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국자감 (고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자감은 고려 시대의 최고 교육 기관으로, 신라의 국학을 계승하여 당나라와 송나라의 제도를 참고하여 정비되었거나, 고려 태조 때 경학을 성종 때 국자감으로 개편했다는 두 가지 견해가 있다. 국자감은 유학부와 잡학부로 구성되어 인재를 양성했으며, 경사6학, 7재, 양현고, 서적포 등으로 이루어졌다. 경사6학은 관료 자녀를 위한 유교 경전 중심의 과정과 일반 자녀를 위한 기술 교육 과정으로 나뉘었고, 7재는 전문 강좌로 운영되었다. 국자감은 992년 토지와 노비를 하사받아 운영되었으며, 고려 후기에 국학, 성균감, 성균관 등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려의 유교 건축물 - 개성 성균관
    개성 성균관은 고려 시대에 태면에서 시작하여 유교 교육과 문관 양성을 담당한 주요 교육 기관으로, 조선 시대까지 국립 학문의 중심지였으나 현재는 시설 부족으로 박물관 기능 수행에 어려움이 있다.
  • 고대 한국의 대학교 - 국학
    국학은 신라 시대 귀족 자제 교육 기관으로, 유교 경전을 중심으로 교육하여 문치주의 전환과 고려 시대 유교 확립에 기여했다.
  • 고대 한국의 대학교 - 성균관
    성균관은 고려 국자감에서 기원하여 1398년 한양에 설립된 조선 시대 최고 교육기관으로, 유생 교육과 유교 문화의 중심지로서 역사적 중요성을 지닌다.
  • 992년 설립 - 개성 성균관
    개성 성균관은 고려 시대에 태면에서 시작하여 유교 교육과 문관 양성을 담당한 주요 교육 기관으로, 조선 시대까지 국립 학문의 중심지였으나 현재는 시설 부족으로 박물관 기능 수행에 어려움이 있다.
  • 992년 설립 - 성균관
    성균관은 고려 국자감에서 기원하여 1398년 한양에 설립된 조선 시대 최고 교육기관으로, 유생 교육과 유교 문화의 중심지로서 역사적 중요성을 지닌다.
국자감 (고려)
기본 정보
국자감
국자감
국가고려
종류관학
설립 시기992년 (성종 11년)
폐지 시기1392년 (공양왕 4년)
전신국자학 (987년)
후신성균관
위치개경
관련 인물안향, 이제현
역사
987년국자학 설립
992년국자감으로 개칭
1275년국학으로 격하
1298년성균감으로 개칭
1308년성균관으로 개칭
1356년국자감으로 환원
1362년성균관으로 개칭
조직 및 운영
관직판사, 대사성, 사업 등
교육 과정국자학, 태학, 사문학, 율학, 서학, 산학
입학 자격신분에 따라 차등
졸업시험을 통해 관리로 등용

2. 연원

신라국학·의 제도를 참작하여 정식으로 개편한 것으로 보는 견해가 있다.

한편 태조 때 경학(京學)이 있었으나, 성종 때 모든 제도를 정비하면서 경학을 국자감으로 개편하였다는 견해도 있다.

국자감은 유학부(儒學部)와 잡학부(雜學部)로 이루어졌으며, 국가가 필요로 하는 인력을 양성하였다. 초기에 국자감은 총 6개의 강좌를 제공했다. 이 중 국자학, 태학, 사문학 3개 과정은 최고위 관료의 자녀에게만 제공되었으며, 총 9년 과정으로 유교 경전을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나머지 3개 과정은 8품 이하 관료의 자녀에게도 개방되었는데, 서학(비서 교육), 산학, 율학(법학)이었다. 각 과정은 6년 과정으로 고전과 기술 교육을 혼합하여 진행되었다.

예종 재위 1104년에 일곱 번째 과정인 강예재(강예재)가 추가되어 군사 훈련을 제공했다. 이는 한국 왕조에서 군사 기술에 대한 공식적인 훈련을 제공한 최초의 사례로 기록되었다. 1133년, 귀족과 군부 간의 긴장으로 인해 강예재는 곧 교육 과정에서 폐지되었다.

3. 구성

고려 국자감은 크게 경사6학(京師六學)과 7재(七齋)로 구성되었다. 경사6학은 6개의 교육 과정이었고, 7재는 1109년(예종 4년) 관학 진흥을 위해 설치된 7개의 전문 강좌였다. 양현고(養賢庫)는 장학 재단, 서적포(書籍鋪)는 출판부였다.

3. 1. 경사6학 (京師六學)

6개의 교육 과정으로, 각각 조교(助敎)가 배치되었다.

국자감은 초기에 총 6개의 강좌를 제공했다. 국자학, 태학, 사문학 3개 과정은 최고위 관료의 자녀에게만 제공되었으며, 총 9년 과정으로 유교 경전을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나머지 3개 과정(서학(비서 교육), 산학, 율학(법학))은 8품 이하 관료의 자녀에게도 개방되었으며, 각 6년 과정으로 고전과 기술 교육을 혼합하여 진행되었다.

3. 2. 7재 (七齋)

1109년(예종 4년) 관학(官學) 진흥을 위해 설치된 7개의 전문 강좌로, 최충구재학당(九齋學堂)을 본받았다. 7재(七齋)는 다음과 같다.

명칭강좌 내용
여택재(麗澤齋)주역(周易) 강의
대빙재(待聘齋)상서(尙書) 강의
경덕재(經德齋)모시(毛詩) 강의
구인재(求仁齋)주례(周禮) 강의
복응재(服膺齋)대례(戴禮 : 예기) 강의
양정재(養正齋)춘추(春秋) 강의
강예재(講藝齋)무학(武學)/병학(兵學) 강의 (1133년 폐지)



예종 1104년에 강예재(講藝齋)가 추가되어 군사 훈련을 제공하였는데, 이는 한국 왕조에서 군사 기술에 대한 공식적인 훈련을 제공한 최초의 사례이다. 그러나 1133년, 귀족과 군부 간의 긴장으로 인해 강예재는 폐지되었다.

3. 3. 기타

1101년(숙종 6년)에 설치된 서적포(書籍鋪)는 출판부였다. 양현고(養賢庫)는 장학 재단이었다.

4. 운영

문종 때 국자감에는 제거(提擧)·동제거(同提擧) 각 1명, 판사(判事) 1명, 좨주(祭酒 : 종3품) 1명, 사업(司業 : 종4품) 1명, 승(丞 : 종6품)·국자박사(정7품)·태학박사(종7품) 2명, 주부(主簿 : 종7품)·사문박사(四門博士 : 정8품)·학정(學正 : 정9품) 2명, 학록(學錄 : 정9품) 2명, 학유(學諭 : 종9품) 2명, 직학(直學 : 종9품) 2명, 서학박사(종9품) 2명, 산학박사(종9품) 2명 등의 인원을 두었다. 예종 때 판사를 대사성(大司成 : 종3품)으로 바꾸었다.

국자감의 학과는 효경·논어 1년, 상서(尙書)·공양전(公羊傳)·곡량전(穀梁傳) 각 2년, 주역·모시(毛詩)·주례(周禮)·의례(儀禮) 각 2년, 예기·좌전(左傳) 각 3년을 전부 가르쳤다. 율학·서학은 국어·설문(說文)·자림(字林)·삼창(三倉)·이아(爾雅) 등을 공부해야 했다.

학생 수는 국자학·태학·사문학에 각각 300명이었으나 많을 때는 600명까지 되었다. 덕종 때는 국자감시(國子監試)를 실시하여 학생들의 사기를 높였다. 1101년(숙종 6)에는 국자감에 국립도서관인 서적포(書籍鋪)를 설치하였다.

국자감은 초기에 6개의 강좌를 제공했다. 국자학, 태학, 사문학 3개 과정은 최고위 관료의 자녀에게만 제공되었으며, 총 9년 과정으로 유교 경전을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나머지 3개 과정은 8품 이하 관료의 자녀에게도 개방되었는데, 서학(비서 교육), 산학(산학), 율학(법학)이었다. 각 과정은 6년 과정으로 고전과 기술 교육을 혼합하여 진행되었다.

예종 재위 1104년에는 일곱 번째 과정인 강예재(강예재)가 추가되어 군사 훈련을 제공했다. 이는 한국 왕조에서 군사 기술에 대한 공식적인 훈련을 제공한 최초의 사례였다. 1133년 강예재는 귀족과 군부 간의 긴장으로 인해 교육 과정에서 폐지되었다.

성종의 992년 칙령은 학교를 지원하기 위해 토지와 노비를 제공했다. 그러나 수업료는 부유한 가문 출신이 아닌 대부분의 학생들에게는 여전히 부담이 컸다. 1304년 안향은 새로운 세금을 부과하여, 정1품에서 종6품까지의 관료들은 은으로, 종7품 이하의 관료들은 베로 납부하게 했다. 이 세금은 국자감 학생들의 수업료를 충당하는 데 사용되었다.

5. 입학 자격

국자학에는 3품 이상, 태학에는 5품 이상, 사문학에는 7품 이상의 자손과 서인이 입학할 수 있었고, 전문 학과인 잡학 3부(율학, 산학, 서학)에는 모두 8품 이하의 자제와 서인이 입학할 수 있었다.

국자감은 초기에 국자학, 태학, 사문학, 율학, 서학, 산학의 6개 강좌를 제공하였다. 국자학, 태학, 사문학 3개 과정은 최고위 관료의 자녀에게만 제공되었으며, 총 9년 과정으로 유교 경전을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율학, 서학, 산학 3개 과정은 8품 이하 관료의 자녀에게도 개방되었으며, 각 6년 과정으로 고전과 기술 교육을 혼합하여 진행되었다.

6. 재정

992년 성종의 칙령으로 학교를 지원하기 위해 토지와 노비가 제공되었다. 그러나 수업료는 부유한 가문 출신이 아닌 대부분의 학생들에게는 여전히 과도했다. 1304년, 안향은 새로운 세금을 부과하여, 정1품에서 종6품까지의 관료들은 은으로, 종7품 이하의 관료들은 베로 납부하게 했다. 이 세금은 국자감 학생들의 수업료를 충당하는 데 사용되었다.

7. 명칭 변화

고려 후기에 국자감의 명칭은 여러 차례 바뀌었다.

시기명칭
1275년(충렬왕 1)국학(國學)
1298년(충렬왕 24)성균감(成均監)
1308년(충렬왕 34)성균관(成均館)
1356년(공민왕 5)국자감
1362년(공민왕 5)성균관



이후 한양에도 성균관이 생겼으나, 개성의 성균관은 그대로 두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