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유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부는 두부를 얇게 썰어 기름에 튀긴 식품이다. 일본에서는 솔개에게 유부를 빼앗기는 것을 소중한 것을 잃는 것에 비유하며, 이나리 신사에서는 여우에게 유부를 공물로 바치는 풍습이 있다. 유부는 지역에 따라 크기, 모양, 두께가 다르며, 삼각 유부, 얇은 유부, 두꺼운 유부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유부는 키츠네 소바, 된장국, 유부초밥 등 다양한 요리에 사용되며, 킨차쿠는 유부 안에 재료를 채워 넣은 요리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나리 신앙 - 구미호
    구미호는 아홉 개의 꼬리를 가진 여우 요괴로, 동아시아 설화에 등장하며, 시대와 지역에 따라 상서로운 존재, 인간을 유혹하는 존재, 악한 요괴 등 다양한 모습으로 묘사되고 대중문화 콘텐츠의 소재로 활용된다.
  • 이나리 신앙 - 이나리노카미
    이나리노카미는 일본 신도에서 쌀을 비롯한 곡물을 주관하는 신으로, 풍요, 상업 번창, 가정 번영을 관장하며 여우를 사자로 삼고 붉은 도리이 등으로 상징되는 존재이다.
  • 두부 - 두부껍질
    두부껍질은 두유 가열 시 표면에 생기는 얇은 막으로, 단백질과 지질이 응고되어 만들어지며, 다양한 이름과 형태로 존재하고, 딤섬 재료나 채식 요리의 고기 대용으로 사용되며, 식물성 단백질이 풍부하지만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 두부 - 순두부
    몽글몽글하게 응고된 부드러운 두부인 순두부는 콩을 갈아 끓인 후 간수를 넣어 만들며, 그대로 먹거나 찌개 등의 요리에 사용되고, 특히 초당두부와 순두부찌개는 독특한 특징과 역사를 지닌다.
  • 일본의 튀김 요리 - 멘치카츠
    멘치카츠는 다진 고기를 빵가루에 튀긴 일본식 양식 요리로, 메이지 시대에 처음 판매된 후 쇼와 시대에 현재 명칭으로 불리기 시작했으며, 지역에 따라 재료와 조리법에 차이가 있고, 소스와 양배추를 곁들여 먹거나 샌드위치 재료, 지역 특산품 등으로 활용된다.
  • 일본의 튀김 요리 - 간모도키
    간모도키는 두부와 채소를 섞어 둥글게 빚어 튀긴 일본 요리로, 육류 대용으로 만들어졌으며 오뎅이나 조림 등에 사용된다.
유부 - [음식]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아부라아게, 또는 얇게 썬 튀긴 두부
요리
종류두부
국가일본
주재료두부
유사 음식두부피
명칭
한국어유부
일본어}}
로마자 표기Abura-age
활용
요리 예시
종류
종류
다른 종류

2. 어원 및 문화

유부는 솔개에게 유부를 빼앗긴다는 속담처럼 갑자기 소중한 것을 빼앗기는 상황을 비유할 때 사용된다. 이나리 신사에서 여우는 신의 사자로 여겨지며, 유부는 여우에게 바치는 공물로 사용된다. 이는 일본 전통 농경 사회에서 농작물을 해치는 를 잡아먹는 여우를 고마운 존재로 여겼기 때문이다. 교겐의 "낚시 여우"에 묘사된 것처럼, 여우 굴 앞에 쥐를 기름에 튀긴 "쥐 유부"를 놓는 풍습이 있었고, 이후 불교의 영향으로 콩을 튀긴 유부를 바치게 되었다.[19] 고양이도 유부를 좋아하는 경우가 있지만, 너무 많이 주지 않으면 문제는 없다.[20]

2. 1. 일본


  • "솔개에게 유부를 빼앗기다"라는 속담은 갑자기 소중한 것을 빼앗기는 상황을 비유한다.
  • 여우이나리 신사에서 신의 사자로 여겨지며, 유부는 여우에게 바치는 공물로 사용된다. 이는 일본의 전통 농경 사회에서 농작물을 해치는 를 잡아먹는 여우를 고마운 존재로 여겼기 때문이다. 교겐의 "낚시 여우"에서 묘사된 것처럼, 여우 굴 앞에 쥐를 기름에 튀긴 "쥐 유부"를 놓는 풍습이 있었다. 이후 불교의 영향으로 육식이 금지되면서 콩을 튀긴 유부를 바치게 되었다.[19]
  • 고양이도 유부를 좋아하는 경우가 있지만, 너무 많이 주지 않는다면 고양이에게 유부를 줘도 문제는 없다.[20]

3. 종류 및 지역별 특징

유부의 크기, 모양, 두께는 두부와 마찬가지로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다.

미야기현 정의산의 삼각 유부[5], 야마가타현 쓰루오카시(쇼나이 지방)의 "얇은 유부" 또는 "피 유부", 니가타현 나가오카시 도치오 지역의 "아부라게"[6], 기후현 히다 지방의 "양념 유부"와 "유부절임"[7], 후쿠이현 사카이시 마루오카초 다케다 지구의 큰 유부[8], 나라현의 "야마토 아게"[9], 에히메현 마쓰야마시의 "마쓰야마 아게"와 구마모토현 다마나군 난칸마치의 "난칸 아게"[10][11] 등이 대표적이다.

이러한 일본 지역별 유부의 특징은 하위 섹션에서 더 자세히 다루고 있다.

3. 1. 일본

미야기현 정의산에서는 하루에 1만 장을 판매하는 날도 있을 정도로 크고 두꺼운 삼각 유부(삼각 정의 아부라게)가 유명하다.[5] 야마가타현 쓰루오카시(쇼나이 지방)에서는 일반적으로 유부라고 하면 두부를 의미하며, 유부는 "얇은 유부" 또는 "피 유부"라고 한다. 니가타현 나가오카시 도치오 지역의 두부 유부는 현지에서 "아부라게"라고 불리며, 표준적인 것보다 두껍다.[6]

기후현 히다 지방에서는 간장이나 된장 등의 소스에 찍어 먹는 "양념 유부", "유부절임"이 제조·판매된다.[7] 후쿠이현 사카이시 마루오카초 다케다 지구에서는 다이쇼 시대부터 보통보다 큰 사이즈의 유부가 자주 먹힌다.[8] 나라현의 "야마토 아게"는 직육면체 두부를 비스듬히 잘라 오면체로 튀긴 것이다.[9] 에히메현 마쓰야마시에는 수분을 제거하여 보존성을 높인 "마쓰야마 아게"가 있으며, 구마모토현 다마나군 난칸마치에도 유사한 "난칸 아게"가 있다.[10][11]

지역별 유부 특징
지역특징
미야기현 정의산삼각 유부 (크고 두꺼움)[5]
야마가타현 쓰루오카시 (쇼나이 지방)유부는 두부를 의미, 얇은 유부/피 유부로 구분
니가타현 나가오카시 도치오 지역아부라게 (표준보다 두꺼움)[6]
기후현 히다 지방양념 유부, 유부절임 (간장/된장 소스에 찍어 먹음)[7]
후쿠이현 사카이시 마루오카초 다케다 지구큰 사이즈 유부[8]
나라현야마토 아게 (오면체, 두부와 유부를 함께 맛볼 수 있음)[9]
에히메현 마쓰야마시마쓰야마 아게 (수분 제거, 장기 보존)
구마모토현 다마나군 난칸마치난칸 아게 (수분 제거, 장기 보존)



도치오의 유부


야마토 아게


"솔개에게 유부를 빼앗기다"라는 비유는 소중한 것을 빼앗기는 것을 의미한다. 속설에는 여우가 유부를 주식으로 한다고 알려져 이나리 신사에서는 여우에게 유부를 바친다.[19]

4. 제조 과정

유부는 얇게 썬 두부를 기름에 튀긴 것이지만, 일반적인 두부 제조법과는 다르게 만든다[4]두유를 만들기 전 단계인 "고(콩국)"의 가열을 줄이고, 콩물을 세게 저으면서 응고시킨다. 응고된 것을 틀 상자에 넣고 눌러서 물기를 85% 정도로 뺀 두부를 만든다. 이때 두부의 무게는 원료 콩의 2배 정도가 될 때까지 물을 짜낸다[4]

그 후, 낮은 온도의 기름에 반죽을 넣고 2~3분간 튀겨서 부풀게 한 다음, 높은 온도의 기름으로 옮겨 표면의 물기를 날려 보낸다[4]。이러한 제조 방법은 콩 단백질의 성질을 잘 활용한 방법으로 평가받는다[4]

두 번 튀기는 과정에서, 첫 번째 가열에서 물기가 빠지고 단백질이 굳어진 부분에 수증기가 통과하면서 구멍이 생기고, 전체가 부풀어 오른다. 두 번째 가열에서는 단백질 막이 생겨 구멍이 막히므로, 식어도 쪼그라들지 않고 스펀지 같은 모양이 된다.

5. 요리



아츠아게, 더 두꺼운 변형


유부는 다양한 요리에 활용되는 식재료이다. 특히 일본에서는 유부를 활용한 다양한 요리들을 즐겨 먹는다. 대표적인 요리로는 유부초밥, 키츠네 우동 등이 있다.

5. 1. 일본

오키츠네 버거 (도요카와시의 향토 음식)


유부는 조리 전에 삶거나 뜨거운 물을 부어 '기름 빼기'를 한 후에 요리에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렇게 하면 기름 냄새가 제거되고 조미료 흡수가 잘 된다[12]。미리 삶는 것은 자른 후에 하면 자른 단면에서 기름을 흡수해버리기 때문에 자르기 전에 한다[12]。유부는 냉동고에서 냉동하면 장기간 보존할 수 있다.

유부를 사용한 음식은 '시노다'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13]。한자로는 '信太[14]', '信田[15]', '志乃田[15]' 등으로 표기한다. 이는 쿠즈노하 전설에서 유래했다[14][15]

유부를 사용한 요리는 다음과 같다.

  • 키츠네 소바, 키츠네 우동
  • 키츠네 덮밥
  • 된장국
  • 조림
  • 솥밥
  • 유부초밥
  • 오뎅
  • 시노다마키: 유부 안에 고기나 채소를 넣고 만 요리.
  • 시노다 우동: 잘게 썬 유부를 넣는 경우가 많다.
  • 하사미야키: 속 재료를 넣은 유부를 구운 요리. 낫토, 다진 고기, 치즈 등을 넣으며, 선술집 등에서 제공된다.


유부 자체를 가스레인지 불로 살짝 구워 수분을 제거하고 간장을 찍어 바삭한 식감을 즐기기도 한다.

유부 내부에 재료를 채워 넣고 입구를 이쑤시개로 막거나 말린 박고지로 묶은 것은 킨차쿠(巾着)라고 부른다. 오뎅이나 조림 요리의 재료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 떡 킨차쿠: 오뎅 재료로는 을 안에 채워 넣는 경우가 많아 "떡 킨차쿠"라고 불린다. 드물게 어묵이나 신조가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 오목 킨차쿠: 조림 요리에는 다양한 계절 식재료를 안에 넣는다. 닭고기, 당근, 죽순, 강낭콩, 말린 두부, 목이버섯, 연근, 표고버섯, 은행 등이 주요 재료이며, 이것들을 채워 넣은 것을 오목 킨차쿠라고 부른다.


유부를 뒤집어 재료를 채워 조리한 것은 "뒤집힌 킨차쿠"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유부초밥에도 뒤집어 채워 넣은 것이 있다 (나가노현의 "카라시 이나리"[17] 등).

킨차쿠는 도쿄 혼고의 "논키"에서 개발되었다. "논키"의 주인은 본래 계절의 여러 품목을 넣어, 봉투에서 집어먹으면서 일본 술을 천천히 마실 수 있도록 고안했지만, 배가 고파 곧바로 먹어 치우는 학생 손님 때문에 쇠고기곤약 등을 넣는 방식으로 바뀌었다고 한다.

6. 기타


  • 영어에서는 유부를 'Aburaage'라고 부른다.[1]
  • 유바와 혼동되기도 한다.
  • 여우가 좋아하는 음식이라는 속설이 있으며, 이나리 신사에서는 여우 정령을 신성하게 여겨 유부를 공물로 바치기도 한다.

6. 1. 갤러리



참조

[1]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Food https://www.oxfordre[...] Oxford University Press 2014-11-20
[2] 서적 新明解国語辞典第6版 三省堂
[3] 웹사이트 全国豆腐油揚商工組合連合会 豆腐加工食品「油揚げ」 http://www.zentoren.[...]
[4] 논문 油揚げ 一般社団法人日本調理科学会 1985
[5] 웹사이트 揚げたてアツアツ! 1日1万枚売れる仙台『定義とうふ店』の三角油揚げはなぜうまい? (2018年5月1日) https://www.excite.c[...] 2020-06-26
[6] 웹사이트 あぶらげ(油揚げ) of 栃尾観光協会 http://tochiokankou.[...] 2020-06-26
[7] 뉴스 食ナビ/飛騨「味付けあげ」人気アゲアゲ ふんわりニュー油揚げ 日本経済新聞 2017-01-31
[8] 논문 福井県の油揚げに関する調査 https://hdl.handle.n[...] 仁愛女子短期大学 2017-04
[9] 웹사이트 奈良の伝統食「大和揚げ」とは http://www5.c16.jp/b[...] クボタ食品
[10] 웹사이트 松山あげの特徴 http://www.matsuyama[...] 程野商店
[11] 웹사이트 南関あげとは? http://www.shioyamas[...] 塩山食品株式会社
[12] 웹사이트 第5章 その他 https://www.mext.go.[...] 文部科学省 2023-06-23
[13] 문서 岡田哲(2003)p.212
[14] 문서 大谷晃一(1994)p.52
[15] 문서 岡田哲(2003)p.126
[16] 웹사이트 油揚げの裏巾着 https://www.city.tok[...] 中野区 2023-06-23
[17] 웹사이트 松本伝統の味「からしいなり」に迫る 油揚げが「裏返し」内側に「からし」ルーツは神事の味? https://www.nbs-tv.c[...] 長野放送 2023-06-23
[18] 문서 菊地武顕(2013)p.43
[19] 웹사이트 かつてお稲荷さんには「ネズミの油揚げ」を供えていた!?日本人の食とキツネの関係 https://mag.japaaan.[...] Japaaan 2022-12-29
[20] 웹사이트 猫に油揚げを食べさせる際の与え方とは https://nekochan.jp/[...] ねこちゃんホンポ 2022-12-29
[21]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Food https://www.oxfordre[...] Oxford University Press 2014-11-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