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네드 왕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귀네드 왕국은 고대 아일랜드어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웨일스 북부에 존재했던 중세 브리튼족 왕국이다. 5세기에 쿠네다 가문에 의해 건국되어 13세기까지 존속했으며, 웨일스 역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초기에는 로마-브리튼 문화를 계승했으며, 쿠네다 가문, 아베르프라 가문 등 여러 왕조가 번갈아 통치했다. 11세기에는 노르만족의 침입과 그루피드 압 키난의 통치 시기를 겪었고, 오와인 귀네드의 치세 하에 전성기를 맞이했다. 13세기에는 르벨린 대왕과 웨일스 공의 시대를 거쳤으나, 1282년 잉글랜드의 에드워드 1세에 의해 정복당하면서 멸망했다. 멸망 이후 잉글랜드에 병합되었으며, 웨일스의 셔(Shire)로 분할되었다. 귀네드 왕국은 웨일스 문화와 역사의 중요한 부분으로 남아 있으며, 오늘날에도 웨일스의 지명과 행정 구역에 그 흔적이 남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귀네드 왕국 - 허웰린의 소관
허웰린의 소관은 웨일스 왕관의 기원과 역사를 설명하며, 13세기 왕관 수여 및 압수 설, 에드워드 1세 정복 후 왕관의 행방, 올리버 크롬웰 시대 파괴 주장, 오와인 글린두르 왕관, 그리고 현재 카디프 국립 박물관에 보관된 웨일스 왕관 재건 디자인에 대한 내용을 다룬다. - 유럽의 옛 군주국 - 톨레도 왕국
톨레도 왕국은 이베리아 반도에 존재했던 무슬림 왕국으로, 알폰소 6세에게 정복되어 카스티야 왕국에 합병된 후 레온-카스티야 연합 왕국의 수도가 되었으며, 여러 사건을 거쳐 스페인의 영토 재편 과정에서 폐지되었다. - 유럽의 옛 군주국 - 세르비아 왕국
세르비아 왕국은 19세기 세르비아의 독립 운동으로 성립되어 발칸 전쟁을 통해 영토를 확장했으나, 제1차 세계 대전 중 해체되고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슬로베니아인 왕국에 통합되었다.
| 귀네드 왕국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상징 | 웨일스 공의 문장 |
| 수도 | 체스터 (?) 데간위 (6세기) 랜패에스 (9세기) 애버프로 (9세기 ~ 13세기) 루들란 (11세기) 아베르귄그레긴 (12세기 ~ 13세기) |
| 공용어 | 웨일스어 라틴어 |
| 종교 | 켈트 기독교 |
| 통화 | 페니 법 페니 쿼타 |
| 국가 | 브리튼 독재 "영국의 군주국" |
| 현재 국가 | 영국 ∟ 웨일스 |
![]() | |
| 역사 | |
| 시작 사건 | 후로만 브리튼 |
| 시작 연도 | 401년 |
| 종료 사건 | 웨일스 공국 선언 |
| 종료 날짜 | 1283년 10월 3일 |
| 이전 국가 | 후로만 브리튼 |
| 계승 국가 | 웨일스 공국 |
| 정치 | |
| 정치 체제 | 군주제 |
| 주요 지도자 | 쿠네다 |
| 재임 기간 | 401년–440년 |
| 주요 지도자 | 마엘곤 귀네드 |
| 재임 기간 | 520년–547년 |
| 주요 지도자 | 카드왈론 압 카드반 |
| 재임 기간 | 625년–634년 |
| 주요 지도자 | 로드리 마우르 |
| 재임 기간 | 844년–878년 |
| 주요 지도자 | 그리피드 압 키난 |
| 재임 기간 | 1081년–1137년 |
| 주요 지도자 | 오와인 귀네드 |
| 재임 기간 | 1137년–1170년 |
| 주요 지도자 | 리웰린 대왕 |
| 재임 기간 | 1195년–1240년 |
| 주요 지도자 | 리웰린 2세 |
| 재임 기간 | 1253년–1282년 |
| 주요 지도자 | 다버드 3세 |
| 재임 기간 | 1282년–1283년 |
| 인구 통계 | |
| 인구 | 200,000명 (1271년경) |
2. 어원
귀네드(Gwynedd)라는 이름은 고대 아일랜드 지역 정착의 영향으로 초기 아일랜드어에서 유래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원시 아일랜드어 *weidh-n-|숲의 사람들/야생의 사람들pgl(원시 인도유럽어 *weydʰ- "나무, 황야"에서 유래)에서 유래된 고대 아일랜드어 민족명 Féni|아일랜드인sga과 어원이 같거나, (또는 다른 설로는) 원시 아일랜드어 *wēnā|pgl (원시 인도유럽어 *weyh₁- "추격하다, 쫓다, 진압하다"에서 유래)에서 파생된 고대 아일랜드어 fían|전투 부대sga에서 유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10][11][12][13]
에드워드 1세의 정복 이후 귀네드는 잉글랜드의 앵글리시, 케너폰셔, 메리오네스셔, 덴비셔, 플린트셔로 분할되었다. 1972년 지방 정부법은 이들을 개혁하여 본토의 앵글리시와 릴린, 아르폰, 두노딩, 메이리오니드를 포함하는 귀네드의 새로운 군(현재의 "보존된 군")을 만들었다. 1994년 지방정부(웨일스)법에 의해 설립된 귀네드의 현대 주요 지역은 더 이상 앵글리시를 포함하지 않는다.
1세기의 프톨레마이오스는 린 반도를 "강가니의 곶"으로 표시했는데,[14] 이는 그가 아일랜드에서도 기록한 이름이다. 기원전 1세기에 강가니 부족 중 일부가 현재의 린 반도에 상륙하여 데케앙글리 또는 오르도비체스 부족을 평화적으로 또는 무력으로 그 지역에서 몰아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후기 로마 시대와 로마 멸망 이후 시대에 레인스터 출신의 아일랜드인들이 앵글시 섬과 웨일스 북서부의 다른 지역에 도착했을 수 있으며, '린'이라는 이름은 "레인스터인, 또는 단순히 레인스터"를 의미하는 고대 아일랜드어 형태인 ''라긴''에서 파생되었다.[15]
펜마흐노 교회에 있는 5세기 칸티오릭스 비문은 이 이름의 가장 초기의 기록으로 보인다. 이 비문은 칸티오릭스라는 남자를 기리는 것이며, 라틴어 비문은 Cantiorix hic iacit/Venedotis cives fuit/consobrinos Magli magistrati|칸티오릭스는 여기에 잠들다. 그는 귀네드의 시민이었고 행정관 매글로스의 사촌이었다la라는 의미이다. "시민" 및 "행정관"과 같은 용어의 사용은 군단이 철수한 후에도 로마-브리튼 문화와 제도가 귀네드에서 오랫동안 지속되었음을 보여주는 증거로 인용될 수 있다.
3. 역사
귀네드 왕국의 초기 역사에 대해서는 초기 역사 문단에서 자세히 다루고 있으며, 쿠네다 가문, 아베르프라우 가문을 거쳐, 노르만 침입과 그루피드 압 키난 시대, 오와인 귀네드 시대를 지나, 르벨린 대왕과 웨일스 공 시대를 거쳐 13세기 이후 독립의 종말을 맞이하게 되었다.
3. 1. 초기 역사 (5세기 - 11세기)
귀네드 왕국은 웨일스 역사에서 시작된다. 마지막 빙하기 이후, 웨일스는 선사 시대에 정착했다.[16] 신석기 시대 유적에서는 흑요석으로 만든 석기 도구들이 발견되었는데, 예를 들어 6000년 전 란패슬루 근처에서 발굴된 롱하우스가 있다.[17][18] 5000년 전 앵글시에 건설된 브린 켈리 두 또한 인류 활동의 예시이다.[19] 청동기 시대의 고고학적 발견에는 수천 년 전의 유물들이 있는데, 아서그 가마솥, 머리너스 경계 근처에서 발견된 기원전 1100년경의 청동 가마솥인 '나나우 양동이' (도리스 양동이와 유사), 3,000년 된 모엘 헤보그 방패(리드-이-고르 예와 유사), 그리고 최근에는 기원전 100년에서 서기 75년 사이에 밀주와 맥주를 마시는 데 사용된 트라우스피니드 술잔이 있다.[20][21]
귀네드 초기 정착지의 예로는 세인트 파간 국립 역사 박물관에서 볼 수 있는 란사드워른, 앵글시 근처의 브린 에리르[23]와 린 반도에 있는 켈트 고지대 요새인 가른 보두안이 있다.[24] 철기 시대 요새는 영국의 로마 정복 이후에도 개조되었고, 린의 '부안 성'(가른 보두안)은 7세기까지 요새화된 것으로 기록되었다.[25] 로마 제국 시대에는 웨일스와 잉글랜드에 새로운 도로와 요새가 건설되었는데, 웨일스에는 앵글시의 카에르 기비 (요새)와 귀네드의 카에르나본의 세곤티움이 있다.[26][27] 웨일스 기독교의 확립은 새로운 시대를 열었고, 로마인들은 교회와 총독을 설치한 도시를 세웠다. 로마 멸망 후의 브리튼 시대에는 새로운 정치 구조가 확립되었다.[28] 5세기에 브리튼족의 귀네드 왕국이 세워졌고, 이 브리튼족 국가들 중에서 가장 오래 지속되어 13세기 후반까지 존속했다.[6]
1000년 이후부터 등장한 경계와 이름은 오늘날에도 이 지역의 도시와 카운티를 정의하는 데 사용되고 있다.[29] 귀네드 왕국의 주목할 만한 후손으로는 오와인 글린두르와 같은 왕족[30]과 작위를 가진 웨일스 공[31][32], 그리고 캐서린 오브 베라인을 통한 샐리스버리 가문이 있다.[33] 이들은 앵글시에 기반을 둔 페넘니드의 튜더 가문과 연관될 수 있다. 튜더 가문은 잉글랜드 왕족인 튜더 왕가의 조상이며, 웨일스인 마레두드 압 투두르의 후손이고, 그의 유명한 조상은 에드니페드 퓨천이며, 그의 가문은 귀네드 왕의 궁내관이었다.[34] 튜더 왕조는 스튜어트 왕가의 조상이 되었고, 스튜어트 왕가는 유럽의 자코바이트 가문을 형성했으며, 영국, 아일랜드,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및 유럽 대륙과 전 세계의 다른 국가에 직접적인 후손을 포함한다.[35][36]
3. 1. 1. 쿠네다 가문

귀네드 지역은 라틴어로 ''Venedotia''로 알려졌다. 이 이름은 처음에는 앵글시 섬의 특정 아일랜드 식민지에 붙여졌지만, 5세기에는 북웨일스 전체의 아일랜드 정착민을 지칭하는 용어로 확대되었다.[37] 9세기 수도사이자 연대기 작가인 넨니우스는 북웨일스가 로마 철수 이후 방어 능력을 상실했고, 맨 섬과 아일랜드에서 온 약탈자들의 공격이 증가하는 상황에 놓였다고 기록했다. 이러한 상황은 쿠네다[38]와 그의 아들들, 그리고 그들의 측근들이 5세기 중반에 ''마나우 고도딘''(현재의 클라크매넌셔)에서 이주하여 정착하게 했고, 약탈자들로부터 북웨일스를 방어하고 이 지역을 로마-브리튼의 지배하에 두도록 했다. 그들이 침략자를 막기 위해 초청되었는지 아니면 스스로 약탈자였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전통적인 계보에 따르면, 쿠네다의 할아버지는 "붉은 망토의 파테르누스", 즉 파던 베이르루드였으며, "이는 그가 로마 장교의 망토를 입었다는 것을 시사하는 별칭"이었고, 아마도 고위 장교의 증거였을 것이다. 쿠네다(5세기경 활동)는 북웨일스에 질서를 가져왔고, 그가 죽은 후 귀네드는 그의 아들들 사이에 분할되었다. 두노딩은 디노드가 받았고, 케레디기온은 또 다른 아들인 케레디그가 받았다. 아플로에그는 린 반도의 아플로기온, 도그파엘은 디프린 클위드의 도그페일링, 에데른은 에데르니온을 받았다. 오스파엘의 오스페일은 아직 위치가 확인되지 않았고, 장남인 티비온은 마나우 고도딘에서 사망했다고 전해지지만, 그의 아들 메이리온(마리아누스)은 메이리오니드의 영주로 등장한다. 에이니온 이르스가 그 수를 채운다. 그의 손자 중 한 명인 카드왈론 라우히르 압 에이니온은 앵글시 섬에서 아일랜드인을 물리친 마지막 지도자였다. 그러나 이 지나치게 깔끔한 기원 신화는 회의적인 시각을 받아왔다.
귀네드의 주민들은 로마-브리튼 유산을 의식했고, 제국이 브리튼에서 철수한 후에도 로마와의 친밀함이 오래 지속되었으며, 특히 라틴어를 사용하여 글을 쓰고 기독교를 유지했다. 지배 계급은 로마의 조상을 계보에서 강조하여 자신들의 통치를 옛 로마 제국의 질서와 연결하려 했고, 이는 옛 질서와의 안정성과 연속성을 시사했다.[39] 존 데이비스 교수에 따르면, "초기 귀네드에는 단호한 브리튼적이고 로마적인 분위기가 있다." 옥스퍼드 대학교 트리니티 칼리지의 브라이언 워드-퍼킨스 교수는 "로마 브리튼의 마지막 부분이 몰락하기까지는 1282년 에드워드 1세가 귀네드를 정복할 때까지 걸렸다. 귀네드는 동서양을 통틀어 로마 제국 전체의 마지막 부분으로, 야만족에게 함락된 곳으로 주장할 수 있다."라고 언급했다.[39]
귀네드와 웨일스 다른 지역에서는 로마의 정치, 사회, 교회 제도가 빠르게 폐기되었다. 로마의 지식은 로마-브리튼인들이 화폐 경제, 벽돌과 모르타르를 사용한 건축 기술, 도자기 생산에 바퀴를 사용하는 기본적인 지식 등을 더 이상 포함하지 않는 간소화된 군사적 부족 사회로 전환하면서 사라졌다.[39] 워드-퍼킨스는 웨일스인들이 생존을 위해 불필요한 로마 방식을 버려야 했다고 제안한다. "군사화된 부족 사회는 정치적 분열과 갈등에도 불구하고, 전문 로마 군대에 대한 의존보다 게르만 침략에 더 나은 보호를 제공했다."[39]
귀네드의 웨일스인들은 군사 기술에 집중하며 서부 브리튼의 로마-브리튼인들은 더 강력한 저항을 했다.[39] 베네도티아 지역은 로마 군정 하에 있었고 게일어 정착지가 있었으며, 민간 요소는 덜 광범위하여 기술적 손실을 촉진했을 수 있다.
로마 멸망 이후 웨일스와 귀네드의 초기 통치자들은 웨일스 법에 설명된 ''칸트레프''(백)보다 크지 않은 지역에 권위를 행사했으며, 크기는 아일랜드의 ''투아스''와 비슷하다. 초기 소왕 또는 왕자는 웨일스어로 ''rhi''(아일랜드 게일어 ''rí''와 유사)라는 칭호를 채택했는데, "덜 고풍스러운 왕권을 나타내는" ''brenin''으로 대체되었다. 약 960년 계보 목록은 초기 통치자들이 옛 로마 질서를 주장했지만, 공식 왕실 계보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데이비스는 "더 강력한 왕들이 이웃 영토를 합병했고, 승자의 계보만 살아남았다."라고 추정한다. 약소 족장들은 봉신 관계, 상속, 정복을 통해 강력한 왕자 주변으로 뭉쳤고, 덜 강력한 왕자들은 남쪽 도비 강에서 동쪽 디 강까지, 앵글시 섬을 포함하여 북웨일스 전체에 권위를 주장했다.
넨니우스의 주장은 북웨일스에 어느 정도 안정을 가져왔다는 것을 뒷받침하며, 아일랜드 게일어 요소는 5세기 중반까지 남아 있었다. 쿠네다의 상속자 에이니온 이르스 압 쿠네다는 470년까지 앵글시 섬에서 게일어 아일랜드인을 물리쳤고, 그의 아들 카드왈론 라우히르 압 에이니온은 바돈 산 전투 이후 평화로운 시기에 왕국을 통합했다. 카드왈론 이후 귀네드는 캄브리아 소국들 사이에서 탁월한 지위를 차지했다. 쿠네다의 증손자 마엘군 히르(마엘군 더 톨)은[41][42] 유능한 군사 지도자이자 관대한 인물이었다. 그는 최초의 에이시스테드포드를 주최했고,[44] 길다스가 비판한 5명의 켈트 브리튼 왕 중 한 명이다(길다스는 그를 브리튼어로 '왕자-사냥개'를 의미하는 마글로쿠누스라고 불렀다).[45] 마엘군은 "섬의 용"으로 묘사되었는데, 5명의 왕 중 가장 강력했다.[46]
마엘군은 547년 역병으로 사망했고, 계승 위기가 발생했다. 스트래스클라이드 왕국의 엘리디르 뮨파워는 왕위를 주장하며 룬 히르 압 마엘군을 몰아내려 귀네드를 침략했다. 엘리디르는 살해되었지만,[47] 그의 친척들이 아르폰 해안을 황폐하게 했다. 룬은 반격하여 남부 및 중부 스코틀랜드의 적들 땅에 처벌을 가했다.[48] 이 군대들은 아일랜드 해를 건넜거나 육로로 행군했을 것이다. 룬은 귀네드로 돌아왔고, 통치는 평탄했으나 엘리디르 친척들의 공격으로 살해되었다. 586년경 아들 또는 조카인 벨리 압 룬이 계승했다.
벨리 압 룬의 아들 이아고 압 벨리가 599년경 즉위했을 때, 브리튼 상황은 악화되었다. 북부 잉글랜드 대부분은 앵글족인 데이라와 버니시아에 점령되어 노섬브리아 왕국을 형성했다. 귀네드와 포위스 왕국은 협력했으나, 613년 체스터 전투에서 패배했다. 북웨일스 경계선이 정해졌고, 카엘레온 시(체스터)와 체셔 평원이 앵글로색슨족 지배하에 떨어졌다. 벨리의 손자 카드판 압 이아고는 마엘군 혈통이며, 묘비에는 (가장 유명한)라고 쓰여 있었고, 미래 귀네드 왕들의 조상이었다.
체스터 전투는 웨일스인들의 앵글로색슨 위협 능력을 종식시키지 못했다.[49] 카드왈론 압 카드판(c. 624 – 634)은[50] 이아고 압 벨리의 손자였다. 노섬브리아 왕국에 대항, 앵글시섬,[51] 퍼핀 섬에 갇히고 더블린으로 망명했다. 카드왈론()은 군대를 일으켜 건지 섬을 거쳐 두므노니아를 침략, 콘월인을 구원하고 머시아의 펜다와 동맹했다. 노섬브리아를 격파하고 633년 요크를 점령, 약탈했다.[51] 베다에 따르면, 많은 노섬브리아인들이 학살되었다.[52]
귀네드-머시아 연합군은 14번 전투(632년 세프 디골 전투)를 벌였고, 카드왈론은 머시아의 피바 딸과 결혼했다. 634년 하드리아누스 성벽 근처 헤븐필드 전투에서 전사했다.[51] 그와 아들 카드왈라드르(윈와에드 전투에서 싸움)는 마지막 영국 고왕으로 여겨졌다. 카드왈라드르는 통합 시대를 주도, "''Bendigaid''"(복된) 칭호를 얻었다. 클리노그 파브 수도원과 성 카드왈라더 교회, 랑가드왈라더에 관여했다.[54] 페넘니드 가문과 잉글랜드의 헨리 7세는 카드왈라드르 후손이라고 주장했다.
3. 1. 2. 아베르프라우 가문
메르빈 "프리흐" (메르빈 "주근깨")는 맨 섬 출신의 동시대 맨 섬의 왕인 구리아드의 아들이었다. 그는 출처에 따라 귀네드의 전 왕이었던 키난 빈다에드위의 딸 에실트의 아들이거나 남편이었는데, 가장 오래된 계보 자료에 따르면 메르빈은 에실트의 아들이었다고 한다. 그는 상속녀이자 앞서 언급한 귀네드의 마지막 쿠네다 가문의 통치자였던 히웰 압 카라독의 사촌이었으며, 메르빈의 남성 계통은 헨 오글레드로 거슬러 올라가 우리엔의 사촌인 리워치 헨과 코엘 헨의 직계 후손으로 이어진다.
메르빈은 게르세리온 왕조의 파위스 왕인 키겐 압 카델의 누이 또는 딸인 네스트 페르치 카델과 결혼하여 앵글시에 있는 그의 주요 궁궐의 이름을 딴 아베르프라 가문을 창건했다.[58][59]
로드리 대왕 (844–878), 메르빈 프라이크와 네스트 페르치 카델의 아들,[61]은 855년 그의 왕(외삼촌)이 로마 순례 중에 사망한 후 파위스를 그의 영토에 추가할 수 있었다. 나중에 그는 세이실루그의 과곤 왕의 누이인 앙하라드 페르치 메이릭과 결혼했다. 872년 과곤이 상속자 없이 익사하자 로드리는 왕국의 관리인이 되었고 그의 아들 카델 압 로드리를 종속 왕으로 임명할 수 있었다.
로드리가 878년에 (머시아의 켈울프 1세와의 전투에서[56]) 사망했을 때 웨일스의 상대적인 통일은 끝나고 다시 그의 아들들이 통치하는 구성 부분으로 나뉘었다. 로드리의 장남 아나라우드 압 로드리는 귀네드를 상속받아 왕자 아베르프라 가문을 확고히 세웠다. 그의 아들 메르핀 압 로드리는 파위스 왕국을 다스리도록 받았고, 카델은 데헤우바르스에서 중세 웨일스 왕실 디네부르 가문을 창건하여 웨일스를 각각 북웨일스, 중웨일스 및 남웨일스로 분할했다.[62]
로드리의 성공과 아들들 사이에서 아나라우드의 선임성에 근거하여, 아베르프라 가문은 파위스와 데헤우바르스의 강력한 왕들을 포함한 다른 모든 웨일스 영주들보다 우위를 주장했다. 12세기 후반에 쓰여진 ''그루피드 압 키난의 역사''에서[63][64] 가문은 그의 생전에 웨일스의 대부분을 정복한 로드리 대왕의 후손 중에서 선임 계열로서의 권리를 주장했다. 그루피드 압 키난의 전기는 처음에는 라틴어로 쓰여졌으며 웨일스 외부의 더 넓은 청중을 대상으로 했다. 이 주장의 중요성은 아베르프라 가문이 웨일스에서의 지위에 대해 잉글랜드 왕에게 빚진 것이 없고, 웨일스에서 "세습을 통해 절대적인 권리"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라고 역사가 존 데이비스는 썼다.
아베르프라 가문은 942년, 로드리 대왕의 후손 중 하위 계열 출신인 데헤우바르스의 왕 히웰 다에 의해 대체되었다. 이 일은 귀네드 왕국의 왕이었던 이드왈 포엘이 잉글랜드의 종주권을 벗어나려 결심하고 새로운 잉글랜드 왕 에드먼드 1세에 대항하여 무기를 들었기 때문에 발생했다. 이드왈과 그의 형제 엘리세드는 에드먼드의 군대와의 전투에서 모두 사망했다. 일반적인 관례에 따르면 이드왈의 왕관은 그의 아들 이에우아프와 이아고 압 이드왈에게 넘겨져야 했지만, 히웰 다가 개입하여 이아고와 이에우아프를 아일랜드로 추방하고 950년 사망할 때까지 귀네드의 통치자가 되었으며 이때 아베르프라 가문이 복원되었다.
986년에서 1081년 사이에 귀네드의 왕위는 종종 정당한 왕들이 왕국 내부와 외부의 경쟁자들에 의해 자주 쫓겨나면서 논쟁의 대상이 되었다. 이들 중 한 명인 그루피드 압 리웰린은 원래 파위스 출신으로 아베르프라 가문을 귀네드에서 몰아내고 그곳의 통치자가 되었으며, 1055년까지 웨일스의 대부분을 자신의 왕으로 만들 수 있었다. 그는 잉글랜드에 실제적인 위협이 될 만큼 강력해져 잉글랜드 군대와의 여러 차례의 승리 후 일부 인접 지역을 합병했다. 결국 그는 1063년 헤럴드 고드윈슨에게 패배했고 나중에 잉글랜드와의 평화를 확보하기 위한 거래에서 자신의 부하들에게 살해되었다. 블레드윈 압 친핀과 그의 형제 리왈론은 파위스의 마트라팔 왕조의 그루피드의 외가 쪽 이복 형제였으며, 헤럴드와 타협하여 귀네드와 파위스의 통치를 맡았다.[65]
1081년 트라하에른 압 카라독은 전투에서 그루피드에게 살해되었고 로드리 대왕의 고대 계열이 복원되었다.
3. 2. 노르만 침입과 그루피드 압 키난 (11세기 - 12세기)
11세기 말 노르만족이 웨일스에 침입하면서 귀네드 왕국은 큰 위협에 직면했다. 1086년 둠즈데이 북에 따르면 체스터 백작 로버트 오브 루들랜이 클루이드 강 동쪽 귀네드 북동부 지역 대부분을 봉토로 소유하고 있었다.[67] 로버트는 1093년 리처드가 이끄는 노르만족의 웨일스 침공 중 그레이트 옴에서 웨일스군과 교전하다 전사했다.[68] 그의 사촌인 체스터 백작 휴 드브렌치스는 로버트의 영토를 되찾고 앵글시와 귀네드 대부분을 정복했다.
그러나 그루피드 압 키난이 이끄는 귀네드군은 앵글시에서 노르만족에 저항했고, 1098년 휴 드브렌치스는 몽고메리 백작 휴 오브 몽고메리와 함께 앵글시를 공격했다. 그루피드는 메나이 해협에서 패배하고 아일랜드로 피신했다. 같은 해 휴 오브 몽고메리는 노르웨이 왕 마그누스 맨발왕이 이끄는 노르웨이 함대의 공격을 받아 전사했고, 노르웨이군은 앵글시를 점령했다.[69]
1101년 그루피드 압 키난은 아일랜드에서 귀환하여 앵글시를 포함한 귀네드의 일부를 되찾았다. 그는 노르만족과의 전쟁에서 살아남아 귀네드 왕국을 재건하고 강화했다.
3. 2. 1. 오와인 귀네드
오와인 압 그루피드(Owain ap Gruffudd, – 1170년 11월 23일 또는 28일[70])는 웨일스 법인 《키프라이스 하웰》(Cyfraith Hywel, 하웰 법)에 따라 아버지의 뒤를 이어 귀네드 왕국의 더 넓은 지역을 상속받았다. 다른 오와인 압 그루피드, 즉 오와인 키페일리오그로 알려진 포위스의 마쓰라팔 통치자와 구별하기 위해 ''오와인 귀네드''로 알려지게 되었다. 그루피드의 막내 아들인 카드왈라더는 이니스 몬(현재 앵글시)의 아베르프라우, 그리고 최근 정복한 메이리오니드와 북부 세레디지온, 즉 에이론 강과 다피 강 사이의 세레디지온을 상속받았다.
1141년, 카드왈라더와 포위스의 마도그 압 마레두드는 링컨 전투에서 체스터 백작의 동맹군으로 웨일스 선봉대를 이끌었고, 잉글랜드의 스테판 왕을 1년 동안 마틸다 여제에게 포로로 만들었던 패배에 동참했다. 그러나 오와인은 그위네드 군대의 대부분을 집에 둔 채 전투에 참여하지 않았다.
1143년, 카드왈라더가 오와인의 동맹이자 미래의 사위인 데헤이바르스의 아나라우드 압 그루피드 왕 살해 사건에 연루되면서 오와인과 카드왈라더는 충돌했다. 오와인은 다른 웨일스 통치자들을 왕조 결혼을 통해 그위네드에 묶어두는 외교 정책을 따랐고, 카드왈라더의 국경 분쟁과 아나라우드의 살해는 오와인의 노력과 신뢰를 위협했다. 그위네드의 통치자로서 오와인은 카드왈라더의 땅을 몰수했고, 오와인의 아들 하웰을 세레디지온으로 보내 아베리스트위스에 있는 카드왈라더의 성을 불태웠다. 카드왈라더는 아일랜드로 도망쳐 더블린에서 노르웨이 함대를 고용하여 아베르메나이에 함대를 가져와 오와인에게 그를 복직시키도록 강요했다. 이 함대는 1142년 이전에 아베르메나이 포인트에서 잉글랜드 왕 스테판, 아일랜드와 스코틀랜드 함대와 대적할 수 있을 정도로 상당한 규모의 함대로 여겨졌다. 형제 간의 갈등을 이용하여, 그리고 어쩌면 카드왈라더의 묵시적인 이해를 얻어, 마르처 영주들은 웨일스로 침략을 시작했다. 오와인은 자신 앞에 놓인 전쟁의 더 넓은 파급 효과를 깨닫고 카드왈라더와 합의하여 화해했고, 카드왈라더는 자신의 땅을 되찾았다. 형제 간의 평화는 1147년까지 지속되었는데, 기록되지 않은 사건으로 인해 오와인의 아들 하웰과 키난이 카드왈라더를 메이리오니드와 세레디지온에서 쫓아내고 카드왈라더는 몬으로 후퇴했다. 다시 합의가 이루어져 카드왈라더는 1153년 더 심각한 위반이 발생하여 잉글랜드로 망명할 때까지 아베르프라우를 유지했고, 그의 아내는 길버트 드 클레어, 초대 헤트퍼드 백작의 여동생이자 라눌프 드 제르논, 제4대 체스터 백작의 조카였다.
1146년, 오와인은 가장 총애하는 맏아들이자 상속자인 룬 압 오와인 그위네드가 사망했다는 소식을 들었다. 오와인은 슬픔에 잠겨 깊은 우울증에 빠졌고, 역사학자 존 에드워드 로이드 경은 그위네드에게 몰리드에서 테게잉글의 몰드 성이 함락되었다는 소식이 그에게 전해지자 "[오와인에게] 아직 살아야 할 나라가 있음을 상기시켜주었다"고 썼다.
1148년에서 1151년 사이에, 그위네드의 오와인 1세는 포위스의 마도그 압 마레두드, 오와인의 사위, 그리고 이알(예일)을 지배하기 위한 체스터 백작과 싸웠고, 오와인은 체스터로부터 룻들란 성과 모든 테게잉글을 확보했다. 로이드는 "1154년까지 오와인은 디 강변의 거대한 도시의 붉은 탑을 볼 수 있게 되었다"고 썼다."
플랜태저넷 제국에서 3년 동안 자신의 권위를 강화한 잉글랜드의 헨리 2세는 1157년까지 그위네드의 오와인 1세에 대항하는 전략을 세웠다. 그 당시 오와인의 적들은 헨리 2세의 진영에 합류했는데, 예를 들어 변덕스러운 형제 카드왈라더와 특히 포위스의 마도그의 지원이 있었다. 헨리 2세는 봉건군을 소집하여 체스터에서 웨일스로 진군했다. 오와인은 자신의 군대를 디나스 베이징(베이징워크)에 배치하여 룻들란으로 가는 길을 막았고, 헨리 2세가 해안의 직접적인 길을 따라 군대를 보내고 자신이 숲을 통과하여 오와인을 측면 공격하는 함정을 설치했다. 그위네드의 왕은 이를 예상하고 아들 다피드 압 오와인 그위네드와 키난을 숲으로 군대와 함께 파견하여 헨리 2세를 당황하게 만들었다.[71]
이어진 백병전에서 로저 드 클레어, 제2대 헤트퍼드 백작이 왕을 구출하지 않았다면 헨리 2세는 살해되었을 수도 있다. 헨리 2세는 후퇴하여 룻들란을 향해 천천히 진격하고 있는 주력 군대로 돌아갔다. 오와인은 노르만 군대와 직접 교전하는 것을 원하지 않았고, 먼저 세인트 아사프로, 다음은 서쪽으로 위치를 변경하여 헨리 2세가 "영예롭지 않게" 룻들란에 들어갈 수 있도록 길을 열었다. 룻들란에 도착한 헨리 2세는 자신의 해상 원정이 실패했다는 소식을 들었는데, 데간위나 룻들란에서 헨리 2세를 만나는 대신 앵글시를 약탈하러 갔기 때문에 이울로 전투가 발생했고, 2007년에는 1157년 전투 850주년을 기념하는 기념패가 세워졌다.[72]
나중에 비잔틴 황제에게 보낸 편지에서 헨리는 아마도 다음과 같이 썼을 것이다. "웨일스인이라고 불리는 백성은 매우 대담하고 사나워서 무장하지 않아도 무장한 병력과 맞서 싸우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으며, 조국의 방어를 위해 기꺼이 피를 흘리고 명성을 위해 목숨을 바칠 준비가 되어 있다."[73]
해상 원정은 헨리 2세의 외삼촌(마틸다 여제의 이복 형제)인 헨리 피츠로이가 이끌었고, 몬에 상륙했을 때 헨리 피츠로이는 란베드르 고흐와 란페어 마타파른 에이타프의 교회를 불태웠다. 밤에 몬의 사람들이 모여 다음 날 아침 노르만 군대와 싸워 격퇴했고, 헨리 피츠로이는 쏟아지는 창에 맞아 죽었다. 해군과 자신의 군사적 어려움에 대한 패배는 헨리 2세에게 오와인을 굴복시키려는 노력에 "그 해에는 실질적으로 가능한 한 멀리 갔다"는 것을 확신하게 했고, 왕은 조건을 제시했다.
"항상 신중하고 현명했던" 그위네드의 오와인 1세는 권력을 더 공고히 할 시간이 필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고 조건에 동의했다. 오와인은 왕에게 경의와 충성을 바치고 테게잉글과 룻들란을 체스터에 양도하며 카드왈라더를 그위네드의 재산으로 복귀시켜야 했다.
1160년 포위스의 마도그 압 마레두드의 죽음은 그위네드의 오와인 1세가 포위스의 손실을 감수하면서 그위네드의 영향력을 더욱 확대할 기회를 열었다. 그러나 오와인은 영국 왕실을 자극하지 않고 그위네드의 확장을 계속했으며, 그의 '신중한 정책'인 Quieta non-moverela('안정된 것을 움직이지 마라'로 번역)를 유지했다. 이것은 겉으로는 화해하면서 자신의 권위를 강화하는 정책이었다. 자신의 선의를 더욱 보여주기 위해 1160년 오와인은 도망자 에이니온 클루드를 영국 왕실에 넘겨주었다. 1162년까지 오와인은 포위스 켄트레프인 키페일리오그를 소유하게 되었고, 그 성인 도멘 파우어, 타폴워른을 소유하게 되었으며, 다른 포위스 켄트레프인 아르위스틀리를 황폐화시키고 그 영주인 하웰 압 이에아프를 살해했다. 오와인의 전략은 1162년에 노르만족에 대항하여 웨일스 남부에서 공개적으로 반란을 일으켜 헨리 2세를 대륙에서 영국으로 다시 소환한 데헤이바르스의 리스 압 그루피드 왕과는 뚜렷한 대조를 이루었다.
1163년 헨리 2세는 캔터베리의 토마스 베켓 대주교와 다투었고, 왕의 지지자와 대주교의 지지자 사이에 점점 더 분열이 생겼다. 잉글랜드에서 불만이 커지면서 그위네드의 오와인은 데헤이바르스의 리스 압 그루피드와 함께 헨리 2세에 대항하는 두 번째 대규모 웨일스 반란에 가담했다. 잉글랜드 왕은 불과 1년 전에 1162년의 반란에 대해 리스 압 그루피드에게 사면을 했으며, 앙주 제국 전역에서 온 군대를 소집하여 슈루즈버리에 집결시키고, 더블린의 노르웨이인들에게 웨일스 해안을 괴롭히도록 돈을 지불했다. 헨리 2세는 웨일스 국경에서 군대를 소집하는 동안 대륙으로 건너가 프랑스와 플랑드르와 휴전을 협상하여 웨일스에서 캠페인을 벌이는 동안 자신의 평화를 방해하지 않도록 했다.
그러나 헨리 2세가 영국으로 돌아왔을 때 그는 전쟁이 이미 시작되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는데, 오와인의 아들 다피드가 테게잉글에서 앙주군을 습격하여 룻들란과 베이징워크의 성을 "심각한 위험"에 노출시켰다. 헨리 2세는 그곳의 방어를 강화하기 위해 며칠 동안 북 웨일스로 급히 달려갔고, 오스웨스트리에 집결한 주력 군대로 돌아갔다.
연합된 웨일스 공국 앞에 집결한 거대한 군대는 정복을 위해 소집된 가장 큰 군대였으며, 이는 웨일스 동맹국들을 더욱 긴밀한 연맹으로 이끌었다. 오와인 1세가 전체 전투 사령관이고 동생 카드왈라더가 부사령관으로, 오와인은 헨리 2세의 진격을 가장 잘 저항할 수 있는 에데리온 계곡의 코웬에 웨일스 군대를 소집했다.
앙주군은 오스웨스트리에서 웨일스로 진격하여 머 캐슬을 향해 산을 넘어갔고 세리어그 계곡의 울창한 숲에서 좁고 얇은 선으로 들어갔다. 오와인 1세는 통과 지점을 내려다보는 울창한 숲에 일군의 산병들을 배치하여 안전한 위치에서 노출된 군대를 괴롭혔다. 헨리 2세는 계곡을 통과하는 통로를 넓히고 군대의 노출을 줄이기 위해 양쪽 숲을 정리하라고 명령했다. 그의 군대가 이동한 도로는 나중에 Ffordd y Saesoncy, 즉 ''영국 도로''로 알려지게 되었고, 황무지와 늪을 지나 디 강으로 이어진다. 건조한 여름에는 황무지를 통과할 수 있었지만, "이 기회에 하늘은 가장 겨울스러운 모습을 보였고; 비가 쏟아져 [...] 산 초원에 물이 찼다"고 로이드는 썼다. "허리케인" 강풍과 폭우, 식량 부족, 적의 습격에 노출된 적대적인 나라를 통과하는 보급선, 사기가 떨어진 군대 앞에서 헨리 2세는 승리의 기미조차 없이 완전한 퇴각을 해야 했다.
좌절한 헨리 2세는 오와인의 지지자와 동맹의 아들 2명을 포함하여 22명의 웨일스 인질을 불구로 만들었다. 웨일스 캠페인 실패 외에도 헨리가 웨일스 해안을 괴롭히기 위해 고용한 용병 노르웨이 해군은 사용할 사람이 너무 적었고 교전 없이 해산되었다.
헨리 2세의 웨일스 캠페인은 완전한 실패였고, 왕은 웨일스 정복 계획을 모두 포기하고 앙주의 궁정으로 돌아가 4년 동안 영국으로 돌아오지 않았다. 로이드는 다음과 같이 썼다.
> [헨리 2세]가 [오와인 1세]와 칼을 겨루지 않은 것은 사실이지만, 자연이 [웨일스인]을 위해 자신의 역할을 다했고, 하늘의 별들이 잉글랜드의 자만심에 맞서 싸워 그것을 흙으로 만들었다. 용감하고 대담한 아들의 무기뿐만 아니라 얽히고 설킨 숲과 통과할 수 없는 늪, 매서운 바람과 자비 없는 폭우로 방어되는 땅을 정복하는 것은 희망 없는 일인 것 같았고, 헨리는 더 이상 시도하지 않기로 결심했다.
오와인은 1168년 프랑스의 루이 7세에게 대사관을 파견하여 헨리 2세에 대한 자신의 국제 외교 공세를 확대했는데, 뱅거의 아서 주교(1166–1177)가 이끌었고 헨리 2세에 대항하는 공동 동맹을 협상하는 임무를 맡았다. 헨리 2세가 토마스 베켓과의 광범위한 다툼에 정신이 팔리면서 오와인의 군대는 1169년까지 그위네드를 위해 테게잉글을 되찾았다.
로이드는 다음과 같이 인용했다. "현대의 시인과 여러 공인들이 그에게 여러 개인적 자질을 부여한 칭찬은 진실한 어조를 가지고 있어서 12세기 웨일스에서 감지된 모든 평화와 전쟁 예술의 진보적인 추세는 ' 위대한 오와인'의 육성하는 천재성 덕분이라고 결론지어야 한다."
나중에 오와인 1세는 라틴어로 "웨일스의 왕자"인 princeps Wallensiumla으로 불렸는데, 역사학자 존 데이비스 박사는 웨일스인의 지도자이자 잉글랜드 왕과의 승리를 감안할 때 그 지위는 상당하다고 썼다. 또한 오와인은 그의 아버지의 전기를 위임하여 《그루피드 압 키난의 생애》를 위임했는데, 오와인은 그 안에서 로드리 더 그레이트의 "상속에 의한 절대적인 권리"를 통해 다른 웨일스 통치자들에 대한 자신의 우선성을 확고히 주장했다고 데이비스는 말한다. 오와인 1세는 부계 상속을 통해 로드리 더 그레이트의 가장 나이 많은 남성 후손이었다.
데이비스에 따르면 "왕자"(라틴어 princepsla, 웨일스어 tywysogcy)라는 칭호의 채택은 지위의 감소를 의미하지 않았다. 그위네드의 통치자를 더 넓은 국제 봉건 세계와 관련하여 인정하는 것이었다. 데이비스는 그위네드의 왕자들은 앙주 제국의 백작, 자작, 공작보다 더 큰 지위와 명성을 행사했으며, 잉글랜드 왕의 종속적인 신하인 스코틀랜드의 왕과 비슷한 지위를 가지고 있음을 시사했다. 웨일스 사회가 봉건 유럽의 영향을 더 많이 받게 되면서 그위네드의 왕자들은 차례로 봉건주의를 사용하여 더 작은 웨일스 영주에 대한 자신의 권위를 강화할 것이며, 이는 잉글랜드 왕에게는 "양날의 검"이라고 데이비스는 썼다. 그위네드의 왕자들은 잉글랜드 왕의 ''사실상의 권리'' 종주권을 인정했지만, 영국법과 별도로 잘 확립된 웨일스 법이 남아 있었고, ''사실상'' 독립적이었다고 데이비스는 썼다.
3. 3. 르벨린 대왕과 웨일스 공 시대 (13세기)
1120년, 디프린 클위드 켄트레프의 영주 리왈크 압 오와인과 루포니오그 및 로스의 영주 하웰 압 이텔 간의 국경 분쟁으로 페르페드왈라드에서 포위스와 체스터가 충돌했다. 포위스는 동맹인 루포니오그를 돕기 위해 400명의 전사를 보냈고, 체스터는 루들란에서 노르만 기사를 디프린 클위드를 돕기 위해 파견했다. 매스 마엔 킴로 전투는 루틴에서 북서쪽으로 약 1.6km 떨어진 곳에서 벌어졌으며, 이 전투에서 리왈크 압 오와인은 전사하고 디프린 클위드는 패배했다. 하지만 하웰 압 이텔이 치명상을 입으면서 이는 피로스의 승리가 되었다. 하웰 압 이텔은 6주 후에 사망하면서 루포니오그와 로스를 상실했다. 포위스는 루포니오그와 로스를 방어할 만큼 강하지 못했고, 체스터 역시 루들란과 데간위를 해안 거점으로 삼아 내륙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없었다. 결국 루포니오그와 로스는 버려졌고, 그리피드가 이 켄트레프들을 병합했다.
메이리요니드의 영주 에이닌 압 카드와간이 사망하자, 그의 친족들은 후계자 자리를 두고 다툼을 벌였다. 메이리요니드는 당시 포위스의 종속 켄트레프였으며, 그곳의 가문은 포위스 마스라팔 가문의 방계였다. 그리피드는 그의 아들 카드왈론과 오와인에게 메이리요니드의 왕조 분쟁을 이용하도록 허락했다. 형제는 포위스의 영주가 페르페드왈라드에서 그랬던 것처럼 메이리요니드를 침공했다. 1136년이 되어서야 켄트레프는 확실히 기네드의 통제 하에 놓였다. 1124년 기네드의 경쟁자인 체스터의 휴 백작을 지지했기 때문인지, 카드왈론은 디프린 클위드의 세 통치자(자신의 외삼촌 3명)를 살해하여 그 해에 켄트레프를 기네드의 종속으로 만들었다. 1125년, 카드왈론은 테게잉글의 에드윈 압 고로노위의 손자들을 살해하여 테게잉글에 영주가 없도록 만들었다.[69] 그러나 1132년 랭골렌 근처 난헤이드위 원정 중, '승리한' 카드왈론은 포위스 군대에 패배하여 전사했다. 이 패배로 기네드의 확장은 한동안 멈췄고, 역사가 존 에드워드 로이드 경은 "포위스 사람들에게 큰 안도감을 주었다"고 기록했다.
1136년, 그리피드의 딸이자 데헤이버스의 왕비인 그웬리안 페르흐 그리피드 압 키난의 처형에 대한 보복으로 기네드에서 노르만인에 대한 원정이 시작되었다. 그웬리안의 죽음과 겡트의 반란 소식이 기네드에 전해지자, 그리피드의 아들 오와인과 카드왈라드는 노르만인이 통치하는 세레디지온을 침공하여 란피한젤 어 크루든, 아베리스트위스, 란바다른을 점령했다. 란바다른을 해방하면서 한 지역 연대기 작가는 오와인과 카드왈라드를 "교회와 그 거주자들을 지키고 가난한 사람들을 보호하며, 적을 물리치고 그들의 보호를 구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가장 안전한 피난처를 제공하는 용감하고 덕이 있으며 두려움 없고 현명한 자들"이라고 칭송했다. 형제는 세레디지온을 통치했던 노르만인들이 데려온 글로스터의 수도승들에게 밀려난 란바다른의 웨일스 수도승들을 복귀시켰다. 1136년 9월 말, 기네드, 데헤이버스, 포위스의 연합군을 포함한 대규모 웨일스 군대가 세레디기온에 집결하여 카디건 성에서 크루그 마워 전투에서 노르만 군대와 격돌했다. 전투는 노르만 군의 대패로 이어졌다.
1137년 아버지 그리피드가 사망했을 때, 오와인과 카드왈라드 형제는 세레디기온에서 두 번째 원정을 진행하여 이스트라드 메이릭, 램피터 (''스티븐의 성''), 카스텔 하웰 (''험프리스 성'') 성을 점령했다. 그리피드 압 키난은 100년 이상 기네드에 존재했던 것보다 더 안정적인 왕국을 남겼다. 어떤 외국의 군대도 코니 강을 건너 상 기네드로 들어올 수 없었다. 그리피드의 긴 통치의 안정성은 기네드의 웨일스인들이 집과 수확물이 침략자들로부터 "불길에 휩싸이는" 것에 대한 두려움 없이 미래를 계획할 수 있게 했다.
정착촌은 더욱 영구화되었고, 목조 구조물을 대체하는 석조 건물이 등장했다. 특히 석조 교회들이 기네드 전역에 건설되었으며, 너무 많은 수가 백색 석회칠을 하여 "기네드는 창공의 별처럼 그것들로 반짝거렸다"고 한다. 그리피드는 자신의 왕실 영지에 석조 교회를 지었고, 로이드는 그리피드의 예를 따라 노르만 양식으로 펜몬, 아베르다론, 토윈에서 석조 교회를 재건했다고 주장한다.
그리피드는 기네드의 주교 관할구인 방고어의 수위를 장려했으며, 1120년에서 1139년 사이에 데이비드 더 스코트, 방고어 주교의 주교 재임 기간 동안 방고어 대성당 건설을 지원했다. 그리피드의 유해는 방고어 대성당의 성가대석 무덤에 매장되었다.
3. 3. 1. 르벨린 압 그리피드와 독립의 종말
리웰린 2세( Llywelyn Ein Llyw Olaf|lit=리웰린, 우리의 마지막 지도자cy, 1223년 ~ 1282년 12월 11일)는 왕위 계승 당시 귀네드에 거주하고 있었으며, 통치 기간 마지막 전투에서 삼촌 다피드 2세와 함께 싸웠다. 이는 1242년부터 아버지와 함께 잉글랜드에 갇혀 있던 형 오와인보다 유리하게 작용했다. 리웰린과 오와인은 잉글랜드의 헨리 3세가 주선한 평화 협정인 우드스톡 조약을 통해 합의에 도달했고, 콘위 서쪽의 영토를 공유하기로 했지만, 이 조약은 8년 동안만 지속되었다.
리웰린 2세의 남동생 다피드 3세는 14세에 헨리 3세로부터 1253년에 경의를 표하라는 초대를 받았다. 그는 조상들의 정신에 따라 형제 오와인과 동맹을 맺고 브린 데르윈 전투에서 군대를 이끌고 싸웠다. 승리한 리웰린 2세는 형제 오와인(1277년까지)과 다피드 3세(1년 동안)를 투옥했다. 다피드 3세는 1277년쯤 잉글랜드 왕실과 협력하여 잉글랜드와 웨일스 북부 국경에 땅을 얻어 호의를 얻었고, 엘리자베스 페러스(Elizabeth Ferrers)와 결혼하여 자녀를 두었으며, 오와인은 린의 영주라는 칭호를 받았다. 리웰린은 새로운 웨일스 국가를 대표하는 인물로 여겨졌지만, 귀네드 동쪽에 인접한 새롭게 형성된 노르만 왕조와 협력해야 했으며, 이는 1267년 후반 몽고메리 조약으로 공식화되었다.
형제들이 경쟁에서 물러나면서, 리웰린 2세는 단독 통치자가 되었고, 이는 잉글랜드 왕실의 약점과 그의 집사장 고론위 압 에드니페드의 지원에 힘입어 10년 이상 끊임없는 군사적 성공을 거두며 북웨일스를 재통일하는 전투에서 승리했다. 리웰린 2세는 몽포르 가문과 동맹을 맺고, 1275년에 엘리너 드 몽포르, 웨일스 공주(Eleanor de Montfort)와 결혼했다. 엘리너는 레스터 백작 6대 시몽 드 몽포르의 딸로, 제2 남작 전쟁 동안 반란을 일으켜 잉글랜드 내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교황 클레멘스 4세는 웨일스 공과 평화를 협상하며, 이브샴 전투 이후 몽포르 가문과의 관계를 끊을 것을 주장했다. 리웰린 2세와 몽포르는 두 번 결혼했는데, 한 번은 1275년에 비밀리에, 그리고 리웰린 2세의 새로운 매형인 에드워드 1세가 엘리너를 3년 동안 가택 연금한 후에 결혼했다. 그들의 딸 그웬릴리안 페르치 리웰린은 첫 생일 전에 고아가 되었고, 리웰린 2세의 마지막 혈통이었다.[34][81][82]
에드워드 1세가 웨일스 공 칭호를 얻으면서 계승이 계속되었다. 1277년 리웰린 2세는 아버콘위 조약에 서명했고, 웨일스 전역에서 축적한 귀네드의 권력을 넘겨주는 공식적인 합의였다. 그러나 리웰린의 동생 다피드 3세는 1282년 종려주일에 하워든 성을 공격하여 사건을 촉발시켰다. 1282년 11월, 캔터베리 대주교 존 펙햄이 군주들 사이의 잠재적인 갈등을 중재하기 위해 북웨일스를 방문했다. 리웰린 2세에게는 금전적 인센티브와 그의 가족을 위한 잉글랜드 영지가 제안되었지만, 에드워드에게 귀네드의 영토를 넘겨주는 조건이었다. 리웰린 2세는 그 제안을 거절했다.[83][84] 1282년 12월 11일, 리웰린은 매복 공격으로 사망했다. 그의 머리는 런던으로 보내졌고, 그의 시신은 애비쿰히어에 안치되었다.
4. 잉글랜드 병합 이후
1282년 릴리웰린 압 그리피드가 사망하고, 이듬해 그의 형제 다피드 압 그리피드가 처형된 후, 귀네드 왕국의 8세기 독립 통치는 종말을 고했다. 오랫동안 웨일스에 대한 잉글랜드의 완전한 지배에 마지막까지 저항했던 귀네드 왕국은 잉글랜드에 병합되었다. 통치 가문의 나머지 중요한 구성원들은 모두 체포되어 남은 생애 동안 투옥되었다.
1284년 러들란 법에 따라 웨일스는 6개의 셔로 분할되고 재편성되었다. 귀네드 지역의 스노도니아는 3개의 정착지로 나뉘어 앵글시, 카나번셔, 머리너스셔를 형성했으며, 웨일스의 나머지 지역은 디 강과 콘위 강 너머로 분할되어 북 웨일스에 덴비셔, 플린트셔가 생겼고, 웨일스 남부에는 카디건과 카마던이 생겼다.[87]
''Pura Walia''는 웨일스 습지에 대한 새로운 정의였다. Pura Walia는 실제로 귀네드, 카마던셔, 카디건셔였던 새로운 카운티였으며, Marchia Wallie는 웨일스인들이 여전히 소유하고 있던 토지를 분할하고 Marchia Wallie에 건설된 노르만 성을 통해 정의되었다.[88][89] Pura Walia는 잉글랜드 왕실의 일부로 러들로에 있는 웨일스 위원회에서 통치하는 명목상의 웨일스 공국 내에 계속 존재했다.
1284년 이후 귀네드를 기반으로 한 반란이 많이 일어났으며, 대부분 이전 왕족의 주변 구성원들이 주도하여 성공 정도가 다양했다. 특히 1294년 마도크 압 리웰린 왕자의 반란과 1372년부터 1378년 사이에 일어난 오와인 라우고흐 (리웰린 압 그리퍼드의 증손자)의 반란이 가장 두드러진다. 이 때문에 옛 왕가는 숙청되었고, 살아남은 구성원들은 은신했다. 1400년 포위스 왕국의 라이벌 왕가의 일원인 오와인 글린두르가 주도한 마지막 반란 역시 귀네드 내에서 상당한 지지를 받았다.
"웨일스 공"이라는 칭호는 리웰린 2세 이후 부활하여, 1301년 카나번 성에서 에드워드 2세가 수여받으면서 웨일스 공국이 시작되었다.[90] 웨일스 변경 지역은 웨일스 변경 지역 위원회에 따라 1534년 공국과 병합되어 웨일스에 대한 모든 별도의 통치가 이루어졌다.[91] 형벌 제도는 결국 폐지되었고, 행정 기구로서 웨일스 변경 지역은 1689년 잉글랜드 국왕 윌리엄 3세와 잉글랜드 여왕 메리 2세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의 군주)의 공동 통치에 의해 폐지되었다.[92]
5. 군사
존 에드워드 로이드 경에 따르면, 웨일스에서 벌어진 20년간의 노르만 침공에서 웨일스 군사 작전의 어려움이 드러났다고 한다. 만약 방어자가 어떤 도로를 막고, 어떤 강을 건너거나 산길을 통제하고, 웨일스 해안선을 통제할 수 있다면, 웨일스에서 장기간 작전을 펼치는 위험은 너무 컸다.
헨리 2세 통치 시대의 웨일스식 전쟁 방법은 약 1190년에 쓰여진 웨일스의 제럴드의 저서 ''캄브리아의 묘사''에서 다음과 같이 묘사하고 있다:[73]
> 그들의 전투 방식은 적을 추격하거나 후퇴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 경무장한 사람들은 그들의 힘보다 민첩성에 더 의존하며, 전장에서 싸우거나 근접전을 벌이거나 길고 격렬한 전투를 견딜 수 없다... 비록 하루는 패배하고 도망칠지라도, 그들은 다음 날 전투를 재개할 준비가 되어 있으며, 패배에 의해 낙담하지도, 불명예에 의해 낙담하지도 않는다. 비록 그들이 공개적인 교전과 정규적인 전투에서 큰 용기를 보여주지 못할지라도, 매복과 야간 기습으로 적을 괴롭힌다. 따라서, 굶주림이나 추위에 시달리지도 않고, 군사적인 노동에 지치지도 않으며, 역경 속에서 절망하지도 않고, 패배 후 즉시 행동으로 돌아가 전쟁의 위험을 다시 견딜 준비가 되어 있다.
--''The Historical Works of Giraldus Cambrensis translated by Sir Richard Colt-Hoare (1894), p.511''[73]
웨일스인들은 궁술 실력으로 존경받았다. 또한, 웨일스인들은 노르만 경쟁자들로부터 배웠다. 수 세대에 걸친 전쟁과 노르만인들과의 긴밀한 접촉 속에서, 그리피드 압 키난과 다른 웨일스 지도자들은 기사도를 배우고 웨일스에 맞게 적용했다. 그리피드가 1137년에 사망할 무렵, 귀네드는 전통적인 궁병과 보병뿐만 아니라 수백 명의 중무장 기병을 배치할 수 있었다.
> 그들은 민첩성을 방해하지 않는 가벼운 무기, 작은 사슬 갑옷, 화살 묶음, 긴 창, 헬멧과 방패, 그리고 더 드물게 철판으로 덮인 정강이 보호대를 사용한다. 상류층은 그들의 나라에서 생산되는 빠르고 훌륭한 말을 타고 전투에 나선다. 그러나 인구의 대다수는 토양이 습하고 울퉁불퉁하기 때문에 도보로 싸운다. 기마병은 상황이나 필요에 따라 공격하거나 후퇴할 때 기꺼이 보병으로 복무한다. 그리고 그들은 맨발로 걷거나, 생가죽으로 대충 만든 높은 신발을 사용한다. 평화로운 시대에 젊은이들은 숲의 깊숙한 곳을 파고 산의 정상에 오르면서 밤낮으로 피로를 견디는 연습을 한다.
--''The Historical Works of Giraldus Cambrensis translated by Sir Richard Colt-Hoare (1894), p.491''[73]
결국, 웨일스는 잉글랜드 해군의 향상된 능력에 의해 군사적으로 패배했는데, 이는 앵글시 섬과 같은 농업 생산에 필수적인 지역을 봉쇄하거나 점령했기 때문이다. 메나이 해협을 통제함으로써, 침략군은 앵글시 섬에서 재집결할 수 있었고, 메나이를 통제하지 못하면 군대는 그곳에 갇힐 수 있었다. 앵글시 섬의 점령군은 섬의 막대한 수확량을 웨일스인들에게 제공할 수 없었다.
식량 부족은 산속에서 포위된 대규모 웨일스 군대의 해산을 강요했을 것이다. 점령 이후, 웨일스 군인들은 잉글랜드 군대에 징집되어 복무했다. 오와인 글린두르의 반란 동안 웨일스인들은 그들이 배운 새로운 기술을 게릴라 전술과 기습 공격에 적용했다. 오와인 글린두르는 산을 매우 유리하게 사용해서 많은 곤경에 처한 잉글랜드 군인들이 그를 자연 요소를 조종할 수 있는 마법사로 의심했다.[93]
6. 행정
르웰린 대왕은 귀네드 왕국의 행정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그는 잉글랜드 왕실과 유사한 왕실을 만들고, 914년 아베르프라우 궁전에서 제정된 법정을 본뜬 법정을 소집했다. 이 법정은 35명의 가신과 12명의 왕실 기마 경비병으로 구성되었으며, 1317년 해체될 때까지 4세기 동안 유지되었다.[75][76][77] 왕실 직책 또한 잉글랜드 왕실과 유사했다.[78]
르웰린은 휘웰 다의 법을 따랐으며, 웨일스 게이블카인드 관습에 따라 상속 절차를 시도했다.[79] 그는 차남 다피드 2세를 옹호하고 장남 그리푸드에게 영토를 주는 방식으로 상속자를 지정했다.[80] 다피드 2세는 잉글랜드 왕 헨리 3세의 지원을 받아 후계자로 지명되었고, 1238년 스트라타 플로리다 수도원에서 웨일스 왕실 군주 회의가 열렸다.
귀네드는 전통적으로 콘위와 디강을 경계로 하여 귀네드 우치 콘위(콘위 위쪽)와 귀네드 이스 콘위(콘위 아래쪽)로 나뉘었다. 앵글시 섬(Ynys Môn)은 귀네드 우치 콘위에 속했다. 스노우도니아의 군주국은 13개의 ''칸트레프''로 구성되었으며, 각 칸트레프는 이론적으로 100개의 정착지(''트레피'')를 포함했다. 대부분의 칸트레프는 키미드(코뮤트)로 나뉘었다. 14세기 말 허게스트의 적색서에 인구 조사가 작성되었다.[9][103][104][105]
'''앵글시 코뮤트'''
| 코뮤트 | 현대 지방 | 비고 |
|---|---|---|
| 아베르프라우 | 아베르프라우 | 과거 귀네드 통치자들의 거점 |
| 케마이스 | 케마이스 | |
| 탈레볼욘 | ||
| 란-파에스 | 란-마에스 | |
| 펜로스 | 펜로스 | |
| 로시르 | 뉴버러 | 1294년에 란파에스에서 이주한 마을 사람들을 수용하기 위해 재건 |
''콘위 위의 귀네드''(상부 귀네드)
아를레흐웨드 코뮌
| 코뮌 | 현대 행정 구역 | 비고 |
|---|---|---|
| 아를레흐웨드 우차프 | 아베르귀그레긴, 콘위 자치구 | |
| 아를레흐웨드 이사프 | 트레프리우, 콘위 자치구 |
아르폰 코뮌
두노딩 코뮌
| 코뮌 | 현대 행정 구역 | 비고 |
|---|---|---|
| 아르두드위 | 메이리온이드 (귀네드) | |
| 에이피오니드 | 드위포르 (귀네드) | 에이피온 압 두노드 압 쿠네다의 이름을 따서 명명 |
린 코뮌
| 코뮌 | 현대 행정 구역 | 비고 |
|---|---|---|
| 딘라엔 | 드위포르 (귀네드 카운티) | |
| 키미드마엔 | 드위포르 (귀네드 카운티) | |
| 카플로기온 |
메이리온이드 코뮌
| 코뮌 | 현대 행정 구역 | 비고 |
|---|---|---|
| 이스투마네르 | 머리언스셔 (귀네드 카운티) | |
| 탈-이-본트 |
페르페드윌라드(중간 국가) 또는 ''그위네드 이스 콘위''(콘위 아래의 그위네드, 즉 로어 그위네드)
- 칸트레프 테게잉글:
- *쿤실트
- *프레스태틴
- *루들란
- 디프린 클위드:
- *콜리온
- *라네르흐
- *도그페일링
- 루포니오그
- *케인메이르흐
- *우흐 알레드
- *이스 알레드
- 칸트레프 로스
- *우흐 둘라스
- *이스 둘라스
- *어 크레우딘
7. 유산
에드워드 1세의 웨일스 정복 이후, 귀네드 지역은 잉글랜드의 앵글시, 카에르나본셔, 메리요네드셔, 덴비셔, 플린트셔로 분할되었다.[87] 1972년 지방 정부법은 이들을 개혁하여 본토의 앵글시와 릴린, 아르폰, 두노딩, 메이리오니드를 포함하는 귀네드의 새로운 군(현재의 "웨일스 보존 자치구")을 만들었다.[106][107] 1994년 지방 정부(웨일스)법에 의해 설립된 귀네드의 현대 주요 지역은 더 이상 앵글시를 포함하지 않는다.[108]
참조
[1]
웹사이트
THE CHURCH IN SEVENTH CENTURY CELTIC BRITAIN
https://orthochristi[...]
2021-12-14
[2]
서적
Welsh Medieval Law
Oxford Univ.
2013-02-01
[3]
웹사이트
Owen Glyndwr and the Last Struggle for Welsh Independence
https://archive.org/[...]
G. P. Putnam's Sons
2013-02-01
[4]
웹사이트
Poetry of Wales
https://archive.org/[...]
Houlston & Sons
2013-02-01
[5]
웹사이트
A glossary of mediaeval Welsh law, based upon the Black book of Chirk
https://archive.org/[...]
Manchester University Press
[6]
웹사이트
The lost kingdoms of Wales
2017-10-05
[7]
서적
England and Her Neighbours, 1066–1453: Essays in Honour of Pierre Chaplais
https://books.google[...]
A&C Black
1989-01-01
[8]
웹사이트
Harley MS 3859
http://www.kmatthews[...]
2013-01-29
[9]
웹사이트
Cantrefs and Commotes of Wales
http://www.maryjones[...]
2021-12-14
[10]
서적
Goidil, Feni, Gwynedd, Proc. Harvard Celtic Colloquium 12
[11]
서적
Celtic Culture
ABC-Clio
[12]
서적
The Gododdin of Aneirin
University of Wales
[13]
서적
Etymological Dictionary of Proto-Celtic
Brill
[14]
웹사이트
The Geography of Claudius Penelope
https://penelope.uch[...]
2021-02-19
[15]
간행물
The Early Irish Conquests of Wales and Dumnonia
[16]
웹사이트
After the Ice Age
https://museum.wales[...]
2007-05-11
[17]
웹사이트
Wales' earliest village?
https://archaeology.[...]
2017-10-05
[18]
웹사이트
Ancient Stone Age artifacts discovered at Anglesey water treatment works site
https://www.dailypos[...]
2017-06-11
[19]
웹사이트
Bryn Celli Ddu
https://cadw.gov.wal[...]
2021-12-11
[20]
웹사이트
Eryri – Snowdonia
https://www.snowdoni[...]
2021-12-11
[21]
웹사이트
Trawsfynydd Tankard
https://museum.wales[...]
2021-12-15
[22]
웹사이트
Bryn Eryr Iron Age Roundhouses
https://museum.wales[...]
2021-12-16
[23]
웹사이트
Bryn Eryr Iron Age Farmstead
https://museum.wales[...]
2017-09-11
[24]
웹사이트
Garn Boduan
http://www.rhiw.com/[...]
2021-12-11
[25]
웹사이트
North west Wales hill forts
http://downloads.bbc[...]
BBC
2021-12-11
[26]
웹사이트
Segontium Roman Fort
https://cadw.gov.wal[...]
Cadw
2023-09-19
[27]
웹사이트
Caer Gybi
https://cadw.gov.wal[...]
2021-12-11
[28]
웹사이트
The Roman Conquest of Wales
https://www.heritage[...]
2021-01-15
[29]
웹사이트
Why do Welsh place names appear around the world?
https://www.bbc.com/[...]
BBC
2019-08-11
[30]
웹사이트
Family tree
https://www.owain-gl[...]
2021-12-12
[31]
웹사이트
DIRECT DESCENT OF QUEEN ELIZABETH II FROM HENRY VII AND ELIZABETH OF YORK
https://tudorhistory[...]
2021-12-12
[32]
웹사이트
A royal dynasty
https://www.bbc.co.u[...]
BBC
2008-08-05
[33]
DWB
KATHERYN of BERAIN (' Catrin o'r Berain ', 1534/5 – 1591), ' Mam Cymru ' ('The mother of Wales')
[34]
DWB
EDNYFED FYCHAN, (EDNYFED ap CYNWRIG) and his descendants, noble family of Gwynedd.
[35]
웹사이트
Direct succession
http://www.royalstua[...]
2021-12-12
[36]
웹사이트
Jacobite Studies Trust
http://jacobitestudi[...]
2022-02-11
[37]
서적
The Britons
Blackwell Publishing
[38]
웹사이트
Cunedda Wledig "Imperator" ab Edern, Brenin Lothian a Gwenydd
https://www.geni.com[...]
0385
[39]
간행물
Why Did the Anglo-Saxons Not Become More British
https://academic.oup[...]
2000-06-01
[40]
서적
The Anglo-Saxons
Penguin
1991-08-06
[41]
웹사이트
Maelgwn Gwynedd, King of Gwynedd
http://www.earlybrit[...]
2021-12-11
[42]
웹사이트
Maelgwyn ap Cadwallon, Brenin Gwynedd
https://www.geni.com[...]
0480
[43]
서적
The British Chronicles
https://books.google[...]
Heritage
2022-02-19
[44]
EB1911
[45]
wikisource
[46]
웹사이트
Maelgwn Gwynedd and the Yellow Eye
https://www.grahamwa[...]
2019-08-24
[47]
웹사이트
Prince Elidyr Mwynfawr of Strathclyde
http://earlybritishk[...]
2021-12-11
[48]
웹사이트
Rhun Hir, King of Gwynedd
http://earlybritishk[...]
2021-12-11
[49]
웹사이트
Dating the Battle of Chester
http://www.carlanayl[...]
2021-12-11
[50]
wikisource
[51]
웹사이트
Cadwallon, King of Gwynedd
http://earlybritishk[...]
2021-12-11
[52]
웹사이트
Bede's ecclesiastical history of the English people
https://web.archive.[...]
Clarendon Press
2014-05-14
[53]
wikisource
[54]
웹사이트
St. Cadwaladr Fendigai, King of Gwynedd
http://www.earlybrit[...]
2021-12-11
[55]
웹사이트
When the Vikings invaded North Wales
https://museum.wales[...]
2007-04-02
[56]
서적
The Vikings in Wales from: The Viking World
https://www.routledg[...]
Routledge
2023-08-28
[57]
DWB
LLYWARCH HEN, a 6th-century British prince and a hero of a cycle of Welsh tales dating from the mid-9th century
[58]
서적
A History of Wales
Penguin Group
1990
[59]
서적
A History of Wales from the Earliest Times to the Edwardian Conquest
https://archive.org/[...]
Longmans, Green, and Co
1911
[60]
서적
The Celts, Development of the Celtic Kingdoms
Penguin Adult
1998-01-01
[61]
웹사이트
Rhodri The Great
https://www.bbc.co.u[...]
2021-12-11
[62]
웹사이트
About ABERFFRAW and its History
https://www.aberffra[...]
2021-12-11
[63]
서적
The history of Gruffydd ap Cynan
https://archive.org/[...]
Manchester University Press
[64]
웹사이트
History of Gruffydd Ap Cynan
http://www.maryjones[...]
2021-12-11
[65]
DWB
BLEDDYN ap CYNFYN (died 1075), prince
2020-08-23
[66]
google books
Conquest, Anarchy and Lordship: Yorkshire, 1066–1154
[67]
ODNB
Hervey (d. 1131)
2004-09-23
[68]
wikisource
[69]
웹사이트
The Ancestry of Edwin of Tegeingl
http://www.ancientwa[...]
2008-05-27
[70]
웹사이트
Owain Gwynedd ap Gruffydd, King of Gwynedd
https://www.geni.com[...]
2021-12-11
[71]
웹사이트
The Princes and the Marcher Lords
https://old.wrexham.[...]
2021-12-14
[72]
웹사이트
Plaque marks Welsh king's triumph
http://news.bbc.co.u[...]
BBC
2008-01-26
[73]
서적
Descriptio Cambriae
[74]
웹사이트
Prince Madoc American legend set to bring surge in tourists for North Wales
https://walesexpress[...]
2018-03-24
[75]
간행물
2023-09-15
[76]
서적
RCAHMW, An Inventory of the Ancient Monuments in Anglesey
Royal Commission on the Ancient and Historical Monuments of Wales
[77]
간행물
[78]
웹사이트
Inside the Royal Household
https://www.royal.uk[...]
2023-09-19
[79]
웹사이트
Iorwerth (cyfraith)
http://www.cyfraith-[...]
2021-12-12
[80]
서적
The Ancient Laws of Wales: Viewed Especially in Regard to the Light They Throw Upon the Origin of Some English Institutions
[81]
웹사이트
ELEANOR DE MONTFORT (c. 1258–1282), princess and diplomat
[82]
서적
Llywelyn ap Gruffudd: Prince of Wal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ales Press
2014-01-15
[83]
서적
England and Her Neighbours, 1066–1453: Essays in Honour of Pierre Chaplais
https://books.google[...]
A&C Black
1989-01-01
[84]
웹사이트
Edward I (1239–1307)
[85]
웹사이트
Hafod Garth Celyn
http://www.abergwyng[...]
2009-01-24
[86]
서적
The Law of Treason in England in the Later Middle Ages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9-10
[87]
웹사이트
1906
[88]
웹사이트
The Welsh March
https://www.bbc.co.u[...]
BBC
2008-08-26
[89]
서적
Power, Preaching and the Crusades in Pura Wallia c.1180–c.1280
https://www.cambridg[...]
Boydell & Brewer
2012-09-12
[90]
웹사이트
Titles and Heraldry
https://www.princeof[...]
2021-12-14
[91]
서적
Recovery, reorientation and reformation
[92]
웹사이트
[93]
웹사이트
Owain Glyndwr's legendary fight for Wales
https://britishherit[...]
2021-10-07
[94]
웹사이트
Deganwy castle
http://www.castlesfo[...]
2021-12-14
[95]
간행물
Excavations at Degannwy Castle, Caernarfonshire, 1961–6
[96]
웹사이트
Aber Castle (Garth Celyn)
https://www.sarahwoo[...]
2017-07-26
[97]
웹사이트
Castles of Llywelyn Fawr
https://walesdirecto[...]
2021-12-14
[98]
웹사이트
Llywelyn ap Gruffydd
https://www.sarahwoo[...]
2019-12-17
[99]
웹사이트
Joan, Lady of Wales
https://historythein[...]
2020-05-02
[100]
웹사이트
Gwenllian, Lost Princess of Wales
https://www.historic[...]
2021-12-14
[101]
웹사이트
Penmon – Area 1 Llanfaes PRN 33471
http://www.heneb.co.[...]
2021-12-14
[102]
웹사이트
Aberffraw
http://www.red-drago[...]
2021-12-14
[103]
웹사이트
"Llywelyn ap Gruffudd [Llywelyn Ein Llyw Olaf ('The Last')], (d.1282)"
https://www.snowdoni[...]
2021-12-14
[104]
웹사이트
The Princes of Snowdonia
https://www.snowdoni[...]
2021-12-14
[105]
웹사이트
Welsh Counties
http://thewalesmap.c[...]
2021-12-14
[106]
웹사이트
Review of Preserved County boundaries
https://ldbc.gov.wal[...]
2021-12-14
[107]
웹사이트
Local Government Act 1972
https://www.legislat[...]
2021-12-14
[108]
웹사이트
Local Government (Wales) Act 1994
https://www.legislat[...]
2021-12-14
[109]
서적
Welsh Medieval Law
https://s:Page:Welsh[...]
Oxford Univ.
2013-02-01
[110]
웹인용
Owen Glyndwr and the Last Struggle for Welsh Independence
https://archive.org/[...]
G. P. Putnam's Sons
2013-02-01
[111]
웹인용
Poetry of Wales
https://archive.org/[...]
Houlston & Sons
2013-02-01
[112]
웹인용
THE KINGDOM OF GWYNEDD
http://ardal-wales.c[...]
2023-04-16
[113]
웹인용
Deganwy castle
http://www.castlesfo[...]
2023-04-18
[114]
웹인용
Aber Castle (Garth Celyn)
https://www.sarahwoo[...]
2017-07-26
[115]
웹인용
THE CHURCH IN SEVENTH CENTURY CELTIC BRITAIN
https://orthochristi[...]
[116]
웹인용
A glossary of mediaeval Welsh law, based upon the Black book of Chirk
https://archive.org/[...]
Manchester University Press
[117]
웹인용
The lost kingdoms of Wales
https://www.walesonl[...]
2017-10-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귀네드 깃발 ([[애버프로]])](https://cdn.onul.works/wiki/noimage.png)