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구티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티족은 고대 메소포타미아 지역에 거주했던 민족으로, 그들의 기원과 언어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기원전 25세기부터 메소포타미아 문명에 등장하며, 아카드 제국 멸망 이후 메소포타미아의 패권을 장악했으나, 기원전 21세기 초 우루크의 우투헤갈에게 패배하여 쇠퇴했다. 구티족은 수메르인과 아카드인들에게 부정적인 이미지로 기억되었으며, 일부 학자들은 현대 쿠르드족의 민족 형성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정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대 민족 - 이오니아인
    이오니아인은 고대 그리스 부족으로, 여러 문헌에 등장하며 다양한 언어에서 그리스인을 지칭하는 용어의 어원이 되었고, 이오니아어를 사용했으며 그리스 신화에서는 이온을 시조로 여긴다.
  • 고대 민족 - 스키타이족
    스키타이족은 기원전 7세기부터 3세기까지 흑해 북쪽 스텝 지역에서 활동한 이란계 유목민족으로, 뛰어난 기마 궁술과 유격전 전술, 흑해 지역 무역 장악 등으로 번성했으나 사르마티아인의 침입으로 쇠퇴했으며, 그 문화적 영향은 유라시아 대초원과 그리스-로마, 동아시아 지역까지 미쳤다.
  • 고대 메소포타미아 - 바빌로니아
    바빌로니아는 현재 이라크 지역의 메소포타미아 남부에 위치한 고대 문명으로, 다양한 언어와 문화가 공존하며 함무라비 법전과 네부카드네자르 2세 등의 강력한 군주 아래 번성했으나 페르시아 제국에 정복당하며 쇠퇴한 문명이다.
  • 고대 메소포타미아 - 아시리아
    아시리아는 기원전 26세기경 메소포타미아 북부에서 번성한 고대 문명으로, 아수르 도시를 중심으로 발전하여 오리엔트 전역을 지배하는 대제국을 건설했으며, 복잡한 사회, 발달된 관료 제도, 강력한 군사력을 특징으로 건축, 예술, 문학 분야에서 뛰어난 업적을 남겼고 현대 아시리아인의 조상으로 여겨진다.
  • 수메르 - 칼데아
    칼데아는 고대 메소포타미아 남동부 지역을 지칭하는 용어로, 서부 셈어를 사용하는 민족이 이주해와 아카드 문화에 동화되었으며, 천문학과 점성술을 발전시킨 바빌로니아의 지배 계급이자 지식 계층이었다.
  • 수메르 - 키시
    키시는 기원전 6천년경부터 사람이 거주한 메소포타미아의 고대 도시로, 수메르 문명의 중심지이자 메소포타미아 북부 지배의 상징적인 의미를 지닌 도시이며, 여러 왕조를 거쳐 번영과 쇠퇴를 반복하다 사산조 시대에 폐기되었다.
구티족
일반 정보
역사
기원자그로스산맥
국가구티움
활동 시기기원전 3천년기 후반 ~ 기원전 2천년기 초반
주요 사건아카드 제국 멸망에 기여
수메르 지역 통치 (구티 왕조)
우르 제3왕조에 의해 축출
인구
총 인구멸종
문화
언어구티어
종교메소포타미아 종교
기타 정보
관련 민족자그로스산맥 주변의 다른 부족
구티움 위치
구티움의 대략적인 위치
루갈라나툼 서판
기원전 2130년경, 구티족을 언급하는 비문. 루갈라나툼 서판. 루브르 박물관.
구티움 이름
"구티움"

2. 역사

구티족의 역사는 기록이 부족하여 자세히 알 수 없지만, 메소포타미아 지역의 역사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 기원 ==

구티족의 기원, 물질 문화 또는 언어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당시 자료에는 세부 사항이 거의 없고, 확실하게 확인된 유물도 없다.[6] 구티어는 몇몇 고유 명사 외에는 텍스트 코퍼스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다른 언어와의 유사성을 검증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구티 왕들의 이름은 이 언어가 수메르어, 아카드어, 후르리어, 히타이트어, 엘람어를 포함한 이 지역의 어떤 언어와도 밀접한 관련이 없음을 시사한다.[7] 대부분의 학자들은 구티 왕의 이름을 인도유럽어족과 연결하려는 시도를 거부한다.[7] 수메르 왕명록에 있는 구티 왕조의 통치자 이름이 이들의 언어를 추정할 수 있는 유일한 기록인데, 수메르어를 비롯하여 알려진 어떤 언어와도 연관성이 보이지 않는다.

구티족이 바빌론 도시를 점령하고 있으며, 아카드인들이 도시 밖에서 저항하고 있다. 19세기 삽화.


== 기원전 25세기 ~ 23세기 ==

기원전 25세기 아다브의 루갈안네문두에게 조공을 바친 국가들 중 하나로 등장한다. 아카드 제국을 세운 사르곤 대왕은 구티움을 북쪽의 룰루비, 아르마눔, 아카드, 그리고 남쪽의 니쿠, 데르와 함께 자신이 통치하는 땅 중 하나로 언급한다. 아카드나람신 시대의 한 비문에서는 나람신이 군대 36만 명을 이끌어 9만 명의 피해를 입고 구티 왕 굴라안을 격파했다고 기록한다.

''나람신의 쿠티 전설''에서는 룰룸의 아누바니니가 약탈한 땅 중 구티움이 있다고 언급된다. 아카드샤르칼리샤리 시대의 연대기적 기록에 따르면, 샤르칼리샤리가 구티움의 왕 샤를라그를 사로잡았고, 또 다른 해에는 "구티움에 멍에가 씌워졌다"고 한다.

== 기원전 22세기 초 (전성기) ==

아카드 제국 동안 구티족은 점차 세력을 확장하여 아다브를 점령했다.[13] 아카드 제국 멸망 이후, 구티족은 메소포타미아의 패권을 장악했다. 이들의 통치 기간은 학자에 따라 수 년에서 100년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추정된다. 니푸르에 있는 구티족 왕 에리두피지르의 조각상에는 그를 "구티움의 왕, 사방의 왕"이라고 칭하는 비문이 새겨져 있다.[14]

== 기원전 22세기 말 (쇠퇴기) ==

기원전 21세기경, 우루크의 왕 우투헤갈은 대 구티 전쟁을 일으켰다. 엔니기의 전투에서 구티 왕 티리간이 패배하고, 구티인은 메소포타미아에서 축출되었다고 한다.[15] 그러나, 최근의 연구에서는 실제로는 구티인은 단일한 정치 집단이 아니었고, 그 세력 범위는 매우 한정적이었다고 추정하고 있다. 우투헤갈 왕에 의한 구티인의 격퇴라는 역사적 사건도 후대의 설화에서만 나타나는 것으로, 현재까지 동시대 사료에서 그 사실을 읽어낼 수 없다.

우투-헤갈은 자신의 승리비에서 구티족을 "산맥의 송곳니 뱀"으로 묘사하며, 이들을 물리친 업적을 기록하고 있다.[16]



구티족, 산맥의 송곳니 뱀, 신들에게 폭력적으로 행동한 사람들, 수메르의 왕권을 산으로 가져간 사람들, 사악함으로 수메르를 채운 사람들, 아내를 가진 사람에게서 아내를 빼앗고, 아이를 가진 사람에게서 아이를 빼앗고, 나라 안에서 사악함과 폭력을 만들어낸 사람들...
[17][18]

우투헤갈의 뒤를 이은 우르남무는 구티움의 파괴를 명령하였다.[19] 우르-남무 왕의 11년에는 "구티가 파괴된 해"에 대한 언급도 있다.[19] 하지만 수메르 서사시에 따르면 우르-남무는 자신의 군대에 의해 버려진 후 구티족과의 전투에서 사망했다.

현대의 우리와 마찬가지로 고대 사람들도 또한 각종 역사관을 가지고 있었고, 그것에 따라 역사를 기술했다. 수메르인과 아카드인들은 아카드 왕조 말기의 혼란의 근원이 구티인이라는 야만족의 침입에 있다고 보았다. 오늘날, 이러한 메소포타미아 사람들의 견해를 "야만족 침입 사관"이라고 부르는 학자도 있다. 그러나 현재에는 아카드 왕조 말기의 정치 혼란은 메소포타미아 각지의 도시의 자율적 발전에 의한 사회 변화가 강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하여, 구티인에 의한 "혼란"을 과대 평가해서는 안 된다는 견해가 점차 일반화되고 있다.

일부 학자들은 현대의 쿠르드족 민족발생에 이들이 기여한 것으로 추정한다.

2. 1. 기원

구티족의 기원, 물질 문화 또는 언어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당시 자료에는 세부 사항이 거의 없고, 확실하게 확인된 유물도 없다.[6] 구티어는 몇몇 고유 명사 외에는 텍스트 코퍼스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다른 언어와의 유사성을 검증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구티 왕들의 이름은 이 언어가 수메르어, 아카드어, 후르리어, 히타이트어, 엘람어를 포함한 이 지역의 어떤 언어와도 밀접한 관련이 없음을 시사한다.[7] 대부분의 학자들은 구티 왕의 이름을 인도유럽어족과 연결하려는 시도를 거부한다.[7] 수메르 왕명록에 있는 구티 왕조의 통치자 이름이 이들의 언어를 추정할 수 있는 유일한 기록인데, 수메르어를 비롯하여 알려진 어떤 언어와도 연관성이 보이지 않는다.

2. 2. 기원전 25세기 ~ 23세기

기원전 25세기 아다브의 루갈안네문두에게 조공을 바친 국가들 중 하나로 등장한다. 아카드 제국을 세운 사르곤 대왕은 구티움을 북쪽의 룰루비, 아르마눔, 아카드, 그리고 남쪽의 니쿠, 데르와 함께 자신이 통치하는 땅 중 하나로 언급한다. 아카드나람신 시대의 한 비문에서는 나람신이 군대 36만 명을 이끌어 9만 명의 피해를 입고 구티 왕 굴라안을 격파했다고 기록한다.

''나람신의 쿠티 전설''에서는 룰룸의 아누바니니가 약탈한 땅 중 구티움이 있다고 언급된다. 아카드샤르칼리샤리 시대의 연대기적 기록에 따르면, 샤르칼리샤리가 구티움의 왕 샤를라그를 사로잡았고, 또 다른 해에는 "구티움에 멍에가 씌워졌다"고 한다.

2. 3. 기원전 22세기 초 (전성기)

기원전 25세기 루갈안네문두에 대한 비문의 고바빌로니아 사본에서 아다브에 조공을 바친 국가들 중 하나로 구티족이 등장한다. 아카드 제국을 세운 사르곤 대왕은 구티움을 북쪽의 룰루비, 아르마눔, 아카드, 그리고 남쪽의 니쿠, 데르와 함께 자신이 통치하는 땅 중 하나로 언급한다. 한 비문에서는 사르곤의 후계자 나람신이 군대 36만 명을 이끌어 9만 명의 피해를 입고 구트 왕 굴라안을 격파했다고 기록한다. ''나람신의 쿠테아 전설''에서는 룰루붐의 아누바니니가 약탈한 땅 중 구티움이 있다고 언급하며, 이후 샤르칼리샤리가 재위 중에 구티움을 복속시켰다.

아카드 제국 동안 구티족은 점차 세력을 확장하여 아다브를 점령했다.[13] 아카드 제국 멸망 이후, 구티족은 메소포타미아의 패권을 장악했다. 이들의 통치 기간은 학자에 따라 수 년에서 100년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추정된다. 니푸르에 있는 구티족 왕 에리두피지르의 조각상에는 그를 "구티움의 왕, 사방의 왕"이라고 칭하는 비문이 새겨져 있다.[14]

2. 4. 기원전 22세기 말 (쇠퇴기)

기원전 21세기경, 우루크의 왕 우투헤갈은 대 구티 전쟁을 일으켰다. 엔니기의 전투에서 구티 왕 티리간이 패배하고, 구티인은 메소포타미아에서 축출되었다고 한다.[15] 그러나, 최근의 연구에서는 실제로는 구티인은 단일한 정치 집단이 아니었고, 그 세력 범위는 매우 한정적이었다고 추정하고 있다. 우투헤갈 왕에 의한 구티인의 격퇴라는 역사적 사건도 후대의 설화에서만 나타나는 것으로, 현재까지 동시대 사료에서 그 사실을 읽어낼 수 없다.

우투-헤갈은 자신의 승리비에서 구티족을 "산맥의 송곳니 뱀"으로 묘사하며, 이들을 물리친 업적을 기록하고 있다.[16]

구티족, 산맥의 송곳니 뱀, 신들에게 폭력적으로 행동한 사람들, 수메르의 왕권을 산으로 가져간 사람들, 사악함으로 수메르를 채운 사람들, 아내를 가진 사람에게서 아내를 빼앗고, 아이를 가진 사람에게서 아이를 빼앗고, 나라 안에서 사악함과 폭력을 만들어낸 사람들...
[17][18]

우투헤갈의 뒤를 이은 우르남무는 구티움의 파괴를 명령하였다.[19] 우르-남무 왕의 11년에는 "구티가 파괴된 해"에 대한 언급도 있다.[19] 하지만 수메르 서사시에 따르면 우르-남무는 자신의 군대에 의해 버려진 후 구티족과의 전투에서 사망했다.

현대의 우리와 마찬가지로 고대 사람들도 또한 각종 역사관을 가지고 있었고, 그것에 따라 역사를 기술했다. 수메르인과 아카드인들은 아카드 왕조 말기의 혼란의 근원이 구티인이라는 야만족의 침입에 있다고 보았다. 오늘날, 이러한 메소포타미아 사람들의 견해를 "야만족 침입 사관"이라고 부르는 학자도 있다. 그러나 현재에는 아카드 왕조 말기의 정치 혼란은 메소포타미아 각지의 도시의 자율적 발전에 의한 사회 변화가 강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하여, 구티인에 의한 "혼란"을 과대 평가해서는 안 된다는 견해가 점차 일반화되고 있다.

일부 학자들은 현대의 쿠르드족 민족발생에 이들이 기여한 것으로 추정한다.

3. 평가

구티족의 지배 시대는 수메르인과 아카드인들에게 악몽의 시대로 기억되었으며, 구티족은 "'''산의 용'''"으로 혐오받았다. 우투헤갈에게 패배한 이후 그들이 어떻게 되었는지는 전혀 알려져 있지 않다. 구티인의 이름은 메소포타미아에 오랫동안 만행을 저지르는 자들을 의미하는 말로 남았다.

4. 수메르 왕명록에 기록된 구티 왕 목록

기원전 25세기 루갈안네문두에 대한 비문의 고바빌로니아 사본에서 아다브에 조공을 바친 국가들 중 하나로 등장한다. 아카드 제국을 세운 사르곤 대왕은 구티움을 북쪽의 룰루비, 아르마눔, 아카드, 그리고 남쪽의 니쿠, 데르와 함께 자신이 통치하는 땅 중 하나로 언급한다. 한 비문에서는 사르곤의 후계자 나람신이 군대 36만 명을 이끌어 9만 명의 피해를 입고 구트 왕 굴라안을 격파했다고 기록한다. ''나람신의 쿠테아 전설''에서는 룰루붐의 아누바니니가 약탈한 땅 중 구티움이 있다고 언급하며, 이후 샤르칼리샤리가 재위 중에 구티움을 복속시켰다.

아카드 제국 동안 구티족은 점점 세력을 확장하여 아다브를 점령하기에 이르렀고, 이후 아카드 제국이 멸망함에 따라 메소포타미아의 패권을 장악하였다. 이들의 통치가 얼마나 오래 유지되었는지는 불확실하며 학자에 따라 수 년에서 100년에 이른다고 다양하게 추정한다. 기원전 2050년경 우루크의 총독 우투헤갈이 반란을 일으켜 구트 왕 티리간을 물리치고 수메르 왕으로 즉위하면서 구티 왕조는 끝난다. 우투헤갈의 뒤를 이은 우르남무는 구티움의 파괴를 명령하였다.

다음은 수메르 왕명록에 기록된 구티 왕의 목록이다.


  • 임타
  • 인키슈슈
  • 사르라가브
  • 슈르메
  • 엘르메슈
  • 이님바케슈
  • 이게샤우슈
  • 이알라가브
  • 이바테
  • 이알라
  • 쿠룸
  • 아피킨
  • 라에라붐
  • 이라룸
  • 이브라눔
  • 하부룸
  • 푸주르-신
  • 이알라간다
  • 티리간

참조

[1] 웹사이트 The Sumerian King List line 308 https://etcsl.orinst[...] 2010-12-19
[2] 웹사이트 The Cursing of Agade http://etcsl.orinst.[...] 2010-12-18
[3] 웹사이트 Sumerian king list page 18 http://etcsl.orinst.[...]
[4] 간행물 Neo-Assyrian Toponyms Butzon & Bercker and Neukirchener Verlag 1970
[5] 서적 VIII. Assyrian and Babylonian Historical Texts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1
[6] 서적 The Indo-Aryan Controvers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4
[7] 서적 The Tarim Mummies https://archive.org/[...] Thames & Hudson
[8] 서적 Approaching Monumentality in Archaeology https://books.google[...] SUNY Press 2014
[9] 서적 The Cambridge Ancient Histor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1
[10] 서적 Reallexikon der Assyriologie und vorderasiatischen Archäologie https://books.google[...] W. de Gruyter
[11] 웹사이트 Year-names for Sharkalisharri http://cdli.ucla.edu[...]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12] 서적 The Sumerian Kings List https://oi.uchicago.[...]
[13] 간행물 The palace of Adab during the Sargonic period https://digital.csic[...] Harrassowitz 2019
[14] 서적 The Pre-Islamic Middle East 2000
[15] 웹사이트 The victory of Utu-ḫeĝal http://etcsl.orinst.[...]
[16] 웹사이트 CDLI-Found Texts https://cdli.ucla.ed[...]
[17] 웹사이트 CDLI-Found Texts https://cdli.ucla.ed[...]
[18] 학술지 La Fin de la Domination Gutienne 1912
[19] 웹사이트 Year names of Ur-Nammu https://cdli.ucla.ed[...]
[20] 서적 The Cursing of Akkade Yale University Press 1992
[21] 서적 Zondervan Illustrated Bible Dictionary HarperCollins 2011
[22] 웹사이트 "グティ人", 『世界大百科事典』 https://japanknowled[...] JapanKnowledge 2022-01-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