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오니아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오니아인은 고대 그리스의 민족으로, 어원은 불확실하며 여러 설이 존재한다. 이들은 동지중해와 동쪽으로 뻗어나간 여러 문명의 언어에 등장하며, 페르시아인들은 그리스인 전체를 이오니아인으로 불렀다. 이오니아인은 미케네 시대부터 기록에 나타나며, 호메로스와 헤시오도스의 작품에도 등장한다. 성경에서는 야벳의 아들 야완과 관련지어 그리스인을 지칭하며, 아시리아 기록과 아케메네스 제국 비문에도 언급된다. 이오니아 방언은 고대 그리스어의 하위 방언으로, 호메로스의 작품과 헤시오도스의 작품의 기반이 되었으며, 이오니아 해안 도시들은 자연에 대한 새로운 사고방식을 제시한 이오니아 학파의 중심지가 되었다. 신화에서 이오니아인은 에렉테우스의 딸 크레우사의 아들 이온의 후손으로 여겨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에비아섬 - 에레트리아
    에레트리아는 호메로스의 일리아스에 언급된 고대 그리스 도시로, 기원전 8세기 에게해 무역을 지배하며 번성했으나 페르시아의 침략으로 파괴된 후 재건되었지만 쇠퇴했으며, 현재는 유적과 해변 리조트로 남아 있다.
  • 에비아섬 - 아르테미시온 해전
    아르테미시온 해전은 기원전 480년 제2차 페르시아 전쟁 중 그리스 연합 함대와 페르시아 제국 함대가 에우보이아 섬 북쪽 아르테미시온 해협에서 테르모필레 전투와 동시에 3일간 벌인 해전으로, 승패는 가리지 못했으나 그리스 해군이 페르시아 해군에 맞서 싸우며 자신감을 얻고 살라미스 해전으로 이어지는 중요한 경험을 쌓았다.
  • 아나톨리아의 고대인 - 리디아인
    리디아인은 기원전 1세기부터 소아시아 서부에 존재했던 국가 및 주민을 지칭하며, 금화와 은화를 만들어 사용한 최초의 민족으로, 고대 그리스 기록을 통해 알려져 있고 독자적인 문자와 다양한 종교 및 예술적 특징을 지녔다.
  • 아나톨리아의 고대인 - 하티인
    하티인은 기원전 3천년기 후반 아나톨리아 중부에 거주하며 군주제 도시 국가를 이루고 대지의 여신을 숭배했던 민족으로, 그들의 땅은 하티, 수도는 하투샤였다.
이오니아인
지도
기본 정보
언어고대 그리스어
어파인도유럽어족 그리스어파
로마자 표기Íōnes
그리스어 표기Ἴωνες
역사
기원그리스의 4대 부족 중 하나
관련 장소아티카
에우보이아
키클라데스 제도
소아시아 서부 해안
주요 도시밀레토스, 에페소스, 콜로폰, 클라조메나이, 포카이아, 테오스, 키오스, 사모스, 프리에네, 미우스, 레베도스, 에리트라이
정치12개 도시의 이오니아 동맹
이주그리스 암흑 시대 이후 아테네에서
일부는 메소포타미아 지역으로 이주
신화적 조상이온
고대 문헌호메로스일리아스에서 언급됨
특징이오니아 건축 양식
이오니아 철학
이오니아 문화
뛰어난 항해술
문화
문화적 영향고대 그리스 문화 발전에 큰 기여
아테네 문화 발전의 토대 마련
서양 철학 발전에 큰 영향
대표적인 건축물아르테미스 신전 (에페소스)
대표적인 철학자탈레스
아낙시만드로스
아낙시메네스
헤라클레이토스
아낙사고라스

2. 어원

Ἴωνες|이오네스grc 또는 Ἰᾱ́ϝoνες|이야워네스grc라는 단어의 어원은 불확실하다.[5] 프리스크는 알 수 없는 어근 "*Ia-"(발음은 "*ya-")를 분리해 냈다.[6] 그러나 몇 가지 이론이 있다.


  • 원시 인도-유럽어의 의성어 어근 "*wi-" 또는 "*woi-"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 이는 다른 사람들을 돕기 위해 달려가는 사람들이 내지르는 외침을 나타낸다. 포코르니에 따르면, "*Iāwones"는 아폴론 숭배 시 외치는 "iḕ paiṓn"이라는 함성에 기반하여 "아폴론의 신봉자들"을 의미할 수 있다. 이 신은 스스로 "iḕios"라고도 불렸다.[7]
  • 동부 지중해 섬 주민의 알려지지 않은 초기 이름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 이는 고대 이집트어로 그곳에 사는 사람들을 가리키는 "ḥꜣw-nbwt"로 나타난다.[8]
  • "힘"을 의미하는 원시 인도-유럽어 어근 "*uiH-"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9]

3. 명칭의 역사

"이오니아인"이라는 명칭은 "애올리안"이나 "도리아인"과 달리 동지중해 주변과 한(漢) 중국까지 동쪽으로 뻗어 있는 여러 문명의 언어에 등장한다.[1] 이들은 기록상 가장 초기의 그리스인은 아니며, 그 구분은 다나오스인과 아카이아인에게 속한다. 이오니아인의 흔적은 크레타미케네 그리스어 기록에서 시작된다.

페르시아인은 소아시아 서안의 그리스인들과 처음 접촉했기 때문에 그리스인 전체를 이오니아인이라고 불렀고, 이 명칭은 인도 등 동쪽으로 퍼져나갔다. 그리스인을 가리키는 팔리어 'Yona', 산스크리트어 'Yavana', 아르메니아어 'Huyn', 튀르키예어 'Yunan', 현대 페르시아어 'Yūnān'은 모두 '이오니아(의) Ionian'에서 유래했다.[1] 플라비우스 요세푸스는 이오니아인을 성서에 등장하는 야벳의 아들 야완과 연결지으며, "이오니아인 및 모든 그리스인은 야완에게서 유래한다"고 기록했다(유대고대사 I:6).[1]

3. 1. 미케네

크노소스에서 발견된 파편적인 선형 B 문자 점토판(Xd 146)에는 ''i-ja-wo-ne''라는 이름이 적혀 있는데, 벤트리스채드윅[10]은 이를 *Iāwones*의 속격 또는 주격 복수형으로 해석하였고, 이는 민족명일 가능성이 있다. 크노소스 점토판은 기원전 1400년 또는 1200년으로 추정되며, 따라서 이 이름이 크레타인을 가리킨다면 크레타의 도리아인 지배 이전 시대의 것이다.

3. 2. 성서

창세기[13](Authorized King James Version, 영어 성경)에서 히브리어로 야완(Yāwān), 복수형으로는 여와님(Yəwānīm)으로 알려진 야완(Javan)은 야벳의 아들이다. 야완은 '그리스인'을 의미하며,[14] 성서 학자들은 거의 만장일치로 이오니아인을 가리키는 것으로 믿고 있으며, 그리스 신화의 이온과 대응되고, 고대 그리스와 고대 마케도니아인들을 지칭하는 이름으로 여겨진다.[15]

또한, 확실하지는 않지만 야벳은 그리스 신화의 인물 이아페투스와 언어적으로 관련이 있을 수 있다.[16] 기원전 8세기에 살았던 이사야이사야서 마지막 장에는 "내 명성을 듣지 못한 나라들"을 열거하면서 "먼 섬들" 바로 다음에 야완을 언급하는 것이 암시일 수 있다.[17] 이 섬들은 야완에 대한 첨가어구 또는 연속된 목록의 마지막 항목으로 간주될 수 있다. 전자라면 이 표현은 일반적으로 에게 해의 섬들 주민에게 사용된다.

플라비우스 요세푸스는 이오니아인을 성서에 등장하는 야벳의 아들 야완과 관련짓고 있다. 「이오니아인 및 모든 그리스인은 야완에게서 유래한다」(플라비우스 요세푸스 『유대고대사』 I:6).

3. 3. 아시리아

기원전 8세기 신아시리아 제국의 서한에는 이오니아인으로 추정되는 세력이 페니키아 도시들을 공격했다는 기록이 있다. 님루드에서 발견된 기원전 730년대의 서한에는 티글라트팔라사르 3세에게 페니키아 해안을 이오니아인(ia-u-na-a-a)이 습격했다는 보고가 올라왔다.[18]

아시리아어는 국가 결정어가 앞에 오며, Iaunaia로 재구성되었다.[19] ia-a-ma-nu, ia-ma-nu, ia-am-na-a-a 등은 국가 결정어와 함께 더 흔하게 나타나는데, 이는 Iamānu로 재구성되었다.[20] 사르곤 2세는 이들을 바다에서 물고기처럼 잡았으며, "해가 지는 바다"에서 왔다고 전했다.[21] 아시리아식 이름이 정확하다면, 적어도 일부 이오니아 약탈자들은 키프로스에서 온 것이다.[22] 사르곤의 연대기(709년)는 '야드나나 지방의 야(ya-a)의 일곱 왕들이 해가 지는 바다에서 7일 거리에 있는 먼 거주지에서 조공을 보냈다'고 주장하는데, 이는 키프로스 키티움에 세워진 석비에 의해 확인된다. '산 골짜기 기슭… 야드나나의'.

3. 4. 이란

아케메네스 제국의 여러 고대 페르시아어 비문에 이오니아인들은 '야우나'(Yaunā, 𐎹𐎢𐎴𐎠)[23]로 등장하는데, 이는 남성 복수 주격 명사이며, 단수형은 Yauna이다.[24] 예를 들어, 다리우스 대왕의 비문 중 페르세폴리스 궁전 남쪽 벽에 새겨진 비문에는 제국의 속주들로서 "육지 이오니아인들과 바닷가 이오니아인들, 그리고 바다 건너편 나라들; ..."[25]이 포함되어 있다. 당시 제국은 아마도 에게해를 거쳐 그리스 북부까지 확장되었을 것이다.

3. 5. 인도





아케메네스 제국 페르시아인들의 영향을 받아 이오니아인들은 인도-아리아어 계열 언어 문헌 및 문서에 요바나(Yavana)와 요나(Yona)로 등장한다. 이러한 명칭은 알렉산드로스 대왕과 그의 후계자들이 인도 아대륙에 건설한 국가인 인도-그리스 왕국을 가리킨다. 가장 초기의 기록은 아소카 왕의 칙령이다. 기원전 260~258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13번째 칙령은 "요나"를 직접적으로 언급한다.[26]

3. 6. 중국

대완(大宛, Dàyuān)은 중국 역사서인 《사기》와 《한서》에 기록된 중앙아시아 페르가나 분지에 존재했던 국가를 가리키는 중국식 외래어다. 기원전 130년 장건(張騫)의 탐험과 그 뒤를 이은 중국 사절단의 중앙아시아 진출 기록에 언급되어 있다. 대완은 일반적으로 페르가나 분지를 지배했던 헬레니즘 도시국가 알렉산드리아 에스카테(현재 타지키스탄 후잔트)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받아들여지며, 영어로는 "그리스-페르가나 도시 국가"로 이해할 수 있다.[1]

3. 7. 기타 언어

대부분의 현대 서아시아 언어는 그리스와 그리스인을 가리키는 데 "이오니아"와 "이오니아인"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히브리어의 Yavan(그리스)/Yevani(여성형)/Yevania(그리스인)[29], 아르메니아어의 Hunastan(그리스)[30] / Huyn(그리스인), 아랍어의 al-Yūnān(그리스)/Yūnānī(여성형)/Yūnāniyya, Yūnān(그리스인)[31] ( 아람어 Yawnānā에서 유래[32]) 등이 그 예이다. 이 단어들은 이집트, 팔레스타인[33]을 포함한 대부분의 현대 아랍어 방언에서 사용되며, 현대 페르시아어의 Yūnānestān(그리스)/Yūnānī(복수형)/Yūnānīhā/Yūnānīyān(그리스인)[34], 페르시아어를 통해 유입된 터키어의 Yunanistan(그리스)/Yunan(그리스인)/Yunanlar(그리스 사람들)[35]에서도 사용된다.

페르시아인은 최초로 접촉한 곳이 소아시아 서안의 그리스인들이었기 때문에 그리스인 전체를 이오니아인이라고 불렀고, 그 호칭은 인도 등 동쪽으로 퍼져나갔다. 구체적으로 그리스인을 지칭하는 단어는 팔리어로는 Yona, 산스크리트어로는 Yavana, 아르메니아어로는 Huyn, 튀르키예어로는 Yunan, 그리고 현대 페르시아어로는 Yūnān이다. 모두 '이오니아(의) Ionian'에서 유래한 말이다. 플라비우스 요세푸스는 이오니아인을 성서에 등장하는 야벳의 아들 야완과 관련짓고 있다. "이오니아인 및 모든 그리스인은 야완에게서 유래한다"(플라비우스 요세푸스, 유대고대사 I:6).

4. 이오니아 방언

이오니아 그리스어는 고대 그리스어의 한 하위 방언이었다. 이오니아 방언군은 전통적으로 에우보이아(서부 이오니아), 북부 키클라데스 제도(중부 이오니아), 그리고 기원전 약 1000년경부터 아이오니아(아시아 아이오니아)에서 사용된 세 가지 방언 변종으로 구성된다. 아시아 아이오니아에서는 아테네 출신의 이오니아 그리스 식민자들이 도시들을 건설했다. 이오니아어는 아르카이크 시대와 고전 시대의 여러 문학 언어 형태의 기반이 되었으며, 시와 산문 모두에 사용되었다. 호메로스의 작품 (''일리아스'', ''오디세이아'', 호메로스 찬가)와 헤시오도스의 작품은 호메로스 그리스어 또는 서사시 그리스어라고 불리는 이오니아 방언의 문학적 형태로 쓰여졌다. 이오니아어는 결국 기원전 5세기경 그리스 세계의 주요 방언이 된 아티카 그리스어에 의해 대체되었다.

5. 이오니아 이전의 이오니아인

이오니아인에 대한 문헌상의 증거는 미케네 시대의 그리스 본토로 거슬러 올라가며, 이는 이오니아가 존재하기 이전의 시기이다. 고전 자료들은 그들이 그 당시에도 다른 이름들과 함께 이오니아인으로 불렸다고 주장한다. 비록 비문 자료로는 입증할 수 없지만,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설적인 문헌상의 증거는 일반적인 구전 전통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36]

5. 1. 헤로도토스

헤로도토스(Herodotus)는 아테네 출신으로 아파투리아 축제를 지키는 모든 이들은 이오니아인이라고 주장한다.[36] 그는 당시 헬레니즘 세계는 규모가 작았고, 그중 이오니아인들은 가장 늦게 나타났으며 가장 무시받는 계통이었고, 아테네(Athens)를 제외하고는 상당한 규모의 도시를 가지고 있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37]

이오니아인들은 아테네에서 시프노스(Sifnos), 세리포스(Serifos),[38] 낙소스,[39] 케아섬[40] 및 사모스섬[41] 등 에게해의 다른 곳들로 퍼져 나갔다.

하지만 그들은 아테네에서만 온 것이 아니었다.[42] 이오니아인들은 펠로폰네소스에 있는 동안 현재 아카이아라고 불리는 곳에 거주했고, 그리스인들이 말하는 바에 따르면, 다나오스(Danaus)와 크수토스(Xuthus)가 펠로폰네소스에 오기 전에는 아이기알레아 펠라스기아인이라고 불렸다. 그들은 이온(크수토스의 아들)을 따라 이오니아인이라고 불리게 되었다.[42]

아카이아는 원래 이오니아인들이었던 펠레네, 아이게이라, 아이가이, 부라, 헬리케, 아이기온, 리페(Rhype), 파트라이, 파레아이(Phareae), 올레누스, 디메, 트리타이아이(Tritaeae)의 12개 공동체로 나뉘어져 있었다.[43] 가장 원주민적인 이오니아인들은 키누리아 출신이었다.[44] 키누리아(Cynuria)인들은 원주민이며 이오니아인으로 보이지만, 시간의 흐름과 아르고스의 지배로 도리아화되었다.[44]

5. 2. 스트라보

스트라보의 이오니아인 기원에 대한 설명에 따르면, 헬레네스의 조상이자 프티아의 왕인 헬렌(데우칼리온의 아들)은 자신의 아들 크수토스아테네에렉테우스 왕의 딸 사이의 결혼을 주선했다. 크수토스는 이후 아티카의 전원 지역에 테트라폴리스("네 도시")를 건설했다. 그의 아들 아케우스는 훗날 그의 이름을 따 아카이아라고 불리게 된 땅으로 유배되었다. 크수토스의 또 다른 아들인 이온트라키아를 정복한 후 아테네인들에 의해 아테네 왕이 되었다. 그의 사후 아티카는 이오니아라고 불리게 되었다. 이 이오니아인들은 아이기알리아를 식민지화하여 그곳의 이름 또한 이오니아로 바꾸었다. 헤라클레스 왕족의 귀환 후, 아카이아인들은 이오니아인들을 아테네로 몰아냈다. 코드리다이(아테네 왕조의 한 계보) 왕조 시대에 그들은 아나톨리아로 향하여 카리아리디아에 이전 이오니아였던 아카이아의 12개 도시를 본떠 12개 도시를 건설했다.[45]

6. 이오니아 학파

기원전 6세기, 밀레토스에페소스와 같은 이오니아 해안 도시들은 자연에 대한 전통적인 사고방식에 혁명을 일으키는 중심지가 되었다. 자연 현상을 전통적인 종교/신화에 의존하여 설명하는 대신, 개인적인 경험과 깊은 성찰에서 얻은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자연 세계에 대한 가설을 세우는 문화적 분위기가 조성되었다.[46] 탈레스와 그의 후계자들은 자연에 대해 논하는 사람들을 의미하는 ''물리학자 (physiologoi)''로 불렸다. 그들은 자연 현상에 대한 종교적인 설명에 회의적이었고, 순전히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설명을 추구했다. 그들은 자연 연구에 대한 '과학적인 태도'를 발전시키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물리학자 카를로 로벨리에 따르면, 이오니아 학파의 업적은 "최초의 위대한 과학 혁명"이자 그리스 사상, 그리고 그 이후의 현대 사상을 정의하게 될 비판적 사고의 가장 초기의 예시이다.[46]

7. 신화

그리스 신화에서 이오니아인들의 시조는 에렉테우스의 딸 크레우사의 아들 '''이온'''으로 여겨진다. 그의 아버지는 헤시오도스의 『에오이아이』에 따르면 크레우사의 남편 크수토스이고, 에우리피데스에 따르면 아폴론이라고 한다.

참조

[1] 웹사이트 Darius I, DNa inscription, Line 28 https://www.livius.o[...]
[2] 서적 Bibliotheca (Pseudo-Apollodorus)
[3] 서적 Pausanias (geographer)
[4] 서적 Historikai Pragmateiai – Volume 1 1858
[5] 서적 Etymological Dictionary of Greek Brill 2009
[6] 웹사이트 Indo-European Etymological Dictionary http://www.indoeurop[...] Leiden University, the IEEE Project
[7] 웹사이트 Indo-European Etymological Dictionary http://www.indoeurop[...] Leiden University, the IEEE Project
[8] 서적 Origins: A Short Etymological Dictionary of Modern English: Ionian https://archive.org/[...] Greenwich House 1983
[9] 논문 Ἰάoνες http://scholar.harva[...] 2006
[10] 서적 Documents in Mycenaean Greek: Second Edi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3
[11] 서적 Iliad
[12] 서적 Greek-English Leicon: Revised Supplement Oxford University Press 1996
[13] 성경 Book of Genesis
[14] 간행물 Jewish Language Review https://books.google[...]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Jewish Languages 1983
[15] 서적 The International Standard Bible Encyclopedia: Volume Two: Fully Revised: E-J: Javan Wm. B. Eerdmans Publishing 1994
[16] 백과사전 Iapetus
[17] 성경 Isaiah 66:19
[18] 서적 The Return of Odysseus: Colonization and Ethnicit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8
[19] 서적 A Companion to Ancient Epic https://archive.org/[...] Blackwell Publishing 2005
[20] 서적 A Concise Dictionary of the Assyrian Language: Volume I: A-MUQQU: Iamānu Reuther & Reichard; Williams & Morgate; Lemcke & Büchner 1905
[21] 서적 Ancient Greeks West and East https://archive.org/[...] Brill 1999
[22] 서적 The Cambridge Ancient History: III Part 3: The Expansion of the Greek World Eighth to Sixth Centuries B.C.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25
[23] 서적 Ancient Persia: A Concise History of the Achaemenid Empire, 550–330 BC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4
[24] 서적 Old Persian: Grammar Texts Lexicon: Second Edition, Revised American Oriental Society 1953
[25] 서적
[26] 서적 The Land of the Elephant Kings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14
[27] 서적 Inscriptions of Asoka. New Edition by E. Hultzsch https://archive.org/[...] 1925
[28] 서적 Minimal Old Chinese and Later Han Chinese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09
[29] 서적 Prof. Kiryat-Sefer Ltd 1990
[30] 서적 New Dictionary Armenian-English Librairie du Liban 1985
[31] 서적 Dictionary of Modern Written Arabic Harrassowitz Verlag 1971
[32] 서적 Encyclopedia of Islam Vol XI Brill 2007
[33] 서적 Dictionnaire de l'arabe parlé palistinien Français-Arabe Éditions Klincksieck 1985
[34] 서적 A Thematic Dictionary of Modern Persian Routledge 2003
[35] 서적 Langenscheidt's Universan Dictionary Turkish-English English-Turkish Langenscheidt 1979
[36] 서적 Histories
[37] 서적 Histories
[38] 서적 Histories
[39] 서적 Histories
[40] 서적 Histories
[41] 서적 Histories
[42] 서적 Histories
[43] 서적 Histories
[44] 서적 Histories
[45] 서적 Geography
[46] 서적 Anaximander: And the Birth of Science https://books.google[...] Penguin 2023-02-28
[47] 서적 (제목 정보 없음)
[48] 서적 (제목 정보 없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