97], 해당 구절에 대해서도 다양한 해석이 존재한다[101]).

신약성경에서 "하느님의 아들"은, 대망의 구세주로서의 그리스도(메시아)라는 칭호와 함께 종종 사용되고 있다.

복음서에서, 예수 그리스도를 "하느님의 아들"이라고 부르는 구절은 다음과 같다.[102][103]

장면 분류성경 구절
예수 자신이 자신을 하느님의 아들이라고 하는 장면루카 복음서 22:70, 요한 복음서 5:25, 5:28, 8:42, 10:36, 11:4
기자가 기록한 내용 (대사가 아닌 것)마르코 복음서 1:1, 요한 복음서 20:31
천사가 예수를 하느님의 아들이라고 부르는 장면루카 복음서 1:35
제자들이 예수를 하느님의 아들로 (인정하고 신앙 고백으로) 부르는 장면마태오 복음서 14:33, 16:16, 27:54, 마르코 복음서 15:39, 요한 복음서 1:34, 1:49
악마가 예수를 하느님의 아들이라고 부르는 장면마태오 복음서 4:3, 4:6, 8:29, 마르코 복음서 3:11, 5:7, 루카 복음서 4:3, 4:9, 4:41, 8:28
(아이러니하게도[71]) 예수를 처형하는 사람들에 의한 고발, 심문, 조롱 속에서 나오는 것 (예수를 "하느님의 아들"이라고 인정하지 않는 사람들의 대사)마태오 복음서 26:63, 27:40, 27:43, 루카 복음서 22:70, 요한 복음서 19:7



또한, "하느님의 아들"이라는 문구로 표현되지 않더라도, 삼위일체의 하느님(지성삼자) 중 아버지 하느님(정교회에서는 "신부(카미치치)"라고도 불린다[105])의 목소리로서, 예수가 "아들"이라고 불리는 장면에서 예수가 "하느님의 아들"이라고 표현되는 구절이 있다.[71][106]


  • 예수의 세례 (공현) 장면 - 마태오 복음서 3:17, 마르코 복음서 1:11, 루카 복음서 3:22
  • 예수의 변모 (변모) 장면 - 마태오 복음서 17:5, 마르코 복음서 9:7, 루카 복음서 9:35


사도행전사도의 서신(서간)에서, 예수 그리스도를 가리켜 "하느님의 아들"이라고 기술하고 있는 구절은 다음과 같다.[102][103]

  • 사도행전 - 8:37, 9:20, 17:29
  • 고린도후서 - 1:19
  • 에베소서 - 4:13
  • 히브리서 - 4:14, 7:3, 10:29
  • 요한 1서 - 3:8, 3:23, 4:15, 5:5, 5:10, 5:13, 5:20


"화평하게 하는 자는 복이 있나니 그들이 하나님의 아들이라 일컬음을 받을 것임이요"(마태오 복음서 5:9)가 독일어로 쓰여진 스테인드 글라스(성 디오니시우스 세바스티안 교회, 라인란트팔츠 주)


기독교에서는 "하나님의 외아들"로서 예수 그리스도를 가리키는 "하나님의 아들"의 어의 외에도, 그리스도를 믿는 자[76], 하나님으로부터 축복받은 자[107], 하나님을 믿는 자[108]를 가리켜 "하나님의 아들(들)"이라고 부르는 용법이 있다(이 용법에서의 "아들"은 "양자"의 의미이다[109][110][111][112]).

이 용법에서는 신약성서의 로마 신자들에게 보낸 편지 8장 14절 "무릇 하나님의 영으로 인도함을 받는 사람은 곧 하나님의 아들이라.[84]"(개역개정 성경)이 자주 언급된다[107][113][114]. 그 외에, 마태오 복음서 5:9의 "화평하게 하는 자는 복이 있나니 그들이 하나님의 아들이라 일컬음을 받을 것임이요"(개역개정 성경, 산상수훈의 일부)가 언급된다.

구약성서에서도 하나님의 백성을 가리키는 것으로서 "하나님의 아들"(하나님의 양자)의 개념이 등장한다. 예를 들어

위의 구절들이 언급된다.[115]

구약성서에서는 "신의 백성", "신의 양자"라는 의미로서의 "신의 아들" 외에 다양한 개념이 있다. 그중에는 해석이 갈리는 것도 있다.

예를 들어 창세기 6장 2절에 나오는 "신의 아들들"은 (아담의 아들인) 셋의 자손이라고 해석되기도 하지만, 천사를 가리킨다고 해석되기도 한다. 시리아의 에프렘[116] 등 많은 교부들과 토마스 아퀴나스는 전자의 설을 따른다.[117]

3. 2. 이슬람교

이슬람에서 예수는 'عيسى بن مريم|이사 이븐 마르얌|lit=마리아의 아들 예수ar'로 알려져 있으며, 알라 (하나님)의 예언자이자 메신저이자 알 마시흐로 이해된다. 알 마시흐는 메시아(그리스도)를 뜻하는 아랍어이며, 새로운 계시인 ''알 인질''(아랍어로 "복음서")을 가지고 이스라엘 백성에게 보내졌다.[41][42][43]

이슬람은 하나님과 아들을 포함한 다른 존재 사이의 어떠한 혈연 관계도 거부한다.[44][45] 따라서 이슬람은 예수가 하나님의 아들, 하나님 그 자체[46] 또는 다른 신이라는 믿음을 거부한다.[47] 기독교와 마찬가지로, 이슬람은 예수에게 지상의 아버지가 없었다고 믿는다. 이슬람에서 예수는 하나님의 명령 "있으라"로 인해 태어난 것으로 믿어진다.[48] 하나님은 천사 지브릴(가브리엘)에게 예수의 영혼을 마리아에게 "불어넣도록"[49] 명령했고,[50][51] 마리아는 예수를 낳았다.

3. 3. 유대교

니콜라 코르디에의 다윗왕 조각상, 산타 마리아 마조레 대성당의 보르게세 예배당


"신의 아들들", "신의 아들", "의 아들"이라는 표현은 유대교 문헌에서 종종 나타나지만, 이는 신으로부터의 육체적인 혈통을 의미하지 않는다.[52][53] 유대 왕들이 비유적으로 신으로 언급되는 두 가지 경우가 있지만,[54][55] 이러한 용어는 유대 민족이 "당신 신의 자녀"로 불렸던 일반적인 의미로 사용되었다.[52]

랍비들이 사용할 때 이 용어는 특히 이스라엘을 지칭하거나 일반적으로 인간을 지칭했으며, 유대교의 메시아를 지칭하는 데는 사용되지 않았다.[52] 유대교에서 '마시아흐'라는 용어는 더 넓은 의미와 용법을 가지며, 반드시 유대 종말론과 관련된 것은 아니고 다양한 사람과 대상을 지칭할 수 있다.

메시아 벤 요셉 관련 기록으로 가브리엘의 계시(비전 오브 가브리엘[56] 또는 예셀손 석[57])는 1세기 말경에 작성된, 87줄의 잉크로 쓰인 히브리어 텍스트가 있는 1미터 높이의 석판이다. 이는 1인칭으로 쓰인 짧은 예언들의 모음으로,[58][59] "돌로 된 사해 문서"로 묘사된다.[58][60]

이 텍스트는 에브라임 출신의 메시아적 인물이 3일 만에 의로움 앞에서 악을 물리쳤다는 내용을 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61] 이후 텍스트는 "왕자들의 왕자", 즉 악한 왕에게 살해되어 제대로 매장되지 못한 이스라엘의 지도자에 대해 이야기한다.[61] 악한 왕은 기적적으로 패배했다.[61] 이 텍스트는 예레미야서 31장을 언급하는 것으로 보이며,[61] 텍스트에 묘사된 메시아적 인물의 혈통을 에브라임으로 선택한 것은 예레미야, 스가랴서, 호세아서의 구절을 참고한 것으로 보인다. 이 지도자는 하나님의 아들로 불렸다.[61]

이 텍스트는 기원전 4년에 기록된 요세푸스의 유대 반란을 바탕으로 한 것으로 보이며,[61] 작성 시기를 고려할 때, 이 반란의 세 지도자 중 한 명인 페레아의 시몬을 언급하는 것으로 보인다.[61]

일부 신명기 판본에서 사해 문서는 이스라엘의 아들들이 아닌 하느님의 아들들을 언급하는데, 이는 아마도 천사들을 지칭하는 것으로 보인다. 칠십인역도 유사하게 기록하고 있다.[54][62]

4Q174는 하느님이 다윗메시아를 자신의 아들로 언급하는 미드라쉬 텍스트이다.[63]

4Q246은 하느님의 아들이자 지극히 높으신 분의 아들로 불릴 인물에 대해 언급한다. 이 인물이 왕의 메시아, 미래의 악한 이방인 왕을 나타내는 것인지, 아니면 다른 것을 의미하는지에 대해서는 논쟁이 있다.[63][64]

11Q13에서 멜기세덱은 신성한 재판관인 신으로 언급된다. 성경에서 멜기세덱은 살렘의 왕이었다. 적어도 쿰란 공동체의 일부는 종말에 멜기세덱이 그들의 왕으로 통치할 것이라고 생각했던 것으로 보인다.[65] 이 구절은 시편 82편을 바탕으로 한다.[66]

요셉과 아세넷과 관련 텍스트인 《아세넷 이야기》 모두에서 요셉은 하느님의 아들로 언급된다.[54][67] 요셉의 기도에서는 야곱과 천사 모두 천사이자 하느님의 아들로 언급된다.[54]

"하느님의 아들"은 구약성경에서 메시아의 칭호이기도 하다. 메시아는 "기름 부음 받은 자"라는 의미이며, 대망의 구세주(기독교에서는 예수 그리스도)로서의 메시아에 한정되지 않는 칭호이지만, 주석가에 따라 구약성경의 몇몇 구절에 대해 "하느님의 독생자" 예수 그리스도가 예언되었다고 해석되기도 한다.[97][98]

예를 들어 시편 2:7에 나오는 "(하느님의) 아들"은 하느님의 독생자 예수 그리스도를 예언하는 것이라고 기독교에서는 해석될 수 있으며,[72][71][99][100] 이는 사도행전 4:25 - 4:27에서도 나타난다고 여겨지기도 한다(다만 그러한 해석을 따르지 않는 사람도 있으며,[97] 해당 구절에 대해서도 다양한 해석이 존재한다[101]).

참조

[1] 성경 Exodus
[2] 서적 The Tanach - The Torah/Prophets/Writings Stone Edition
[3] 서적 The Tanach - The Torah/Prophets/Writings Stone Edition
[4]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 Son of God http://www.newadvent[...] 2014-10-07
[5] 서적 One teacher: Jesus' teaching role in Matthew's gospel
[6] 서적 The words and works of Jesus Christ
[7] 서적 The International Standard Bible Encyclopedia
[8] 웹사이트 International Standard Bible Encyclopedia: Sons of God (New Testament) http://www.biblestud[...] 2014-10-07
[9] 문서 Merriam-Webster's collegiate dictionary Merriam-Webster
[10] 성경 Matthew
[11] 서적 Introduction to the Science of Religion
[12] 서적 A History of Japan
[13] 서적 China : a cultural and historical dictionary
[14] 서적 East Asia: A Cultural, Social, and Political History
[15] 서적 The Problem of China
[16] 서적 Rethinking Japan: Social Sciences, Ideology and Thought https://books.google[...] Japan Library Limited
[17] 백과사전 Xiongnu http://www.britannic[...] 2014-04-25
[18] 웹사이트 The Life and Conquests of Genghis Khan http://www.humanitie[...] Humanities 360 2009-07-03
[19] 서적 King and Messiah as Son of God: Divine, Human, and Angelic Messianic Figures in Biblical and Related Literature https://books.google[...] Wm. B. Eerdmans Publishing 2014-02-03
[20] 서적 The Mind of Egypt: History and Meaning in the Time of the Pharaohs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14-03-16
[21]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 http://www.newadvent[...] 2014-10-07
[22] 웹사이트 Akhenaten, Nefertiti & Aten: From Many Gods to One https://arce.org/res[...] 2024-01-12
[23] 서적 Akhenaten and the Origins of Monotheism Oxford University Press 2015
[24] 서적 Akhenaten and the Origins of Monotheism Oxford University Press 2015
[25] 서적 Dictionary of Deities and Demons in the Bible DDD https://books.google[...] Wm. B. Eerdmans Publishing 2014-03-16
[26] 웹사이트 Panammuwa and Bar-Rakib: two structural analyses http://www.jtsa.edu/[...] University of Sheffield 2014-03-16
[27] 간행물 Alexander the Great
[28] 서적 Early Christian literature
[29] 서적 Augustus
[30] 서적 The world that shaped the New Testament
[31] 서적 Experiencing Rome: culture, identity and power in the Roman Empire
[32] 서적 A companion to Roman religion
[33] 서적 Gardner's art through the ages: the western perspective
[34] 서적 The Emperor Domitian
[35] 서적 Encyclopedia of ancient Asian civilizations
[36] 서적 In The Glory of the Father: The Baháʼí Faith and Christianity Baháʼí Publishing Trust
[37] 서적 The Revelation of Bahá'u'lláh, Volume 2: Adrianople 1863–68 George Ronald
[38] 서적 Lights of Guidance: A Baháʼí Reference File http://bahai-library[...] Baháʼí Publishing Trust
[39] 서적 Religions of the World: A Comprehensive Encyclopedia of Beliefs and Practices ABC-CLIO
[40] 서적 The Understanding of Christian Faith Wipf and Stock Publishers
[41] 서적 The new encyclopedia of Islam, with introduction by Huston Smith https://books.google[...] AltaMira Press
[42] 서적 Understanding Islam and Christianity: Beliefs That Separate Us and How to Talk About Them https://books.google[...] Harvest House Publishers 2002
[43] 서적 The Oxford Dictionary of Islam
[44] 웹사이트 Surah An-Nisa [4:171] https://quran.com/4/[...] 2018-04-18
[45] 웹사이트 Surah Al-Ma'idah [5:116] https://quran.com/5/[...] 2018-04-18
[46] 웹사이트 Surah Al-Ma'idah [5:72] https://quran.com/5/[...] 2018-04-18
[47] 웹사이트 Surah Al-Ma'idah [5:75] https://quran.com/5/[...] 2018-04-18
[48] 웹사이트 Surah Ali 'Imran [3:59] https://quran.com/3/[...] 2018-04-18
[49] 웹사이트 Surah Al-Anbya [21:91] https://quran.com/21[...] 2018-04-18
[50] 서적 Jesus: A Brief History
[51] 서적 The new encyclopedia of Islam
[52] 서적 The Oxford Dictionary of the Jewish Religion 2011-03-14
[53] 서적 The Jewish Annotated New Testament 2011-11-15
[54] 서적 Jesus, Gnosis and Dogma https://books.google[...] T&T Clark International 2014-01-30
[55] 서적 Constantine, Divine Emperor of the Christian Golden Ag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4-02-04
[56] 간행물 '"By Three Days, Live": Messiahs, Resurrection, and Ascent to Heavon in' Hazon Gabriel ftp://80.179.136.36/[...] Hebrew University of Jerusalem
[57] 뉴스 The First Jesus? http://channel.natio[...] National Geographic 2010-08-05
[58] 간행물 A new Dead Sea Scroll in Stone? http://www.bib-arch.[...] 2008-01
[59] 잡지 Was Jesus' Resurrection a Sequel? http://www.time.com/[...] 2008-07-07
[60] 뉴스 Tablet ignites debate on messiah and resurrection https://www.nytimes.[...] 2008-07-05
[61] 서적 Hazon Gabriel https://books.google[...] Society of Biblical Lit 2014-04-02
[62] 웹사이트 DEUTERONOMY 32:8 AND THE SONS OF GOD http://faculty.gordo[...] 2014-01-30
[63] 서적 Redemption and Resistance: The Messianic Hopes of Jews and Christians in Antiquity https://books.google[...] A&C Black 2014-12-08
[64] 웹사이트 4Q246 https://www.ibr-bbr.[...] Bulletin for Biblical Research 2014-12-08
[65] 서적 Judaism of the Second Temple Period: Qumran and Apocalypticism https://books.google[...] Wm. B. Eerdmans Publishing 2014-02-08
[66] 서적 The Gospel of John in Cultural and Rhetorical Perspective https://books.google[...] Wm. B. Eerdmans Publishing
[67] 웹사이트 The Story of Asenath" and "Joseph and Aseneth http://www.pseudepig[...] 2014-01-30
[68] 웹사이트 Ο Υιός του Θεού γίνεται υιός του ανθρώπου http://www.impantokr[...]
[69] 웹사이트 Latin Vulgate Bible, Biblia Sacra Vulgata, Gospel According to Saint Matthew Chapter 16 http://www.drbo.org/[...]
[70] 웹사이트 Sohn Gottes http://www.kath.de/l[...]
[71]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 Son of God http://www.newadvent[...]
[72] 웹사이트 Сын Божий http://azbyka.ru/dic[...]
[73] 서적 キリスト教大事典 改訂新版 教文館 1977
[74] 문서 言(ことば) 日本聖書協会
[75] 간행물 神言(かみことば) http://www.orthodoxj[...] 日本正教会
[76] 웹사이트 かみ‐の‐こ【神の子】 http://dic.yahoo.co.[...]
[77] 웹사이트 Teachings of the Orthodox Church Greek Orthodox Archdiocese of America http://www.goarch.or[...]
[78] 웹사이트 モスクワおよび全ロシアの総主教キリルからの降誕際に際してのご挨拶 https://mospat.ru/en[...]
[79] 웹사이트 カトリック仙台教区 http://www.cbcj.cath[...]
[80] 웹사이트 日本聖公会京都教区 http://www.nskk.org/[...]
[81] 웹사이트 第3回日本基督教団改革長老教会協議会宣言 http://www.kaichokyo[...]
[82] 웹사이트 保守バプテスト同盟 信仰告白 http://doumei.holy.j[...]
[83] 웹사이트 正教時報2008年12月号 http://www.orthodoxj[...]
[84] 웹사이트 Αναγέννηση http://www.loveofgod[...]
[85] 웹사이트 Άγγελοι γαμπροί και γίγαντες. Τι ήταν οι υιοί Ελοχίμ και οι Νεφιλείμ; http://www.oodegr.co[...]
[86] 서적 Constitution dogmatique Dei Filius https://books.google[...]
[87] 웹사이트 Jesus Christ - Our Lord and Savior (CopticChurch) | St-Takla.org http://st-takla.org/[...]
[88]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 Christology http://www.newadvent[...]
[89] 웹사이트 What do Anglicans Believe? http://www.stjosepht[...]
[90] 웹사이트 Westminster Confession of Faith (Chapter VIII Of Christ the Mediator) http://www.reformed.[...]
[91] 웹사이트 This We Believe: Jesus Is the Son of God - AU United Methodist Community http://www.aumethodi[...]
[92] 문서 ヨハネによる福音書 8章42節
[93] 웹사이트 三位一体について | カトリック西千葉教会 http://homepage2.nif[...]
[94] 웹사이트 ウェストミンスター信仰基準 日本基督改革派教会訳 http://www.ogaki-ch.[...]
[95] 웹사이트 三位一体の神の業 清和女子中高等学校 http://seiwa-girl.ed[...]
[96] 웹사이트 教会への正教の理解 http://www.orthodox-[...]
[97] 서적 旧約聖書略解 日本基督教団出版部 1986
[98] 서적 聖書思想事典
[99] 서적 聖書辞典 いのちのことば社 1961
[100] 웹사이트 Объяснение священной книги псалмов - прот. Григорий Разумовский http://azbyka.ru/hri[...]
[101] 웹사이트 Is Psalm 2 Really about Jesus? - Old Testament Prophecies http://www.jesus.org[...]
[102] 웹사이트 聖書協会口語訳聖書の「神の子」の検索結果 http://www.bible.or.[...]
[103] 웹사이트 聖書協会新共同訳聖書の「神の子」の検索結果 http://www.bible.or.[...]
[104] 문서 マルコによる福音書の冒頭、1章1節にある"Ἀρχὴ τοῦ εὐαγγελίου Ἰησοῦ Χριστοῦ, υἱοῦ τοῦ Θεοῦ."「神の子イエス・キリストの福音のはじめ。」(口語訳聖書)について http://bible.org/art[...]
[105] 웹사이트 諸聖神父の会衆祭の総奉事 http://www.orthodox-[...]
[106] 웹사이트 СЫН БОЖИЙ (СЛОВАРЬ БИБЛЕЙСКОГО БОГОСЛОВИЯ) http://krotov.info/s[...]
[107] 웹사이트 Сын Божий Из "Библиологического словаря" священника Александра Меня http://krotov.info/s[...]
[108] 웹사이트 Dictionary : SONS OF GOD - Catholic Culture http://www.catholicc[...]
[109] 웹사이트 The Consequences of Redemption by Archbishop Dmitri http://churchmothero[...]
[110] 서적 聖書思想事典 カトリック教会
[111] 웹사이트 Heidelberg Catechism published in the German university town of Heidelberg in 1563 http://www.ekd.de/te[...]
[112] 웹사이트 LORD'S DAY 13 | Southport United Methodist Church http://www.sumc.org/[...]
[113] 웹사이트 Gift of Spirit Makes Us "Sons in the Son' by Pope John Paul II http://www.catholicc[...]
[114] 웹사이트 Abstract of Systematic Theology (CHAPTER XXXVI.). by REV. JAMES PETIGRU BOYCE, D. D., LL. D. http://www.reformedr[...]
[115] 서적 聖書思想事典 カトリック教会
[116] 웹사이트 Толкования на Священное Писание На книгу Бытия, 6. — преподобный Ефрем Сирин http://azbyka.ru/?ot[...]
[117] 서적 聖書 講談社 1980-11-25
[118] 웹사이트 http://www.100ssd.c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